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391B1 -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391B1
KR102082391B1 KR1020180158389A KR20180158389A KR102082391B1 KR 102082391 B1 KR102082391 B1 KR 102082391B1 KR 1020180158389 A KR1020180158389 A KR 1020180158389A KR 20180158389 A KR20180158389 A KR 20180158389A KR 102082391 B1 KR102082391 B1 KR 10208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meal
solid
lactic acid
acid bacteria
fermented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이혁기
이성민
이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드업
이성민
이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드업, 이성민, 이희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드업
Priority to KR102018015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391B1/ko
Priority to US17/275,791 priority patent/US20220049200A1/en
Priority to PCT/KR2019/001390 priority patent/WO2020122317A1/ko
Priority to CN201910764057.1A priority patent/CN11128645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위동물용 및 반추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생산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는, 원료 대두박에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추출하여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 생산하는 고액분리부, 상기 대두박 추출액에 접종균을 넣어 상기 유산균을 생산하여 상기 고액분리부에 공급하는 유산균 배양부,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잔류 대두박과 바이패스 공급되는 상기 원료 대두박 및 상기 유산균 배양부에서 공급되는 유산균 중에서 적어도 2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혼합한 혼합재료를 고상 발효시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고상발효부, 및 상기 고상발효부에서 공급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건조시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건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Fermented soybean meal 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 대두박으로부터 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효 대두박은 가축사료에서 어분을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원이며, 발효 대두박에서 아미노산 이용률과 함께 조단백질 함량이 중요한 마케팅 포인트로 작용한다.
대두박을 발효하기 위해서는 고상발효(Solid Substrate Fermentation)법을 주로 사용하며, 미생물로는 Aspergillus 속으로 대표되는 곰팡이와 Bacillus 속으로 대표되는 세균을 주로 활용하는 호기성 발효(Aerobic Fermentation) 공법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호기성 고상발효법은 산소 공급이 필수적이므로 공정 중 오염가능성이 높고, 제국기 등 상당한 수준의 시설 투자가 필요하며, 생산량 증가를 위한 공장 스케일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혐기성 세균을 이용하는 고상발효법은 호기성 공정의 이와 같은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혐기성 세균인 유산균은 대두박의 대표적인 항영양인자 중의 하나인 난소화성올리고당을 젖산 등의 유익한 물질로 변환하고, 아미노산 대사 등이 활발하여 가축에게 유용하면서도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을 만들어 준다. 특히 유산균이 발효과정에서 분비하는 젖산은 다른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어,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고상발효법은 위가 하나인(예, 돼지, 닭, 어류 등) 단위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생산하거나, 위가 4개인(예, 소 등) 반추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알려진 고상발효법은 단위동물용 및 반추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생산하지 못하므로 단위동물용 및 반추동물용의 별도 설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료 대두박으로부터 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위동물용 및 반추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생산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추출공정을 통하여 원료 대두박으로부터 탄수화물을 추출한 대두박 추출액에서 유산균을 대량 배양하고, 배양한 유산균을 발효 대두박의 종균으로 사용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균으로 사용한 여분의 유산균을 액상 또는 건조 후 생균제로 대량 생산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는, 원료 대두박에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추출하고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 생산하는 고액분리부, 상기 대두박 추출액에 접종균을 넣어 상기 유산균을 생산하여 상기 고액분리부에 공급하는 유산균 배양부,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잔류 대두박과 바이패스 공급되는 상기 원료 대두박 및 상기 유산균 배양부에서 공급되는 유산균 중에서 적어도 2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혼합한 혼합재료를 고상 발효시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고상발효부, 및 상기 고상발효부에서 공급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건조시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건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는, 상기 건조기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분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부는 공급되는 원료 대두박과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침지시키고, 침지된 침지 슬러지로부터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하며, 분리된 상기 잔류 대두박을 상기 고상발효부로 공급하고, 탈수된 상기 대두박 추출액을 상기 유산균 배양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부는 상기 침지 슬러지로부터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스크류 프레서, 필터 프레서 및 디캔터(decant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부는 공급되는 수돗물과 상기 유산균 배양부를 순환한 순환수 및 산성화 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추출용매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배양부는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공급하는 대두박 추출액과 수돗물에 접종균을 주입하여 유산균을 생성하는 액상발효탱크, 상기 액상발효탱크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산균에 수돗물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유산균저장탱크, 및 상기 유산균저장탱크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산균을 상기 고상발효부에 공급하는 유산균 서비스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상발효부는 공급되는 잔류 대두박과 유산균을 