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164B1 -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164B1
KR102196164B1 KR1020190027987A KR20190027987A KR102196164B1 KR 102196164 B1 KR102196164 B1 KR 102196164B1 KR 1020190027987 A KR1020190027987 A KR 1020190027987A KR 20190027987 A KR20190027987 A KR 20190027987A KR 102196164 B1 KR102196164 B1 KR 10219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ofa
tilting
tilting memb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029A (ko
Inventor
장정학
Original Assignee
장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학 filed Critical 장정학
Priority to KR102019002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164B1/ko
Priority to PCT/KR2020/003345 priority patent/WO2020184962A1/ko
Publication of KR2020010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47G23/0225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attachable to a plate, tabl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33Attachments to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컵을 수용하는 수용홈(150); 및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어, 컵을 지지하는 틸팅부재(160);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재는, 서로 각도를 이루면서 컵의 바닥부와 컵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 상기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를 연결하는 중심부(163); 및 상기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재가 틸팅 가능하게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도록 하는 틸팅부재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및 소파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TRAY FOR SOFA WITH CUP HOLDER WITH TILTING MEMBER}
본 발명은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컵을 지지하는 홀더가 컵의 측면을 틸팅 동작으로 지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며, 또한 이를 소파용 트레이에 적용하여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파는 등받이가 있는 긴 의자이면서, 시트의 쿠션을 천이나 가죽 등으로 싼 형태의 의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집안 거실 등에 위치하여 일상생활에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곳이나, 기타 휴식 장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소파의 특징 중 하나인 쿠션은, 사무용 의자보다 풍부하기 때문에 소파에 앉는 사용자에게는 안락함을 제공하는 반면, 쿠션의 출렁거림에 의해 소파에 어떤 물건을 안정되게 올려 놓기가 어려워진다. 즉, 쏟아지기 쉬운 차잔이나 커피잔 기타 음료수 잔을 소파에 그대로 올려 놓을 수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물건들을 안정되게 놓기 위해서 소파 앞에는 물건을 놓기 위한 별도의 탁자를 함께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소파 자체에 트레이를 부착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7647호가 있다. 도 1은 상기 실용신안에서 도시된 형상인데, 이를 보면 소파용 팔걸이에 트레이를 부착하여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소파의 팔걸이 즉 소파 양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왼쪽이나 오른쪽 어느 한쪽에 위치한 경우 다른쪽에 앉은 사람은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또한 소파의 팔걸이도 그 형상이나 크기 굵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한 구조의 소파도 존재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트레이에 수용되는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가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소파의 가운데 지점이나 가장자리 등 어느 위치에나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소파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컵을 수용하는 수용홈(150); 및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어, 컵을 지지하는 틸팅부재(160);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재는, 서로 각도를 이루면서 컵의 바닥부와 컵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 상기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를 연결하는 중심부(163); 및 상기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재가 틸팅 가능하게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도록 하는 틸팅부재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제공한다.
상기 틸팅부재(160)는, 상기 틸팅축을 지나는 대칭선(X-Y)에 의해 나누어지는 두 부분이 합동인 것이 좋다.
상기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의 상면에는 마찰부재(161a,162a)가 구비되어 컵과 맞닿는 곳에 마찰력을 부여한다.
상기 틸팅부재(160)의 무게중심(CG)은 상기 틸팅축을 지나는 수직축(A-B) 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틸팅부재에서 컵이 제거되면, 상기 컵의 측면을 지지하던 틸팅부재의 제2지지부(162)는 외측으로 틸팅하게 된다.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는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며, 상기 틸팅부재 결합수단은 상기 중심부와 상기 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축과 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구성의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음료수 잔이나 컵을 틸팅수단을 통해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컵홀더를 소파에 적용하면 트레이 상의 수용홈에 놓인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파용 수납기구를 보여주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소파용 트레이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용 트레이의 일부 구성의 상세도이며,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5의 A, B 부분의 확대도이며, 회동하는 힌지부의 상세도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용 트레이의 다양한 사용상태를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용 트레이에 구비되는 컵 수용홈의 모습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용 트레이에 구비되는 틸팅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용 트레이에 구비되는 틸팅부재의 틸팅동작 모습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용 트레이에 구비되는 틸팅부재의 무게 중심과 대칭형상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소파용 트레이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용 트레이의 일부 구성의 상세도이다. 도 5에서 A, B로 표시한 부분의 상세 확대도가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되고 있으며 힌지부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소파의 중앙 가운데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트레이(100)이며, 크게 보아 소파 위에 놓여지는 본체(110)와 본체를 소파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본체(110)는 컵이나 잔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15)이 상면에 형성되며, 기타 신문이나 잡지 등도 상면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로드(121)와, 상기 결합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소파의 틈새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부(122,124)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재(120)의 결합로드(12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본체결합부(112)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결합로드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a,b,c)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본체결합부(112)는 결합로드가 삽입되는 하나의 홈이 형성된 하나의 부재일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결합부재(112-1,112-2,112-3)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결합부재(112-1,112-2,112-3)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깊이의 홈(a,b,c)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로드(121)가 복수 개의 결합부재(112-1,112-2,112-3)들 중 적절한 깊이의 홈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것은 소파는 제조사에 따라 또는 사용처에 따라 그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므로, 상기 트레이 본체(110)가 적당한 높이에서 소파에 놓이게 하기 위해서는 결합로드가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소파 크기나 높이를 고려하여 사용자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112-1,112-2,112-3) 중 적절한 곳을 선택하여 결합하게 되어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재(120)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결합로드(121)와 상기 삽입고정부(122,124)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재(123)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로드와 간격재 사이에는 제1힌지(H1)가 구비되어, 이들이 서로 상대적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삽입고정부와 간격재는 제2힌지(H2)가 구비되어 상대적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간격재(123)를 기준으로 결합로드(12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간격재(123)를 기준으로 상기 삽입고정부(122,124) 역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H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 회동가능한 구성이면 어떤 구조이든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재(123)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90°정도 회동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다만, 도 6에서 도시된 제1힌지 구조는 하나의 예시적인 형태이며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모습의 힌지 구조가 가능하다.
