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499A -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499A
KR20140145499A KR1020130068028A KR20130068028A KR20140145499A KR 20140145499 A KR20140145499 A KR 20140145499A KR 1020130068028 A KR1020130068028 A KR 1020130068028A KR 20130068028 A KR20130068028 A KR 20130068028A KR 20140145499 A KR20140145499 A KR 20140145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e
cosmetic composition
sebum secretion
alleviating
polyp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770B1 (ko
Inventor
이경은
염종경
김종광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77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분비완화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 합성 기전의 전사인자 SREBP-1a 및 SREBP-1c의 과발현을 억제하고, 피지 세포내 지질 축적을 확연하게 개선하는 우수한 피지분비완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여드름 개선 등의 용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EBUM SECRETION AND IMPROVING ACNE SYMPTOMS CONTAINING POLYPHENOLS DERIVED FROM APPLE}
본 발명은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 추출물에 함유된 폴리페놀이 스테롤 조절인자 결합단백질-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 이하 “SREBP-1”라 약칭함)의 생성을 저해하여 피지세포 내 지질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 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통 사춘기에 주로 발생하는 여드름은 범세계적인 일반적인 피부질환으로써 사춘기 청소년의 약 85% 이상에서 관찰되며 때로는 30대 이후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모낭의 피지선 샘 단위의 만성 염증질환으로서 면포, 구진, 고름물집, 결절, 유사낭 등 다양한 피부 변화를 수반하며, 그에 따른 휴우증으로 노목한 흉터 또는 확대된 흉터를 남기기도 하므로 외모적인 문제와 함께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여드름은 주로 피지선이 몰려 있는 안면, 목, 가슴, 등에 많이 발생하며 자모공이 좁아지거나 막혀 피지가 배출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며, 피지선의 피지 분비가 늘어나거나, 모낭 입구가 막히면 여드름 균의 증식이 활발하게 되어 여드름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여드름의 원인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에 의한 피지분비과잉, 모낭벽의 과각화,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의 증식으로 인한 모낭자극이 주요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여드름 환자의 경우 안드로겐이 피지선을 자극하여 피지분비를 증가시키고, 이렇게 증가된 피지들이 죽은 피부세포들과 엉키고 뭉쳐지게 되면서 모낭 입구를 막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Eur J Dermatol, 2004, 14, 4-12).
피지선은 안드로겐을 생성하고 대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안드로겐은 지질합성 관여하는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 지질합성 경로를 촉진시키는데, 해당하는 효소로는 지방산 합성효소(fatty acid synthase(fas)),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acetyl-CoA carboxylase (ACC)), 말산효소(malic enzyme), ATP-시트르산 분해효소(ATP-citrate lyase), 스테롤 조절인자(sterol-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SREBP)) 등이 있다. 이런 지질대사 관련 효소들은 공통적으로 SRE라는 전사조절부위를 가지며, 안드로겐은 SRE에 결합하는 SREBP를 조절함으로써 위의 효소들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roc. Natl. Acad. Sci., 1997, 94, 12975-12980).
여기서, 스테롤 조절인자 결합단백질(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SREBP))은 스테롤에 의한 유전자의 전사조절부위인 SRE(sterol regulatory element)에 결합하여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을 포함한 지질생성을 조절한다. 상기한 SREBP는 3가지 이성질체로 존재하며, SREBP-1a와 SREBP-1c는 하나의 유전자로부터 유래되어, 다른 전사개시위치(trasncription initiation site)를 사용한다. 나머지 SREBP-2는 다른 유전자에서 전사되어 콜레스테롤의 항상성에 관여하고 위의 두 가지 이성질체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지질합성에 관여하는 SREBP의 생성억제는 피지생성 억제에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6, 126, 1226-11232).
근래 들어 여드름은 외부적 스트레스, 호르몬 이상 경향 및, 환경오염의 증가 및 심화 등으로 인하여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에게서도 유발되는 경향이 해마다 증가하고 그 정도 또한 현저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여드름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다.
종래, 여드름 피부를 개선하기 위한 전형적인 시도로서, 흡착 파우더를 이용하여 생성된 피지를 제거하거나, 살리실산, 삼염소산 및, 트리하이드록시 팔미트산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모공을 막고 있는 각질을 제거해 주거나 여드름 균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을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과,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지 분비를 억제시키거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내에 항균력을 가진 송화가루 추출물을 적용하여 여드름을 예방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여전히 충분히 만족스러운 것은 못되었다.
