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435B1 -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435B1
KR101853435B1 KR1020160082322A KR20160082322A KR101853435B1 KR 101853435 B1 KR101853435 B1 KR 101853435B1 KR 1020160082322 A KR1020160082322 A KR 1020160082322A KR 20160082322 A KR20160082322 A KR 20160082322A KR 101853435 B1 KR101853435 B1 KR 10185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module
transfer
conveying module
conve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035A (ko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4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91Speed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9Driving means for the conveyors
    • B65G2811/095Speed variation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이송대상물을 거치하여,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이송모듈, 상기 제1 이송모듈과 병렬로 배치되며, 이송대상물을 상부에 거치하여,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제2 속도로 이송하는 제2 이송모듈 및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송하며, 이송장치의 관리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의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롤러 또는 벨트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상부에 다양한 물품을 거치하고, 롤러 또는 벨트의 회전을 통하여 물품을 이송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때, 롤러 및 벨트는 이송대상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송대상물과의 마찰에 의하여 마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정기간 사용한 이송장치는 롤러 또는 벨트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송장치의 롤러 또는 벨트 전체를 교환하기 위하여 많은 관리 및 유지보수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송장치가 상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경우, 이송대상물의 회전 또는 접착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대상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대상물에 정말한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송장치의 내부에 이송대상물에 대한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장치를 구비하기 어렵고, 이러한 장치를 구비한 이송장치는 그 목적에만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범용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송하며, 이송장치의 관리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상부에 이송대상물을 거치하여,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이송모듈, 상기 제1 이송모듈과 병렬로 배치되며, 이송대상물을 상부에 거치하여,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제2 속도로 이송하는 제2 이송모듈 및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모듈은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하방을 향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은 상기 제1 속도 및 상기 제2 속도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과 병렬로 배치되며,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 이송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이송모듈은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이송모듈은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이송모듈은 상기 이송대상물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하부이송부 및 상기 이송대상물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상부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이송부 및 상기 상부이송부는 상기 이송대상물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모듈은 상기 제3 이송모듈이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방을 향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상기 제1 이송모듈이 이송하는 이송대상물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이 이송하는 이송대상물이 서로 접촉하도록, 이송대상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다양한 형태의 이송대상물을 원하는 방식으로 이송할 수 있다.
둘째, 이송장치의 관리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이송대상물의 이송과정에서 이송대상물에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송풍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1 이송모듈 및 제2 이송모듈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3 이송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1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2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3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이송장치의 구성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송풍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1 이송모듈 및 제2 이송모듈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3 이송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는 이송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 제1 이송모듈(100), 제2 이송모듈(200), 송풍모듈(300), 제3 이송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장치는 이송대상물로 박스를 이송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플렉서블한 플레이트 형태의 이송대상물에는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이송대상물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먼저, 제1 이송모듈(100)은 상부에 이송대상물을 거치하여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제1 속도로 이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이송모듈(100)은 복수개의 롤러(110)가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어, 각 롤러(110)가 회전하며 상부에 거치된 이송대상물을 롤러(110)의 회전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10)는 일반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각 롤러(110)의 표면은 이송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금속 또는 고무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롤러(110)의 구성은 이송대상물을 제1 속도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모든 롤러(110)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거나, 각 롤러(110)가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속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속도가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롤러(110)는 서로 인접한 롤러(110) 