KR102532471B1 -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471B1
KR102532471B1 KR1020160018492A KR20160018492A KR102532471B1 KR 102532471 B1 KR102532471 B1 KR 102532471B1 KR 1020160018492 A KR1020160018492 A KR 1020160018492A KR 20160018492 A KR20160018492 A KR 20160018492A KR 102532471 B1 KR102532471 B1 KR 10253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cooling water
passage
air
tub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795A (ko
Inventor
이후선
김두현
이근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471B1/ko
Priority to DE102017103306.8A priority patent/DE102017103306B4/de
Priority to US15/435,832 priority patent/US10138589B2/en
Publication of KR2017009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로부터 발생된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서로 소정 간격을 형성하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과,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양단 중 하측단에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를 합쳐주는 하측 연결부,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양단 중 상측단에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를 합쳐주는 상측 연결부, 상기 하측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응축수통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을 수용하고 냉각수가 담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하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를 유입시키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유입통로, 및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상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유출통로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의 운전방법은, 상기 공기의 유로 상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공기 이동단계, 및 상기 공기 이동단계 중에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가 정체되도록 냉각수를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외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제습을 위한 응축장치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가열된 공기(열풍)를 세탁물에 공급하는데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 및 하이브리드(Hybrid) 시스템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로 분류된다.
순환식 건조시스템은, 외조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한 뒤 외조로 재공급하는 시스템이다. 배기식 건조시스템은,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세탁물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기시키는 시스템이다. 하이브리드(Hybrid) 시스템은, 외조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배기되고 나머지는 순환되어 다시 외조로 공급되는 시스템이다.
상기 배기식 건조시스템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조에서 배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통로를 통해 공기가 곧바로 외기 중에 배출되면 기기 주변에 많은 수증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배기통로를 곧바로 주변의 배수구에 연결하면 기기의 배수통로를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순환식 건조시스템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조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조로 재공급시키는 순환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지 않으면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 1과제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 및 냉각수를 절감하면서도 제습효율 또는 건조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제 2과제는, 세탁물 건조 시 배기되는 공기에 의한 기기 주변의 결로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제 3과제는, 상기 응축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자동으로 분리 배출가능 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 4과제는,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장치를 모듈화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시키기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제 5과제는, 상기 응축장치의 규격 및 부피를 쉽게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 6과제는, 증발기 또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응축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에너지로 구동 가능한 응축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로부터 발생된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서로 소정 간격을 형성하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과,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양단 중 하측단에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를 합쳐주는 하측 연결부,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양단 중 상측단에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를 합쳐주는 상측 연결부, 상기 하측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응축수통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을 수용하고 냉각수가 담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하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를 유입시키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유입통로, 및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상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유출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외조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은 상기 배기통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냉각수 유입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가 정체되도록 할 수 있는 냉각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서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시켜주는 결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은,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냉각수 유출통로를 연결시키는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는,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향으로 꺾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는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출통로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측 연결부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하측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연결부는, 상기 응축수통로로 연결되도록 하측에 형성된 응축수 유출구, 및 상기 응축수 유출구로 응축수가 모이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은, 상기 공기의 유로의 상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은, 상기 공기의 유로의 하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의 각은 직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장치의 운전방법은, 상기 공기의 유로 상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공기 이동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방법은, 상기 공기 이동단계 중에,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가 정체되도록 냉각수를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방법은, 상기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 이전에,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모두 잠기도록 냉각수를 채우는 최초 냉각수 공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방법은,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의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제 1소정 온도 이하 이면 상기 냉각수를 차단하는 과정이 시작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제 2소정 온도 이상 이면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이 시작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기 전에 공기 중 습기가 응축될 수 있는 시간을 지연시키고 상기 습기가 응축할 수 있는 접촉면을 넓히어줌으로써, 기기 주변의 결로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축장치의 제습성능 및 열교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배열 구조를 통해, 응축장치를 모듈화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고, 응축장치의 규격 및 부피를 쉽게 조절하여 제조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재질, 직경 및 소정 간격 배치를 통해, 부식의 문제가 없고 가벼운 응축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최소의 구동에너지로 응축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축장치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쉽게 집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케비닛(1)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각종 통로와 공기 및 물의 흐름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기 및 물의 흐름 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 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응축유닛(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응축유닛(60)을 