따라서 피지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안전한 천연추출물을 발굴하여 이를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 이용함으로써 여드름 증상의 효과적인 개선 내지 경감과 예방을 도모할 수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오랜 기간 당업계에 요망되어 왔다.
한편, 사과 유래 폴리페놀은 사과 잎이나 열매 또는 꽃의 추출물에 함유된 폴리페놀로, 그 주요 성분으로는 에피카테킨(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클로제닌산(chlogenic acid), 카테킨(catechin), 탄닌산(tannic acid) 등이 알려져 있고, 미숙과가 성숙과에 비해 그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미백, 항노화 및 항진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또한 치근막 보호 효과도 인정되어 있으나, 사과 유래 폴리페놀 성분이 피지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지선에서의 피지 생성을 억제한다는 보고는 본 발명자들이 파악하고 있는 한 전혀 알려져 있는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피지생성억제 물질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지선 세포에서의 SREBP-1의 생성과 지질합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 사과 유래 폴리페놀이 SREBP-1의 발현과 피지선 세포내 지질합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SREBP-1의 발현을 억제하고 그 대사과정을 저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피지생성을 감소시켜 여드름의 개선 또는 피지 대사 관련 트러블 완화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사과 유래 폴리페놀은 스테롤 조절인자 결합 단백질(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의 발현 저해능(沮害能)을 가진다.
또한 상기한 사과 유래 폴리페놀은 사과를 펙틴분해효소 처리 후 컬럼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한 다음, 용출액을 동결건조시켜 얻어지는 총 폴리페놀 함량 1,000~10,000ppm이고, 에피카테킨(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클로제닌산(chlogenic acid), 카테킨(catechin) 및, 탄닌산(tannic acid)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사과는 용동해담, 아담스크랩, 메이플, 아몰드, 알프스오토메, 및 아놀티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꽃사과, 또는 식용 사과의 미숙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사과 유래 폴리페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로 함유된다.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보습 크림, 영양 에센스, 젤 로션 및 연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제형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SREBP-1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피지분비 감소를 초래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우수한 피부 트러블 예방, 여드름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덱사메타손에 의해 지질합성이 과잉 생성된 피지선세포에서 사과 유래 폴리페놀 처리 시 SREBP-1a의 유전자 발현 억제정도를 나타내는 실험예 1의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덱사메타손에 의해 지질합성이 과잉 생성된 피지선세포에서 사과 유래 폴리페놀 처리 시 SREBP-1c의 유전자 발현 억제정도를 나타내는 실험예 1의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덱사메타손에 의한 지질합성이 과잉 생성된 피지선세포에서 사과 유래 폴리페놀 처리 시 세포내 지질합성의 억제 정도를 나타나는 실험예 2의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드름 발생에 있어 주요 원인이 되는 피지생성에 관여하는 SREBP-1의 과발현을 저해하고 그 대사과정을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피지선에서의 피지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규명된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화장료에 적용함으로써 여드름 증상의 완화 내지 경감, 또는 예방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페놀(polyphenol)이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플라보노이드, 탄닌류 둥을 포함하는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과실류, 다(茶)류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폴리페놀은 항산화작용, 고혈압과 관련된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저해작용, 발암의 초기과정에 관여하는 변이원성 억제작용, 항우식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폴리페놀류 중에는 생체방어나 생체조절 등의 기능을 나타내는 성분도 있어 다양한 의약제제 또는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 활용이 검토되고 있다.
특히, 사과에 포함된 폴리페놀류로서는 프로시아니딘 B1(procyanidin B1), (+)-카데킨(catechin), 프로시아니딘 B2, 클로로제닌산(chlorogenic acid), 카페인 산, 프로시아니딘 C1, (-)-에피카테킨(epicatechin), 플로레틴-자일로글루코사이드(phloretin-xyloglucoside), 플로레틴-2'-글루코사이드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페놀 추출을 위한 사과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후지, 홍옥, 양광, 홍로 등의 식용 사과, 또는 인디안썸머, 로빈슨, 용동해담, 알프스오토메, 아놀티나, 메이플, 아몰드, 아담스크랩 등의 꽃사과,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종을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추출 효율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식용 사과의 경우에는 미성숙과로서의 애사과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동해담, 아담스크랩, 메이플, 아몰드, 알프스오토메, 아놀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종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 사과종별 총폴리페놀량을 순서대로 나타낸다.