간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공기가 제1 이송모듈(100)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 이송모듈(100)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상부에 이송대상물을 거치하여 이송할 수 있으며, 상 하부 간에 공기가 연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이송모듈(200)은 전술한 제1 이송모듈(100)과 마찬가지로 상부에 이송대상물을 거치하여,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 이송모듈(200)은 제2 속도로 이송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속도는 전술한 제1 이송모듈(100)의 제1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이송모듈(200)은 전술한 제1 이송모듈(100)과 유사한 구성으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이송모듈(200)은 복수개의 롤러(210)가 나열된 형태로 형성되고, 각 롤러(21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공기가 제2 이송모듈(200)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2 이송모듈(200)의 구성 역시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부에 이송대상물을 거치하여 이송할 수 있으며, 상 하부 간에 공기가 연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송모듈(200)은 전술한 제1 이송모듈(100)과 병렬로 배치되어, 단일의 이송대상물을 제1 이송모듈(100)과 함께 이송할 수 있고, 또는 제1 이송모듈(100)과 따로 별개의 이송대상물을 이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은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프레임(F)이 구비되며,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은 프레임(F)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은 각각 별개의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각각 별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 간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송풍모듈(300)은 전술한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모듈(300)은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의 하부에 모두 구비되어,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풍모듈(300)은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의 하부에 복수개의 팬이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팬의 회전방향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로의 공기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모듈(300)이 발생시키는 공기의 유동은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이송대상물에 영향을 끼치며,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송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용양태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3 이송모듈(400)은 전술한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과 마찬가지로,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과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이송모듈(400)은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단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3 이송모듈(400)은 상부이송부(410) 및 하부이송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이송부(410)는 이송대상물의 상부에서 이송대상물의 상면과 접촉하여 이송대상물을 이송하고, 하부이송부(420)는 이송대상물의 하부에서 이송대상물의 하면과 접촉하여 이송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상부이송부(410)는 복수개의 회전하는 롤러(412)가 구비되고, 롤러(412)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의 벨트(414)가 구비되며, 롤러(412)의 회전에 의해 벨트(414)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벨트(414)의 일면이 이송대상물의 상면과 접촉하고, 벨트(414)의 회전에 의해 이송대상물이 벨트(414)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이송부(420) 역시 전술한 상부이송부(410)와 동일하게 복수개의 롤러(422)가 구비되고, 롤러(422)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벨트(424)가 구비되어, 벨트(424)의 회전에 의해 이송대상물이 벨트(424)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대상물은 상부이송부(410) 및 하부이송부(420)의 사이에 낀 형태로 각 구성의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부이송부(410) 및 하부이송부(420)는 이송대상물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호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상부이송부(410)는 이송대상물이 이송되는 부위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이송대상물과 이격되고, 하부이송부(420)는 이송대상물이 이송되는 부위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이송대상물과 이격되며, 이송대상물의 이송과정에서 제3 이송모듈(400)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이송모듈(400)은 전술한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제3 이송모듈(400)에 구비되는 벨트(414,424)는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이송모듈(400) 역시 전술한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과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송하고, 이송장치의 관리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송장치의 제1 사용양태
이어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1 사용양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1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1 사용양태는 이송대상물(B)을 회전시키며 이송하는 구성에 관한 것으로, 본 사용양태에서 이송장치는 직렬로 복수개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이송장치 중 전단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는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을 포함하고, 후단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는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중 전단에 구비된 이송장치의 상부에 이송대상물(B)이 거치될 수 있다.
