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633A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7633A KR20200017633A KR1020180092746A KR20180092746A KR20200017633A KR 20200017633 A KR20200017633 A KR 20200017633A KR 1020180092746 A KR1020180092746 A KR 1020180092746A KR 20180092746 A KR20180092746 A KR 20180092746A KR 20200017633 A KR20200017633 A KR 202000176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portion
- hanger
- hook
- bundle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4—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hook and hanger made in one piec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행거에 걸리는 후크부와 옷이 걸리는 걸이부 상호 간의 축 연결에 있어, 후크부의 축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어이들을 갖는 기어뭉치, 상기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된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부의 회전 조절에 따라 회전된 상기 기어뭉치와 맞물려 상기 후크부의 헛돌림을 방지하며 고정하는 요철형 구조의 조절구, 및 상기 기어뭉치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그 일단은 상기 기어뭉치의 하부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조절구의 하부에 걸려 상기 기어뭉치가 상기 조절구의 저부에서 노출되는 방식으로 수직 이동될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어뭉치를 원위치로 자동 복귀 유도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옷걸이를 제공함으로써, 옷걸이의 후크부에 대한 회전 조절 및 고정이 편리하고도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행거에 걸리는 옷걸이의 폭 공간 차지 비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행거에 걸리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에 대한 회전 조작 및 고정 조작이 누구나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행거에 걸린 옷걸이의 폭 차지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한정된 공간에서의 공간 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옷걸이들은 각종 의류들을 걸어 특정 보관 장소에 비치된 옷 수납장의 행거나 벽행거 등에 걸어 의류들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옷걸이들은 도면 1과 같이 행거에 걸리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2)와 옷이 걸리는 삼각 형상의 걸이부(1)로 구성되는데,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 (2) 형성 방향이 삼각 형상의 걸이부(1)가 형성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일치되는 일직선 형태이면서, 걸이부(1)의 중앙 상단에서 축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옷을 건 옷걸이를 행거에 걸게 되면, 행거를 기준으로 옷걸이가 차지하는 폭(W)(W') 공간의 비중이 클 수밖에 없다.
이처럼, 기존 옷걸이들은 행거에 걸릴 때에 행거를 기준으로 수직하게 걸리는 관계로, 옷걸이가 차지하는 폭(W)(W') 공간의 비중이 큰 관계로, 특히나 의류 매장이나 업소 같은 곳의 이동식 행거에 옷들을 진열하기 위해 옷걸이를 걸게 되면, 옷걸이들이 차지하는 폭 공간폭(W)(W')의 비중으로 공간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의류 매장이나 업소 같은 곳에서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즉, 의류 매장이나 업소의 한정된 공간에 비치된 이동식 행거에 기존의 옷걸이들을 걸게 되면, 옷걸이들이 차지하는 폭 공간이 매우 크므로, 사람들이 이동하기 위한 통로 공간도 매우 협소하여 사람들의 왕래 이동에도 큰 불편함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특허문헌들은 옷걸이와 관련된 기술들임을 참고할 수 있다.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옷이 걸리는 삼각 형상의 걸이부 중앙 상단에서 축 연결되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가 회전각이 조절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행거와의 걸림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로 걸리게 됨으로써, 옷걸이의 폭 공간이 차지하는 비중을 종래 옷걸이에 비해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옷걸이를 제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행거에 걸리는 후크부와 옷이 걸리는 걸이부 상호 간의 축 연결에 있어, 후크부의 축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어이들을 갖는 기어뭉치, 상기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된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부의 회전 조절에 따라 회전된 상기 기어뭉치와 맞물려 상기 후크부의 헛돌림을 방지하며 고정하는 요철형 구조의 조절구, 및 상기 기어뭉치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그 일단은 상기 기어뭉치의 하부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조절구의 하부에 걸려 상기 기어뭉치가 상기 조절구의 저부에서 노출되는 방식으로 수직 이동될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어뭉치를 원위치로 자동 복귀 유도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옷걸이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스프링은 인장스프링인 옷걸이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부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눌림에 의한 수직 하부로 이동되는 동작에 이은 수평 회전되는 동작에 이어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동작으로 작동되는 옷걸이에 일 특징이 있다.
