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585A -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585A
KR20140144585A KR20130066730A KR20130066730A KR20140144585A KR 20140144585 A KR20140144585 A KR 20140144585A KR 20130066730 A KR20130066730 A KR 20130066730A KR 20130066730 A KR20130066730 A KR 20130066730A KR 20140144585 A KR20140144585 A KR 20140144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meal
lactic acid
acid bacteria
fermented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554B1 (ko
Inventor
이종화
구본탁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드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드업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드업
Priority to KR2013006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554B1/ko
Priority to PCT/KR2014/005073 priority patent/WO2014200241A1/ko
Publication of KR2014014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4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의 반추위 내에서의 소화흡수가 억제된 상태에서 통과한 후 소장에서의 소화흡수가 집중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바이패스(bypass)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두박은 (1) 대두박 내의 과당류 등을 활성화당(reactive sugar)으로 만들기 위해 유산균을 사용하여 발효시키고, (2) 반추위에서 소화흡수를 억제하고, 소장에서 소화흡수를 극대화되도록 상기 발효대두박을 열처리한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단백질 제조공정은 별도의 첨가물이 없이 발효를 통해 대두박의 성분변화를 일으켜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이 잘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The cow's feed efficiency and flow rate can be fermented for two nights to increas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젖소의 산유량과 사료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대두박의 발효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두박을 유산균을 이용하여 고상발효시킨 후 고온에서 열처리하고, 이와 같은 공정으로 생성된 활성화된 당과 단백질이 갈색화 반응으로 통해 결합도록 한 것이다.
축우는 반추위의 발효과정에서 만들어진 미생물 단백질이나 반추위를 통과한 단백질, 즉 바이패스 단백질로부터 필요한 아미노산의 대부분을 얻는다.
대두박은 생산량 기준으로 전세계 식물성 단백질 사료원료 중 60%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 단백질원이나 축우에서는 대부분 반추위에서 분해가 이루어지고 단지 25~34% 정도 만이 바이패스 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 반추동물에서의 바이패스 비율을 높이기 위해 대두박을 가공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열처리를 하거나 lignosulfonate 또는 formaldehyde로 처리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식물성 오일 등으로 코팅하는 방법도 개발되어 있다.
그 중에서 대두박을 열처리하는 공정이 가장 많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는 대두박 내의 단백질과 당이 가열 과정에서 일어나는 갈색화반응(Maillard reaction, 마이야르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당의 카보닐기(carbonyl group)와 아마노산의 아미노기(amino group)가 열에 의해 결합하게 되면 반추위에서 소화작용을 일으키는 미생물 효소들의 공격을 받지 않고 바이패스 되어 소장에서 대부분 소화가 일어나게 된다.
익스트루더 등을 사용하여 고온에서 짧은 시간 열을 가하거나 자일로스(xylose) 등의 활성화 당(reactive sugar)을 첨가한 후 열처리 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효모 등에서 분리한 효소를 사용하여 대두박을 처리한 후 열처리를 함으로써 마이야르 반응을 촉진시키는 공정도 개발되었다.
한편, 트립신 저해제 등의 항영양인자(anti-nutritional factors)들을 비가열적 방법으로 제거하기 위해 대두박을 효소로 처리하거나 미생물로 발효시키는 공정들이 산업화 되어 있는데, 후자의 경우 Aspergillus 등의 곰팡이 균을 사용하거나 Bacillus 등의 세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부에서는 유산균을 이용하는 혐기적 공정을 사용하여 경제적으로 발효하는 공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유산균의 경우 대사과정에서 대두박의 항영양인자의 하나인 과당류(oligo-saccharide)들을 활발하게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Raffinose, Stachyose 등 대두박 내의 과당류들을 대사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활성화 당 형태로 만드는 유산균 발효를 통해 마이야르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바이패스 단백질의 비율을 높일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결과로 얻어진 가공대두박은 효소나 당 등의 첨가물 없이 발효공정과 열처리 만을 사용하므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RUP(Rumen Undegradable Protein)가 65% 이상, 소장에서의 소화흡수율이 90% 정도로 제품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157618 B1(2012.06.12.)