총페놀
(mg GA/g DW)
총산도(ng/㎕) 총안소시아닌
(㎍Malvidin/g DW)
후지 0.54 1958.2 0.35
인디안썸머 3.64 2639.8 0.36
로빈슨 3.84 2808.4 0.31
메이플 6.59 3214.2 0.72
아몰드 8.42 2639.2 1.29
아담스크랩 10.50 2753.4 0.74
용동해담 11.61 2612.2 0.82
알프스오토메 12.06 - 1.14
아놀티나 13.46 - 1.31
폴리페놀 추출 대상 사과는 식용 사과인 경우에는 고품질의 적정 과실수 외에 솎아내는 적과 과정에서 부산되는 미숙과로서 총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애사과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꽃사과인 경우에는 이러한 제한은 없으며, 이들 미숙과 또는 꽃사과를 7-10 일간의 야적에 의한 숨고르기(sweating)를 수행하여 용이한 파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썩은 사과나 낙과는 제외한다.
상기한 미숙과 또는 꽃사과는 표피에 묻은 먼지 및 미생물이나 곤충, 잔류 농약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후, 파쇄와 착즙을 동시에 수행하며, 파쇄기 및 유압식 착즙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하여 착즙함으로써 수율이 증가되며, 파쇄와 착즙을 연이어 거의 동시에 함으로서 산소 접촉을 적게하여 갈변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과 내 산화 효소에 의한 폴리페놀의 변성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하다면, 50~100ppm의 SO₂를 사과즙에 첨가하여 폴리페놀 추출량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껍질과 씨방은 제거하지 않고 함께 그대로 파쇄 및 추출한다.
사과의 폴리페놀 성분은 세포벽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폴리페놀 추출량 증대를 위해서는 사과의 세포벽을 분해하기 위한 셀룰라아제 및/또는 페틴질을 분해하기 위한 펙티나제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과 유래 폴리페놀은 착즙 후, 펙티나아제로 처리하고 여과한 다음, 여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폴리페놀 분획을 흡착시킨 후, 이를 에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한 폴리페놀 분획을 용출시킨 후, 이를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시켜 총 폴리페놀 함량 1,000~10,000ppm의 분체를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사과 유래 폴리페놀은 스테롤 조절인자 결합 단백질의 발현 저해능을 가지며, 에피카테킨(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클로제닌산(chlogenic acid), 카테킨(catechin) 및, 탄닌산(tannic acid)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비록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기한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로 함유하며, 0.001 중량% 미만에서는 여드름 개선 효과가 미약하게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역으로 30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역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에센스, 영양 오일, 로션, 보습오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팩,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클렌징, 젤, 또는 연고와 같은 당업계 공지의 임의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와, 제형예 및 비교 제형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사과 유래 폴리페놀의 추출
사과 미숙과(Pyrus malus)를 파쇄 후 압축하여 과즙을 얻은 다음, 펙틴분해효소를 사용하여 60℃에서 24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였다. 효소 처리한 과즙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상기 여액을 세파덱스 LH-20 또는 토요펄(Toyoperal) 수지 비즈를 충전한 칼럼에 상기 여과된 과즙을 통과시켜 폴리페놀을 분획하여 흡착시키고, 70% 에탄올을 칼럼에 통과시켜 분획되어 흡착된 폴리페놀을 용출시켰다.
용출된 폴리페놀 분획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감압회전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사과 유래 폴리페놀 분체(粉體)를 얻었다.
