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744A -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744A
KR20140145744A KR1020130068244A KR20130068244A KR20140145744A KR 20140145744 A KR20140145744 A KR 20140145744A KR 1020130068244 A KR1020130068244 A KR 1020130068244A KR 20130068244 A KR20130068244 A KR 20130068244A KR 20140145744 A KR20140145744 A KR 20140145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pallet
shelf
nozzl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9847B1 (ko
Inventor
양희준
Original Assignee
양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준 filed Critical 양희준
Priority to KR2013006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84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으로는 세척캐빈(62) 내부에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를 90°로 분리 배치한 상태에서,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를 구성하는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이 전,후진하면서 팔레트(2)의 상단면, 저면, 측면 둘레등을 세척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급컨베이어(18) 및 반출컨베이어(2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18)와 반출컨베이어(20) 사이에 설치되는 세척부(8)와, 상기 세척부(8)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건조부(10)와, 제어부(130),로 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8)와 건조부(10) 사이에 레일(22)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22)에는 받침부재(24)를 설치하며, 상기 레일(22) 위로는 가이드프레임(26)을 직교시켜서 공급컨베이어(18)와 반출컨베이어(20)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6)에는 이송수단(6)를 설치함으로써 공급컨베이어(18)에 위치한 팔레트(2)를 운반하여 받침부재(24)에 안착시키거나 받침부재(24)에 위치한 팔레트(2)를 반출컨베이어(20)로 운반하게 하며, 상기 받침부재(24)와 이송수단(6)은 제어부(130)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Multi stage loading type palette washing device and washing method}
본 발명은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캐빈 내부에 정면세척부재와 측면세척부재를 90°로 분리 배치한 상태에서, 정면세척부재와 측면세척부재를 구성하는 면부노즐과 측부노즐이 전,후진하면서 팔레트의 상단면, 저면, 측면 둘레등을 세척하게 함으로써, 세척장치의 세척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한다.
또한, 세척캐빈 내부로 진입한 앵글선반에 5개의 팔레트를 층층이 적재하고 후방으로 10°∼50°젖혀지게 한 상태에서, 정면세척부재와 측면세척부재를 전,후진시키면서 팔레트를 동시에 세척하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팔레트의 세척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한다.
그리고, 앵글선반에 5개의 팔레트를 층층이 적재하여 세척캐빈과 건조캐빈 내부에서 세척 및 건조를 하고 반출하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세척장치의 작업장 설치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생산 라인에는 각종 부품(또는 제품)을 운반하기 위해 팔레트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팔레트는 이송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보통 뭍게 되어 제품 품질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팔레트의 경우 보통 세척과정과 건조과정 등으로 진행되는 장치를 통과시켜 청결하게 한 후 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장치로 팔레트를 세척할 경우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조적인 개선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KR 10-1134473 B1 2012.4.2. "상자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를 도 1 에서 살펴 보면, 먼저 세척기의 하우징(4) 내부에는 세척노즐(16), 헹굼노즐(18), 공기노즐(20)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클린공간(8)이 마련되고, 상기 클린공간(8) 아래에는 분리판(6)을 경계로 하여 열풍이 공급되는 건조공간(10)이 마련되며, 상기 클린공간(8)과 건조공간(10) 사이의 우측 단부에는 상자(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통로(12)가 형성된다.
상기 클린공간(8)과 건조공간(10)에는 투입된 상자(2)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1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세척기의 공급부를 통하여 상자가 클린공간(8)으로 투입되면, 상기 상자(2)는 이송컨베이어(14)에 의해 이송되면서 세척노즐(16)과 헹굼노즐(18)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세척된다.
이때, 상자(2)의 상,하부는 클린공간(8) 상,하부에 배치된 세척노즐(16)과 헹굼노즐(18)에 의해 세척되고, 이후로 공기노즐(20)로 부터 토출되는 고압공기에 의해 세정액이 탈액된다.
상기 이후로, 상자(2)는 통로(12)를 통과하면서 180°회전하여 아래에 위치한 건조공간(10)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후로 상자(2)는 이송컨베이어(14)에 의해 이동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어 외부로 반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클린공간(8)의 상,하부에 고정 설치된 세척노즐(16)과 헹굼노즐(18)로 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상자(2)가 이동하면서 세척되는 구조인 관계로, 상기 상자(2)의 둘레면과 내부면은 항상 오염물질이 잔류하게 되는데, 따라서 종래에 사용된 세척기는 세척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팔레트를 1개씩 순차적으로 연속 이동시키면서 세척하는 방식인 관계로, 다량의 팔레트를 세척할 경우 세척시간이 지체되는 관계로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팔레트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세척하는 구조인 관계로, 설비의 길이가 길게 됨으로 인해 작업장 면적을 크게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척캐빈 내부에 정면세척부재와 측면세척부재를 90°로 분리 배치한 상태에서, 정면세척부재와 측면세척부재를 구성하는 면부노즐과 측부노즐이 전,후진하면서 팔레트의 상단면, 저면, 측면 둘레등을 세척하게 함으로써, 세척장치의 세척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둘째, 세척캐빈 내부로 진입한 앵글선반에 5개의 팔레트를 층층이 적재하고 후방으로 10°∼50°젖혀지게 한 상태에서, 정면세척부재와 측면세척부재를 전,후진시키면서 팔레트를 동시에 세척하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팔레트의 세척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셋째, 앵글선반에 5개의 팔레트를 층층이 적재하여 세척캐빈과 건조캐빈 내부에서 세척 및 건조를 하고 반출하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세척장치의 작업장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팔레트(2)를 공급하거나 반출하는 공급컨베이어(18) 및 반출컨베이어(2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18)와 반출컨베이어(20) 사이에 설치되면서 공급된 팔레트(2)에 대해 세정액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8)와,
