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873A - 지지 장치 및 회동 위치 복귀 장치 - Google Patents

지지 장치 및 회동 위치 복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873A
KR20150014873A KR1020140095812A KR20140095812A KR20150014873A KR 20150014873 A KR20150014873 A KR 20150014873A KR 1020140095812 A KR1020140095812 A KR 1020140095812A KR 20140095812 A KR20140095812 A KR 20140095812A KR 20150014873 A KR20150014873 A KR 20150014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xial direction
support column
cylinde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츠보이
히로카츠 나이토
신고 이와타니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47C3/185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self-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통체와, 지지 통체에 삽입된 지지 기둥과, 지지 통체와 지지 기둥 사이에 마련되고, 지지 기둥의 일단측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의 감소에 따라 지지 기둥의 지지 통체에 대한 회동에 대하여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동 위치 복귀 기구를 구비한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회동 위치 복귀 기구는, 지지 통체의 내부에 회동 불가 상태로 고정되며, 지지 기둥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축 방향의 일측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안내 부재와, 안내 부재의 제1 경사면에 대향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지지 기둥과 함께 회동하고, 또한 지지 기둥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회동 부재와, 안내 부재와 회동 부재가 근접하는 축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와, 회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지 장치 및 회동 위치 복귀 장치{SUPPORT APPARATUS AND AUTOMATIC RETURN APPARATUS}
본 발명은 지지 장치 및 회동 위치 복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시트부의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의자에는, 시트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스 스프링 장치로 이루어지는 지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3-50201호 공보 참조).
이 종류의 지지 장치에 이용되는 가스 스프링 장치는, 레버 조작에 따라 실린더 기구의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를 미끄럼 이동시켜 의자의 높이 조정을 행할 수 있으며, 시트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 장치는, 예컨대 실린더 기구의 실린더 본체가 의자의 다리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실린더 본체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가 다리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 장치에는, 시트부에 작용하고 있던 하중(체중)이 없어지면, 시트부를 기준 위치(정면을 향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동 위치 복귀 기구(「오토 리턴 기구」라고도 함)가 마련되어 있다.
회동 위치 복귀 기구는, 지지 통체의 내부에 고정된 안내 부재와, 실린더 본체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 부재와, 축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승강 부재와, 승강 부재의 제1 경사면과 회동 부재의 제2 경사면이 대면 상태로 접촉하도록 승강 부재를 축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 스프링 장치는, 착석 상태에서 시트부의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회동시켜 이석 상태가 되면 승강 부재의 제1 경사면과 회동 부재의 제2 경사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회동 부재가 축 둘레로 회동함으로써 시트부가 소정의 방향이 되는 기준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회동 위치 복귀 기구에서는, 회동 부재가 360°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부의 회동 위치가 어느 위치더라도 시트부에 작용하고 있던 하중(체중)이 없어지면, 시트부를 기준 위치(정면을 향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이다. 그러나, 예컨대, 회의장 혹은 강의실 등에서 각 의자의 간격이 비교적 좁은 경우, 서로 인접된 시트부끼리가 접촉함으로써, 착석자도 옆의 착석자에게 접촉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이석할 때 혹은 착석할 때에, 시트부가 지나치게 회동하여 옆의 착석자에게 접촉하면, 거북한 분위기가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 지지 장치 및 회동 위치 복귀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은, 축 방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 통체와,
상기 지지 통체에 삽입되고, 상기 하중을 지지하도록 일단측이 상기 지지 통체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며, 타단측이 상기 지지 통체의 타단측에 축 방향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일단이 상기 지지 통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통체와 상기 지지 기둥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일단측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의 감소에 따라 상기 지지 기둥의 상기 지지 통체에 대한 회동에 대하여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동 위치 복귀 기구
를 구비한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 위치 복귀 기구는,
상기 지지 통체의 내부에 회동 불가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 기둥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축 방향의 일측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안내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향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과 함께 회동하고, 또한 상기 지지 기둥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회동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가 근접하는 축 방향으로 상기 회동 부재를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회동 복귀 동작을 행할 때의 회동 부재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내 부재의 제1 경사면과 회동 부재의 제2 경사면의 상대적인 회동 가능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시트부를 지지하는 경우, 시트부의 최대 회동 각도를 소정 각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된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지지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회동 위치 복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3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4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된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지지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장치(회동 위치 복귀 장치)(10)는, 실린더 기구(지지 기둥)(20)와,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와, 지지 통체(외통)(40)를 갖는다.