이송대상물은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의 상부에 거치되며,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이 함께 이송대상물(B)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모듈(100a)이 이송대상물(B)을 이송하는 제1 속도 및 제2 이송모듈(200a)이 이송대상물(B)을 이송하는 제2 속도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속도가 제2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되어, 제1 이송모듈(100a)이 이송대상물(B)을 이송시키는 속도가 제2 이송모듈(200a)에 비해 빠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송대상물(B)은 일측이 제1 이송모듈(100a)의 상부에 거치되어 있고, 타측은 제2 이송모듈(200a)의 상부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송대상물(B)의 일측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모듈(100a)의 상부에 거치되어 있는 이송대상물(B)의 일측이 타측에 비해 후단쪽으로 많이 이송되어, 이송대상물(B)이 회전하는 형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속도 및 제2 속도는 이송대상물(B)을 원하는 만큼 회전시켰을 때, 이송대상물(B)이 전단에 구비되는 이송장치의 후단부에 도착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제3 이송모듈의 상부이송부 및 하부이송부는 이송대상물(B)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된 상태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회전이 완료된 이송대상물(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에 구비되는 이송장치의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의 상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회전된 이송대상물(B)은 이송대상물(B)의 형태 및 배치 등에 따라 이송대상물(B)의 무게중심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단에 위치한 이송장치의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의 상부로 이송대상물(B)이 이송될 때, 이송장치의 중앙에 이송대상물(B)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을 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회전된 이송대상물(B)을 후단의 이송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만 이송대상물(B)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송대상물(B)이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의 상부에 고르게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속도 및 제2 속도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이송대상물(B)이 회전된 상태의 배치를 유지하며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송풍모듈은 하방으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송대상물(B)을 하방으로 흡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이송대상물(B)이 제1 이송모듈(100a,100b) 및 제2 이송모듈(200a,200b)에 보다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1 이송모듈(100a,100b) 및 제2 이송모듈(200a,200b)이 이송대상물(B)을 보다 용이하게 이송하고, 보다 정밀하게 이송대상물(B)의 이송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이송대상물(B)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송대상물(B)을 회전시키는 등 이송 배치를 조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송대상물(B)의 특성에 맞춰 다양한 배치로 이송대상물(B)을 이송함과 동시에, 이송대상물(B)의 이송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송장치의 제2 사용양태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2 사용양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2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2 사용양태는 이송대상물(B)을 단순 이송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의 상면에 이송대상물(B)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이송모듈(400)의 상부이송부(410)는 하부로 이동하고, 하부이송부(420)는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이송부(410) 및 하부이송부(420)의 사이에 이송대상물(B)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부이송부(410) 및 하부이송부(420)의 벨트가 회전하며 이송대상물(B)의 이송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송대상물(B)의 이송은 전적으로 제3 이송모듈(400)이 담당하며,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은 이송대상물(B)에 이송 동력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모듈(300)은 상부를 향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송풍모듈(300)이 상부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면, 이송대상물(B)은 상부를 향해 저항을 받아 밀려나는데, 이송대상물(B)의 중앙부는 제3 이송모듈(400)의 사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송대상물(B)의 양측만 상부로 밀려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대상물(B)의 양측은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과 이격되어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은 횡방향으로 각각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 간의 거리를 벌리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송대상물(B)을 롤러 또는 벨트 등을 이용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롤러의 표면 또는 벨트가 마모되어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야 하는데,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의 마모를 줄여 이송장치의 관리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이송모듈(400)의 벨트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제3 이송모듈(400)이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벨트의 교체에 소모되는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송대상물(B)의 단순 이송과정에서는 제3 이송모듈(400)만을 이용함으로써, 이송대상물(B)을 이송함과 동시에 이송장치의 관리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송장치의 제3 사용양태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3 사용양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일 실시예의 제3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3 사용양태는 복수개의 이송대상물(B)을 이송하여 합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으로, 본 사용양태에서 이송장치는 직렬로 복수개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이송장치 중 전단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는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을 포함하고, 후단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는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 중 전단에 구비된 이송장치의 상부에 이송대상물(B)이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단에 구비된 이송장치의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은 각각 바깥쪽으로 횡이동하여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 간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의 상부에는 각각 별도의 이송대상물(B)이 공급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의 제1 속도 및 제2 속도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각각에 배치된 이송대상물(B)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에 구비된 송풍모듈(300)은 하방을 향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켜, 각각에 배치된 이송대상물(B)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이송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이 서로 벌어진 상태이므로, 각각에 배치된 이송대상물(B)은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의 사이를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송되는 이송대상물(B)에는 다양한 작업이 실시될 수 있다.
이송대상물(B)을 변형하는 가공이 실시될 수도 있고, 양측의 이송대상물(B)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를 바르는 등의 작업이 실시될 수도 있다.