한편, 행거에 걸리는 후크부와 옷이 걸리는 걸이부 상호 간의 축 연결에 있어, 후크부의 축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어느 특정 주연에 돌출된 돌기를 갖는 뭉치, 상기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된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후크부의 회전 조절에 따라 회전과 삽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기 뭉치를 고정하되, 상기 뭉치의 상기 돌기를 가이드하며 안내하도록 내주에 나선형 안내홈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의 일정 구간마다 상기 돌기의 걸림을 이루게 하는 걸림홈을 갖는 조절구를 포함하는 옷걸이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부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과 동시 수직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옷걸이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한편, 행거에 걸리는 후크부와 옷이 걸리는 걸이부 상호 간의 축 연결에 있어, 후크부의 축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걸림대, 상기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된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부의 회전 조절에 따라 회전된 상기 걸림대들과 걸려 상기 후크부의 헛돌림을 방지하며 고정하는 저면에 상기 걸림대들과 대응되는 다수의 걸림홈들을 갖는 원판형 조절구, 및 상기 조절구의 상부에 위치된 후크부의 축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그 일단은 상기 후크부의 상기 축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조절구의 상단에 걸려 상기 걸림대들이 상기 조절구의 저부에서 노출되는 방식으로 수직 이동될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대들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 유도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옷걸이에 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인 옷걸이에 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부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눌림에 의한 수직 하부로 이동되는 동작에 이은 수평 회전되는 동작에 이어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동작으로 작동되는 옷걸이에 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한편, 행거에 걸리는 후크부와 옷이 걸리는 걸이부 상호 간의 축 연결에 있어, 후크부의 축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걸림대, 상기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된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후크부의 회전 조절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걸림대들의 틸팅 동작을 유도하며 상기 걸림대들과 걸려 상기 후크부의 헛돌림 방지를 위해, 저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일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부채형 꼴의 걸림편들을 갖는 원판형 조절구, 및 상기 조절구의 상부에 위치된 후크부의 축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그 일단은 상기 후크부의 상기 축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조절구의 상단에 걸려 상기 걸림대들이 상기 조절구의 저부에서 노출되는 방식으로 수직 이동될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대들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 유도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옷걸이에 더욱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인 옷걸이에 더욱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부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과 동시 수직으로 이동되는 틸팅 동작이 동시에 반복되며 이루어지는 옷걸이에 더욱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술 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옷을 걸기 위한 삼각 형상의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중앙 상단에 축 연결된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에 있어 후크부의 편리한 회전 조작 및 고정을 통해 후크부의 회전 조절이 용이하고, 이러한 후쿠브의 회전 조절 및 고정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행거에 걸려 보관되는 옷의 차지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후크부의 회전 조절 및 고정 조작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후크부의 회전 조절 및 고정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후크부의 회전 조절 및 고정 구현을 통하여 행거에 걸린 옷걸이의 폭 차지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특히 의류를 판매하는 의류매장이나 업소와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의 공간 효율의 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행거에 걸린 옷걸이의 폭 차지 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듦으로써, 전시된 의류들을 보기 위한 구매자나 방문자들의 협소한 통로 공간 확보도 가능하여 구매자의 의류 쇼핑에 즐거움을 제고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행거에 걸린 종래 옷걸이들의 배열 형태를 행거의 상 방향에서 도시한 개념적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의 외관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개념적 사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후크부와 걸이부 간의 체결 구조를 종 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옷걸이의 개념적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기어뭉치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까지 함께 도시한 옷걸이의 개념적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후크부와 걸이부 간의 체결 구조를 종 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옷걸이의 