상기 세척부(8)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면서 세척된 팔레트(2)에 대해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건조하는 건조부(1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18), 세척부(8), 건조부(10), 반출컨베이어(20)에 연결되는 제어부(130),로 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8)와 건조부(10) 사이에 레일(22)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22)에는 받침부재(24)를 설치하여 세척부(8)와 건조부(10)를 왕복 이동하면서 팔레트(2)를 운반하게 하며,
상기 레일(22) 위로는 가이드프레임(26)을 직교시켜서 양단부가 각각 공급컨베이어(18)와 반출컨베이어(20)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6)에는 이송수단(6)를 설치함으로써 공급컨베이어(18)에 위치한 팔레트(2)를 운반하여 받침부재(24)에 안착시키거나 받침부재(24)에 위치한 팔레트(2)를 반출컨베이어(20)로 운반하게 하며,
상기 받침부재(24)와 이송수단(6)은 제어부(130)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6)에는 블록(34)이 가이드프레임(26)에 미끄럼 결합되면서 이송모터(36)의 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록(34)의 저면에는 승강실린더(38)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실린더(38)의 로드 하단부에는 플레이트(42)가 결합되면서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42)의 양측에는 아암(44)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아암(44)에는 팔레트(2) 또는 앵글선반(14)을 들어 올릴때 고정력을 제공하는 핑거실린더(4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팔레트(2)가 적재된 앵글선반(14)을 이송수단(6)이 공급컨베이어(18)에서 받침부재(24)로 운반하는 공급과정;
상기 공급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세척캐빈(62) 내부쪽으로 전,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앵글선반(14)을 안치시키는 1차 왕복 이동과정;
상기 1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받침대(84)와 앵글선반(14)을 후방으로 10°∼50°젖히는 세척 준비과정;
상기 세척 준비과정 이후로,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를 전,후진시키면서 세정액을 분사하여 팔레트(2)를 세척하는 과정;
상기 세척과정 이후로, 받침대(84)와 앵글선반(14)을 수직상태로 복귀시키는 세척완료과정;
상기 세척 완료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세척캐빈(62) 내부 쪽으로 전,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안치된 앵글선반(14)을 인출하는 2차 왕복 이동과정;
상기 2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건조캐빈(123) 내부 쪽으로 후진 및 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앵글선반(14)을 안치시키는 3차 왕복 이동과정;
상기 3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정면건조부재(124)와 측면건조부재(126)를 전,후진시키면서 고압공기로 팔레트(2)를 건조하는 과정;
상기 건조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건조캐빈(123) 내부 쪽으로 후진 및 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안치된 앵글선반(14)을 인출하는 4차 왕복 이동과정;
상기 4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에 안치된 앵글선반(14)을 이송수단(6)을 통하여 반출컨베이어(20)로 이동시키는 반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척캐빈(62) 내부에 설치된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가 90°로 분리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전,후진하며 팔레트(2)를 세척하게 되는데, 이때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이 팔레트(2)의 상단면, 저면, 측면 둘레등을 세척하면서 오염물질을 탈락시키게 됨으로 세척장치의 세척효율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세척캐빈(62) 내부로 진입한 앵글선반(14)은 5개의 팔레트를 층층이 적재하고 후방으로 10°∼50°젖혀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가 전,후진하며 팔레트(2)를 동시에 세척하게 됨으로, 팔레트(2)의 세척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앵글선반(14)에 5개의 팔레트(2)를 층층이 적재하여 세척캐빈(8)과 건조캐빈(10) 내부에서 세척 및 건조를 하고 반출하는 구조인 관계로, 세척장치의 작업장 설치면적은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세척기의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세척부의 정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건조부의 정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앵글선반의 이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정면 및 측면세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 블록도.
도 8a. 8b 는 본 발명의 앵글선반에 팔레트를 적재하는 상태도.
도 9a 내지 도 9g 는 본 발명의 앵글선반에 적재된 팔레트에 대한 세척 및
건조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인 앵글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7 에서 살펴 보면, 먼저 본 발명은 오염된 팔레트(2)(도2참조)를 공급하는 공급부(4)와, 팔레트(2)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6)과, 팔레트(2)를 세척 및 건조시키는 세척부(8) 및 건조부(10)와, 팔레트(2)를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12)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4)는 오염된 팔레트(2)를 앵글선반(14)에 5 개씩 적재하는 분배기(16)와, 상기 분배기(16)를 중간측에 배치하면서 앵글선반(14)을 이송수단(6) 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컨베이어(1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배기(16)에는 팔레트(2)를 하나씩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미 도시한 포오크가 구성되고, 상기 포오크는 승강모터에 연결된 체인에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또한 분배기(16)는 미 도시한 이송모터에 의해 공급컨베이어(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분배기(16)는 일반적으로 널리 채택되어 사용되는 구조를 적용하며, 상기 앵글선반(14)에는 팔레트(2)를 5개 또는 그 이상을 적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반출부(12)에는 세척 및 건조된 팔레트(2)가 5 개씩 적재된 앵글선반(14)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컨베이어(2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공급컨베이어(18)와 반출컨베이어(20) 사이에는 팔레트(2)를 세정액으로 고압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8)와, 세척된 팔레트(2)에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세정액을 탈리시킴으로써 건조하는 건조부(1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세척부(8)와 건조부(10)는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8)와 건조부(10) 사이에는 레일(22)이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22)에는 세척부(8)와 건조부(10)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팔레트(2)가 적재된 앵글선반(14)을 운반하는 받침부재(24)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22) 