본 발명의 목적은 대두박을 이용하여 바이패스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부로부터 효소나 당 등의 첨가물을 일체 첨가하지 않는 유산균 발효공정과 고온 열처리공정을 통해 대두박 바이패스 단백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두박 바이패스 단백질은 종래의 대두박 바이패스 단백질 제조 공정에 비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동시에 효율과 성능에서도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1) 대사과정에서 대두박의 과당류들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유산균을 선택하고, (2) 이 과당류들이 활성화 당 형태로 최대한 분해되는 고상발효 조건을 확립하며, (3) 대두박 활성화 당과 단백질들 간의 마이야르 반응이 최대로 일어 날 수 있도록 하는 고온 열처리 공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공정개발 단계들을 포함한다: (1) 대두박의 과당류들이 포함된 추출액을 제조하고 이를 배지로 하였을 대 성장속도가 우수한 유산균을 선정하는 유산균 선정단계, (2)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대두박 고상발효에 있어서 과당류의 분해가 최대에 이르도록 하는 공정 조건을 확립하는 분해공정단계, (3) 마이야르 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처리 조건을 확립하는 열처리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대두박 내의 수용성 탄수화물, 특히 과당류들을 효과적으로 대사함으로써 마이야르 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와 열처리 조건을 확립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바이패스 단백질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산균을 이용한 혐기적 발효를 통해 대두박의 과당류들과 탄수화물이 마이야르 반응에 의해 활성화 당 형태로 전환되며, 이는 외부로부터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대두박으로부터 바이패스 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상기 바이패스 단백질 제조방법은 간편하고 경제적인 바이패스 단백질 제조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열처리 공정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과도한 열처리에 의해 축우의 소장에서의 소화흡수율을 떨어뜨리거나 라이신 등 필수 아미노산의 파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정으로 제조된 가공대두박은 그 품질에 있어서 RUP가 65% 이상, 소장에서의 소화흡수율이 90%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산균을 배양하기 위하여 대두박으로부터 배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두박으로부터 추출된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배양하는 단계; 상기 유산균이 배양된 배지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대두박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대두박을 열처리 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대두박으로부터 유산균 발효 및 열처리에 의해 바이패스 단백질의 제조방법은 아래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로부터 예상되는 발명의 변경 가능한 구성은 이 발명의 범위 내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산균의 선정
대두박의 성분 중에는 스타키오즈, 라피노즈 등으로 대표되는 과당류와 다양한 탄수화물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수용성이며 소화를 저해하는 항영양인자의 일종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대두박의 영양성과 무관하면서 오히려 사료로서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과당류들과 탄수화물들을 효과적으로 대사시키는 유산균을 이용하는데 중점을 둔다. 즉, 유산균 발효 과정에서 과당류들과 탄수화물들로부터 글루코스(glucose), 칼락토스(galactose) 등의 단당류들이 다량 만들어지고, 이러한 단당류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단백질이나 펩타이드들과 열의 의해 결합한다는 원리를 활용하는 것이다.
특히 유산균들은 과당류들에 대한 대사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산균에서 흔히 발견되는 알파갈락토시데이즈 (alpa-(1,6)galactosidase)라는 효소는 라피노즈와 스타키오즈 등의 대두박에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과당류들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대두박 중 라피노즈와 스타키오즈의 함량은 건물량 기준으로 6% 이상이다. 한 개의 라피노스 분자는 알파갈락토시데이즈에 의해 분해되면 갈락토스, 프럭토스(fructose), 글루코스 등 3종의 단당류 각각 한 분자씩으로 분해된다. 한편, 스타키오스는 두 개의 갈락토스와 1개의 프럭토스, 1개의 글루코스 분자로 분해된다.
이와 같이 알파갈락코시데이즈 효소를 많이 분비하여 대두박 내의 과당류들을 보다 활성화된 형태이면서 비율적으로 증가된 단당류들로 전환할 수 있는 유산균을 활용한다면 마이야르 반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유산균을 선정하기 위해 대두박 수용성 추출액에서의 성장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물을 사용하여 대두박을 추출하면 대부분의 당 성분들과 수용성 탄수화물들이 용해되어 나오는데, 이러한 추출액을 별도의 첨가물 없이 배지로 사용하여 성장속도를 측정하면 대두박의 과당류나 탄수화물로부터의 당대사도가 높은 유산균을 효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두박 추출물 배양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속 유산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바이셀라(Weissella)속 유산균,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유산균,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속 유산균, 락토코커스(Lactococcus)속 유산균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유산균이다.
