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181B1 - 레일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레일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181B1
KR102105181B1 KR1020190178774A KR20190178774A KR102105181B1 KR 102105181 B1 KR102105181 B1 KR 102105181B1 KR 1020190178774 A KR1020190178774 A KR 1020190178774A KR 20190178774 A KR20190178774 A KR 20190178774A KR 102105181 B1 KR102105181 B1 KR 102105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rolley
stopper
actuator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반스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7/00Railway stops fixed to permanent way; 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fixed to permanent way; Sand tracks or the like
    • B61K7/16Positive railway stops
    • B61K7/18Buffer stops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레일 상에서 트롤리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트롤리는 제 1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제 1 휠을 위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주행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암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배치와, 상기 아암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배치로 배치되며,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에 의해서 제 1 배치로부터 제 2 배치로 무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레일용 스토퍼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전이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일용 스토퍼{Stopper for Rail}
본 발명은 짚라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짚라인 레일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짚라인(공중 활주로)에는 상단 및 하단이 고정되는 경사 케이블이 설치되며, 상기 경사 케이블에는 자유롭게 굴러가는 풀리가 구비된 트롤리가 설치된다.
트롤리에 매달린 사용자(하중으로 작용)는 경사 케이블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중력에 의해 가속되고, 풀리는 경사 케이블의 최상부를 따라서 활주한다.
경사 케이블의 기울기는 전형적으로 20 분의 1에서 30 분의 1의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경사 케이블 처짐 및 경사 케이블의 적절한 장력은 사용자의 가속을 제어하기 위해 요구된다. 경사 케이블은 상단 및 하단에만 고정되므로, 경사 케이블은 곡선 또는 굽힘과 같은 측면 편차없이 선형 경로로 제한된다.
곡선 또는 굽힘과 같은 측면 편차를 포함하는 비선형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을 레일, 일반적으로 모노레일로 교체할 수 있다. 비선형 경로는 상기 레일이 장애물 주위를 돌거나 사용자의 즐거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레일의 최상부 부분은 프레임워크에 고정되거나, 예를 들어, 상기 레일 아래의 영역이 트롤리 및 사용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방해받지 않도록 천장 조이스트 또는 나무에 매달릴 수 있다.
즉, 상기 레일은 매달린 레일이며 일반적으로 지면 위 2 m에서 10 m 사이의 높이에 위치한다. 전형적인 레일은 고정 또는 매달기 위한 축방향(종방향) 플랜지를 가지는 상기 튜브를 구비한다.
풀리는 하나 이상의 자유 회전 휠로 대체되는데, 이 휠은 상단을 가로지르는 상부 측면에서 레일을 따라 구부러져 고정된 최상위 부분으로부터 멀어진다. 예를 들어, 휠은 축방향 플랜지의 어느 한 쪽을 굴릴 수 있다. 안전을 위해, 트롤리는 상기 레일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트롤리(즉, 캡티브 트롤리)가 레일에 남아 있도록 한다. 두 개 이상의 트롤리가 레일에 고정되어 두 개 이상의 개별 사용자가 그 위에 무빙할 수 있다.
레일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내림차순 부분, 오름차순 부분 및/또는 수평 부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10에서 1/60 사이의 평균 구배를 갖는 경사진다.
레일의 전체 길이는 다중 곡선 또는 굽힘, 하강 부분, 상승 부분 및/또는 수평 부분을 포함하여 500 m를 초과할 수 있다. 설치된 레일을 레일 트랙이라고 한다. 레일은 연속적인 레일일 수 있으며, 닫힌 레일 트랙을 형성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트롤리에 부착된 하네스를 통해, 예를 들면 스크류 잠금 카라비너를 사용하여 트롤리에 해제 가능하게 클립핑되는 경향이 있는 위치에서 트롤리에 매달린다. 전형적으로, 트롤리는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견고하거나 유연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짚라인을 타기 전에 하네스를 착용하고, 짚라인을 타기 시작하는 플랫폼 근처에서 짚라인을 타기 위해 대기하고 사용자의 하네스는 트롤리에 부착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핸들을 잡고 짚라인 탑승을 위해 플랫폼의 끝에서 약 10 m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짚라인의 타기 시작시 사용자의 하네스가 트롤리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예를 들면 짚라인 작업자 오류 또는 사용자의 과도한 열의로 인해). 대신에, 사용자는 트롤리에 부착된 사용자의 하네스 없이 단순히 핸들을 잡고 플랫폼에서 뛰어 내릴 수 있다. 핸들을 잡을 때 자신의 무게를 지탱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짚라인을 타고 넘어져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레일 또는 트롤리를 개선 할 필요가 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473755호(공고일: 2014.12.19)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1285553호(공고일: 2013.07.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레일용 스토퍼의 목적은, 짚라인 이용시에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주행면의 연속성이 보다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용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제 1 양태에 따른 레일용 스토퍼는, 레일 상에서 트롤리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트롤리는 제 1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제 1 휠을 위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주행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아암이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레일용 스토퍼는,
상기 아암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배치와, 상기 아암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배치로 구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가로지르는(횡단하는) 방향[횡방향]으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에 의해서 제 1 배치로부터 제 2 배치로 무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제 2 양태에 따른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는, 상기 스토퍼와, 제 1 휠을 포함하는 휠세트를 포함하는 트롤리용 레일 섹션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제 1 휠을 위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주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인 제 3 양태에 따른 레일 트랙은, 상기 레일 세트 및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제 2 양태에 따른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양태에 의한 본 발명은 트롤리 조립체를 제공하며, 상기 트롤리 조립체는, 상기 제 2 양태에 따른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 및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롤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 중인 하중의 부착, 바람직하게는 서스펜션을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5 양태에 의한 본 발명은 휠을 위한 주행면을 제공하는 레일용 트롤리를 제공하며,
상기 트롤리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휠 및 선택적으로 제 2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사용되는 하중의 부착, 바람직하게는 서스펜션을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짚라인 레일용 스토퍼는 짚라인 이용시에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주행면의 연속성이 보다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 배치로 구비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제 1 배치로 구비된 도 1의 스토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제 1 배치로 구비된 도 1의 스토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제 1 배치로 구비된 도 1의 스토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무빙하는 도 1의 스토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제 2 배치에서, 도 1의 스토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제 2 배치에서, 도 1의 스토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제 1 배치에서, 도 1의 스토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1의 상기 스토퍼를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상기 스토퍼를 위한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의 제 1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의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의 제 2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인 레일용 스토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트롤리를 정지시키기 위한 레일용 스토퍼, 바람직하게는 짚라인 레일용 스토퍼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 상기 레일 트랙, 트롤리 조립체 및 트롤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종속항 및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레일용 스토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용 스토퍼는 짚라인 레일용 스토퍼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레일상에서 트롤리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제공하며, 상기 트롤리는 제 1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삭제
상기 레일은 상기 제 1 휠을 위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주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아암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배치와, 상기 아암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배치로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가로지르는(횡단하는) 방향[횡방향]으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에 의해서 제 1 배치로부터 제 2 배치로 무빙(move)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아암은 트롤리를 차단함으로써, 트롤리가 레일상의 상기 스토퍼를 넘어서 주행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배치는 닫힌 배치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스토퍼는 배리어, 예를 들어 안전 배리어와 같은 역할을 하여, 트롤리를 정지 전에 레일의 해당 섹션으로 제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상기 레일 또는 상기 주행면을 따라서 트롤리에 힘을 가함으로써, 사용자는 트롤리를 상기 스토퍼 너머로 레일을 따라 밀거나 당기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트롤리가 플랫폼이 끝나기 전에 정지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짚라인 라이드용의 플랫폼의 끝에서 뛰어 내릴 가능성이 줄어든다. 일례에서, 상기 제 1 배치는 상기 스토퍼의 기본 구성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트롤리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기본적으로 차단된다. 즉, 상기 스토퍼는 일반적으로 닫혀있다.
