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001A - 차량용 히터 코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히터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001A
KR20150003001A KR1020130075469A KR20130075469A KR20150003001A KR 20150003001 A KR20150003001 A KR 20150003001A KR 1020130075469 A KR1020130075469 A KR 1020130075469A KR 20130075469 A KR20130075469 A KR 20130075469A KR 20150003001 A KR20150003001 A KR 2015000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pipe
connection
tanks
hea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692B1 (ko
Inventor
이홍열
김종철
김화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3007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6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48Arrangements for sealing connectors to header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6Arrangements for coupling connectors with flow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공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히터 코어로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탱크(16a,16b);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에 결합되는 제1 헤더플레이트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12);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와 제1 및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캡(100); 상기 연결캡(100)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인 파이프 및 아웃 파이프(18a, 18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캡(100)은 제1 및 제2 탱크(16a,16b), 제1 헤더플레이트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 상단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의 탱크 연결부(114)와 상기 인, 아웃 파이프(18a, 18b)와 대응하는 원형 형태의 파이프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차량용 히터 코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히터코어 인, 아웃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하게 하는 연결캡이 탱크와 헤더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성이 향상되고, 파이프 용접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히터 코어{Heater co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히터 코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 아웃파이프와 탱크, 헤더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히터코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자동차의 유리창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ㅇ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송풍부에 의해 자동차 실내로 유입된 차량 외부의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에 통과시켜 자동차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벤트(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히터코어의 구성 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조립된 히터코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원웨이 타입(One-way type) 히터코어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히터코어(1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탱크(16a) 및 제2탱크(16b)와, 양단이 제1탱크(16a) 및 제2탱크(16b)에 각각 연결되고 냉각수가 흐르는 복수개의 튜브(12), 최상부와 최하부의 튜브(12)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1), 튜브(12)와 제1탱크(16a) 및 제2탱크(16b)의 연결부위에 개재되고 사이드 플레이트(11)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 제1탱크(16a) 및 제2탱크(16b)와 제1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 상단에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입되는 인 파이프(18a) 및 유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아웃 파이프(18b)와, 인 파이프(18a) 및 아웃 파이프(18b)와 제1탱크(16a) 및 제2탱크(16b), 제1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를 연결시켜주는 연결캡(20)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인 파이프와 연결캡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 파이프(18a)는 제1탱크(16a)와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1 헤더 플레이트(14a)가 연결되는 제1 탱크(16a)의 상단부에 연결캡(20)이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탱크(16a)와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제2 탱크(16b)와 제2 헤더 플레이트(14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인 파이프(18a)는 단면 형태가 장공 형태이고, 인 파이프(18a)가 삽입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연결캡(20)은 중앙으로 인 파이프(18a)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장공 형태의 삽입홀(22)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 파이프(18a)는 삽입홀(2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캡(20)이 적용되는 히터 코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연결캡에 인, 아웃 파이프 용접 시 캡과 최외곽 방열 핀, 튜브, 탱크, 헤더와 캡 용착부가 인접하게 되어 용접 시 열 용량 증가에 따른 예열 및 용접시간 증가에 따른 용착 부 녹음 및 방열 핀 녹음이 발생하여 누설 불량 및 외관 불량이 발생하고 생산성도 떨어지게 된다.
둘째, 연결캡 조립시 브레이징 로에서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억지끼움을 하고 있다. 이때 연결캡의 끼움 작업 시 헤더 플레이트의 중앙부가 위쪽으로 변형되어 연결캡 하단 삽입부와 갭이 발생하여 브레이징 로 용착 시 누설이 발생한다.