위로는 가이드프레임(26)이 직교하면서 양단부가 각각 공급컨베이어(18)와 반출컨베이어(20) 위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6)에는 이송수단(6)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6)은 공급컨베이어(18)의 출구에 위치한 앵글선반(14)을 운반하여 받침부재(24)에 안착시키거나 받침부재(24)에 위치한 앵글선반(14)을 반출컨베이어(20) 입구로 운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이송수단(6)(도3참조)에는 가이드프레임(26)에 미끄럼 결합되는 블록(34)이 구성되고, 상기 블록(34)에는 피니언(35)을 결합한 이송모터(36)가 장착되며, 상기 피니언(35)은 가이드프레임(26) 상단부에 설치한 래크(37)에 치차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블록(34)은 이송모터(36)의 동력에 의해 가이드프레임(2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34)의 저면에는 승강실린더(38)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승강실린더(38)의 로드 하단부에는 앵글선반(14)을 고정하는 고정부재(4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도5참조)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플레이트(42)가 결합되면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42)의 양측에는 앵글선반(14)을 들어 올리기에 적당한 길이를 갖는 아암(44)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아암(44) 각각에는 팔레트(2) 또는 앵글선반(14)에 대해 고정력을 제공하는 핑거실린더(46)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수단(6)은 앵글선반(14)을 이송모터(36)의 동력으로 운반하면서 승강실린더(38)를 통하여 승,하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팔레트(2)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앵글선반(14)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앵글선반(14)(도5참조)은 지지바아(28)로 된 틀로 만들어지면서 팔레트(2)가 투입되는 포켓부(30)가 층층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포켓부(30) 전면에는 팔레트(2)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30)의 입구 하측에는 팔레트(2)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바아(31)가 횡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부가 지지바아(28)에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포켓부(30) 사이에는 통로역할을 하는 노즐진입로(32)가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받침부재(24)(도5참조)에는 블록(48)이 레일(22)에 미끄럼 결합되면서 구성되고, 상기 블록(48)에는 이송모터(50)가 고정 설치되면서 축에 피니언(52)을 결합하며, 상기 피니언(52)과 치차 결합하는 래크(54)는 레일(22)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48) 상단부에는 받침실린더(56)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면서 로드 상단부에 받침판(58)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상기 받침판(58)의 양측에는 앵글선반(14)이 안치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러그(60)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한편, 세척부(8)에는 앵글선반(14)의 출입통로인 입구를 타측면에 형성한 중공형 세척캐빈(cabin)(62)(도3참조)이 구성 되는데, 상기 세척캐빈(62)의 입구 상부에는 입구 개,폐용 셔터(64)를 릴(66)에 감은 셔터모터(68)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세척캐빈(62) 내부에는 진입한 앵글선반(14)의 정면과 측면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가 각각 설치되면서 세정액펌프(8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캐빈(62)의 내부에 위치한 레일(22) 선단부에는 받침부재(24)를 통하여 이송된 앵글선반(14)이 안치되는 지지부재(82)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82)(도5참조)에는 앵글선반(14)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L"자형 받침대(84) 2개가 간격을 두고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받침대(84) 선단부는 상 방향으로 일부를 절곡시킴으로써 앵글선반(14)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2개의 받침대(84) 중간부 저면에는 수평으로 배치한 연결판(86) 양단부가 각각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받침대(84) 각각의 후미 하단부는 칼럼(88)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핀(90)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판(86)의 중간부에는 작동실린더(92)가 로드 선단부를 힌지핀으로 결합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칼럼(88)과 작동실린더(92)는 세척캐빈(62)의 바닥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실린더(92)에 의해 받침대(84)는 힌지핀(90)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10°∼50°로 젖혀지게 되거나 수직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세척캐빈(62) 내부로 진입한 받침판(58)이 승,하강 하면서 앵글선반(14)을 받침대(84)에 올려 놓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판(86)의 양단부를 하방으로 직각 절곡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연결판(86)은 받침대(84)의 하단부로부터 소폭 아래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84)의 후미에는 앵글선반(14)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무게를 지탱하여 주는 지지대(94)가 분리 설치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대(94)는 후방으로 10°∼50°범위로 절곡된 상태로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팔레트(2)를 세척하는 수단인 정면세척부재(70)(도6참조)는 세척캐빈(62) 내부로 진입한 팔레트(2)의 한족 측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측면세척부재(72)는 팔레트(2)의 다른 쪽 측면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는 90°로 분리 배치된다.
상기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에는 팔레트(2)의 상단면 또는 저면을 향하여 세정액을 분사하는 면부노즐(96) 다수개가 높이를 달리하며 구성되고, 상기 면부노즐(96) 양측으로는 팔레트(2)의 양측면을 향하여 세정액을 각각 분사하는 측부노즐(98) 다수개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면부노즐(96)은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연결관(102)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부노즐(98)은 선단부의 일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L"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노즐공을 팔레트(2)의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정면세척부재(70)의 면부노즐(96)은 모두 팔레트(2)의 저면을 향하여 노즐공이 배치되지만 상단부에 위치한 면부노즐(96)은 팔레트의 상단면을 향하여 노즐공이 배치되며, 상기 측면세척부재(72)의 면부노즐(96)은 모두 팔레트(2)의 상단면을 향하여 노즐공이 배치되지만 하단부에 위치한 면부노즐(96)은 팔레트(2)의 저면을 향하여 노즐공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의 면부노즐(96) 및 측부노즐(98)에 의해 팔레트(2)는 상단면, 저면, 측면 등이 세척된다.