이것은 결합로드(121)가 상기 본체(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으로 간격재(123)가 90°정도 회동하여 도 8에 도시된 형태(소파에 장착된 모습)로 되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으로 간격재(123)가 90°정도 회동한 상태(수납 상태)할 수도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9에서 도시된 형태는 상기 결합부재(120)가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들어가서 컴팩트한 상태가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소파용 트레이(100)를 집안에서 소파에 설치하지 않고 수납하는 경우 또는 트레이를 판매하여 배송하는 과정에서 부피를 줄여서 컴팩트한 구조로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힌지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고정부(122,124)의 일단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부재(122a)와 상기 간격재(123)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를 감싸면서 끼워지져서 회동하는 제2부재(123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부재(123a)는 상기 제1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둥근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힌지(H2)의 구조로 인해, 상기 삽입고정부(122,124)는 상기 간격재(123)를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30°, 45°, 90° 등)로 회동이 가능하다.
이렇게 다양한 각도로 회동이 필요한 이유는 소파의 다양한 구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는 좌석부(도 10의 S1)와 등받이부(도 10의 S2)로 이루어지고, 좌석부(S1와 등받이부(S2) 사이에는 틈(도 10의 G)이 존재하며, 본 발명의 삽입고정부(122,124)는 소파의 상기 틈(G)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소파의 틈(G)은 소파 좌석부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1과 같이 수평면에 대해 45°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평면에에 대해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다양한 소파의 구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122,124)를 상기 간격재를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다만, 도 7에서 도시된 제2힌지 구조는 하나의 예시적인 형태이며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모습의 힌지 구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삽입고정부(122,124)는 소파의 틈(G)에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삽입고정부(122,124)는 서로 번갈아 가면서 반대방향으로 만곡진 형상의 제1탄성부재(122)와 제2탄성부재(124)로 이루어진다. 제1탄성부재(122)와 제2탄성부재(124)는 소파 틈(G)에 삽입되면 만곡 형상이 압축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과정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5에서 미설명부호 125는 상기 제1탄성부재(122)와 제2탄성부재(124)의 타단이 결합되는 부재이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트레이 상면에 구비되어 컵을 지지하는 틸팅부재(16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편의상 본체(110)와 상기 틸팅부재(160)를 포함하는 구성을 컵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부재이므로 '컵홀더'라고 칭한다.
