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813A -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813A
KR20140143813A KR1020147030269A KR20147030269A KR20140143813A KR 20140143813 A KR20140143813 A KR 20140143813A KR 1020147030269 A KR1020147030269 A KR 1020147030269A KR 20147030269 A KR20147030269 A KR 20147030269A KR 20140143813 A KR20140143813 A KR 2014014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dium
compressor
pressure
lin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497B1 (ko
Inventor
클라우스-디어터 베르그만
모르텐 게르크
죄르그 메이에
죄르그 샤펜베르그
Original Assignee
바브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브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4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8Arrangements for compressed air preparation, e.g. comprising air driers, air condensers, filters, lubricators or pressure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02Supply or exhaust flow rates; Pump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60G2500/2021Arrangement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5Air-compresso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압력 매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 라인, 컴프레서 라인, 벤트 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라인과 함께 압력 매체 공급부, 압력 매체 연결부, 벤트 연결부 그리고 공압 장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에 가해진 가압된 압력 매체 그리고 2-스테이지 또는 다수의 스테이지 컴프레서의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압력 매체를 동시에 컴프레서의 제 2 스테이지를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Pressure medium supply system, pneumati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ressure medium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도 1의 전제부에 따른 공압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력 매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압력 매체 공급부, 압력 매체 연결부 그리고 공압 장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 및 흡입 라인, 컴프레서 라인, 벤트 라인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압력 매체 공급 장치 및 공압 장치를 포함한 공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압력 매체 공급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압력 매체는 일반적으로 압축 공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모든 종류의 차량 내에 이용되어 특히 차량의 에어 스프링에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또한 레벨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축과 차체 간의 거리는 이 레벨 제어 장치로 조정될 수 있다. 차축과 차체 간의 거리 또는 최저 지상고(ground clearance)가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 활주(spring travel)는 길어지고 상대적으로 큰 도로 표면 불규칙성은 차체와의 접촉 없이도 극복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두어진 속도, 유연성 및 신뢰성과 관련하여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최저 지상고의 변화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5 내지 20 바(bar)의 압력 수준에서 작동하며, 일부의 경우 더 큰 압력 수준에서 작동한다. 특히, 압력 매체는 실질적으로 더 높은 압력에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에 저장될 수 있다. 압력 매체, 특히 압축 공기는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압력 매체 공급부의 충진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공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압력 매체 공급부는 압력 매체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 벤트하기 위하여 압력 매체 연결부는 벤트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공압 연결부는 벤트 밸브에 의하여 전환된다.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속도와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열림 모드, 부분적인 닫힘 모드 또는 닫힘 모드에서 압력 매체 공급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충진 장치가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매체 공급 장치가 DE 10 2008 034 240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컴프레서의 제 2 압축 스테이지에 의하여 압력 매체를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에서 공압 장치의 하나 이상의 압력 매체 챔버로 운반하는 것 그리고 컴프레서의 제 1 및 제 2 압축 스테이지에 의하여 압력 매체를 외부에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압력 매체 챔버로 압력 매체를 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압축 챔버에 대한 배출 밸브 그리고 제 2 압축 챔버에 대한 유입 챔버로서의 자동적으로 열리는 체크 밸브들은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서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이어지는 컴프레서 라인의 흐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컴프레서 라인 내의 방향 제어 밸브는 제 1 압축 스테이지의 동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또는 설정된 방식으로 동력을 줄이기 위하여 2개-스테이지 컴프레서가 사실상 원형으로 전달하는 것을 제공한다. 제 1 압축 챔버로부터의 압력 매체는 제 1 압축 스테이지의 흡입 챔버로 또는 외부로 뒤로 이송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장치를 넘어서고 그리고 특히 동시에 가능한 한 빨리, 유연하게 그리고 신뢰성있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효율적인 작동 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 내의 충진 장치의 작동 모드에 적용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본 발명이 시행되며,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낮아짐 및/또는 들어올려짐 과정에서 속도와 유연성과 관련하여 개선되고 특히 동시에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작동 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다. 특히 압력 매체는 비교적 줄어든 복잡성 및 비용으로 비교적 효율적으로 저장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방식으로 발생되어야 한다; 특히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력 매체는 신속하게 발생되고 이용될 수 있어야 한다.
장치와 관련하여 목적은 청구항 1항의 압력 매체 공급 장치 그리고 청구항 11항의 공압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방법과 관련하여 목적은 청구항 15항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충진 장치의 작동이 이론상으로 경제적으로 관리될 수 있을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작동은 개선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고려로부터 출발한다. 본 발명자는 압력 매체 저장을 또한 고려한 반면에 충진 장치에 의하여 압력 매체의 지속적인 전달을 위하여 설계된 개념이 압력 매체 공급 장치 내의 충진 장치의 개선된 구조를 야기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더욱이, 특히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충진 장치는 주변으로의, 특히 공압 장치로의 연결의 개선된 방식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충진 장치는 컨테이너와 같은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의 그리고/또는 다수의 압력 매체 챔버, 예를 들어 다수의 벨로우즈로의 연결의 개선된 방식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에 가해지는 가압된 압력 매체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압력 매체를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동시에 향하게 하도록 설계된 충진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선행 기술에서 유리하게 경제적인 것으로 추정된 작동 모드를 능가하는, 실행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충진 장치는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 상의 부하의 개선된 이용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압력 매체를 압력 매체 공급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히 충진 장치는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로부터의 압력 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에서 압력 매체를 압축할 수 있다;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부하 하에서의 작동은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이다. 작동의 독점적으로 경제적인 모드에 유용한 지속된 작동 모드는 그로 인하여 앞선 배경에 놓여진다. 더욱이,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에 가해진 -특히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및/또는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의- 압축된 압력 매체를 이용하여 충진 장치는 작동될 수 있으나, 반면에 이 매체는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에서 더 압축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 다른 압력 매체는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 놀랍게도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부가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된 다른 압력 매체가 이용될 수 있어, 예를 들어 공압 시스템의 속도와 유연성을 지속적인 방식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부가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된 압력 매체가 특히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내에 저장되기 때문에, 부가적으로 이용 가능한 이 다른 압력 매체는 예를 들어 적절한 방식으로 압력 매체 공급 장치를 재생하기 위하여, 특히 메인 공압 라인 내의 드라이어를 재생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이는 공압 장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낮아짐 과정 및/또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들어올림 과정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된다.
본 발명의 개념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공압 시스템을 작동 및 가동하도록 구성된 제어 및 조정 장치를 야기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어 및 조정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모듈은 청구항 15항 내지 22항에 따른 방법의 하나 이상의 과정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한 개발안은 종속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하며,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관한 그리고 다른 이점에 관한 위에서 설명된 개념을 실행하는 유리한 가능성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충진 장치는 2-스테이지 또는 다수의 스테이지 컴프레서를 포함하며, 이 컴프레서는 압력 매체 공급측 상에서 압력 매체 공급부에 연결된다. 2-스테이지 또는 다수의 스테이지 컴프레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특히, 제 2 또는 마지막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배출구는 압력 매체 공급측 상에서 압력 매체 공급부에 연결된다.
압력 매체 연결부와 벤트 연결부 사이의 벤트 라인은 벨트 밸브를 포함하며 또한 그 연속을 외부에 대한 벤트 연결부로 안내한다. 제 1 개발안에서, 벤트 연결부는 흡입 연결부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개발안에서, 벤트 연결부는 흡입 라인의 흡입 연결부와 일치할 수 있다. 컴프레서의 흡입측 상에서 흡입 라인은 외부에 대한 흡입 연결부와 컴프레서 사이, 특히 외부에 대한 흡입 연결부와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유입구 사이에서 이어져 나간다. 이 경우에, 흡입 연결부가 벤트 연결부와 일치할 때, 흡입 라인의 일부는 벤트 라인의 일부와 일치할 수 있으며 그와 함께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 목적을 위하여 벤트 라인은 흡입 연결부의 흡입 라인 상류와 벤트 연결부로 이어질 수 있다.
컴프레서 라인은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 사이, 특히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배출구와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유입구 사이에서 이어져 나간다. 가압된 압력 매체와 다른 압력 매체를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동시에 전달하도록 컴프레서 라인이 구성된 것이 특히 본 발명의 개념을 실행하는데 있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가압된 압력 매체와 다른 압력 매체를 유지 압력 없이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전달하도록 컴프레서 라인이 구성된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유지 압력은 특히 한정된 부가적인 유지 압력, 예를 들어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아이들링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선행 기술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유지 압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대로, 개발안은 컴프레서 라인은 한정된 부가적인 유지 압력, 예를 들어 공압 차단 또는 전환 수단의 유지 압력이 없다는 사실을 제공한다. 차단 수단은 예를 들어 체크 밸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환 수단은 예를 들어 방향 제어 밸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벤트 밸브는 벤트 라인 내에서 밸브 연결부에 연결된다. 압력 매체 공급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압력 매체는 압력 매체 공급부와 압력 매체 연결부 사이의 메인 공압 라인을 통하여 공압 장치에 가해질 수 있다.
특히, 메인 공압 라인은 드라이어를 포함한다. 압력 매체가 정기적으로 수분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장시간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압력 매체, 특히 압축 공기는 건조되어야 한다. 그로 인하여 공압 시스템 내에서의 수분의 축적은 방지되며, 그렇지 않으면 이 축적은 비교적 더 낮은 온도에서 밸브를 손상시키는 결정의 형성을 야기할 수 있고 그리고 더욱이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장치 내의 원하지 않는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 드라이어, 특히 에어 드라이어는 건조제, 일반적으로 압축 공기가 통과하여 흐를 수 있는 과립 패킹(granulate packing)을 포함하며, 따라서 과립 패킹은 -비교적 높은 압력 하에서- 흡수에 의하여 압축 공기 내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에어 드라이어는 임의적으로 재생식 에어 드라이어로서 설계될 수 있다. 각 벤팅 주기시 비교적 낮은 압력 하에서 충진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또는 동일한 흐름 방향으로 에어 시스템으로부터의 건조 공기가 과립 패킹을 통과하여 흐르도록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이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벤트 밸브 장치는 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압력 변화 흡수로서 언급된 이러한 사용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렇게 하여 특히 압축 공기 공급부는 유연하도록 그리고 동시에 신뢰성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어 드라이어의 재생에 충분한 압력 변화로 비교적 신속한 벤팅이 가능하다.