다른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응축유닛(60)의 측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응축유닛(60)을 자른 X1-X1'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X3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응축유닛(60)을 자른 X2-X2'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응축유닛(6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응축유닛(6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응축유닛(60)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응축유닛(6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응축유닛(6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이하 실시예로서 건조 시스템이 구비된 프론트 로딩형 세탁기로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시스템은 외조 내부의 공기 일부를 순환시키고 다른 일부를 배기시키는 하이브리드 건조 시스템을 말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응축유닛(60)은 배기식 건조 시스템에서 배기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순환식 건조 시스템에서 순환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상기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닛(1)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케비닛(1)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를 저장하는 외조(5), 및 외조(5)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 및 세탁수가 담기는 내조(10)를 포함한다. 외조(5)에는, 내조(10) 내부의 세탁물로부터 발생된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담긴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케비닛(1) 내부로 안내하는 원 급수관(WP)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원 급수관(WP)에 의해 유입된 물을 외조(5) 내부로 공급하는 물공급부(20), 및 외조(5)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외조(5) 내부의 세탁수가 케비닛(1)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통로(30), 및 배수통로(30) 상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배수시키도록 작동하는 배수펌프(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외조(5)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외조(5)에서 유출되어 외조(5)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40)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순환통로(40) 상에 구비되어 외조(5) 내부의 공기를 순환통로(40)를 따라 순환시키는 순환팬(41), 및 순환통로(40) 상에 구비되어 외조(5)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외조(5) 외부 또는 케비닛(1) 외부의 공기가 외조(5)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통로(45)를 포함하고, 외조(5)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통로(50)는 외조(5) 내부의 공기 중 순환통로(40)로 유입되는 일부 공기를 제외한 다른 일부가 배기되도록 안내한다. 흡기통로(45) 또는 순환통로(40)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비닛(1)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2)을 포함한다. 프론트패널(2)에는 내조(1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3)가 구비된다. 투입구(3)는 케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인 컨트롤패널(4)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4)은 사용자가 세탁기의 제어부(미도시)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컨트롤패널(4)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에 전원공급명령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부(미도시), 및 사용자가 장치의 구현 가능한 세탁물 처리방법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방법은 세탁물에 물이나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컨트롤패널(4)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물 처리방법 또는 세탁기의 작동과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조(5)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외조 지지부(8)에 의해 케비닛(1) 내부에 고정된다. 외조(5)의 전방면에는 투입구(3)와 연통하는 외조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외조투입구와 투입구(3) 사이에는 가스켓(9)이 구비된다. 가스켓(9)은 외조(5)에 발생된 진동이 케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조(5)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켓(9)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내조(10)는 외조(5)의 후방면에 구비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외조(5)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내조(10)에는, 상기 외조투입구와 연통하는 내조투입구(미도시) 및 원주면을 관통하는 내조 관통홀(13)이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부(20)는, 케비닛(1) 외부에 구비된 원 급수관(WP)으로부터 세제공급부(25)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통로(23), 및 급수통로(23)를 개폐하는 급수밸브(21)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공급부(25)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26), 및 세제저장부(26)로부터 외조(5) 내부로 세제가 포함된 물을 안내하는 외조 공급관(27)을 포함한다. 세제저장부(26)는 프론트패널(2)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로(30)는 외조(5) 내부의 세탁수 수위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한 워터트랩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33)는 외조(5) 내부의 세탁수 수위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배수통로(30) 상의 최저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통로(40)는 외조(5)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외조(5)에서 유출되어 다시 외조(5)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순환통로(40)는 외조(5)의 상부 원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순환통로(40)의 시단부와 종단부에는 외조(5)와 연결되는 연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순환통로(40)의 종단부에 형성된 연통부는 가스켓(9)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스켓(9)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순환통로(40)는 상기 홀과 연결된다.
상기 흡기통로(45)는 외조(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순환통로(40)의 유로 상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통로(45)는 외부의 공기가 순환통로(4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히터(43)는 흡기통로(45) 내의 공기가 순환통로(40)로 유입되는 지점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또한, 순환팬(41)은 흡기통로(45) 내의 공기가 순환통로(40)로 유입되는 지점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히터(43)로 순환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 모두를 가열시킬 수 있고, 하나의 순환팬(41)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다.
흡기통로(45)의 흡기구가 케비닛(1)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케비닛(1)과 외조(5)의 사이 공간에 있는 공기가 외조(5) 내부로 유입되고, 흡기통로(45)의 흡입구가 케비닛(1)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케비닛(1) 외부의 공기가 외조(5) 내부로 유입된다. 본 설명에서 '외부의 공기'의 의미는, 케비닛(1) 외부의 공기 및 케비닛(1)과 외조(5) 사이의 공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47)는 순환통로(40)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순환통로(40)와 흡기통로(45)의 연결점의 하류 측에 필터(47)가 구비된다. 상기 세탁기는, 필터(47)에 걸러진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물을 분사시키는 필터세척 노즐(48)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외조(5)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배치되는 응축유닛(60), 및 응축유닛(60)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응축수통로(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의 유로는 배기통로(50)인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공기의 유로는 순환통로(40)일 수도 있다.
상기 세탁기는, 외조(5)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응축유닛(60)에서 열교환하는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냉기통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외조(5)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응축유닛(60)에서 열교환하는 물을 안내하는 냉각수통로(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응축유닛(60)은, 외조(5)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고 서로 소정 간격(62)을 형성하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을 포함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경사가 지면과 이루는 각을 경사 각(H)으로 정의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배기통로(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기 전에 공기 중 습기가 응축될 수 있는 시간을 지연시키고 상기 습기가 응축할 수 있는 접촉면을 넓히어줌으로써, 기기 주변의 결로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원형의 가느다란 관이 다발을 형성하며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관 내부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 및 응축수가 이동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소정 간격(62) 사이로, 열교환 매체인 냉기 또는 냉각수가 이동한다.
