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451A -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451A
KR20020014451A KR1020000047745A KR20000047745A KR20020014451A KR 20020014451 A KR20020014451 A KR 20020014451A KR 1020000047745 A KR1020000047745 A KR 1020000047745A KR 20000047745 A KR20000047745 A KR 20000047745A KR 20020014451 A KR20020014451 A KR 20020014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apple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동
진기홍
구본욱
Original Assignee
김해관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관,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해관
Priority to KR1020000047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4451A/ko
Publication of KR2002001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Scutellaria baicalensis) 뿌리 추출물 및/또는 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Sun-tan preventing makeup compositions having antioxidation effects}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Scutellaria baicalensis) 뿌리 추출물 및/또는 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선은 파장에 따라 감마선, 엑스선,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감마선과 엑스선은 오존층 등 대기상층에서 차단되어 지구 표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또한, 자외선중에서도 파장이 가장 짧은 290 nm 이하의 C 자외선은 생체에 대해 발암작용이 강하지만, 오존층에서 거의 흡수되어 지표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지표에 도달하는 것은 290∼320 nm의 B 자외선과 320∼400 nm의 A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으로서, 그 비율은 자외선이 약 6%, 가시광선이 약 52%, 적외선이 약 42%이다.
자외선이 피부표면에 닿을 경우 피부표면에서 반사되거나 피부내의 불균일 구조에 의해 산란되며 멜라닌 색소 등의 피부를 구성하는 성분에 의해 흡수되기도 한다. B 자외선과 A 자외선은 피부에 대해 각각 다른 작용을 나타낸다. 즉, B 자외선은 각질층과 피부표면을 투과하여 홍반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많은 량을 조사받을 경우 통증을 수반하여 물집이나 염증이 나타난다. 한편, A 자외선은 홍반이 서서히 흑화하여 색소침착이 일어나게 하는데, 이것은 표피의 가장 밑부분에 위치하는 기저층에서 멜라노사이트(melanocytes)라는 색소세포가 멜라닌을 생성하여 피부색이 다갈색으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특히 A 자외선은 B 자외선에 비해 피부 침투성이 높아 진피층까지 도달하므로 진피층 조직의 손상이 예상된다.
따라서, 피부에 대한 과도한 자외선의 조사는 홍반, 물집, 색소세포의 멜라닌 생성 촉진을 유발하고, 피하조직의 콜라겐 섬유가 파괴되어 색소침착과 함께 잔주름이 형성되어 피부노화가 일어나게 한다. 또한, 표피세포에서 생성된 피지는 표피세포 표면에서 얇은 피지막을 형성하여 외계로부터의 이물질 침투를 막는 동시에 물질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 표면의 윤활작용과 수분증발 억제작용을 하지만, 일상생활중 자외선에 의해 과산화지질을 생성하여 피부트러블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처럼 자외선은 장시간 피부에 조사될 경우 색소침착, 피부노화, 피부트러블 등을 유발하므로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에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계, 파라메톡시계피산계,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등 화학적인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시킨 화장료 조성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자외선 흡수제의 입자크기를 미세화하고 캡슐화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자외선 흡수능을 높여 자외선 차단능을 향상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자외선 산란제를 이용하되 용매에 의해 자외선 산란제의 분산성을 높여 자외선 차단능을 향상시킨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피부에 대해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강렬한 생활자외선을 근원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회복시키는 천연성분이 요망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그다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피부에 안전한 자외선 차단성분과 함께, 자외선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피부노화 등과 같은 피부의 내적변화를 보다 심도있게 연구하고, 일소량에 따른 피부상태의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고활성 성분의 탐색과 함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회복시키는 작용기전의 확립 등을 중요한 과제로 들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상생활중 외부환경(공기, 자외선, 바람 등)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특히 피부에 유해한 생활자외선을 차단함과동시에 피부내로 흡수된 자외선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정상적인 피부 생리균형을 회복시키는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상기 목적에 부합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뿌리 추출물 및/또는 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성분의 10 ppm 농도(용매: 에탄올)에서의 UV 스펙트럼:
도 2는 녹차 성분의 10 ppm 농도(용매: 에탄올)에서의 UV 스펙트럼; 및
도 3은 실시예 4에서 얻은 화장료 조성물의 10 ppm 농도(용매: 에탄올)에서의 UV 스펙트럼.
