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8401A -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8401A
KR20140148401A KR1020147027344A KR20147027344A KR20140148401A KR 20140148401 A KR20140148401 A KR 20140148401A KR 1020147027344 A KR1020147027344 A KR 1020147027344A KR 20147027344 A KR20147027344 A KR 20147027344A KR 20140148401 A KR20140148401 A KR 20140148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clamping
clamping component
clamp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글라스 맥케이
Original Assignee
홍콩 터보 트롤리 리미디트 (넘버. 1636690)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2901048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2901048A0/en
Application filed by 홍콩 터보 트롤리 리미디트 (넘버. 1636690) filed Critical 홍콩 터보 트롤리 리미디트 (넘버. 1636690)
Publication of KR2014014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3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gravity-loaded or spring-loaded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의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104)를 안내용 케이블 또는 트랙에 이동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바, 상기 클램프(100)는:
상기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104)와 맞물리는 제1 맞물림 표면(106, 116)을 구비한 제1 클램프 부품(102); 및
상기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와 맞물리는 제2 맞물림 표면(132, 133)을 구비한 제2 클램프 부품(114)으로서, 제1 클램프 부품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소정 범위의 상대적 방위를 가지고 제1 클램프 부품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2 클램프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 표면(106, 116) 및 제2 맞물림 표면(132, 233)은, 상기 제2 클램프 부품(124)이 더 폐쇄되는 방위를 향해 피봇됨에 따라서, 제1 클램프 부품(102)과 제2 클램프 부품(114) 사이에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104)를 클램핑하는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Clamp and trolley system}
본 발명은 클램핑 장치(clamping arrangement), 트롤리, 및 트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트롤리와; 브리지 크레인(bridge crane), 및 와이어 또는 트랙을 따라서 이동하는 다른 플랜트와 같은 시스템을 위하여 파워 케이블, 공기 호스, 등을 전달하기 위해 트롤리에 결합되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특히 브리지 크레인 적용예에 유용한 트랙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및 트랙 시스템은 함께 이용될 수 있지만, 꼭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폭넓은 범위의 산업용 및 상업용 적용예들에서, 동력식의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집 크레인(jib crane), 브리지 크레인, 또는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과 같은 리프팅 장치에 의하여 부하(load)를 일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운송 및 승강시킴이 관련된다. 그러한 크레인에는 통상적으로 트롤리 내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롤러 상에 있는 부하를 승강시키기 위한 호이스트(hoist)가 포함딘다. 트롤리 또는 롤러가 집(jib), 붐(boom), 또는 브리지 내에서 또는 그것을 따라서 주행함으로써, 부하가 상기 집, 붐, 또는 브리지의 길이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브리지 크레인의 경우, 한 쌍의 떨어져 이격된 평행한 가이드(guide)들 또는 트랙들이 상기 브리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브리지는 상기 평행한 가이드들 사이의 간극에 걸쳐 있다. 상기 브리지의 단부들은 통상적으로 롤러들 또는 트롤리들에 의하여 지지되어서, 브리지는 상기 평행한 가이드들의 길이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평행한 가이드들은 통상적으로 바닥부에 장착되고 하나 이상의 비임(beam) 및/또는 칼럼(column)을 포함하는 구조체, 또는 상기 크레인이 내부에 수용되는 빌딩의 오버헤드 구조체 또는 지붕으로부터 매달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부하는 상기 브리지가 미치는 범위 내의 어느 곳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동력식 크레인들에서는, 가이드들을 따라서 브리지를 움직이는 롤러들 또는 트롤리들과 브리지의 길이를 따라서 이동하는 호이스크와 같은, 크레인의 이동 요소(mobile element)들에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에너지 공급은 전기적, 공압적, 또는 유압적인 것일 수 있고, 상기 이동 요소들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적절한 케이블 또는 튜브가 상기 지지 구조체 및 크레인 구조체를 통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케이블 또는 튜브가, 와이어 또는 트랙을 포함하는 현수 시스템(catenary system)을 이용해서 상기 지지 및/또는 크레인 구조체들을 통해 경유되며, 상기 와이어 또는 트랙을 따라서는 케이블 또는 튜브를 운반하는 전용 트롤리가 주행한다. 공지된 케이블 또는 튜브 트롤리에 있어서의 한 가지 문제점은 그들이 케이블 또는 튜브를 트롤리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볼트(bolt)들 및 스페이서(spacer)들을 조합해서 이용한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피팅(fitting)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볼트 및/또는 스페이서가 완전히 해제되고 트롤리로부터 분리되며 트롤리에 재결합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성가시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볼트 및/또는 스페이서가 피팅 작업 중에 떨어지는 때에 그러하다.
종래의 케이블 또는 튜브를 이용한 트롤리에 있어서의 다른 문제점은, 그것이 한 가지 유형의 현수 시스템, 즉 와이어 시스템 또는 트랙 시스템에만 적합하다는 것이다. 트롤리가 트랙 시스템과 함께 이용되는 경우에는, I-빔 트랙 또는 C형상 트랙과 같은 특정 형상의 트랙에 대하여 그러하다. 한 가지 형상의 트랙을 위해 설계된 트롤리는 통상적으로 다른 형상의 트랙에서 이용될 수 없거나, 잘 작동하지 않고 잼(jam)으로 귀결될 수 있다.
