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218A -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 Google Patents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218A
KR20150010218A KR1020130084909A KR20130084909A KR20150010218A KR 20150010218 A KR20150010218 A KR 20150010218A KR 1020130084909 A KR1020130084909 A KR 1020130084909A KR 20130084909 A KR20130084909 A KR 20130084909A KR 20150010218 A KR20150010218 A KR 20150010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sensor
electrode
protection pad
particulate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0373B1 (ko
Inventor
이진하
임세라
전국진
이준용
민경덕
이승현
김영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373B1/ko
Priority to JP2013245460A priority patent/JP2015021961A/ja
Priority to DE102013114295.8A priority patent/DE102013114295B4/de
Priority to CN201310717066.8A priority patent/CN104297109B/zh
Priority to US14/145,169 priority patent/US9494508B2/en
Publication of KR2015001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5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using electric, e.g. electrostatic methods or magnet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46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gas,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2015/0681Purposely modifying particles, e.g. humidifying for grow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은 전하를 띤 입자상 물질이 근처를 지날 때 반응하는 정전유도방식의 센서부, 전도성 패이스트를 통해서 상기 센서부가 일측에 부착되는 보호패드, 상기 보호패드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부착된 입자상 물질을 태워서 제거하는 히터전극, 및 상기 보호패드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센서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PARTICULATE MATTERS SENSOR UNIT}
본 발명은 입자상 물질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센서부를 통해서 센서의 감도를 유지하고, 전체적인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매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입자상 물질 필터(PF: particulate filter)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입자상 물질 필터에 포집되는 매연의 양을 감지하기 위해서 차압센서가 적용된다.
여기서, 입자상 물질 필터는 디젤자동차, 가솔린자동차, 가스자동차, 등 모든 내연기관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앞으로, 배기가스규제에 따라서 기존의 차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젤입자상 물질 필터에 포집되는 입자상 물질의 감지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디젤입자상 물질 필터의 파손도 감지하기 쉽지 않다.
한편, 입자상 물질을 감지하는 센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고, 아울러 입자상 물질이 센서에 부착되었을 때 이를 제거함으로써 센서의 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으며, 센서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의 센서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생산과정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은 전하를 띤 입자상 물질이 근처를 지날 때 반응하는 정전유도방식의 센서부, 전도성 패이스트를 통해서 상기 센서부가 일측에 부착되는 보호패드, 상기 보호패드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부착된 입자상 물질을 태워서 제거하는 히터전극, 및 상기 보호패드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센서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부면에 센서돌출부가 형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센서바디, 상기 센서바디의 상하부면을 커버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서 상기 센서바디와 상기 센서전극을 연결하는 연결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전극은 상기 보호패드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전극은 상기 보호패드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는 상기 센서전극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보호패드의 상부면 일측에 도포되고,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 위에 부착되어 상기 보호패드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히터전극은 Pt, Mo, 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드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바디는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SiO2 또는 Si3O4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재질은 Si3O4, 뮬라이트, 또는 글라스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자상 센서 유닛은, 센서부가 부착되는 보호패드가 실리콘 웨이퍼로 구성되는 센서부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웨이퍼를 반도체생산 공정을 통해서 가공하고, 이를 보호패드에 전도성 패이스트를 통해서 용이하게 부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서 센서부의 뒤쪽을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 구비되는 센서부의 제작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 구비되는 히터전극의 제작방법을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 구비되는 센서부의 제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 구비되는 히터전극의 제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유닛(100)은 센서부(110), 히터전극(120), 보호패드(130), 및 센서전극(140)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전하를 띤 입자상 물질이 근처를 지날 때 반응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보호패드(130)는 세라믹 재질로 그 위에 상기 히터전극(120)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전극(120)은 상기 센서부(110)에 부착된 입자상 물질을 가열시켜서 제거한다. 상기 센서전극(140)은 상기 센서부(11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서 센서부의 뒤쪽을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세라믹 재질의 상기 보호패드(130)의 상부면의 한쪽에는 상기 히터전극(120)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패드(130)의 상부면의 중심부에 상기 센서전극(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10)의 뒷면에는 상기 센서전극(140)과 연결되는 연결전극(1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라믹 기판인 상기 보호패드(130) 위에 실리콘과 절열재로 만들어진 상기 센서부(110)를 부착함으로써 센서부(110)의 기능은 유지하고 강도 및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패드(130) 위에 상기 센서부(11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고 상기 센서부(110)의 재질인 실린콘과 상기 보호패드(130)의 재질인 세라믹 사이의 열팽창계수를 고려하여 전도성 패이스트(300)를 선정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섭씨 약 650도의 온도에 견디어야 하기 때문에, 전도성 패이스트(300)는 고온저항성을 갖는 합금재질을 사용해야 하고, 접착방법으로는 flip chip bonding, screen printing, 또는 electroplating 같은 본딩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유닛(100)의 상기 센서부(110)는 실리콘 재질로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부면에 센서돌출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센서바디(430) 및 상기 센서바디(43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되는 절연층(420)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패드(130) 상부면에 상기 센서전극(140)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패드(130) 하부면에 상기 히터전극(1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전극(120)은 상기 보호패드(130)의 상부면에 상기 센서전극(140)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드(130)의 상부면의 왼쪽면에 상기 센서부(110)가 부착되고, 상기 센서부(110)와 상기 보호패드(130) 사이에는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300)가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10)의 상기 센서바디(430)는 상기 연결전극(112) 및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300)를 통해서 상기 센서전극(140)과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 구비되는 센서부의 제작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에서 실리콘 웨이퍼(400)를 세착하고, (b)에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400) 위에 포토 리지스트(410)를 형성한 후, 에칭을 수행하여 웨이퍼 위에 돌출부를 형성한다.