제1혼합재로 혼합하거나 원료 대두박과 유산균을 제2혼합재로 혼합하거나 잔류 대두박과 원료 대두박과 유산균을 제3혼합재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고상발효부는 상기 제1혼합재 내지 상기 제3혼합재 중 하나를 고상 발효시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고상발효부의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제1온도로 건조시키는 유동층 건조기(단위동물용; 잔류 대두박 + 유산균, 잔류 대두박 + 원료 대두박 + 유산균, 원료 대두박 + 유산균), 및 상기 고상발효부의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로 건조시키는 더블믹싱 건조기(반추동물용; 원료 대두박 + 유산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블믹싱 건조기는 상기 유산균 서비스탱크에서 상기 고상발효부로 공급되는 유산균 중 일부를 내부에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유산균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배양부는 상기 유산균저장탱크와 상기 유산균 서비스탱크에서 공급되는 유산균 중 일부 유산균과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공급되는 대두박 추출액을 혼합한 순환수를 상기 고액분리부로 공급하는 순환수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상발효부는 상기 혼합재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발효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여 단열재로 피복된 단열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혼합재를 상기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으로 발효시키는 발효챔버, 상기 발효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측으로 상기 혼합재 및 상기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유입구 측에서 상기 발효챔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축에 구비되어, 상기 발효챔버 내에서 상기 혼합재료의 높이를 설정하는 블레이드, 상기 유출구 측에서 상기 발효챔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축에 브래킷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상기 발효챔버에서 발효된 상기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긁어서 설정량씩 배출하는 스크랩퍼(scrap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블믹싱 건조기는, 상기 고상발효부로부터 상기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입하는 유입구와 믹싱 및 건조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배치 방향으로 신장되어 신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1쌍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발효혼합영역, 공급되는 상기 유산균에 의하여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을 일으키는 마이야르 반응영역 및 공급되는 수분에 의한 수분조절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고온의 오일을 순환시키는 오일 재킷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블레이드들은 고온의 오일을 순환시키는 오일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쇄기는 상기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측방향으로 유입하는 유입구와 분쇄된 상기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장착되고 설정된 회전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날장착부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날, 상기 회전날과 갭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날의 회전궤적을 따라 파쇄영역에 배치되는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날들, 및 상기 회전날들과 갭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궤적 중 상기 파쇄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따라 배출영역에 배치되어 파쇄된 상기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상기 유출구 측으로 유출하는 타공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액분리부부에서 공급되는 잔류 대두박과 바이패스 공급되는 원료 대두박 및 유산균 배양부에서 공급되는 유산균 중 적어도 2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고상발효부에서 혼합, 발효 및 건조기에서 건조시키므로 단위동물용 및 반추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산균 배양부를 구비하여 대두박 추출액으로 유산균을 대량 배양하므로 배양한 유산균을 발효 대두박의 종균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종균으로 사용한 여분의 유산균을 액상 또는 건조 후 생균제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대두박 추출액으로부터 유산균을 생산하는 유산균 배양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상발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고온 건조를 구현하는 더블믹싱 건조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더블믹싱 건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Ⅸ-Ⅸ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분쇄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서 고정날과 회전날에 의하여 발효 대두박을 분쇄하는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는 원료 대두박으로부터 최종 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도록 고액분리부(10), 유산균 배양부(30), 고상발효부(50) 및 건조기(60)를 포함한다.
반추동물용 발효 대두박은 1위인 반추위에서 단백질이 분해되지 않고 소장에서 분해되어야 하므로 바이패스 발효 대두박이라 한다. 바이패스 발효 대두박의 생산원리는 환원당과 라이신이 고온에서 결합하는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을 이용한다.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는 원료 대두박 공급부(101)를 통하여 원료 대두박을 고액분리부(10)로의 공급과 바이패스(20) 공급 중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원료 대두박 공급부(101)는 원료 대두박을 고액분리부(10)로 공급하거나, 고액분리부(10)를 바이패스(20) 하여 원료 대두박을 공급한다. 또한 원료 대두박 공급부(101)는 원료 대두박을 고액분리부(10)로 공급하면서 동시에 바이패스(20) 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고액분리부(10)는 원료 대두박에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추출하여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 생산하도록 구성된다. 추출용매 및 유산균과 원료 대두박으로부터 추출된 대두박 추출액은 제1라인(L1)을 통하여 유산균 배양부(30)로 공급되고, 분리된 잔류 대두박(M1)은 고상발효부(50)로 공급된다. 유산균 배양부(30)는 대두박 추출액에 접종균을 넣어서 유산균을 생산하여, 제2라인(L2)을 통하여 고액분리부(10)에 유산균(M3)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발효 대두박을 생산하기 위한 유산균은 통성혐기성 세균이다. 예를 들면, 통성혐기성 세균은, 엔테로코커스 훼시움(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훼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및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고액분리부(10)에서 진행되는 고액분리 공정은 원료 대두박 내의 탄수화물을 일정량 제거하고, 유산균을 이용한 혐기 발효공정임에도 불구하고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예, 53%이상) 발효 대두박을 생산할 수 있다.