개념적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뭉치와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 형성된 조절공과의 연결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후크부와 걸이부 간의 체결 구조를 종 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옷걸이의 개념적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후크부와 걸이부 간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회전걸림대와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 형성된 조절원판과의 연결 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개념적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회전걸림대와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 형성된 조절원판과의 연결 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보충적인 개념적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회전걸림대와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 형성된 조절원판과의 연결 구조를 단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
도 11은 행거에 걸린 본 발명의 옷걸이들의 배열 형태를 행거의 상 방향에서 도시한 개념적 도면,
도 12는 행거에 걸린 본 발명의 옷걸이들의 배열 형태를 행거의 상 방향에서 도시한 다른 개념적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의 외관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개념적 사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후크부와 걸이부 간의 체결 구조를 종 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옷걸이의 개념적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기어뭉치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까지 함께 도시한 옷걸이의 개념적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후크부와 걸이부 간의 체결 구조를 종 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옷걸이의 개념적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뭉치와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 형성된 조절공과의 연결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후크부와 걸이부 간의 체결 구조를 종 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옷걸이의 개념적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후크부와 걸이부 간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회전걸림대와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 형성된 조절원판과의 연결 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개념적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회전걸림대와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 형성된 조절원판과의 연결 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보충적인 개념적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후크부의 축 하단에 형성된 회전걸림대와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 형성된 조절원판과의 연결 구조를 단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개념적 단면도,
도 11은 행거에 걸린 본 발명의 옷걸이들의 배열 형태를 행거의 상 방향에서 도시한 개념적 도면,
도 12는 행거에 걸린 본 발명의 옷걸이들의 배열 형태를 행거의 상 방향에서 도시한 다른 개념적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수 있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개념적으로 도시된 관계로, 본 발명은 도면에 의해 국한되지 않는 기술적 사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일측, 타측, 상단, 하단 등의 용어 표현 기재는 본 발명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표기된 것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혼용될 수 있는 관계로, 이들 용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국한되어도 아니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에 관한 설명이 구체적으로 상세히 기술되되, 본 발명에서의 옷걸이는 제1, 2, 3, 4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는, 도면 2를 참고로, 도면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서 각종 의류들을 걸기 위한 걸이부(100), 및 갈고리 형상으로서 상기 걸이부(100)의 상단 중앙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구성되되 회전 각도 조절에 따른 고정 상태에서 이동식 행거나 고정식 행거 혹은 벽걸이 행거 등에 걸어 각종 의류들을 보관할 수 있게 한 후크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축(21)이 걸이부(100)의 중앙내부(11)로 수직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20)의 축(21) 하단에는 기어뭉치(22)가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기어뭉치(22)는 걸이부(10)의 중앙내부(11)에 일체 형성된 조절공(1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기어뭉치(2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3)이 삽입되어 상기 기어뭉치(22)에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후크부(20)는 행거에 걸착되기 위한 갈고리 형상의 걸착부위(24)가 수평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행거에 걸착되는 면적 확보를 향상시켜 후크부(20)의 행거 걸착에 대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스프링(23)은 도면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 일측이 기어뭉치(22)의 하부에 걸리고 타측이 조절구(12)의 하부에 걸리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스프링(23)은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20)는 수직 하부 방향으로 눌러진 상태에서 놓게 되면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 상부 방향으로 자동 원위치되며 복귀될 수 있다.
