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400U -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400U
KR20150000400U KR2020130005938U KR20130005938U KR20150000400U KR 20150000400 U KR20150000400 U KR 20150000400U KR 2020130005938 U KR2020130005938 U KR 2020130005938U KR 20130005938 U KR20130005938 U KR 20130005938U KR 20150000400 U KR20150000400 U KR 201500004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roller
band
belt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2020130005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400U/ko
Publication of KR20150000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Abstract

일측에 금속재질의 소형부품을 공급하는 호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호퍼 의 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소형부품을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공급 위치와 배출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이송벨트의 직선이송구간에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이송벨트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자석으로 구성된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두께가 얇은 밴드형자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상의 직선이송구간에 설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배출위치롤러를 지나 상기 소형부품의 낙하지점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져 상기 롤러와 상기 이송벨트 사이에서 개재되어 슬립회전되도록 상기 롤러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밴드형자석의 곡면부 폭과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인입 형성된 슬립안내홈에 상기 곡면부가 안착되어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가회전될 때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 사이에서 미끄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Parts Magnetic conveyor device for small parts supply}
본 고안은 이송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금속재질의 자성체로 이루어진 소형부품을 이송벨트 내측에 구비된 자석의 자력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배출 단계에서 정체 현상 발생을 방지하며, 스크레이퍼 없이도 이송벨트로부터 소형부품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는 금속재질의 자성체로 이루어진 소형 부품 또는 가공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부품 또는 가공부품을 다른 공정으로 이송 공급되도록 사용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1)는 도 1a 내지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부품(P)이 담기는 호퍼(20)의 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소형부품(P)을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 이송벨트(11) 및 상기 이송벨트(11)를 안내하는 공급위치와 배출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12)와, 상기 이송벨트(11)의 직선이송구간(a)에 구비된 베이스(30)와 상기 이송벨트(11)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자석(13)으로 구성된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1)가 있었다.
이처럼 종래의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1)는 자석(13)으로 이루어진 이송벨트(11) 또는 상기 베이스(30)의 평면에 다수개의 자석(13)을 배치시키고 자석(13)으로 형성되거나 링자석(13a)을 결합시켜 형성된 배출위치롤러(12b)를 이용하여 자력을 발생시켜 이송되도록 구성이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예컨대, 상기 소형부품(P)은 상기 이송벨트(11) 또는 배출위치롤러(12a)의 자력에 의해 이송벨트(11)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송되므로 배출부(2)에서 낙하 되지 못하고 다시 공급부(3)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1)에는 별도의 스크레이퍼(4)가 배출부 하측에 구비되어야 했으며, 이러한 스크레이퍼(4)가 상기 이송벨트(11)로부터 소형부품(P)을 이송벨트(11)에서 강제로 분리시켜 낙하시키게 함으로써, 상기 스크레이퍼(4)와 분리되는 과정에서 소형부품(P)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외형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4)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인접한 자석(13)에 의해 상기 스크레이퍼(4)도 자화됨으로써 상기 소형부품(P)이 상기 스크레이퍼(4) 표면에 부착되어 겹쳐지게 됨으로써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소형부품(P)이 파손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배출위치롤러(12a)와 상기 베이스(30)의 평면에 설치된 자석(13) 사이에는 자석(13)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이격부(4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이격부(40)에는 자력이 없는 구간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대부분의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1)에는 소형부품(P) 전체 이송구간 중에 상기한 이격부(40)와 같은 무자력 구간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기 이격부(40)간격보다 작은 소형부품(P)일 경우 이송되는 과정에서 정체현상이 발생되어 소형부품(P)간의 충돌이 발생되거나, 일정간격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이송되는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었다.