대조적으로,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아암은 트롤리를 차단하지 않으며, 상기 트롤리가 레일의 상기 스토퍼를 넘어서 주행하게 된다. 상기 제 2 배치는 개방형 배치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는 해제 가능한 장벽으로 작용하여 트롤리가 레일의 스토퍼를 넘어 주행하도록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상기 제 2 배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movement)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이 액추에이터의 작동,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movement)는 상기 스토퍼의 개방(즉, 해제)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를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무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의 제 3 부분에 대해 횡방향이다. 즉, 상기 무브먼트(movement)는 상기 레일 또는 상기 주행면을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스토퍼를 넘어 상기 레일을 따라 트롤리를 밀거나 당기려고하는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이다. 다시 말해서, 트롤리를 레일을 따라 밀거나 당기는 것이 상기 스토퍼를 개방하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상기 스토퍼를 개방하기 위해(즉, 스토퍼를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무빙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 3 부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무빙되는데, 따라서 사용자가 레일을 따라서 트롤리를 당기거나 밀고있는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액추에이터가 작동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사용자가 상기 트롤리를 상기 레일을 따라서 당기거나 밀고 있는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만 무브먼트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트롤리의 제 1 휠을 위한 주행면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휠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트롤리를 상기 스토퍼 너머로 상기 레일을 따라서 밀거나 당기려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트롤리에 매달린 경우에만 상기 스토퍼가 개방되도록 (즉, 상기 제 2 배치에서 제 1 배치로 무빙), 상기 트롤리에 부착된 사용자의 하네스를 통해서, 트롤리에서 사용자를 현가시키는 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롤리에 메달린 경우에만 상기 스토퍼를 넘어서 사용자가 트롤리를 무빙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 1 양태에 따른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 휠에 대해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에 따라 정상적으로 폐쇄되고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다음은 트롤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트롤리는 상기 제 1 휠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롤리는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다음은 레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레일은 상기 제 1 휠을 위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주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레일 트랙에 포함된 다른 레일 및/또는 상기 레일 섹션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사용시, 상기 제 1 휠은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면 상에서 롤링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단면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일 예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에 의해 제공된 상기 주행면이 그 사이에 연속하도록 정렬된다.
일 예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서로 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이 그 사이에 불연속적이도록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단차(step)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은 예를 들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막대 또는 중공 섹션 및/또는 동일하거나 불평등한 각도 섹션에 의해 제공되는 평면(즉, 평평한) 주행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은 비평면, 예를 들어 볼록한 또는 오목한 주행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은 실린더 축을 정의하는 원통형(즉, 볼록한) 주행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라인은 사용시 실린더 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예를 들어 원형을 갖는 상기 튜브(즉, 섹션)에 의해 제공된다. 레일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U 자형 채널 중공 섹션과 같은 단면 또는 그 일부가 바람직하다.
일 예에서, 상기 튜브는 40 mm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75 mm, 예를 들어 603 mm의 외부 직경 (Dext)을 갖는다. 일 예에서, 상기 튜브는 1 mm 내지 6 mm,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5 mm, 예를 들어 5 3 mm 또는 4 mm, 예를 들어 32 mm의 범위 일 예에서, 튜브는 35 mm 내지 95 mm 범위의 내부 직경 Dint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45 mm 내지 70 mm의 범위이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은 비선형(예를 들어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선형 부분은 상기 레일이 전술한 바와 같이 장애물 주위를 돌아가고 또한 사용자의 즐거움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레일이 옆으로 또는 위 또는 아래로 구부러질 수 있지만, 비선형 부분은 일반적으로 옆으로(즉, 트롤리의 일반적인 무빙 방향에 횡방향으로) 있어야 한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은 2 개 이상의 레일, 예를 들어 2 개의 평행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례에서, 상기 레일은 모노레일(즉, 단일 레일)이다. 비용 및/또는 중량을 감소시키는 모노레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천장 조이스트 또는 나무에 매달릴 수 있고/있거나 또는 다수의 비선형 및 선형 부분을 포함하는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승, 하강 및/또는 수평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은 강철로 형성된다. 일례에서, 튜브는 이음매 없는 상기 튜브, 예를 들어 냉간 압연 이음매 없는 상기 튜브이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은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팅, 예를 들어 분말 코팅, 페인트 및/또는 아연 도금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토퍼는 이러한 강철로 형성되고/되거나 유사하게 코팅 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은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랜지는 상기 레일의 강성, 예를 들어 상기 레일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킨다. 일 예에서, 상기 주행면은 평면 주행면 및/또는 비평면 주행면, 예를 들어 오목한 주행면 또는 볼록한 주행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주행면은 원통형 주행면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례에서, 상기 레일은 원통형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행면은 원통형 주행면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튜브를 롤링하거나 벤딩하는 것과 같이 형성함으로써, 곡선 또는 굽힘과 같은 측면 편차,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하강 부분, 상승 부분 및/또는 수평 부분을 포함하는 비교적 복잡한 비선형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튜브는 원통형 대칭을 갖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복잡한 비선형 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주행면의 횡 곡률이 비교적 변하지 않아서, 보다 연속적인 주행면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튜브로부터 직립, 즉 그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튜브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구비된다. 일 예에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주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갖는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은 종방향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플랜지는 그로부터 레일의 현수를 위해 고정수단, 예를 들어 플랜지를 통한 리프팅 아이 또는 천공 또는 그 세트를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다른 고정수단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 아래의 영역이 트롤리와 사용자가 지나갈 수 있도록 방해받지 않도록 프레임워크에 매달리거나 천장 조이스트 또는 나무에 매달린다.
