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278B1 -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278B1
KR100815278B1 KR1020060069973A KR20060069973A KR100815278B1 KR 100815278 B1 KR100815278 B1 KR 100815278B1 KR 1020060069973 A KR1020060069973 A KR 1020060069973A KR 20060069973 A KR20060069973 A KR 20060069973A KR 100815278 B1 KR100815278 B1 KR 10081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health
oxidative damage
functional food
health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030A (ko
Inventor
김나미
도재호
이종원
강봉구
이성계
황의일
소승호
구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06006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2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복분자(Rubus coreanus),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정향(Syzygium aromaticum)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며, 눈 건강의 유지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특히 눈의 산화적 손상 예방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사용, 눈의 피로, VDT 증후군, 안구건조증, 정상적인 노화현상, 갱년기 등에 의해 야기되는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함으로 해칠 수 있는 눈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복분자, 황금, 정향, 눈의 산화적 손상 예방

Description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mposition of healthy food for preventing oxidative damage of eye}
도 1은 FeCl3 에 의해 유도된 lipid peroxidation 에 대한 복분자, 정향 및 황금 추출물 및 혼합추출물의 농도별 산화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생약재 복분자(Rubus coreanus),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정향(Syzygium aromaticum)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며,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여 눈 건강의 유지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들이 생활을 통해 을 수 있는 정보의 약 80%는 눈으로부터 얻을 수 있을 정도로 눈은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이다. 따라서 눈의 기능적 장애 또는 상실은 생활의 질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의 하나가 된다.
현대인은 컴퓨터와 인터넷 보급 등에 의하여 VDT증후군 등의 질환을 겪고 있 고, 노화 또는 갱년기현상, 자가 면역질환, 갑상선 질환 또는 각막의 예민성 감소 등의 요인에 의하여 시력이 저하되고 있으며, 눈의 피로, 안구 건조증, 각막염, 백내장, 가령황반변성 등의 안질환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눈은 생체의 자외선, 방사선, 흡연, 환경오염 등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또는 생체 내 혈액과 오수 등에 의한 전신적인 산화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다. 안조직에서 활성산소는 미토콘드리아에서의 호흡, 산화환원효소, 광화학반응 등에 의해 생성된다.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에서 생성된 H+가 최종적으로 O2가 되고 이것이 H2O와 작용하여 비효소적으로 superoxide(O2 -)를 생성한다. 면역계의 호중구세포, 마크로파지 등의 염증세포 내에서 세균을 죽이기 위해 NADPH 산화효소가 O2 -를 생성하고 myeloperoxidase에 의해 차아염소산(HOCl)를 생성한다. 또 일산화질소 합성효소(NOS)가 L-arginine을 L-시트를린으로 변환하며 이때 일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이 일산화탄소는 O2 -와 반응하여 반응성이 높은 peroxynitrite가 생성된다. 허혈, 재관류가 발생한 조직에서는 크산틴산화효소(XO)가 ATP분해산물인 아데노신으로 부터 생성된 히포크산틴과 크산틴을 산화시켜 대량의 H2O2와 O2 -를 생성한다. 또 리보플라빈 등의 광증감 물질 들은 광화학반응에 의해 O2 -, H0, H2O2 등이 생성된 다.
안조직에는 Cu, Zn과 Mn을 포함하는 슈퍼옥사이드디스뮤테이즈(SOD), 카탈레이즈, Se를 함유하는 글루타치온퍼옥시데이즈 등의 항산화효소와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등 지용성 항산화화합물과 아스코르빈산, 화원형글루타치온 등의 수용성항산화물질이 존재하여 활성산소 소거에 관여하고 있다. 그리고 산화형 글루타치온의 환원에 관여하는 글루타치온 환원효소, 티오에톡신 환원효소, 아스코르빈산프리라디칼을 제거하는 아스코르빈산 프리라디칼효소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활성산소의 생성계와 소거계의 균형이 깨어짐으로써 받는 산화적 스트레스가 안조직과 안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막의 산화적 손상을 일으켜 눈의 건강을 크게 해치는 주요 원인으로 안구 건조증이 있다. 안구건조 증상은 생리적으로 눈을 촉촉하게 적셔주는 눈물의 양과 질이 감소하거나 변동이 생겨 눈물 층에 이상이 생김으로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증상들의 집합을 말하는 것으로, 일명 건성 각결막염이라 부른다.