실린더 기구(20)는, 소정 압력의 가스가 봉입된 실린더 본체(22)와, 실린더 본체(22)의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피스톤에 결합된 피스톤 로드(24)를 갖는 가스 스프링 장치이다.
또한, 실린더 본체(22)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지지 통체(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22)의 상단은, 지지 통체(4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시트부(14)를 지지하는 브래킷(16)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4)의 하단은, 지지 통체(40)의 바닥부에 마련된 바닥판(50)에 베어링(152)을 통해 고정된다.
지지 통체(40)의 내주와 실린더 본체(22)의 외주 사이에 형성된 통형 공간에는, 시트부(14)의 회동 방향의 방향을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가 마련되어 있다.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는, 사람이 일어선 이석 상태[실린더 기구(20)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가 감소한 상태]가 되면 시트부(14)의 방향을 소정 방향(정면을 향한 기준 위치)으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기구이며, 안내 부재(70), 회동 부재(80), 베어링(90), 회동 규제 부재(100), 스프링 부재(편향 부재)(110), 스프링 받침(1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70)는, 지지 통체(40)의 내주측에 코오킹 등에 의해 회전 불가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 본체(22)가 관통하는 베어링 구멍(71)을 가지며, 베어링 구멍(71)에 의해 실린더 본체(22)를 미끄럼 이동 방향 및 회동 방향으로 안내한다. 또한, 안내 부재(70)의 내주측에는, 실린더 본체(22)의 외주에 감합하는 회동 부재(80)가 수용되는 오목부(74)가 마련되어 있다.
베어링(90)은, 회동 부재(80)의 하단(84)과 회동 규제 부재(100)의 상단(102) 사이에 배치된 스러스트 베어링이며, 축 방향의 하중이 작용한 착석 상태에서도 회동 부재(80)의 회동 저항을 저하시킨다. 또한, 회동 부재(80)는, 실린더 본체(22)가 감합되는 중앙 구멍(86)을 갖고, 중앙 구멍(86)은, 회동 부재가 실린더 본체(22)의 외주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실린더 본체(22)에 감합되어, 실린더 본체(22)와 함께 회동한다.
회동 규제 부재(100)는, 베어링(90)의 하면측에 접촉하는 상단(102)과, 스프링 받침(120)의 상단에 대향하는 하단(104)과, 스프링 부재(110)의 상단이 접촉하는 단차부(106)를 갖는다. 회동 규제 부재(100)는, 회동 부재(80)의 축 방향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여 회동 부재(80)의 회동 범위, 나아가서는 시트부(14)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며, 축 방향의 돌출 위치에 따라 임의의 회동 범위가 되도록 규제한다. 즉, 회동 규제 부재(100)의 하단(104)과, 스프링 받침(120)의 상단(122)의 이격 거리(S)에 따라 회동 부재(80)의 회동 범위가 규제된다.
예컨대, 상기 이격 거리(S)를 크게 한 경우, 회동 부재(80) 및 시트부(14)의 회동 범위가 커지고, 상기 이격 거리(S)를 작게 하면, 회동 부재(80) 및 시트부(14)의 회동 범위가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이격 거리(S)를 설정함으로써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72)과 회동 부재(80)의 제2 경사면(82)의 상대적인 회동 가능 범위가 좁아지고, 나아가서는, 시트부(14)의 최대 회동 각도를 소정 각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회동 부재(80)는, 실린더 본체(22)의 외주에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 본체(2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유지되고, 실린더 본체(22)를 축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회동 부재(80)의 상단에는,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캠면)(72)에 접촉, 이격되는 제2 경사면(캠면)(82)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동 부재(80)는, 제2 경사면(캠면)(82)이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캠면)(72)에 미끄럼 접촉하여 축 둘레로 회동하며, 축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경사면(72)이 경사면(82)에 미끄럼 이동하도록 접하여 이동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회동 부재(80)가 상방 이동 위치에 있으며, 제1 경사면(72)과 제2 경사면(82)이 동일한 경사 방향으로 대향하기 때문에, 시트부(14)가 기준 위치(정면을 향한 위치)에 있다.