고액분리공정 후, 고상발효부(50)는 잔류 대두박(M1)과 바이패스된 원료 대두박(M2)의 혼합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다양한 조단백질 함량(예, 어류용 58%이상, 자돈 및 어린 가축용 53%이상, 모돈 등 성체용 50%이상)의 발효 대두박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고상발효부(50)는 고액분리부(10)에서 공급되는 잔류 대두박(M1)과 바이패스(20) 공급되는 원료 대두박(M2) 및 제3라인(L3)을 통하여 유산균 배양부(30)에서 공급되는 유산균(M3)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혼합시킨다.
예를 들면, 고상발효부(50)는 더블 패들 믹서(double paddle mixer)로 형성되어 잔류 대두박(M1)과 유산균(M3)을 혼합하거나, 잔류 대두박(M1)과 원료 대두박(M2) 및 유산균(M3)을 혼합(단위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생산)하거나, 원료 대두박(M2)과 유산균(M3)을 혼합(반추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생산)한다.
고상발효부(50)는 혼합된 혼합재료를 고상 발효시켜 발효대두박의 제조 공정상 진행되는 첫 번째의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한다. 즉 고상발효부(50)에 공급되는 혼합재료는 잔류 대두박(M1)과 유산균(M3)을 혼합하거나, 잔류 대두박(M1)과 원료 대두박(M2) 및 유산균(M3)을 혼합하여 형성되거나, 원료 대두박(M2)과 유산균(M3)을 혼합하여 형성되고, 이어서 고상 발효됨으로써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형성하게 된다.
건조기(60)는 고상발효부(50)에서 공급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건조시켜 단위동물용 또는 반추동물용으로 구분되는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한다. 즉 건조기(60)는 잔류 대두박(M1)과 유산균(M3)을 혼합하거나, 잔류 대두박(M1)과 원료 대두박(M2) 및 유산균(M3)을 혼합하거나, 원료 대두박(M2)과 유산균(M3)을 혼합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제1온도(저온)로 건조시켜 단위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생산한다(일례로써, 유동층 건조기). 또한, 건조기(60)는 원료 대두박(M2)과 유산균(M3)을 혼합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제2온도(고온)로 건조시켜 반추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생산할 수도 있다(일례로써 더블 믹싱 건조기).
일 실시예의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는 분쇄기(70)를 더 포함한다. 분쇄기(70)는 건조기(60)에서 공급되는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한다.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은 포장기(80)에서 포장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고액분리부(10)는 침지 슬러지로부터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스크류 프레서, 필터 프레서 및 디캔터(decant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고액분리부(10)는 공급되는 원료 대두박과 추출용매를 혼합 및 교반하여 침지시키고, 침지 슬러지를 공급 및 저장하며, 원심분리기 등으로 침지 슬러지로부터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한다.
일례로써, 원심분리기는 공급되는 침지 슬러지를 원심분리하여 잔류 대두박(고형분)(M1)과 대두박 추출액을 생산한다. 분리된 잔류 대두박(M1)은 고상발효부(50)로 공급되고, 탈수된 대두박 추출액은 유산균 배양부(30)로 공급된다.
또한, 고액분리부(10)는 원료 대두박에서 당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를 제6라인(L6)으로 공급받는다. 추출용매는 제4라인(L4)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과 유산균 배양부(30)를 순환하고 제5라인(L5)을 통하여 공급되는 순환수 및 별도로 공급되는 산성화 물질(예를 들면, 염산)을 혼합하여 생산된다. 산성화 물질 및 제4, 제5라인(L4, L5)의 수돗물과 순환수는 추출용매를 제조하는 일례를 보여주지만, 추출용매를 제조하는 구성 및 성분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서 대두박 추출액으로부터 유산균을 생산하는 유산균 배양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산균 배양부(30)는 액상발효탱크(31), 유산균저장탱크(32) 및 유산균 서비스탱크(33)를 포함한다.
액상발효탱크(31)는 고액분리부(10)에 연결되어 고액분리부(10)로부터 공급되는 대두박 추출액과 별도로 제4라인(L4)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에 접종균을 1회 주입하므로 액상 발효하여 유산균을 생성하며, 출구에 구비되는 펌프(P)의 구동으로 유산균저장탱크(32)로 공급한다.
유산균저장탱크(32)는 액상발효탱크(31)에 연결되어 액상발효탱크(31)로부터 공급되는 유산균에 제4라인(L4)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을 더 혼합하고 유산균을 대량 생산하여 저장하며, 출구에 구비되는 펌프(P)의 구동으로 유산균을 유산균 서비스탱크(33) 및 고액분리부(10)로 공급한다.