상기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속 유산균에는 엔테로코커스 페시움(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피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가 있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가 있으며, 바이셀라(Weissella)속 유산균에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Weissella cibaria)가 있다. 또한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유산균에는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있으며,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속 유산균에는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lus)이 있으며, 락토코커스(Lactococcus)속 유산균에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가 있다.
대두박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배지)에 상기 유산균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 배양한 다음 유산균이 배양된 배양액을 대두박에 혼합하여 대두박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는 것이다.
2. 유산균을 이용한 대두박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대두박 발효에는 고상발효(solid substrate fermentation)법이 주로 사용된다. 대두박에 적당한 양의 물을 첨가한 후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것인데, 발효가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 고온의 수증기로 대두박을 전처리하는 증자 등의 공정이 추가되기도 한다. 대두박으로부터 배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40~80℃ 온도의 추출수로 추출하되, 추출된 배지(추출액)의 당농도가 1~10Brix의 농도가 되도록 추출한다.
곰팡이나 효모 또는 바실러스(Bacillus) 등의 세균을 이용한 호기적 발효와 달리 유산균 배양은 혐기적 발효에 속한다. 이는 전자의 미생물들이 생육과 발효에 있어서 산소를 요구하는 호기성(aerobic) 미생물인데 반하여 대부분의 유산균은 통성혐기성(facultative anaerobe)이기 때문이다. 이는 산소가 있는 조건이나 없는 환경에서 모두 생육과 발효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유산균을 이용한 혐기적 발효는 제국실과 같은 정밀한 산소공급장치나 그에 따른 에너지 소모가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발효대두박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유산균은 발효과정에서 젖산(lactic acid)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발효물의 pH를 떨어뜨리는 효과에 의해 오염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두박 추출액으로 배양액을 제조하여 접종균액을 만들고 물과 함께 대두박에 접종한 후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발효시키는 공정 조건을 확립하였다. 주요 조건으로 안정적인 발효를 위해 필요한 접종균체량, 즉 배양액 접종비율은 106 ~ 109cfu/g, 대두박의 수분함량은 30~60%, 발효 온도는 20~40℃, 발효 기간은 2~4일 동안 발효시킨다.
3. 발효대두박의 열처리
유산균 발효 결과 만들어진 활성화 당들과 단백질 간의 갈색화 결합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열처리가 필수적인데 필요 이상의 열이 가해질 경우에는 바이패스율은 높으나 소장에서의 소화율이 낮아지고, 적은 양의 열이 가해질 경우에는 바이패스 비율이 낮아진다. 한편 라이신(lysine)과 같은 아미노산은 사료의 품질에 매우 중요한 성분인데 열에 상대적으로 악하기 때문에 열처리 과정에서 파괴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발효대두박의 열처리는 갈색화 반응에 필요한 최소한의 온도와 시간이 사용되도록 정확하게 통제되어야 하는 민감한 공정이다.
대두박의 열처리를 위해서는 익스트루더(extruder)나 익스펠러(expeller) 등의 장치를 사용하거나 로스팅 방식이 적용되는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가장 많이 쓰는 방식인 로스팅에는 실린더 형태의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핀(fin)에 의해 분산되는 대두박에 화염으로 직접 가열하는 장치들이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로스팅 방식의 열처리를 사용하였으며 온도와 처리시간의 정확한 제어를 위해 회분식(batch type)의 로타리 드럼(rotary drum)을 기계장치로 채택하였다.
열처리에 사용하는 온도로는 90℃에서부터 145℃까지 다양한 조건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90~98℃에서 30~120분 열처리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과도한 열처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회피하기 위해 가급적 낮은 온도에서의 열처리 조건을 지향하였다.
실시예 1: 선정된 유산균의 특성
대두박 추출액을 배지로 하였을 때 성장속도가 우수한 유산균을 선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4.4로 조정한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이 때 용매의 온도는 40~80℃로 하였으며 중량 기준으로 대두박 대비 5배의 용매를 가하였다. 10분 간 충분히 교반한 후 50mesh의 체로 여과한 것을 추출액으로 하였다.