스프링 부재(110)는, 하단이 지지 통체(40)에 코오킹 가공에 의해 고정된 스프링 받침(120)에 접촉하고, 상단이 회동 규제 부재(100)의 단차부(106)에 접촉하여 베어링(90)을 통해 회동 부재(80)를 상방으로 압박하고 있다. 스프링 부재(110)는, 회동 규제 부재(100) 및 베어링(90)을 통해 회동 부재(80)를 상방으로 편향시키고 있으며, 회동 부재(80)의 경사면(82)과 안내 부재(70)의 경사면(72)을 대면 상태로 접촉하도록 압박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 받침(120)은, 지지 통체(40)의 코오킹 가공에 의해 소정 높이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바닥판(50)과 스프링 받침(120) 사이에는, 스프링 받침(120)을 지지하는 통형의 스페이서(52)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동 부재(80)는, 스프링 부재(11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72)에 대하여 제2 경사면(82)을 압박시킴으로써 둘레 방향으로 회동하고, 양 경사면이 대면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는, 스프링 부재(110)의 스프링력이 회동 부재(80)와 지지 통체(40)에 고정된 안내 부재(70)가 협동하여 시트부(14)를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기구(20)의 구성〕
여기서, 실린더 기구(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린더 기구(20)는, 실린더 본체(22)에 대하여 피스톤(23) 및 피스톤 로드(24)가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22)의 상단 개구에는, 플런저(14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이 플런저(140)는, 예컨대 조작 레버(150)의 외부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 조작되면, 실린더 본체(22)의 내부로 강하하여 높이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실린더 본체(22)의 내측에는, 피스톤(23)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실린더실(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22)의 하단에는, 피스톤(23)을 갖는 피스톤 로드(24)가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베어링부(26)가 감합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24)의 하단은 지지 통체(40)의 바닥판(50)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실(25)의 상실(25a) 및 하실(25b)에는, 불활성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실(25)의 상실(25a)과 하실(25b) 사이를 연통하는 가스 유통로(27)가 차단되면, 피스톤(23)이 정지한다. 또한, 플런저(140)에 의해 가스 유통로(27)가 개방되면, 피스톤(23)의 상면과 하면의 수압 면적의 차에 의해 피스톤(23)이 눌려 내려간다.
플런저(140)의 하방에는, 가스 유통로(27)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160)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기구(160)는, 가스 유통로(27)에 연통된 통로 내를 미끄럼 이동하는 스풀(162)을 갖는다. 밸브 기구(160)의 스풀(162)은, 상단이 플런저(140)의 축부(142)에 감합되어 있고, 플런저(140)가 하방으로 압박 조작되어, 개방 위치(연통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석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150)에 의해 플런저(140)가 압박되어 가스 유통로(27)를 개방하였을 때는, 실린더실(25)의 상실(25a)과 하실(25b) 사이가 연통 상태가 되어, 피스톤(23)이 눌려 내려가기 때문에, 시트부(14)의 높이 위치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착석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150)에 의해 플런저(140)가 압박되어 가스 유통로(27)를 개방하였을 때는, 착석의 하중에 의해 피스톤 로드(24)가 상대적으로 실린더 본체(22) 내로 복귀되어, 시트부(14)의 높이 위치를 강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트부(14)의 회동 범위는,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72)과, 회동 부재(80)의 제2 경사면(82)의 상대적인 회동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시트부(14)의 회동 범위는,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72)과, 회동 부재(80)의 제2 경사면(82)의 상대적인 승강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즉, 안내 부재(70)와 회동 부재(80)의 사이에 개재되는 회동 규제 부재(100)의 존재에 의해 회동 부재(80)의 축 방향의 동작 범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회동 규제 부재(100)의 축 방향의 길이(높이)를 임의의 치수로 함으로써, 시트부(14)의 회동 범위가 소정 각도 이하로 규제된다.
여기서, 시트부(14)에 착석한 사람이, 이석하기 위해 시트부(14)를 회동 조작시킨 경우의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회동 위치 복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부(14)의 회동에 의해 실린더 본체(22)가 축 둘레로 회동하면,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72)에 대하여 회동 부재(80)의 제2 경사면(82)이 회동한다. 그 때문에, 제1 경사면(72)과 제2 경사면(82)의 대향 위치가 회동 동작에 의해 어긋나며, 회동 부재(80)가 실린더 본체(22)의 외주를 미끄럼 이동하여 강하한다.