더욱이, 제안된 개념을 이용하는 반면에, 특히 유사하게 에어 드라이어의 재생 능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공압 장치의 충진을 실행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총진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그리고 비교적 높은 압력 진폭을 갖고 일어나는 경우에 이는 또한 유리하다. 이는 특히 소위 부스트 모드(boost mode)에서 작동될 수 있는 2-스테이지 또는 다수 스테이지 컴프레서를 갖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부스트 모드는 일반적으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그리고/또는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인지를 막론하고- 가압된 압력 매체 그리고 컴프레서로부터의 다른 압력 매체가 재분배되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작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이는 컴프레서가 작동되고 있는 동안에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부터의 압력 매체가 컴프레서를 경유하여 압력 매체 연결부를 통해 압력 매체 챔버로 들어가는 들어올려짐 과정에 관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또한 컴프레서가 작동되고 있는 동안에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의 압력 매체가 압력 매체 연결부를 통해 압력 매체 컨테이너로 들어가는 낮아짐 과정에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공압 장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를 갖는다. 특히, 공압 장치의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및/또는 다수의 압력 매체 챔버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충진 분기 라인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공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갤러리 및 압력 매체 챔버 -특히, 벨로우즈- 그리고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특히 압력 어큐뮬레이터와 함께 갤러리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분기 라인을 갖는다. 특히, 하나 이상의 분기 라인은 유리하게는 방향 제어 밸브를 각각 포함한다. 다음 설명에서, 압력 매체 챔버의 경우 벨로우즈가 언급되며,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압력 어큐뮬레이터 또는 리저버가 언급된다. 그러나 이는 압력 매체 챔버 또는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에 관하여 제한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어큐뮬레이터 라인 형태의 분기 라인이 압력 어큐뮬레이터의 상류에 배치된 어큐뮬레이터 밸브를 갖고 그리고/또한 벨로우즈 라인 형태의 분기 라인이 벨로우즈의 상류에 배치된 벨로우즈 밸브를 갖는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렇게 하여, 서스펜션 시스템의 들어올려짐 및 낮아짐 과정을 위하여 요구되는 방향 제어 밸브의 열림 및 닫힘 과정은 각 벨로우즈 또는 압력 어큐뮬레이터를 위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 상태로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압력 센서(압력 진폭은 이 압력 센서에 의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음)가 공압 장치에 제공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압력 센서는 다른 포인트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압력 센서가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에 대한 압력 어큐뮬레이터 및/또는 어큐뮬레이터 라인 또는 다른 공압 연결 라인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왔다. 압력 센서는 또한 압력 어큐뮬레이터와 관련된 위에서 언급된 압력 센서에 대하여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갤러리에 연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력 매체 챔버의 압력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다른 압력 센서가 유리하게는 벨로우즈 라인에 그리고/또는 벨로우즈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의 값은 모터터링 목적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특히 제어 및 조정 목적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의 값은 또한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제어 및 조정 목적을 위하여 그리고 특히 충진 장치, 바람직하게는 그의 개별적인 요소, 즉, 특히 컴프레서의 모터의 제어 및 조정 목적을 위하여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 밸브 및/또는 충진 장치의 공칭 폭 조정 가능한 스로틀을 제어 및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컴프레서 라인 사이에 제공된다. 특히,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이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 사이에 제공된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이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더 압축된 가압된 압력 매체를 압력 매체 공급부와 압력 매체 연결부 사이의 메인 공압 라인을 통하여 공압 장치에 공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라인과 컴프레서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가압된 압력 매체를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에서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부터의 압력 매체를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대한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를 통하여 다수의 압력 매체 챔버로 공급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력 매체는 다수의 압력 매체 챔버에서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를 통하여 그리고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를 통하여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개발안은 충진 장치의 효율적인 이용에도 불구하고 차량을 위한 들어올려짐 과정 및 낮아짐 과정을 실행하기 위하여 압력 매체가 공압 장치의 압력 매체 챔버와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사이에서 앞뒤로 전달될 수 있다는 결과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흡입 라인과 컴프레서 라인은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를 통한 흡입 연결부로부터의 다른 압력 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이 다른 압력 매체를 압력 매체 공급부와 압력 매체 연결부 사이의 메인 공압 라인을 통하여 공압 장치에 공급하고 더 압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다른 압력 매체를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앞서 언급된 2개의 개발안의 문맥에서,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연결부에 가해진 가압된 압력 매체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압력 매체가 조합된 상태로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동시에 공급된다. 특히, 예를 들어 체크 밸브 또는 다른 차단 수단에 의하여 또는 방향 제어 밸브 또는 다른 제어 수단에 의하여 선행 기술에서 의도적으로 제공된 바와 같은 - 반대 공급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지 압력 없이 공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2-스테이지 또는 다수 스테이지 컴프레서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펌핑력의 이용을 완료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위에서 언급된 개발안의 문맥에서, 펌핑 동력을 위하여 컴프레서를 전체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그리고 대신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지 압력이 없이 동시 백-앤-포스(back-and-fourth) 저장 가능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용 가능한 방식으로 압력 매체를, 예를 들어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및/또는 압력 챔버 내에 저장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위에서 언급된 부스트 모드는 충분한 양의 압력 매체의 유용성을 통하여 작동 옵션으로써 더 자주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어큐뮬레이터 압력 감소 또는 실질적으로 불충분한 어큐뮬레이터 압력 때문에 부스트 모드는 특정 방식으로 종료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조치는 측정 기술에서의 현저한 경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개념 또는 그 개발안으로, 그리고 이용 가능한 그리고 특히 가압된 압력 매체에 더하여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로부터 부가적으로 공급된 다른 압력 매체의 결과로서, 필요로 하는 압력 매체 흐름은 부스트 모드 동안에도 광범위하게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대부분의 작동의 경우에서 상당한 압력 매체 흐름의 감소가 효과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진다.
공압 장치에 영향을 받는 낮아짐 과정을 위하여 압력 매체 공급 장치가 선택적으로 열려지게, 부분적으로 닫혀지게 또는 닫혀지게 작동된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임의적으로 에어 드라이어의 재생과 함께, 압력 매체가 특히 직접적으로, 즉 압력 매체 연결부와 메인 공압 라인을 통하여 벤트 연결부로 배출되는 동안에 열림 모드는 수행될 수 있다.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의 압력 매체가 컴프레서를 통하여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 배출되는 동안에 닫힘 모드는 수행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에 가해지는 가압된 압력 매체는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이용 가능한 다른 압력 매체와 함께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전달 방향으로 전달된다. 위에서 언급된 양 작동 모드의 참여와 함께 부분적인 닫힘 모드는 어떠한 순서로 연속적으로 또는 적어도 간헐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압력 매체가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벤트 연결부로 그리고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 어떠한 순서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적어도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동안에 부분적인 닫힘 모드는 실행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는 선택적으로 열려지게, 부분적으로 닫혀지게 또는 닫혀지게 압력 매체 공급 장치를 작동하기 위하여 공압 장치에 영향을 받는 이루어진 들어올려짐 과정을 위하여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이 목적을 위하여 압력 매체는 압력 매체 연결부로 운반될 수 있다. 이는 부스트 모드 외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반면에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를 작동시킨다. 즉 다른 압력 매체를 이용한다. 열림 모드에서, 압력 매체는 외부로부터 컴프레서를 통하여 압력 매체 연결부로 운반된다. 닫힘 모드에서, 이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반면에 압력 매체는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갤러리를 통하여 압력 매체 챔버로 배출된다. 부분적인 닫힘 모드는 연속적인 또는 적어도 동시에 간헐적인 어떠한 순서로 위에서 언급된 양 작동 모드의 참여로서 이루어질 있다. 특히,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부터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에 가해진 가압된 압력 매체가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압력 매체가 전달 방향으로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연속적으로 또는 적어도 간헐적으로 동시에 전달되는 동안에, 이는 수행될 수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에서, 압력 매체는 컴프레서에 의하여 압력 매체 챔버에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 이송되며, 그리고 특히 압력 매체는 컴프레서의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 스테이지, 특히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 부가적으로 이송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부분적인 닫힘 들어올려짐 과정에서, 압력 매체는 컴프레서에 의하여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에서 압력 매체 챔버로 이송되며, 그리고 특히 압력 매체는 컴프레서의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 스테이지, 특히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챔버로 부가적으로 이송된다. 부분적인 닫힘 들어올려짐 과정 및/또는 낮아짐 과정의 문맥에서, 메인 공압 라인 내의 드라이어가 재생되는 동안에, 벤트 연결부에 대한 벤팅 과정은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유리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개념의 결과로써, 공압 장치의 압축 공기의 압력 체적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들어올려짐 과정 및/또는 낮아짐 과정 전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컴프레서 라인과 비교할 때 적어도 하나의 충진 분기 라인 내의 압력 레벨들이 동등해지는 동안에 압력 매체 공급 장치가 최적화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특히, 한편으로는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배출구와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또는 압력 매체 챔버 사이의 다른 압력 레벨을 고려하기 위하여 공압 수단이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분기 라인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컴프레서 라인 사이의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이 제 1 스로틀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컴프레서 라인 사이의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이 제 2 스로틀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컴프레서 라인과 비교하여 제 1 및/또는 제2 압력 매체 충진 라인 내의 압력 감소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된 공칭 폭을 제 1 스로틀 및/또는 제 2 스로틀이 갖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렇게 하여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의 또는 압력 매체 챔버의 보다 높은 압력 레벨이 컴프레서 라인 내의 압력 레벨로, 특히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배출구에서의 그리고/또는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유입구에서의 압력 레벨로 조절(throttle)될 수 있다.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작동 동안에, 그 중에서도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내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챔버 내의 압력의 감소의 결과로서 전류 소모가 제한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개발안에서, 양 컴프레서 스테이지 또는 모든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효율적인 작동과 함께 압력 매체의 지속적인 발생 및 저장은 컴프레서의 경제적인 작동과 조합된다. 이는 또한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비교적 경제적인 작동을 뒷받침하며, 반면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개념을 뒤따르는 동안에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를 생략하는 대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전달률은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압력 매체 공급 장치 내에서의 압력 매체 손실 없이 또는 적어도 작은 손실을 갖고 부스트 모드는 가능해지며, 따라서 부스트 모드는 더욱 빈번하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및/또는 제 2 스로틀의 공칭 폭은 컴프레서의 제 2 또는 다른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유입구에 대한 제 1 및/또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 내의 압력의 1/3에서 1/2로의 크기를 갖는 압력 강하를 가져오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유리한 압력 매체 공급 장치 그리고 유리한 공압 시스템과 관련하여 8 내지 10 바 범위의 크기가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제 1 및/또는 제 2 스로틀의 공칭 폭에 의하여 조정된 또는 조정되지 않는 방식으로 15~25 바 범위에서 5~15 바 범위까지의 압력 강하가 야기될 수 있다. 특히, 0.5 내지 1.5mm 범위 내의 공칭 폭, 특히 0.6 내지 1.5mm 범위 내의 공칭 폭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값들 사이, 예를 들어 0.6 내지 1.2mm 범위 내의 공칭 폭 또한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공칭 폭은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제 1 및/또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 내의 압력의 기능으로써 또는 제어 신호의 기능으로써 공칭 폭이 조정 가능한 경우 공칭 폭 적응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조정 가능한 공칭 폭은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압력 매체 충진 라인 내의 압력은 유리하게는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스로틀에서 그리고/또는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스로틀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으나, 이는 또한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및/또는 압력 매체 챔버에서 또는 매체 충진 연결부와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및/또는 압력 매체 챔버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공칭 폭은 또한 컴프레서의, 특히 컴프레서의 모터의 출력 증가의 기능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공칭 폭 또는 다른 공칭 폭 제어 또는 조정 수단은 상당히 균일한- 명확한: 균일하게 부하가 걸린, 즉, 특히 바람직한 전류 또는 전원 출력 범위 내에서 균일한 전류 소비를 갖고 컴프레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효율적인 그리고 그에 따라 지속적이고 수명 연장적인 컴프레서의 작동을 지원한다.