공지된 케이블 또는 튜브 트롤리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맞닥뜨리는 추가적인 문제점은, 그들이 일 유형의 케이블, 튜브, 또는 호스에만 적합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경유용 전기 케이블에 적합한 트롤리는 통상저으로 공압 호스를 운반하는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일부 트롤리는 심지어 더 특화되어 있어서, 특정 형상 및 치수의 전기 케이블에 부착되기에만 적합하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의 케이블은 적용예에 따라서 넓은 범위 또는 형상 및 치수로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개선하는 향상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폭넓은 양태에서는,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의 파워 케이블(power cable), 호스(hose), 또는 튜브(tube)를 안내용 케이블 또는 트랙(track)에 이동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clamp and trolley system)이 제공되는바,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와 맞물리는 제1 맞물림 표면(first engagement surface)을 구비한 제1 클램프 부품(first clamp component); 및
상기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와 맞물리는 제2 맞물림 표면을 구비한 제2 클램프 부품으로서, 제1 클램프 부품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소정 범위의 상대적 방위를 가지고 제1 클램프 부품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2 클램프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 표면 및 제2 맞물림 표면은,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이 더 폐쇄되는 방위를 향해 피봇됨에 따라서, 제1 클램프 부품과 제2 클램프 부품 사이에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클램핑하는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 및 트롤리가 상호간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클램프는 트롤리 부착 부품(trolley attachment component)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는 클램프 수용 부품(clamp receiving component)을 포함하여 상기 클램프가 현장에서 트롤리에 부착됨과 트롤리로부터 분리됨을 가능하게 한다.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트롤리 부착 부품이 상기 제1 클램프 부품과 일체를 이룬다.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트롤리 부착 부품이 상기 제2 클램프 부품과 일체를 이룬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클램프 부품이: 상기 제1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는 표면을 구비한 바닥부(floor); 한 쌍의 측벽(side wall)들; 및 상기 측벽들 중 하나로부터 연장된 아암(arm);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은 상기 아암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발부분(foot)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맞물림 표면은 상기 발부분의 하측부에 의하여 제공된다. 상기 바닥부의 표면 및/또는 상기 발부분의 하측부는 볼록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표면 및/또는 상기 발부분의 하측부는 그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워 케이블 또는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chann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 부품의 각각의 측벽은 상기 발부분의 상측 표면에 대해 지탱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부분의 상측 표면은 상기 플랜지의 하측부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오목한 윤곽(concave profi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은, 잠금가능 체결구(lockable fastener)가 상기 발부분 내의 통공과 상기 아암 내의 통공을 통과하는 채로 상기 아암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맞물림 표면의 곡률 중심이 제2 맞물림 표면의 피봇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제1 맞물림 표면 및 제2 맞물림 표면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의 표면은 복수의 상대 위치들에서 제1 클램프 부품의 아암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어서, 본 발명이 폭넓은 양태에서 참조되는 상기 소정 범위의 상대적 방위에서의 결합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상대적 위치들은, 상기 클램프 부품들 중 하나에 있는 통공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반경방향 홈들과, 다른 클램프 부품에 있는 통공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반경방향 홈들에 맞물리는 복수의 대응되는 반경방향 융기부들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롤리 부착 부품이 상기 클램프가 상기 트롤리로부터 피봇가능하게 매달리도록 배치된 지탱부(bearing)를 포함한다. 상기 지탱부는 제1 클램프 부품 또는 제2 클램프 부품의 세장형 부재의 일 단부에 제공될 수 있고, 2차원으로의 피봇을 허용하는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클램프 부품은 상기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수용하도록 위로 개방된 두 개의 힌지결합부(hinged part)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진공 호스를 수용하기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은 분리가능한 스냅-온-피팅(snap on fitt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냅-온-피팅이 부착된 때에는 제2 맞물림 표면이 제1 맞물림 표면에 대해 더 가까이 이동되어 상기 시스템이 소형 크기의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롤리는 슬롯(slot) 형상의 트랙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가져서, 상기 T자 형상의 아암들이 슬롯 형상의 트랙의 양 측부에서 슬라이딩하고 상기 T자 형상의 몸통이 상기 슬롯을 통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아암들은 하나 이상의 분리가능한 잠금 부재(locking piece)에 의하여 상기 슬롯에 대해 직각으로 유지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몸통에 잠기되(lock) 상기 슬롯 형상의 트랙 안으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잠금 평온 부재들이 분리된 때에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트랙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트랙의 슬롯에 대해 평행한 방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몸통에 있는 통공의 양 측 안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잠금 부재들이 제공될 수 있는바, 상기 잠금 부재들은 톱니형상의 돌출부들의 협력에 의하여 상기 몸통에서 서로 잠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롤리는 안내용 케이블 상에서의 구름(rolling)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 상에서의 구름을 위한 휠(wheel)을 수용하는 트롤리의 몸체로부터 분리가능 판을 느슨하게 하고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트롤리의 케이블에 대한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롤리는 I-빔(I-beam)을 따라서 구르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트롤리는: 클램프 수용 부품을 수납하는 몸체에 장착되고 나사가 형성된 한 쌍의 로드(rod)들 또는 액슬(axle)들; 및 나사가 형성된 로드 또는 액슬 각각에 나사체결되는 휠 장치(wheel arrangement)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의 I-빔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휠 장치들을 상기 나사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휠 장치들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와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 는 도 1 에 도시된 클램핑 장치의 제1 클램프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2b 는 제1 클램프 부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클램핑 장치를 위한 클램핑용 발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클램핑용 발부분의 측면도이고;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클램핑용 발부분의 단부 입면도(end elevation)이고;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트롤리의 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7 은 도 1 에 도시된 트롤리의 분리가능 판의 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1 에 도시된 트롤리의 단부 입면도이고;
도 9 는 외부 트랙용 트롤리의 사시도이고;
도 10 은 내부 트랙용 트롤리의 사시도이고;
도 11 은 도 10 에 도시된 트롤리의 하측부 모습이고;
도 12a 는 진공 호스용 클램핑 장치의 제1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12b 는 진공 호스용 클램핑 장치의 제2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13a 및 도 13b 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클램프의 실시예의 변형모습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트롤리 부착 부품이 다양하게 배치되어 있고;