상기와는 달리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의 면부노즐(96)에 형성하는 노즐공을 위,아래로 관통 형성함으로써, 면부노즐(96)의 상,하부에서 세정액이 동시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를 구성하는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의 후미 각각에는 센터안내관(104)과 사이드안내관(106)이 결합되고, 상기 센터안내관(104)과 사이드안내관(106)은 서로 바아(108)로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센터안내관(104)과 사이드안내관(106)은 세정액펌프(80)에 각각 호스로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의 센터안내관(104) 후미에는 전후진실린더(110)가 로드 선단부를 결합하면서 세척캐빈(62)의 내부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센터안내관(104)의 저면은 세척캐빈(62)의 바닥에 고정 설치된 레일(112,114)에 미끄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정면세척부재(70)의 레일(112)과 전후진실린더(110)는 10°∼50°범위로 선단부를 상향시켜서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따라서 상기 정면세척부재(70)의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은 10°∼50°로 경사진 상태에서 전,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세척부재(72)의 레일(114)은 우측 방향으로 10°∼50°범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상기 전후진실린더(110)는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따라서 상기 측면세척부재(72)의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은 우측 방향으로 10°∼50°범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전,후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세척캐빈(62)(도3참조)의 바닥에는 분사된 세정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된 타공받침판(116)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타공받침판(116) 아래에는 세정액이 모이는 회수탱크(118)가 형성되며, 상기 회수탱크(118)에는 여과탱크(120)와 세정액탱크(122)와 세정액펌프(80)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세척부(8)(도2참조)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건조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세척부(8)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건조부(10)의 건조캐빈(123) 내부에는 정면건조부재(124)와 측면건조부재(126)가 90°로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정면건조부재(124)와 측면건조부재(126)에는 에어펌프(128)가 연결되어 고압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급컨베이어(18), 분배기(16), 반출컨베이어(20), 이송모터(36,50), 승강실린더(38), 핑거실린더(46), 받침실린더(56), 세정액펌프(80), 에어펌프(128), 전후진실린더(110), 작동실린더(92), 셔터모터(68)에는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130)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0 개씩 적층한 팔레트(2)를 지게차로 공급컨베이어(18)(도2참조)의 입구에 올려 놓으면, 상기 제어부(130)는 공급컨베이어(18)에 작동 및 정지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팔레트(2)가 분배기(16)의 입구에 도달하게 하고, 동시에 미 도시된 다른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대기하고 있는 앵글선반(14)을 분배기(16)의 출구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16)에 명령을 전달하여 팔레트(2)를 1개씩 앵글선반(14)의 포켓부(30)로 진입시켜 적재하는데, 이때 팔레트(2)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부(30)로 진입하여 안착하면서 고정바아(31)에 의해 하부측 일부가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팔레트(2)는 앵글선반(14)이 유동을 하더라도 고정바아(31)에 의해 포켓부(30)로 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배기(16)가 1개의 앵글선반(14)에 5개의 팔레트(2)를 적재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분배기(16)에 작동중지 명령을 전달하면서 공급컨베이어(18)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앵글선반(14)이 이송수단(6) 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팔레트(2)가 적재된 앵글선반(14)을 이송수단(6)이 공급컨베이어(18)에서 받침부재(24)로 운반하는 공급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제어부(130)는 승강실린더(38)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로드를 전진시킴으로써,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실린더(46)가 하강하여 앵글선반의 상부 외측에 도달하게 한 다음, 상기 핑거실린더(46)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로드 선단부가 앵글선반(14)의 노즐진입로(32) 내부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재차 승강실린더(38)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로드를 후진시키면, 상기 핑거실린더(46)의 로드는 앵글선반(14)의 노즐진입로(32) 상측에 걸려진 상태가 되고, 동시에 상기 앵글선반(14)은 공급컨베이어(18)로 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이송수단(6)을 구성하는 이송모터(36)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앵글선반(14)을 받침부재(24) 위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승강실린더(38)와 핑거실린더(46)에 순차적으로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앵글선반(14)이 하강하여 받침판(58) 위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승강실린더(38)에 재차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핑거실린더(46)를 상승시키면서 앵글선반(14)으로 부터 분리 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이송모터(36)에 재차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이송수단(6)이 공급컨베이어(18) 위로 복귀하면서 대기상태로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세척캐빈(62) 내부쪽으로 전,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앵글선반(14)을 안치시키는 1차 왕복 이동과정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셔터모터(68)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셔터(64)가 열림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상기 받침부재(24)를 구성하는 이송모터(50)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이송모터(50)의 피니언(52)은 회전하면서 치차 결합된 래크(54)를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이송모터(50)가 장착된 블록(48)은 레일(22)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세척캐빈(62)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받침실린더(56)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받침판(58)과 앵글선반(14)을 소폭 상승시킨 상태에서 세척캐빈(62) 내부로 진입하게 하고, 상기 앵글선반(14)의 하단부는 지지부재(82)의 받침대(84) 위에 도달하여 있게 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가 받침실린더(56)에 재차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받침판(58)을 연결판(86) 위에 근접하게 하면, 상기 받침판(58)의 양측에 형성된 러그(60)는 앵글선반(14)의 하부로 부터 이탈하여 있게 되고, 상기 앵글선반(14)은 받침대(84) 위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이송모터(50)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받침부재(24)를 세척캐빈(62) 외부로 후진시켜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상기 셔터모터(68)에 작동 및 정지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셔터(64)를 닫힘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건조부(10)에서 건조작업을 완료한 팔레트(2)를 적재하고 있는 앵글선반(14)이 있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받침부재(24)를 후진시켜서 세척캐빈(123)으로 진입시킨 다음, 상기 앵글선반(14)을 받침부재(24)에 안치시켜서 인출하게 되는데, 이후로 진행되는 과정은 후술한다.
상기 1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받침대(84)와 앵글선반(14)을 후방으로 10°∼50°젖히는 세척 준비과정을 실시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130)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92)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로드를 전진시키면, 상기 받침대(84)는 칼럼(88) 상단부에서 힌지핀(9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방으로 10°∼50°젖혀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지지대(94)는 앵글선반(14)과 함께 지지대(94)에 밀착하여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94)는 앵글선반(14)의 무게를 지탱하여 주게 됨으로 받침대(84)가 후방으로 더 이상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척 준비과정 이후로,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를 전,후진시키면서 세정액을 분사하여 팔레트(2)를 세척하는 과정을 실시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130)는 세정액펌프(80)에 명령을 전달하여 세정액을 정면세척부재(70) 쪽으로 공급하고, 동시에 상기 정면세척부재(70)를 구성하는 전후진실린더(110)에 명령을 전달하여 로드를 저속으로 2∼5회 전,후진 시킨 후 정지시키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안내관(104) 하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더는 레일(112)을 따라 10°∼50°경사진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은 함께 전,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면부노즐(96)은 도 9e,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선반(14)의 노즐진입로(32) 내부를 출입하면서 세정액을 분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세정액은 앵글선반(14)에 적재된 팔레트(2)의 저면을 향하여 분사되면서 오염물질을 탈리시키게 되고, 상기 센터안내관(104)의 상단부에 위치한 면부노즐(96)은 팔레트(2)의 상단면을 향하여 세정액을 분사하면서 오염물질을 탈리시키게 된다.