본 발명은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뿌리 추출물 및 사과 추출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뿌리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es)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과 추출물은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0.01∼1 중량%의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뿌리 추출물 및 0.01∼1 중량%의 사과 추출물을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생약성분인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성분, 사과 추출물, 또는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성분 및 사과 추출물을 함께 배합함으로써, 생활자외선을 근원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회복시키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생활자외선을 차단하여 햇빛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고, 일부 피부내로 흡수된 자외선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능과 프리라디칼(free radicals) 소거능을 갖는 생약성분인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성분 및/또는 과일류의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된 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능을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특징은 자외선 흡수능과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생약성분인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성분 및/또는 과일류의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사과 추출물을 배합 사용하는 것이다.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성분에는 바이칼린(baicalin), 바이칼레인(baicalein), 워고노사이드(wogonoside) 등의 플라보노이드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과일류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에는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플로리진(phloridzin), 에피카테킨(epicatechin), 카테킨(catechin) 등의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성분과 사과 추출물 성분의 배합량은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0.01∼1 중량%로, 과일류의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사과 추출물을 0.01∼1 중량%로 배합하여 사용할 때,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서, 자외선 흡수능 및 프리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나타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뿌리 추출물 0.1∼0.5 중량% 및 사과 추출물 0.1∼0.5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유성기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료, 색소, pH 조정제 등은 물론 자외선 차단효과을 높이기 위해 화학적인 성분의 자외선흡수제와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물추출물을 적당한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배합량은 중량 %로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1] 자외선 흡수능 및 프리라디칼 소거능 실험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약성분, 과일 및 식물성분 등 여러 가지 성분의 자외선 흡수능과 프리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성분명 INCI명 제조원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분말)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Bioland
녹차(분말) 녹차 Bioland
애플페논(applephenone) 사과추출물 Nikka Whisky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IRA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 MMP
리포크로만-6(Lipochroman-6) γ-토코페롤 Lipotec
파 푸르(FA POURE) 아르기닌 페룰레이트(Arginine ferrulate) SECMA
리코리스(Licorice) 추출물 리코리스 추출물 Maruzen
옵티베지톨 더 버트 P108(Optivegetol the vert P108)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추출물, 프로필렌 글리콜 및 물 Gattefosse
플라바그럼(Flavagrum) 에톡시디글리콜, 헤스페레틴 (hesperetin) 라우레이트 Coletica
(1) 자외선 흡수능(UV-absorbance activity) 실험
생약 및 식물성분을 각각 에탄올에 용해시켜 10 ppm(w/w)의 농도로 조제하고 폭 0.1mm의 셀을 이용하여 용해시킨 용액을 넣은후, UV-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UV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자외선 흡수정도는 각 파장에서 몰 흡광계수가 그리는 곡선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그 결과, 생약성분중에서는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에서 추출한 성분이 275 nm, 315 nm에서 극대흡수를 나타내었다(도 1 참조). 또한, 과일류인 사과추출물 성분이 대체적으로 상당히 높은 흡수능을 나타내어 280.5 nm, 320 nm에서 극대흡수를 나타내었다(도 2 참조). 식물성분중에서는 녹차 성분이 275 nm에서 극대흡수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생약성분인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에서 추출한 성분과 과일성분인 사과추출물 성분이 우수한 자외선 흡수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프리라디칼 소거능(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실험
라디칼 소거제로 작용하는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라디칼;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를 이용하여 퍼옥시라디칼(peroxyradicals)의 소거능을 측정하는 방법(DPPH Method)에 의해 여러 농도범위에서 프리라디칼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서, 프리라디칼 소거능과 생성된 프리라디칼의 50%를 소거하는데 필요한 농도(SC50)를 나타내면 하기 표 2와 같다.
프리라디칼 소거능 및 SC50
성분명 구분 프리라디칼 소거능(%)
농도(㎍/㎖) 2 4 5 10 50 100 1000 SC50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소거율(%) - - 13.8 25.5 - - - <50
녹차 - - 67.4 92.5 - - - <5
애플페논 45.6 83.8 - - - - - <3
아스코르브산 44.0 88.5 - - - - - <3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 83.6 91.6 - - - - - <2
리포크로만-6 35.3 68.2 - - - - - <4
파 푸르 - - 30.6 58.0 - - - <10
리코리스 추출물 - - - - - - 32.2 >1000
옵티베지톨 더 버트 P108 - - - - 62.0 91.4 <50
플라바그럼 - - - - - - 22.7 >100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에서 추출한 성분은 약간의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반면, 녹차와 애플페논 성분의 경우 프리라디칼의 소거능이 뚜렷하게 관찰되므로, 양 성분 모두 항산화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및 2]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즉, 알콜상 성분과 수상 성분을 각각 별도의 용해조에서 완전 용해시킨후 제조탱크에서 균일하게 교반시켜 숙성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밀납 1.0 1.0 1.0 1.0 1.0 1.0 1.0
프로필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세테아릴알콜 1.0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1.2 1.2 1.2 1.2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9 0.9 0.9 0.9 0.9 0.9 0.9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유동파라핀 8.0 8.0 8.0 8.0 8.0 8.0 8.0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5.0
사이클로메티콘 3.0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린 8.0 8.0 8.0 8.0 8.0 8.0 8.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2.0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산탄검 0.1 0.1 0.1 0.1 0.1 0.1 0.1
스쿠텔라리아바이칼렌시스(분말) 0.5 - 0.5 0.5 - - -
녹차(분말) - - 0.5 - 0.5 - 0.5
애플페논 - 0.5 - 0.5 0.5 - -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 자외선 방어효과(SPF: Sun Protection Factor)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SPF 분석기 SPF-290S 플러스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SPF(인 비트로) 4.5 3.1 5.2 4.9 3.8 - 4.7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의 뿌리에서 추출한 성분과 사과추출물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자외선 흡수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교예 2에 따른 녹차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효과는 우수하나, 난용성이어서 상용화되기 어렵다.