도 14 는 도 12a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유사한 변형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 는 작은 단면을 갖는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위한 클램프를 적합화시키는 부착재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a 및 도 16b 에는 상이한 구성의 제1 클램프 부품 및 제2 클램프 부품을 가지고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a, 도 17b, 및 도 17c 에는 슬라이딩 트랙(sliding track)에 적합화된 트롤리가 도시되어 있는바, 부품별로 그리고 사용 상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이 단순명료함을 위하여 제시된 것이고, 반드시 축적에 맞게 그려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 중 일부의 상대적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도록 왜곡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들에서, 통상적으로는 Pa66-gf25와 같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지만,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 시스템은 리프팅 장치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100)와, 케이블을 따라서 주행하는 트롤리(20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클램핑 장치(100)의 실시예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뒤이어 트롤리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 다음에는 내부 트랙 및 외부 트랙을 가지고 이용되는 트롤리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클램핑 장치(100)는, 갠트리 크레인, 집 크레인, 브리지 크레인, 또는 오버헤드 크레인과 같은 -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 리프팅 장치의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클램핑함에 이용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100)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거나, 원형이거나, 또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전기, 공압, 또는 유압 케이블 또는 튜브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2a 를 참조하면, 클램핑 장치(100)는 파워 케이블 또는 호스(104)를 수용하고 그와 맞물리는 제1 클램프 부품(102)을 포함한다. 제1 클램프 부품(102)은 바닥부(106)와, 상기 바닥부(106)로부터 상향으로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어 연장된 한 쌍의 측벽들(108, 110)을 포함한다. 아암(112)은 측벽(108)들 중 하나로부터 각도를 이루면서 상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아암(112)은 아암이 연장되기 시작하는 측벽(108)의 수직에 대해서 대략 36도로 각도를 이룬다. 그러나, 아암(112)의 다른 각도 및 길이가 채택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100)는, 파워 케이블 또는 호스(104)를 제1 클램프 부품(102)의 바닥부(106)에 대해 클램핑하기 위하여 아암(11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형태를 갖는 제2 클램프 부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클램프 부품(102)의 바닥부(106)는 볼록하고, 일 실시예에서는 대략 95mm 의 곡률반경을 가지지만, 더 크거나 작은 제1 클램프 부품을 위해서 다른 곡률반경이 채택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1 클램프 부품의 바닥부(106)가 바닥부(106)의 길이를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채널(116)을 포함하는데, 상기 채널은 그 안에 파워 케이블 또는 호스(1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도 1 및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16)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케이블의 일부분을 수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실질적으로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실시예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파워 케이블 또는 호스를 클램핑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바닥부(106)에서 채널(116)이 생략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제1 클램프 부품(102)의 각각의 측벽(108, 110)은 측벽들(108, 1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내향으로 연장된 플랜지(118)를 포함한다. 플랜지(11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벽들(108, 110)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도 1 및 도 2a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플랜지(118)드이 측벽들(108, 110)의 길이 전체로 연장된다. 각각의 플랜지(118)의 적어도 하측부(120)는 볼록한 윤곽(convex profile)을 가지며, 도 1 및 도 2a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플랜지(118)의 상측부(122)가 볼록한 윤곽을 갖는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 부품(102)의 아암(112)은 그 단부에 탭(tab; 124)을 포함하는바, 그 탭은 측벽들(108, 11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탭(124)의 대략적인 중심선에는 통공(126)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통공은 클램핑용 발부분(11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탭(124)의 표면(128)은 통공(126)의 위치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반경방향 홈(130)들을 포함한다. 홈(130)들은 잠금 메카니즘(locking mechanism)의 일부인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대응되는 융기부(ridge)들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클램프 부품(102)의 다른 일 실시예가 도 2b 에 도시되어 있는바, 그것은 도 2a 에 도시된 제1 클램프 부품(102)의 특징들 다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바닥부(106)의 하측부(123)는 하나 이상의 요부(125)들을 포함하여서, 볼록한 바닥부(106)의 적어도 일부분이 중공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요부(125)들은 제1 클램프 부품(102)을 위해 이용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질량 및 비용도 감소된다. 이 실시예에서, 볼록한 바닥부(106)는 대략 80mm 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제1 클램프 부품(102)의 측벽들(108, 110)은 테이퍼지고(tapered), 플랜지(118)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작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앞선 실시예보다 실질적으로 더 두껍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클램핑 장치(100)의 제2 클램프 부품의 클램핑용 발부분(114) 은 볼록한 베이스(13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의 상측부(134)는 제1 클램프 부품(102)의 측벽들(108, 110)의 플랜지(118)들의 하측부(120)들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인 오목한 윤곽을 갖는다. 볼록한 베이스(132)의 곡률 중심은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편심되어서, 상기 볼록한 베이스는 일 측부로부터 다른 측부로 테이퍼진다. 도 4 에 입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의 두께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가면서 증가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클램핑 장치(100)가, 제1 클램프 부품(102)의 바닥부(106)와 클램핑용 발부분(114) 사이에서 넓은 범위의 크기와 형상을 갖는 파워 케이블, 호스, 튜브, 등을 클램핑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도 3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클램프 부품(114)의 베이스(132)의 적어도 일부분은 내측에 파워 케이블, 튜브, 또는 호스(1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채널(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133)은 베이스(132)의 길이 전체로 연장된다. 채널(116)이 제공된 때에, 베이스에 있는 채널(133)은 제1 클램프 부품(102)의 바닥부(106)에 있는 채널(116)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클램핑용 발부분(114)은 베이스(132)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몸체부(136)를 포함한다. 클램핑용 발부분(114)은 추가적인 강도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웹(web; 1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용 발부분(114)은 관통하는 통공(142)을 가진 배럴(barrel; 140)을 포함한다. 통공(142)은 배럴(140)의 중심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는데, 이들 둘 다는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몸체부(136)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룬다.