안구건조 증상은 대부분 일시적으로 발생했다가 사라지지만 일부에서는 눈의 자극으로 지속적으로 통증, 모래가 들어있는 듯한 까끌까끌한 느낌이 계속되는 경우 만약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각막의 궤양이나 흉터로 인해 시력을 상실할 위험도 있다.
눈물은 눈 위에 3가지 층으로 구성되는 물질의 복합체이다. 최상층은 매우 얇은 층으로 안검(눈꺼풀)의 위쪽과 아래쪽에 있는 지방선(마이봄선:meibomian gland)에서 분비된 지방질로 덮여 있는 지방층이다. 이는 중간에 있는 수액층이 증발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중간층은 눈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98%가 수분이고 적당한 수준의 산도와 염도를 유지하는 수액층으로 눈물 분비선에서 나온다. 영양분과 눈의 감염에 대한 항체나 다른 면역반응 물질을 운반하는 작용을 한다. 최하층은 결막에서 분비되는 점액으로 각막과 결막을 엷게 덮어 주어 고정된다.
눈에서 까만 눈동자를 덮고 있는 표면을 각막이라고 하고 그 옆의 하얀 부분을 결막이라고 하는데 눈물은 각막과 결막을 촉촉하게 해주고 병균을 죽이는 역할을 한다. 결막은 혈관이 있어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지만 각막은 혈관이 없으므로 눈물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눈물이 모자라 눈이 까칠 까칠해지면 각막과 결막이 망가지게 되는 것이다.
눈은 5초마다 한번 깜박이는데 한번 깜박일 때마다 각막과 결막에 덮였던 눈물이 눈물관을 타고 코로 빠져나가 버린다. 그리고 순식간에 새로운 눈물이 덮게 되는 것이다. 만약 눈을 깜박이지 않고 오랫동안 뜨고 있다면 최상층에 있던 지방질이 서서히 수액층으로 침투해 내려가고 결국 최하층에 있는 점액층과 섞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점액층이 각막이나 결막에서 떨어지면서 눈물층 전체가 흔들리게 되고 평균 40초가 되면 눈물이 빠져 나가게 된다.
눈물에는 기본적인 눈물과 반사적인 눈물이 있다. 기본적인 눈물이란 하루 종일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나오는 기본적으로 유지되는 눈물을 말하며 반사적인 눈물은 아프거나 슬플 때 반사적으로 나오는 눈물을 말한다.
눈의 습도 정도는 눈물의 생산, 빠져나가는 배출에 의한 손실, 증발의 정도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균형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면 건조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안구건조 증상의 치료에는 원인에 따라 적당한 인공누액(눈물)이나 연고를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일시적인 치료일 뿐이며, 눈의 손상을 멈추게 하거나 회복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구건조 증상이 심한 사람은 특수 안경을 필요로 하며, 각막이 손상되었을 때에는 각막 이식을 하여야 한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안구 건조증 등에 의해 발생되는 눈의 산화적 손상을 막아서 눈 건강을 유지 하기 위해 각종 의약품, 자연식품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의약품으로는 와일드 블루베리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노사이드를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시력개선제가 개발되어 있으며, 결명자, 구기자 등의 생약재가 예로부터 시력유지 및 시력개선을 목적으로 차로서 음용되어 왔다.
항산화 작용을 갖는 생약재가 많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성분을 이루는 복분자, 정향 및 황금은 항산화 작용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생약재들 이다. 즉,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45830호에는 복분자, 정향, 오매, 오배자, 소목, 황련 등의 생약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364383호에는 황금추출물이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생약재 혼합조성물의 상승작용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 성분 이외에 항산화 작용을 갖는 것으로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생약재들 즉, 감초, 건강, 백겨자, 결명자, 계피, 고추, 구기자, 국화, 녹차, 당귀, 대추, 매실, 박하, 복분자, 오매, 적하수오, 전복, 정향, 진피, 포공영 및 황금 생약재 들이 본 발명의 선별 대상이다. 상기 생약재 중에서 DPPH 활성, SOD 활성 및 Total Phenol 성분 검출 등 항산화 활성 정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이 큰 것으로 측정된 생약재를 선별하였다.