회동 부재(80)가 강하하면, 그 하방에 배치된 베어링(90) 및 회동 규제 부재(100)가 하방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회동 규제 부재(100)가 축 방향으로 강하하면, 스프링 부재(110)는 압축 하중을 받아 압축된다. 그리고, 회동 규제 부재(100)의 하단(104)이, 스프링 받침(120)의 상단(122)에 접촉하면, 그 이상 회동 부재(80)가 강하할 수 없게 되어, 실린더 본체(22) 및 시트부(14)의 회동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시트부(14)가 회동되어도 회동 규제 부재(100)의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 동작 범위(이격 거리(S)에 상당)에 따라 최대 회동 범위가 소정 회동 각도로 제한된다. 이에 의해, 예컨대, 인접된 의자(12)와의 간격이 좁은 경우라도, 이착석 동작 시에 옆의 의자(12)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시트부(14)를 회동시켜 이석한 경우, 시트부(14) 및 실린더 본체(22)에 작용하는 하중이 없어지며, 스프링 부재(110)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동 규제 부재(100)가 상방으로 압박되고, 베어링(90)을 통해 회동 부재(80)도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회동 부재(80)가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하면, 회동 부재(80)의 제2 경사면(82)이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72)과 동일한 경사 방향이 되도록 회동한다.
그리고, 회동 부재(80)의 제2 경사면(82)과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72)이 동일한 경사 방향에서 대향하는 회동 위치가 되었을 때, 시트부(14)의 회동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 부재(110)의 스프링력에 의한 축 방향에의 미끄럼 이동 동작이 회동 동작으로 변환되고, 시트부(14)는 정면 방향에 대향하는 기준 위치로 복귀한다.
〔실시형태 2〕 도 4는 실시형태 2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장치(회동 위치 복귀 장치)(10A)는, 실린더 기구(지지 기둥)(20A)와,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A)와, 지지 통체(외통)(40)를 갖는다. 또한, 실린더 기구(20) 및 지지 통체(40)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린더 본체(22)의 내부의 구성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A)는, 안내 부재(70A), 회동 부재(80A), 베어링(90A), 회동 규제 부재(100A), 스프링 부재(편향 부재)(110A)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동 규제 부재(100A)는, 실시형태 1의 스프링 받침(120)이 일체화된 구성이다. 또한, 베어링(90A)은, 안내 부재(70A)의 상단과 축 방향의 빠짐을 방지하는 스냅 링(170)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안내 부재(70A)는, 내주(71)가 실린더 본체(22)의 외주에 감합되어 있고, 지지 통체(4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안내 부재(70A)의 내주(71)는, 실린더 본체(22)가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감합되고, 또한 축 둘레의 회동 방향으로 실린더 본체(22)와 함께 회동한다.
회동 부재(80A)는, 안내 부재(70A)의 제1 경사면(72)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82)과, 회동 규제 부재(100A)의 상단(102)에 대향하는 하단(84)과, 실린더 본체(22)의 외주에 감합되는 중앙 구멍(86)을 갖는다. 또한, 하단(84)의 내측에는, 스프링 부재(110A)의 상단이 접촉하는 스프링 받침 오목부(88)가 마련되어 있다.
회동 부재(80A)의 중앙 구멍(86)은, 실린더 본체(22)가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감합되고, 또한 실린더 본체(22)의 외주에 대해서는 회동 가능하게 감합된다. 또한, 회동 부재(80A)는, 외주에 지지 통체(40)의 내주에 마련된 돌출부(42)가 걸어 맞춰지는 결합부(85)(도 4 중, 파선으로 나타냄)를 갖는다. 또한, 돌출부(42)는,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부재(80A)가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 경우라도 회동 부재(80A)의 회동을 규제한다.
