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35B1 -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 Google Patents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35B1
KR102022035B1 KR1020190062133A KR20190062133A KR102022035B1 KR 102022035 B1 KR102022035 B1 KR 102022035B1 KR 1020190062133 A KR1020190062133 A KR 1020190062133A KR 20190062133 A KR20190062133 A KR 20190062133A KR 102022035 B1 KR102022035 B1 KR 10202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fixing
shaft
grooves
fix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숙
박경민
Original Assignee
김향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향숙 filed Critical 김향숙
Priority to KR1020190062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는 곡률반경을 달리한 복수의 축 고정홈이 상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요입되어 있는 거치구를 형성하여 새들의 바퀴가 결합되는 축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할 수 있고, 축이 끼움 고정되면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지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Width adjustable Jig for crane production}
본 발명은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곡률반경을 달리한 복수의 축 고정홈이 상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요입되어 있는 거치구를 형성하여 새들의 바퀴가 결합되는 축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할 수 있고, 축이 끼움 고정되면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질 수 있는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크레인은 일정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을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거나, 원하는 위치로 이송, 운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천정 크레인은 상기 중량물과 크레인 사이에서 상기 중량물을 끌어올리기 위해 걸어주는 역할을 하는 후크와, 상기 후크에 걸린 중량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권상장치 및 크레인 전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주행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권상장치는 거어더에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복수의 권상기가 일정한 형태로 배치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권상기에는 하단에 후크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가 권취되어 권상기의 회동방향에 따라 후크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주행장치는 주행레일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는 새들로 구성된다. 상기 새들은 대략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휠이 장치된다.
상기 새들은 중량물을 적재하고 있는 크레인을 지지하여 주행시키므로, 중량물의 적재하중을 견딜 수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새들의 주행휠의 크기는 크레인의 중량물의 적재하중이 증가하면 할수록 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큰 사이즈로 구비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주행레일의 폭도 넓어져야 한다.
또한 크레인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제작해야 하므로, 그로 인해 거더와 새들을 정확한 위치에서 설치하고 고정하는 장치가 고안되고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10-1394659 '폭 조절이 가능한 크레인용 지그', 등록특허공보 10-1108026 '갠트리 크레인 장치'가 있다.
상기 '폭 조절이 가능한 크레인용 지그'는 레일부재, 레일부재 양측에 형성되어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서브레일이 형성되는 거더폭조절부재, 서브레일에 쌍으로 형성되어 서브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새들폭조절부재, 새들과 바퀴가 결합되는 축이 거치되는 거치수단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크레인이 제작가능하다고 하나 축이 고정되고 안치되는 부재의 고정역할이 불안정하여 한계가 있다.
상기 '갠트리 크레인 장치'는 벽면레일수단, 지면레일수단, 벽면레일수단을 따라 유동하는 가로지지대, 가로레일을 따라 유동하는 이동블록, 회전대, 지면레일수단을 따라 유동하는 세로지지대로 구성되어 작업반경이 증대되나 다양한 크기의 크레인 장치를 수용하여 고정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394659 '폭 조절이 가능한 크레인용 지그' 등록특허공보 10-1108026 '갠트리 크레인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곡률반경을 달리한 복수의 축 고정홈이 상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요입되어 있는 거치구에 의해 새들의 바퀴가 결합되는 축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새들의 바퀴가 결합되는 축이 축 고정홈에 밀착되게 끼움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져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면에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레일(100);상기 메인 레일(100)의 x축 방향 양단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레일(100)에서의 x축 방향 이동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상부면에 안내레일(220)이 형성되어 있는 거더폭 조절프레임(200); 각 거더폭 조절프레임(200)의 안내레일(220)에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각 안내레일(220)에서의 y축 방향 이동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새들폭 조절대(300); 각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새들(20)의 바퀴(22)가 결합되는 축(24)이 거치되는 거치구(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구(400)는 반원형 곡선 라인과 열호(inferior arc)형 곡선 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곡선 라인으로 이루어진 축 고정홈(410)이 형성되어 상기 축(24)이 축 고정홈(410)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구(400)는 복수의 축 고정홈(41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도록 하되,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축 고정홈(410) 중 상측 축 고정홈(410)은 하측 축 고정홈(410)의 좌우 상단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곡선 라인에 의해 형성되어 복수의 축 고정홈(410)의 곡률반경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구(400)는 복수의 축 고정홈(410)이 상면으로부터 요입형성되어 있는 몸체 블록(4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 블록(420)은, 상기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형 수평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대(421); 상기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부면 타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형 수평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대(422); 상기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고, 