동시에, 상기 측부노즐(98)은 앵글선반(14)의 양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세정액을 분사하여 팔레트(2)의 측면에 있는 오염물질을 탈리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정면세척부재(70)를 구성하는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에 의해 팔레트(2)의 저면과 측면이 세척되고, 동시에 상기 앵글선반(14)의 상단부에 위치한 팔레트(2) 상단면이 세척된다.
상기와 같이 정면세척부재(70)에 의해 팔레트(2)가 세척되는 과정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은 세척캐빈(62)의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앵글선반(14)과 팔레트(2)는 후방으로 10°∼50°젖혀져 있는 관계로, 상기 팔레트(2)로 분사된 세정액은 기울어진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정면세척부재(70)의 전후진실린더(110)와 세정액펌프(80)의 작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다른 세정액펌프(80)에 작동명령을 전달하여 세정액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측면세척부재(72)를 구성하는 전후진실린더(110)에 명령을 전달하여 로드를 저속으로 2∼5회 전,후진 시킨 후 정지시키면,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안내관(104)의 하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더는 레일(112)을 따라 10°∼50°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은 함께 전,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면부노즐(96)은 앵글선반(14)의 노즐진입로(32) 내부를 출입하면서 세정액을 분사하게 되는데, 이로인해 세정액은 앵글선반(14)에 적재된 팔레트(2)의 상단면을 향하여 분사되면서 오염믈질을 탈리시키게 되고, 상기 센터안내관(104) 하단부에 위치한 면부노즐(96)은 팔레트(2)의 저면을 향하여 세정액을 분사하면서 오염물질을 탈리시키게 된다.
동시에, 상기 측부노즐(98)은 앵글선반(14)의 양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세정액을 분사하여 팔레트(2)의 측면에 있는 오염물질을 탈리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측면세척부재(72)를 구성하는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에 의해 팔레트(2)의 상단면과 측면이 세척되고, 동시에 앵글선반(14)의 하단부에 위치한 팔레트(2)의 저면이 세척된다.
상기와 같이 측면세척부재(72)에 의해 팔레트(2)가 세척되는 과정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은 기울어져 위치한 팔레트(2)의 경사면을 따라 세척캐빈(62)의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후로 사용된 세정액은 타공받침판(116)을 통과하여 회수탱크(118), 여과탱크(120), 세정액탱크(122) 순으로 이동하면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측면세척부재(72)의 전후진실린더(110)와 세정액펌프(80)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세척작업을 종료한다.
상기 세척과정 이후로, 받침대(84)와 앵글선반(14)을 수직상태로 복귀시키는 세척완료과정을 실시한다.
상기 제어부(130)가 작동실린더(92)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로드를 후진시키면, 상기 받침대(84)는 힌지핀(90)을 중심으로 역회전하면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받침대(84)와 앵글선반(14)은 수직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세척 완료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세척캐빈(62) 내부 쪽으로 전,후진 하면서 받침대(84)에 안치된 앵글선반(14)을 인출하는 2차 왕복 이동과정을 실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셔터모터(68)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셔터(64)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받침부재(24)를 구성하는 이송모터(50)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세척캐빈(62) 내부로 진입시키면, 상기 이송모터(50)의 피니언(52)은 치차 결합된 래크(54)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블록(48)은 레일(22)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한 받침판(58)은 지지부재(82)의 연결판(86) 위에 위치하면서 러그(60)는 앵글선반(14)의 하부 외측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받침실린더(56)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받침판(58)을 소폭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받침판(58)은 앵글선반(14)의 하부 저면에 밀착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러그(60)는 앵글선반(14)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앵글선반(14)은 받침판(58)에 안착한 상태에서 받침대(84)로 부터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이송모터(50)에 명령을 전달하여 받침부재(24)를 후진시킴으로써 앵글선반(14)을 세척캐빈(62)으로 부터 인출하게 된다.
상기 2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건조캐빈(123) 내부 쪽으로 후진 및 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앵글선반(14)을 안치시키는 3차 왕복 이동과정을 실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송모터(50)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받침부재(24)를 더욱 후진시킴으로써, 상기 앵글선반(14)이 건조캐빈(123) 내부로 진입하게 하는데, 이때 상기 앵글선반(14)은 전술한 세척부(8)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받침대(84)에 안착하면 작동실린더(92)에 의해 후방으로 10°∼50°젖혀지게 되고, 상기 받침부재(24)는 이송모터(50)에 의해 전진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재(24)가 건조캐빈(123)으로 부터 나오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이송수단(6)에 명령을 전달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컨베이어(18)의 출구측에 대기하고 있는 앵글선반(14)을 이동시켜서 받침부재(24)에 안착시키고, 이후로 제어부(130)는 받침부재(24)에 설치된 이송모터(50)에 명령을 전달하여 앵글선반(14)을 세척캐빈(62)으로 진입시킨다.
따라서, 상기 앵글선반(14)에 적재된 팔레트(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과정으로 세척된다.
상기 3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정면건조부재(124)와 측면건조부재(126)를 전,후진시키면서 고압공기로 팔레트(2)를 건조하는 과정을 실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전술한 세척캐빈(62) 내부에서와 같은 동일한 과정으로 정면건조부재(124)와 측면건조부재(126)의 전후진실린더(110)에 순차적으로 명령을 전달하면서 에어펌프(128)에 명령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로 부터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해 팔레트(2)의 상단면, 저면, 측면 등에 잔류하는 세정액이 탈리되면서 건조된다.