셋째,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 삽입 시 헤더플레이트(14a)에 변형이 생기고 이로 인한 갭으로 브레이징 시 누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네째, 인 파이프(18a) 및 아웃 파이프(18b)는 단면 형태가 장공 형태이고, 이에 따라 연결캡 중앙부도 장공 홀 형태이므로 파이프 끝단 장공 형태 가공 시 포밍 공정과 연결캡 장공 홀 가공시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파이프와 연결캡의 연결 시 삽입성과 용접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08-39073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히터 코어의 인, 아웃 파이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연결캡의 구조를 변경하여 기존 파이프 끝단 포밍부와 이에 대응하는 연결캡의 장공 홀을 일체화 하여, 파이프 끝단이 원형 형태로 연결캡과 고정되는 히터코어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캡의 고정 시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탱크에부 돌기가 돌출되고, 연결캡에 헤더 플레이트 조립 시 조립성과 용창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헤더 플레이트 끝단이 챔퍼 형상이 있는 차량용 히터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공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히터 코어로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탱크(16a,16b);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에 결합되는 제1 헤더플레이트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와 제1 및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캡(100); 상기 연결캡(100)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인 파이프 및 아웃 파이프(18a, 18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캡(100)은 제1 및 제2 탱크(16a,16b), 제1 헤더플레이트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 상단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의 헤더 파이프 연결부(110)와 상기 인, 아웃 파이프(18a, 18b)와 대응하는 원형 형태의 파이프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차량용 히터 코어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공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히터 코어로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탱크(16a,16b);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에 결합되는 제1 헤더플레이트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 상기 제1 및 제2 탱크의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캡(100); 상기 연결캡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인 파이프 및 아웃 파이프(18a, 18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캡(100)은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의 상부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 상부에 연결되고 내주면으로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16)가 돌출되는 헤더 파이프 연결부(110)와, 상기 헤더 파이프 연결부(110)의 상단에 상기 헤더 파이프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캡(100) 상단부 내측으로는 인 파이프 또는 아웃 파이프(18a, 18b)가 삽입되는 파이프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차량용 히터 코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캡(100)의 상단 파이프 연결부의 내주면 상에는 내부에 상기 파이프의 삽입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 끝단면은 절개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3)의 깊이는 연결캡(100)의 탱크 연결부 또는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연결캡(100)의 내주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기(116)와,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의 상부 양측에 상기 돌기(116)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홈(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캡(100)의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의 반대측 내주면에 단일개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16a)와, 상기 고정돌기(116)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116a)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에 성형되는 고정홈(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캡(100)의 내주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116b)와,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에 결합되는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의 양단부(12) 각각에 상기 돌기(116b)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홈(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캡(100)의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의 내주면상에 단일개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16c)와, 상기 고정돌기(116c)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116c)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에 성형되는 고정홈(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7(116, 116a, 116b, 116c)는 제1 탱크(16a) 및 제2 탱크(16b)와 제1 헤더 플레이트(14a)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6) 상에 돌출되고, 상기 고정홈(118)은 연결캡(100)의 내주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는 상기 헤더 플레이트(14a)에 삽입되는 부부분의 하단부에 부분적으로 절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에 삽입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1)는 끝단에 삽입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a) 상에는 챔퍼(chamfer)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캡(100)은 프레스 공법에 의해 제작되고 두께 감소율이 30%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히터코어 인,아웃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하게 하는 연결캡이 탱크와 헤더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성이 향상되고, 파이프 용접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히터코어의 구성 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조립된 히터코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인 파이프와 연결캡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코어에서 사용하는 연결캡과 그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캡의 일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파이프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캡과 제1 탱크 상의 고정홈과 고정돌기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캡과 제1 탱크 상의 고정홈과 고정돌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캡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코어에서 사용하는 연결캡과 그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코어에서 사용하는 연결캡과 그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우선,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연결캡이 적용되는 히터 코어는 제1 및 제2 탱크, 제1 및 제2 헤더플레이트, 튜브, 연결캡, 인 파이프 및 아웃 파이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연결캡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연결캡은(100)은 탱크 연결부(114),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로 구성된 헤더 파이프 연결부(110)와 파이프 연결부(120)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탱크(16a)와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하겠지만, 이는 제2 탱크(16b)와 제2 헤더 플레이트(14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탱크 연결부(114)는 제1 탱크(16a)의 상단부(17a)에 씌워진다. 이를 위해, 탱크 연결부(114)는 제1 탱크(16a)의 상단부(17a)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탱크 연결부(114)가 제1 탱크(16a)에 연결될 때,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상단부는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의 내측으로 함께 삽입된다.