본 발명자는 상기 선별된 생약재 중에서 항산화 활성의 상승효과를 갖는 혼합조성물을 확인하고, 이들 생약조성물을 함유하며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여 눈 건강의 유지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예측되는 활성보다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의 상승효과 즉, 합성에 의해 제조되는 항산화제, 예를 들면 항산화제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생약조성물에 의한 눈 건강의 유지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분자(Rubus coreanus), 정향(Syzygium aromaticum) 및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며,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여 눈 건강의 유지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재의 예측되는 활성보다 매우 우수한 항산화 상승작용 즉, 합성에 의해 제조되는 항산화제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생약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많은 문헌들 중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재된 생약 재를 검색하여 여러 문헌에서 언급되는 감초, 건강, 백겨자, 결명자, 계피, 고추, 구기자, 국화, 녹차, 당귀, 대추, 매실, 박하, 복분자, 오매, 적하수오, 전복, 정향, 진피, 포공영 및 황금 생약재를 탐색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생약재 중에서 DPPH 활성, SOD 활성 및 Total Phenol 성분 검출 등 항산화 활성 정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이 큰 것으로 측정된 생약재 녹차, 복분자, 황금, 정향, 결명자, 박하, 국화, 적하수오 및 백겨자를 선별하였다.
본 발명은 천연물 소재의 in vivo 시력 개선 효능 평가를 위한 전단계의 in vitro 시험으로 상기 탐색 대상 생약재인 녹차, 복분자, 황금, 정향, 결명자, 박하, 국화, 적하수오 및 백겨자에 대하여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 할 수 있는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항산화능 평가를 위하여 FeCl3 로 유도된 각막 및 망막 균질액의 티오바비투릭산-반응물질(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즉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의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능 평가 결과, 상기 탐색 대상 생약재 중에서 복분자, 황금 및 정량 생약재가 100㎍/㎖에서 음성대조군 수준까지 MDA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비교물질인 항산화제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이들을 최종 후보물질로 선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각막 및 망막 균질액을 사용하여 FeCl3를 처리하여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의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시료의 혼탁도나 색깔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는 음성대조군으로 각막 및 망막 균질액에 FeCl3를 넣지 않은 시료, Blank로는 각막 및 망막 균질액을 넣지 않고 FeCl3만을 가한 시료, 양성대조군으로는 시험물질 대신 용매를 넣은 시료를 사용하였고, 비교물질로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복분자, 황금 및 정량 생약재들을 각각 또는 동량 혼합하여 70% 주정 10배량으로 1회 추출한 후 원심 분리하여 여과 한 뒤 40% 수분함량이 되도록 농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정향 및 황금은 혼합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차이는 크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동량 혼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조성물은 안구건조 증상 또는 눈의 피로감 등 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여 눈 건강의 유지기능을 갖기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에 첨가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생약조성물을 직접 환제, 분말, 정제, 캡슐 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및 첨가제 등을 추가로 함유함으로써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영양제 및 비타민으로는 홍삼농축물분말, 베타카로틴, 토코페롤, 글루콘산 아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가제는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 복분자, 정향 또는 황금 추출물의 제조
건조상태의 복분자, 정향 또는 황금 1㎏을 분쇄기로 분쇄하고 10배량의 70% 주정에 넣어 85℃에서 4시간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원심분리하고 여과하여 40% 수분함량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복분자 추출물, 정향 추출물 또는 황금 추출물을 제조하여 각각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으로 하였다.
<실시예 4 > 복분자, 정향 및 황금 혼합추출물의 제조
건조상태의 복분자, 정향 또는 황금 각 1㎏ 씩 혼합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복분자, 정향 및 황금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험실적 방법에 의한 항산화 효과 실험
1. 실험방법
실험실적 방법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일반적으로 전자공여능의 정도를 나타내는 DPPH활성과 SOD활성으로 표시된다.