상기 건조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건조캐빈(123) 내부 쪽으로 후진 및 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안치된 앵글선반(14)을 인출하는 4차 왕복 이동과정을 실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작동실린더(92)에 명령을 전달하여 앵글선반(14)을 수직으로 세운 다음, 상기 이송모터(50)에 재차 작동 및 정명령을 전달하여 받침부재(24)를 후진시켜서 건조캐빈(123) 내부로 진입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상기 받침부재(24)에 앵글선반(14)을 안착시킨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이송모터(50)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24)가 앵글선반(14)과 함께 전진하면서 건조캐빈(123)으로 부터 빠져나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따라서, 팔레트(2)에 대한 세척 및 건조작업은 완료상태가 된다.
상기 4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에 안치된 앵글선반(14)을 이송수단(6)을 통하여 반출컨베이어(20)로 이동시키는 반출과정을 실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송수단(6)을 구성하는 이송모터(36)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고정부재(40)가 앵글선반(14) 위에 도달하게 하고, 이후로 제어부(130)는 승강실린더(38)와 핑거실린더(46)에 순차적으로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핑거실린더(46)가 하강하여 앵글선반(14)의 상부 외측에 위치하게 하면서 로드가 앵글선반(14)의 노즐진입로(32) 내부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재차 승강실린더(38)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로드를 후진시키면, 상기 핑거실린더(46)의 로드는 앵글선반(14)의 노즐진입로(32) 상측에 걸려진 상태가 되고, 동시에 상기 앵글선반(14)은 받침판(58)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30)는 재차 이송수단(6)의 이송모터(36)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여 앵글선반(14)을 반출컨베이어(20) 위에 도달하게 한 다음, 상기 승강실린더(38)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앵글선반(14)이 반출컨베이어(20) 위에 안착하게 한다.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핑거실린더(46)와 승강실린더(38)에 순차적으로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핑거실린더(46)는 노즐진입로(32)로 부터 이탈하면서 상승함으로써 앵글선반(14)으로 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앵글선반(14)에 대한 반출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앵글선반(14)은 반출컨베이어(20)에 의해 외부로 반출되고, 상기 이송수단(6)은 다시 공급부(4)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세척캐빈(62)에서 세척작업이 종료되면 팔레트(2)를 적재한 앵글선반(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받침부재(24)에 의해 건조캐빈(123)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로 받침부재(24)는 레일(22)의 중간 위치로 복귀하여 대기상태로 정지하여 있게 된다.
상기 이후로, 이송수단(6)은 반출컨베이어(20)의 출구측에 위치하고 있는 앵글선반(14)을 받침부재(24)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앵글선반(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세척부(8), 건조부(10), 반출부(12) 순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앵글선반(14)에 적재된 팔레트(2)는 세척 및 건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구성하는 앵글선반(132)의 구조를 도 10에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앵글선반(132)은 지지바아(134)로 된 틀로 만들어지면서 팔레트(2)가 투입되는 포켓부(136)가 층층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포켓부(136) 전면에는 팔레트(2)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포켓부(30) 사이에는 통로 역할을 하는 노즐진입로(1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앵글선반(132)의 일측에 위치한 지지바아(134)에는 도어(140)가 경첩으로 결합되면서 고리나 자석등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140)에는 노즐진입로(138)와 일치하는 위치에 통로(14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앵글선반(132)에 팔레트(2)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도어(140)를 열고 층층이 형성된 포켓부(136)에 팔레트(2)를 투입하여 적재한 다음, 상기 도어(140)를 닫음으로써 적재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앵글선반(132)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이동하면서 세척 및 건조되고 반출 되는데, 이때 상기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를 구성하는 면부노즐(96)은 앵글선반(132)의 도어(140)에 형성된 통로(142)를 지나 노즐진입로(138)를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전,후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2:팔레트 4:공급부
6:이송수단 8:세척부
10:건조부 12:반출부
14,132:앵글선반 16:분배기
18:공급컨베이어 20:반출컨베이어
22,112,114:레일 24:받침부재
26:가이드프레임 28,134:지지바아
30,136:포켓부 32,138:노즐진입로
34,48:블록 35,52:피니언
36,50:이송모터 37,54:래크
38:승강실린더 40:고정부재
42:플레이트 44:아암
46:핑거실린더 56:받침실린더
58:받침판 60:러그
62:세척캐빈 64:셔터
66:릴 68:셔터모터
70:정면세척부재 72:측면세척부재
80:세정액펌프 82:지지부재
84:받침대 86:연결판
88:칼럼 90:힌지핀
92:작동실린더 94:지지대
96:면부노즐 98:측부노즐
102:연결관 104:센터안내관
106:사이드안내관 108:바아
110:전후진실린더 116:타공받침판
118:회수탱크 120:여과탱크
122:세정액탱크 123:건조캐빈
124:정면건조부재 126:측면건조부재
128:에어펌프 130:제어부
140:도어 142:통로

Claims (21)

  1. 팔레트(2)를 공급하거나 반출하는 공급컨베이어(18) 및 반출컨베이어(2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18)와 반출컨베이어(20) 사이에 설치되면서 공급된 팔레트(2)에 대해 세정액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8)와,
    상기 세척부(8)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면서 세척된 팔레트(2)에 대해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건조하는 건조부(1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18), 세척부(8), 건조부(10), 반출컨베이어(20)에 연결되는 제어부(130),로 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8)와 건조부(10) 사이에 레일(22)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22)에는 받침부재(24)를 설치하여 세척부(8)와 건조부(10)를 왕복 이동하면서 팔레트(2)를 운반하게 하며,
    상기 레일(22) 위로는 가이드프레임(26)을 직교시켜서 양단부가 각각 공급컨베이어(18)와 반출컨베이어(20)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6)에는 이송수단(6)를 설치함으로써 공급컨베이어(18)에 위치한 팔레트(2)를 운반하여 받침부재(24)에 안착시키거나 받침부재(24)에 위치한 팔레트(2)를 반출컨베이어(20)로 운반하게 하며,