원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에 작용하는 가압된 압력 매체의 제어는 적절한 공압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 1 충진 밸브가 제 1 압력 매체 연결부에 그리고/또는 제 2 압력 매체 연결부에 대한 제2 충진 밸브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충진 밸브, 특히 방향 제어 밸브 형태의, 바람직하게는 2/2-웨이 밸브와 같은, 2개의 전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방향 제어 밸브 형태의 충진 밸브가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충진 밸브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 내에 그리고/또는 공압 장치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은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컴프레서 라인 사이의 제 1 충진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은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컴프레서 라인 사이의 제 2 충진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 1 충진 밸브는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공압 장치의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사이의 또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와 공압 장치 사이의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 2 충진 밸브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와 공압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챔버 사이의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와 공압 장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충진 밸브를 열거나 닫음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 내로 충진될 수 있는 저장된 압력 매체는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및/또는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연결부에 작용하는 이 가압된 압력 매체는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압력 매체와 동시에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전달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은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적어도 닫힘 또는 부분적인 닫힘 모드에서의 들어올려짐 과정과 낮아짐 과정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된다. 위에서 언급된 작동 모드는 단일 형태로 또는 열림 작동 모드, 특히 외부로의 또는 벤트 연결부로의 벤팅과 어떠한 시간-조합 형태로 일어날 수 있다.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와 다수의 압력 매체 챔버의 분리는 가압된 압력 매체를 전달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와 압력 매체 챔버를 분리하기 위하여 격리 밸브가 공압 장치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벤트 밸브의 전환은 원칙적으로 요구에 따라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직접적으로 전환 가능한 벤트 밸브 그리고 또한 벤트 밸브를 갖는 벤트 밸브 장치가 벤트 라인에 제공될 수 있다. 벤트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가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어 밸브에 의하여 차단 해제될 수 있는 차단 해제 가능한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메인 공압 라인이 또한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유리하게는, 제어 밸브는 벤트 밸브를 제어하도록 그리고 차단 해제 가능한 체크 밸브를 차단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단일 제어 밸브에 의하여 드라이어는 유리하게 양 측 상에서 열릴 수 있으며, 체크 밸브는 차단 해제되고 벤트 밸브는 열린다. 이는 공압 장치의 급속 충진에 그리고 드라이어 재생을 완료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이 목적을 위하여 벤트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 연결된 공압 제어 라인 내의 밸브 연결부에 제어 밸브가 연결된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벤트 밸브는 제어 압력 하에서 압력 제어 연결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벤트 라인 내의 벤트 밸브의 밸브 연결부는 열리고 체크 밸브는 차단 해제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어 밸브는 제어 라인에 연결된 2개의 밸브 연결부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제어 밸브는 외부에 대한 밸브 연결부를 갖는 3/2-웨이 밸브 형태이고 그리고 제어 라인은 메인 공압 라인으로부터 분기된다.
공압 장치의 방향 제어 밸브는 유리하게는 격리 밸브와 함께 하나 이상의 밸브 블록 내에서 조직될 수 있다. 격리 밸브를 포함한 콤팩트한 밸브 블록 형성이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그 자체로 알려진 콤팩트한 밸브 블록 구조체는 다른 제조 경비 없이 새로운 출원에 관하여 이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은 매우 다양한 실시예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의 일부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특별하게 바람직한 개발안에서, 충진 분기 라인은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이 충진 분기 라인을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컴프레서 라인으로 이어진 압력 매체 충진 라인에 연결시키는)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로 이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제 2 개발안에서, 충진 분기 라인은 공압 장치의 갤러리에 대한 연결 라인으로서 구성되고 그리고 (이 충진 분기 라인을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으로 연결시키고 그리고 이 라인을 통하여 컴프레서 라인에 연결시키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로 이어진다. 공압 장치의 제 1 충진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갤러리에 대한 이 연결 라인에 연결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제 2 충진 밸브는 또한 특히 충진 장치의 부분으로써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간략화된 형태로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제 3 개발안에서, 충진 분기 라인은 다시 갤러리에 대한 연결 라인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제 1 충진 밸브는 제 1 압력 매체 충진부 연결부와 컴프레서 라인 사이의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에 제공된다. 이는 비교적 콤팩트한 구조체를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위에서 언급된 제 2 개발안은 기존의 밸브 블록의 유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개별 밸브 블록 내에 제 1 저장 갤러리와 제 2 스프링 갤러리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제 4 개발안에서, 어큐뮬레이터 라인에서 분기된 제 1 충진 분기 라인이 제 1 압력 매체 연결부로 이어지고 갤러리에서 분기된 제 2 충진 분기 라인이 제 2 압력 매체 연결부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한편으로는 제 1 및 제 2 개발안의 개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3 개발안의 개념은 특히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제 1 및 제 2 압력 매체 연결부를 갖는 제 1 및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이 제공된다. 도 4는 또한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 내의 제 1 충진 밸브와 제 2 충진 분기 라인 내의 제 2 충진 밸브의 배치를 도시한다. 원칙적으로, 충진 밸브의 배치의 변형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충진 밸브는 제 1 충진 분기 라인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충진 밸브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충진 밸브를 제 1 및 제 2 충진 분기 라인에 각각 배치하는 것 또는 제 1 및 제 2 충진 밸브를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제 1 및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에 각각 배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충진 밸브의 배치의 변형이 또한 제 1 및 제 2 스로틀의 위에서 언급된 배치에 유사하게 적용한다는 것이 자명하다. 특히, 제 1 스로틀이 제 1 충진 밸브의 부분으로서 수행되고 그리고/또는 제 2 스로틀이 제 2 충진 밸브의 부분으로서 수행된다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충진 밸브의 동력 공급시 스로틀은 충진 밸브의 켜진 상태, 즉 전원 공급된 열림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위에서 언급된 스로틀은 충진 밸브의 전원 공급된 열림 상태에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충진 밸브가 무전류적(currentlessly)으로 닫힌 방향 제어 밸브로서 설명되고 그리고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벨로우즈와 어큐뮬레이터 밸브가 무전류적으로 닫힌 방향 제어 밸브로서 설명되었을지라도 방향 제어 밸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전류적으로 열린 방향 제어 밸브로써 실행될 수 있어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밸브의 전원 공급은 그들의 기능과 조율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가 도면에 나타난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일정한 비율로 도시하도록 반드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도면이 설명에 도움을 주는 경우, 도면은 도식화된 그리고/또는 다소 왜곡된 형태로 작성된다. 도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명백한 기술의 보완과 관련하여, 관련된 선행 기술이 참고된다. 이 경우, 실시예의 형태 및 세부 사항과 관련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포괄적인 아이디어에서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그리고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 또는 어떠한 원하는 조합 형태의 본 발명의 개발에 필수적일 수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 도면 및/또는 청구범위에 개시된 특징 중 적어도 2개의 특징을 포함하는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포괄적인 아이디어는 이하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확한 형태 및 세부 사항에 한정되거나, 또는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주제와 비교할 때 제한될 수 있는 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된 측정 범위의 경우에, 지정된 범위 내에 있는 값은 또한 제한 값으로 개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원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고 청구될 수 있다.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 또는 부분들이 간략화의 목적을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하여 적절히 나타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특징 또는 세부 사항이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그리고 도면을 참고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은 압력 매체 공급 장치와 공압 장치를 갖는 공압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와 공압 장치의 공압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압력 매체 공급 장치와 공압 장치의 공압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와 공압 장치를 포함하는 공압 시스템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열림, 닫힘 또는 부분적인 닫힘 작동 모드에서의 선택적인 낮아짐 과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6은 열림, 닫힘 또는 부분적인 닫힘 작동 모드에서의 들어올려짐 과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로서, 컴프레서 작동 그리고 컴프레서와 어큐뮬레이터의 참여에 의한 들어올려짐 과정 그리고 특히 바람직한 들어올려짐 과정은 먼저 열림 작동 모드를 이용하며 이후 충진 장치의 부분적인 닫힘 작동 모드를 이용함.
도 7은 압력 매체 공급 장치의 부분적인 닫힘 모드에서의 들어올려짐과 낮아짐 시퀀스의 예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연결부에 가해지는 가압된 압력 매체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압력 매체가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동시에 전달되는 동안의 충진 장치의 작동의 결과로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의 압력을 도시한 어큐뮬레이터 압력의 진행의 예시적인 도면; 이는 부가적인 어큐뮬레이터 압력을 이루기 위하여 수행됨.
도 8은 도 7에 대하여 다소 변형된, 어떠한 시간 순서에서 반복될 수 있는 일련의 들어올려짐 및 낮아짐 순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들어올려짐 및 낮아짐 순서의 일정한 주기가 이루어짐.
도 9a는 도 8의 부분적인 닫힘 모드에서의 들어올려짐 그리고 낮아짐 시퀀스를 위한 어큐뮬레이터 압력의 확대 도면으로서, 특히 들어올려짐 및 낮아짐 작동의 일정한 주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들어올려짐 및 낮아짐 작동의 반복성를 조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배출 동안 드라이어의 특정 재생을 위하여 열림 모드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압력 매체를 이용하기 위하여 선택된 스로틀 공칭 폭에 따라 임의적으로 열림 모드에서의 신속한 낮아짐 과정에 의하여 가능한 어큐뮬레이터의 과도한 압력을 줄일 수 있음.
