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369A -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369A
KR20110114369A KR1020100033992A KR20100033992A KR20110114369A KR 20110114369 A KR20110114369 A KR 20110114369A KR 1020100033992 A KR1020100033992 A KR 1020100033992A KR 20100033992 A KR20100033992 A KR 20100033992A KR 20110114369 A KR20110114369 A KR 20110114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e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activ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주
조은아
조은혜
김소영
선영광
채희정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4369A/ko
Publication of KR2011011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 효과 및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가 우수하여 피부미백 및 노화방지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ION OF APPLE FLOWER LEAF}
본 발명은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 효과 및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가 있어 피부미백과 노화방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미, 주근깨 등 피부에 생기는 색소 침착은 표피 내 멜라닌 증가에 기인하고, 피부색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도 멜라닌에 의한 것이다. 활성화된 멜라노사이트에서는 티로시나제의 합성이 촉진되고 멜라닌의 생성이 항진되어 이를 표피 밖으로 운반, 배출하게 된다(V. J. Hearing and M. Jimenez., Int. J. Biochem, 19(20). p.1141, 1987., I. Koiso., Fragrance J. 6, p39, 1990).
지금까지 멜라닌 생성 저해제의 연구는 주로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집중되어 왔고, 대표적인 티로시나제 저해제로는 티로시나제 활성부위의 구리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형성물질, 퀴논류를 페놀류로 환원시키는 비타민 C 등의 환원제 그리고 티로시나제 자체를 변성시키는 바이설파이트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웰빙을 추구하는 식생활 패턴의 변화, 영양 상태의 개선 및 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개인의 평균 수명이 점차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노화를 포함하는 각종 성인병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의 발생 원인으로 활성산소가 주목 받고 있다.
이 활성산소들은 효소 불활성화, 지질산화, DNA 변성, 세포노화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를 억제하고 각종 질병과 노화를 예방하기 위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McCord JM., Fed Proc, 46(7), 2402-2406).
사과는 인체에 유익한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항암,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s)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사과에서도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검출되고 있으며 특히 사과 과피 부분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사과의 과육 및 과피가 이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항산화 활성이 알려져 있는 것에 비해 사과꽃잎에 대하여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고 개화기에 결실과를 위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면 이의 적극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 효과 및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가 있어 피부미백과 노화방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 효과 및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가 있어 피부미백과 노화방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의 측정결과이다.
본 발명은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사과꽃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사과꽃잎 추출물에 사용할 원료로 우선 사과꽃잎을 선별한다. 이때 선별된 사과꽃잎을 흐르는 정제수에 수세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수세된 사과꽃잎을 건조한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사과꽃잎을 적당한 크기 예를 들어, 100 메쉬(mesh)크기로 분쇄하고, 사과꽃잎의 부피 대비 10~3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 또는 70% 에탄올을 첨가한다. 그런 다음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쉐이킹(shaking)을 가하면서 열수 추출하여 Whatman No. 41로 여과하거나 2,000×G 이상의 원심력으로 20~30분간 원심분리하여 본 발명의 사과꽃잎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된 추출물은 감압여과하고 동결건조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 미백활성이 보다 우수하고 항산화 효과가 높은 사과꽃잎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사과꽃잎 추출물은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상기 사과꽃잎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화장료의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사과꽃잎 추출물 제조방법
실시예 1-1: 용매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건조된 사과꽃잎을 100메쉬 크기로 분쇄하였다. 그리고, 사과꽃잎 부피의 1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 및 70% 에탄올을 각각 가한 후, 각 시료를 항온수조에 넣고 4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후, 각 시료를 Whatman No. 41로 여과하여 사과꽃잎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을 감압여과하고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사과꽃잎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사과꽃의 일반성분표
실시예 1에 사용한 사과꽃잎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1과 같았다.