배기 유입통로(51)는, 외조(5) 내부의 공기 중 순환하는 공기를 제외한 다른 일부가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 유입통로(51)의 일단은 외조(5)에 직접 연결된다. 또한, 배기 유입통로(51)는 외조(5)의 어느 위치에나 연결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 배기 유입통로(51)는 외조(5)의 상부 원주면에 연결된다.
배기 유출통로(52)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에서 유출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 유출통로(52)는 공기를 케비닛(1)의 외부로 배출하나. 다른 실시예에서 배기 유출통로(52)는 공기를 외조(5)와 케비닛(1)의 사이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배기'의 의미는 위 두 가지 실시예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응축유닛(60)은,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길이방향 양단 중 하측단에서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를 합쳐주는 하측 연결부(65)와,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측단에서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를 합쳐주는 상측 연결부(66)를 포함한다.
하측 연결부(65) 및 상측 연결부(66) 중 어느 하나는 배기 유입통로(51)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배기 유출통로(52)와 연결된다. 배기 유입통로(51), 배기 유출통로(52),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 하측 연결부(65) 및 상측 연결부(66)는 하나의 방향으로 흐름을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도 11 및 1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서, 하측 연결부(65)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상기 하측단과 배기 유입통로(51)를 연결하고, 배기 유입통로(51)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를 모두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에 유입시키도록 안내한다. 상측 연결부(66)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상기 상측단과 배기 유출통로(52)를 연결하고,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를 모두 배기 유출통로(52)에 유입시키도록 안내한다.
도 12 및 15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상측 연결부(66)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상기 상측단과 배기 유입통로(51)를 연결하고, 배기 유입통로(51)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를 모두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에 유입시키도록 안내한다. 하측 연결부(65)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상기 하측단과 배기 유출통로(52)를 연결하고,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를 모두 배기 유출통로(52)에 유입시키도록 안내한다.
응축수통로(70)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한다. 응축수통로(70)는 하측 연결부(65)에 연결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경사에 따라 응축수가 흘러나오는 측에 연결된 하측 연결부(65)에 응축수통로(70)의 일단이 연결된다. 응축수통로(70)의 타단은, 케비닛(1) 외부로 응축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통로(30)에 연결될 수도 있고, 도 1 및 2와 같이 외조(5) 내부로 응축수를 흘려보내기 위해 외조(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응축수통로(70)에는 워터트랩이 형성되는 구간이 있는데, 이 워터트랩을 통해 배기통로(5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응축수통로(70)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으며, 외조(5) 내부의 공기가 응축수통로(70)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응축유닛(60)은,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을 수용하고 열교환 매체(냉기 또는 냉각수)가 담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은 복수의 열교환 세관(61)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은, 상기 냉기통로 또는 냉각수통로(90)와 연결되어, 공기(냉기) 또는 물(냉각수)을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소정 간격(62)으로 안내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이 구비되지 않은 응축유닛(60)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소정 간격(62)으로 냉기 또는 냉각수가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통로(90)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냉각수통로(90)는 냉각수가 소정 간격(62)을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냉각수통로(90)는 별도의 파이프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냉각수통로(90)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 냉각수를 유입시키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유입통로(93)를 포함한다. 냉각수 유입통로(93)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하측부에 연결된다.
냉각수통로(90)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유출통로(96)를 포함한다. 냉각수 유출통로(96)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상측부에 연결된다.
냉각수 유입통로(93)와 냉각수 유출통로(52)를 각각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하측부와 상측부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위치에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에서 온도가 높은 냉각수는 대류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먼저 냉각수 유출통로(52)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므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냉각수 유입통로(93)에 설치되고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으로의 냉각수 유입을 개폐하는 냉각수밸브(91)가 설치될 수 있다. 냉각수밸브(91)가 열리면 냉각수가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로 유입되고, 냉각수밸브(91)가 닫히면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지 않게된다.
냉각수밸브(91)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 냉각수가 정체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수밸브(91)를 닫으면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의 냉각수가 정체하게 된다. 이를 통해, 충분히 온도가 상승되지 않은 냉각수를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에 정체시켜 배기되는 공기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도 1 및 2와 같이 원 급수관(WP)애 연결되어 급수원의 수압에 의해 냉각수가 이동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세탁기는 냉각수 유입통로(93)에 연결되고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로 냉각수를 펌핑시키는 냉각수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냉각수는 펌핑되어 이동할 수 있다.
냉각수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된 물일 수도 있고,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에서 발생된 응축수일 수도 있으며, 외조(5) 내부에서 사용된 세탁수일 수도 있다.
도 2 및 3을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화살표 방향은 외조(5)의 공기 순환 방향이다. 순환팬(41) 작동시, 정압(positive pressure) 상태인 외조(5) 내부에서 순환통로(40)의 상기 시단부를 통해 부압(negative pressure)상태인 순환통로(40)로 공기 중 일부가 이동한다. 순환통로(40)로 이동한 공기는 히터(43)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외조(5) 내부로 재공급된다.
C화살표 방향은 외부 공기의 흡입 방향이다. 순환팬(41) 작동시, 대기압 상태인 외조(5) 외부 또는 케비닛(1) 외부로부터 부압 상태인 순환통로(40)로 공기가 유입된다. 순환통로(40)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히터(43)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외조(5) 내부로 공급된다.