상기 기어뭉치(22)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기어이들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전체 형상이 예컨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절구(12)도 상기 기어뭉치(22)와 대응될 수 있게 그 전체 형상이 예컨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기어뭉치(22)의 기어이들과 맞물릴 수 있는 구조의 요철형 형태의 조절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조절구(12)는 걸이부(10)의 중앙내부(11)에 일체된 형태로서 내주를 따라 관통 형성된 요철형 즉 요부(12a)와 철부(12b)들의 형태로 이루어진 조절공을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후크부(20)의 축(21) 하단에 형성된 기어뭉치(22)가 수직 상 방향으로 복귀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에 삽입되면서 기어뭉치(22)의 기어이들이 요부(12a)와 철부(12b)에 맞물려 상기 후크부(20)의 축(21)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갈고리 형상의 상기 후크부(20)는 삼각 형상의 걸이부(10)에서 회전 각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어 행거에 걸착되어 옷들을 보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걸이부(10)의 형성 방향과 일치되지 않는 비스듬히 기울어진 방향 형태로 고정되어 행거에 걸착되면, 예컨대 도면 11이나 12와 같이 행거를 기준으로 옷걸이의 폭(W)(W')이 차지하는 공간이 기존 옷걸이에 비해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각종 의류들을 판매하는 의류 매장이나 업소와 같은 한정된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후크부(20)의 회전 조절이 요구될 경우, 상기 후크부(20)를 손으로 잡고 수직 하부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후크부(20)는 걸이부(10)의 중앙에서 수직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후크부(20)의 축(21) 하단에 형성된 기어뭉치(22)가 걸이부(10)의 중앙내부(11)에 일체된 조절구(12)의 조절공 하단으로 노출됨과 동시 스프링(23)은 인장되어 탄성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기어뭉치(22)가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 하단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2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상기 후크부(20)를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어뭉치(22)가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 방향으로 진입되면서 상기 기어뭉치(22)의 기어이들이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에 형성된 요부(12a) 및 철부(12b)들과의 새로운 맞물림을 가짐으로써, 상기 후크부(20)는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기어뭉치(22) 및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은 그 형태로서 등변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후크부(20)의 눌림 이동과 복귀 이동의 동작에 신속함과 수월함을 제공함과 동시 상기 후크부(20)의 복귀 이동 이후에 따른 상기 후크부(20)에 대한 고정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이유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는, 도면 2를 참고로, 도면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0)의 축(21) 하단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뭉치(22') 가 형성되며 상기 뭉치(22')의 하부 어느 주연 지점에는 돌기(22'a)가 더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뭉치(22')와 대응되는 걸이부(10)의 중앙내부(11)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조절구(12')가 일체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 주연을 따라 나선형의 안내로(12'a) 및 상기 안내로(12'a)의 일정 구간마다 형성된 걸림홈(12'b)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뭉치(22')는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에서 회전 동작을 통하여 조절공 내부로 삽입 진행되는바,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뭉치(22')의 하부 어느 주연에 형성된 돌기(22'a)가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 주연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 안내로(12'a)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뭉치(22')는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에서 회전 동작을 통해 조절공 내부로 삽입 진행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뭉치(22')는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에서 회전되는 방식으로 삽입진행되는 과정에서 돌기(22'a)가 안내로(12'a)의 일정 구간마다 형성된 걸림홈(12'b)에 걸림으로써, 상기 뭉치(22')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20)의 회전이 요구될 경우, 상기 후크부(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뭉치(22')의 돌기(22'a)가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 내에 형성된 나선형 안내로(12'a)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후크부(20)의 회전이 구현될 수 있으며, 원하는 회전 각으로 상기 후크부(20)의 회전이 완료된 다음, 상기 후크부(20)의 고정을 위해서는 상기 후크부(20)를 수직으로 누를 경우 상기 뭉치(22')의 돌기(22'a)가 상기 안내로(12'a)를 따라 일정 구간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걸림홈(12'b)에 걸림으로써, 상기 후크부(2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기어뭉치(22') 및 상기 조절구(12')의 조절공은 그 형태로서 등변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후크부(20)의 회전과 동시 상기 후크부(20)의 조절공 삽입 진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는 결국 상기 후크부(20) 동작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이유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는, 도면 2를 참고로,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0)의 축(21) 하단에는 