유산균저장탱크(32)에 저장된 유산균은 별도로 공급하여 유산균 제품(생균제) 생산에 이용될 수도 있다.
유산균 서비스탱크(33)는 유산균저장탱크(32)에 연결되어 유산균저장탱크(32)로부터 공급되는 유산균 및 제4라인(L4)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출구에 구비되는 펌프(P)의 구동으로 고상발효부(50)에 공급한다.
유산균 배양부(30)는 순환수탱크(34)를 더 포함한다. 순환수탱크(34)는 유산균저장탱크(32)와 유산균 서비스탱크(33)에 연결되어 유산균저장탱크(32)에서 유산균 서비스탱크(33)으로 공급되는 유산균 중 일부 유산균과 고액분리부(10)에서 공급되는 대두박 추출액을 혼합하여 순환수를 생성하며, 출구에 구비되는 펌프(P)의 구동으로 순환수를 순환수탱크(34)에 제5라인(L5) 및 제6라인(L6)으로 연결되는 고액분리부(10)로 공급한다.
순환수는 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공정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재사용하므로 수돗물을 포함하여 제조장치의 세척에 사용되므로 제조장치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제5라인(L5)을 통하여 고액분리부(10)로 공급된 순환수는 수돗물 및 염산과 혼합되어 추출용매를 형성하여, 제6라인(L6)을 통하여 고액분리부(10)로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제2, 제3라인(L2, L3)에서 순환수탱크(34)로 유입측에 밸브(V)를 각각 구비하여 유산균의 유입을 단속하고, 제1라인(L1)에서 순환수탱크(34)로 유입측에 밸브(V)를 구비하여 대두박 추출액의 유입을 단속하며, 순환수탱크(34)에서 제5라인(L5)으로 유출측에 밸브(V)를 구비하여 순환수의 유출을 단속한다.
또한, 제4라인(L4)에서 고액분리부(10)로 유입측에 밸브(V)를 구비하여 고액분리부(10)로 수돗물의 유입을 단속한다. 순환수탱크(34)와 고액분리부(10), 제1라인(L1) 내지 제5라인(L5) 및 밸브들(V)은 추출용매를 제조하는 일 실시예로써 예시되며, 추출용매의 성분 및 제조하는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라인 내지 제6라인 및 각종 탱크의 유입구와 유출구 측에 필요한 제어를 위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고상발효부(50)는 생산되는 발효 대두박의 제품에 따라 공급되는 잔류 대두박(M1)과 유산균(M3)을 제1혼합재로 혼합하거나, 원료 대두박(M2)과 유산균(M3)을 제2혼합재로 혼합하거나, 잔류 대두박(M1)과 원료 대두박(M2) 및 유산균(M3)을 제3혼합재로 혼합한다.
고상발효부(50)는 혼합된 제1혼합재(M1+M3), 제2혼합재(M2+M3) 또는 제3혼합재(M1+M2+M3)를 고상 발효시켜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한다. 즉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은 제1혼합재(M1+M3), 제2혼합재(M2+M3) 또는 제3혼합재(M1+M2+M3)에 의하여 생산된다.
건조기(60)는 공급되는 제1혼합재(M1+M3), 제2혼합재(M2+M3) 또는 제3혼합재(M1+M2+M3)와 제1온도(저온)로 건조 또는 제2온도(고온)로 건조 및 단위동물용 또는 반추동물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유동층 건조기(61)와 더블믹싱 건조기(62)를 포함한다.
즉 고액분리부(10), 바이패스(20) 및 유산균 배양부(30)는 제1, 제2, 제3혼합재(M1+M3, M2+M3, M1+M2+M3) 및 유동층, 더블믹싱 건조기(61, 62)에 따라 반추동물용 또는 단위동물용 발효 대두박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유동층 건조기(61)는 고상발효부(50)에서 공급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저온 건조시켜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한다. 이때 공급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은 단위동물용으로 저온 건조되는 제1혼합재(M1+M3)와 제3혼합재(M1+M2+M3) 또는 반추동물용으로 저온 건조되는 제2혼합재(M2+M3)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동층 건조기(61)는 공급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의 온도가 제1온도(일례로써, 50~80℃)에서 건조한다. 유동층 건조기(61)는 연속식으로 구성되어 고액분리부(10)를 경유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의 열변성을 최소화하면서 주로 단위동물용 제1혼합재(M1+M3)와 제3혼합재(M1+M2+M3)로 건조한다.