D화살표 방향은 공기의 배기 방향이다. 순환팬(41) 작동시, 정압 상태인 외조(5) 내부에서 배기 유입통로(51)를 따라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소정 간격(62) 사이를 이동하는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며 응축수를 발생시킨다. 응축수를 발생시킨 상기 공기는 배기 유출통로(52)로 유입되어 외조(5) 외부 또는 케비닛(1) 외부로 배기된다.
E화살표 방향은 응축수의 흐름 방향이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려 하측 연결부(65)로 모인다. 이렇게 모인 응축수는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된다. 응축수통로(70)에 유입된 응축수는 외조(5) 내부로 이동한다. 외조(5) 내부로 이동한 응축수는 배수통로(30)를 통해 케비닛(1)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G 화살표 방향은 냉각수의 흐름 방향이다. 냉각수밸브(91)가 열리면 원 급수관(WP)에서 냉각수 유입통로(93)를 따라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의 냉각수가 냉각수 유출구(68b) 높이의 수위(GH)를 가지면 냉각수 유출통로(52)로 유출된다.(도 8 참고)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통로(52)를 따라 외조(5) 내부로 이동한다. 외조(5) 내부로 이동한 응축수는 배수통로(30)를 통해 케비닛(1)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에 대해서 상기 제 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 C 및 D 화살표 방향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다.
E화살표 방향은 응축수의 흐름 방향이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려 하측 연결부(65)로 모인다. 이렇게 모인 응축수는 응축수통로(70)를 따라 세제공급부(25) 또는 필터세척 노즐(48)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응축수통로(70)는, 적어도 일부의 응축수가 세제공급부(25)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의 응축수가 필터세척 노즐(48)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G 화살표 방향은 냉각수의 흐름 방향이다. 냉각수밸브(91)가 열리면 원 급수관(WP)에서 냉각수 유입통로(93)를 따라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의 냉각수가 냉각수 유출구(68b) 높이의 수위(GH)를 가지면 냉각수 유출통로(52)로 유출된다.(도 8 참고)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통로(52)를 따라 세제공급부(25) 또는 필터세척 노즐(48)로 안내될 수 있다. 즉, 냉각수 유출통로(52)는, 적어도 일부의 냉각수가 세제공급부(25)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의 냉각수가 필터세척 노즐(48)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에서, 응축수통로(70)는 응축수를 하측 연결부(65)에서 냉각수 유출통로(52)로 안내하도록 냉각수 유출통로(52)에 연결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응축수통로(70)를 따라 냉각수 유출통로(52)로 유입되고, 냉각수 유출통로(52)를 따라 냉각수 유출통로(52)의 종단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에서, 냉각수 유출통로(52)는 냉각수를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서 응축수통로(70)로 안내하도록 응축수통로(7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를 통과한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통로(52)를 따라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되고, 응축수통로(70)를 따라 응축수통로(70)의 종단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에서, 냉각수 유출통로(52)는 냉각수를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서 하측 연결부(65)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하측 연결부(65)에 연결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를 통과한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통로(52)를 따라 하측 연결부(65)의 내부로 유입되고, 응축수통로(70)를 따라 응축수통로(70)의 종단으로 이동한다. 예를들면, 냉각수 유출통로(52)는 냉각수를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서 후술할 응축수통로 연결부(653)로 안내하도록 응축수통로 연결부(653)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의 변경실시예(미도시)에서, 응축수를 냉각수 유입통로(93)에 유입시켜 배기되는 공기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통로(70)는, 냉각수 유입통로(93)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응축수통로(70)를 따라 냉각수 유입통로(93)로 유입되고, 냉각수 유입통로(93)를 따라 소정 간격(62) 사이를 이동한 후 냉각수 유출통로(52)를 따라 이동한다.
도 5 내지 12를 참고하여, 제 3실시예에 따른 응축유닛(60)의 구성 및 배치, 공기 및 물의 흐름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실시예에서,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경사 각(H)은 예각을 이룬다. 열교환 세관(61)의 길이방향은 열교환 세관(61)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세탁기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서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시켜주는 결착부(63,66)를 포함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하측부에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서로 소정 간격(62)을 유지하도록 고정시켜주는 하측 결착부(63)가 구비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측부에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서로 소정 간격(62)을 유지하도록 고정시켜주는 상측 결착부(64)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을 하나의 단위로 제작하거나 모듈화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하측 결착부(63) 및 상측 결착부(64)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하측 결착부(63)에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하측 홀(611)이 형성되고, 상측 결착부(64)에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상측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홀(611)과 상기 상측 홀은 열교환 세관(61)을 관통하는 유로의 양단을 의미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선에서는, 합성수지재로 열교환 세관(61)을 제조하는 것이 제작을 편리하게 해주고 비용을 절감하게 해준다.