일 예에서, 상기 종방향 플랜지는 서스펜션[메달기, 현수]을 위한 제 1 천공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종방향 플랜지는 상기 레일 커플링의 제 3 파트(part)에 제공된 일련의 천공과 부합하는 제 2 천공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종방향 플랜지는 상기 레일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일 예에서, 상기 플랜지는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예를 들어, 상기 플랜지의 다른 측면에서의 스티치 용접) 튜브에 용접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레일은 원통형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주행면은 원통형 주행면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튜브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상기 튜브에 수직인(즉, 그로부터 직립인) 종방향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플랜지의 길이는 상기 튜브의 길이보다 크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랜지는 상기 튜브의 하나 또는 양쪽 끝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플랜지는 제 1 파트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의 제 3 파트의 각각의 길이 또는 이들의 부분과 상관되거나 일치하는 거리(즉,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튜브의 양단을 넘어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 커플링의 제 2 부분은 이에 결합된다.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레일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예를 들어 상기 레일의 축을 따라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의 제 3 부분은 상기 레일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과 인접한다. 따라서, 사용시, 상기 제 1 휠은 상기 제 3 부분을 통해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에서 롤링 될 수 있으며 또는 그 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이다.
일 예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서로 횡방향으로, 예를 들어 1 mm 내지 20 mm 범위,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1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7 mm, 예를 들어 4, 5 또는 6 mm의 범위의 오프셋에 의해 서로 오프셋된다. 즉,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주행면이 그에 대해 불연속적, 예를 들어 연속적이지 않지만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은 평행하도록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단차(step)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단차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 1 휠은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제 3 부분으로,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의 무브먼트에 의해 무빙되고, 이어서 상기 제 1 휠은 상기 제 3 부분으로부터 제 2 부분으로, 예를 들어 접촉되거나 및/또는 동일 평면으로 연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3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 및 제 3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주행면이 서로 간에 연속적이 되도록 정렬된다. 일 예에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에 의해 제공된 상기 주행면이 서로 간에 불연속적이 되도록 횡방향으로 상호 오프셋되어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주행면이 연속적이 되도록 정렬된다. 일 예에서,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3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 및 제 3 부분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이 불연속적이 되도록 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압력 센서, 접촉 센서 및/또는 푸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은, 각각 상기 압력 센서의 압력(즉, 부하), 상기 접촉 센서의 접촉(예 : 접촉 센서의 전기 회로) 및/또는 상기 푸시 버튼의 누름이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및/또는 완전히, 상기 레일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으로 둘러싸여지도록, 상기 레일에서의 리세스, 예를 들어 슬롯(즉, 폐쇄 홀) 또는 천공(즉, 오픈 홀)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레일에서의 푸시 버튼과 같은 버튼으로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레일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예를 들어 종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분리시키도록 구비된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예를 들어 종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격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은, 상기 레일에 의해서 제공되는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또는 제 2 부분과 유사하거나 동일(즉, 단면 형상 또는 프로파일에 의한)하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축 길이는 최대 트롤리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트롤리의 휠베이스이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축 길이는 0.25D 내지 2D, 바람직하게는 0.5D 내지 1.5D,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D 내지 1.25D의 범위에 있고, 여기서 D는 상기 제 1 휠의 직경이다.
전형적으로, 상기 제 1 휠의 직경 D 바람직하게는 25 mm 5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75 mm, 예를 들어 61 mm이다. 일례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축 길이는 25 mm 내지 100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75 mm의 범위, 예를 들어 61 mm이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축 길이는, 상기 한 세트의 하나의 휠만이 주어진 시간에 상기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 1 휠의 직경과 일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휠만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힘에 기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휠 세트는 상기 제 1 휠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 2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시, 상기 제 1 휠 및 제 2 휠은 각각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3 부분 상에 구비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제 1 휠 및 제 2 휠은 각각 주행면의 제 3 부분 및 제 2 부분 상에 구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휠 주위의 제 1 휠만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순간에 기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레일 사이, 예를 들어 주행면의 제 3 부분과 제 1 부분 및/또는 제 2 부분 사이의 축 방향 간격은 0.1 mm 내지 10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 mm, 예를 들어 2 mm의 범위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추에이터 주위의 틈새가 무브먼트하는 동안 제공되며, 주행면의 연속성이 보다 부드러운 승차감을 위해 개선된다.
일 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한 세트의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상기 레일의 양쪽에 배치된 것과 같은 한 쌍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암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는 액추에이터에 연결된 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암은 상기 제 1 배치와 제 2 배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무빙 가능한 아암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에서, 상기 아암은 무빙 가능한 아암, 예를 들어, 상기 아암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 1 배치와 상기 아암이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2 배치 사이에서, 예를 들어 축회전 및/또는 병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무브블(moveable) 아암이다.
상기 아암은 액추에이터에 결합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아암은 액추에이터에 직접 결합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아암은 액추에이터에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아암은 링크, 케이블 및/또는 전기 모터를 통해 액추에이터에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각각의 아암의 무브먼트를 야기하고 선택적으로 또는 그 반대의 결과를 가져온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 및 아암의 무브먼트는 예를 들어 방향, 회전, 거리 및/또는 속도에서 유사하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와 아암의 무브먼트는 유사하지 않다. 예를 들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선형일 수 있고 아암의 무브먼트는 회전할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아암은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에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아암은 상기 트롤리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트롤리, 예를 들어 프레임의 전면과 같은 프레임과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에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아암은 트롤리에 의해 또는 트롤리를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아암은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에서,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아암은 트롤리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구비된다.
일 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같은 트롤리의 프레임이 상기 아암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휠이 액추에이터 상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아암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트롤리가 아암에 의해 차단되는 동안, 상기 제 1 휠을 통해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에 의해, 상기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무빙된다.