잠금가능 체결구가 클램핑용 발부분의 배럴(140) 내에 있는 통공(142)과 아암(112) 내에 있는 통공(126)을 통과하는 채로, 클램핑용 발부분(114)은 제1 클램프 부품(102)의 아암(11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잠금가능 체결구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하나 이상의 와셔(washer), 및 윙 너트(wing nut; 144)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체결구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럴(140)은 볼트의 육각 헤드를 수용하는 요부(135)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40)의 표면(146)은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배럴 안에 있는 통공(142)의 위치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융기부(148)들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용 발부분(114)에 있는 복수의 반경방향 융기부(148)들은 제1 클램프 부품(102)의 아암(112)의 탭(124)에 있는 복수의 반경방향 홈(130)들에 의해서 또는 그 홈들 안에 맞물리고, 이것은 클램핑용 발부분(114)을 제1 클램프 부품(102) 안에 복수의 상대적인 위치들로 잠그는 데에 도움이 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잠금 효과를 얻기 위하여,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배럴(140)의 표면(146)에 홈(130)들이 제공되고 제1 클램프 부품(102)의 아암(112)에 융기부(148)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들 및 융기부들이 예를 들어 반원형 패턴과 같은 상이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홈들 및 융기부들이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클램핑용 발부분(114)은 베이스의 반대측 단부에 지탱부(bearing; 150)를 포함하는데, 상기 지탱부는 제1 클램프 부품(102)과 클램핑용 발부분(114)을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100)를 트롤리(200)로부터 피봇가능하게 매달리게 하는 기능을 한다. 지탱부(150)는 클램핑용 발부분의 배럴(140)로부터 돌출된 세장형 부재(elongate member; 152)의 단부에 제공된다. 지탱부(150)는, 트롤리(200)에서의 매끄러운 피봇팅(pivoting)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리고 트롤리(200)의 움직임 중에 잼(jam)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부분(15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리프팅 장치의 파워 케이블, 호스, 튜브, 등을 위한 트롤리(200)가 제공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200)는 여기에 개시된 클램핑 장치(100)와 함께 이용될 수도 있지만, 트롤리(200)는 반드시 클램핑 장치(100)와의 이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클램핑 장치 또는 행거(hanger)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 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200)는 몸체(202), 상기 몸체에 장착가능한 분리가능 판(204), 및 상기 몸체(202)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휠 또는 롤러(206)를 포함한다. 이 특징물들 각각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트롤리(200)의 몸체(202)는 클램핑 장치의 지탱부를 피봇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반구형이거나 보울(bowl) 형상인 안착부(208)를 포함한다. 안착부(208)는, 리프팅 장치의 파워 케이블 또는 호스(104)를 클램핑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된 클램핑 장치(100)의 지탱부(150)를 수용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되어 있다. 몸체(202)는 안착부(208)에서의 지탱부(150)의 배치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슬롯(210)을 포함한다. 슬롯(210)을 통하여서는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세장형 부재(152)가 통과할 수 있고, 안착부(208)의 베이스에 있는 통공(212)은 지탱부(150)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08) 내에 수용된 때에 세장형 부재(152)가 돌출됨을 허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몸체(202)는 몸체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벽(214)을 포함한다. 벽(214)은 적어도 하나의 휠(wheel) 또는 롤러(roller)를 몸체(202)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함을 위한, 체결구를 수용하는 통공(216)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몸체(202)는 몸체(202)에 장착가능하고 도 7 에 도시된 분리가능 판(220)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218)도 포함한다. 채널(218)은 만곡하고 슬롯(210)에 의해 끊겨져 있다. 채널(218)에 인접하여서는 요부(222)가 있는데, 이 요부는 분리가능 판(220)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224)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218)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룬다. 벽(214)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가지며, 벽(214)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만곡한 플랜지(226)를 포함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능 판(220)은 관통하는 통공(230)을 가진 벽(228)과, 베이스 부분(232)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232)은 트롤리(200)의 몸체(202)의 요부(222)와의 맞물림을 위한 돌출부(224)들을 포함한다. 벽(228)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가지며, 벽(228)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이중 플랜지 장치(234)를 포함한다. 이중 플랜지 장치(234)는 만곡하고, 몸체(202)의 만곡한 플랜지(226)를 수용하도록 된 형상을 갖는다.
도 8 에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몸체(202)와 분리가능 판(220)이 도시되어 있는바, 그 사이에는 가이드 휠(guide wheel; 236)이 보유된다. 돌출부(224)들은 몸체(202)의 요부(222)와 맞물리고, 베이스 부분(232)은 채널(218) 안에 수용된다. 체결구는 판(220) 안에 있는 통공(230), 가이드 휠(236) 안에 있는 통공, 및 몸체(202) 안에 있는 통공(216)을 통과한다. 판(220)의 이중 플랜지 장치(234)는 몸체(202)의 만곡한 플랜지(226)를 수용한다. 몸체(202), 판(220), 및 가이드 휠(236)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하여 윙 너트(238)가 체결구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구는 직선형 핀을 포함하는 볼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상기 핀 상에서는 가이드 휠(236)이 판(220)과 몸체(202)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전한다. 윙 너트(238)의 고정 전에, 강철로 된 와셔와 나선형 스프링이 추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체결구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 휠(236)은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따라서 연장된 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트롤리(200)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현수 파워 공급 시스템(cable or wire catenary power supply system)에 특히 적합하다.