하측 결착부(63) 및 상측 결착부(64)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과 함께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서 복수의 열교환 세관(61)과 조립될 수도 있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각 직경이 5 내지 7mm일 수 있다. 응축수의 점착력에 의해 세관(61)이 막히지 않고 응축수가 세관(61)내에서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는 선에서 세관의 직경은 작을수록 유리하다. 세관의 직경은 5 내지 7mm 정도에서, 효율적으로 열교환매체(냉기 또는 냉각수)와 배기되는 공기가 열교환 하면서도, 응축수가 세관(61)내에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소정 간격(62)이 세관의 반지름 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고하여,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어느 하나의 열교환 세관(61a)과 상기 소정 간격(62)만큼 이격된 6개의 다른 열교환 세관(61b)들이, 서로 동일한 상기 소정 간격(62)을 형성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열교환 세관(61a)을 둘러싸며 배열된다. 이러한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배열 방식은,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모듈화되기 용이하게 해준다. 즉, 횡단면상에서, 어느 하나의 열교환 세관(61a)을 중심으로 바깥측 6개의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다. 상기 6개의 방향은 서로 60도의 사이각을 가진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이러한 배열 방식에 따라 상기 세탁기에 장착되기 용이한 형태로, 쉽게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하다.
하측 결착부(63) 및 상측 결착부(64) 사이에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이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양단은 각각 하측 결착부(63) 및 상측 결착부(64)와 결합된다. 즉, 냉각수가 정체할 수 있는 공간은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하측 결착부(63) 및 상측 결착부(64)에 의해 구획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은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와 냉각수 유입통로(93)를 연결시키는 냉각수 유입통로 연결부(69a)를 포함한다. 냉각수 유입통로 연결부(69a)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이고, 냉각수 유입통로(93)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 냉각수 유입통로 연결부(69a)는 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수 유입통로 연결부(69a)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에서 하측 대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냉각수 유입통로 연결부(69a)에는 냉각수 유입통로(93)의 내부와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를 연통하는 냉각수 유입구(68a)가 형성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은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와 냉각수 유출통로(52)를 연결시키는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를 포함한다.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이고, 냉각수 유입통로(93)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상부에 형성된다.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는 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에는 냉각수 유출통로(52)의 내부와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를 연통하는 냉각수 유출구(68b)가 형성된다.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는, 모든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냉각수 속에 잠기게 되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의 수위(GH)에서, 냉각수의 추가적인 공급없이도 냉각수를 상기 수위(GH)로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향으로 꺾인 형태이고,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측면 중 최상측 부분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향으로 꺾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상면 중 최상측 부분에서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하측면 중 일부 면은 주변 구성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경사면(68c)을 포함한다. 이는 외조(5)의 외면의 근처에 배치되는 응축유닛(60)이 외조(5)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응축유닛(60)은 외조(5)의 상부 중 일측에 배치된다. 응축유닛(60)을 외조(5)에 가깝게 배치시키기 위해, 외조(5)의 상부면이 가진 경사를 따라,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하측면 중 일부가 경사면(68c)을 이룬다.
상측 결착부(64)는 상기 상측 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측 연결부(66)와 결합된다. 하측 결착부(63)는 상기 하측 홀(611)이 형성된 방향으로 하측 연결부(65)와 결합된다.
상측 연결부(66)는 상측 결착부(64)와 결합시키기 위한 브래킷(661)을 포함한다. 브래킷(661)의 일면은 상측 결착부(64)의 일면과 밀착한 상태로, 볼트 등의 결착 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상측 연결부(66)는 배기통로(50)와 연결하기 위한 배기통로 연결부(662)를 포함한다. 배기통로 연결부(662)는 상측 연결부(66)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이고, 배기통로(50)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 배기통로 연결부(662)는 상측 연결부(66)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배기통로 연결부(662)의 중앙에는 배기통로(50)의 내부와 상측 연결부(66)의 내부를 연통하는 홀(662a)이 형성된다.
하측 연결부(65)는 하측 결착부(63)와 결합시키기 위한 브래킷(651)을 포함한다. 브래킷(651)의 일면은 하측 결착부(63)의 일면과 밀착한 상태로, 볼트 등의 결착 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하측 연결부(65)는 배기통로(50)와 연결하기 위한 배기통로 연결부(652)를 포함한다. 배기통로 연결부(652)는 하측 연결부(65)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이고, 배기통로(50)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 배기통로 연결부(652)는 하측 연결부(65)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배기통로 연결부(652)의 중앙에는 배기통로(50)의 내부와 하측 연결부(65)의 내부를 연통하는 홀(652a)이 형성된다.
하측 연결부(65)는 응축수통로(70)와 연결하기 위한 응축수통로 연결부(653)를 포함한다. 응축수통로 연결부(663)는 하측 연결부(65)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응축수통로 연결부(663)는 응축수통로(70)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 응축수통로 연결부(653)의 중앙에는 응축수통로(70)의 내부와 하측 연결부(65)의 내부를 연통하는 응축수 유출구(653a)가 형성된다. 즉, 하측 연결부(65)는 응축수통로(70)로 연결되도록 하측에 형성된 응축수 유출구(653a)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고하여, 하측 연결부(65)의 내부의 하측면은 응축수 유출구(653a)를 향해 경사를 가진 경사면(654)을 형성한다. 즉, 하측 연결부(65)는 응축수 유출구(653a)로 응축수가 모이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654)을 포함한다. 경사면(654)은, 응축수통로(70)의 일단으로 응축수가 집수되도록 깔때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654)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경사를 가진 면들(654a,654b)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면(654)은 주변 구성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다른 경사면(654a)보다 큰 경사 각을 가진 경사면(654b)을 포함하는데, 이는 외조(5)의 외면의 근처에 배치되는 응축유닛(60)이 외조(5)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의 D화살표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서, 하측 연결부(65)는 배기 유입통로(5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각 열교환 세관(61)들이 형성하는 유로들로 분산시키고, 상측 연결부(66)는 각 열교환 세관(61)들이 형성하는 유로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배기 유출통로(52))로 모아준다.