방사상으로 수평으로 뻗어 있는 복수개의 걸림대(22")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부(10)의 중앙내부(11)에는 원판형의 조절구(12")가 일체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12")의 하단 주연을 따라 상기 걸림대(22")들과 대응되는 걸착홈(12"a)들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절구(12")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후크부(20)의 축(21)에는 스프링(23")이 더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바, 이러한 상기 스프링(23")은 도면 7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 일측이 상기 후크부(20)의 축(21)에 걸리는 한편 그 타측은 상기 조절구(12")의 상단에 걸리는 구조로 상기 후크부(20)의 축(21)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3")은 압축코일스프링의 이용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후크부(20)의 눌림 이후 후크부(20)가 원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러한 상기 후크부(20)는 외력에 의한 눌림 이동 이후, 회전 조절된 다음,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일려의 동작 메커니즘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20)의 회전 조절이 요구될 경우, 상기 후크부(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수직 하부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후크부(20)는 걸이부(10)의 중앙에서 수직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후크부(20)의 축(21)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대(22")들이 걸이부(10)의 중앙내부(11)에 일체된 조절구(12")의 하단으로 노출됨과 동시 스프링(23")은 수축되어 탄성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걸림대(22")들이 상기 조절구(12")의 하단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2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상기 후크부(20)를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대(22")들이 상기 조절구(12")의 하단에 형성된 각각의 걸착홈(12"a)들로 진입되면서 걸림으로써, 상기 후크부(20)는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는, 도면 2를 참고로, 도면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0)의 축(21) 하단에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복수개의 걸림대(22"')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부(10)의 중앙내부(11)에는 원판형의 조절구(12"')가 일체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12"')의 하단 주연에는 상기 후크부(20)의 축(21)을 삽입하기 위한 중공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며 일 방향으로 경사지며 돌출된 걸림편들이 복수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들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부채꼴 형상에 있어 그 일측(12"'a)은 상기 조절구(12"')의 하단 저면과 동일한 높이이되, 부채꼴의 타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기울어지는 형태를 갖는 저면(12"'b)과 그 외측면(12"'c) 및 타측면(12"'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절구(12"')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후크부(20)의 축(21)에는 도면에 미도시 되었으나, 도면 7과 같은 스프링(23")의 일종인 압축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더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후크부(20)의 축(21)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조절구(12"')의 상단에 걸리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의 축(21)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 이상의 상기 걸림대(22"')들은 수평형 구조로 뻗어 있는 제1 걸림대(22"'a)들과 상기 제1 걸림대(22"'a)들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제2 걸림대(22"'b)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걸림대(22"'a)들은 회전 과정에서 상기 조절구(12"')의 하단 저면에 형성된 각 걸림편들의 저면(12"'b)과 마찰되는 방식으로 틸팅되면서 각 걸림편들의 사이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2 걸림대(22"'b)들은 회전 과정에서 상기 조절구(12"')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의 회전 조절이 요구될 경우, 상기 후크부(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회전되게 하면, 외력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후크부(20)의 축(21)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대(22"')들은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걸림대(22"')들의 회전 과정에서 제1 걸림대(22"'a)들은 조절구(12"')의 하단 저면에 형성된 각 걸림편들의 저면(12"'b)과 마찰되는 과정에서 압축코일스프링의 수축이 발생되고, 곧이어 제1 걸림대(22"'a)들은 상기 각 걸림편들의 저면(12"'b)과의 마찰 종료와 함께 각 걸림편들의 타측면(12"'d)을 지나침과 동시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절구(12"')의 하단 저면과 접촉되어 개별 걸림편들의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제4 실시 예에서는 상기 후크부(20)의 회전 조작만으로도 후크부(20)의 회전 및 고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후크부(20)의 조작성이 상술된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더욱 수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후크부(20)의 회전 조작 시, 도면 10과 같이 제1 걸림대(22"'a)들은 걸림편들의 저면과 마찰되다가 조절구(12"')의 저면과 접촉되는 틸팅 회전 방식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20)의 회전 및 고정을 위한 조작성이 한결 수월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걸림편들의 부채꼴 형상에 따른 일 방향으로의 경사 구조에 따라 일 방향 회전만 가능하며, 그 타 방향 회전은 상기 걸림편들의 타측면(12"'d)들에 걸려 불가함을 알 수 있다.