최하단 축 고정홈(410)이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바닥 블록체(423); 상기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 블록체(423) 상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배치되고, 좌우 대칭되는 한 세트(set)의 적층블록체 유닛(424a) 사이에 최하단 축 고정홈(410) 상측의 축 고정홈(410)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적층 블록체(4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대(421)는 내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제1끼움돌기(421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대(422)는 내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제2끼움돌기(4221)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각 적층 블록체(424)의 일측 적층블록체 유닛(424a)은 외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끼움홈(4241)을 돌출형성하고, 각 적층 블록체(424)의 타측 적층블록체 유닛(424a)은 외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끼움홈(4241)을 돌출형성하되, 상기 제1끼움돌기(4211)와 제2끼움돌기(4221)의 가로폭(D)은 상기 끼움홈(4241)의 가로폭(d)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에 각 적층 블록체(424)의 적층블록체 유닛(424a)이 설정영역 범위에서 유동가능하게 끼움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 블록(420)은 복수의 스프링(425);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4211)와 제2끼움돌기(4221)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홈(4212)(4222)이 상하방향으로도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 적층 블록체(424)의 적층블록체 유닛(424a)의 외측면에는 상기 끼움홈(4241)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프링 장착홈(4242)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425)이 상기 스프링 고정홈(4212)(4222)과 스프링 장착홈(4242)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각 적층 블록체(424)에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에 의하면, 곡률반경을 달리한 복수의 축 고정홈이 상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요입되어 있는 거치구가 제공되므로, 새들의 바퀴가 결합되는 축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일한 지그만으로도 다양한 직경의 축에 대한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에 의하면, 새들의 바퀴가 결합되는 축이 축 고정홈에 밀착되게 끼움 고정되므로, 안정적인 축 고정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는 거더-새들-바퀴축-바퀴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의 메일 레일, 거더폭 조절프레임, 새들폭 조절대, 거치구의 조립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에 거더-새들-바퀴축이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의 조립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크레인, 거더, 새들, 바퀴축, 바퀴, 스프핑, 테프론, 테프론 코팅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는 도 1에서와 같이 크레인 빔 조립체의 제작에 적용되는 것으로, 크레인 빔 조립체는 거더(10) 양측으로 새들(20)이 설치되고, 새들(20)에는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전후로 바퀴(22)가 바퀴축(24)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메인 레일(100), 거더폭 조절프레임(200), 새들폭 조절대(300), 거치구(400)로 구성된다.
메인 레일(100)은 도 2와 같이 지면에 x축 방향으로 폭조절형 지그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레일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 레일 유닛(120), 고정 스토퍼(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메인 레일(100)은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는 최하단부에 해당되므로 강도와 경도가 강한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지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로 두께는 원하는 규격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레일 유닛(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부면에 y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거터폭 조절프레임(200)이 이동하는 경로 역할을 한다. 고정 스토퍼(130)는 도 4에서와 같이 x축 방향 이동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된 거더폭 조절프레임(200)의 상단 부위에 걸림고정되는 상부 걸림턱(131)과 레일 유닛(120)에 끼움 고정되는 하부 고정단(132)을 구비한다. 고정 스토퍼(130)의 상부 걸림턱(131)과 거더폭 조절프레임(200)의 지지대(210) 하부 수평플랜지에는 볼트공(1311)과 볼트홈(211)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33)에 의해 거더폭 조절프레임(200)의 지지대(210)가 고정 스토퍼(130)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 스토퍼(130)의 하부 고정단(132)은 레일 유닛(120)에 억지끼움으로 끼움 고정된다.
거더폭 조절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메인 레일(100)의 x축 방향 양단 부위에 배치되고, 메인 레일(100)에서의 x축 방향 이동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거더폭 조절프레임(200)은 지지대(210)와 안내레일(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210)는 복수의 레일 유닛(120)에 직교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I"형 수직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안내레일(220)은 지지대(210)의 상부면에 y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새들폭 조절대(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각 거더폭 조절프레임(200)의 안내레일(220)에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각 안내레일(220)에서의 y축 방향 이동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하부 고정블록체(310)와 거치구 연결편(320), 거치구 장착대(330), 고정볼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고정블록체(310)는 안내레일(220)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한쌍의 블록체 유닛(311) 사이에 스프링(312)이 배치되어 안내레일(220)에 탄성적으로 끼움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쌍의 블록체 유닛(311)의 전체 폭은 안내레일(220)의 내측 폭보다 설정길이만큼 크게 형성되어 한쌍의 블록체 유닛(311)이 안내레일(220) 내측으로 억지끼움으로 끼움고정되도록 한다. 거치구 연결편(320)은 하부 고정블록체(310)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평판체로 이루어진다. 거치구 장착대(330)는 거치구 연결편(320)의 상부면 양측 끝단부위에 수직으로 연결배치되는 것으로, 볼트공(331)이 관통형성된다. 거치구(400)는 한쌍의 거치구 장착대(330) 사이에 끼움고정되고, 볼트공(331)에 볼트-너트 구조로 삽입되는 고정볼트(340)의 조임동작에 따라 거치구(400)의 외측면에 고정볼트(340)가 밀착되면서 거치구(4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거치구(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각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새들(20)의 바퀴(22)가 결합되는 축(24)이 거치된다.
