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105B1 - 자동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105B1
KR101211105B1 KR1020100067422A KR20100067422A KR101211105B1 KR 101211105 B1 KR101211105 B1 KR 101211105B1 KR 1020100067422 A KR1020100067422 A KR 1020100067422A KR 20100067422 A KR20100067422 A KR 20100067422A KR 101211105 B1 KR101211105 B1 KR 10121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upled
drive shaft
rollers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773A (ko
Inventor
박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산테크
Priority to KR102010006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1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10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대,상기 이송대의 양측 상부에 물품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조절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과 조절판 사이를 각각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1 및 제 2롤러, 상기 제 1 및 제 2롤러 사이에 결합되는 벨트 및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 1롤러에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롤러의 중앙에는 결합공이 가로질러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이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과 결합공은 단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롤러와 구동축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고, 조절판의 조절볼트를 회전시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이송과정에서 속도를 불안정하게 하는 원인을 제거하여 물품을 이송하고자 하는 속도로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이송장치{CONVEYOR SYSTEM}
본 발명은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를 순환시켜 물품을 이송하는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은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지점으로 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공장 내의 컨베이어는 창고로부터 물건을 가져오며 하나의 가공 지점으로부터 다음 지점까지 조립라인을 따라 가공된 물품을 운반하고 가공완료된 물품을 저장소로 보낸다.
공항에서의 컨베이어는 물품이 트럭 위로 올려지거나 대기중인 항공기로 이동되도록 티케팅 카운터로부터 화물들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항공기로부터 공항터미널 내의 화물 인도 지역으로 물건을 가져오는데도 사용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꽤 길고 광범위한 속도로 이동될 수 있으며 많은 다른 형태로 정렬될 수 있다.
한편, 화물과 같은 물품이 최종 또는 중간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디버터나 푸셔는 한 컨베이어로부터 다른 공정을 위한 컨베이어로 횡적으로 물품을 밀어 이송 방향을 변경한다.
일반적인 컨베이어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및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로 구성된다.
롤러의 중앙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이 결합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구동축과 관통공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롤러와 구동축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벨트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롤러와 벨트 사이에서도 슬립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는 구동축이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므로,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벨트의 장력이 약해져서 제품을 정상적으로 이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축과 롤러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구동축과 롤러 사이와 롤러와 벨트 사이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각 장치들을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송대, 상기 이송대의 양측 상부에 물품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조절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과 조절판 사이를 각각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1 및 제 2롤러, 상기 제 1 및 제 2롤러 사이에 결합되는 벨트 및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 1롤러에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롤러의 중앙에는 결합공이 가로질러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이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과 결합공은 단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과 결합공은 육각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및 제 2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대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을 결합시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양측면에 길게 요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1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판과 조절판의 상하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요입되어 제 2 및 제 3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과 측면판 및 조절판은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바를 상기 제 1 내지 제 3슬롯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해서 볼트로 체결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슬롯의 폭은 너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너트의 최소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슬롯의 내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축과 롤러의 결합공의 단면을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적용된 롤러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구동축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롤러의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에 의해 롤러와 벨트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롤러와 벨트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조절판의 조절볼트를 회전시켜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벨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롤러와 벨트 및 구동축 사이의 슬립에 의해 회전수가 불규칙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을 일정한 이송속도록 이송함으로써, 불규칙한 이송속도로 인한 제품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측면판, 조절판에 슬롯을 형상하여 간단한 볼트 체결동작으로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측면판과 조절판을 연결하는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측면판과 조절판 및 종동축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이송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면판과 조절판을 연결하는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측면판과 조절판 및 종동축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는 물품이 이송되는 방향(화살표 A)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대(10), 상기 이송대(10)의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20)과 조절판(30), 상기 한 쌍의 측면판(20)과 조절판(30) 사이를 각각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1 및 제 2롤러(40,40'), 상기 제 1 및 제 2롤러(40,40') 사이에 결합되는 벨트(50) 그리고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 1롤러(40)에 전달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
구동부(60)는 제 1롤러(40)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61), 모터(6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62) 및 제 1롤러(40)의 구동축(41)에 결합된 구동기어(411)와 기어(62)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벨트(63)를 포함한다.
구동부(60)는 도 1에서 모터(61), 기어(62), 구동벨트(63) 등의 기계적인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마그네틱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송대(10)는 작업장 바닥면 또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장 바닥면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도면 미도시)에 설치된다.