10 : 걸이부
12 : 조절구
20 : 후크부 22 : 기어뭉치
20 : 후크부 22 : 기어뭉치
Claims (11)
- 행거에 걸리는 후크부와 옷이 걸리는 걸이부 상호 간의 축 연결에 있어, 후크부의 축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어이들을 갖는 기어뭉치;
상기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된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부의 회전 조절에 따라 회전된 상기 기어뭉치와 맞물려 상기 후크부의 헛돌림을 방지하며 고정하는 요철형 구조의 조절구; 및
상기 기어뭉치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그 일단은 상기 기어뭉치의 하부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조절구의 하부에 걸려 상기 기어뭉치가 상기 조절구의 저부에서 노출되는 방식으로 수직 이동될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어뭉치를 원위치로 자동 복귀 유도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부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눌림에 의한 수직 하부로 이동되는 동작에 이은 수평 회전되는 동작에 이어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동작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행거에 걸리는 후크부와 옷이 걸리는 걸이부 상호 간의 축 연결에 있어, 후크부의 축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어느 특정 주연에 돌출된 돌기를 갖는 뭉치;
상기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된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후크부의 회전 조절에 따라 회전과 삽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기 뭉치를 고정하되, 상기 뭉치의 상기 돌기를 가이드하며 안내하도록 내주에 나선형 안내홈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의 일정 구간마다 상기 돌기의 걸림을 이루게 하는 걸림홈을 갖는 조절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부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과 동시 수직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행거에 걸리는 후크부와 옷이 걸리는 걸이부 상호 간의 축 연결에 있어, 후크부의 축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걸림대;
상기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된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부의 회전 조절에 따라 회전된 상기 걸림대들과 걸려 상기 후크부의 헛돌림을 방지하며 고정하는 저면에 상기 걸림대들과 대응되는 다수의 걸림홈들을 갖는 원판형 조절구; 및
상기 조절구의 상부에 위치된 후크부의 축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그 일단은 상기 후크부의 상기 축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조절구의 상단에 걸려 상기 걸림대들이 상기 조절구의 저부에서 노출되는 방식으로 수직 이동될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대들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 유도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부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눌림에 의한 수직 하부로 이동되는 동작에 이은 수평 회전되는 동작에 이어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동작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행거에 걸리는 후크부와 옷이 걸리는 걸이부 상호 간의 축 연결에 있어, 후크부의 축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걸림대;
상기 걸이부의 중앙내부에 일체된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후크부의 회전 조절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걸림대들의 틸팅 동작을 유도하며 상기 걸림대들과 걸려 상기 후크부의 헛돌림 방지를 위해, 저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일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부채형 꼴의 걸림편들을 갖는 원판형 조절구; 및
상기 조절구의 상부에 위치된 후크부의 축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그 일단은 상기 후크부의 상기 축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조절구의 상단에 걸려 상기 걸림대들이 상기 조절구의 저부에서 노출되는 방식으로 수직 이동될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대들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 유도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부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과 동시 수직으로 이동되는 틸팅 동작이 동시에 반복되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746A KR20200017633A (ko) | 2018-08-09 | 2018-08-09 | 옷걸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746A KR20200017633A (ko) | 2018-08-09 | 2018-08-09 | 옷걸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7633A true KR20200017633A (ko) | 2020-02-19 |
Family