추출액 중의 당의 농도는 당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Brix로 하였다. 1 Brix는 100g의 용액에 들어있는 당의 g수로 정의된다, 단백질은 Bradford법에 의해 정량하고 이를 100㎖ 추출액 중 들어있는 단백질의 질량(g)으로 하였다.
배지로 사용될 추출액은 당농도 5 Brix 이상, 단백질 농도 1% 미만의 것을 사용하였고 0.22㎛의 pore size를 갖는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여 멸균하였다. 각각의 미생물로 접종한 추출액을 660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면서 생육곡선을 관찰하였고 이를 근거로 비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를 계산하였다.
미생물의 비성장속도
균주명 비성장속도
Enterococcus faecium 1.46
Weissella koreensis 1.04
Lactobacillus plantarum 0.61
Bacillus subtilis 0.3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대두박 추출액을 배지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비성장속도를 나타내는 것은 Enterococcus faecium 균주다. 다른 유산균들과 비교하여 월등하였을 뿐 만 아니라 Bacillus 속 세균과 비교하여도 탁월하였다.
실시예 2: Enterococcus faecium(SLB120) 균주을 이용한 대두박 고상발효
SLB120 균주의 발효 최적 온도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20℃, 25℃, 30℃, 35℃, 40℃ 등으로 사전 조정된 배양기에 최종 40% 수분과, 대두박 gram 당 107cfu(colony forming unit)/g의 SLB120 균체가 첨가된 대두박을 24 시간 발효시킨 후 대두박의 pH를 측정하였다. 유산균의 발효가 많이 일어날수록 lactic acid가 많이 생성되고 이는 배지의 pH를 떨어뜨린다는 원리이다. 중량 기준으로 발효대두박에 두 배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5분 간 교반한 후의 pH를 대두박의 pH로 하였다.
온도 별 pH
온도 (℃) pH
20 5.9
25 5.5
30 5.4
35 5.6
40 5.7
위의 표에서와 같이 20℃에서 40℃ 사이의 온도 조건에서 대체적으로 발효가 충분히 일어났으나 25℃와 30℃에서의 pH 감소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이 온도 구간에서 발효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유산균을 이용한 혐기적 발효는 실제 생산규모에 있어서는 벌크백 등의 밀폐된 공간에서 외부로부터의 공기 공급없이 진행되므로 발효가 진행될수록 내부 잠열에 의해 대두박 전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데이타는 별도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500kg 규모의 대두박을 밀폐된 벌크백에서 발효 시킬 경우 최고 40까지 상승한다. 본 발명에서는 접종균이 혼합되는 당시의 온도를 25~30℃로 조건을 정하였다.
다음은 SLB120 균주의 발효최적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25로 온도가 조절된 대두박에 균체가 대두박 gram당 107 cfu/g 되도록 접종하고 각각 24시간, 36시간, 48시간, 56시간,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한 후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대두박의 pH을 측정하였다,
발효시간 별 pH
발효시간 (h) pH
24 6.1
36 5.9
48 5.7
56 5.5
72 5.4
위의 표에서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두박의 pH는 점차로 감소하였는데, 56 시간 이후 그 감소폭이 크게 줄어들었다.
본 발명에서는 SLB120 균주를 사용한 대두박 발효의 최적 경과시간을 56~72시간으로 정하였다.
실시예 3: 발효대두박의 열처리
본 발명에서의 대두박 열처리는 로타리 드럼 방식의 건조기를 사용하였는데 드럼 내부에 이중 스크류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어서 원료가 드럼 내부에서 계속 순환되는 회분식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열처리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우선 처리시간을 한 시간으로 정해 각 온도에서의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발효가 끝난 대두박을 위의 건조기에 투입하고 200,000Kcal/hr 열량의 경유 버너를 사용하여 내부 대두박 온도를 각각 90℃, 95℃, 100℃, 105℃로 설정하여 한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에는 온도를 60℃로 제한하여 수분함량이 12%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UIP(비분해성 단백질) 분석을 위해 protease 용액을 사용하는 in vitro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은 각 온도별로 열처리된 발효대두박의 UIP 분석 결과이다.