도 12의 D화살표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상측 연결부(66)는 배기 유입통로(5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각 열교환 세관(61)들이 형성하는 유로들로 분산시키고, 하측 연결부(65)는 각 열교환 세관(61)들이 형성하는 유로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배기 유출통로(52))로 모아준다.
도 11 및 12의 E화살표를 참고하여,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열교환 세관(61)의 내면을 타고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고, 하측 홀(611)을 거쳐 하측 연결부(65) 내부로 유입된다. 도 10의 E화살표를 참고하여, 하측 연결부(65)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는 경사면(654)을 따라 이동하고, 응축수 유출구(653a)를 거쳐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된다.
도 8, 11 및 12의 G화살표를 참고하여, 냉각수 유입통로(93)를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68a)를 거쳐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로 유입된다.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구(68b)가 위치한 수위(GH)까지 차오르며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를 채운다. 냉각수는 소정 간격(62)을 통과하며 이동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 냉각수가 상기 수위(GH)까지 차오른 상태에서,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를 넘어서 이동할 수 없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향으로 꺾인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의 꺾인 부분까지만 물이 차오른 상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추가로 냉각수가 냉각수 유입구(68a)를 통해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로 유입되면, 냉각수 중 일부는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69b)를 넘어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냉각수 중 일부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서 냉각수 유출통로(52)로 유입된다.
도 11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상기 공기의 유로의 상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즉, 수평면에 대해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경사 각(H)을 가지게 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 내부의 공기는 경사를 거슬러 올라 상향(D)으로 이동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 내부의 공기는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따라 온도가 떨어지고, 냉각수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하측부에서 더 높은 온도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서 대류에의해 하측부에 온도가 더 낮은 냉각수가 위치하게 되고, 온도가 더 낮은 냉각수가 온도가 더 높은 공기와 상기 하측부에서 열교환하게 되므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은 상기 공기의 유로의 하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즉, 수평면에 대해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경사 각(H)을 가지게 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 내부의 공기는 경사를 따라 하향(D)으로 이동한다. 복수의 열교환 세관(61)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경사를 따라 하향(E)으로 이동한다. 응축수통로(70)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하류측에 연결된다. 응축수는 열교환 세관의 하측 홀(611)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수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수막이 열교환 세관(61)이 형성하는 공기 유로를 폐쇄시켜 열교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데, 흐르는 공기가 상기 수막이 형성되는 위치의 응축수를 하측 홀(611) 밖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수막 형성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열교환 세관(61)을 통과하는 공기 중 온도가 높은 입자는 하측으로 더딘 속도로 이동하게 되고 온도가 낮은 입자는 하측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열교환 세관(61)에서 충분히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먼저 열교환 세관(61)에서 빠져나가게 한다. 이에 따라, 보다 제습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 내지 15를 참고하여, 제 4실시예에 따른 응축유닛(60)의 구성 및 배치, 공기 및 물의 흐름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경사 각(H)은 90도까지 포함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제 4실시예에서,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경사의 각(H)은 직각을 이룬다. 이하, 제 3실시예와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 4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측 연결부(66)는 배기통로(50)와 연결하기 위한 배기통로 연결부(662)를 포함한다. 배기통로 연결부(662)는 상측 연결부(66)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이고, 배기통로(50)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 배기통로 연결부(662)는 상측 연결부(66)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배기통로 연결부(662)의 중앙에는 배기통로(50)의 내부와 상측 연결부(66)의 내부를 연통하는 홀(662a)이 형성된다.
상측 연결부(66) 내부의 상측면은 경사면(665)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665)은 상측 연결부(66) 내부의 공간 높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높이가 가장 높은 상기 일측에 배기통로 연결부(662)가 구비된다.
도 14의 D화살표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서, 하측 연결부(65)는 배기 유입통로(5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각 열교환 세관(61)들이 형성하는 유로들로 분산시키고, 상측 연결부(66)는 각 열교환 세관(61)들이 형성하는 유로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배기 유출통로(52))로 모아준다.
도 15의 D화살표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상측 연결부(66)는 배기 유입통로(5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각 열교환 세관(61)들이 형성하는 유로들로 분산시키고, 하측 연결부(65)는 각 열교환 세관(61)들이 형성하는 유로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배기 유출통로(52))로 모아준다.
도 14 및 15의 E화살표를 참고하여,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의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열교환 세관(61)의 내면을 타고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고, 하측 홀(611)을 거쳐 하측 연결부(65) 내부로 유입된다. 도 10의 E화살표를 참고하여, 하측 연결부(65)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는 경사면(654)을 따라 이동하고, 응축수 유출구(653a)를 거쳐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된다.