실용신안실 1989-000731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벨트의 직선이송구간에 구비된 베이스의 평면에 설치되는 밴드형자석을 호퍼의 출구의 근접되는 시점부터 배출위치 롤러의 낙하지점까지 연장 형성시켜 일부 감싸도록 배출위치롤러 둘레에 자석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만큼 슬립안내홈을 인입 형성시키되, 연장형성된 밴드형자석의 단부가 홈의 외주면이 맞닿도록 함으로써 이송벨트와 롤러의 회전시 서로 미끄럼 접촉에 의한 슬립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호퍼로부터 공급된 금속재질의 소형부품이 베이스의 평면부에 설치된 밴드형자석의 자력에 의해 이송벨트 평면상에서 부착된 상태로 이송되다가 배출위치롤러의 자석이 없는 구간을 진입할 때 소형 부품의 자중에 의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소형부품을 이송벨트와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크레이퍼가 필요없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이송벨트의 직선이송구간과 배출위치롤러 사이에 자력이 없는 이격부가 생기지 않아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소형부품이 일정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이루어진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일측에 금속재질의 소형부품을 공급하는 호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호퍼 의 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소형부품을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공급위치와 배출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이송벨트의 직선이송구간에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이송벨트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자석으로 구성된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두께가 얇은 밴드형자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상의 직선이송구간에 설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배출위치롤러를 지나 상기 소형부품의 낙하지점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져 상기 롤러와 상기 이송벨트 사이에서 개재되어 슬립회전되도록 상기 롤러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밴드형자석의 곡면부 폭과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인입 형성된 슬립안내홈에 상기 곡면부가 안착되어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가 회전될 때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 사이에서 미끄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형자석 평면부와 곡면부의 상면과 상기 이송벨트의 내주면 사이에 미세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밴드형자석이 상기 베이스 및 슬립안내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형자석은 평면자석과 곡면자석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자석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곡면자석은 상기 평면자석 일측면과 자력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슬립안내홈에 안착되되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가 회전될 때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 사이에서 미끄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형자석은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부와 곡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밴드형자석의 평면부는 직선이송구간의 상기 베이스 상에 접착 방식으로 부착 고정되거나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상기 베이스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에 의하면, 이송벨트의 직선이송구간에 구비된 베이스의 평면에 설치되는 밴드형자석을 호퍼의 출구의 근접되는 시점부터 배출위치롤러의 낙하지점까지 연장형성시킴에 따라, 호퍼로부터 공급된 금속재질의 소형부품이 베이스의 평면부에 설치된 밴드형자석의 자력에 의해 이송벨트 평면상에서 부착한 상태로 이송되다가 배출위치롤러의 자석이 없는 무자력구간에 진입됨과 동시에 소형 부품의 자중에 의해 낙하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스크레이퍼 없이 다음 공정으로 소형부품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소형부품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송되어 소형부품간의 충돌 및 파손을 방지하며 이송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컨베이어장치의 개략도.
도 2a 내지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되는 각도를 나타내는 요부발췌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밴드형자석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밴드형자석과 베이스의 결합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도 2a 내지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되는 각도를 나타내는 요부발췌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밴드형자석의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밴드형자석과 베이스의 결합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100)는, 금속재질의 소형부품(P)을 공급하는 호퍼(200)와, 상기 소형부품(P)을 이송시키는 이송벨트(110)와, 상기 이송벨트(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롤러(120)와, 이송벨트 내측에 위치되는 밴드형자석(1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호퍼(200)에는 상기 소형부품(P)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급되도록 투입량조절장치(201)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호퍼(200)에서 공급되는 상기 소형부품(P)은 상기 투입량조절장치(201)의 공급 간격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110)에 안착되어 이송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이송벨트(110)의 직선이송구간(a) 내측에는 베이스(300)가 구비되어 상기 밴드형자석(130)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110)는 평벨트로 구성되어 탄력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밴드형자석(130)의 자력이 소형부품에 잘 전달되도록 얇은 두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벨트(110)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벨트(110)의 공급위치와 배출위치에는 한 쌍의 롤러(120)가 구비되는데, 도 