이송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11)을 결합시켜 형성되고, 각 프레임(11)은 양측면에 길게 요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1슬롯(12)을 구비한다.
제 1슬롯(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대략 '
Figure 112010045133955-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1슬롯(12)의 폭(w)은 내부에 삽입된 너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의 최소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슬롯(11)의 내측면(121)이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너트는 제 1슬롯(12)의 내면과 선 접촉하여 접촉면적이 작아지므로, 제 1슬롯(12)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슬롯이 형성된 프레임을 결합하여 이송대를 제작할 수 있고, 프레임의 슬롯을 이용해 이송대에 각종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측면판(20)은 이송대(10)의 상측에 결합되고, 측면판(20)의 후단에는 조절판(30)이 결합된다.
측면판(20)의 내측면과 상하면 및 조절판(30)의 상하면에는 각각 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제 2 및 제 3슬롯(21,31)이 형성된다.
제 2 및 제 3슬롯(21,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바(23)와 너트를 삽입하고, 외부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측면판(20)과 조절판(30), 측면판(20)과 프레임(11) 사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해준다.
측면판(20)의 상면에는 다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50)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2)가 설치된다.
가이드부재(22)는 상방으로부터 볼트나 렌치볼트가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을 구비한다.
즉, 가이드부재(22)를 측면판(20)에 설치하는 경우, 가이드부재(22)의 결합공에 볼트나 렌치볼트를 결합하고 볼트나 렌치볼트의 선단에 너트를 임시로 1차 체결한 상태에서 제 2슬롯(21)에 삽입하여 너트를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볼트나 렌치볼트를 회전시켜 가이드부재(22)와 측면판(20)을 완전하게 2차 체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측면판에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측면판 성형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나사산 마모로 인한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판(20) 전단에는 구동축(41)이 가로질러 결합되고, 한 쌍의 조절판(30) 사이에는 종동축(42)이 가로질러 결합된다.
구동축(41)은 구동부(6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구동축(4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롤러(4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제 1 및 제 2축(41',41")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 1롤러(40)를 관통하도록 하나의 구동축(41)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반면, 종동축(42)은 벨트(5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제 2롤러(40')와 함께 회전하거나, 종동축(42)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설치하여 제 2롤러(40')가 회전하도록 한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3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조절판(3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축(42)이 결합되도록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장공(32)이 형성되고, 조절판(30)의 선단에는 종동축(42)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조절볼트(33)가 체결되는 체결공(34)이 형성된다.
즉, 조절볼트(33)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장공(32)에 결합된 종동축(42)이 조절볼트(33)의 회전에 의해 조절판(30)의 선단을 향해 전진 이동하고, 조절볼트(33)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종동축(42)이 조절볼트(33)의 회전에 의해 조절판(30)의 후단을 향해 후진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절볼트를 회전시켜 종동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롤러(40,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롤러(40)는 중앙에 구동축(41)이 결합되는 제 1결합공(43)을 구비하고, 제 1롤러(40)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44)이 형성된다.
이때, 구동축(41)과 제 1롤러(40)의 제 1결합공(43)은 서로 대응되도록 다각 기둥,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롤러(40')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중앙에 종동축(42)이 결합되는 제 2결합공을 구비하고, 제 2롤러(40')의 표면에는 제 1롤러(40)와 마찬가지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종동축(42)과 제 2롤러(40')의 제 2결합공은 서로 대응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동축(42)의 외주면에는 제 2롤러(4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구동축과 제 1롤러의 결합공 단면을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롤러의 결합공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롤러와 구동축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롤러의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에 의해 롤러와 벨트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롤러와 벨트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롤러와 벨트 및 구동축 사이의 슬립에 의해 회전수가 불규칙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을 일정한 이송속도록 이송함으로써, 불규칙한 이송속도로 인한 제품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이송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미도시된 전원스위치가 조작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구동부(60)의 모터(61)가 구동되면, 모터(61)의 회전축에 결합된 기어(62)와 구동벨트(63)가 회전하고, 구동벨트(63)에 결합된 구동축(41)의 구동기어(411)가 회전하면서 구동축(41) 및 제 1롤러(40)가 회전한다.