도 1 의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 및 도 8 을 참조할 때, 사용시에는 현수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윙 너트(238)를 느슨하게 하여 분리가능 판(220)을 몸체(20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트롤리(200)가 현수 케이블에 부착된다. 그 다음, 트롤리(200)의 몸체(202)에 분리가능 판(22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윙 너트(238)가 체결된다. 윙 너트(238)와 분리가능 판(220) 중 어느 것도 완전히 분리될 필요는 없으므로, 피팅 중에 낙하할 수 있는 분리된 부품이 없게 된다. 클램핑 장치(100)에 케이블 또는 호스(104)를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윙 너트(144)를 느슨하게 하고, 제1 클램프 부품(102)의 탭(124)과 배럴(140)의 통공(142)을 통해서 지나가는 체결구를 중심으로하여 클램핑용 발부분(114)을 제1 클램프 부품(102)로부터 멀리 회전시킨다. 클램핑용 발부분(114)은 볼록한 베이스(132)의 두꺼운 측부 방향으로 멀리 회전된다. 케이블 또는 호스(104)는, 제1 클램프 부품(102)의 바닥부(106) 상에 배치되고, 클램핑용 발부분(114)이 볼록한 베이스(132)의 얇은 측부 방향으로 되돌아 회전됨에 따라서 볼록한 베이스(132)와 바닥부(106) 사이에 끼워진다(wedged).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배럴(142)의 표면(146)과 제1 클램프 부품(102)의 탭(124)의 표면(128) 사이에서 홈(130)들과 맞물리는 융기부(148)들은, 윙 너트(144)가 조여짐에 따라서 케이블 또는 호스(104)가 제 위치에 확고히 유지된 채로 클램핑용 발부분(114)을 제1 클램프 부품(102) 내의 제 위치에 잠그는 역할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또는 호스(104)의 클램핑 중에 낙하하거나 잃어버릴 수 있는 부품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9 에는 트롤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그것은 외부 트롤리로서 이용되기 위한 것이다. 트롤리(300)는 몸체(202)와 일체를 이루는 액슬 상에 한 쌍의 나사부(302)들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웹(web)(미도시)이 장착용 요소들을 몸체(202)에 결합시킨다. 몸체(202)는,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지탱부(150)를 피봇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208)와 안착부(208) 상에 지탱부(150)의 배치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슬롯(21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된 몸체(202)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판(304)은, 예를 들어 내부 나사를 포함하는 통공(305)을 통해서,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로드 또는 액슬(302) 각각의 개별 단부들에 장착된다. 유니버셜 비임 또는 칼럼(universal beam or column)과 같은 중실의 비임 또는 칼럼의 외측부를 따라서 주행하도록, 각각의 판(304)에는 하나 이상의 휠 또는 롤러(30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판(304)에 한 쌍의 롤러(306)들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아래에 매달리는 트롤리 또는 상부에서 주행하는 트롤리를 위한 I-빔을 따라서 주행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트롤리(300)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비임 및 칼럼과 함께 이용될 수 있겠끔 적합화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된 로드 또는 액슬(302)들의 길이를 따른 판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나사가 형성된 로드 또는 액슬(302)들 중 하나는 오른 나사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왼 나사를 갖는다. 대안적으로는, 적용예에 따라서 상이한 길이로 나사가 형성된 로드 또는 액슬(302)들이 몸체(202)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트롤리(400)는 내부 트롤리로서의 이용을 위한 것이다. 도 10 에는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어 있으나, 전술된 롤러(306)와 같은 복수의 휠 또는 롤러들이, 중공의 트랙의 내측을 따라서 주행하도록 몸체(20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0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몸체(202)는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지탱부(150)를 피봇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208)와, 안착부(208) 상에서 지탱부(150)의 배치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슬롯(210)을 포함한다. 몸체(202)는 지지부(402)를 포함하는바, 상기 지지부(402)는 몸체(202)로부터, 휠 또는 롤러들이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곳까지 상향으로 연장된다. 도 10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02)가 상기 지지부의 양 측부들에 두 개, 즉 총 네 개의 롤러들을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통공(404)들을 포함한다. 휠 또는 롤러(306)들이 안착부(208) 위의 중앙에 장착되고 균형의 목적을 위하여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지지부(402)의 형상과 통공(404)들의 위치가 정해진다. 도 11 에는 특히 이와 같은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안착부(208)의 베이스에 있는 통공(212) 위에서의 지지부(402)의 중앙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 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클램프 부품(102)은 두 개의 힌지결합부들(102A, 102B)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각각 도 12a 및 도 12b 에 도시되어 있다. 힌지결합부들(102A, 102B)은 힌지부들(hinge portions; 156, 158)을 통과하는 핀(미도시)를 거쳐서 힌지결합되지만, 대안적인 힌지 메카니즘이 이용될 수도 있다. 힌지결합부들(102A, 102B) 각각은 제1 클램프 부품(102)의 바닥부(106)의 개별 부분들(106A, 106B)을 포함한다. 측벽들(108, 110)은, 리프팅 장치의 진공 호스를 수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만곡한 표면을 형성하는, 개별의 만곡한 내부 벽들(108A, 11OB)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진공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클램프 부품(102)이 힌지를 구비하지 않은 단일체의 부품이다.