도 14 및 15의 G화살표를 참고하여, 냉각수 유입통로(93)를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68a)를 거쳐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로 유입된다.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구(68b)가 위치한 수위까지 차오르며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를 채운다. 냉각수는 소정 간격(62)을 통과하며 이동한다.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 냉각수가 상기 수위(GH)까지 차오른 상태에서, 추가로 냉각수가 냉각수 유입구(68a)를 통해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로 유입되면, 냉각수 중 일부는 냉각수 유출구(68b)를 통해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서 냉각수 유출통로(52)로 유입된다.
상기 경사의 각(H)을 직각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상기 공기의 유로의 상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 경우(도 13)에는, 냉각수의 대류에 따라 열교환 세관(61)의 하측부에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이동하고 상측부에 온도가 높은 냉각수가 이동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해진다. 이에 따라,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경사의 각(H)을 직각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상기 공기의 유로의 상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 경우(도 13)에는, 열교환 세관(61)을 통과하는 공기 중 온도가 높은 입자는 하측으로 더딘 속도로 이동하게 되고 온도가 낮은 입자는 하측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해진다. 이에 따라, 제습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장치의 운전방법은, 상기 공기의 유로 상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공기 이동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의 유로는 배기통로(50)이다.
상기 운전방법은, 상기 공기 이동단계 중에,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 냉각수가 정체되도록 냉각수를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를 차단하는 과정은 냉각수밸브(91)를 닫음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은 냉각수밸브(91)를 열음으로써 진행될 수 있고, 수원의 수압 또는 상기 냉각수펌프에 의한 수압에 의해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각수가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에서 공기와 충분히 열교환을 진행한 후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을 빠져나가게 할 수 있어, 물 사용량에 비해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5실시예에서, 상기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에서, 상기 냉각수를 차단하는 과정 및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은 기설정된 소정 시간을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소정 시간 동안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제 2소정 시간 동안 상기 냉각수를 차단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소정 시간 및 제 2소정 시간은, 냉각수의 시간당 공급량 및 필요한 냉각수의 열용량 등에 따라 기설정될 수 있다.
제 6실시예에서, 상기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에서, 상기 냉각수를 차단하는 과정 및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은,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의 냉각수 온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의 소정 위치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6실시예에서, 상기 운전방법은,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의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에서,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의 냉각수의 온도가 제 1소정 온도 이하 이면 상기 냉각수를 차단하는 과정이 시작되고,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의 냉각수의 온도가 제 2소정 온도 이상 이면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이 시작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소정 온도는 상기 제 2소정 온도보다 작도록 기설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어느 정도 떨어지면 냉각수를 차단한 상태에서도 열교환 효율이 크게 저감되지 않도록 하고, 어느 정도 냉각수의 온도가 올라가면 다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당 정도의 열교환 효율을 유지토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더불어, 간헐적으로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냉각수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운전방법은, 상기 간헐적 냉각수 공급단계 이전에, 열교환 세관 하우징(68)의 내부에 복수의 열교환 세관(61)이 모두 잠기도록 냉각수를 채우는 최초 냉각수 공급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시켜주지 않는 상태에서도 열교환 세관 하우징(68) 내부에 냉각수가 만수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케비닛 2 : 프론트패널
3 : 투입구 4 : 컨트롤패널
5 : 외조 6 : 도어
8 : 외조 지지부 9 : 가스켓
10 : 내조 13 : 내조 관통홀
20 : 물공급부 21 : 급수밸브
23 : 급수통로 25 : 세제공급부
26 : 세제저장부 27 : 외조 공급관
30 : 배수통로 33 : 배수펌프
40 : 순환통로 41 : 순환팬
43 : 히터 45 : 흡기통로
47 : 필터 48 : 필터세척 노즐
50 : 배기통로 51 : 배기 유입통로
52 : 배기 유출통로 60 : 응축유닛
61, 61a, 61b : 열교환 세관
611 : 열교환 세관의 하측 홀
62 : 소정 간격 63 : 하측 결착부
64 : 상측 결착부 65 : 하측 연결부
66 : 상측 연결부 68 : 열교환 세관 하우징
69a : 냉각수 유입통로 연결부
69b :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
70 : 응축수통로 90 : 냉각수통로
91 : 냉각수밸브 93 : 냉각수 유입통로
96 : 냉각수 유출통로
B : 공기 순환 방향 C : 공기 흡입 방향
D : 공기 배기 방향 E : 응축수 흐름 방향
G : 냉각수 흐름 방향 GH : 냉각수 수위
H :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경사 각

Claims (15)

  1.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로부터 발생된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서로 소정 간격을 형성하는 복수의 열교환 세관;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양단 중 하측단에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를 합쳐주는 하측 연결부;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양단 중 상측단에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를 합쳐주는 상측 연결부;
    상기 하측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응축수통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을 수용하고 냉각수가 담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열교환 세관 하우징;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하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를 유입시키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유입통로; 및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상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유출통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은 상기 배기통로 상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입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가 정체되도록 할 수 있는 냉각수밸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열교환 세관이 서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시켜주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은,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냉각수 유출통로를 연결시키는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는,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향으로 꺾인 형태인 세탁물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은,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냉각수 유출통로를 연결시키는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출통로 연결부는,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인 세탁물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출통로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 세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측 연결부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하측 연결부에 연결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연결부는,
    상기 응축수통로로 연결되도록 하측에 형성된 응축수 유출구, 및
    상기 응축수 유출구로 응축수가 모이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은,