도 9b는 도 9a와 비교하여, 열림 모드에서의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 후에 어큐뮬레이터는 비어 있음.
도 1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1) 그리고 공압 장치(90.1)를 포함하는 공압 시스템(100.1)을 도시한다. 여기서, 공압 장치는 앞 차축(VA)과 뒤 차축(HA)을 갖는 차량(1000; 더 도시되지 않음)을 위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형태이다. 차량 제어 유니트(ECU) 그리고 CAN 버스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과 같은 데이터 버스(data bus)가 차량(10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유니트와 데이터 버스에 의하여 전달된 적절한 제어 신호 -특히, 공압 시스템(100.1)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밸브의 자석 코일 또는 컴프레서(31)의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전류-가 사용될 수 있다; 신호들이 도 1, 도 2 및 도 3에서 점선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그리고 도 4에서 차량 제어 유니트(ECU)와 함께 더욱 상세하게 개별적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앞 차축(VA)과 뒤 차축(HA)을 갖는- 차체의 서스펜션 또는 높이 변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공압 장치(90.1)는 총 4개의 벨로우즈(91)를 가지며, 각 벨로우즈(91)는 (특별하게 나타나지 않은) 에어 스프링의 부분을 형성한다. 각 경우에 방향 제어 밸브 형태의 벨로우즈 밸브(93)- 이 경우 작동 가능한 2/2-웨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벨로우즈 라인(91L) 내의 각 벨로우즈(91)의 상류에 연결된다. 수집 라인을 형성하는 갤러리(95)로부터의 분기 라인 형태의 벨로우즈 라인(91L)의 각 분기부는 다른 공압 연결 라인(96)에 연결된다. 다른 공압 연결 라인(96)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1)의 압력 매체 연결부-또한 여기에서 압축 공기 연결부(2)로 언급됨-에 인접한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방식에서 압력 매체는 본 예에서 압축 공기로 언급되며, 이는 다른 압력 매체의 선택과 관련하여 제한적이지 않다.
공압 장치(90.1)는 또한 어큐뮬레이터 라인(92L)을 통하여 갤러리(95)에 연결된 압력 어큐뮬레이터(92)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어 가능한 2/2-웨이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의 어큐뮬레이터 밸브(94)가 압력 어큐뮬레이터의 상류에 연결된다. 본 경우에, 압력 센서(97)는 압력 센서 라인(97L)을 통하여 갤러리(95)에 연결되며, 압력 센서(97)는 전압/압력 변환(U/P)에 의하여 어큐뮬레이터(92) 내의 어큐뮬레이터 압력뿐만 아니라 벨로우즈(91) 내의 벨로우즈 압력을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단지 어큐뮬레이터 밸브(94)만이 또는 벨로우즈 밸브(93)만이 열린다. 모든 2/2-웨이 솔레노이드 밸브, 즉 4개의 벨로우즈 밸브(93)와 하나의 어큐뮬레이터 밸브(94)는 본 예 내에서 구조적인 유니트로서 단일의 5-중(5-fold) 밸브 블록(98)으로 결합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1)의 압축 공기 연결부(2)와 메인 공압 라인(60; 압축 공기 연결부에 연결됨) 그리고 다른 공압 연결 라인(96)을 통하여 벨로우즈(91)와 어큐뮬레이터(92)가 갤러리(95)를 통하여 충진될 수 있거나 또는 반대 방향으로 벤트될 수 있다.
개별적인 요소와 관련하여,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1)는 충진 장치(30.1)에 대한 흡입 라인(20)을 포함하며, 이 흡입 라인(20)은 외부에 대한 흡입 연결부(0)와 충진 장치의 컴프레서(31) 사이에서 연장된다; 특히 본 예에서, 흡입 라인은 흡입 연결부(0)의 상류의 필터 요소(0.3)와 컴프레서(31)의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의 유입구 사이에서 연장된다. 컴프레서(31)는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와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 그리고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M)를 포함한다; 즉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 내에서 압력 매체(즉,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압축하는 동안 모터(M)는 컴프레서 스테이지의 컴프레서 챔버(개별적으로 나타내지 않음) 내에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컴프레서 피스톤을 구동하며, 따라서 공기는 부분적으로 압축되며 그후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 내에서 압축 공기로써 더 압축된다.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의 (기호에 의하여 표시된) 배출구는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와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 사이에서, 즉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의 배출구와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의 유입구 사이에서 컴프레서 라인(21)에 인접한다. 압력 매체 공급부 상에서, 컴프레서(31)는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의 (기호에 의하여 표기된) 배출구에 의하여 압력 매체 공급부(1)에 연결되며, 압력 매체는 이 압력 매체 공급부를 통하여 메인 공압 라인(60)으로 공급될 수 있고 또한 압력 매체 연결부(2)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압력 매체(본 경우에서는 일반적으로 압축 공기)는 메인 공압 라인(60) 내에 배치된 압력 매체용 드라이어(62)를 통하여 전달된다. 벤트 밸브(71)를 통하여 벤트 연결부(3)로 이어지는 벤트 라인(70)은 또한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서 압축 공기 공급부(1)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벤트 밸브(71)는 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81) 그리고 본 경우에서 차단될 수 없는(unblockable) 체크 밸브(61)를 또한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80)의 부분을 형성한다. 본 경우에서, 차단될 수 없는 체크 밸브(61)와 벤트 밸브(71)는 압력 제어 연결부(71S)를 통하여 릴레이 피스톤으로서 이동 가능한 단일의 제어 피스톤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적절한 제어 압력이 제어 밸브(81)를 통하여 압력 제어 연결부(71S)로 공급될 수 있다. 본 경우에서, 제어 압력은 제어 밸브(81)를 통하여 전환되고 그리고 분기 연결부(63)에서 메인 공압 라인(60)으로부터 제어 라인으로 나누어진 제어 압력이다. 본 경우에서, 제어 밸브(81)는 3/2-웨이 밸브 형태의 밸브이다. 도 1에 도시된 무전류(currentless) 상태에서, 제어 라인(110)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갖고 형성되며, 이 부분들은 제어 밸브(81)에 의하여 공압적으로 분리된다. 제 1 부분은 분기 연결부(63)에서 시작되며; 제 2 부분은 압력 제어 연결부(71S)로 이어진다. 제어 라인(110)에 대하여 도시된 형태에서, 3/2-웨이 밸브는 위에서 언급된 제1 부분과 제 2 부분을 공압적으로 분리하는 무전류 상태에 있다. 제 2 부분은 또한 다른 벤트 라인(117)으로 벤트되며, 다른 벤트 라인(117)은 분기 연결부(7)에서 벤트 라인(70)과 합쳐진다; 양 벤트 라인(117 및 70)은 공통 벤트 라인(70)으로서 벤트 연결부(3)로 계속되며 마지막 부분에서 흡입 라인(20)의 부분과 동일하다.
제 1 다른 제어 라인(111)과 제 2 다른 제어 라인(112)은 벤트 밸브(71)의 피스톤과 제어 밸브(81)의 피스톤으로 각각 직접적으로 이어지며 그리고 벤트 라인(70)과 제어 라인(110)으로부터 각각 분기된다. 이는 벤팅의 경우에 보다 신속한 전환 움직임을 야기한다; 즉, 마그네트 코일의 대응 전원으로 제어 밸브(81)가 가속 비율로 전원을 받은 제 2 스위칭 상태(energized switching state)로 이동할 때, 벤트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은 밸브 스프링(71F 및 81F)의 스프링 력에 대항하여 이미 프리로드(preload)되어 있다. 만일, 벤트 밸브의 제어 피스톤(71S)이 이동되면, 벤트 밸브(71)는 작동 열림 상태로 이동되고 동시에 체크 밸브(61)는 공압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 그 결과, 메인 공압 라인(60)에 제공된 에어 드라이어(62)는 양 부분, 즉 벤트 라인(70)의 부분 그리고 압축 공기 연결부(2)의 부분 상에서 열린다.
공압 장치(90)의 벤팅은 제 1 스로틀(throttle; 여기서는 메인 공압 라인(60)의 재생 스로틀(64)) 그리고 제 2 스로틀(여기서는 벤트 라인(70) 내의 벤팅 스로틀(74))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과도한 음향 또는 압력 진폭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인 벤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에어 드라이어(62)의 가장 가능한 재생을 이루기 위하여 재생 스로틀(64)의 공칭 폭이 벤팅 스로틀(74)의 공칭 폭보다 큰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1)의 위에서 설명된 벤팅-관련 기능의 또는 메인 공압 라인(60)과 흡입 라인(20)의 기본적인 구성은 본 경우에서 선택된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위하여 동일하다. 특히, 이 부분의 위의 설명 그리고 공압 장치(90.1)의 필수 부분의 설명은 모든 도면을 위하여 동일하다. 이는 또한 이후의 도 2, 도 3 그리고 도 4에서 명확함의 이유로 단지 부분적으로 표기된, 그러나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들을 위해서는 동일한 참고 부호에 적용되며, 따라서 세부 사항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4의 모든 도면에 관하여 위의 설명이 참고된다. 그러나, 벤트 밸브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80)는 변형된 형태로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벤트 라인(70)에서, 도면에 도시된 공압적으로 파일럿-제어된 벤트 밸브(71) 대신에, 마그네트 코일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작동하는 개별 밸브는 벤트 밸브로써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벤트 밸브는 제어 밸브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 제어 밸브(81)는 생략될 수 있다; 벤트 밸브 장치의 이 변형은 또한 직접적 벤팅 밸브 장치로서 언급된다. 다른 변형에서, 밸브 장치는 소위 신속-벤팅(fast-venting) 밸브 장치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신속-벤팅 밸브 장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벗어난 방식으로 공압 파일럿 제어 라인은 메인 공압 라인(60)으로부터 분기되고, 벤트 밸브의 공압적으로 파일럿-제어되고 그리고 가속된 전환 작동을 제공한다.
하기 설명에서, 도 2 내지 도 4의 다른 충진 장치(30.2, 30.3, 30.4)와 다른 충진 장치(30.1)의 특정 구성이 참고된다.