더블믹싱 건조기(62)는 유동층 건조기(61)의 제1온도(저온) 건조에 비하여 높은 제2온도(고온) 건조이며, 고상발효부(50)에서 공급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제2온도(고온)로 건조시켜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한다. 이때 공급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은 반추동물용으로 제2온도(고온) 건조되는 제2혼합재(M2+M3)이다.
더블믹싱 건조기(62)는 주로 반추동물용 제2혼합재(M2+M3)로 건조한다. 더블믹싱 건조기(62)는 바이패스(20)를 경유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반추동물용 제2혼합재(M2+M3)로 건조한다. 예를 들면, 더블믹싱 건조기(62)는 유동층 건조기(61)에서 보다 높은 제2온도(일례로써, 100~150℃)를 유지한다(마이야르 반응). 제2온도(고온)에서 환원당 아미노산(라이신)의 결합이 높다.
더블믹싱 건조기(62)는 내부에 설치되는 유산균 분사노즐(621)을 더 포함한다. 유산균 분사노즐(621)은 유산균 서비스탱크(33)에서 고상발효부(50)로 공급되는 유산균 중 일부를 더블믹싱 건조기(62)의 내부에 분사한다. 유산균 분사노즐(621)은 고온 건조되는 제1차 발효 대두박에 유산균을 분사하여 마이야르 반응(Millard reaction)을 균일하게 한다.
도 3는 도 1의 고상 발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상발효부(50)는 유입구(51)와 유출구(52)를 가지는 발효챔버(53), 이송 컨베이어(54), 축(55)과 블레이드(56) 및 축(57)과 스크랩퍼(58)를 포함한다.
유입구(51)는 혼합되어 공급되는 제1, 제2, 제3혼합재(M1+M3, M2+M3, M1+M2+M3)를 발효챔버(53)의 내부로 유입하고, 유출구(52)는 발효챔버(53)의 내부에서 발효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한다. 발효챔버(53)는 단열재로 피복된 단열공간을 형성한다.
이송 컨베이어(54)는 발효챔버(53) 내부의 유입구(51)에서 유출구(52) 측으로 설치되어 유입구(51)로 공급되는 제1, 제2, 제3혼합재(M1+M3, M2+M3, M1+M2+M3) 및 발효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구(52) 측으로 이송한다(예, 0.9m/h).
축(55)은 유입구(51) 측에서 발효챔버(53)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모터(M) 구동으로 회전한다. 블레이드(56)는 축(55)에 나선형으로 구비되어, 축(5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유입구(51) 측 발효챔버(53) 내에 쌓이는 제1, 제2, 제3혼합재(M1+M3, M2+M3, M1+M2+M3)의 높이(예, 1.3m)를 고상 발효에 적절하게 설정한다.
축(57)은 유출구(52) 측에서 발효챔버(53)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정역회전모터(M)에 의하여 정역회전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터를 유압 실린더로 전환하고 축을 유압 실린더로 작동시키는 구성을 추가할 수도 있다. 스크랩퍼(58)는 축(57)에 브래킷(79)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모터(M)의 구동에 따라 반복적으로 정역회전하면서 발효챔버(53)에서 발효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긁어서 설정량씩 유출구(52)로 배출한다.
일례로써, 고상발효부(50)는 이송 컨베이어(54)에 의하여 연속발효부를 형성하며, 약 24시간 동안 추가적인 공기 공급 없이 발효를 구현하며, 발효물의 수분은 35~65%, 및 발효온도는 25~45℃로 유지된다.
유입구(51)로 제1, 제2, 제3혼합재(M1+M3, M2+M3, M1+M2+M3) 투입시, 축(55)과 블레이드(56)에 의하여 발효챔버(53) 내에서 제1, 제2, 제3혼합재(M1+M3, M2+M3, M1+M2+M3)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고, 축(57), 브래킷(79) 및 스크랩퍼(58)에 의하여, 발효챔버(53) 내에서 발효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이 설정량씩 배출된다.
이와 같이, 유입구(51)에서 축(55)과 블레이드(56)가 유입되는 제1, 제2, 제3혼합재(M1+M3, M2+M3, M1+M2+M3)를 설정된 높이로 쌓고, 유출구(52)에서 축(57)과 스크랩퍼(58)가 발효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으로 설정량씩 배출하므로 고상발효기(50)에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이 안정적으로 고상발효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54)의 하측에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브러쉬(541)는 브러쉬(541)에 축에 구비되는 모터(M)로 구동되어 회전하면서, 이송 컨베이어(54)의 리턴 측에 부착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털어서 유출구(52)로 배출시킨다.
도 6은 도 1에서 고온 건조를 구현하는 더블믹싱 건조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더블믹싱 건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Ⅸ-Ⅸ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더블믹싱 건조기(62)는 유입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믹싱 및 고온 건조하여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도록 유입구(63)와 유출구(64)를 가지는 하우징(65), 1쌍의 회전축(66) 및 블레이드들(67)을 포함한다.