    상기 공기의 유로의 상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 세관은,
    상기 공기의 유로의 하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의 각은 직각인 세탁물 처리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18492A 2016-02-17 2016-02-17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253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92A KR102532471B1 (ko) 2016-02-17 2016-02-17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DE102017103306.8A DE102017103306B4 (de) 2016-02-17 2017-02-17 Gerät zur Behandlung von Wäsche und Steuerverfahren dafür
US15/435,832 US10138589B2 (en) 2016-02-17 2017-02-17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92A KR102532471B1 (ko) 2016-02-17 2016-02-17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795A KR20170096795A (ko) 2017-08-25
KR102532471B1 true KR102532471B1 (ko) 2023-05-12

Family

ID=5941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492A KR102532471B1 (ko) 2016-02-17 2016-02-17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38589B2 (ko)
KR (1) KR102532471B1 (ko)
DE (1) DE10201710330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471B1 (ko) * 2016-02-17 202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CN108004736B (zh) * 2017-11-28 2022-08-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烘干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10924108A (zh) * 2018-09-19 2020-03-2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CN110924060B (zh) * 2018-09-19 2022-07-05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可读取存储介质
CN110806095A (zh) * 2019-10-15 2020-02-1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冷凝器及衣物处理装置
US11802364B2 (en) * 2021-04-16 2023-10-31 Whirlpool Corporation Condensing system for combination washer/dryer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0780A (en) * 1951-09-07 1960-11-22 Jr William E Stilwell Apparatus for the complete laundering of fabrics
US2627669A (en) * 1951-11-06 1953-02-10 Gen Motors Corp Combined drier and room dehumidifier
US2742708A (en) * 1952-07-12 1956-04-24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3232591A (en) 1963-05-23 1966-02-01 Jr Richard B Wiley Laundry dryer
US3805404A (en) * 1973-07-02 1974-04-23 I Gould Water cooled condenser dryer for laundry center
US3859735A (en) 1974-01-23 1975-01-14 Jr Herman E Katterjohn Dryer preheater
DE2529577C3 (de) * 1975-07-02 1979-09-27 August Lepper Maschinen- U. Apparatebau Gmbh, 5340 Bad Honnef Trommelwasch- und Trockenmaschine
DE3017089A1 (de) 1980-05-03 1981-11-05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Zum waschen, schleudern und trocknen eingerichtete waeschebehandlungsmaschine
DE69922864T2 (de) * 1998-03-12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Elektrischer Waschtrockner
KR100413439B1 (ko) * 2001-06-09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1021778B1 (ko) * 2003-12-26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컨덴서 하단부 배수유로 구조
KR100644834B1 (ko) * 2004-04-09 200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건조장치
KR100662369B1 (ko) * 2004-11-30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WO2006062262A1 (en) * 2004-12-06 2006-06-15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US7526879B2 (en) * 2005-11-04 2009-05-05 Lg Electronics Inc. Drum washing machine and clothes dryer using peltier thermoelectric module
KR101431441B1 (ko) * 2008-06-27 2014-08-2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응축식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EP2163682B1 (en) * 2008-09-12 2013-01-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me laundry drier
EP2660383B1 (en) * 2009-06-29 2016-08-2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EP2957671B1 (en) * 2009-06-29 2018-08-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US9109317B2 (en) * 2009-08-21 2015-08-18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ed moisture removal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EP2716808B1 (en) * 2011-04-18 2018-09-0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EP2612963B1 (en) * 2012-01-05 2016-03-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CN103797174B (zh) * 2012-04-06 2016-08-1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机
KR102057859B1 (ko) * 2013-01-25 2019-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948584B1 (en) * 2013-01-25 2020-03-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008396B1 (en) 2013-06-12 2019-10-23 7AC Technologies, Inc. Liquid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127383B1 (ko) * 2013-08-01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U2015233716B2 (en) * 2014-03-21 2019-09-1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ing machine
KR102266570B1 (ko) * 2014-05-30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64673B1 (ko) * 2014-10-28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02326B1 (ko) * 2014-10-28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32471B1 (ko) * 2016-02-17 202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03306A1 (de) 2017-08-17
KR20170096795A (ko) 2017-08-25
US20170233941A1 (en) 2017-08-17
DE102017103306B4 (de) 2023-08-31
US10138589B2 (en)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47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236693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4326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42389B1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RU2626952C2 (ru)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US924953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pump
US8857071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EP3190227B1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EP1936022A1 (en) Clothes tumble dryer
US20110277513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CN102293620A (zh) 具有干燥管的家用电器
CN104032552A (zh) 衣物处理装置
EP3543393A2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N106436234B (zh) 热泵烘干机
JP5897390B2 (ja) 洗濯乾燥機
AU2014414434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heat exchanger and a condensate collector
EP2573253A1 (en) Heat pump dryer
KR2023012514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25448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102360870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50651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JP2020178914A (ja) 洗濯乾燥機
KR101825449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JP2015192760A (ja) 衣類乾燥機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