ID=6967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2746A KR20200017633A (ko) | 2018-08-09 | 2018-08-09 | 옷걸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1763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61973A (zh) * | 2022-06-23 | 2022-10-11 | 浙江衣拿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承重自偏转的挂钩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6911U (ko) | 2008-01-03 | 2009-07-08 | (주)정우티엠 | 환자 치료기 동작 상태 표시 및 알림 장치 |
KR20090012238U (ko) | 2008-05-28 | 2009-12-02 | (주)지오엔씨 | 음식물쓰레기건조기를 이용한 공기압 이송시스템 |
KR20110061874A (ko) | 2009-12-02 | 2011-06-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KR20130008514A (ko) | 2009-12-21 | 2013-01-22 | 안살도 에너지아 에스.피.에이 | Mcfc 멀티스택을 사용하여 연소 배기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130001093U (ko) | 2011-08-08 | 2013-02-18 | 양호석 | 수유 쿠션 |
KR20150000400U (ko) | 2013-07-17 | 2015-01-27 | 김진수 |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
JP2015163548A (ja) | 2014-01-28 | 2015-09-10 | 伊東電機株式会社 | 移載装置 |
KR20150127122A (ko) | 2013-03-01 | 2015-11-16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금속 옥사이드 tft 안정성 개선 |
KR20160005402A (ko) | 2014-07-07 | 2016-01-15 | (주)케이스포유 | 저수위 계측용 다접점 수위계측센서 및 수자원 관리 네트워크 시스템 |
KR20160060926A (ko) | 2014-11-21 | 2016-05-31 | 강진군 | 문어 전복 삼계탕 제조방법 |
KR20160144226A (ko) | 2015-06-08 | 2016-12-16 |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 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2018
- 2018-08-09 KR KR1020180092746A patent/KR20200017633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6911U (ko) | 2008-01-03 | 2009-07-08 | (주)정우티엠 | 환자 치료기 동작 상태 표시 및 알림 장치 |
KR20090012238U (ko) | 2008-05-28 | 2009-12-02 | (주)지오엔씨 | 음식물쓰레기건조기를 이용한 공기압 이송시스템 |
KR20110061874A (ko) | 2009-12-02 | 2011-06-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KR20130008514A (ko) | 2009-12-21 | 2013-01-22 | 안살도 에너지아 에스.피.에이 | Mcfc 멀티스택을 사용하여 연소 배기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130001093U (ko) | 2011-08-08 | 2013-02-18 | 양호석 | 수유 쿠션 |
KR20150127122A (ko) | 2013-03-01 | 2015-11-16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금속 옥사이드 tft 안정성 개선 |
KR20150000400U (ko) | 2013-07-17 | 2015-01-27 | 김진수 | 소형부품 이송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
JP2015163548A (ja) | 2014-01-28 | 2015-09-10 | 伊東電機株式会社 | 移載装置 |
KR20160005402A (ko) | 2014-07-07 | 2016-01-15 | (주)케이스포유 | 저수위 계측용 다접점 수위계측센서 및 수자원 관리 네트워크 시스템 |
KR20160060926A (ko) | 2014-11-21 | 2016-05-31 | 강진군 | 문어 전복 삼계탕 제조방법 |
KR20160144226A (ko) | 2015-06-08 | 2016-12-16 |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 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61973A (zh) * | 2022-06-23 | 2022-10-11 | 浙江衣拿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承重自偏转的挂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234444B (en) | Commodity display device | |
US20060081749A1 (en) | Bottle and towel holder | |
CA3045005C (en) | Pot lid storage holder | |
KR20200017633A (ko) | 옷걸이 | |
KR101603994B1 (ko) | 코일스프링의 토션력을 이용한 틸팅부가 구비된 틸팅의자 | |
US1729004A (en) | Display fixture | |
US5895022A (en) | Monitor support adjusting apparatus | |
US1937911A (en) | Collapsible necktie-holder | |
US2690843A (en) | Display stand | |
WO2012127684A1 (ja) | ラック及びケーブルマネージメント装置 | |
US20190002046A1 (en) | Bottom frame of bicycle hanger | |
US2295987A (en) | Hairpin and clip holder | |
TW200403412A (en) | Oven assembly with slides | |
JP7054768B2 (ja) | 食器かごおよびこれを備えた食器洗い機 | |
KR200433786Y1 (ko) | 칸막이가 구비된 수납장 | |
KR101061406B1 (ko) | 관람석 의자의 측면에 설치되는 메모판 | |
JPH09299218A (ja) | 物品取付具 | |
JP2018019834A (ja) | マグネット固定具 | |
JP4106658B2 (ja) | 家具等の転倒防止装置 | |
KR200484632Y1 (ko) | 헤어브러시 진열대 | |
JP2019213850A (ja) | 商品陳列用フック | |
KR200437081Y1 (ko) | 책상 겸용 벽걸이 액자 | |
KR200476051Y1 (ko) | 옷걸이가 구비되는 의자 | |
KR102196164B1 (ko) |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 | |
JP7371971B2 (ja) | 棚上開口の開閉扉を支持する支柱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