이때, 구동축(41)은 다각 기둥, 예컨대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롤러(40)의 결합공(43)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구동축(41)과 제 1롤러(40) 사이의 슬립 발생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 1롤러(40)가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 1롤러(40)에 감긴 벨트(50)가 회전하고, 벨트(50)의 회전에 의해 종동축(42)에 결합된 제 2롤러(40')도 회전하면서 벨트(50)의 상부에 투입된 물품이 이송방향(화살표 A)을 따라 이송된다.
한편, 벨트(50)는 조절판(30)의 조절볼트(33)를 회전시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조절된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롤러와 구동축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고, 조절판의 조절볼트를 회전시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이송과정에서 속도를 불안정하게 하는 원인을 제거하여 물품을 이송하고자 하는 속도로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이송대 11: 프레임
12: 제 1슬롯 20: 측면판
21: 제 2슬롯 22: 가이드부재
23: 연결바 30: 조절판
31: 제 3슬롯 32: 장공
33: 조절볼트 34: 체결공
40,40': 제 1,제 2롤러 41: 구동축
42: 종동축 43: 제 1결합공
44: 홈 50: 벨트
60: 구동부 61: 모터
62: 기어 63: 구동벨트

Claims (7)

  1.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을 결합시켜 형성되는 이송대,
    상기 이송대의 양측 상부에 물품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조절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과 조절판 사이를 각각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1 및 제 2롤러,
    상기 제 1 및 제 2롤러 사이에 결합되는 벨트 및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 1롤러에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롤러의 중앙에는 결합공이 가로질러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이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과 결합공은 단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양측면에 길게 요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1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결합공은
    육각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과 조절판의 상하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요입되어 제 2 및 제 3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측면판 및 조절판은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바를 상기 제 1 내지 제 3슬롯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해서 볼트로 체결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슬롯의 폭은 너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너트의 최소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슬롯의 내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KR1020100067422A 2010-07-13 2010-07-13 자동이송장치 KR101211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22A KR101211105B1 (ko) 2010-07-13 2010-07-13 자동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22A KR101211105B1 (ko) 2010-07-13 2010-07-13 자동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73A KR20120006773A (ko) 2012-01-19
KR101211105B1 true KR101211105B1 (ko) 2012-12-10

Family

ID=4561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422A KR101211105B1 (ko) 2010-07-13 2010-07-13 자동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0615A (zh) * 2014-12-08 2015-05-06 无锡市天元电脑绗缝机有限公司 枕芯充装机进料装置
CN105501843A (zh) * 2016-01-12 2016-04-20 湖州新创丝织品有限公司 一种带手动调节功能的拉幅定型机输送带
CN108438742A (zh) * 2018-05-15 2018-08-24 河南郾漯粮食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粮食输送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848Y1 (ko) * 1997-07-29 1999-11-15 유영식 벨트구동 롤러콘베이어 구동축의 커플링(roller convey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848Y1 (ko) * 1997-07-29 1999-11-15 유영식 벨트구동 롤러콘베이어 구동축의 커플링(roller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73A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2128A (ko) 이송 시스템용 전달 조립체
JP6724239B2 (ja) 補助搬送機及び対応する搬送システム
KR20180014679A (ko) 방향전환장치를 갖는 컨베이어
JP6681932B2 (ja) 嵩物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5178421A (ja) 物体のための偏向装置および物体を偏向させるための方法
KR101211105B1 (ko) 자동이송장치
KR200410926Y1 (ko)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US10870541B2 (en) Logistics trolley and production line using the same
CN112566856A (zh) 沿输送路径输送和/或定位物体的输送系统、以及该输送系统的输送主体
KR101158483B1 (ko) 천장주행형 물류반송시스템용 반송장치
KR100317557B1 (ko) 이송대차
KR101346912B1 (ko) 기어 감속형을 이용한 지능형 무인 반송 장치
KR20120007186A (ko) 자동이송장치
KR20170124263A (ko) 체인 컨베이어 어셈블리
JPH08295233A (ja) マグネット吸着式パレットコンベア
KR101687351B1 (ko) 이송 대상물의 정렬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다관절 이송장치
JP5800965B1 (ja) 搬送装置
CN115744198A (zh) 一种输送系统及控制方法
CN209922330U (zh) 快递位置状态的调节装置以及自动供件装置
KR20200013457A (ko)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WO2022009737A1 (ja) 被搬送物の送出装置
CN214086340U (zh) 驱动辊筒及输送装置
JP6135402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設備
KR200414954Y1 (ko) 2개 규격의 파레트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구조
WO2019088218A1 (ja) 部品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