사과꽃잎의 일반성분표
성분명 함량(100 g기준)
탄수화물 0.1 g
당류 0.35 g
단백질 0 g
지방 0.02 g
포화지방 0.02 g
트랜스지방 0 g
콜레스테롤 불검출
나트륨 9.39 mg
[실험예 2]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실시예 1에서 획득한 추출물을 Folin-Denis assay방법을 사용하여 시료희석액 0.1 ㎖와 폴린 시오칼토 시약(folin-ciocalteu reagent) 50 ㎕에 20% 소듐 카보네이트 언하이드러스(Sodium carbonate Anhydrous) 1.5 ㎖를 이용하여 760nm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용매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용매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물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
사과꽃 국화꽃 녹차 사과꽃 국화꽃 녹차
총 폴리페놀 함량(ug/ml) 1037.64
± 17.7
611.11
± 32.9
1710.28
± 6.7
1218.95
± 17.8
1726.8
± 32.3
1115.75
± 18.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물질인 클로로제닉엑시드(chlorogenic acid)를 기준물질로 하여 표준곡선을 그린 후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한 결과 물로 추출한 사과꽃잎에 비해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2% 정도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른 대조군과 비교시 녹차 추출물과 비교할 때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실시예 1에서 추출한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1,1-다이페닐 1-2 피크릴하이드라일(DPP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여러 농도의 사과꽃잎 추출물(최종농도: 500, 250,125,62.5)에 DPPH 용액을 혼합한 후, 효소면역분석기(Microplate reader)(VERSAmax, Molecular Device, CA, USA)를 이용하여 5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C를 사용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과 같이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험 결과 아래 표 3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과꽃잎 추출물의 경우 물 추출물에서는 국화꽃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저농도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나, 500 ug/ml의 농도에서는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녹차 추출물과 비교시에도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폴리페놀 함량(ug/ml)과 효소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다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에 의함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 의해 사과꽃잎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사과꽃잎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용매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농도
(ug/ml)
항산화 활성(%)
물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
사과꽃 국화꽃 녹차 사과꽃 국화꽃 녹차
62.5 10.33± 3.0 10.8± 0.5 91.54± 0.3 22.57± 1.1 94.34± 0.1 31.33± 2.1
125 31.9± 1.5 23.03± 0.8 94.33± 0.2 38.05± 2.9 95.23± 0.1 51.62± 0.6
250 52.67± 1.6 34.04± 0.4 94.72± 0.1 74.85± 1.6 95.92± 0.3 89.69± 0.3
500 88.92± 0.5 72.29±14.52 94.33± 0.5 93.0± 0.1 97.49± 0.1 107.1± 0.1
[실험예 4] 추출물의 탄닌 함량
용매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탄닌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사과꽃잎 추출물을 각각 1㎖씩 담았다. 그리고, 상기 시험관에 95% 에탄올을 1 ㎖씩 분주하였다. 다음으로, 각 시험관에 증류수 5 ㎖씩을 분주하였다. 그리고, 5%의 탄산나트륨(Na2CO3) 1 ㎖씩을 각 시험관에 분주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각각의 시험관에 1N의 폴린 시오칼토 페놀시약(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을 0.5 ㎖씩 가하였다. 그리고, 반응시킨 후, 60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그리고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탄닌의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하기 표 4는 상기 측정한 용매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탄닌의 함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탄닌은 다가 페놀 화합물로 폴리페놀 함량 결과와 같이 물추출물의 경우 국화꽃 추출물보다 사과꽃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녹차추출물보다 사과꽃잎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용매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탄닌 함량
물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
사과꽃 국화꽃 녹차 사과꽃 국화꽃 녹차
탄닌 함량(ug/ml) 500.82
±17.8
252.66
±14.6
1006.88
±41.7
597.78
±13.8
985.48
±22.3
506.86
±35.9
[실험예 5]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용매에 따른 사과꽃 추출물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은 일반적으로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한다. 본 실험에서는 0.5M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H 6.5) 0.5 ㎖에 10mM L-DOPA를 녹인 기질액 0.2 ㎖에 실시예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농도별로 시료용액 0.1 ㎖의 혼합액에 머쉬룸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110U/㎖) 0.2 ㎖을 첨가하여 25℃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도파크롬(dopachrome)을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아래의 식의 따라 계산하여 시료의 효소 저해활성 정도를 구하였다.
Figure pat00002
하기 표 5는 상기 측정한 용매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물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60%의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녹차 추출물보다 사과꽃잎 추출물에서 높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코직엑시드(kojic acid)는 31ug/ml에서 69% 이상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도 3 참조). 사과꽃 추출물의 경우 정제된 코직엑시드의 농도에 비해 낮은 저해율을 보였으나 추출물임을 감안할 때는 높은 활성임을 알 수 있다.
용매에 따른 사과꽃잎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농도
(ug/ml)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물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
사과꽃 국화꽃 녹차 사과꽃 국화꽃 녹차
31 23.44± 0.6 25.88± 1.1 33.64± 0.9 35.47± 0.6 47.84± 1.2 21.19± 1.1
62.5 26.85± 0.6 28.90± 1.8 50.14± 1.2 41.2± 1.2 63.45± 0.7 25.72± 0.8
125 29.29± 1.8 33.83± 0.5 61.85± 1.1 52.93± 0.6 70.60± 2.0 29.53± 0.7
250 40.34± 0.4 38.77± 1.2 68.09± 0.5 59.18± 0.1 78.38± 4.3 34.14± 1.5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과꽃잎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33992A 2010-04-13 2010-04-13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4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992A KR20110114369A (ko) 2010-04-13 2010-04-13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992A KR20110114369A (ko) 2010-04-13 2010-04-13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369A true KR20110114369A (ko) 2011-10-19

Family

ID=4502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992A KR20110114369A (ko) 2010-04-13 2010-04-13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43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770B1 (ko) * 2013-06-13 2015-06-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770B1 (ko) * 2013-06-13 2015-06-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사과 유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완화 및 여드름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19124862A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70113B1 (ko)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781545B1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2093B1 (ko) 뽕잎피나무, 소태나무, 신갈나무, 및 이질풀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및 미백 복합기능성을 갖는 조성물
KR20150117469A (ko) 바나듐 함유 미네랄 조성물과 봉독을 이용한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159577B1 (ko) 블루베리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65166A (ko) 바다수선화 추출물과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3485A (ko)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55572B1 (ko)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7364A (ko) 아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20029107A (ko) 복합 추출물(hc-6)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1061722B1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4369A (ko) 사과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61B1 (ko) 대나무 숯을 이용하여 저온 숙성된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6547B1 (ko) 산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476A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8389B1 (ko) 포도나무 뿌리 유래의 스틸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79244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