일 예에서, 상기 휠 세트는 상기 제 1 휠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 2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시, 상기 제 1 휠 및 제 2 휠은 각각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3 부분 상에 구비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제 1 휠 및 제 2 휠은 각각 주행면의 제 3 부분 및 제 2 부분 상에 구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토퍼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트롤리가 상기 아암에 의해 차단되는 동안 제 2 휠에 대한 상기 제 1 휠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가해지는 모멘트(moment)로 인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에 의해 상기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무빙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아암은 대부분의 트롤리 길이, 바람직하게는 트롤리의 휠베이스로부터 트롤리의 길이의 간격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및 아암은 10 cm 내지 100 cm, 바람직하게는 20 cm 내지 8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cm 내지 50 cm의 간격으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아암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암, 예를 들어 상기 레일의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된 것과 같은 한 쌍의 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배치(First configuration)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 배치에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아암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치(Second configuration)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트롤리는 제 2 배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암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에 의해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무빙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은 임계 시간 동안, 예를 들어 1 초 내지 60 초 범위, 바람직하게는 3 초 내지 30 초 범위에서 작동한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임계 무브먼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임계 무브먼트이다. 즉, 상기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스토퍼를 무빙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최대 또는 바람직하게는 최소 무브먼트가 필요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임계 무브먼트는 미리 결정된 임계 무브먼트, 예를 들어 1 mm 내지 20 mm 범위,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10 mm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7mm 범위의 무빙이다. 예를 들어, 4, 5 또는 6 mm 한 예에서, 상기 임계 무브먼트는 미리 결정된 임계 무브먼트, 예를 들어 10 ° 내지 60 °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45 °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30 °의 범위, 예를 들어 25 °. 일 예에서, 상기 임계 무브먼트는 예를 들어 전술한 범위 내에서 조정 가능하다. 일 예에서, 상기 임계 무브먼트는 예를 들어 나사식 패스너 및/또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사용하여 무브먼트의 하한 및/또는 상한을 설정함으로써 조정된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 휠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힘에 기인한다. 일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제 1 휠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임계력에 기인한다. 즉, 상기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스토퍼를 무빙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야기시키기 위해 최대 또는 바람직하게는 최소 힘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임계력은 미리 결정된 임계력, 예를 들어 약 100 N 내지 약 1,000 N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00 N 내지 약 750 N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범위의 힘 N 내지 약 500 N, 예를 들어 약 400 N (즉, 약 10 kg 내지 약 100 kg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0 kg 내지 약 75 kg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kg 내지 약 50 kg, 예를 들어 각각 약 40 kg의 범위).
이러한 미리 결정된 임계력은 사용자의 무게, 예를 들어 짚라인 라이딩이 허용된 가장 가벼운 사용자의 무게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 1 휠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무게로 인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스토퍼가 제 1 배치로부터 제 2 배치로 무빙하게 하기 위해, 부착된 하네스를 통해 상기 트롤리로부터 완전히 메달려야 한다.
일 예에서, 상기 임계력은 예를 들어, 전술한 범위 내에서 조정 가능하다.
일 예에서, 상기 임계력은 예를 들어 스레드 파스너 및/또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사용하여 임계력의 하한 및/또는 상한을 설정함으로써 조정된다.
일 예에서, 상기 무브먼트는 비선형 무브먼트, 예를 들어 아치형 무브먼트이다.
일 예에서, 상기 무브먼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에 직교하는 선형 무브먼트이다. 일 예에서, 상기 무브먼트는 예를 들어 제 1 휠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액추에이터의 저하를 포함한다.
바이어싱 부재(Biasing members)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 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스토퍼를 바이어스시키도록 구비된 제 1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닫힌 배치에서 상기 스토퍼가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 1 바이어싱 부재는 스프링,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 캔틸레버 스프링 또는 볼 류트 스프링, 가스 스프링 및/또는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기계적 스프링을 포함하거나 스프링이거나, 또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무브먼트에 대해 액추에이터를 바이어스시키도록 구비된 제 2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 2 바이어싱 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트롤리가 아암을 넘어 이동한 후에 상기 제 2 배치로부터 제 1 배치로 상기 스토퍼를 무빙할 수 있다.
래치(Latch)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례에서, 상기 스토퍼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암은 래치를 통해 액추에이터에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래치는 아암을 유지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래치는 아암을 해제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아암은 상기 래치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래치는 예를 들어 아암과 맞물림으로써 제 1 배치에서 아암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아암은 전술 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에 의해 또는 트롤리를 통해 작용하는 힘에 저항할 수있다.
상기 래치는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아암을 해제(즉, 자유롭게)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아암은 상기 제 2 배치로 무빙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래치는 예를 들어 타이(tie)와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해 액추에이터에 결합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래치는 피봇 가능한 래치를 포함하거나 피봇 가능한 래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선형 무브먼트는 래치의 회전 무빙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모노레일 스토퍼를 포함하거나 또는 모노레일 스토퍼이다. 즉, 상기 트롤리는 단일 주행면상에서 주행하고, 상기 레일은 모노레일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메달린 레일 스토퍼를 포함하거나 메달린 레일 스토퍼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주행면에서 주행하는 트롤리에 매달려 있고, 사용자는 상기 레일 아래의 영역을 통과한다.
일 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메달린 레일 스토퍼를 포함하거나 정지된다.
스토퍼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 양태(스토퍼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양태에 따른 스토퍼; 및
제 1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를 포함하는 트롤리용 레일 섹션;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상기 레일은, 제 1 휠을 위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주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레일, 트롤리, 상기 휠 세트, 상기 제 1 휠, 상기 주행면, 상기 제 1 부분 및/또는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일례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서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3 부분은 서로 정렬되어 그 위에 제 1 연속 주행면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제 2 부분과 제 3 부분은 서로 정렬되어, 그 위에 제 2 연속 주행면을 제공한다.
레일 섹션(rail section)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 섹션은 원통형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주행면은 원통형 주행면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 섹션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튜브로부터 직립하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 섹션의 길이는 0.10 m 내지 5 m, 바람직하게는 0.25 m 내지 2.5 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m 내지 1.25 m, 예를 들어 080 m의 범위에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스토퍼 어셈블리는 2 개의 레일 섹션을 포함하며, 각각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제공한다. 일례에서, 상기 레일 섹션으로부터 직립하는 플랜지는 그 반대쪽으로 연장된다.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 섹션은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의 제 1 파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는 인접한 대응하는 상기 레일 섹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에서, 상기 레일 커플링은 예를 들어 EN 10025 : 파트 2 : 2004 등급 S185, S235, S275, S355 또는 이에 상응하는 EN 10025에 따라 강으로 가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레일 커플링은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팅, 예를 들어 분말 코팅, 페인트 및/또는 아연 도금된다.
레일 트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 3 양태에 의한 본원발명은, 상기 제 1 양태에 따른 레일 세트 및 스토퍼 또는 제 2 양태에 따른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레일 트랙 또는 레일 트랙용 부품 키트를 제공한다.
트롤리 조립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양태는 다음을 포함하는 트롤리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양태에 따른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 그리고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를 포함하는 트롤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 중인 하중의 부착, 바람직하게는 서스펜션을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롤리는 상기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트롤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5 양태에 의한 본원발명은,
휠을 위한 주행면을 제공하는 상기 레일 용 트롤리를 제공하며,
상기 트롤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휠 및 선택적으로 제 2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와,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하중의 부착, 바람직하게는 현수를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트롤리는 사용자에 의해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연결된 한 세트의 핸들, 예를 들어 한 쌍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부착 부재는 프레임의 중간점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은 프레임의 전방에서 프레임에, 상기 제 2 휠에 근접하고, 상기 제 1 휠로부터 떨어져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상기 핸들을 아래쪽으로 당기는 것은 적어도 대부분 제 2 휠을 통해 힘을 전달한다. 반대로, 상기 부착 부재를 아래쪽으로 당기는 것은 상기 제 1 휠 및 제 2 휠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힘을 부여한다.