유입구(63)는 고상발효기(50)로부터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입하고, 하우징(65)은 유입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믹싱 및 고온 건조하여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며, 유출구(64)는 생산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배출한다.
1쌍의 회전축(66) 및 블레이드들(67)은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입하여 생산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원활히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즉 1쌍의 회전축(66)은 하우징(65)의 내부에서 유입구(63)와 유출구(64)의 배치 방향(도 6에서 좌우)으로 신장되고, 회전축(66)에 교차하는 방향(도 6에서 상하)으로 설정되는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1쌍의 회전축(66)은 구동 스프로킷(667)과 피동 스프로킷(662)을 체인(663)으로 연결하고, 모터(M)로 구동 스프로킷(667)을 구동함으로써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1쌍의 회전축(66)은 하우징(65)의 외부에서 서로 기어 결합되는 제1, 제2기어(664, 665)를 구비하고, 1쌍 중 하나의 회전축(66)은 피동 스프로킷(662)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M)의 구동으로 구동 스프로킷(667), 체인(663) 및 피동 스프로킷(662)의 동력전달을 통하여, 하나의 회전축(66)이 구동되고, 제1, 제2기어(664, 665)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회전축(66)이 또한 구동된다.
블레이드들(67)은 1쌍의 회전축(66)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1쌍의 회전축(66)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들(67)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믹싱 및 건조하면서 생산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구(64) 측으로 이동시킨다.
하우징(65)의 내부공간은 유입구(63)에서 유출구(64)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발효혼합영역(A1), 공급되는 유산균에 의하여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을 일으키는 마이야르 반응영역(A2) 및 공급되는 수분에 의한 수분조절영역(A3)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마이야르 반응영역(A2)에는 유산균 분사노즐(621)이 구비되어, 믹싱 및 건조 중인 제1차 발효 대두박에 유산균을 분사하므로 마이야르 반응영역(A2)에서 마이야르 반응(Millard reaction)이 균일하게 일어난다.
수분조절영역(A3)에는 물 분사노즐(622)이 구비되어, 믹싱, 건조 및 마이야르 반응 중인 제1차 발효 대두박에 물 또는 유산균을 분사하므로 수분조절영역(A3)에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의 수분이 조절된다.
믹싱, 건조, 마이야르 반응 및 수분 조절을 통하여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으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더블믹싱 건조기(62)에서, 하우징(65)은 고온의 오일을 순환시키는 오일 재킷(651)을 구비하고, 회전축(66) 및 블레이드들(67)은 고온의 오일을 순환시키는 오일 통로(661, 671)를 구비한다. 오일 재킷(651) 및 오일 통로(661, 671)는 더블믹싱 건조기(62)에서 고온 건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도 1의 분쇄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서 고정날과 회전날에 의하여 발효 대두박을 분쇄하는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분쇄기(70)는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35메쉬 이하의 분말인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으로 분쇄하도록 하우징(71), 회전축(72), 날장착부(731)와 회전날(73), 프레임(741)과 고정날들(74), 및 타공판(75)을 포함한다.
하우징(71)은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측방향(도 9에서 우측)으로 유입하는 유입구(711)와 분쇄된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하방으로 유출하는 유출구(712)를 구비한다.
회전축(72)은 하우징(7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복수의 날장착부들(731)은 회전축(72)에 설정된 회전간격으로 구비되고, 회전날(73)은 복수의 날장착부들(731)에 각각 설치된다. 날장착부들(731)는 관통구(732)를 형성하여 분쇄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프레임(741)은 회전날들(73)의 회전궤적을 따라 파쇄영역(B1)에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날들(74)은 회전날들(73)과 갭(G)을 유지하여 회전궤적을 따라 프레임(741)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회전날들(73)과 고정날들(74)은 하우징(71)의 폭 방향(도 9의 좌우)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호 전단작용으로 파쇄 작용한다. 그리고 고정날들(74)은 프레임(741)에 설치되고 회전날(73)을 향하여 설정된 피치(PC)를 가진다. 따라서 회전날들(73)과 고정날들(74)이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으로 분쇄할 때, 열발생을 적게 하므로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의 열변성을 최소화시킨다.