복분자, 황금, 정향 추출 분말 0.5g을 70% 에탄올 25ml에 용해시킨시킨 후 원심분리 여과한 상징액을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여 DPPH활성은 Blois의 방법으로 517 nm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1 mL가 1분 동안에 흡광도 값을 0.01 감소시키는 것을 1 unit로 나타내어 활성을 계산하였고, SOD 유사활성은 시료액 20 mL에 55 mM tris-cacodylic acid buffer(TCB, pH 8.2)를 가하여 균질화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징액을 pH 8.2로 조정한 후 TCB를 사용하여 50 mL로 정용한 후 시료액으로 사용하였다. 시료액 950 μL에 50 μL의 24 mM pyrogallol 용액을 첨가하여 420 nm에서 초기 2분간의 흡광도 증가율을 측정하고 시료액 무첨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활성을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복분자, 황금, 정향의 실험실적 방법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67.6, 62.8, 64.3 이었으며, 복합물은 91.5%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50.4, 42.1, 35.3, 이 었고, 복합물은 86.3으로 증가하였다.
복분자, 황금, 정향의 실험실적 방법에 의한 항산화 효과
시료 DPPH활성 SOD 유사활성
복분자 67.6 50.4
황금 62.8 42.1
정향 64.3 35.3
복합물 91.5 86.3
<실험예 2> 동물 실험을 통한 항산화 효과 조사
1. 실험물질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의 각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각각을 동결건조분말로 제조하였다.(복분자추출분말, 정향추출분말, 황금추출분말, 복합생약추출분말)
2. 비교물질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는 BHA(부틸히드록시아니솔)를 구입하여 별도로 준비하였다.
3. 실험동물
5주령의 수컷 SD 랫트를 대한바이오링크(주)에서 구입하였으며 1주일의 순화기간을 거쳐 조직채취에 사용하였다.
4. 실험방법
실험물질의 눈에 대한 항산화능을 평가하고자 염화제이철(FeCl3)로 유도된 각막 및 망막 균질액의 MDA(malondialdehyde)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코자 하였다.
실험 전에 반응완충액(10mM sodium phosphate-buffered saline[PBS], pH 7.4), 염화제이철 용액(증류수에서 최종농도 50μM), 도데실황산나트륨(SDS) 용액(증류수에서 8.1%), 초산 용액(증류수에서 20%), 2-티오바르비투르산(TBA) 용액(증류수에서 0.75%, 50 ~ 60℃로 가온하면서 용해), 실험물질 용액(증류수 또는 메탄올에서 최종농도 10.0 ~ 31.6㎍/㎖) 및 비교물질 용액(증류수 또는 메탄올에서 최종농도 100㎍/㎖)을 제조하였다.
랫트를 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미세 가위로 안구를 적출하고 얼음 위에서 절제하여 렌즈와 초자액을 제거함으로써 각막과 망막 만을 취하였다. 적출한 조직을19배의 차가운 PBS에 넣고 얼음이 들어 있는 비커(beaker) 안에서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화하여 5% 균질액을 얻었다.
225㎕의 각막 및 망막 균질액에 12.5㎕의 실험물질 또는 비교물질을 넣고 잘 섞은 후 12.5㎕의 염화제이철을 넣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동일 양(250㎕)의 SDS와 500㎕의 비타민 C 용액을 가하고 다시 250㎕의 TBA 용액을 넣고 마개를 한 후 10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얼음위에서 급속히 식힌 다음 1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검량선으로부터 MDA 함량을 정량하여 표 2, 도1에 나타내었다.
이때 blank로는 각막 및 망막 균질액을 넣지 않고 염화제이철만 첨가한 시료를, 음성대조군으로는 각막 및 망막 균질액에 염화제이철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를, 그리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실험물질대신에 용매를 첨가한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의 MDA 함량을 최대값(100%)으로 하여 농도별 실험물질에 의한 MDA 생성 감소율을 표시하였다.
5. 실험결과
염화제이철을 처리하지 않은 각막 및 망막 균질액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음성대조군의 경우 평균 1.65nM의 MDA가 생성되었다. 이에 비해 양성대조군으로서 50μM의 염화제이철을 첨가했을 때는 평균 2.85nM의 MDA가 생성되어 약 1.7배의 지질과산화반응 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염화제이철 유도 지질과산화 반응에 대한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 100㎍/ml의 BHA 첨가구에서는 평균 1.67nM의 MDA가 생성되어 음성대조군의 58.7% 이하로 낮아짐으로써 염화제이철에 의해 촉진된 지질과산화 반응을 완전하게 차단하였다.