2a내지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롤러(120) 중 공급위치롤러(120a) 또는 배출위치롤러(120b)에 구동벨트(202)를 통한 구동부(203)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밴드형자석(130)은 두께가 두꺼울수록 자력이 강하게 발생되어 상기 소형부품(P)을 직선이송구간(a)에 이송시킬 때는 자력이 강한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자성체로 이루어진 소형부품(P)은 직선이송구간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강한 자력에 의해 자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송벨트(110)에 강하게 부착되어 이송되다가 배출위치롤러(120b) 쪽에서 서로 엉겨 붙어 종래와 같이 정체현상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면서도 소형부품(P)을 이송하는데 지장이 없는 정도의 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저렴한 단가로 밴드형자석(130)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밴드형자석(130)은 평면부(131)와 곡면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평면부(131)는 상기 베이스(300) 상의 직선이송구간(a)에 설치되며, 상기 곡면부(132)는 상기 평면부(131)로부터 상기 배출위치롤러(120b)를 지나 상기 소형부품(P)의 낙하지점(b)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3a 내지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100)의 설치각도에 따라 낙하지점(b)이 바뀌게 되는데, 마찬가지로 상기 밴드형자석(130) 또한 상기 배출위치롤러(120b)의 배출방향 최측단지점(c)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위치롤러(120b)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예를들어 알루미늄과 같이 비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위치롤러(120b)의 둘레에는 상기 밴드형자석(130)의 폭과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슬립안내홈(121)이 인입형성되고, 연장된 밴드형자석(130)의 곡면부(132)가 상기 슬립안내홈(121)에 안착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120)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110)가 회전될 때 상기 곡면부(132)의 내측면과 상기 슬립안내홈(121)이 미끄럼 접촉되면서 슬립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밴드형자석(130)의 평면부(131)와 곡면부(132) 상면이 상기 이송벨트(110)의 내주면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송벨트(1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도 자력을 상기 이송벨트(110)의 외주면으로 잘 전달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밴드형자석(130)은 평면자석(140)과 곡면자석(150)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자석(140)과 상기 곡면자석(150)은 접착제(170) 또는 나사(190)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이루도록 하여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자석(140)은 상기 베이스(300) 상의 직선이송구간(a)에 고정되고, 상기 곡면자석(150)은 상기 슬립안내홈(121)에 안착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120)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110)가 회전될 때 상기 곡면부(132)의 내측면과 상기 슬립안내홈(121)이 미끄럼 접촉되면서 슬립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평면자석(140)과 상기 곡면자석(1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밴드형자석(130)의 단부(133)를 곡률로 형성시킬 때 생기는 제조비용 및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상기 평면자석(140)과 상기 곡면자석(150)의 각기 다른 자력을 조절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소형부품(P)의 크기에 따라 자력을 증감시켜 이송 및 낙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밴드형자석(130)은 고무자석(1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자석(160)은 연질로 형성됨에 따라 그 단부(163)를 쉽게 곡률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고무자석(160)의 특성상 강한 자력을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배출위치롤러(120b) 및 상기 슬립안내홈(121)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이송벨트(110)의 회전력 감소를 예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밴드형자석(130)은 직선이송구간(a)에서만 상기 베이스(300)와 접착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밴드형자석(110)의 하부면에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170)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300)에 접착하거나, 상기 밴드형자석(130)의 평면부(131) 및 상기 베이스(300)의 평면상에 체결공(180)을 형성하여 나사(190)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방법은 상기 베이스(300)의 재질이 자성을 갖지 않는 비금속재질(특히, 합성수지재와 같은 플라스틱재질의 경우)의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위치롤러(120b)에 상기 밴드형자석(130)의 곡면부(132)가 감싸지고 그 상측으로 이송벨트(110)가 덧대어지면서 미끄럼 접촉에 의한 슬립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밴드형자석(130)의 직선이송구간(a)과 상기 베이스(300)의 결합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베이스(300)가 자성을 가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밴드형자석(13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300)의 상면에 달라붙어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접착제(170) 및 나사(180)체결에 의한 번거로움을 없애고, 간편한 결합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110; 이송벨트 120; 한 쌍의 롤러
120a; 공급위치롤러 120b; 배출위치롤러
130; 밴드형자석 131; 평면부
132; 곡면부 140; 평면자석
150; 곡면자석 160; 고무자석
170; 접착제 180; 체결공
190; 나사 200; 호퍼
201; 투입량조절장치 202; 구동벨트
203; 구동부 300; 베이스
a; 직선이송구간 b; 낙하지점
c; 최측단지점 P; 소형부품

Claims (6)