도 1의 충진 장치(30.1)는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를 통하여 제 1 충진 분기 라인(92ZL.1)에 연결되며, 여기서 제 1 충진 분기 라인은 압력 어큐뮬레이터(92)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충진 장치(30.1)는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에 인접한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 라인은 위에서 언급된 컴프레서 라인(21)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컴프레서 라인(21)을 통하여 컴프레서(31)의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의 유입구에 인접한다. 조절 가능한 공칭 폭을 갖는 제 1 스로틀(41) 그리고 제 1 충진 밸브(51)는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 내에 연결된다. 본 경우에서, 조절 가능한 공칭 폭을 갖는 제 1 스로틀(41)과 제 1 충진 밸브(51)는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 내에서 개별적으로 도시된다; 이들은 또한 역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 1 충진 밸브(51)의 전원을 받은 열린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제 1 스로틀(41)은 제 1 충진 밸브(51)에 통합될 수 있다.
정상 작동, 특히 열림 모드에서, 공압 장치(90.1)의 충진은 2-스테이지 컴프레서(31)의 작동으로 메인 공압 라인(60)을 통하여 일어날 수 있으며, 충진 밸브(51)는 닫히고 벨로우즈 및/또는 어큐뮬레이터 밸브(93, 94)는 열리며, 공기는 흡입 라인(20)을 통하여 흡입되고 2-스테이지 컴프레서(31) 작동은 실행된다; 또한 들어올려짐 과정의 부스트(boost) 모드에서도 동일하다. 들어올려짐 과정의 부스트 모드에서, 제 1 충진 밸브(51)는 어큐뮬레이터(92)에 대한 제 1 충진 분기 라인(92ZL.1)을 열며 따라서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에 가해진 어큐뮬레이터(92)의 가압된 압력 매체(gDM)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압력 매체(tDM)는 동시에 그리고 유지 압력없이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 전달된다. 이는 닫힘 모드 또는 부분적인 열림 모드의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벤팅의 경우에, 이는 벤트 연결부(3)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벤트 밸브(71)는 열리고, 벨로우즈 밸브(93) 또는 어큐뮬레이터 밸브(94)는 열린다- 즉, 열림 모드에 있다.
벨로우즈 밸브(93)와 어큐뮬레이터 밸브(94)를 위한 개별적인 제어 신호 또는 전류 신호가 상세하게 표시되지 않았지만, 본 경우에서 제 1 충진 밸브(51)의, 모터(M)의, 제 1 스로틀(41)의, 그리고 제어 밸브(81)의 작동은 전기적 제어 신호(SL1, SM, SD1 및 SE)를 통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간략함의 목적을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 또는 부품을 위하여 사용된다.
도 2는 공압 장치(90.2)와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2)를 포함하는 공압 시스템(100.2)을 도시하며, 밸브 블록은 벨로우즈 밸브(93)와 제 2 충진 밸브(52)를 포함하는 제 1 밸브 블록(98.1) 그리고 어큐뮬레이터 밸브(94)와 격리 밸브(99)를 포함하는 제 2 밸브 블록(98.2) 형태의 공압 장치(90.2) 내에서 실행된다. 벨로우즈 밸브(93)와 어큐뮬레이터 밸브(94)와 같이, 격리 밸브(99)와 제 2 충진 밸브(52)는 제어 가능한 2/2-웨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로 실행된다. 제 2 충진 밸브(52), 모터(M), 제 2 조정 가능한 공칭 폭을 갖는 스로틀(42) 그리고 벤팅 제어 밸브(81)는 전기적 제어 신호(SL2, SM, SD2 및 SE)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본 경우에서, 도 2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도 1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간의 차이점만이, 즉 충진 장치(30.2)의 다른 실행만이 설명된다.
본 예에서, 제 2 충진 분기 라인(92ZL.2)은 제 2 충진 밸브(52)와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2)에 인접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2)에서,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2)은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2)와 컴프레서 라인(21)에 인접한다. 본 경우에서, 단지 하나의 조정 가능한 공칭 폭을 갖는 제 2 스로틀(42)이 제 2 압력 매체 분기 라인(20.2) 내에 배치된 반면에, 제 2 충진 밸브(52)는 공압 장치(90)의 제 1 밸브 블록(98.1) 내에 통합된다.
도 2의 압력 매체 공급 장치(10.2)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충진 및 벤팅 과정은 열림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격리 밸브(99)는 열린다.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2)에 가해지는 가압된 압력 매체(gDM)뿐만 아니라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압력 매체(tDM)를 다른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에 대해 이용하는 동안에, 들어올려짐 과정의 상황에서 부스트 충진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어큐뮬레이터 밸브(94)는 열리고 격리 밸브(99)는 닫히며, 그리고 제 2 충진 밸브(52)는 열린다. 이는 또한 유사하게 낮아짐 과정에도 적용된다. 낮아짐 과정에서, 벨로우즈 밸브(93)는 열리며, 격리 밸브(99)는 닫힌다; 이 경우에, 낮아짐을 위하여 벨로우즈로부터 빠져나가는 압력 매체는 어큐뮬레이터(92)를 채우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즉, 열림 모드에서 구성된 낮아짐 과정과 반대로, 닫혀진 낮아짐 과정은 실행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벨로우즈 밸브(93)뿐만 아니라 어큐뮬레이터 밸브(94)와 제 2 충진 밸브(52)는 열리고, 컴프레서(31)는 작동되며, 따라서 낮아짐 동작을 위한 부스트 모드가 제공된다. 그 결과, 압축 공기는 컴프레서(31)를 통하여 벨로우즈(91)에서 어큐뮬레이터(92)로 전달된다. 이는 역시 유리하게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2)에 작용하는 벨로우즈(91)의 가압된 압력 매체(gDM)의 이용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압력 매체(tDM)의 이용으로 효과를 본다. 여기서, 양 압력 매체 흐름은 동시에 그리고 유지 압력 없이 전달된다.
도 3은 도 2에 비하여 간략화된 실시예, 즉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3)와 공압 장치(90.3)를 포함하는 간략화된 공압 시스템(100.3)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6-폴드(fold) 밸브 블록(98)이 4개의 벨로우즈 밸브(93), 어큐뮬레이터 밸브(94) 그리고 격리 밸브(99)를 포함하는 단일 밸브 블록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충진 분기 라인(92ZL.1)은 갤러리(95) 그리고 또한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에 연결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에서,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은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와 컴프레서 라인(21) 사이에 연결된다. 충진 장치(30.3)에서, 제 1 충진 밸브(51)와 제 1 고정 공칭 폭 스로틀(43)은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에서 연결되며, 도 1과 비교하여 이 시간은 역 시퀀스 상태(reverse sequence)이다. 전기적 제어 신호(SM, SL1)에 의하여 모터(M)와 제 1 충진 밸브(51)는 다시 작동 가능하다. 전기적 제어 신호(ST)를 통하여 격리 밸브(99)는 작동 가능하며, 그리고 벤트 제어 밸브(81)는 전기적 제어 신호(SE)를 통하여 작동 가능하다. 격리 밸브(99)가 무전류적으로 닫히고 어큐뮬레이터(94)가 열리며 또한 컴프레서(31)가 가동함에 따라 낮아짐 과정에서 어큐뮬레이터(92)는 더 충진될 수 있고 벨로우즈 밸브(93)는 열린다.
도 4는 충진 장치(30.4)의 특히 완전하게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시된 충진 장치는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와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2)를 통하여 공압 장치(90)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어큐뮬레이터 라인(92L)에 대한 제 1 충진 분기 라인(92ZL.1)은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에 연결된다. 제 2 충진 분기 라인(92ZL.2)은 특히 도 2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5-폴드 밸브 블록(98.1)에 통합된 제 2 충진 밸브(52)를 통하여 제 2 압력 매체 연결부(1.2)와 갤러리(95.1) 사이에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특히 제 1 충진 밸브(51)가 열리고 그리고 제 2 충진 밸브(52)가 열림에 따라 압력 매체는 제 1 및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 및 1.2)에 각각 연결된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과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2)을 통하여 컴프레서 라인(2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충진 밸브(51, 52)의 작동은 전기적 제어 신호(SL1, SL2)를 통하여 영향을 받는다. 제어 밸브(81)는 전기 신호(SE)를 통하여 작동된다. 격리 밸브(99)는 전기 제어 신호(ST)를 통하여 작동한다. 컴프레서(31)의 모터(M)는 전기 제어 신호(SM)를 통하여 작동된다.
압력 센서(97)의 센서 신호(p), 레벨 신호(N) 그리고 드라이어(62)의 습도 신호(h)를 받는, 차량 제어 유니트(ECU) 내의 공압 제어 모듈(S)에 의하여 모든 제어 신호는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본 경우에서, 제 1 및 제 2 스로틀(43, 44)은 고정된 공칭 폭을 갖는다; 본 예에서 제 1 및 제 2 스로틀이 충진 장치(30.4) 내에서 별도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양 스로틀(43, 44)이, 또는 제 1 스로틀(43)만이 또는 제 2 스로틀(44)만이 제 1 충진 밸브(51)에 또는 제 2 충진 밸브(52)에 통합될 수 있다.
제 1 충진 밸브(51)가 열리고, 격리 밸브(99)가 열리고, 그리고 어큐뮬레이터 밸브(94)가 닫히고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1, 31.2)가 작동됨에 따라 본 실시예는 들어올려짐 과정으로서의 부스트(boost) 모드를 허용한다. 또한, 제 2 충진 밸브(52)가 열리고, 컴프레서(31)가 작동하고 그리고 어큐뮬레이터(92)가 충진되고, 어큐뮬레이터 밸브(94)가 열리고 격리 밸브(99)가 닫힘에 따라 본 실시예는 부스트 모드에서의 낮아짐을 허용한다.
위에서 언급된 압력 매체 공급 장치(10.1, 10.2, 10.3 및 10.4)의 바람직한 작동 모드가 도 5 및 도 6 내의 예시적인 방식으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에 설명된 열림 작동 모드를 위하여 원칙적으로 압축 공기가 단지 대기에서 끌어들여지고 대기로 빠져나간다는 것이 설명될 수 있다. 닫힘 작동 모드를 위하여, 원칙적으로 컴프레서의 작동 없이 압축 공기가 단지 재분배된다는 것이 설명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닫혀진 작동 모드를 위하여,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가 발생되는 동안에 대기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이 일어나며, 흡입된 공기의 그리고 이미 가압된 압축 공기의 다른 압축은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에서 일어난다.
