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325Y1 - 스탠드형절첩식거울 - Google Patents

스탠드형절첩식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325Y1
KR200284325Y1 KR2019980021452U KR19980021452U KR200284325Y1 KR 200284325 Y1 KR200284325 Y1 KR 200284325Y1 KR 2019980021452 U KR2019980021452 U KR 2019980021452U KR 19980021452 U KR19980021452 U KR 19980021452U KR 200284325 Y1 KR200284325 Y1 KR 200284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ain body
pedestal
coupl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907U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2019980021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32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325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울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결합부의 결합력이 취약해지지 않도록 하여 조절되어진 거울의 각도가 임의데로 가변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벽걸이용 거울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형 절접식거울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전면에 유리면(120)이 부착되어진 본체(110)를 사각체의 판상으로 구성하되, 그 이면의 테두리면(112)이 저면부를 제외하고 3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테두리면(112)에 의해 본체(110)의 이면에 받침대 수용부(118)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그 하단의 중앙에는 결합부(114)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결합부(114)가 판상으로 구성되어진 받침대(130)의 일측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진 힌지부(132)사이에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32)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관통공(134)내에 세레이션축(140)과 스프링핀(150)을 순차적으로 각각 삽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탠드형 절첩식거울{A collapsible standing mirror}
본 고안은 스탠드형 절첩식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울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힌지의 결합시 결합부가 파손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되더라도 힌지 결합부의 결합력이 취악해 지지 않도록 하여 조절되어진 거울의 각도가 임의대로 가변되지 않고, 또한 필요에 따라 턱걸이용 거울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형 절접식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거울은 크게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결이형 거울과; 장식대나 화장대등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형 거울; 그리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거울(또는 손거울이라 함)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열거한 거울중에서 스탠드형 거울은, 그 크기가 대체적으로 작으면서도 거울을 세워놓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어 여성들의 미용용으로 널리 사용되는데, 특히 근래에는 상기 스탠드형 거울의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킨 것이 널리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1 은 종래 스탠드형 거울의 일반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스탠드형 거울은, 전면에 유리면(200)이 부착되어지고 그 후면에는 연결구(240)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본체(220)와; 상기본체(2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상면에는 본체(220)의 연결구(240)와 핀(260)을 통하여 결합되는 받침대(300)로 구성되어, 수평 바닥면에 놓이게 되는 받침대(300)에 대해 유리면(200)이 부착되어진 본체(220)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각도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종래의 스탠드형 거울은, 각각의 연결구(240)(280)사이에 결합되어진 핀(260)을 중심축으로 하여 받침대(300)에 대해 유리면(200)이 부착되어진 본체(220)가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사용후에도 상기 스탠드형 거울을 절첩시킬 수 없어 서랍등에 간편하게 수납시켜 보관할 수가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 연결구(240)(280)는 핀(260)을 매개로 결합됨으로서 유리면(200)이 부착되어진 본체(220)의 각도를 수시로 변경시키게 되면 그 결합력이 쉽게 취약해지게 되어 각도를 조절하게 되더라도 상기 받침대(300)에 대해 본체(220)가 임의대로 유동하게 됨으로서 본체(220)의 결합각도를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거울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결합부의 결합력이 취약해 지지 않도록 하여 거울의 각도가 임의대로 가변되지 않도록 한 스탠드형 절접식거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벽면에 부착시켜 벽걸이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형 절첩식거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텐드형 절첩식거울은, 전면에 유리면이 부착되어진 본체를 사각체의 판상으로 구성하되, 그 이면의 테두리면이 저면부를 제외하고 3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테두리면에 의해 본체의 이면에 받침대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 하단의 중앙에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가 판상으로 구성되어진 받침대의 일측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진 힌지부사이에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관통공내에 세레이션축과 스프링핀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종래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거울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절첩식거울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절첩식거울의 결합부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절첩식거울이 벽걸이용 거울로 사용되어지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탠드형 절첩식거울 110: 본체
112: 테두리면 114: 결합부
116: 결합홈 118: 받침대수용부
120: 유리면 130: 받침대
132: 힌지부 134: 관통공
136: 걸이구멍 140: 세레이션축
142: 관통공 150: 스프링핀
200: 유리면 220: 본체
240: 연결구 260: 핀
280: 연결구 300: 받침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절첩식거울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절첩식거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절첩식거울의 결합부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절첩식거울(100)은, 전면에 유리면(120)이 부착되어진 본체(110)를 사각체의 판상으로 구성하되, 그 이면의 테두리면(112)이 저면부를 제외하고 3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테두리면(112)에 의해 본체(110)의 이면에 받침대 수용부(118)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그 하단의 중앙에는 양측면으로 부터 결합홈(116)이 각각 형성되이진 결합부(114)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114)는 판상으로 구성되어진 받침대(130)의 일측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진 복수개의 힌지부(132)사이에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32)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관통공(134)내에 금속재의 세레이션축(140)과 스프링핀(150)을 순차적으로 각각 삽입하여 구성되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130)의 양 힌지부(132)사이에 수용되어지는 본체(110)의 결합부(114)는 그 양단에 세레이션축(140)의 관통공(140)을 통하여 삽입되어진 스프링핀(150)의 일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116)이 각각 형성되어진 것이며, 또한 상기 세레이션축(140)의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142)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142)내에 스프링핀(150)이 억지 끼움됨과 동시에 그 내부의 관통공(142)내에 스프링핀(150)이 일부분이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130)의 폭은 본체(110)의 이면에 형성되어진 받침대수용부(118)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고 바닥면의 소정 위치에는 걸이구멍(136)이 형성되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절첩식거울(100)은, 거울을 구성하는 본체(110)와 받침대(130)가 각각 판상으로 구성되어지고, 또한 상기 본체(110)의 이면에는 받침대(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받침대수용부(118)가 형성됨으로서, 거울의 사용후에 상기 받침대(130)를 본체(110)의 받침대수용부(118)내에 밀착시켜 그 크기를 줄임으로서 서랍등과 같은 공간에 간편하게 보관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본체(110)와 받침대(130)와의 결합방법이 받침대(13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진 힌지부(132)의 관통공(134)내의 금속재로 구성되면서 그 외주면이 돌출부로 가공되어진 세레이션축(140)을 먼저 긴밀하게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레이션축(140)의 관통공(142)내에 스프링핀(150)을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관통시켜 그 노출된 선단이 본체(110)의 결합부(114)에 각각 형성되어진 상기 결합홈(116)내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본체(110)와 받침대(130)가 각도변형이 자유로우면서도 각도의 변환시 그 미끄럼마찰운동은 세레이션축(140)의 관통공(142)내에 억지끼움결합된 스프링핀(150)의 일단이 본체(110)의 결합홈(116)내에 미끄럼마찰운동을 하면서 받침대(130)에 대해 본체(110)의 결합부(114)가 상기 스프링핀(150)을 중심축으로 서서히 회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그 결합력이 쉽게 취약해지지 않아 종래와 같이 힌지 결합부가 결합되는 스프링핀에 의해 파손되거나 반복적인 사용으로 결합부가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본체(110)와 받침대(130)를 동시에 펼친 상태에서 받침대(130)에 형성되어진 걸이구멍(136)을 통하여 벽체에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어 스탠드형이 아닌 벽걸이용 거울의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에 유리면이 부착되어진 본체를 사각체의 판상으로 구성하되, 그 이면의 테두리면이 저면부를 제외하고 3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테두리면에 의해 본체의 이면에 받침대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거울의 사용후에 상기 받침대수용부내에 거울의 받침대를 절첩시킬 수 있어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됨으로서 서랍내에 간편하게 수납시켜 보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본체의 하단의 중앙에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가 판상으로 구성되어진 받침대의 일측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진 힌지부사이에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관통공내에 금속재로 구성된 세레이션축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에 스프링핀을 억지끼움하여 상기 스프링핀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대와 본체와의 결합이 견고성을 유지하게 됨으로서 받침대에 대해 본체의 조절되어진 각도가 임의로 변동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받침대를 펼친상태에서 이 받침대에 형성되어진 걸이구멍을 통하여 벽에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면에 유리면(120)이 부착되어진 본체(110)를 사각체의 판상으로 구성하되, 그 이면의 테두리면(112)이 저면부를 제외하고 3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테두리면(112)에 의해 본체(110)의 이면에 받침대 수용부(118)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그 하단의 중앙에는 양단에 결합홈(116)이 구비된 결합부(1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 결합부(114)가 판상으로 구성되어진 받침대(130)의 일측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진 힌지부(132)사이에 긴밀하게 수용되도록 한 스탠드형 절첩식거울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32)는 그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진 관통공(134)내에 세레이션축(140)과 스프링핀(150)을 순차적으로 각각 억지끼움 삽입하고, 상기 세레이션축(140)의 관통공(142)을 관통하여 노출된 스프링핀(150)은 일단은 힌지부(132)의 관통공(134)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절첩식거울
KR2019980021452U 1998-11-05 1998-11-05 스탠드형절첩식거울 KR200284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452U KR200284325Y1 (ko) 1998-11-05 1998-11-05 스탠드형절첩식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452U KR200284325Y1 (ko) 1998-11-05 1998-11-05 스탠드형절첩식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907U KR19990007907U (ko) 1999-02-25
KR200284325Y1 true KR200284325Y1 (ko) 2002-11-16