  1. 일측에 금속재질의 소형부품을 공급하는 호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호퍼 의 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소형부품을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공급위치와 배출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이송벨트의 직선이송구간에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이송벨트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자석으로 구성된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두께가 얇은 밴드형자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상의 직선이송구간에 설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배출위치롤러를 지나 상기 소형부품의 낙하지점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져 상기 롤러와 상기 이송벨트 사이에서 개재되어 슬립회전되도록 상기 롤러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밴드형자석의 곡면부 폭과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인입 형성된 슬립안내홈에 상기 곡면부가 안착되어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가회전될 때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 사이에서 미끄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자석 평면부와 곡면부의 상면과 상기 이송벨트의 내주면 사이에 미세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밴드형자석이 상기 베이스 및 슬립안내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자석은 평면자석과 곡면자석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자석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곡면자석은 상기 평면자석 일측면과 자력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슬립안내홈에 안착되되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가 회전될 때 상기 롤러 및 이송벨트 사이에서 미끄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자석은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부와 곡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자석의 평면부는 직선이송구간의 상기 베이스 상에 접착 방식으로 부착 고정되거나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KR2020130005938U 2013-07-17 2013-07-17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KR201500004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38U KR20150000400U (ko) 2013-07-17 2013-07-17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38U KR20150000400U (ko) 2013-07-17 2013-07-17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00U true KR20150000400U (ko) 2015-01-27

Family

ID=5248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938U KR20150000400U (ko) 2013-07-17 2013-07-17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400U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5044A (zh) * 2017-07-24 2017-10-20 合肥星袖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型防滑耐磨传输带装置
KR101945777B1 (ko) * 2018-03-06 2019-05-02 주식회사 국민기계 철 분진 포집장치
KR20200017633A (ko) 2018-08-09 2020-02-19 이기용 옷걸이
CN111790624A (zh) * 2020-03-06 2020-10-20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分拣输送装置以及分拣输送系统
CN112404546A (zh) * 2020-10-28 2021-02-26 青岛星宸铁塔有限公司 角钢塔用铁板切断生产线
KR20220097047A (ko) 2020-12-31 2022-07-07 설보경 향균패치와 접착필름이 부착된 옷걸이
KR102421136B1 (ko) * 2021-04-02 2022-07-14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자석을 이용한 mlcc 정렬기
KR102436075B1 (ko) 2021-03-02 2022-08-25 주식회사 케디엠 소재이송을 위한 블랭킹 라인용 컨베이어장치
KR20230067912A (ko) 2021-11-10 2023-05-17 신철승 물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5044A (zh) * 2017-07-24 2017-10-20 合肥星袖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型防滑耐磨传输带装置
KR101945777B1 (ko) * 2018-03-06 2019-05-02 주식회사 국민기계 철 분진 포집장치
KR20200017633A (ko) 2018-08-09 2020-02-19 이기용 옷걸이
CN111790624A (zh) * 2020-03-06 2020-10-20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分拣输送装置以及分拣输送系统
CN112404546A (zh) * 2020-10-28 2021-02-26 青岛星宸铁塔有限公司 角钢塔用铁板切断生产线
KR20220097047A (ko) 2020-12-31 2022-07-07 설보경 향균패치와 접착필름이 부착된 옷걸이
KR102436075B1 (ko) 2021-03-02 2022-08-25 주식회사 케디엠 소재이송을 위한 블랭킹 라인용 컨베이어장치
KR102421136B1 (ko) * 2021-04-02 2022-07-14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자석을 이용한 mlcc 정렬기
KR20230067912A (ko) 2021-11-10 2023-05-17 신철승 물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400U (ko)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CN102365217B (zh) 包括高摩擦辊的合流式输送机
EP2013120B1 (en) Roller-belt conveyor with infeed pull-away
DE602005027634D1 (de) Einzugsgerät für ein Aufzeichnungsmedium
PL1937576T3 (pl) Systemy i sposoby tworzenia ulepszonego przenośnika rytmizującego
US8783447B1 (en) Article metering device
JP6013053B2 (ja) 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MX2012013612A (es) Dispositivo transportador magnetico.
TWI577621B (zh) Glass plate conveying device and glass plate conveying method
WO2011132139A3 (en) Taping machine
WO2011121685A1 (ja) 平板搬送装置
KR101226101B1 (ko) 기판 이송장치용 이송롤러
CN106882545A (zh) 粉末状物料输送机构
JP6541156B2 (ja) コンベア装置
KR101853435B1 (ko) 이송장치
KR101211105B1 (ko) 자동이송장치
JP2006306567A (ja) マグネットコンベア
US10435250B2 (en) Transverse conveyors
JP2004026387A (ja) ベルトコンベヤ
JPH06310570A (ja) Tabテープ送り機構
CN207078623U (zh) 一种用于移动式皮带机的止动装置
TWM478981U (zh) 輸送帶折粒裝置
WO2011043052A1 (ja) 平板搬送装置
CN207497548U (zh) 一种塑料件送料装置
US20080110721A1 (en)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