도 5는 선택적으로 열린 낮아짐 과정(A1), 닫힌 낮아짐 과정(A2) 또는 부분적으로 닫힌 낮아짐 과정(A3)에 의한 차량을 낮추는 방법의 3개의 다른 변형(BA1, BA2 및 BA3)을 위한 그리고 높이 제어를 위하여 대응적으로 설계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형태의 공압 장치(90)의 대응하는 작동을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부분적으로 닫힌 낮아짐(A3)을 위한 방법은 공압 시스템의 닫힘 모드에서의 제 1 단계 시퀀스(A3.1) 및 열림 모드에서의 제 2 단계 시퀀스(A3.2)를 포함하며, 이 단계들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부분적으로 닫힌 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변형(BA2 및 BA3)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각 공압 시스템(100.2, 100.3, 100.4)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변형(BA1)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각 공압 시스템(100.1, 100.2, 100.3, 100.4)으로 실행될 수 있다. 설명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앞자리 수 10단위를 위하여 표시된다. 또한, 공압 장치는 이하에서 앞자리 수 90단위를 위하여 점증적으로 표시된다. 이에 더하여, 공압 시스템은 이하에서 앞자리 수 100단위를 위하여 점증적으로 표시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의 열림 모드에서의 낮아짐 과정(BA1)은 제 1 단계(SA11)에서 벨로우즈 밸브(93)의 작동을 대비하며, 그로 인하여 이는 전원을 받은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에어 스프링의 압력 매체 챔버, 즉 벨로우즈(91)는 갤러리(95) 또는 제 1 갤러리(95.1)에 대하여 공압적으로 열린다. 도 4, 도 2 및 도 3의 시스템(100.4, 100.2, 100.3)의 경우, 격리 밸브(99) 또한 작동되고 활성화된 열림 상태로 전환되며, 제 2 충진 밸브(52)는 닫히고 그리고 도 3의 제 1 충진 밸브(51)는 닫힌다. 벨로우즈(91)에 포함된 압축 공기는 따라서 압축 공기 매체 연결부(2)로 빠져 나갈 수 있다. 제 2 단계(SA12)에서, 제어 밸브(81)는 제어 신호 (SE)에 의하여 작동하며 따라서 전원을 받은 제 2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며, 이는 제어 라인(110)을 벤트 밸브(71)의 제어 연결부(71S)로 개방하고 따라서 벤트 밸브(71)를 양방향적으로 열린 제 2 스위칭 상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압력 매체 연결부(2)에 작용하는 벨로우즈(93)로부터의 압축 공기는 제 1 재생 스로틀(64) 그리고 차단되지 않은 체크 밸브(61)를 통하여 벤트 라인(70)으로 빠져 나갈 수 있어 에어 드라이어(52)가 재생되고, 최종적으로 벤트 연결부(3)로 빠져 나갈 수 있고 필터(0.3)를 통하여 대기로 빠져 나갈 수 있다. 열린 낮아짐 과정(A1)이 그후 일어난다. 그 후에, 단계 SA13에서 벨로우즈 밸브(93)는 무전류적으로 닫혀진 벨로우즈 밸브(93)로 전화되며, 단계 SA14에서 벤트 밸브(71)는 닫힌 벤트 밸브(71)의 비작동 상태로 전환되며, 따라서 이 상태에서 벤트 밸브(71)에 의하여 체크 밸브(61)는 차단 해제되지 않고 벤트 라인(70)은 차단된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을 받지 않은 제어 밸브(81)로 구축된 상태.
단계 SA21 내지 SA25에 의하여 제공된 닫힌 낮아짐 과정(BA2)을 위하여,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는 닫힌 작동 상태에 있다. 이 작동 상태에서, 단계 SA21는 벨로우즈 밸브(93)의 작동을 대비하며, 따라서 이는 전원을 받은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반면에, 압축 공기는 벨로우즈(91)에서 갤러리(95)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단계 SA22는 제 2 충진 밸브(52)의 작동에 대비하며, 따라서 이 밸브는 제어 신호(SL2)에 의하여 활성화된 열린 상태로 전환된다. 도 3에 나타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의 실시예에서, 제 1 충진 밸브(51)는 제어 신호(SL1)에 의하여 작동되며 전원을 받은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그 결과, 단계 SA23에서 컴프레서(31)의 모터(M)를 위한 제어 신호(SM)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1, 31.2)는 작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충진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2, 1.1)에 가해지는 가압된 압력 매체(gDM)뿐만 아니라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압력 매체(tDM)를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벨로우즈(91)로부터 빠져나온 가압된 압력 매체(gDM)는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에 의하여 압축된 형태로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로부터 빠져나온 다른 압력 매체(tDM)와 함께 압력 매체 공급부(1)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로부터, 다시 매우 압축된 압력 매체 전체는 에어 드라이어(62)를 통하여 압력 매체 연결부(2)에 도달하며, 체크 밸브(61)는 이송 방향(transit direction)으로 열린다. 그후 압력 매체 연결부(2)로부터의 압력 매체는 다른 압력 매체 라인(96) 및 갤러리(95) 또는 제 1 및/또는 제 2 갤리러(95.1, 95.2)를 통하여 압력 매체 어큐뮬레이터(92) 내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압력 매체 어큐뮬레이터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단계 SA24에서 어큐뮬레이터 밸브(94)는 전원을 받고 열린다. 뒤를 이은 닫혀진 낮아짐 과정(A2)에서 벨로우즈(91)에서 빠져나온 압축 공기는 대기로 나가지 않고 어큐뮬레이터(92)로 나가며 여기서 다른 이용을 위하여 저장될 수 있다. 그후 단계 SA25는 모든 밸브의 동력을 받지 않는 상태를 대비한다.
부분적으로 닫힌 낮아짐 과정(BA3)은 닫힌 낮아짐 과정(A3.1)을 초래하는 제 1 단계 시퀀스(SA311 내지 SA314)에 대비한다. 부분적으로 닫힌 작동 모드(A3)의 닫힌 낮아짐 과정(A3.1)을 준비하는 단계 (SA311 내지 SA314)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단계(SA21 내지 SA24)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그러나, 열린 낮아짐 과정(A3.2)으로의 전환은 부분적으로 닫힌 낮아짐 과정(A3)에서 다른 단계(SA321 내지 S323)를 수행함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단계 SA321에서, 어큐뮬레이터 밸브(94)는 비작동 상태, 즉 무전류적으로 닫힌 상태로 전환되며, 그후 도 2 및 도 4의 제 2 충진 밸브(52) 또는 도 1 및 도 3의 제 1 충진 밸브(51)는 무전류적으로 닫힌 상태로 전환된다. 단계 SA323에서, 벤트 밸브(71)는 작동될 수 있으며, 즉 제어 밸브(81)는 전원을 받은 제 2 스위칭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단계(SA1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 드라이어(62)의 재생이 일어나는 동안에 압축 공기가 이제 압력 매체 연결부(2)와 벤트 라인(70)을 직접적으로 통하여 벨로우즈(93)에서 벤트 연결부(3)로 빠져나올 수 있다는 결과를 갖는다.
말하자면, 부분적으로 닫힌 낮아짐 과정(A3)은 닫힌 단계(SA311 내지 SA314)를 포함하는 닫힘 낮아짐 과정(A3.1) 그리고 단계(SA321 내지 SA323)를 포함하는 곧바로 뒤이은 열림 낮아짐 과정(A3.2)의 곧바로 연속적인 시퀀스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부분적으로 닫힌 낮아짐 과정(A3)에서 낮아짐 과정은 적어도 2가지 다른 낮아짐 속도, 즉 닫힘 낮아짐 과정(A3.1)에서의 보다 느린 낮아짐 속도와 열림 낮아짐 과정(A3.2)에서의 보다 빠른 낮아짐 속도로 실행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다음의 도면을 참고하여 명확하게 되는 바와 같이, 낮아짐 과정(A3)을 위한 실제 시간은 닫힘 낮아짐 과정(A3.1)과 열림 낮아짐 과정(A3.2) 사이의 전환 시간의 능숙한 선택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의 닫힘 낮아짐 과정(A3.1)과 열림 낮아짐 과정(A3.2) 사이의 전환 시간의 가변적인 선택에 의하여 압력 어큐뮬레이터(92) 내의 압력 매체의 부가적인 저장이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는 벤트 연결부(4)로의 벤팅, 즉 외부로의 벤팅 중에 에어 드라이어(62)의 재생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레벨 제어를 위하여 설계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형태의 공압 시스템(90)의 선택적인 열림, 닫힘 또는 부분적인 닫힘 작동에 의하여 차체를 들어올리는 방법의 3개의 다른 변형(BH1, BH2 및 BH3)을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들어올려짐 과정의 선택 가능한 작동 모드를 위하여 도 6은 컴프레서 들어올려짐 과정(H1),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H2), 그리고 증가된(boosted) 충진 들어올려짐 과정(H3)을 도시하며, 여기서 후자는 부스트 모드에서 일어난다. 단계(SH11)에서 컴프레서 들어올려짐 과정(H1)은 제어 밸브(81)를 통한 벤트 밸브(71)의 작동을 대비하며, 여기서 제어 신호(SE)를 통하여 제어 밸브(81)는 전원을 받은 제 2 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벤트 밸브(71)의 제어 피스톤(71S)은 작동하는 반면에, 체크 밸브(61)는 언록킹되며 따라서 동시에 메인 공압 라인(60)과 벤트 라인(70)은 개방된다. 그후 단계(SH12)에서, 컴프레서(31)의 모터(M)는 제어 신호(SM)를 통하여 작동되어 흡입 라인(2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양 컴프레서 스테이지(31.1 및 3.12)를 이용하여 압축한다. 따라서 컴프레서(31)는 역압없이 그리고 따라 낮은 기동 저항을 갖고 구동한다; 그후 단계(SH13)에서 벤트 밸브(7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비작동 스위칭 상태로 뒤로 전환되며 제어 밸브(91)의 전원 공급은 종료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벤트 라인(70)은 닫히며 그리고 컴프레서(31)는 메인 공압 라안(60) 내에 압력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체크 밸브(61)를 이송 방향으로 개방한다. 이렇게 하여, 압력 매체 연결부(2)에 작용하는 압력 매체는 에어 스프링의 벨로우즈(91)로 공급될 수 있으며, 단계 SH14에서 벨로우즈 밸브(93)는 작동하고 따라서 전원을 받고 열린다. 어큐뮬레이터(92) 내의 불충분한 압력 때문에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H2)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 그리고/또는 불충분한 어큐뮬레이터 압력 때문에 변형(BH3)에 따른 부스트 모드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압력 센서(97)가 지시한다면 이 정상적인 컴프레서 들어올려짐 과정(H1)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단계(SH15)에서, 무전류적으로 닫힌 벨로우즈 밸브(93)가 도시되며, 단계(SH16)에서 제어 밸브(81)를 통하여 작동된 벤트 밸브(71)가 나타나있다. 이 조합에서 켜진(switched-on) 충진 밸브로서 언급된 밸브는 단계(SH11)를 참고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에어 드라이어(62)의 양 측부 상의 메인 압력 라인(60)과 벤트 밸브(70)를 연다. 그후 단계(SH17)에서, 제어 신호(SM)에 의하여 모터(M)는 꺼지고 그후 단계(SH18)에서 제어 밸브(81)의 전원 공급 종료에 의하여 벤트 밸브는 벤트 라인(70)과 체크 밸브(61)를 닫게 한다. 따라서 벤트 라인(70)뿐만 아니라 메인 공압 라인(60)은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전환된다.