(c)에서 상기 포토 리지스트(410)를 제거하고, (d)에서 웨이퍼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절연층(42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층(420)은 SiO2 또는 Si3O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 구비되는 히터전극의 제작방법을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e)에서 세라믹 재질인 상기 보호패드(130)가 세척되어 준비되고, (f)에서 상기 보호패드(130) 상부면에 상기 센서전극(140)을 형성하고, 하부면에 상기 히터전극(120)을 형성한다.
(g)에서 상기 보호패드(130)의 상부면의 일측에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300)를 도포하고, (h)에서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300) 위에 상기 센서부(110)를 부착한다.
상기 보호패드(130)는 세라믹 기판으로써 Si3N4, 뮬라이트, 또는 글래스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히터전극(120)은 Pt, Mo, 또는 W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전극(140)은 Pt, Mo, 또는 W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 구비되는 센서부의 제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00에서 실리콘 웨이퍼(400)를 세척하고, S610에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400)의 상부면에 포토 리지스트(410)를 패터닝하고, S620에서 상기 포토 리지스트(410)를 제거하고, S630에서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기 절연층(420)을 형성하여 상기 센서부(110)를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에 구비되는 히터전극의 제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700에서 세라믹 기판인 상기 보호패드(130)를 세척하고, S710에서 상기 보호패드(130)에 상기 히터전극(120)과 상기 센서전극(140)(컨택패드)을 형성하고, S720에서 상기 보호패드(130)의 상부면의 일측에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300)를 도포하고, S730에서 상기 센서부(110)를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300)를 통해서 상기 보호패드(130) 위에 부착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센서유닛 110: 센서부
112: 연결전극 120: 히터전극
130: 보호패드 140: 센서전극
300: 전도성 패이스트 400: 실리콘 웨이퍼
410: 포토 리지스트 420: 절연층
430: 센서바디

Claims (8)

  1. 전하를 띤 입자상 물질이 근처를 지날 때 반응하는 정전유도방식의 센서부;
    전도성 패이스트를 통해서 상기 센서부가 일측에 부착되는 보호패드;
    상기 보호패드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부착된 입자상 물질을 태워서 제거하는 히터전극; 및
    상기 보호패드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센서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부면에 센서돌출부가 형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센서바디;
    상기 센서바디의 상하부면을 커버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서 상기 센서바디와 상기 센서전극을 연결하는 연결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3. 제1항에서,
    상기 센서전극은 상기 보호패드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전극은 상기 보호패드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는 상기 센서전극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보호패드의 상부면 일측에 도포되고,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전도성 패이스트 위에 부착되어 상기 보호패드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4. 제1항에서,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히터전극은 Pt, Mo, 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5. 제1항에서,
    상기 보호패드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6. 제2항에서,
    상기 센서바디는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시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7. 제2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SiO2 또는 Si3O4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8. 제5항에서,
    상기 세라믹 재질은 Si3O4, 뮬라이트, 또는 글라스 세라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KR1020130084909A 2013-07-18 2013-07-18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KR10150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909A KR101500373B1 (ko) 2013-07-18 2013-07-18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JP2013245460A JP2015021961A (ja) 2013-07-18 2013-11-27 粒子状物質センサユニット
DE102013114295.8A DE102013114295B4 (de) 2013-07-18 2013-12-18 Partikelsensoreinheit
CN201310717066.8A CN104297109B (zh) 2013-07-18 2013-12-23 颗粒物质传感器单元
US14/145,169 US9494508B2 (en) 2013-07-18 2013-12-31 Particulate matter senso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909A KR101500373B1 (ko) 2013-07-18 2013-07-18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218A true KR20150010218A (ko) 2015-01-28
KR101500373B1 KR101500373B1 (ko) 2015-03-09

Family

ID=5213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909A KR101500373B1 (ko) 2013-07-18 2013-07-18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94508B2 (ko)
JP (1) JP2015021961A (ko)
KR (1) KR101500373B1 (ko)
CN (1) CN104297109B (ko)
DE (1) DE102013114295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424A1 (ko)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아모텍 입자상 물질 센서