실험물질을 염화제이철 유도 지질과산화 반응 용액에 10.0 - 31.6 ㎍/㎖의 농도로 적용한 결과, 31.6 ㎍/㎖의 농도에서 생약복합추출분말이 양성대조군의 56.2%로 억제하여 음성대조군의 MDA생성 수준 이하로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복분자추출분말, 정향추출분말, 황금추출분말은 74.4%, 67.1%, 64.6%로서 모두 비슷한 항산화능을 발휘하였다.
이와 같이 복합추출분말은 각각의 분말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항산화능을 발휘하고 있어서 이는 상승효과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고, 복합추출분말을 함유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안구건조증의 개선에서도 가장 강력한 효과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복분자, 황금, 정향 추출분말의 동물실험에 의한 항산화 효과
시료 농도 (㎍/ml) 흡광도 (532nm) MDA농도 (nM) % of positive control
음성대조구 - 0.3540±0.0651 1.65±0.55 57.9±8.4
양성대조구 (positive control) FeCl3 (50uM) 0.6185±0.1224 2.85±0.61 100±10.3
+ BHA 100.0 0.3599±0.0559 1.67±0.25 58.7±8.9
복분자 10.0 0.5440±0.1680 2.51±0.76 88.0±26.8
31.6 0.4585±0.0868 2.12±0.39 74.4±13.8
황금 10.0 0.5467±0.1425 2.52±0.65 88.4±22.7
31.6 0.4131±0.0681 1.91±0.31 67.1±10.9
정향 10.0 0.4805±0.2446 2.22±1.22 77.9±39.0
31.6 0.3970±0.2321 1.84±1.05 64.6±37.0
복합물 10.0 0.4230±0.0724 1.96±0.33 68.7±11.5
31.6 0.3445±0.0681 1.60±0.31 56.2±10.9
<제조예> 연질캡슐의 제조
실시예 1-4의 복합추출물 50㎎
홍삼엑스분말 50㎎
베타카로틴 15㎎
금잔화추출물 40㎎
아연 2.5㎎
니코틴산아미드 2.0㎎
소맥배아유 290㎎
레시틴 10㎎
밀납 20㎎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연질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연질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은 바람직한 제조예로서 혼합 조성한 것이며 당업자들로서는 본 발명의 건강식품조성물을 제외한 성분이나 배합 비는 필요에 따라 적의 가감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분자, 정향 및 황금 혼합조성물에 의하여 각막 및 망막 균질액에서 예기치 못한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의 상승작용 즉, 합성에 의해 제조되는 항산화제, 예를 들면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보다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산화적 스트레스, VDT증후군, 안구건조 증상, 눈 피로감, 랜즈의 착용, 노화 등에 의하여 야기되는 각막 및 망막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눈 건강의 유지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복분자(Rubus coreanus), 정향(Syzygium aromaticum) 및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추출물로 구성되는, 망막 및 각막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여 눈 건강의 유지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며, 망막 및 각막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여 눈 건강의 유지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산화적 스트레스, VDT증후군, 안구건조 증상, 눈 피로감, 랜즈의 착용, 노화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망막 및 각막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여 눈 건강의 유지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영양성분, 홍삼농축물분말, 베타카로틴, 아연 중에서 선택되어진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망막 및 각막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여 눈 건강의 유지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5. 제 2 항에 있어서, 정제, 캡슐제, 액제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6. 삭제
  7. 삭제
KR1020060069973A 2006-07-25 2006-07-25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81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973A KR100815278B1 (ko) 2006-07-25 2006-07-25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973A KR100815278B1 (ko) 2006-07-25 2006-07-25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664A Division KR100815279B1 (ko) 2007-10-29 2007-10-29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030A KR20080010030A (ko) 2008-01-30
KR100815278B1 true KR100815278B1 (ko) 2008-03-19

Family

ID=3922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973A KR100815278B1 (ko) 2006-07-25 2006-07-25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2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878A1 (ko) * 2011-02-15 2012-08-2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70338B1 (ko) * 2013-03-15 2014-12-10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미숙과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0337B1 (ko) * 2013-03-15 2014-12-10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미숙과를 포함하는 농축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925B1 (ko) 2011-10-24 2018-06-15 (주)아모레퍼시픽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눈 질환 개선용 조성물
CN105796546B (zh) 2011-10-18 2020-03-0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丁香脂素的sirt1活化剂
CN113207905A (zh) * 2021-05-17 2021-08-06 珠海维视艾康特医药科技有限公司 隐形眼镜用的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830A (ko) * 1999-11-08 2001-06-05 이옥구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지닌 천연 조성물