(2) 항산화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DPPH 방법을 이용하여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농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SC50(%) 11.8 35.4 30.2 41.7 58.4 0.00 23.6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교예 2에 따른 녹차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프리라디칼 소거능은 우수하나, 난용성이어서 상용화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프리라디칼 소거능 및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뿌리 추출물과 사과 추출물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탁월한 항산화 효과 및 일소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4)

  1.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Scutellaria baicalensis) 뿌리 추출물 및 사과 추출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뿌리 추출물이 플라보노이드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사과 추출물이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0.01∼1 중량%의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 뿌리 추출물 및 0.01∼1 중량%의 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000047745A 2000-08-18 2000-08-18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KR20020014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745A KR20020014451A (ko) 2000-08-18 2000-08-18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745A KR20020014451A (ko) 2000-08-18 2000-08-18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451A true KR20020014451A (ko) 2002-02-25

Family

ID=1968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745A KR20020014451A (ko) 2000-08-18 2000-08-18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44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78B1 (ko) * 2006-07-25 2008-03-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347036B1 (ko) * 2007-05-23 2014-01-06 주식회사 한방명가 항산화가 우수한 생약복합재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28770B1 (ko) * 2013-06-13 2015-06-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2305A (ko) * 2018-08-06 2018-08-17 (주)튜링겐코리아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7309A (en) * 1979-03-23 1980-10-02 Kishiyouhin Kagaku Kaihou Kenkyusho:Kk Cosmetic
JPS6450877A (en) * 1987-08-20 1989-02-27 Ichimaru Pharcos Inc Oxygen radical catching and removing agent
JPH08104616A (ja) * 1994-10-06 1996-04-23 Rashiinu Kagaku Kk 日焼け止め効果と美白効果を兼備した化粧料
JPH09175982A (ja) * 1995-12-28 1997-07-08 Nikka Uisukii Kk 化粧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7309A (en) * 1979-03-23 1980-10-02 Kishiyouhin Kagaku Kaihou Kenkyusho:Kk Cosmetic
JPS6450877A (en) * 1987-08-20 1989-02-27 Ichimaru Pharcos Inc Oxygen radical catching and removing agent
JPH08104616A (ja) * 1994-10-06 1996-04-23 Rashiinu Kagaku Kk 日焼け止め効果と美白効果を兼備した化粧料
JPH09175982A (ja) * 1995-12-28 1997-07-08 Nikka Uisukii Kk 化粧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78B1 (ko) * 2006-07-25 2008-03-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347036B1 (ko) * 2007-05-23 2014-01-06 주식회사 한방명가 항산화가 우수한 생약복합재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28770B1 (ko) * 2013-06-13 2015-06-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2305A (ko) * 2018-08-06 2018-08-17 (주)튜링겐코리아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5822B2 (en)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botanical antioxidant compositions
CN115252510B (zh) 一种防晒组合物及其应用
KR101728686B1 (ko)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Baumann How to prevent photoaging?
KR101151009B1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Olayemi et al. Determination of sun protection factor number: an emerging in–vitro tool for predicting UV protection capabilities
JPH07118132A (ja) 紫外線吸収性皮膚化粧料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14451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KR101934793B1 (ko) 고욤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58758B1 (ko) 미백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마늘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26073B1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1911B1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HU199281B (en) Synergetic unsenziting face- and body-cosmetics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093201B1 (ko)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858630B1 (ko)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및 광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JP2008290970A (ja) サンバーンセル形成抑制剤および該抑制剤を含有してなるサンケア剤用組成物
KR102593843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