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가 배치된다.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는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상단부(15a)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는 탱크 연결부(114)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사이드 플레이트(1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1 헤더 플레이트(14a)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단부에는 부분적으로 절개부(1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헤더 플레이트(14a)는 전체적으로 제1 탱크(16a)의 크기에 대응하는 평면 형태로서, 양 단부(12)는 절곡되어, 제1 탱크(16a)의 일부를 감싸도록 한다. 제1 헤더 플레이트(14a)에는 튜브가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삽입홀이 형성되어, 헤더 플레이트를 통해 제1 탱크(16a)와 연결되는 튜브의 고정 상태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제1 헤더 플레이트(14a)는 사이드 플레이트(11)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1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되어 사이드 플레이트(11)의 연결 상태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플레이트(11)의 삽입부(11a)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챔퍼(chamfer)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양단부(12)가 절곡된 모서리의 상단부(15a)에는 소정 크기의 절개홈(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절개홈(13)은 연결캡(100)이 조립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절개홈(13)의 깊이는 연결캡(100)의 탱크 연결부(114)와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캡(100)이 억지끼움으로 인하여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튜브 삽입홀측의 변형으로 인하여 갭(gap)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개홈(13)을 연결캡(100)의 억지끼움이 발생하더라도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중앙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탱크 연결부(114)의 상부로는 파이프 연결부(120)가 배치된다.
파이프 연결부(120)는 탱크 연결부(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내측으로는 인 파이프(18a) 또는 아웃 파이프(18b)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파이프 연결부(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부(12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파이프 연결부(120)는 단부가 원형인 인 파이프(18a) 또는 아웃 파이프(18b)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된다.
파이프 연결부(120)의 내측으로는 삽입 대상인 인 파이프(18a) 또는 아웃 파이프(18b)의 삽입 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턱(122)이 돌출 형성됨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파이프 연결부(120)는 입구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태이고, 직경이 감소되는 부분이 걸림턱(122)으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파이프 연결부(120)는 그 직경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고, 내부에 걸림턱(122)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22)의 형태는 돌기 형태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122)의 돌출 정도는 파이프의 삽입 정도를 제한할 수 있고, 파이프를 통한 냉각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120)의 내측으로 파이프가 삽입된 후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캡과 제1 탱크 상의 고정홈과 고정돌기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캡(100)과 제1 탱크(16a) 상에는 고정홈(118)과 고정돌기(116a)가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고정홈(118)과 고정돌기(116a)는 연결캡(100)의 연결 상태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캡(100)은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되고, 소재 두께 감소율이 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홈(118)은 고정돌기(116a)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홈(118)은 제1 탱크(16a) 및 제2 탱크(16b)의 표면에 소정의 직경과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직경과 깊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고정홈(118)으로는 고정돌기(116a)가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 의하면, 고정홈(118)과 고정돌기(116a)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서로 결합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형 이외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6a)는 연결캡(100)의 내주면 상에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116a)는 고정홈(118)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118)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돌기(116a)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고정돌기(116a)는 단일개 또는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위치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고정돌기(116a)가 복수개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는, 고정돌기(116a)가 2개로 돌출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돌기(116a)는 연결캡(100)의 내주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홈(118)은 고정돌기(116a)에 대응하는 위치 즉, 제1 탱크(16a)의 상단부 외주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6a)가 2개 돌출되는 경우, 고정홈(118)은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캡과 제1 탱크 상의 고정홈과 고정돌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탱크(16a)에 연결되는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절곡된 양 단부(12) 각각에 고정홈(118)이 형성되어, 고정돌기(116b)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기(116b)가 단일개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도 4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캡(100)의 내주면 중,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반대되는 위치에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홈(118)은 고정돌기(116b)에 대응하는 위치 즉, 제1 헤더 플레이트(14a)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116b)는 다른 위치에 단일개로 돌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캡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돌기(116c)는 연결캡(100)의 내주면 중,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의 내주면에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홈(118)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돌기(116c)에 대응하는 위치 즉, 제1 헤더 플레이트(14a)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코어에서 사용하는 연결캡과 그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고정돌기(116a, 116b, 116c)와 고정홈(118)의 형성 위치는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즉, 고정돌기(116a, 116b, 116c)는 제1 탱크(16a) 및 제2 탱크(16b) 와 제1 헤더 플레이트(14a)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b) 상에 돌출되고, 고정홈(118)은 헤더 플레이트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로 배치되는 핀 중, 최상부와 최하부의 핀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1)는 양단부에 삽입부(11a)가 돌출 형성되어, 헤더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연결용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1a)는 챔퍼(chamfer)가 형성되어 있어, 사이드 플레이트와의 연결 시,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헤더 플레이트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히터 코어의 제작 시, 제1 탱크(16a)와 제2 탱크(16b), 제1 헤더 플레이트(14a)와 제2 헤더플레이트(14b) 상단부에는 연결캡(100)이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연결캡(100)의 파이프 연결부에는 인 파이프(18a)와 아웃 파이프(18b)가 각각 삽입된다.