힌지결합부들(102A, 102B) 각각은 개별의 측벽(108, 110)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112A, 112B)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112A, 112B)은 개별의 탭(124A, 124B)을 포함한다. 탭(124A)의 표면(128)은 전술된 바와 같이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융기부들과 맞물리는 홈(130)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클램핑용 발부분(114)은 진공 호스를 만곡한 바닥부(106)와 제1 클램핑 부품의 만곡한 내부 측벽들(108A, 11OB) 사이에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아암들(112A, 112B)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램프 부품(102)의 양 측부들은 클램핑용 발부분(114)에 확고히 부착된다.
이제 도 13a 및 도 13b 를 참조하면, 대안적인 제1 클램프 부품(102) 및 제2 클램프 부품(114)이 도 1, 2, 3, 및 4 를 참조로 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것과 비교되게 도시되어 있다. 차이점은, 트롤리 부착 부품을 구성하는 세장형 부재(152)와 지탱부(150)가 제2 클램프 부품이 아니라 제1 클램프 부품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개발과정에서, 여기에 개시된 형상들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대안적인 변형예에 의하여, 클램핑된 케이블이 클램핑용 발부분(114)의 피봇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방위로 트롤리로부터 매달림이 허용되어서, 케이블을 위한 보다 우수한 피봇 효과가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제 도 14 를 참조하면, 도 12 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유사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제1 클램프 부품이 복합 힌지결합 부재(composite hinged entity; 102A 및 102B)이고, 도 14 의 변형예는 트롤리 부착 부품이 102A 에 있다.
이제 도 15 를 참조하면, 제2 클램프 부품(114)의 하측부에 대한 부착을 위한, 분리가능한 스냅-온-피팅(snap on fitting; 5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2 맞물림 표면(132)을 제1 맞물림 표면에 대해 더 가까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냅-온-피팅이 부착된 때에 더 작은 크기의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클램핑하도록 시스템을 적합화시킨다. 상기 스냅-온-피팅은 네 개의 부착 러그들(attachment lugs; 502, 504, 506, 508)을 구비하는바, 하나(508)를 제외한 이들 모두는 스냅-온-피팅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냅-온-피팅은 제1 클램프 부품(114)의 하측부(132)에 대응되는 상측 표면(510)을 구비하고, 벽(512)은 테이퍼진 발부분의 두꺼운 단부와 매칭(matching)된다.
도 16a 및 도 16b 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두 가지 반대측 모습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 클램프 부품들을 구비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으며, 그것은 특히 하나의 유닛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둥근 전기 케이블을 클램핑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 부품들은 전술된 체결구 구조(602)를 통하는 축(A)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부착되지만, 이 경우에는 제1 클램프 부품이 바닥부를 포함하지 않고 일 측부에 배치되며, 제2 클램프 부품은 다른 측부에 배치된다. 제1 클램프 부품은 제1 맞물림 표면(630)들을 포함하는바, 제1 맞물림 표면(630)들은 도 16a 에 도시된 상대적으로 폭넓은 벽(640)으로부터 도 16b 에 도시된 상대적으로 폭좁은 표면 벽(642)으로 가면서 벌어지게 테이퍼진다. 제1 클램프 부품은 축(A)에 곡률 중심을 가진 원호형 채널(606)도 포함하고, 제2 클램프 부품은 상기 채널과 맞물리는 돌출부(604)를 구비한 대응되는 원호형 표면(61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맞물림 표면(630)과 협동하도록 형상화된 제2 맞물림 표면(620)도 구비한다. 두 개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방향에서 보이는 공동(void; 650)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공동은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 및 체결에 의하여, 지나가는 케이블이 클램핑되는 곳을 나타내며, 이 때 상기 케이블의 직경과 무관하게 케이블은 지탱부(150) 아래의 중앙에서 클램핑된다.
이제 도 17a, 17b, 및 17c를 참조하면, 트롤리(700)는 슬롯 형상의 트랙(720) 상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가져서, 상기 T자 형상의 아암(704)들이 상기 슬롯 형상의 트랙(720)의 양 측부 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되고, 상기 T자 형상의 몸통(trunk; 706)이 그 슬롯을 통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아암(704)들은 하나 이상의 분리가능한 잠금 부재(710)들에 의하여 상기 슬롯에 대해 직각인 관계로 유지되며, 상기 잠금 부재(710)들은 상기 몸통 안에 잠겨지고(lock) 상방향으로 연장된 몸체(712)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슬롯 형상의 트랙(720) 안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잠금 부재(710)들이 제거된 때에 트롤리가 트랙의 슬롯에 대해 평행한 방위로 회전되어서 트랙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잠금 부재(710)들이 상기 몸통(706)에 있는 통공(708)의 어느 한 측부 안으로 삽입되고, 조력하는 톱니형상의 돌출부(714)들에 의해서 상기 몸통에 함께 잠겨진다. 상기 톱니형상의 돌출부(714)들은 약간 만곡한 형상을 갖는바, 이로 인하여 돌출부(714)들이 슬롯(708) 내측에 상호잠금의 방식으로 함께 끼워짐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클램핑용 발부분(114)이 여기에서 설명된 제1 클램프 부품(102)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1 맞물림 표면(102)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제2 맞물림 표면(114)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상호교체가능하고, 제2 맞물림 표면(114)은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트롤리들(200, 300, 400)과 상호교체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제공되는 시스템은, 여기에서 설명된 트롤리들(200, 300, 400), 클램핑용 발부분(114), 및 제1 클램프 부품(102)을 포함한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많은 변형예가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와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한 언어 또는 필수적인 의미로 인하여 문맥상 달리 해석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포함" 또는 "포함한다", "포함하는" 등과 같은 활용예들은 배타적이지 않는 의미로 사용된바, 즉 설명된 구성들이 존재한다는 의미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추가적인 구성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방법의 단계들이 기재되어 있다면 - 문맥상 그럴 수 밖에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 그 단계들이 반드시 쓰여진 순서대로 겹쳐지지 않게 수행되거나, 일단 시작된 다음에는 쉼없이 수행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여기에 어떤 종래 기술의 문헌이 참조되어 있다면, 그러한 참조는 해당 문헌의 내용이 - 호주에서든 임의의 다른 나라에서든 - 본 기술분야에서 주지관용의 지식에 속한다는 인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의 파워 케이블(power cable), 호스(hose), 또는 튜브(tube)를 안내용 케이블 또는 트랙(track)에 이동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clamp and trolley system)으로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와 맞물리는 제1 맞물림 표면(first engagement surface)을 구비한 제1 클램프 부품(first clamp component); 및
    상기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와 맞물리는 제2 맞물림 표면을 구비한 제2 클램프 부품으로서, 제1 클램프 부품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소정 범위의 상대적 방위를 가지고 제1 클램프 부품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2 클램프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 표면 및 제2 맞물림 표면은,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이 더 폐쇄되는 방위를 향해 피봇됨에 따라서, 제1 클램프 부품과 제2 클램프 부품 사이에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클램핑하는 형상을 가진,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및 트롤리는 상호간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클램프는 트롤리 부착 부품(trolley attachment component)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는 클램프 수용 부품(clamp receiving component)을 포함하여 상기 클램프가 현장에서 트롤리에 부착됨과 트롤리로부터 분리됨을 가능하게 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부착 부품은 상기 제1 클램프 부품과 일체를 이루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부착 부품은 상기 제2 클램프 부품과 일체를 이루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 부품은:
    상기 제1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는 표면을 구비한 바닥부(floor);
    한 쌍의 측벽(side wall)들; 및
    상기 측벽들 중 하나로부터 연장된 아암(arm);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은 상기 아암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발부분(foot)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맞물림 표면은 상기 발부분의 하측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표면 및/또는 상기 발부분의 하측부는 볼록한,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표면 및/또는 상기 발부분의 하측부는 그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워 케이블 또는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channel)을 포함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 부품의 각각의 측벽은 상기 발부분의 상측 표면에 대해 지탱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부분의 상측 표면은 상기 플랜지의 하측부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오목한 윤곽(concave profile)을 포함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은, 잠금가능 체결구(lockable fastener)가 제2 클램프 부품 내의 통공과 제1 클램프 부품 내의 통공을 통과하는 채로 상기 제1 클램프 부품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물림 표면의 곡률 중심이 제2 맞물림 표면의 피봇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제1 맞물림 표면 및 제2 맞물림 표면이 배치된,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의 표면은 복수의 상대 위치들에서 제1 클램프 부품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어서, 본 발명이 폭넓은 양태에서 참조되는 상기 소정 범위의 상대적 방위에서의 결합을 제공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대적 위치들은, 상기 클램프 부품들 중 하나에 있는 통공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반경방향 홈들과, 다른 클램프 부품에 있는 통공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반경방향 홈들에 맞물리는 복수의 대응되는 반경방향 융기부들에 의하여 얻어지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부착 부품은 상기 클램프가 상기 트롤리로부터 피봇가능하게 매달리도록 배치된 지탱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 부품은 상기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수용하도록 위로 개방된 두 개의 힌지결합부(hinged part)들을 포함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 부품은 분리가능한 스냅-온-피팅(snap on fitt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냅-온-피팅이 부착된 때에는 제2 맞물림 표면이 제1 맞물림 표면에 대해 더 가까이 이동되어 상기 시스템이 소형 크기의 파워 케이블, 호스, 또는 튜브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하게 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슬롯(slot) 형상의 트랙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가져서, 상기 T자 형상의 아암들이 슬롯 형상의 트랙의 양 측부에서 슬라이딩하고 상기 T자 형상의 몸통이 상기 슬롯을 통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아암들은 하나 이상의 분리가능한 잠금 부재(locking piece)에 의하여 상기 슬롯에 대해 직각으로 유지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몸통에 잠기되(lock) 상기 슬롯 형상의 트랙 안으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잠금 평온 부재(locking peaceful piece)들이 분리된 때에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트랙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트랙의 슬롯에 대해 평행한 방위로 회전될 수 있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에 있는 통공의 양 측 안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잠금 부재들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 부재들은 톱니형상의 돌출부들의 협력에 의하여 상기 몸통에서 서로 잠기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안내용 케이블 상에서의 구름(rolling)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 상에서의 구름을 위한 휠(wheel)을 수용하는 트롤리의 몸체로부터 분리가능 판을 느슨하게 하고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트롤리의 케이블에 대한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I-빔(I-beam)을 따라서 구르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클램프 수용 부품을 수납하는 몸체에 장착되고 나사가 형성된 한 쌍의 로드(rod)들 또는 액슬(axle)들과, 나사가 형성된 로드 또는 액슬 각각에 나사체결되는 휠 장치(wheel arrangement)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의 I-빔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휠 장치들을 상기 나사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휠 장치들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는,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KR1020147027344A 2012-03-15 2013-03-14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KR201401484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2901048 2012-03-15
AU2012901048A AU2012901048A0 (en) 2012-03-15 Clamping arrangements, trolleys and track systems
PCT/AU2013/000251 WO2013134824A1 (en) 2012-03-15 2013-03-14 Clamp and trolle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401A true KR20140148401A (ko) 2014-12-31

Family

ID=4916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344A KR20140148401A (ko) 2012-03-15 2013-03-14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04824B2 (ko)
EP (1) EP2825495B1 (ko)
JP (1) JP6218758B2 (ko)
KR (1) KR20140148401A (ko)
CN (1) CN104271489B (ko)
WO (1) WO20131348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590A (ko) * 2017-11-07 2019-05-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갖는 트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0858B2 (en) 2015-06-30 2018-03-20 Cnh Industrial America Llc Mounting device for tubular elements
JP6421109B2 (ja) * 2015-11-16 2018-11-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
CN105836622A (zh) * 2016-04-17 2016-08-10 昆山克鲁克机电设备有限公司 新型起重机电缆滑块
US10663087B2 (en) * 2018-02-12 2020-05-26 Honda Motor Co., Ltd. Power tool cable mount
CN109578693B (zh) * 2018-11-14 2020-06-30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管的支撑装置
US10998700B1 (en) * 2019-12-18 2021-05-04 Robert R. Seekell Block connector and base
US10920910B1 (en) * 2019-10-08 2021-02-16 Arlington Industries, Inc. Stackable cable hanger with latching feature
CN113363925B (zh) * 2021-06-02 2022-04-08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车端跳接电缆安装结构及电缆复位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226A (en) * 1915-06-21 1915-08-24 Curtis & Company Mfg Company Trolley.