그 때문에, 시트부(14)의 회동과 함께 실린더 본체(22)가 회동하면, 안내 부재(70A)의 제1 경사면(72)과 회동 부재(80A)의 제2 경사면(82)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동이 생긴다. 이에 의해, 안내 부재(70A)의 회동 동작이 회동 부재(80A)의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 동작으로 변환된다. 도 4에 있어서는, 회동 부재(80A)가 축 방향으로 강하하고 있으며, 하단(84)이 회동 규제 부재(100A)의 상단(102)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안내 부재(70A)의 제1 경사면(72)과 회동 부재(80A)의 제2 경사면(82) 사이의 이격 거리(S)가 회동 부재(80A)의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 거리이다. 따라서, 상기 이격 거리(S)를 설정함으로써 안내 부재(70A)의 제1 경사면(72)과 회동 부재(80A)의 제2 경사면(82)의 상대적인 회동 가능 범위가 좁아지고, 나아가서는, 시트부(14)의 최대 회동 각도를 소정 각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회동 규제 부재(100A)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스프링 부재(110A)가 수납되는 오목부(10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08)의 하단에는, 스프링 부재(110A)의 하단이 접촉하는 스프링 받침부(10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A)는, 회동 규제 부재(100A)가 스프링 받침부(109)를 갖기 때문에, 스프링 받침 부재를 별개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며, 그만큼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14)를 회동시켜 이석한 경우의 복귀 동작은,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 도 5는 실시형태 3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장치(회동 위치 복귀 장치)(10B)는, 실린더 기구(지지 기둥)(20)와,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B)와, 지지 통체(외통)(40)를 갖는다. 또한, 실린더 기구(20) 및 지지 통체(40)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린더 본체(22)의 내부의 구성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B)는, 안내 규제 부재(70B), 회동 부재(80B), 베어링(90B), 스프링 부재(편향 부재)(110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 규제 부재(70B)는, 안내부(75)와, 회동 규제부(76)와, 스프링 받침부(78)를 갖는다.
안내 규제 부재(70B)의 안내부(75)는, 내주(71)가 실린더 본체(22)의 외주에 감합되어 있고, 지지 통체(4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75)의 내주(71)는, 실린더 본체(22)가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감합되고, 또한 축 둘레의 회동 방향으로 실린더 본체(22)와 함께 회동한다.
또한, 안내 규제 부재(70B)의 회동 규제부(76)는, 베어링(90B)의 하단에 접촉하는 단차부(77)를 갖는다. 이 단차부(77)의 축 방향의 위치가 회동 부재(80B)의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 위치를 규제한다. 단차부(77)는, 회동 규제부(76)의 축 방향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차부(77)의 위치가 상방에 배치된 경우, 회동 부재(80B)의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시트부(14)의 회동 범위가 좁아지고, 단차부(77)의 위치가 하방에 배치된 경우, 회동 부재(80B)의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시트부(14)의 회동 범위가 넓어진다.
회동 부재(80B)는, 안내 규제 부재(70B)의 안내부(75)에 형성된 제1 경사면(72)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82)과, 베어링(90B)의 상단에 접촉하는 하단(84)과, 실린더 본체(22)의 외주에 감합되는 중앙 구멍(86)을 갖는다.
또한, 베어링(90B)의 하단에는, 스프링 부재(110B)의 상단이 접촉한다. 따라서, 스프링 부재(110B)의 스프링력은, 베어링(90B)을 통해 회동 부재(80B)에 작용하고 있으며, 회동 복귀 동작을 행하기 위한 편향력이다.
또한, 베어링(90B)은, 스프링 부재(110B)의 스프링력이 회동 부재(80B)의 회동 부하가 되지 않도록 개재되어 있고, 또한 회동 규제부(76)의 단차부(77)에 접촉하여 회동 부재(80B)의 미끄럼 이동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도 겸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안내 규제 부재(70B)의 제1 경사면(72)과 회동 부재(80B)의 제2 경사면(82) 사이의 이격 거리(S)가 회동 부재(80B)의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 거리이다. 따라서, 상기 이격 거리(S)를 설정함으로써 안내 규제 부재(70B)의 제1 경사면(72)과 회동 부재(80B)의 제2 경사면(82)의 상대적인 회동 가능 범위가 좁아지고, 나아가서는, 시트부(14)의 최대 회동 각도를 소정 각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동 위치 복귀 기구(30B)에서는, 안내 규제 부재(70B)가 안내부(75)와, 회동 규제부(76)와, 스프링 받침부(78)를 갖기 때문에, 스프링 받침 부재나 회동 규제 부재를 별개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고, 그만큼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14)를 회동시켜 이석한 경우의 복귀 동작은,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4〕 도 6은 실시형태 4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지지 장치(10C)의 하부 구성만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지지 장치(10C)의 상부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장치(10C)는, 스프링 받침(120)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200)를 갖는다. 조정 기구(200)는, 스프링 받침(120)의 바닥부에 결합된 통형 부재(210)와, 통형 부재(210)의 하단으로부터 측방(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220)와, 돌기(220)에 걸어 맞춰지는 조정 나사 부재(230)와, 지지 통체(40)의 외주에 고정된 수나사부(240)를 갖는다.