얻어진 상기한 분체 시료는 에피카테킨(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클로제닉 산(chlogenic acid), 카테킨(catechin), 탄닌(tannic acid)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양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표준물질인 클로로제닌산(chlorogenic acid)을 기준물질로 하여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량은 9461ppm이었으며, 이하의 실험예 1~3에 사용된 추출물은 9461±30 ppm의 폴리페놀을 기준함량으로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용해제로서 DMSO(dimethyl sulfoxide)에 1중량%의 농도로 용해시켜 이하의 실험예 1~3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사과 폴리페놀 성분을 포함한 시료에 대한 SREBP-1 발현 억제 평가
사과폴리페놀의 지질합성 저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람의 피지선 세포주(Human immortalized sebocyte)에서의 SREBP-1a 및 SREBP-1c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배양 중인 피지세포의 분화는 배지 조성의 변화를 통해 유도하였다. 세포를 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배양한 후, 각 웰에 유리지방산 송치 혈청 알부민(fatty acid free bovine serum albumin), 소 뇌하수체 추출물, 인간 상피 성장인자(human epidermal growth factor(hEGF)), 글루타맥스(glutamax), 젠타마이신(gentamicin)을 첨가한 배지와 분화유도를 위해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및 리놀레인산 (linoleic acid)를 첨가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분화를 유도시킨 후, 인산 완충 식염수 용액(PBS)로 세척하고,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함께 실시예 2에서 얻은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최종농도가 각각 10, 25, 50 μg/ml가 되도록 위의 분화용 배지에 희석시켜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이후 24시간 더욱 배양하고, 세포내 mRNA를 추출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타겟 주형(primer) 및 시아닌 염료인 SYBR 그린(green) 마스터 혼합물(master mix)을 사용하여 실시간(real-time)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SREBP-1a 및 SREBP-1c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에 의해 과발현 된 SREBP-1a 및 SREBP-1c이 사과폴리페놀 10, 25, 50μg/ml 처리에 따라 현저하게 억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세포내 지질합성 저해효과 평가
상기의 시험예 1에 기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한 후, 실험을 위해 4 쳄버 슬라이드(chamber slides)에 세포를 분주하고, 2일간 배양한 후에 위의 실험예 1에 기술한 분화용 배지에 테스토스테론과 리놀레인산을 첨가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24시간 후 덱사메타손과 사과 유래 폴리페놀 10, 50μg/ml을 각각 첨가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이후 PBS로 세척하고 10% 포르말린(formalin)으로 1시간 동안 세포를 고정시킨 후, 60% 이소프로판올로 5분간 세척하고 오일 레드(Oil red) O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1시간 염색 후 곧바로 PBS로 3회 세척한 후 헤마토자일린(hematoxylin)으로 2분간 세포를 염색하고 바로 PBS로 4회 세척하고 슬라이드를 건조시켰다. 건조 후 마운팅 솔루션(mounting solution)을 떨어뜨려 고정시키고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내 염색된 지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에 의해 증가된 지질의 양이 사과폴리페놀 10, 50μg/ml 처리 시 확연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영양에센스의 제조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로 영양에센스를 제조하였으며, 각각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로 하였다.
영양에센스의 제조
성분(함량: 중량%) 제형예 1 비교제형예
사과폴리페놀 1.0 -
글리세린 7.0 7.0
부틸렌글라이콜 3.0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폴리솔페비트60 0.5 0.5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0.5
스쿠알란 3.0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쉬어버터 2.0 2.0
스테아릴 알코올 0.5 0.5
스테아린산 0.5 0.5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0.2
아르기닌 0.2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실험예 3 : 피지분비 억제 효능 평가
상기 실험예 1과 2의 시험물질의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피검자를 선별하여 각 군당 6명을 대상으로 하기의 방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① 매일 저녁 세안 후, 각 시험군 별로 제형예 1 또는 비교제형예의 영양 에센스를 한 달 간 사용하였다.
② 세안 후 30분 동안 항온 항습실에서 피지측정기(sebumeter)를 이용하여 이마의 피지량을 측정하였다.
③ 제형예 1과 비교제형예의 영양에센스 사용 전에 측정한 피지량을 초기값으로 지정하여 제형예 1 또는 비교제형예의 영양에센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1주 간격으로 2회 피지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낸다.