일 예에서, 상기 트롤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제 1 휠 및 제 2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와,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중의 하중의 부착, 바람직하게는 현수를위한 부착 부재와,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결합된 한 세트(예를 들어 한 쌍)의 핸들과,
여기서, 상기 제 1 휠은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제 1 평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 2 휠은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제 2 평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평면 및 상기 제 2 평면은 라인을 정의하고, 여기서 상기 트롤리는, 상기 부착 부재가 상기 라인에 대한 제 1 각도 변위에서 구비되는 상기 제 1 배치와, 상기 부착 부재가 상기 라인에 대한 제 2 각도 변위에서 구비되는 제 2 배치에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각도 변위와 제 2 각도 변위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에서, 트롤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캡티브 트롤리이다. 일 예에서, 상기 휠 세트는 트롤리를 레일에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트롤리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휠을 제거하지 않고 레일에서 직접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트롤리는 스위치를 통해 언로딩함으로써 레일에서 간접적으로 제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한다.
전형적으로, 하중은 30 kg 내지 120 kg 범위의 질량, 따라서 294 N 내지 1,177 N 범위의 중량을 갖는 사용자를 포함한다.
또한, 코너링으로 인한 구심력은 수평으로 15 g까지(즉, 441 N에서 1,766 N까지) 추가 될 수 있다.
또한, 다운 스윙으로 인한 증가된 수직 하중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경사에서 수직 위치로 스윙)은 수평 성분 없이 수직으로 최대 0.6 g(즉, 최대 176 N 내지 706 N)을 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하네스(harness)(현수 하네스로)를 통해 부착 부재에 부착 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는 예를 들어 슬링 또는 끈을 통해 부착 부재에 부착해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에서, 사용자는 행글라이더 타입("수퍼맨" 타입으로도 알려짐)의 위치(즉, 엎드리기 또는 뒤집어짐)로 매달릴 수 있다. 상기 트롤리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행글라이더 타입으로 메달릴 때 위치를 잡기 위해서 한 세트의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 하중은 트롤리를 통해 레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과될 수 있는 중력으로 인해 수직으로 하향 힘을 발생시킨다(즉, 수직 힘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중은 예를 들어 하중의 피치, 요잉 및/또는 롤링 및/또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트롤리에 가해질 수 있는 하중에 대한 구심력으로 인해 다른 힘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트롤리를 통해 레일에서 레일은 일반적으로 평균 경사도가 60에서 1에서 10 내지 1의 범위 인 평균 경사를 갖지만, 하나 이상의 하강 부분, 상승 부분 및/또는 수평 부분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레일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하강 부분, 상승 부분 및/또는 수평 부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10에서 1/60의 사이의 평균 구배를 갖는 경사가 있을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나의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50)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상기 제 1 배치로 구비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50)의 사시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50)는, 스토퍼(50) 및 레일(10)의 섹션을 포함하는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의 부품이다.
상기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의 두 개의 다른 섹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은 일 부분(11A) 및 타 부분(11B)을 포함하는 주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짚라인용 스토퍼 어셈블리는, 각각 플랜지(12A 내지 12C 및 12C 내지 12B)를 결합되어 있는 기계적 커플링(20A 및 20B)에 의해 이들 2 개의 다른 레일 섹션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트롤리(100)는 상기 레일(10) 상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레일(10)에서 트롤리(100)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트롤리(100)는 상기 제 1 휠(120C)을 포함하는 휠 세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10)은 상기 제 1 부분(11C)을 포함하는 상기 주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제 1 부분(11C)과 제 2 부분(11D) 사이의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51)와, 상기 액추에이터(51)에 결합된 아암(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제 1 배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아암(52)은 상기 트롤리(100)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는 제 2 배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아암(52)은 트롤리(100)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에 횡방향으로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movement)에 의해, 제 1 배치로부터 제 2 배치로 무빙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아암(52)은 트롤리(100)를 차단함으로써, 트롤리(100)가 레일(10) 상의 스토퍼(50)를 넘어서 주행하는 것을 차단시킨다. 반면에,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아암(52)은 트롤리(100)를 차단하지 않으므로, 트롤리(100)는 상기 레일(10) 상의 스토퍼(50)를 넘어서 주행한다. 상기 제 2 배치는 개방 배치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레일(10) 상의 스토퍼(50)를 넘어 트롤리(100)가 선택적으로 허용시키는 해제 가능한 배리어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50)의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의 무빙은,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에 의한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51)의 이러한 작동은 정지의 개방 (즉, 해제)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스토퍼(50)를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무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는, 상기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에 대해 횡방향이 된다.
즉, 상기 무브먼트는 상기 레일(10) 또는 상기 주행면을 따르는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이고,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스토퍼 너머로 상기 레일(10)을 따라 상기 트롤리(100)를 밀거나 당기려고 시도하는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이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레일(10)을 따라 상기 트롤리(100)를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50)가 개방되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상기 스토퍼(50)를 개방하기 위해[즉, 상기 스토퍼(50)를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무빙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51)는 사용자가 레일(10)을 따라 트롤리(100)를 밀거나 당기는 방향에 횡방향으로 무빙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51)는 트롤리(100)의 제 1 휠(120C)에 대한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11C)과 제 2 부분(11D) 사이에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는,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휠(120C)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힘에 기인한다.
상기 힘은 트롤리(100)에 부착된 사용자의 하네스를 통해 상기 트롤리(100)로부터 사용자의 메달림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단지 상기 스토퍼(50) 너머로 상기 레일(10)을 따라 상기 트롤리(100)를 밀거나 당기려고 시도하기보다는 오히려, 사용자가 트롤리(100)에 메달린 경우에만 상기 스토퍼(50)가 개방(즉, 상기 제 2 배치에서 제 1 배치로 무빙)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로부터 메달려 있는다면, 사용자는 트롤리(100)를 스토퍼(50)를 넘어서만 무빙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개선된다.
상기 트롤리(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트롤리(100)는 직경 61 mm의 제 1 휠(120C)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휠 (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롤리(100)는 도 9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레일(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레일(10)은, 제 1 휠(120C)을 위한 상기 제 1 부분(11C) 및 제 2 부분(11D)을 포함하는 상기 주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레일(10) 트랙에 포함된 다른 레일(10) 및/또는 상기 레일(10) 섹션은 또한 후술될 것이다.
이 예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11C)과 제 2 부분(11D)은 서로 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부분(11C)과 제 2 부분(11D)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이 그 사이에 불연속되도록 단차(S)가 제 1 부분(11C)과 제 2 부분(11D) 사이에 제공된다.