    상기 받침부재(24)와 이송수단(6)은 제어부(130)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2)는 여러단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앵글선반(14)에 삽입 되면서 공급컨베이어(18)에서 부터 반출컨베이어(20)로 이동하며,
    상기 앵글선반(14)은 지지바아(28)로 된 틀로 만들어지면서 팔레트(2)가 투입되는 포켓부(30)를 층층이 형성하고,
    상기 포켓부(30)의 전면부에는 팔레트(2)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포켓부(30)의 입구 하측에는 팔레트(2)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바아(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6)에는 블록(34)이 가이드프레임(26)에 미끄럼 결합되면서 이송모터(36)의 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록(34)의 저면에는 승강실린더(38)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실린더(38)의 로드 하단부에는 플레이트(42)가 결합되면서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42)의 양측에는 아암(44)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아암(44)에는 팔레트(2) 또는 앵글선반(14)을 들어 올릴때 고정력을 제공하는 핑거실린더(4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4)에는 블록(48)이 레일(22)에 미끄럼 결합되면서 이송모터(50)의 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록(48)의 상부에는 받침실린더(56)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받침실린더(56)의 로드 상단부에는 받침판(58)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받침판(58)의 양측에는 앵글선반(14)이 안치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러그(60)가 수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8)에는 앵글선반(14)의 출입통로인 입구를 타측면에 형성한 중공형 세척캐빈(62)이 구성되고,
    상기 세척캐빈(62) 상부에는 입구 개,폐용 셔터(64)를 릴(66)에 감은 셔터모터(68)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캐빈(62) 내부에는 진입한 앵글선반(14)의 정면과 측면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가 각각 설치 되면서 세정액펌프(80)에 연결되고,
    상기 세척캐빈(62) 내부에 위치하는 레일(22) 선단부에는 받침부재(24)를 통하여 이송된 앵글선반(14)이 놓여지는 지지부재(82)가 설치되며,
    상기 셔터모터(68)와 세정액펌프(80)는 제어부(1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이송수단(6)에 명령을 전달하여 팔레트(2)가 적재된 앵글선반(14)을 받침부재(24)에 안치시키게 되면, 상기 이송모터(50)에 명령을 전달하여 받침부재(24)와 앵글선반(14)을 세척캐빈(62) 내부로 전진시키고, 이후로 상기 받침실린더(56)에 명령을 전달하여 지지부재(82)에 앵글선반(14)이 올려지도록 한 다음, 상기 이송모터(50)에 재차 명령을 전달하여 받침부재(24)를 후진시키면서 대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이송수단(6)에 명령을 전달하여 팔레트(2)가 적재된 앵글선반(14)을 받침부재(24)에 안치시키면, 상기 이송모터(50)에 명령을 전달하여 받침부재(24)와 앵글선반을 세척캐빈(62) 내부로 전진시켜 지지부재(82)에 올려 놓은 다음, 상기 이송모터(50)에 재차 명령을 전달하여 받침부재(24)를 후진시켜서 건조부(10)로 진입시키고, 이후로 건조된 팔레트(2)가 적재된 앵글선반(14)을 받침부재(24)에 안치시킨 후 전진하여 대기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며, 이후로 제어부(130)는 건조된 팔레트(2)가 적재된 앵글선반(14)을 이송수단(6)를 통하여 반출부(12)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82)는
    앵글선반(14)이 안치되는 "L"자형 받침대(84)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84)는 세척캐빈(62)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한 칼럼(88)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84)의 후미 하단부는 힌지핀(90)으로 칼럼(88) 상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받침대(84)의 중간부 저면에는 연결판(86)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양단부에 받침대(84)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연결판(86)의 중간부에는 작동실린더(92)의 로드 상단부를 힌지핀으로 결합하고, 상기 작동실린더(92)는 세척캐빈(62)의 바닥에 수직 설치하면서 제어부(130)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받침대(84)에 앵글선반(14)이 안치되면 작동실린더(92)에 명령을 전달하여 로드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상기 받침대(84)가 힌지핀(90)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하여 후방으로 젖혀지게 하거나 수직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84) 후미에는 앵글선반(14)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무게를 지탱하여 주는 지지대(94)가 분리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94)는 후방으로 10°∼50°범위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세척부재(70)는 팔레트(2)의 한쪽 측면을 향하여 배치하며, 상기 측면세척부재(72)는 팔레트(2)의 다른 쪽 측면을 향하여 배치하고, 상기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는 90°각도로 직각 배치하며, 상기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는 받침대(84)에 놓여 있는 팔레트(2)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함으로써 세척작업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는,
    팔레트(2)의 상단면 또는 저면을 향하여 세정액을 분사하는 면부노즐(96)과,
    팔레트(2)의 양측면을 향하여 세정액을 각각 분사하는 측부노즐(98)과,
    상기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 후미를 각각 결합하면서 바아(108)로 연결되는 센터안내관(104) 및 사이드안내관(106),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터안내관(104)과 사이드안내관(106)은 세정액펌프(8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안내관(104) 후미에는 제어부(130)에 연결된 전후진실린더(110)가 로드 선단부를 결합하면서 세척캐빈(62)의 내부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센터안내관(104) 저면은 레일(114)에 미끄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선반(14)의 층층이 형성된 포켓부(30) 사이에는 면부노즐(96)이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한 노즐진입로(32)가 형성되며,