닫힘 작동 변형(BH2)에 따른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H2)을 위하여, 단계(SH21 내지 H28)가 아래에 설명된다.
어큐뮬레이터(92)로부터의 실질적인 들어올려짐 과정을 위하여, 단계(SH21)는 먼저 전원을 받은 열림 단계로 전환된 어큐뮬레이터 밸브(94)의 작동을 대비한다. 그후 단계(SH22)에서의 격리 밸브(99)와 단계(SH23)에서의 원하는 벨로우즈 밸브(93)는 작동하며 따라서 전원을 받은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높은 압력 수준에서 어큐뮬레이터(92)를 빠져나온 압축 공기는 따라서 제 2 갤러리(95.2)를 통하여 제 1 갤러리(95.1)로 빠져나가며 또한 벨로우즈 라인(91L)으로 빠져나가고 그후 벨로우즈(91)로 빠져 나가 단계(H2)에서 차체는 들어올려진다. 도 2, 도 3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축 공기는 어큐뮬레이터 밸브(94)와 열려진 격리 밸브(99)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92)로부터 갤러리(95)로 직접적으로 빠져나간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축 공기는 어큐뮬레이터 라인(92L)과 열려진 어큐뮬레이터 밸브(94)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로부터 갤러리(95)로 빠져나간다. 컴프레서 들어올려짐 과정(H1) 동안 그리고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H2) 동안에 충진 밸브(51, 52)는 항상 전원을 받지 않는다. 즉 충진 밸브는 각 충진 분기 라인(92ZL.1 및 92ZL.2)을 닫힌 상태로 유지시킨다. 동일하게, 벤트 밸브(71)의 비작동 상태의 결과로서 메인 공압 라인(60)은 체크 밸브(61)의 차단 방향으로 닫힌다.
단계(SH24 내지 SH26)에서, 증가된(boosted) 충진 들어올려짐 과정은 벨로우즈 밸브(93), 어큐뮬레이터 밸브(94) 그리고 격리 밸브(99)의 전원을 받지 않은 닫힘 상태에서 시작된다. 단계(SH27)에서, 벤트 밸브(71)는 제 2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며, 제어 신호(SE)에 의하여 제어 밸브(81)는 작동, 즉 전원을 받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단계(SH11 및 SH16)에 의하여 메인 공압 라인(60)과 벤트 밸브(70)는 에어 드라이어(2)를 위하여 양 측 상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단계(SH28)에서 벤트 밸브(71)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 1 스위칭 상태로 복귀된 후 이는 메인 공압 라인(60) 그리고 벤트 라인(70)의 벤팅으로 이어지며, 제어 밸브(81)는 전원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다.
변형(BH3)에 따른 증가된 들어올려짐 과정(H3)은 실제 충진 들어올려짐 과정(H3.1)에 대비하며, 이 과정의 종결시 단계(H3.2)에 따라, 즉 단계(SH311 내지 SH315) 및 단계(SH321 내지 SH324)로 벤팅된다. 실제 증가된 충진 들어올려짐 과정(H3.1)을 위하여, 단계(SH311)는 제어 밸브(81)를 통한 벤트 밸브(71)의 작동을 대비하며, 따라서 컴프레서(31)의 모터는 단계(SH312)에서 저항없이 가동할 수 있다. 그후 제어 밸브의 작동이 단계(SH313)에서 종료되며, 따라서 컴프레서(31)가 대응하는 압력을 강화시키자마자 체크 밸브(61)를 이송 방향으로 개방함으로써 벤트 밸브(71)는 벤트 라인(70)을 차단하고 메인 라인(60)은 열리며 컴프레서(31)는 가동된다. 그후 단계(SH314)에서, 원하는 벨로우즈 밸브의 전원 공급을 작동함에 의하여 이 벨로우즈 밸브(93)는 열린다. 부가적으로 또는 동시에 단계(SH315)에서 제 1 충진 밸브(51)는 열린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어큐뮬레이터 밸브(94)가 닫힘과 함께 어큐뮬레이터 밸브(92)로부터의 압력 매체는 또한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로 곧바로 공급되며, 그 결과 공압 장치(90)의 들어올려짐 과정(H3)은 시작된다. 이 과정이 종료되면, 단계(SH321)에서 벨로우즈 밸브(93)의 닫힘이 뒤따르며 이 벨로우즈 밸브의 전원 공급이 종료되고, 제 1 충진 밸브(51)의 닫힘이 단계(SH322)에서 뒤를 있고 동일하게 전원 공급이 종료된다.
그후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단계(SH323 및 SH324)에서 벤트되며, 벤트 밸브(71)는 제어 밸브(81)를 통하여 (벤트 라인(70)을 열게 하는) 제 2 상태로 전환되고, 단계(SH324)에서 모터는 제어 신호(SM)를 통하여 꺼진다.
따라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컴프레서(31)의 정상적인 2-단계(stages) 작동과 함께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의 선택적인 열림, 닫힘 또는 부분적 닫힘 작동 모드는 도 6을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증가된 충진 들어올려짐 과정(H2)에서 벨로우즈(91)의 들어올려짐 과정과 함께 어큐뮬레이터(92)의 연속적인 2-단계 충진 과정을 가능하지 않게 할 뿐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인 방식으로 위에서 설명된 그리고 도 5를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의 선택적인 열림, 닫힘 또는 부분적 닫힘 작동의 이점은 무엇보다도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에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는 닫힘 낮아짐 과정(A3.1)과 열림 낮아짐 과정(A3.2) 사이를 가변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닫힘 낮아짐 과정(A3.1)과 열림 낮아짐 과정(A3.2)이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원하는 한 빈번하게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을 위하여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은 명확하게는 닫힘 낮아짐 과정(A3.1)의 단지 단 한번의 제 1 실행 그리고 열림 낮아짐 과정(A3.2)의 단지 단 한번의 제 2 실행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정확히 말하면, 열림 낮아짐 과정(A3.2)이 먼저 실행되고 닫힘 낮아짐 과정(A3.1)이 후에 실행되는 방식으로 시퀀스가 또한 일어날 수 있다. 닫힘 낮아짐 과정(A3.1)이 먼저 실행될 수 있고, 그 후 열림 낮아짐 과정(A3.2)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른 닫힘 낮아짐 과정(A3.1)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닫힘 낮아짐 과정(A3.1) 2번과 그 사이의 열림 낮아짐 과정(A3.2)이 실행될 수 있다. 동일하게 그리고 반대로, 열림 낮아짐 과정(A3.2) 그리고 마지막으로 열림 낮아짐 과정(A3.2)이 그 사이의 닫힘 낮아짐 과정(A3.1)과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 동안에 4개의 번갈아 진행되는 다른 낮아짐 과정 또는 그 이상의 번갈아 진행되는 다른 낮아짐 과정의 시퀀스가 실행될 수 있다. 닫힘 낮아짐 과정(A3.1)과 열림 낮아짐 과정(A3.2) 간의 전환 시간은 공압 시스템의 시스템 상태, 특히 공압 장치의 시스템 상태 및/또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의 시스템 상태의 함수로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한 어큐뮬레이터 압력이 도달될 때, 예를 들어, 어큐뮬레이터(92)의 어큐뮬레이터 압력은 닫힘 낮아짐 과정에서 열림 낮아짐 과정으로의 전환에 있어서의 지배적인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하한 어큐뮬레이터 압력이 도달될 때 열림 낮아짐 과정에서 닫힘 낮아짐 과정으로의 전환 또한 일어날 수 있다. 높이(N), 특히 낮아짐이 일어나는 높이(N)는 또한 단독으로 또는 어큐뮬레이터 압력과 함께 사용될 수 있어 닫힘 낮아짐 과정(A3.1)과 열림 낮아짐 과정(A3.2) 간의 전환을 위한 시간, 즉 최종적으로 단계(SA314)에서 단계(321)로의 이행 시간 또는 역으로 도 5의 단계(SA323)에서 단계(SA312)로의 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열림 모드에서 닫힘 모드로의 전환 과정을 위하여 또는 역으로 변형(BA3)의 기준에 따른 낮아짐 과정 동안을 위하여 다른 상태 그리고 요구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상태가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프레서 또는 컴프레서(31)의 모터(M)가 사용을 위하여 해제될 수 없도록 온-보드(on-board) 네트워크 전압이 낮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념으로 특히 -열림- 낮아짐 과정은 가능하다. 다른 예에서, 컴프레서 작동이 해제될 수 없음을 특정하는 차량 명령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보드 네트워크 전압이 유지된다면 다른 소비자의 더 높은 높이 작동의 경우에 이러한 것이 일어날 수 있다. 여기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열림- 낮아짐 과정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재 상태가 단독으로 또는 리저버 압력(RD) -즉, 어큐뮬레이터(92) 내의 압력-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적재물과 함께 리저버 압력과 실제 높이 위치(낮아짐은 이 위치로부터 일어남)의 조합 또한 전환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드라이어의 수분 충진이 단독으로 또는 위에서 언급된 변수-어큐뮬레이터 압력, 낮아짐이 일어나는 현재 높이 위치(current level position) 및 적재물-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어큐뮬레이터(92)가 비교적 높은 어큐뮬레이터 압력으로 충진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말하자면, 에어 드라이어(62)의 적절한 또는 예측된 수분 충진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에어 드라이어(62)를 재생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과도한 압력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벨로우즈 압력을 이용하여 또는 다른 방식으로 충진 상태가 예측될 수 있다.