이 예에서, 상기 레일(10)은 실린더 축을 정의하는 원통형(즉, 볼록한) 주행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라인은, 사용시,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즉, 섹션)에 의해 제공되는 실린더 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상기 레일(10)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중공 섹션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 튜브의 외부 직경 Dext는 60.3 mm이다. 이 예에서, 튜브는 벽 두께가 3.2 mm이다.
이 예에서, 상기 레일(10)은 스틸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는 심리스(seamless) 튜브이다.
이 예에서, 상기 레일(10)은 원통형 튜브(1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주행면은 원통형 주행면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레일(10)은, 상기 튜브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튜브에 수직인(즉, 튜브에 직립되는) 두께가 약 10 mm 인 종방향 플랜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5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제 1 부분(11C)과 제 2 부분(11D) 사이에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예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11C) 및 제 2 부분(11D)은 약 5 mm의 오프셋만큼 서로 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 예에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11C) 및 제 3 부분(11E)은 상기 제 1 부분(11C) 및 제 3 부분(11E)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이 그 사이에 연속하도록 정렬된다. 이 예에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제 2 부분(11D) 및 제 3 부분(11E)은 그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제 2 부분(11D) 및 제 3 부분(11E)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이 불연속적이다.
이 예에서,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제 2 부분(11D) 및 제 3 부분(11E)은 상기 제 2 부분(11D) 및 제 3 부분(11E)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이 그 사이에 연속하도록 정렬된다. 이 예에서,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11C) 및 제 3 부분(11E)은 그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제 1 부분(11C) 및 제 3 부분(11E)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이 불연속적이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는 상기 레일(10)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11C)과 제 2 부분(11D)을, 예를 들어 종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분리시키도록 구비된다. 이 예에서, 상기 레일(10)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11C) 및 제 2 부분(11D)은, 예를 들어 종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이격된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은, 레일(10)에 의해 제공된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11C) 및/또는 제 2 부분(11D)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즉, 단면 형상 또는 프로파일에 의해).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의 축 길이는 0.75D 내지 1.25D의 범위에 있으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휠(120C)의 직경, 즉 약 46 mm 내지 약 76 mm의 범위이다.
이 예에서, 상기 휠 세트(120)는 제 1 휠(120C)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 2 휠(120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사용시, 상기 제 1 휠(120C) 및 제 2 휠(120A)은 상기 제 1 부분(11C) 및 제 3 부분(11E) 상에 배열 가능하고, 여기서 및/또한 상기 제 1 휠(120C) 및 제 2 휠(120A)은 각각 주행면의 제 3 부분(11E) 및 제 2 부분(11D) 상에 배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2 휠 주위의 상기 제 1 휠(120C)만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모멘트에 기인한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와 레일(10) 사이, 예를 들어 주행면의 제 3 부분(11E)과 제 1 부분(11C) 및/또는 제 2 부분(11D) 사이의 축방향 간격은 약 2 mm이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는 스틸로 기계 가공된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는 아연 도금된다.
아암(52)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액추에이터(51)에 결합된 아암(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예에서, 상기 아암(52)은 플랜지(12C)에서 제 1 피봇(5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구비된 회전가능 아암(52)이다.
이 예에서, 상기 아암(52)은 액추에이터(51)에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는 아암(52)의 각 무브먼트를 야기하고, 선택적으로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와 아암(52)의 각 무브먼트는 유사하지 않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는 선형이며 아암(52)의 각 무브먼트는 회전이다.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아암(52)은 상기 트롤리(100)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이 예에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아암(52)은 트롤리(100)가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트롤리(100), 예를 들어 프레임(110)의 전면과 같은 프레임(110)과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이 예에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아암(52)은 트롤리(100)에 의해 또는 트롤리를 통해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아암(52)은 트롤리(100)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비된다. 이 예에서,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아암(52)은 트롤리(100)가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와 아암(52)은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그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과 같은 상기 트롤리(100)의 프레임(110)이 아암(52)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휠(120C)이 액추에이터(51) 상에 있다.
이 예에서, 상기 휠 세트(120)는 상기 제 1 휠(120C)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 2 휠(120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시, 상기 제 1 휠(120C) 및 제 2 휠(120A)은 각각 주행면의 제 1 부분(11C) 및 제 3 부분(11E) 상에 구비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 휠(120C) 및 제 2 휠(120A)은 각각의 주행면의 제 3 부분(11E) 및 제 2 부분(11D) 상에 구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토퍼(50)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롤리(100)가 상기 아암(52)에 의해 차단되는 동안, 상기 제 2 휠(120A) 주위에 제 1 휠(120C)을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액추에이터(51)에 가해지는 모멘트로 인한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에 의해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제 2 배치로 무빙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제 1 배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아암(5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100)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트롤리(100)는 상기 제 2 배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암(5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100)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를 제 1 배치로부터 제 2 배치로 무빙 시키도록 구비된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는 임계 무브먼트를 포함하거나 임계 무브먼트이다. 이 예에서, 상기 임계 무브먼트는 미리 결정된 임계 무브먼트, 예를 들어 약 5 mm의 무브먼트이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 휠(120C)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힘에 기인한다. 이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제 1 휠(120C)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임계력에 기인한다. 이 예에서, 상기 임계력은 약 400 N의 미리 결정된 임계력이다(즉, 각각 약 40kg의 질량으로 인한 중량에 대응함).
이 예에서, 상기 무브먼트는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에 직교하는 선형 무브먼트이다. 이 예에서, 상기 무브먼트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휠(120C)을 통해 그 위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한 것으로, 액추에이터(51)의 저하를 포함한다.
바이어싱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예에서,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스토퍼(50)를 바이어스시키도록 구비된 제 1 바이어싱 부재(5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예에서, 상기 제 1 바이어싱 부재(54C)는 합성 고무, 특히 번지 코드와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 및/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계적 인장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상기 스토퍼(50)는 무빙에 대해 액추에이터(51)를 바이어스시키도록 구비된 제 2 바이어싱 부재(54A, 5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상기 트롤리(100)가 아암(52)을 넘어서 이동한 후에, 상기 제 2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스토퍼(50)를 제 2 배치로부터 제 1 배치로 무빙할 수 있다.
래치(56)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예에서, 상기 스토퍼(50)는 래치(5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암(52)은 래치(56)를 통해 액추에이터(51)에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래치(56)는 아암(52)을 유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래치(56)는 아암(52)을 해제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아암(52)은 래치(56)를 통해 액추에이터(51)에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래치는 플랜지(12C) 상의 제 2 피봇(58)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다. 상기 래치(56)는 타이 로드(tie rod)(57)와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해 액추에이터(51)에 결합된다.
이 예에서, 상기 스토퍼(50)는 메달린 모노레일 스토퍼이다.