온도별 UIP
온도 (℃) UIP (%)
90 60
95 65
100 72
105 81
위에서와 같이 95℃ 이상의 온도에서 한 시간 처리한 경우에서 65% 이상의 UIP 비율을 나타내었다.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UIP 비율은 높아지나 과도한 마이야르 반응이 일어날 경우 소장에서의 소화흡수율이 낮아지고 라이신 등 열에 약한 아미노산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발효대두박의 열처리 온도조건으로서 90~95℃ 범위로 정하였다.
열처리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서 이번에는 온도를 95℃로 설정하고 각각 30분, 60분, 90분, 120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각 시료는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UIP를 측정하고 한편으로는 KOH 용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0.2%의 KOH용액에 약 %의 시료를 첨가하고 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에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상징액은 킬달 법을 이용하여 단백질량을 측정하였다.
표 5는 각각의 시료에 대한 UIP 비율과 KOH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열처리 시간별 UIP 및 KOH 용해도
열처리시간 (분) UIP (%) KOH 용해도 (%)
30 45 72.1
60 65 68.2
90 72 57.3
120 80 45.4
상기 표에서와 같이 90분 이상 열처리한 시료에는 KOH용해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H 용해도는 대두박 내 단백질의 용해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써, 이 값이 낮다는 것은 단백질의 변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소의 소장에서의 소화율도 낮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장에서의 높은 소화율을 유지하기 위해 발효대두박의 열처리 시간을 60~90분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4: 바이패스 단백질로서의 성능 분석
본 발명에서의 바이패스 단백질을 위한 대두박 가공공정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사용하여 사양시험과 in-situ 실험을 실시하였다.
최초 온도 25℃에서 대두박 gram당 107cfu/g 이상의 농도로 SLB120 유산균을 접종하고 72시간 발효시킨 대두박을 95℃에서 60분간 열처리 한 후 최종 12% 수분함량으로 건조시킨 시료를 사용하였다.
In-situ 바이패스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피스툴라 (fistula)를 설치한 축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동물은 3두 이상의 피스툴라를 장착한 축우를 이용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샘플백은 동시에 투입하고 동시에 꺼내며, ruminal position은 ventral rumen으로 한다. 사용되는 백은 폴리에스터 재질로 포어사이즈는 40~60 um이며, 샘플사이즈/표면적 비는 약 10 mg/㎠로 한다. 실험동물의 반추위내에서 배양이 끝난 샘플백은 1min/rinse로 5회 반복하여 샘플백내 잔류 미생물에 대한 보정을 실시한다. 대조군으로 일반대두박을 사용하였다.
다음은 상기 시료에 대한 성능분석 결과들이다.
In-situ 바이패스율
시료명 In-situ 바이패스율(%)
대두박 35
시료 69

Claims (5)

  1.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있어서,
    유산균을 배양하기 위하여 대두박으로부터 배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두박으로부터 추출된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배양하는 단계;
    상기 유산균이 배양된 배지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대두박을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된 대두박을 열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위 동물용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박으로부터 배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40~80℃ 온도의 추출수로 추출하되, 추출액의 당농도가 1~10Brix의 농도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위 동물용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배지에 접종하는 유산균은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속 유산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바이셀라(Weissella)속 유산균,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유산균,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속 유산균, 락토코커스(Lactococcus)속 유산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유산균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위 동물용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을 이용하여 대두박을 발효시킬 때 대두박은 수분함량 30~60%, 온도 20~40℃에서 2~4일 동안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위 동물용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된 대두박을 열처리 하는 단계에서 열처리 온도는 90~98℃의 온도에서 30~120분 동안 열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위 동물용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KR20130066730A 2013-06-11 2013-06-11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KR10148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730A KR101485554B1 (ko) 2013-06-11 2013-06-11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PCT/KR2014/005073 WO2014200241A1 (ko) 2013-06-11 2014-06-10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730A KR101485554B1 (ko) 2013-06-11 2013-06-11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585A true KR20140144585A (ko) 2014-12-19