인 파이프(18a)와 아웃 파이프(18b)의 삽입 후, 부위에 대하여 용접 작업을 진행하면, 인 파이프(18a)와 아웃 파이프(18b)는 파이프 연결부에 대하여 고정이 완료된다. 이때, 인 파이프(18a)와 아웃 파이프(18b)는 파이프 연결부의 내측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이고, 캡과 파이프 삽입부 형상이 원형이므로,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 용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터 코어의 인, 아웃 파이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연결캡의 고정 시,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 돌기가 돌출되어 연결캡의 탱크, 헤더 플레이트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히터코어의 인, 아웃 파이프가 연결캡의 파이프 연결부로 삽입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되므로, 인, 아웃 파이프의 고정 시 갭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코어의 인, 아웃 파이프가 연결캡의 파이프 연결부로 삽입 시 조립성이 용이하며 파이프 용접성이 향상되고, 성능면에서 파이프 용접구조가 개선되어 냉각수 저항이 감소하며 이는 차량 난방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연결캡
110: 헤더 파이프 연결부
112: 헤더 파이프 연결부
113: 절개부
114: 탱크 연결부
116, 116a, 116b, 116c: 고정돌기
118: 고정홈
120: 파이프 연결부
200: 히터 코어
11: 사이드 플레이트
12: 제1 헤더플레이트 절곡된 양단부
13: 절개홈
14a: 제1 헤더플레이트
14b: 제2 헤더플레이트
15a: 제1 헤더플레이트 상단부
15b: 제2 헤더플레이트 상단부
16a: 제1 탱크
16b: 제2 탱크

Claims (12)

  1. 차량용 공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히터 코어로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탱크(16a,16b);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에 결합되는 제1 헤더플레이트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와 제1 및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캡(100);
    상기 연결캡(100)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인 파이프 및 아웃 파이프(18a, 18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캡(100)은 제1 및 제2 탱크(16a,16b), 제1 헤더플레이트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 상단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의 헤더 파이프 연결부(110)와 상기 인, 아웃 파이프(18a, 18b)와 대응하는 파이프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차량용 히터 코어.