한 쌍의 돌기(220)는, 지지 통체(40)에 마련된 슬릿(44)을 통하여 지지 통체(4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조정 나사 부재(230)는, 한 쌍의 돌기(220)의 단부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232)와, 수나사부(240)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234)를 갖는다. 그리고, 조정 나사 부재(230)는, 암나사부(234)가 수나사부(240)에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부터 회동 조작하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조정 나사 부재(230)는, 예컨대 오른쪽(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한 쌍의 돌기(2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왼쪽(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한 쌍의 돌기(2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조정 나사 부재(230)가 회동 조작되며, 한 쌍의 돌기(220)를 갖는 통형 부재(210)를 통해 스프링 받침(120)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가 조정된다. 즉, 회동 부재(80)의 회동 범위는, 회동 규제 부재(100)의 하단(104)과, 스프링 받침(120)의 상단(122)의 이격 거리(S)(도 1 참조)에 따라 규제되기 때문에, 스프링 받침(120)의 축 방향의 위치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이격 거리(S)가 임의의 값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 거리(S)를 설정함으로써 안내 부재(70)의 제1 경사면(72)과 회동 부재(80)의 제2 경사면(82)의 상대적인 회동 가능 범위가 좁아지고, 나아가서는, 시트부(14)의 최대 회동 각도를 소정 각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설정하고자 하는 시트부(14)의 회동 범위에 따라 조정 나사 부재(230)를 적절하게 회동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회동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장치 내에 회동을 규제하는 기구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의자에도 지지 기둥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시트부 등을 개량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파칭코 가게에 배열된 의자의 단부의 의자 등만 회전 규제할 때 등, 시트부는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장치로서 의자의 시트부를 회전 가능 및 높이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예컨대 책상의 회전이나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기둥으로서 상하 승강 가능한 실린더 기구를 나타내었지만,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것만으로 좋은 경우에는, 예컨대 축 방향으로 신축하지 않는 금속 막대를 이용하여도 좋다.

Claims (6)

  1. 축 방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 통체와,
    상기 지지 통체에 삽입된 지지 기둥으로서, 상기 하중을 지지하도록 일단측이 상기 지지 통체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며, 타단측이 상기 지지 통체의 타단에 축 방향에 관하여 고정되고, 상기 일단이 상기 지지 통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통체와 상기 지지 기둥 사이에 마련된 회동 위치 복귀 기구로서, 상기 지지 기둥의 상기 일단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의 감소에 따라 상기 지지 기둥의 상기 지지 통체에 대한 회동 방향에 관한 기준 위치로 상기 지지 기둥을 복귀시키는 회동 위치 복귀 기구
    를 구비한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 위치 복귀 기구는,
    상기 지지 통체의 내부에 그 지지 통체에 대하여 회동 불가 상태로 고정되는 안내 부재로서, 상기 지지 기둥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며, 축 방향의 일측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안내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제1 경사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회동 부재로서, 상기 지지 기둥과 함께 회동하며, 상기 지지 기둥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회동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가 근접하는 축 방향으로 상기 회동 부재를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그 지지 기둥의 상기 일단과 상기 지지 기둥의 상기 타단 사이의 거리가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회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조정 가능한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4. 축 방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 통체와,
    상기 지지 통체에 삽입된 지지 기둥으로서, 상기 하중을 지지하도록 일단측이 상기 지지 통체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며, 타단측이 상기 지지 통체의 타단에 축 방향에 관하여 고정되고, 상기 일단이 상기 지지 통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통체의 내부에 그 지지 통체에 대하여 회동 불가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 기둥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축 방향의 일측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안내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제1 경사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회동 부재로서, 상기 지지 기둥과 함께 회동하며, 상기 지지 기둥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회동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가 근접하는 축 방향으로 상기 회동 부재를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
    을 구비하는 회동 위치 복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그 지지 기둥의 상기 일단과 상기 지지 기둥의 상기 타단 사이의 거리가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위치 복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회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위치 복귀 장치.