이제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은 트롤리(100)가 레일(10)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 중인 스토퍼(50)를 도시한다. 특히,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제 1 배치로 구비된 스토퍼(5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상기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무빙하는 스토퍼(5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6 및 도 7은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스토퍼(5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8은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스토퍼(5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100)는 핸들(130B)을 사용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당겨지고, 따라서 제 2 휠(120A)은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에 있고, 제 1 휠(120C)은 상기 주행면의 제 1 부분(11C)에 있게 된다.
상기 트롤리(100)는 트롤리(100)의 길이보다 짧게 아암(5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제 1 배치로 구비되어 상기 트롤리(100)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100)는 핸들(130B)을 사용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더 당겨져, 제 2 휠(120A)은 주행면의 제 2 부분(11D) 상에 있고, 제 1 휠(120C)은 상기 제 3 부분(11E) 상에 있다. 상기 트롤리(100)의 프레임(110)의 전방은 아암(52)과 접촉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제 1 배치로 구비되어, 트롤리(100)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주행면의 제 3 부분(11E) 및 제 2 부분(11D)이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트롤리(100)는 아암(52)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다.
핸들(130B)을 아래쪽으로 당기면 제 2 휠(120A)에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져 트롤리(100)를 아암(52)을 향해 아래쪽으로 더 기울어지게 하여 액추에이터(51)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핸들을 오른쪽으로 잡아 당기면 트롤리(100)의 프레임(110)의 앞면이 아암(52)에 대해 가압되고, 이것이 트롤리(100)를 방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휠(120A)이 주행면의 제 2 부분(11D) 상에 있고 제 1 휠(120C)이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제공되는 주행면의 제 3 부분(11E) 상에 있으며, 하네스의 부착 부재(130A)를 아래쪽으로 당기는 것은 그 위에 하향력을 가함으로써 액추에이터(51)를 작동시키기 시작하고,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51)의 무브먼트를 일으켜,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제 2 배치로 스토퍼(50)를 무빙시키기 시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51)가 눌려질 때, 상기 액추에이터(51)의 하향 무브먼트는 타이 로드(57)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피봇(58)에 대해 회전하는 래치(56)의 단부로 전달되고, 아암(52)이 트롤리(100)를 계속 차단하도록 아암(52)과 래칭된 상태로 래치(5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1)가 눌려지면,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은 주행면의 제 2 부분(11D)과 정렬되도록 이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휠(120A)은 주행면의 제 2 부분(11D) 상에 있고, 제 1 휠(120C)은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제공되는 주행면의 제 3 부분(11E) 상에 있으며, 하네스의 부착 부재(130A)를 더 아래쪽으로 당기면, 그 위에 약 400 N의 하향 임계력이 작용함으로써 액추에이터(51)가 추가로 작동되게 되고,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51)의 임계 무브먼트가 야기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 1 배치에서 제 2 배치로 스토퍼(50)를 무빙시킨다
삭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51)가 더 눌려질 때, 상기 액추에이터(51)의 아래로 더 아래로의 무브먼트는, 타이 로드(57)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피봇(5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래치(56)의 단부로 전달되며, 그 결과 래치(56)는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아암(52)이 피봇(5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암(52)과의 래칭이 해제되며, 그리하여 상기 트롤리(100)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51)가 임계 무브먼트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11E)은 주행면의 제 2 부분(11D)과 정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100)는 핸들(130B)을 사용하여 아암(52)을 부분적으로 지나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더 당겨지게 되어서, 그 결과 상기 제 2 휠(120A)이 상기 주행면의 제 2 부분(11D) 상에 있고, 상기 제 1 휠(120C)이 상기 주행면의 제 2 부분(11D) 상에 있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51)에는 어떠한 힘도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제 2 바이어싱 부재(54A, 54B)는 상기 래치(56)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액추에이터(51)를 제 1 배치의 위치로 무빙시킨다. 그러나, 상기 아암(52)은 래치(56)에 의해 래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트롤리(100)가 지나가는 동안 상기 스토퍼는 제 2 배치를 유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30B)을 사용하여 상기 트롤리(100)는 거의 완전히 아암(52)을 지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여전히 더 멀리 당겨지고 있고, 그 결과 상기 제 2 휠(120A)이 주행면의 제 2 부분(11D) 상에 있고, 상기 제 1 휠(120C)은 주행면의 제 2 부분(11D) 상에 있다.
상기 아암(52)은 래치(56)에 의해 래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트롤리(100)가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상기 스토퍼는 제 2 배치로 유지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100)는 핸들(130B)을 사용하여 아암(52)을 완전히 지나면서 여전히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더 멀리 당겨지고 있다.
상기 제 1 바이어싱 부재(54C)는 상기 래치(56)가 상기 아암(52)을 래치 할 때까지 피봇(53)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상기 아암(52)을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제 1 배치로 다시 무빙된다.
도 9는 도 1의 스토퍼(50)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예에서, 상기 트롤리(100)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휠 (110C) 및 제 2 휠(120A)을 포함하는 휠 세트(120)와,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어서 사용 중에 로드 (L)의 부착(바람직하게는 현수)을 위한 부착 부재(130A)(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휠 (110A)은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제 1 평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 2 휠은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제 2 평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평면 및 제 2 평면은 라인을 정의한다.
상기 트롤리(100)는 상기 부착 부재(미도시)가 상기 라인에 대한 제 1 각도 변위에서 구비되는 상기 제 1 배치와, 상기 부착 부재가 상기 라인에 대한 제 2 각도 변위에서 구비되는 제 2 배치에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각도 변위와 제 2 각도 변위는 상이하다.
상기 프레임(110)은, 전면, 중간 및 후면 C 플레이트(110A, 110G, 110B), 상기 전면 및 후면 C 플레이트(110A, 110B)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브(110C 내지 110F)(110D, 110F는 도시되지 않음)와, 중간 C 플레이트(110G)에 결합된 부착 부재(130A)와, 및 상기 전면 및 후면 C 플레이트(110A, 110B)에 각각 결합 된 제 1 러그(110J) 및 제 2 러그(110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휠 세트(120)는 10 개의 휠(120A 내지 120J)을 포함한다[휠(120B, 120D, 120F, 120H)는 도시되지 않았고, 대향하는 휠(120A, 120C, 120E, 120G) 각각에 대해 트롤리(100)의 미드 플레인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구비됨).