KR20020014451A (ko) * 2000-08-18 2002-02-25 김해관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KR20030033723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KR20040019806A (ko) * 2002-08-30 2004-03-06 박근형 항산화 활성을 갖는 4-하이드록시벤조산,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3,4,5-트리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시나믹산등의 천연 항산화 활성물질을 포함한 항산화 기능을 갖는복분자착즙조제물 및 제조방법
KR20040107713A (ko) * 2003-06-10 2004-12-23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황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바이칼린, 바이칼레인,우고닌 또는 5,7,2,5-테트라하이드록시-8,6-디메톡시플라본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및 억제용 약학조성물
KR20050089241A (ko) * 2004-03-04 2005-09-08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포함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830A (ko) * 1999-11-08 2001-06-05 이옥구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지닌 천연 조성물
KR20020014451A (ko) * 2000-08-18 2002-02-25 김해관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용 일소방지 화장료 조성물
KR20030033723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KR20040019806A (ko) * 2002-08-30 2004-03-06 박근형 항산화 활성을 갖는 4-하이드록시벤조산,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3,4,5-트리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시나믹산등의 천연 항산화 활성물질을 포함한 항산화 기능을 갖는복분자착즙조제물 및 제조방법
KR20040107713A (ko) * 2003-06-10 2004-12-23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황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바이칼린, 바이칼레인,우고닌 또는 5,7,2,5-테트라하이드록시-8,6-디메톡시플라본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및 억제용 약학조성물
KR20050089241A (ko) * 2004-03-04 2005-09-08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포함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878A1 (ko) * 2011-02-15 2012-08-2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70338B1 (ko) * 2013-03-15 2014-12-10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미숙과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0337B1 (ko) * 2013-03-15 2014-12-10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미숙과를 포함하는 농축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030A (ko)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697B1 (ko) 테아세아 식물로부터의 생물활성 조성물 및 이들의 생산방법 및 용도
US8029830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internal health and external appearance
Kaur et al. Nutraceuticals in prevention of cataract–An evidence based approach
KR100815278B1 (ko)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US9889173B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acular pigment density and preventing or treat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CN107456508B (zh) 一种眼部护理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Angwa et al. Antioxidant phytochemicals for the prevention of fluorid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A review
AT12396U1 (de) Functional drink
CN102753163A (zh) 用于预防和/或治疗由紫外线辐射导致的眼病的包含与羟基犬尿氨酸O-β-DL-葡萄糖苷相组合的L-肉碱作为活性成分的组合物
Qi et al. Effect of Moringa oleifera stem extract on hydrogen peroxide-induced opacity of cultured mouse lens
JP5200347B2 (ja) 眼精疲労の予防又は緩和剤
Maci et al. The beneficial role of lutein and zeaxanthin in cataracts
EP3341002B1 (en)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ge related macular diseases
Tanito et al. Distribution of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to rat ocular tissues after topical ophthalmic administration
US20080268039A1 (en) Loquat compositions
KR100815279B1 (ko)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EP2182963B1 (en) Herbal composition on the basis of extracts of foeniculum vulgare, murraya koenigii and triphala
KR20180065933A (ko) 단풍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aduka et al. Effect of Coconut Water on Lipid Peroxidation and Some Antioxidant Status of Diabetic Rats
CN112384232B (zh) 用于预防或治疗黄斑变性的药物组合物和保健功能食品
CN112843155B (zh) 一种适合产妇用的祛斑及缓解腰痛的组合物
CN108771243A (zh) 一种缓解视疲劳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90029303A (ko) 적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내장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uturu Soluble Lutein Protects Eye Lens for Cataract Development and Progression in Streptozotocin-Induced (STZ) Diabetic Rats
Sindi Ziziphusspina-christi leaves extract alleviate renal toxicity induced by Cyclosporine in male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