  2. 차량용 공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히터 코어로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탱크(16a,16b);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에 결합되는 제1 헤더플레이트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
    상기 제1 및 제2 탱크와 제1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a, 14b)의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캡(100);
    상기 연결캡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인 파이프 및 아웃 파이프(18a, 18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캡(100)은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의 상부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 상부에 연결되고 내주면으로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16)가 돌출되는 헤더 파이프 연결부(110)와, 상기 헤더 파이프 연결부(110)의 상단에 상기 헤더 파이프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캡(100) 상단부 내측으로는 인 파이프 또는 아웃 파이프(18a, 18b)가 삽입되는 파이프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차량용 히터 코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100)의 상단 파이프 연결부의 내주면 상에는 내부에 상기 파이프의 삽입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차량용 히터 코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 끝단면은 절개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3)의 깊이는 연결캡(100)의 탱크 연결부 또는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의 높이보다 낮은 차량용 히터 코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100)의 내주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기(116)와,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의 상부 양측에 상기 돌기(116)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홈(118)을 포함하는 차량용 히터 코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100)의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의 반대측 내주면에 단일개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16a)와,
    상기 고정돌기(116)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116a)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에 성형되는 고정홈(118)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히터 코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100)의 내주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116b)와,
    상기 제1 및 제2 탱크(16a,16b)에 결합되는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의 양단부(12) 각각에 상기 돌기(116b)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홈(118)을 포함하는 차량용 히터 코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100)의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의 내주면상에 단일개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16c)와,
    상기 고정돌기(116c)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116c)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에 성형되는 고정홈(118)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히터 코어.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16, 116a, 116b, 116c)는 제1 탱크(16a) 및 제2 탱크(16b)와 제1 헤더 플레이트(14a) 및 제2 헤더 플레이트(146) 상에 돌출되고,
    상기 고정홈(118)은 연결캡(100)의 내주면 측에 형성되는 차량용 히터 코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플레이트 연결부(112)는 상기 헤더 플레이트(14a)에 삽입되는 부부분의 하단부에 부분적으로 절개부(113)가 형성되는 차량용 히터 코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플레이트와 제2 헤더플레이트(14a, 14b)에 삽입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1)는 끝단에 삽입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a) 상에는 챔퍼(chamfer)가 형성되는 차량용 히터 코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100)은 프레스 공법에 의해 제작되고 두께 감소율이 30%이하인 차량용 히터 코어.
KR1020130075469A 2013-06-28 2013-06-28 차량용 히터 코어 KR10207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469A KR102074692B1 (ko) 2013-06-28 2013-06-28 차량용 히터 코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469A KR102074692B1 (ko) 2013-06-28 2013-06-28 차량용 히터 코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01A true KR20150003001A (ko) 2015-01-08
KR102074692B1 KR102074692B1 (ko) 2020-03-03

Family

ID=5247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469A KR102074692B1 (ko) 2013-06-28 2013-06-28 차량용 히터 코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6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157A (ko) 2017-09-12 2019-03-20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터 코어
KR20200098912A (ko) 2019-02-13 2020-08-21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095A (ja) * 1999-11-22 2001-08-10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8145021A (ja) * 2006-12-07 2008-06-26 Denso Corp 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095A (ja) * 1999-11-22 2001-08-10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8145021A (ja) * 2006-12-07 2008-06-26 Denso Corp 熱交換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157A (ko) 2017-09-12 2019-03-20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터 코어
KR20200098912A (ko) 2019-02-13 2020-08-21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692B1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2215A1 (en) Condenser
US20160138872A1 (en) Manifold and heat exchanger having same
KR101184208B1 (ko) 열교환기
JP2009257739A (ja) 熱交換器用プレート
KR20150003001A (ko) 차량용 히터 코어
JP2009103404A (ja) 熱交換器
KR101564338B1 (ko) 열교환기
JP2003106788A (ja) 熱交換器
JP5002796B2 (ja) 熱交換器
JP2008281325A (ja) 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
JP2008249241A (ja) 熱交換器
JP4423096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20080103290A (ko) 3피스 타입 헤더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의 제작방법과 그를이용한 열교환기
KR20100128505A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JP2016080236A (ja) 熱交換器
JPH0886588A (ja) 一体型熱交換器
KR102274840B1 (ko) 열교환기
JP2010255918A (ja) 空気熱交換器
JP2005249341A (ja) 熱交換器
KR20110031825A (ko) 라디에이터
JP2011158130A (ja) 熱交換器
KR100590656B1 (ko) 열교환기
KR20080103293A (ko) 3피스 타입 헤더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의 제작방법과 그를이용한 열교환기
JP2015034678A (ja) 熱交換器
KR20080103292A (ko) 3피스 타입 헤더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의 제작방법과 그를이용한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