KR1020140095812A 2013-07-30 2014-07-28 지지 장치 및 회동 위치 복귀 장치 KR201500148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7898 2013-07-30
JP2013157898A JP2015028360A (ja) 2013-07-30 2013-07-30 支持装置及び回動位置復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873A true KR20150014873A (ko) 2015-02-09

Family

ID=5234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812A KR20150014873A (ko) 2013-07-30 2014-07-28 지지 장치 및 회동 위치 복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34790A1 (ko)
JP (1) JP2015028360A (ko)
KR (1) KR20150014873A (ko)
CN (1) CN104343877A (ko)
DE (1) DE102014214837A1 (ko)
TW (1) TW2015156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4401B4 (de) * 2014-03-11 2016-02-11 Kintec-Solution Gmbh Drehbares Sitzmöbelstück
CN104665319A (zh) * 2015-03-18 2015-06-03 常州市莱特气弹簧有限公司 自动回旋气压棒
FI126841B (sv) * 2016-05-04 2017-06-15 Af Solutions Ab Oy Navkonstruktion för en roterbar stol
CN106224703A (zh) * 2016-08-24 2016-12-14 常州市鑫尔减速机有限公司 动态型摆线针轮减速机机架
KR102023239B1 (ko) * 2017-01-19 2019-09-19 박동관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TWI669086B (zh) * 2017-05-26 2019-08-21 倪培堯 可復位氣壓棒模組
CN107990090A (zh) * 2017-11-27 2018-05-04 肖娇 一种家用电器存放装置
CN109263430B (zh) * 2018-08-31 2021-01-0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悬架高度调节装置和具有其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5226A (en) * 1931-05-11 1933-01-24 Chicago Hardware Foundry Compa Stool seat positioning means
JP4007759B2 (ja) * 2000-03-27 2007-11-14 サムホンサ カンパニ、リミテッド 復帰形回転椅子用の高さ調節体
JP4198540B2 (ja) * 2003-06-17 2008-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椅子用のシリンダ装置
JP2005102976A (ja) * 2003-09-30 2005-04-21 Hitachi Ltd 椅子の支柱
DE102004034220B3 (de) * 2004-07-14 2006-02-23 Stabilus Gmbh Objektträgersäule
JP5771481B2 (ja) * 2011-08-31 2015-09-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スプ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4790A1 (en) 2015-02-05
TW201515607A (zh) 2015-05-01
CN104343877A (zh) 2015-02-11
DE102014214837A1 (de) 2015-02-05
JP2015028360A (ja)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4873A (ko) 지지 장치 및 회동 위치 복귀 장치
JP5607932B2 (ja)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埋込型ヒンジ装置
JP4546983B2 (ja) 高さ調節可能な椅子の支柱
US7815257B2 (en) Adjustment device for adjustable chairs
JPS6028488B2 (ja) いすの高さ及び背もたれの傾斜を調節するためのガスばねユニット
US11209092B2 (en) Vacuum gate valve
KR200355151Y1 (ko) 가스실린더의 밸브핀 승강용 케이블형 개폐부재
KR102104462B1 (ko) 멀티 리미티드 틸트기능을 구비한 의자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의자
JPH09119466A (ja) 物体を担持する支柱
JP5771481B2 (ja) ガススプリング装置
JP5484877B2 (ja) ガススプリング装置
JP6748817B1 (ja) 支柱長さ調節機構
US20200196764A1 (en) Chair
JP7333747B2 (ja) 支柱構造及び昇降式什器
KR101723604B1 (ko) 의자 높이 조절 장치
JP5837803B2 (ja) 肘掛け装置
JP6054780B2 (ja) ドアクローザ
KR101344936B1 (ko) 가스 실린더
JP4217116B2 (ja) 座のスライド機構
KR102473449B1 (ko) 의자 높이 조절장치
JP7370846B2 (ja) ドアクローザ
JP449602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H11248089A (ja) 高さ調整機能付きフット
JPH11311397A (ja) 高さ調整機能付きフット
JPH08196374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