사과 유래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된 영양에센스의 피지분비 억제 효과(μg/ cm 2 · hr , N=6, 평균)
측정부위 이마
측정시기 초기 1주 2주 3주 4주 초기 1주 2주 3주 4주
제형예 1 102.3 96.7 90.7 85.8 79.8 79.4 75.3 72.3 69.7 64.8
비교제형예 103.5 99.8 98.7 97.6 97.3 81.5 79.7 78.3 76.5 76.5
상기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분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형예 2 : 화장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장수의 제조
성분 함량(중량%)
사과폴리페놀 1.0
글리세린 5.0
에탄올 3.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5
폴리솔페비트80 0.5
부틸렌글라이콜 3.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5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보습크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크림을 하기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보습크림의 제조
성분 함량(중량%)
사과폴리페놀 1.0
글리세린 7.0
부틸렌글라이콜 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2.0
폴리솔베이트60 0.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피토스쿠알란 5.0
호호바 오일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그리세라이드 10.0
알로에 버터 3.0
밀납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베헤릴 알코올 0.5
스테아린산 0.5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잔탄검 0.2
아르기닌 0.3
디메치콘 0.5
베타글루칸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6)

  1.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과 유래 폴리페놀이 스테롤 조절인자 결합 단백질(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의 발현 저해능(沮害能)을 가지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과 유래 폴리페놀이 사과를 펙틴분해효소 처리 후 컬럼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한 다음, 용출액을 동결건조시켜 얻어지는 총 폴리페놀 함량 1,000~10,000ppm이고; 에피카테킨(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클로제닌산(chlogenic acid), 카테킨(catechin) 및, 탄닌산(tannic acid)으로 구성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과가 용동해담, 아담스크랩, 메이플, 아몰드, 알프스오토메, 및 아놀티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꽃사과, 또는 식용 사과의 미숙과인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과 유래 폴리페놀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0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보습 크림, 영양 에센스, 젤 로션 및 연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제형인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68028A 2013-06-13 2013-06-13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028A KR101528770B1 (ko) 2013-06-13 2013-06-13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028A KR101528770B1 (ko) 2013-06-13 2013-06-13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499A true KR20140145499A (ko) 2014-12-23
KR101528770B1 KR101528770B1 (ko) 2015-06-15

Family

ID=5267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028A KR101528770B1 (ko) 2013-06-13 2013-06-13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7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1125A (zh) * 2015-05-29 2018-04-17 昌基兹·塔基比格洛 用于治疗与皮脂分泌过多有关的皮肤问题的多肽和抗体
KR20200038700A (ko) * 2018-10-04 2020-04-14 경상북도 청송군(농업기술센터장)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WO2021143096A1 (zh) * 2020-01-19 2021-07-22 广东药科大学 一种美白、祛痘、去黑头、抗衰老的组合物及其用途和制剂
CN117624262A (zh) * 2024-01-23 2024-03-01 昆明理工大学 一种从单宁锗渣中提取制备高纯度单宁酸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191B1 (ko) * 2021-08-27 2022-03-29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좁은잎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451A (ko) * 2000-08-18 2002-02-25 김해관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JP2009235051A (ja) * 2008-03-26 2009-10-15 Bhn Kk ニキビ改善剤及び皮膚外用品
KR20110114369A (ko) * 2010-04-13 2011-10-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4767B1 (ko) * 2012-04-04 2012-10-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풋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1125A (zh) * 2015-05-29 2018-04-17 昌基兹·塔基比格洛 用于治疗与皮脂分泌过多有关的皮肤问题的多肽和抗体
CN107921125B (zh) * 2015-05-29 2021-06-08 昌基兹·塔基比格洛 用于治疗与皮脂分泌过多有关的皮肤问题的多肽和抗体
US11117939B2 (en) * 2015-05-29 2021-09-14 University of Sasketchewan Polypeptides and antibodies to treat skin conditions associated with overproduction of sebum
KR20200038700A (ko) * 2018-10-04 2020-04-14 경상북도 청송군(농업기술센터장)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WO2021143096A1 (zh) * 2020-01-19 2021-07-22 广东药科大学 一种美白、祛痘、去黑头、抗衰老的组合物及其用途和制剂
CN117624262A (zh) * 2024-01-23 2024-03-01 昆明理工大学 一种从单宁锗渣中提取制备高纯度单宁酸的方法
CN117624262B (zh) * 2024-01-23 2024-03-29 昆明理工大学 一种从单宁锗渣中提取制备单宁酸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770B1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2391B2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KR101528770B1 (ko)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26892A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47514A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703909B (zh) 一种具有抗皱抗老化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3025B1 (ko) 인삼 열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138148A (ja) 皮膚外用剤
KR102272771B1 (ko) 홍화자 추출물 또는, 홍화자 및 빈랑자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피지분비완화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813841B (zh) 去屑止痒组合物及制备方法、应用,洗发水及制备方法
KR101817941B1 (ko)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5219B1 (ko) 구절초, 속수자 및 해송자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9045A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82293A (ko) 카노신, 대두 펩타이드 및 천심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214505B1 (ko) 덜꿩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26891A (ko) 진세노사이드 Rf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1672753B2 (en) Composition for sebum control and pore minimizing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7515A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8155B1 (ko) 천연 식물을 활용한 복합 기능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684563B2 (en) Plant derived active ingredient comprising plant ex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