KR101485554B1 KR101485554B1 (ko) 2015-01-29

Family

ID=5202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730A KR101485554B1 (ko) 2013-06-11 2013-06-11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5554B1 (ko)
WO (1) WO201420024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91B1 (ko) * 2018-12-10 2020-02-27 주식회사 피드업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US20220049200A1 (en) * 2018-12-10 2022-02-17 Sung Min Lee Apparatus for producing fermented soybean meal
KR20220111427A (ko) * 2021-02-02 2022-08-09 서형완 고능력 착유우의 조농비 개선을 위한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14072A1 (ko) * 2021-08-03 2023-02-09 주식회사 피드업 단백질의 바이패스율 증가용 조성물 및 단백질의 바이패스율 증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386B1 (ko) 2016-09-26 2017-10-17 주식회사 피드업 대두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대두박의 제조방법
WO2020017721A1 (ko) * 2018-07-17 2020-01-23 주식회사 피드업 발효 대두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2696B1 (ko) * 2018-07-17 2020-02-03 주식회사 피드업 엔테로코커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 대두박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3276B2 (ja) 1998-02-05 2008-10-08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機能性組成物
JP2007143539A (ja) * 2005-11-28 2007-06-14 Amenity:Kk 有機性残渣を活用した家畜用飼料の有機性残渣の保存及び製造方法
KR20090005729A (ko) * 2007-07-10 2009-01-14 유희민 식물성 천연성분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및무항생제 축산물 생산을 위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56078B1 (ko) * 2010-05-20 2012-06-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료 첨가용 대두박의 제조방법
KR101214573B1 (ko) * 2011-05-13 2012-12-24 주식회사 리스나 바이셀라 코리엔시스를 이용하여 얻어진 발효대두박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91B1 (ko) * 2018-12-10 2020-02-27 주식회사 피드업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WO2020122317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피드업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US20220049200A1 (en) * 2018-12-10 2022-02-17 Sung Min Lee Apparatus for producing fermented soybean meal
KR20220111427A (ko) * 2021-02-02 2022-08-09 서형완 고능력 착유우의 조농비 개선을 위한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14072A1 (ko) * 2021-08-03 2023-02-09 주식회사 피드업 단백질의 바이패스율 증가용 조성물 및 단백질의 바이패스율 증가 방법
KR20230020372A (ko) *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피드업 단백질의 바이패스율 증가용 조성물 및 단백질의 바이패스율 증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0241A1 (ko) 2014-12-18
KR101485554B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554B1 (ko)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CN106222114B (zh) 高效降解豆粕抗原蛋白的芽孢杆菌及菌酶混合发酵的方法
KR101918732B1 (ko) 곡물 분말 내의 단백질을 농축하는 방법
CN103749959A (zh) 一种生物发酵麸皮及其加工方法
CN105795109A (zh) 一种混合菌株固态发酵高温豆粕的方法
CN110235985A (zh) 一种消除豆渣饲料中抗营养因子的微生物发酵方法
CN104585505A (zh) 一种用枯草芽孢杆菌和中性蛋白酶协同发酵豆粕的方法
CN111165653A (zh) 马铃薯渣玉米秸秆混合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发酵剂
CN108522790A (zh) 一种固态发酵茶叶渣生产纤维饲料的方法
CN102907568B (zh) 寒区发酵豆粕工厂化生产方法
KR101444196B1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km-1, 및 이를 이용한 발효대두박 및 양어용 사료의 제조방법
CN106721278A (zh) 微生物发酵保育期仔猪液态饲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3039698A (zh) 一种枯草芽孢杆菌菌粉制备方法及其应用
CN103609870A (zh) 以ddgs为主要蛋白质原料的大猪全发酵饲料制作方法
CN103283973A (zh) 一种嗜酸乳酸杆菌活菌制剂的生产方法
Elghali et al. Variations on soymilk components during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trains
CN110205276A (zh) 一种植物乳杆菌液体发酵培养基及其培养方法和应用
CN105200109B (zh) 一种虾头发酵方法
JP3885084B2 (ja) 速成発酵飼料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2016533755A (ja) プロピオン酸の産生能を持つ微生物及びそれを含む粗飼料組成物
CN109452450A (zh) 一种工业化生产发酵豆粕及其制备方法
Yanti et al. Organic acids production of rice straw fermented with several types of microorganism at different temperatures
CN109837224A (zh) 小龙虾加工废弃物微生物发酵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522006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дрожжей
Huang et al. Effects of probiotic fermented soymilk on the activities of mouse intestinal digestive enzy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