Family

ID=6951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452U KR200284325Y1 (ko) 1998-11-05 1998-11-05 스탠드형절첩식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3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02Y1 (ko) 2008-05-14 2010-06-07 김용연 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액자
KR100959787B1 (ko) 2008-06-26 2010-06-21 김서연 액자용 지지대
KR101143463B1 (ko) 2010-08-17 2012-05-08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단말기의 받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02Y1 (ko) 2008-05-14 2010-06-07 김용연 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액자
KR100959787B1 (ko) 2008-06-26 2010-06-21 김서연 액자용 지지대
KR101143463B1 (ko) 2010-08-17 2012-05-08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단말기의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907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12953S (en) Pair of arcuate console support arms for an exercise apparatus
JP3011988U (ja) 額立て
USD385126S (en) Bed tray
USD390849S (en) Cellular phone holder
USD408229S (en) Combined lid and utensil holder
USD377378S (en) Toy desk
USD431728S (en) Dining chair
USD435058S (en) Eyewear
USD394675S (en) Card badge
KR200284325Y1 (ko) 스탠드형절첩식거울
USD357364S (en) Folding bench
USD419759S (en) Umbrella
USD434806S (en) Graphic display unit
USD363877S (en) Strap holder
USD322893S (en) Foldable toothbrush
USD366316S (en) Ear piercer
USD432323S (en) Glider
USD534730S1 (en) Foldable support device
USD371279S (en) Foldable cup holder
CN209769463U (zh) 懒人桌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USD424620S (en) Cat-shaped desktop accessory holder
USD431727S (en) Dining chair
USD404931S (en) Foldable book stand
USD372156S (en) Octopus towel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