즉,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서 컵홀더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컵을 수용하는 수용홈(150)과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어, 컵을 지지하는 틸팅부재(160)를 포함한다. 틸팅부재는 트레이에 놓여지는 컵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컵이 위치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는 틸팅부재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적절한 숫자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컵의 외주면에 3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틸팅부재(160)는 컵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 및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를 연결하는 중심부(163)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는 동일한 형상이면서 서로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중심부(163)에 결합된다.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이 놓여지면 컵의 바닥부와 컵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상기 중심부(163)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틸팅축(164)이 구비된다. 상기 틸팅부재는 틸팅축이 상기 컵 수용홈(150)에 구비된 축결합홈(미도시)에 결합되어, 틸팅부재의 틸팅동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틸팅축과 축결합홈이라고 하였으나, 축이 수용홈에 형성되고 홈이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틸팅동작'이란, 수용홈(150)에 컵이 놓여진 경우와 컵이 수용홈에서 제거된 경우에 상기 틸팅부재가 소정각도 만큼 상기 틸팅축을 기준으로 회전(회동)하는 동작이며, 도 14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틸팅부재의 동작을 의미한다. 즉, 컵이 놓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틸팅부재에서 상기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62)는 외측으로 회동하여 위치하고(도 14), 컵이 놓여진 상태에서는 상기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62)는 내측으로 회동하여 위치하게 되는데(도 15), 이러한 동작을 본 발명에서는 틸팅동작이라고 한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틸팅부재(160)는 상기 틸팅축을 지나는 대칭선(X-Y)에 의해 나누어지는 두 부분이 합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대칭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상으로 제작되어 조립과정에서 또는 사용자가 소파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조립 방향이 반대로 되더라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의 상면에는 마찰부재(161a,162a)가 구비되어 컵과 맞닿는 곳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틸팅부재(160)의 무게중심(CG)은 상기 틸팅축을 지나는 수직축(A-B) 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틸팅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틸팅부재에서 컵이 제거되면, 틸팅부재(160)는 자체 무게중심에 의해 틸팅부재의 제2지지부(162)는 외측으로 틸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컵홀더를 갖는 소파용 트레이에 대한 것이다. 다만, 상기 컵홀더는 소파용 트레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트레이 또는 기타 다른 물품이라도 상기 틸팅부재를 갖는 컵홀더가 적용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본체(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컵을 수용하는 수용홈(150);과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어, 컵을 지지하는 틸팅부재(160); 및 상기 본체를 소파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재는,
    서로 각도를 이루면서 컵의 바닥부와 컵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
    상기 제1지지부(161)와 제2지지부(162)를 연결하는 중심부(163); 및
    상기 중심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틸팅부재가 틸팅 가능하게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도록 하는 틸팅축(16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결합로드(121)와, 상기 결합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소파의 틈새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부(122,124)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고정부(122,124)는,
    서로 번갈아 가면서 반대방향으로 만곡진 형상이며, 소파 틈에 삽입되면 만곡 형상이 압축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제1탄성부재(122)와 제2탄성부재(124)로 이루어지는 소파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재(160)는, 상기 틸팅축을 지나는 대칭선(X-Y)에 의해 나누어지는 두 부분이 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용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재(160)의 무게중심(CG)은 상기 틸팅축을 지나는 수직축(A-B) 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틸팅부재에서 컵이 제거되면, 상기 컵의 측면을 지지하던 틸팅부재의 제2지지부(162)는 외측으로 틸팅하고, 상기 제1지지부(161)는 상측으로 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용 트레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27987A 2019-03-12 2019-03-12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 KR10219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987A KR102196164B1 (ko) 2019-03-12 2019-03-12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
PCT/KR2020/003345 WO2020184962A1 (ko) 2019-03-12 2020-03-11 소파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987A KR102196164B1 (ko) 2019-03-12 2019-03-12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29A KR20200109029A (ko) 2020-09-22
KR102196164B1 true KR102196164B1 (ko) 2020-12-29

Family

ID=7270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987A KR102196164B1 (ko) 2019-03-12 2019-03-12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1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6976A1 (en) * 2001-12-12 2003-06-12 Gebhard Then Holder for vessels, especially drink containers
JP2011068173A (ja) * 2009-09-24 2011-04-07 Nippon Plast Co Ltd 容器保持装置
JP2013046648A (ja) * 2011-08-29 2013-03-07 Shogo Yabe カップ・小物ホル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4053B1 (en) * 2003-02-18 2004-07-20 Sam Han Object hol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6976A1 (en) * 2001-12-12 2003-06-12 Gebhard Then Holder for vessels, especially drink containers
JP2011068173A (ja) * 2009-09-24 2011-04-07 Nippon Plast Co Ltd 容器保持装置
JP2013046648A (ja) * 2011-08-29 2013-03-07 Shogo Yabe カップ・小物ホル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29A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632B2 (en) Seating unit with accessories
US10161564B1 (en) Drink receptacle with elastomeric, semi-rigid strap for interference fit securement
EP1163865A2 (en) Ergonomic chair
US6059357A (en) Chair with adjustable table
KR102196164B1 (ko)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
KR102196162B1 (ko) 회동가능한 고정부재를 갖는 소파용 트레이
KR102293833B1 (ko)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모듈형 소파
KR101145803B1 (ko)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106095B1 (ko)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WO2020184962A1 (ko) 소파용 트레이
CN205162470U (zh) 便携式靠背椅
JPS60215323A (ja) 椅子の座席支持装置
KR101588709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1591947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20070029226A (ko) 개량형 수강 의자
KR20140038072A (ko)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CN115530561B (zh) 自适应坐具
CN218219625U (zh) 一种可调节靠背的钓椅
KR200284325Y1 (ko) 스탠드형절첩식거울
CN220141208U (zh) 一种折叠桌板及沙发
US20220202193A1 (en) Multifunctional sofa
CN218355217U (zh) 午睡枕二合一坐姿矫正器
CN211242441U (zh) 一种时尚简约型座椅
CN209563822U (zh) 一种椅面可活动的椅子
CN208371338U (zh) 椅架及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