US1883260A (en) * 1927-08-29 1932-10-18 William W Woodruff Suspension clamp
US1841656A (en) * 1930-02-08 1932-01-19 William W Woodruff Cable support
US2306498A (en) * 1941-04-23 1942-12-29 Line Material Co Clamping device
US2446887A (en) * 1944-06-19 1948-08-10 New Castle Products Trolley yoke structure
US2571832A (en) * 1949-02-23 1951-10-16 Manning Maxwell & Moore Inc Mobile support for flexible power supplying elements
US3704350A (en) * 1970-09-23 1972-11-28 Akira Itoh Cord hangers for hoist
JPS5717644Y2 (ko) * 1979-05-07 1982-04-13
JPS5944386U (ja) * 1982-09-16 1984-03-23 ト−ソ−株式会社 カ−テンランナ−
DE3409628A1 (de) * 1984-03-16 1985-09-26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Kabelwagen
GB8526795D0 (en) * 1985-10-31 1985-12-04 Mycock M H Cable handling system
DE4210280C1 (de) * 1992-03-28 1993-09-30 Stemmann Technik Gmbh Leitungswagen für Elektrokabel
FR2783645B1 (fr) * 1998-09-22 2000-11-24 Framatome Connectors Malico Dispositif d'ancrage pour ligne aerienne
JP3610023B2 (ja) * 2001-04-18 2005-01-12 新晃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ハンガ
CN201240765Y (zh) * 2008-06-17 2009-05-20 卫华集团有限公司 一种起重机上的小车托辊
DE102009020096B3 (de) * 2009-05-06 2010-05-06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Aufhängeelement einer Schleppleitungsanordnung
US8302919B1 (en) * 2010-02-03 2012-11-06 Mcgrath Andrew H Adjustable bracket assembly
CN201694751U (zh) * 2010-06-22 2011-01-05 陈家林 行车起重吊钩上行限位控制报警装置
CN201952117U (zh) * 2011-01-19 2011-08-31 周文川 新型气动起重机的气路控制系统及新型气动起重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590A (ko) * 2017-11-07 2019-05-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갖는 트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4824A1 (en) 2013-09-19
EP2825495A4 (en) 2015-12-02
US9604824B2 (en) 2017-03-28
CN104271489B (zh) 2016-10-26
US20150014509A1 (en) 2015-01-15
EP2825495A1 (en) 2015-01-21
JP6218758B2 (ja) 2017-10-25
JP2015509897A (ja) 2015-04-02
CN104271489A (zh) 2015-01-07
EP2825495B1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8401A (ko) 클램프 및 트롤리 시스템
JP5903098B2 (ja) 吊り下げ機とレールとを有する装置
JP5898231B2 (ja) 調整可能なキャリッジを持つ吊上装置
CA2823644C (en) Cantilever assembly
US9067765B2 (en) Rail for suspended conveyors and suspended cranes
US20120061527A1 (en) Suspension element of a trailing cable assembly
US20110036799A1 (en) Lifting Assemblies Including Trapezoidal Strong Back Beam Systems
US6499408B1 (en) Rail support assembly for monorail crane
US5881650A (en) Running mechanism for chain hoists, load carrying means for trailing cable
JPH05319774A (ja) 走行用レールの吊下支持装置
US20080210654A1 (en) Trolley for loading
JP2012056492A (ja) パイプレール走行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ロッコ、天井クレーン
KR200401381Y1 (ko) 삭도용 수평 캐리지
KR102105181B1 (ko) 레일용 스토퍼
JP3735854B2 (ja) 運搬装置
EP0656312A1 (en) A device for hanging travelling rails
CN215626235U (zh) 一种连接组件及吊装式输送系统
KR20240039475A (ko) 선박 블록내부 배관 이송용 지지장치
CN217815342U (zh) 一种竖向管道固定管卡
CN105109917A (zh) 一种循环牵引悬挂式输送机
JP2569588Y2 (ja) ビーム上作業用手すり
JP3049732U (ja) 鯉のぼり竿立て装置
JP4085180B2 (ja) 吊金具及び吊金車
JP2004067349A (ja) 建築部材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JPH0291382A (ja) 移動壁吊り下げ用遊動吊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