US9823176B2 (en) 2015-06-19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Particulate matter sensor
KR20180065317A (ko) * 2016-12-07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입자상 물질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5993B2 (ja) * 2014-12-23 2018-11-21 株式会社Soken 粒子状物質検出素子
KR101991265B1 (ko) * 2016-03-31 2019-06-21 주식회사 아모텍 입자상 물질 센서
DE102015220395A1 (de) * 2015-10-20 2017-04-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ußpartikelsensor
KR101755469B1 (ko) * 2015-12-08 2017-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미세 물질 측정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2758U (ja) * 1983-03-15 1984-09-25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センサ−の実装構造
DE3820740A1 (de) 1988-06-18 1989-12-21 Bosch Gmbh Robert Koagulator fuer einrichtungen zum reinigen von abgasen fossiler brennstoffe
JPH04208846A (ja) * 1990-12-04 1992-07-30 Fujitsu Ltd マイクロ化学センサの装着方法
JP2003097988A (ja) * 2001-09-25 2003-04-03 Shimadzu Corp フローセンサ
DE102005016132A1 (de) 2005-04-08 2006-10-12 Daimlerchrysler Ag Brennkraftmaschine mit Partikelfilter und Verfahren zur Erfassung einer Partikelbelastung eines Brennkraftmaschinenabgases
DE102005030134A1 (de) * 2005-06-28 2007-01-04 Siemens Ag Sensor und Betriebsverfahren zur Detektion von Ruß
JP5081897B2 (ja) * 2007-03-15 2012-11-28 日本碍子株式会社 粒子状物質検出装置及び粒子状物質検出方法
DE102007046096A1 (de) 2007-09-26 2009-04-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igendiagnose eines Partikelsensors,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geeignete Partikelsensoren sowie deren Verwendung
JP2009216543A (ja) * 2008-03-11 2009-09-24 Citizen Holdings Co Ltd 接触燃焼式ガスセンサ
US8225640B2 (en) * 2008-12-11 2012-07-24 Delphi Technologies, Inc. Soot sensor and method for sensing soot
JP2010210533A (ja) * 2009-03-12 2010-09-24 Ngk Insulators Ltd 粒子状物質検出装置
JP5438538B2 (ja) * 2010-02-08 2014-03-12 日本碍子株式会社 異常判定機能付き装置、及び異常判定方法
KR101305198B1 (ko) * 2011-12-09 2013-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KR101321498B1 (ko) 2012-01-18 2013-10-28 (주)엔아이씨이 외부보강재만으로 강성 확보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3176B2 (en) 2015-06-19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Particulate matter sensor
WO2017171424A1 (ko)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아모텍 입자상 물질 센서
US10753844B2 (en) 2016-03-31 2020-08-25 Amotech Co., Ltd. Particulate matter sensor
KR20180065317A (ko) * 2016-12-07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입자상 물질 센서
US10228306B2 (en) 2016-12-07 2019-03-12 Hyundai Motor Company Sensor for measuring particulate matter with a bias vol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94508B2 (en) 2016-11-15
US20150020576A1 (en) 2015-01-22
CN104297109A (zh) 2015-01-21
JP2015021961A (ja) 2015-02-02
DE102013114295A1 (de) 2015-01-22
CN104297109B (zh) 2018-10-12
DE102013114295B4 (de) 2021-12-30
KR101500373B1 (ko)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373B1 (ko)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JP5223905B2 (ja) 粒子状物質検出素子
US10705002B2 (en) Sensor for detecting electrically conductive and/or polarizable particles and method for adjusting such a sensor
KR101305198B1 (ko)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CN104296899B (zh) 高灵敏度硅压阻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US20080265870A1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CN104685340B (zh) 用于探测微粒的传感器
CN103782162A (zh) 颗粒物传感器及颗粒物传感器的制造方法
JP5553030B2 (ja) セラミックヒータと、それを備えたガスセンサ素子、ガスセンサ、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724499B1 (ko) 입자상 물질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N204128719U (zh) 高灵敏度硅压阻压力传感器
CN104316575A (zh) 全硅mems甲烷传感器及瓦斯检测应用和制备方法
KR20180046884A (ko) 유체 매체 내의 입자들을 결정하기 위한 센서 소자
US10466197B2 (en) Component part having a MECS component on a mounting carrier
US20110073969A1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451395B2 (ja) センサ素子
WO2016066090A1 (zh) 一种基于倒装焊封装的甲烷传感器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14118968A (ja) 粒子状物質センサーユニット
KR20150071771A (ko) 입자상 물질을 센싱하는 센서유닛
JP5803435B2 (ja) 赤外線温度センサ
CN110514564A (zh) 一种车用颗粒物传感器陶瓷芯片及其制造方法
KR100679894B1 (ko) 가스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CN204154678U (zh) 全硅mems甲烷传感器
JP4254476B2 (ja) 半導体センサ
JPH11311580A (ja) 高温用半導体圧力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