본 사용양태에서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은 서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이러한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장치들이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의 사이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이 각각 별도로 횡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송대상물(B)의 가공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공된 이송대상물(B)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에 구비된 이송장치에서 후단에 구비된 이송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양측의 이송대상물(B)이 서로 접착되는 등의 필요에 의해 양측의 이송대상물(B)을 서로 접촉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이송대상물(B)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모듈(5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모듈(500)의 구성은 양측의 이송대상물(B)을 중앙부로 모으도록 구성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즉, 제1 이송모듈(100a) 및 제2 이송모듈(200a)에서 이송되는 이송대상물(B)이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모듈(500)에 의해 서로간의 거리를 좁히며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양측의 이송대상물(B)이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는 일측의 이송대상물(B)을 들어올리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이송대상물(B)의 가공에 이용되는 구성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송대상물(B)의 다양한 가공을 위해 마련된다면 그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로 접촉된 이송대상물(B)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대상물(B)을 이송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제2 사용양태와 같이, 제1 이송모듈(100b) 및 제2 이송모듈(200b)의 구성을 이용하지 않고, 후단에 구비되는 이송장치의 제3 이송모듈을 이용하여 이송대상물(B)을 이송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이송대상물(B)을 이송함과 동시에, 이송대상물(B)에 대한 가공을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송대상물(B)의 이송과정에서 이송대상물(B)에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물품의 제조에 이용하는 경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사용양태는 각자 개별적으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며, 이송대상물의 특성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사용양태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이송대상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송하며 가공하거나, 회전시키는 등 범용적으로 이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양태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이 횡이동이 가능하고, 송풍모듈(300)을 통해 제1 이송모듈(100) 및 제2 이송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된 이송대상물에 영향을 주며,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이송대상물(B)을 이송하는 제3 이송모듈(40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면, 그 사용양태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제1 이송모듈
200 : 제2 이송모듈
300 : 송풍모듈
400 : 제3 이송모듈
410 : 상부이송부
420 : 하부이송부
500 : 가이드모듈

Claims (11)

  1. 상부에 이송대상물을 거치하여,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이송모듈;
    상기 제1 이송모듈과 병렬로 배치되며, 이송대상물을 상부에 거치하여,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제2 속도로 이송하는 제2 이송모듈; 및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과 병렬로 배치되며, 이송대상물을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 이송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이송모듈은,
    상기 이송대상물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하부이송부 및 상기 이송대상물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상부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이송부 및 상기 상부이송부는,
    상기 이송대상물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듈은,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하방을 향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은,
    상기 제1 속도 및 상기 제2 속도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는 이송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모듈은,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의 사이에 구비되는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모듈은,
    상기 제1 이송모듈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이송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듈은,
    상기 제3 이송모듈이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방을 향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이송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모듈이 이송하는 이송대상물 및 상기 제2 이송모듈이 이송하는 이송대상물이 서로 접촉하도록, 이송대상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20160082322A 2016-06-30 2016-06-30 이송장치 KR10185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22A KR101853435B1 (ko) 2016-06-30 2016-06-30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22A KR101853435B1 (ko) 2016-06-30 2016-06-30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35A KR20180003035A (ko) 2018-01-09
KR101853435B1 true KR101853435B1 (ko) 2018-04-30

Family

ID=6100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322A KR101853435B1 (ko) 2016-06-30 2016-06-30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56B1 (ko) 2018-12-28 2021-08-24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박스 이송 장치 및 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유닛
CN115231208B (zh) * 2022-08-18 2023-08-29 安徽星辉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输送机用侧边防护板装置及其防护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2465B2 (ja) * 2008-10-23 2013-12-18 レンゴー株式会社 整列搬送装置
KR101507905B1 (ko) * 2014-02-21 2015-04-07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2465B2 (ja) * 2008-10-23 2013-12-18 レンゴー株式会社 整列搬送装置
KR101507905B1 (ko) * 2014-02-21 2015-04-07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35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8473B2 (ja) 分類装置ベルトコンベア
KR930006601B1 (ko) 구르기 쉽고, 연질로서 손상되기 쉬운 구상물품의 분배 및 공급방법과 장치
KR101853435B1 (ko) 이송장치
US10179707B2 (en) Transfer apparatus
JP2015118969A5 (ko)
JP2012224460A (ja) マグネットコンベア
KR20170019238A (ko)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용 초고속 자동 정렬기
JP2014047002A (ja) 物品整列供給装置
JP5755169B2 (ja) 搬送装置
CN109319415B (zh) 一种防磨损的hdpe给水管输送装置
JP2019116382A (ja) 物品離間搬送方法と物品離間搬送装置
JP2015189577A (ja) 供給装置
CN204606987U (zh) 一种双传动模式的连接输送通道
US1928482A (en) Conveyer transfer mechanism
CN103112696A (zh) 一种可调节过渡辊
SE1750051A1 (en) A belt conveyor and system
CN105645031A (zh) 一种新型链板输送链
WO2015033520A1 (ja) ガラス板のエアーコンベア
ATE498571T1 (de) Dosiervorrichtung
CN205346081U (zh) 结构改进的振动输料机
JP2015009917A (ja) 集積バケット及び集積コンベヤ
CN203818224U (zh) 一种单纸输送机构
JP5424449B2 (ja) 物品搬送装置
KR101002350B1 (ko) 폭 조절장치를 가지는 컨베이어
KR101399872B1 (ko) 슈트용 고착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