거치구(400)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축 고정홈(41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도록 하는데, 축 고정홈(410)을 이루는 표면에는 테프론 코팅층(401)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구(400)는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축 고정홈(410) 중 상측 축 고정홈(410)이 하측 축 고정홈(410)의 좌우 상단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곡선 라인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축 고정홈(410)의 곡률반경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구(400)는 복수의 축 고정홈(410)이 상면으로부터 요입형성되어 있는 몸체 블록(420)으로 이루어지는데, 몸체 블록(420)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제1고정대(421), 제2고정대(422), 바닥 블록체(423), 복수의 적층 블록체(424), 스프링(4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고정대(421)는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 블록(420)의 좌측을 받쳐주며 내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제1끼움돌기(4211)를 돌출형성한다. 제2고정대(422)는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부면 타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 블록(420)의 우측을 받쳐주며 내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제2끼움돌기(4221)를 돌출형성한다.
바닥 블록체(423)는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 사이에 삽입되어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으로, 최하단 축 고정홈(410)이 상부면에 형성된다. 적층 블록체(424)는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 사이에 삽입되어 바닥 블록체(423) 상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배치되고 좌우 대칭되는 한 세트(set)의 적층블록체 유닛(424a) 사이에 최하단 축 고정홈(410) 상측의 축 고정홈(410)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적층 블록체(424)의 일측 적층블록체 유닛(424a)은 외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끼움홈(4241)을 돌출형성하고, 각 적층 블록체(424)의 타측 적층블록체 유닛(424a)은 외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끼움홈(4241)을 돌출형성한다.
여기서 제1끼움돌기(4211)와 제2끼움돌기(4221)의 가로폭(D)은 끼움홈(4241)의 가로폭(d)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에 각 적층 블록체(424)의 적층블록체 유닛(424a)이 설정영역 범위에서 유동가능하게 끼움고정되도록 한다.
스프링(425)은 몸체 블록(420)에 복수개 형성되는데,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의 내측면에는 제1끼움돌기(4211)와 제2끼움돌기(4221)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홈(4212)(4222)이 상하방향으로도 이격되게 형성되고, 각 적층 블록체(424)의 적층블록체 유닛(424a)의 외측면에는 끼움홈(4241)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프링 장착홈(4242)이 형성되어 스프링(425)이 스프링 고정홈(4212)(4222)과 스프링 장착홈(4242)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각 적층 블록체(424)에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거치구(400)의 구조에 의해 축(24)이 미세유동없이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는 곡률반경을 달리한 복수의 축 고정홈이 상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요입되어 있는 거치구에 의해 새들의 바퀴가 결합되는 축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새들의 바퀴가 결합되는 축이 축 고정홈에 밀착되게 끼움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져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거더
20 : 새들
22 : 바퀴
24 : 축
100 : 메인 레일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레일 유닛
130 : 고정 스토퍼
131 : 상부 걸림턱
1311 : 볼트공
132 : 하부 고정단
133 : 체결볼트
200 : 거더폭 조절프레임
210 : 지지대
211 :볼트홈
220 : 안내레일
300 : 새들폭 조절대
310 : 하부 고정블록체
311 : 블록체 유닛
312 : 스프링
320 : 거치구 연결편
330 : 거치구 장착대
331 : 볼트공
340 : 고정볼트
400 : 거치구
401 : 테프론 코팅층
410 : 축 고정홈
420 : 몸체 블록
421 : 제1고정대
4211 : 제1끼움돌기
4212 : 스프링 고정홈
422 : 제2고정대
4221 : 제2끼움돌기
4222 : 스프링 고정홈
423 : 바닥 블록체
424 : 적층 블록체적층블록체 유닛
424a :
4241 : 끼움홈
4242 : 스프링 장착홈
425 : 스프링

Claims (5)

  1. 지면에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레일(100);
    상기 메인 레일(100)의 x축 방향 양단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레일(100)에서의 x축 방향 이동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상부면에 안내레일(220)이 형성되어 있는 거더폭 조절프레임(200);
    각 거더폭 조절프레임(200)의 안내레일(220)에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각 안내레일(220)에서의 y축 방향 이동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새들폭 조절대(300);
    각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새들(20)의 바퀴(22)가 결합되는 축(24)이 거치되는 거치구(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구(400)는 반원형 곡선 라인과 열호(inferior arc)형 곡선 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곡선 라인으로 이루어진 축 고정홈(410)이 형성되어 상기 축(24)이 축 고정홈(410)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거치구(400)는 복수의 축 고정홈(41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도록 하고,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축 고정홈(410) 중 상측 축 고정홈(410)은 하측 축 고정홈(410)의 좌우 상단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곡선 라인에 의해 형성되어 복수의 축 고정홈(410)의 곡률반경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거치구(400)는 복수의 축 고정홈(410)이 상면으로부터 요입형성되어 있는 몸체 