상기 부착 부재(130A)는 상기 프레임(110)의 중간 지점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130B)(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제 2 휠(120A)에 근접하고 상기 제 1 휠 (110A)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에서 제 1 러그(110J)를 통해 프레임(11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프레임(110)의 후면에 제 2 러그(110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예에서, 트롤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캡티브 트롤리(100)이다. 이 예에서, 상기 휠 세트(120)는 트롤리(100)를 레일 상에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도 10은 도 1의 상기 스토퍼(50)를 위한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1000)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1000)의 제 1 파트(1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의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1000)의 제 2 파트(1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예에서, 상기 제 1 레일 섹션은 상기 제 1 레일(10A)의 제 2 단부(E2)에 연결된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1000)의 제 1 파트(1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레일(10B) 섹션은 상기 제 2 레일(10B)의 제 1 단부(E1)에 연결된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1000)의 제 2 파트(1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위치 (20)는 인접한 대응하는 상기 레일 섹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해제 가능한 레일 커플링(1000)은 휠용 주행면의 상기 제 1 부분(P1)을 제공하는 제 1 레일(10A)과 주행면의 제 2 부분(P2)을 제공하는 제 2 레일(10B)을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 커플링(1000)은 상기 제 1 수 커플링 부재(1111)를 포함하는 제 1 단부(1110) 및 제 1 레일(10A)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 2 단부(1120)를 갖는 제 1 파트(1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 커플링(1000)은 내부에 제 1 수 커플링 부재(1111)를 수용하도록 구비된 대응하는 제 1 암 커플링 부재(1212)를 포함하는 제 1 단부(1210) 및 제 2 레일(10B)에 결합되도록 배치된 제 2 단부(1220)를 갖는 제 2 파트(1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 커플링(1000)은 상기 제 1 수 커플링 부재(1111)와 제 1 암 커플링 부재(1212)가 결합되지 않은 상기 제 1 배치; 및 제 1 수 커플링 부재(1111) 및 제 1 암 커플링 부재(1212)는 제 1 암 커플링 부재(1212)에서 제 1 수 커플링 부재(1111)를 수용함으로써 결합되는 제 2 배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레일(10A)(즉, 상기 레일의 제 1 길이 (L1)) 및 제 2 레일(10B)(즉, 제 2 길이의 레일)의 조립 및/또는 분해가 촉진 될 수 있고 및/또는 조립 오류가 감소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상기 레일 커플링(1000)은 강철로 기계 가공된다. 이 예에서, 상기 레일 커플링(1000)은 분말 코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레일 10A : 제 1 레일
10B : 제 2 레일 E1 : 제 1 단부
11 : 튜브 11A : 일 부분
11B : 타 부분 11C : 제 1 부분
11D : 제 2 부분 11E : 제 3 부분
12A,12C,12B : 플랜지
50 : 스토퍼 51 : 액추에이터
52 : 아암 53 : 제 1 피봇
S : 단차
54C : 제1 바이어스 부재
54A,54B : 제2 바이어싱 부재
54C : 제1 바이어싱 부재
56 : 래치 57 : 타이 로드
58 : 피봇 110 : 프레임
120 : 휠 세트 120C : 제 1 휠
120A : 제 2 휠 130A : 부착부재
130B : 핸들 1000 : 레일 커플링
1100 : 제 1 파트 1200 : 제 2 파트

Claims (8)

  1. 짚라인의 레일 상에서 트롤리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트롤리는 제 1 휠을 포함하는 휠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제 1 휠을 위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주행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아암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아암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배치와, 상기 아암이 상기 트롤리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배치로 배치되며,
    상기 주행면의 제 3 부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에 의해서 제 1 배치로부터 제 2 배치로 무빙(move)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스토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임계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스토퍼.
  3. 청구항 1에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상기 제 1 휠을 통해 가해지는 힘에 기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스토퍼.
  4. 청구항 1에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는, 상기 주행면의 상기 제 3 부분에 직교하는 선형 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스토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스토퍼를 바이어스(bias)시키기 위한 제 1 바이어싱 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스토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무브먼트에 대해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제 2 바이어싱 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스토퍼.
  7. 청구항 1에 있어서,
    래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암은 상기 래치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아암이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 2 배치에서 상기 아암이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스토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현수형 레일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스토퍼.
KR1020190178774A 2019-12-30 2019-12-30 레일용 스토퍼 KR102105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74A KR102105181B1 (ko) 2019-12-30 2019-12-30 레일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74A KR102105181B1 (ko) 2019-12-30 2019-12-30 레일용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181B1 true KR102105181B1 (ko) 2020-04-28

Family

ID=7045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774A KR102105181B1 (ko) 2019-12-30 2019-12-30 레일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798B1 (ko) * 2020-07-30 2021-01-11 (주)신흥이앤지 라이딩기구용 레일 및 이를 이용한 레저용 라이딩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53B1 (ko) 2012-05-21 2013-07-2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감속 트롤리
US20130312633A1 (en) * 2008-05-23 2013-11-28 Martin C. Tilley Cable Transport System
KR101473755B1 (ko) 2014-02-21 2014-12-19 (주)에스엘인더스트리 이동식 짚라인 장치
KR101770650B1 (ko) * 2016-03-16 2017-08-25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짚라인 안전시스템
KR101793201B1 (ko) * 2017-05-11 2017-11-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집라인용 런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2633A1 (en) * 2008-05-23 2013-11-28 Martin C. Tilley Cable Transport System
KR101285553B1 (ko) 2012-05-21 2013-07-2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감속 트롤리
KR101473755B1 (ko) 2014-02-21 2014-12-19 (주)에스엘인더스트리 이동식 짚라인 장치
KR101770650B1 (ko) * 2016-03-16 2017-08-25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짚라인 안전시스템
KR101793201B1 (ko) * 2017-05-11 2017-11-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집라인용 런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798B1 (ko) * 2020-07-30 2021-01-11 (주)신흥이앤지 라이딩기구용 레일 및 이를 이용한 레저용 라이딩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26957A1 (en) Cable-traversing trolley adapted for use with impact braking
EP3693071B1 (en) Stop for a rail
JP5134622B2 (ja) 鉄道車両用扉装置及び鉄道車両用扉システム
US20180216656A1 (en) Double-lock carabiner
US8640626B2 (en) Ramp system for bridging flexible cable to rigid rail
KR102105181B1 (ko) 레일용 스토퍼
JP6013559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0029025A (ja) 宙乗器
NZ588240A (en) Intermediate holder for the safety rope of an overhead rope system of a fall protection device, and arrangement consisting of the intermediate holder and a runner cooperating therewith
KR102101515B1 (ko) 레일용 트롤리
US8640627B1 (en) Traction channel equipped ramp system for bridging flexible cable to rigid rail
EP3603762B1 (en) Switch for a rail track
JP4249557B2 (ja) 列車用車椅子渡り板
JP3762449B2 (ja) 索条牽引懸垂車両
KR101583706B1 (ko)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CN210509012U (zh) 一种云梯末端辅助梯
CN114790833B (zh) 一种互锁式安全带行走装置的使用方法
KR101583708B1 (ko)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EP3817833A1 (en) Trolley
JPH032550Y2 (ko)
JPH09313063A (ja) 牛用牽引装置
KR101454631B1 (ko) 트롤리
JPH0222196B2 (ko)
CN2212080Y (zh) 架空式胶带运输机乘人装置
JP3027582U (ja) ケーブル架設用金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