    상기 면부노즐(96)은 센터안내관(104)에 다수개가 높이를 달리하며 전방을 향하여 수평 설치되면서 앵글선반(14)의 노즐진입로(32)를 전,후진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부노즐(98)은 사이드안내관(106)에 다수개가 높이를 달리하며 각각 "L"자 모양으로 설치되면서 앵글선반(14)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세척부재(70)의 면부노즐(96)은 앵글선반(14)에 적재된 팔레트(2)의 저면을 향하여 분사되고, 상기 측면세척부재(72)의 면부노즐(96)은 팔레트(2)의 상단면을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세척부재(70)의 레일(112)과 전후진실린더(110)는 10°∼50°범위로 선단부를 상향시켜서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정면세척부재(70)의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이 10°∼50°로 경사진 상태에서 전,후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세척부재(72)의 레일(114)은 우측 방향으로 10°∼50°범위로 기울어지게 설치하고, 상기 측면세척부재(72)의 전후진실린더(110)는 수평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이 우측 방향으로 10°∼50°범위로 기울어진 상태로 전,후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의 명령에 의해 작동실린더(92)가 작동하면서 받침대(84)를 앵글선반(14)과 함께 후방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정면세척부재(70)의 전후진실린더(110)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한 다음, 상기 측면세척부재(72)의 전후진실린더(110)에 작동 및 정지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앵글선반(14)에 적재된 팔레트(2)의 상단면, 저면, 측면 등이 면부노즐(96)과 측부노즐(98)로 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세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선반(14)은
    지지바아로(134)된 틀로 만들어지면서 팔레트(2)가 투입되는 포켓부(136)를 층층이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포켓부(136) 사이에는 노즐진입로(138)를 형성하며,
    상기 포켓부(136)의 입구측에는 팔레트(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140)를 경첩으로 설치하고,
    상기 도어(140)에는 앵글선반(14)에 형성된 노즐진입로(138)와 같은 높이에 동일한 형태의 통로(1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21. 팔레트(2)가 적재된 앵글선반(14)을 이송수단(6)이 공급컨베이어(18)에서 받침부재(24)로 운반하는 공급과정;
    상기 공급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세척캐빈(62) 내부쪽으로 전,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앵글선반(14)을 안치시키는 1차 왕복 이동과정;
    상기 1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받침대(84)와 앵글선반(14)을 후방으로 10°∼50°젖히는 세척 준비과정;
    상기 세척 준비과정 이후로, 정면세척부재(70)와 측면세척부재(72)를 전,후진시키면서 세정액을 분사하여 팔레트(2)를 세척하는 과정;
    상기 세척과정 이후로, 받침대(84)와 앵글선반(14)을 수직상태로 복귀시키는 세척완료과정;
    상기 세척 완료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세척캐빈(62) 내부 쪽으로 전,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안치된 앵글선반(14)을 인출하는 2차 왕복 이동과정;
    상기 2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건조캐빈(123) 내부 쪽으로 후진 및 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앵글선반(14)을 안치시키는 3차 왕복 이동과정;
    상기 3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정면건조부재(124)와 측면건조부재(126)를 전,후진시키면서 고압공기로 팔레트(2)를 건조하는 과정;
    상기 건조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가 건조캐빈(123) 내부 쪽으로 후진 및 전진하면서 받침대(84)에 안치된 앵글선반(14)을 인출하는 4차 왕복 이동과정;
    상기 4차 왕복 이동과정 이후로, 받침부재(24)에 안치된 앵글선반(14)을 이송수단(6)을 통하여 반출컨베이어(20)로 이동시키는 반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방법.


KR20130068244A 2013-06-14 2013-06-14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479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244A KR101479847B1 (ko) 2013-06-14 2013-06-14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244A KR101479847B1 (ko) 2013-06-14 2013-06-14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744A true KR20140145744A (ko) 2014-12-24
KR101479847B1 KR101479847B1 (ko) 2015-01-09

Family

ID=5258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244A KR101479847B1 (ko) 2013-06-14 2013-06-14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73A (ko) * 2019-06-13 2020-12-23 김종범 전기동 황산 세척장치
CN115921407A (zh) * 2022-12-30 2023-04-07 江苏优迪亚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原料的预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456B1 (ko) * 2017-10-11 2018-02-28 최형식 프로파일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973U (ja) * 1991-04-08 1994-07-19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パレットなどの縦型洗浄装置
JP2506255B2 (ja) 1992-06-04 1996-06-12 政太郎 中川 魚の熱処理装置
KR100413230B1 (ko) * 2003-06-23 2004-01-03 매일유업주식회사 파레트 자동 세척 시스템
KR100990391B1 (ko) 2009-12-17 2010-10-29 물류와환경연구소(주) 파레트 세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73A (ko) * 2019-06-13 2020-12-23 김종범 전기동 황산 세척장치
CN115921407A (zh) * 2022-12-30 2023-04-07 江苏优迪亚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原料的预处理设备
CN115921407B (zh) * 2022-12-30 2023-07-21 江苏优迪亚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原料的预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847B1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473B1 (ko) 상자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CN106424051B (zh) 一种纯净水桶自动清洗装置
CN2834715Y (zh) 一种全自动超声波清洗机
US9517854B2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iners of liquids
KR101479847B1 (ko)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N107910279A (zh) 一种硅片全自动插片清洗装置及方法
CN204523635U (zh) 蔬菜托盘自动清洗机
JP4766271B2 (ja) 熱処理装置
KR101470195B1 (ko) 수평형 다단 적재식 팔레트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JP5007804B2 (ja) 熱処理装置
CN111774231B (zh) 一种管材智能喷涂烘干组合生产线及方法
JP3166049B2 (ja) 洗浄装置
CN105710079A (zh) 一种全自动超声波清洗机
KR101910326B1 (ko) 기판 도금장치
KR101341079B1 (ko) 세척기용 상자 자동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PL236907B1 (pl) Myjnia komorowa pojemników magazynowych zwłaszcza pojemników drucianych z okładziną wewnętrzną oraz zastosowanie takiej myjni komorowej
KR101022610B1 (ko) 파이프 자동 세척 장치
AU2014221295A1 (en) A pallet washing machine
CN112452993B (zh) 一种用于大型齿轮箱体的全自动上下料清洗装置
CN211282792U (zh) 一种零件分流传输装置
JP6325899B2 (ja) 水耕パネルの洗浄装置および方法
CN112754385A (zh) 机器人智能洗碗机
JP2920081B2 (ja) セイロ搬送装置および自動蒸し機
CN115365237B (zh) 一种零件清洗浸油设备
KR20080050560A (ko)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