블록(4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블록(420)은, 상기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형 수평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대(421); 상기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부면 타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형 수평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대(422); 상기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새들폭 조절대(300)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고, 최하단 축 고정홈(410)이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바닥 블록체(423); 상기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 블록체(423) 상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배치되고, 좌우 대칭되는 한 세트(set)의 적층블록체 유닛(424a) 사이에 최하단 축 고정홈(410) 상측의 축 고정홈(410)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적층 블록체(4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대(421)는 내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제1끼움돌기(421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대(422)는 내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제2끼움돌기(4221)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각 적층 블록체(424)의 일측 적층블록체 유닛(424a)은 외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끼움홈(4241)을 돌출형성하고, 각 적층 블록체(424)의 타측 적층블록체 유닛(424a)은 외측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의 끼움홈(4241)을 돌출형성하되,
    상기 제1끼움돌기(4211)와 제2끼움돌기(4221)의 가로폭(D)은 상기 끼움홈(4241)의 가로폭(d)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에 각 적층 블록체(424)의 적층블록체 유닛(424a)이 설정영역 범위에서 유동가능하게 끼움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블록(420)은 복수의 스프링(425);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대(421)와 제2고정대(4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4211)와 제2끼움돌기(4221)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홈(4212)(4222)이 상하방향으로도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 적층 블록체(424)의 적층블록체 유닛(424a)의 외측면에는 상기 끼움홈(4241)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프링 장착홈(4242)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425)이 상기 스프링 고정홈(4212)(4222)과 스프링 장착홈(4242)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각 적층 블록체(424)에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KR1020190062133A 2019-05-27 2019-05-27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KR10202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33A KR102022035B1 (ko) 2019-05-27 2019-05-27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33A KR102022035B1 (ko) 2019-05-27 2019-05-27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035B1 true KR102022035B1 (ko) 2019-09-17

Family

ID=6807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133A KR102022035B1 (ko) 2019-05-27 2019-05-27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348A (ko) * 2009-01-16 2010-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대형 실린더 운반용 지그
KR101108026B1 (ko) 2010-02-10 2012-01-25 이규태 갠트리 크레인 장치
KR101394659B1 (ko) 2013-11-12 2014-05-14 (주)경민호이스트 폭 조절이 가능한 크레인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348A (ko) * 2009-01-16 2010-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대형 실린더 운반용 지그
KR101108026B1 (ko) 2010-02-10 2012-01-25 이규태 갠트리 크레인 장치
KR101394659B1 (ko) 2013-11-12 2014-05-14 (주)경민호이스트 폭 조절이 가능한 크레인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7085B2 (en) Tilting multiplier
US20090114613A1 (en) Hoist for low space crane
CN109563709B (zh) 用于竖井安装的倾斜索具装置
CN104085774A (zh) 室内gis设备转运小车及其使用方法
CA2429084A1 (en) Elevator safety plank assembly
US6499408B1 (en) Rail support assembly for monorail crane
KR102022035B1 (ko) 크레인제작용 폭조절형 지그
KR20100086469A (ko)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KR101394659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크레인용 지그
KR100957533B1 (ko) 호이스트크레인의 바퀴 지지브라켓 장착용 지그
KR102367807B1 (ko) 와이어 로프 호이스트를 위한 저-구조 트롤리
JP2009525240A (ja) ケーブルまたはパイプライントロリ用のシャーシ
CN207434805U (zh) 一种无机房客梯轿底托架
JP6605411B2 (ja) 揚重ブラケット及び巻上機
CN114684702A (zh) 一种装配式剪力墙运输吊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211813022U (zh) 跨坐式单轨车专用装卸装置
CN211056539U (zh) X型吊具上架
JP443353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217537949U (zh) 一种装配式剪力墙运输吊装装置
WO2012176313A1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CN209835441U (zh) 一种伸缩式单轨双悬挂吊具
JP2016069152A (ja) 天井クレーンの走行桁補強工法及びこの工法で使用する吊り治具
CN211617682U (zh) 一种新型载重小车及电力抱杆
CN219279194U (zh) 新型施工升降机可调节附墙装置
US11814264B1 (en) Yoke assembly for suspending an elevator car or a counterweight in a shaft of a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