타공판(75)은 회전날들(73)과 갭을 유지하여 회전궤적 중 파쇄영역(B1)의 나머지 영역을 따라 배출영역(B2)에 배치되어 파쇄된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구(712) 측으로 배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분쇄기(70)를 경유한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은 냉방기(미도시)와 선별기(미도시)를 경유하여 포장기(80)로 공급되어 포장된다. 냉방기는 건조기(60)를 경유한 후 분쇄나 포장 전에 생산된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의 온도를 낮춘다. 선별기는 진동체로 형성되어 35메쉬 이하의 제품을 선별하여 포장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고액분리부 20: 바이패스
30: 유산균 배양부 31: 액상발효탱크
32: 유산균저장탱크 33: 유산균 서비스탱크
34: 순환수탱크 44: 유산균 서비스탱크
50: 고상발효부 51: 유입구
52: 유출구 53: 발효챔버
54: 이송 컨베이어 55, 57: 축
56: 블레이드 58: 스크랩퍼
60: 건조기 61: 유동층 건조기
62: 더블믹싱 건조기 63: 유입구
64: 유출구 65: 하우징
66: 회전축 67: 블레이드들
70: 분쇄기 71: 하우징
72: 회전축 73: 회전날
74: 고정날 75: 타공판
79: 브래킷 80: 포장기
101: 원료 대두박 공급부 541: 브러쉬
621: 유산균 분사노즐 622: 물 분사노즐
651: 오일 재킷 661, 671: 오일 통로
662: 피동 스프로킷 663: 체인
664: 제1기어 665: 제2기어
667: 구동 스프로킷 711: 유입구
712: 유출구 731: 날장착부들
732: 관통구 741: 프레임
A1: 발효혼합영역 A2: 마이야르 반응영역
A3: 수분조절영역 B1: 파쇄영역
B2: 배출영역 G: 갭
L1, L 2, L3: 제1, 제2, 제3라인 L4, L5, L6: 제4, 제5, 제6라인
M: 모터 M1: 잔류 대두박
M1+M3: 제1혼합재 M1+M2+M3: 제3혼합재
M2: 원료 대두박 M2+M3: 제2혼합재
M3: 유산균 P: 펌프
PC: 피치 V: 밸브

Claims (15)

  1. 원료 대두박에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추출하여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 생산하는 고액분리부;
    상기 대두박 추출액에 접종균을 넣어 유산균을 생산하여 상기 고액분리부에 공급하는 유산균 배양부;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잔류 대두박과 바이패스 공급되는 상기 원료 대두박 및 상기 유산균 배양부에서 공급되는 유산균 중에서 적어도 2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혼합한 혼합재료를 고상 발효시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고상발효부; 및
    상기 고상발효부에서 공급되는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건조시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건조기
    를 포함하며,
    상기 고상발효부는
    상기 혼합재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발효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혼합재를 상기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으로 발효시키는 발효챔버,
    상기 발효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측으로 상기 혼합재 및 상기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하측에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리턴 측에 부착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털어주는 브러쉬
    를 포함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분쇄기
    를 더 포함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부는
    공급되는 원료 대두박과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침지시키고,
    침지된 침지 슬러지로부터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하며,
    분리된 상기 잔류 대두박을 상기 고상발효부로 공급하고,
    탈수된 상기 대두박 추출액을 상기 유산균 배양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부는
    상기 침지 슬러지로부터 잔류 대두박과 대두박 추출액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스크류 프레서, 필터 프레서 및 디캔터(decanter) 중 어느 하나
    를 포함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부는
    공급되는 수돗물과 상기 유산균 배양부를 순환한 순환수 및 산성화 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추출용매를 생산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배양부는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공급하는 대두박 추출액과 수돗물에 접종균을 주입하여 유산균을 생성하는 액상발효탱크,
    상기 액상발효탱크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산균에 수돗물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유산균저장탱크, 및
    상기 유산균저장탱크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산균을 상기 고상발효부에 공급하는 유산균 서비스탱크
    를 포함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발효부는
    공급되는 잔류 대두박과 유산균을 제1혼합재로 혼합하거나
    원료 대두박과 유산균을 제2혼합재로 혼합하거나
    잔류 대두박과 원료 대두박과 유산균을 제3혼합재로 혼합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발효부는
    상기 제1혼합재 내지 상기 제3혼합재 중 하나를 고상 발효시켜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생산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상기 고상발효부의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제1온도로 건조시키는 유동층 건조기, 및
    상기 고상발효부의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로 건조시키는 더블믹싱 건조기
    를 포함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믹싱 건조기는
    상기 유산균 서비스탱크에서 상기 고상발효부로 공급되는 유산균 중 일부를 내부에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유산균 분사노즐
    을 더 포함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배양부는
    상기 유산균저장탱크와 상기 유산균 서비스탱크에서 공급되는 유산균 중 일부 유산균과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공급되는 대두박 추출액을 혼합한 순환수를 상기 고액분리부로 공급하는 순환수탱크
    를 더 포함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발효부는
    상기 유입구 측에서 상기 발효챔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축에 구비되어, 상기 발효챔버 내에서 상기 혼합재료의 높이를 설정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유출구 측에서 상기 발효챔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축에 브래킷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상기 발효챔버에서 발효된 상기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긁어서 설정량씩 배출하는 스크랩퍼(scraper)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효챔버는
    단열재로 피복된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믹싱 건조기는,
    상기 고상발효부로부터 상기 제1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입하는 유입구와 믹싱 및 건조된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배치 방향으로 신장되어 신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1쌍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발효혼합영역, 공급되는 상기 유산균에 의하여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을 일으키는 마이야르 반응영역 및 공급되는 수분에 의한 수분조절영역
    을 포함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고온의 오일을 순환시키는 오일 재킷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블레이드들은
    고온의 오일을 순환시키는 오일 통로를 구비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상기 제2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측방향으로 유입하는 유입구와 분쇄된 상기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유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장착되고 설정된 회전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날장착부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날,
    상기 회전날과 갭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날의 회전궤적을 따라 파쇄영역에 배치되는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날들, 및
    상기 회전날들과 갭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궤적 중 상기 파쇄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따라 배출영역에 배치되어 파쇄된 상기 제3차 고상발효 대두박을 상기 유출구 측으로 유출하는 타공판
    을 포함하는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KR1020180158389A 2018-12-10 2018-12-10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KR10208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89A KR102082391B1 (ko) 2018-12-10 2018-12-10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US17/275,791 US20220049200A1 (en) 2018-12-10 2019-01-31 Apparatus for producing fermented soybean meal
PCT/KR2019/001390 WO2020122317A1 (ko) 2018-12-10 2019-01-31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CN201910764057.1A CN111286453A (zh) 2018-12-10 2019-08-19 用于生产发酵豆粕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89A KR102082391B1 (ko) 2018-12-10 2018-12-10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391B1 true KR102082391B1 (ko) 2020-02-27

Family

ID=6964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389A KR102082391B1 (ko) 2018-12-10 2018-12-10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2391B1 (ko)
WO (1) WO202012231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223A (ko) * 2008-04-15 2009-10-20 나종광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발효장치 및 처리 방법
KR20130107866A (ko) * 2012-03-23 2013-10-02 (주) 대성이앤비 음식물 쓰레기 건조 감량장치
KR20140144585A (ko) * 2013-06-11 2014-12-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드업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KR20160130950A (ko) * 2016-09-26 2016-11-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드업 대두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대두박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642Y1 (ko) * 1994-10-28 1996-12-23 민병욱 발효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223A (ko) * 2008-04-15 2009-10-20 나종광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발효장치 및 처리 방법
KR20130107866A (ko) * 2012-03-23 2013-10-02 (주) 대성이앤비 음식물 쓰레기 건조 감량장치
KR20140144585A (ko) * 2013-06-11 2014-12-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드업 젖소의 사료효율 및 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KR20160130950A (ko) * 2016-09-26 2016-11-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드업 대두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대두박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317A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6409B (zh) 一种利用虾头和植物饲料蛋白混合发酵的饲料添加剂及其加工方法
US4018899A (en) Process for recovering feed products from animal manure
EP254721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of aquatic species
EP11147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rocessed product of organic material
KR101573712B1 (ko) 도축혈액을 이용한 입상아미노산 사료 및 비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846930A (zh) 用于从动物组织回收蛋白粉和天然ω‑3油的改进方法和系统
CN104397858B (zh) 一种秸秆饲料自动化加工装置及秸秆饲料制备方法
CN103086757B (zh) 电加热烘干搅拌发酵槽
KR101885051B1 (ko)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45399B1 (ko) 축분과 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시스템
KR101359897B1 (ko)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CN102138630A (zh) 一种流通包装蛋白浆发酵饲料蛋白及其加工方法
CN104397857A (zh) 一种精饲料自动化加工装置及精饲料制备方法
KR101410022B1 (ko) 미네랄 용출장치
KR20140069920A (ko) 폐사어 및 수산 부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제조 방법 및 발효 사료 그리고 이에 적합한 발효기
KR102082391B1 (ko) 발효 대두박 제조장치
CN102835545A (zh) 一种生物蛋白饲料生产工艺
KR101446180B1 (ko)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시스템
US20220049200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fermented soybean meal
JPS62228233A (ja) 動物飼料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114947156B (zh) 一种多肽生物膨化配合饲料的制备装置和制备方法
KR100478007B1 (ko) 남은 음식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CN102018097A (zh) 植物蛋白发酵饲料生产工艺
CN212035942U (zh) 一种饲料高效发酵装置
KR101805173B1 (ko) 알로에추출물을 이용한 돼지사료 첨가제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