요약하면, 예를 들어 압력 센서(97)를 갤러리(95)에 연결함으로써 밸브 장치(80)와 같은 간략화된 벤팅 장치 그리고 간략화된 어큐뮬레이터 압력 측정 장치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공압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압력 센서(95)를 통하여 벨로우즈는 그 자신의 압력이 측정될 수 있거나 다른 벨로우즈와 함께 압력이 누적적으로(cumulatively) 측정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92)를 위한 부가적인 압력 매체의 더 지속적인 저장 및 생성 때문에 원칙적으로 최대 어큐뮬레이터 압력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그리고 일부 경우에서는 부가적으로 원칙적으로 압력 매체가 생성될 수 있고 보다 짧은 주시 시간에 그리고 더욱 유연하게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92)에서 사용 가능한 압력 매체는 더 이상 몇 번의 들어올려짐 과정 또는 주어진 횟수의 들어올려짐 과정을 위하여 이용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단일 들어올려짐 과정을 위하여 충분한 압력 매체 저장이 충분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 1 및/또는 제 2 충진 밸브(51, 52)는 0.5mm 이하 내지 1.5mm 범위, 바람직하게는 0.6mm이하 내지 1.2mm, 바람직하게는 0.6mm 내지 0.8mm 범위 내의 비교적 작은 공칭 폭을 갖고 설계될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스로틀은 1.8mm보다 적은, 바람직하게는 1.7mm보다 적은 비교적 넉넉한 공칭 폭을 갖고 설계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알려져 있다; 이는 특히 여기서 재생 스로틀(64)인 제 1 스로틀에 먼저 에어 드라이어의 재생 용량의 손상 없이, 그리고 두 번째로 공기 공급(aeration) 시간의 절충의 필요성 없이 적용된다. 특히, 제 2 스로틀, 즉 여기서 벨트 스로틀(74)의 구성은 1.0mm보다 작을 수도, 특히 0.8mm보다 작을 수도 있으며 또한 이는 1.5 mm 내지 2.5mm, 특히 1.6mm 내지 2.2mm, 특히 약 1.7mm 내지 2.0 mm 범위의 공칭 폭을 갖는 벤트 밸브(71)의 비교적 넉넉한 설계를 허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설계로,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은 원칙적으로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H2)이 가능하고 증가된 정도까지 사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갖는다. 이는 바람직한 것으로서의 제한된 컴프레서 작동을 야기한다. 이 위치에서 필요에 따라 충진 들어올려짐 과정(H3)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컴프레서 들어올려짐 과정(H1) 또한 원칙적으로 가능하다. 한편,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은 원칙적으로 닫힘 낮아짐 과정(A2)이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신속한 작동을 위하여 완전한 열림 낮아짐 과정(A1)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어큐뮬레이터(92) 내의 압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은 바람직하며 또한 상승 작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이 사용될 때, 원칙적으로 비교적 느린 낮아짐이 닫힘 낮아짐 과정(A2) 또는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을 겨냥한 것일지라도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가 어큐뮬레이터 압력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압력 매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92) 내의 어큐뮬레이터 압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컴프레서(31)의 2-스테이지 작동으로 닫힘 낮아짐 과정(A2)에서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한편, 예를 들어 일정한 들어올려짐 속도를 이루기 위하여 또는 필요한 경우 개선되고 보다 빈번한 에어 드라이어(62)의 재생을 이루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공급되고 따라서 어큐뮬레이터에서 가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압력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사용시 컴프레서(31)의 작동이 특별히 효과적으로 그리고 균일한 높은 하중 이용률을 갖고 일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개념은 바람직한, 감소된 컴프레서 가동 시간을 초래하는 반면에, 부가적으로 어큐뮬레이터(92) 내의 과도한 압력 매체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도 7 내지 도 9b에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된, 실시예와 관계없이 도 1 내지 도 4의 공압 시스템의 특정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를 위한 압력 곡선을 참고하면 이러한 그리고 다른 이점이 특히 명백하다.
따라서, 제 1 예에서, 10 리터의 어큐뮬레이터 체적을 위한 18 바까지의 어큐뮬레이터 충진 과정이 뒤따르는 -35mm 내지 63mm의 높이 사이의 3중 들어올려짐-낮아짐 과정은 18 바의 최대 어큐뮬레이터 압력을 갖고 18 바의 어큐뮬레이터 내의 가동 압력에서 시작된다.
부분적인 닫힘 모드가 없는 작동 경우에, 부분적인 닫힘 모드로 컴프레서의 가동 시간은 194초에서 96초로 감소된다. 낮아짐 과정은 낮아짐 시간에 약 2번 일어난다; 그러나 더 중요한 절대 들어올려짐 시간은 1/2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들어올려짐 동안의 속도는 감소된 들어올려짐 시간 동안에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동일한 변수에 기초한 제 2 예에서, 이는 10리터의 어큐뮬레이터 체적을 갖고 18바의 어큐뮬레이터의 충진이 뒤따르는 -35mm와 63mm 사이의 3중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이며, 이 시퀀스는 18바의 최대 어큐뮬레이터의 압력을 갖고 12바의 어큐뮬레이터 내의 시동 압력으로 시작하며, 하기의 개선점을 얻는다. 컴프레서의 가동 시간은 (부분 닫힘 모드 없이) 330초에서 (부분 닫힘 모드로) 214초로 줄어든다. 낮아짐은 요구 시간에 약 2번 일어난다. 그러나, 들어올려짐 과정을 위한 요구 시간은 1/2이며 들어올려짐 동안 들어올려짐 속도는 일정하다.
제 3 예에서, 5리터의 어큐뮬레이터 체적과 18바의 어큐뮬레이터 내의 시동 압력을 갖고 18 바로의 어큐뮬레이터의 충진이 뒤따르는 -35mm와 63mm 사이의, 18바의 최대 어큐뮬레이터 압력으로의 3중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에서, 하기 결과가 발생한다.
컴프레서(31)의 가동 시간은 부분적인 닫힘 모드 없이 181초에서 95초로 줄어든다. 낮아짐 과정은 소비 시간에 약 2번을 필요로 하며, 반면에 들어올려짐 과정을 위한 소비 시간은 반으로 줄어들고 들어올려짐 과정은 대략 일정한 속도로 일어난다.
모든 예에서, 충분한 압력 매체가 모든 시스템 상태의 어큐뮬레이터 내에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는 몇 번이든 반복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어큐뮬레이터 설치 공간 체적 요구 조건을, 예를 들어 5리터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념이 대부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구현한다; 차량의 엔진실 또는 차량 공간 내의 제한된 설치 공간 체적을 고려할 때, 이는 현저한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예를 들어 8 리터의 감소된 어큐뮬레이터 설치 공간 체적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최대 압력을 위한 어큐뮬레이터 몸체를 설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념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관련된 개별적인 예시적인 압력 곡선이 도 7 내지 도 9b에 도시된다.
도 7은 [초] 단위의 시간(t)에 따른 차량의 높이로써 도시된, 앞 차축(VA)과 뒤 차축(HA)의 높이(N)의 진행을 위한 [바(bar)] 단위의 어큐뮬레이터 압력(RD; 리저버 압력)의 진행을 도시한다.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의 t1과 t2 사이에서 일어난 들어올려짐 과정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H2)이며, 단계(SH21 내지 SH28)가 수행된다. t3과 t4 사이에서 일어난 낮아짐 과정은 닫힘 낮아짐 과정(H2)이며, 단계(SA21 내지 SA28)가 수행된다; 즉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 1.2)에 가해진 가압된 압력 매체(gDM)뿐만 아니라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이용 가능한 다른 압력 매체(tDM)는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 전달된다. .
RD로 표기된, 어큐뮬레이터(92)의 리저버 압력은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림 과정(H2) 동안에 떨어지며, t2와 t3 사이의 전환 과정 동안에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후 닫힌 낮아짐 과정(A2) 동안에 t3와 t4 사이에서 상승한다. 시간(t8) 주변의 다소 변화된 곡선은 앞 차축을 위한 낮아짐 과정의 종료 및 뒤 차축(HA)을 위한 들어올려짐 과정의 시작을 표시한다. 시간(T0)은 시간(t1)에서 또는 어큐뮬레이터(92)의 들어올려짐 과정 전에 리저버 압력(HD)이 시동 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표시한다; 이 경우 리저버 압력은 14바 약간 아래이다. 그러나, 닫힘 낮아짐 과정(A2)의 단계(SA24, SA25 및 SA26) 중에 전체적인 낮아짐 과정 동안의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의 연속적인 압력 매체 압축 작동 때문에, 시간(t3) 이후의 어큐뮬레이터(92) 내의 압력 이득은 벨로우즈(91)로부터의 압력(DRD1)뿐만 아니라 제 1 압력 스테이지(31.1)로부터의 압력(DRD2)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 압력 변화(DRD)는 DRD1+DRD2로써 산출되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연결부(1.1, 1.2)에 가해지는 가압된 압력 매체(gDM)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이용 가능한 다른 압력 매체(tDM)의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의 동시 이동을 위한 충진 장치(30)의 구성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어큐뮬레이터를 벤팅 그리고 예를 들어 14바의 수준에서 시간(t1)에서 어큐뮬레이터 압력을 시동 압력으로 낮춤에 의한 드라이어 재생 동안에 드라이어(62)의 가능한 한 효율적인 재생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부가적으로 얻어진 어큐뮬레이터 압력(DRD2)은 이용될 수 있다. 어떠한 누설의 경우에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압력 진폭(DRD2: pressure amplitude)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닫힘 낮아짐 과정(A2) 동안, 특히 컴프레서(31)와 모터(M)의 보다 짧은 가동 시간 동안의 닫힘 시스템의 에너지 이점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압축 과정은 열역학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다.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로부터의 뜨거운 공기뿐만 아니라 벨로우즈(91)로부터의 차가운 공기가 압축된다. 실제로 압축 과정에서 열역학적으로 더욱 효과적인 중간 냉각이 발생한다.
도 8은 -도 7을 참고하여 원칙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의 순서가 수행될 때 본 발명의 개념의 기본적인 이점을 도시한다. 앞 차축(VA)의 차량 높이와 뒤 차축(HA)의 차량 높이는 시간에 따른 차량 높이 그리고 리저버 압력(RD)으로 표시된 어큐뮬레이터(92)의 압력으로서 표시된다. 각 경우에서 일정한 주기(T)에 걸쳐 수행된, 도시된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를 위하여, 도 5를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이 이용된다. 낮아짐 과정 동안에 어큐뮬레이터의 18바의 최대 압력(RDmax)이 초과되지 않는 방식으로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의 제 1 이용은 단계(SA315)와 단계(SA321) 사이의 전환 과정과 함께 일어난다. 뒤 차축의 완만한 플랭크(F1-HA)가 뒤 차축(HA)의 가파른 플랭크(F2-AH)의 일부가 될 때 그리고 리저버 압력(RD)이 플라토(plateau; P-RD)의 일부가 될 때, 닫힘 낮아짐 과정(A3.1)과 열림 낮아짐 과정(A3.2) 사이의 적절하게 선택된 이행이 각 경우에서 시간(t7)에서 관측될 수 있다. 따라서 전환 시간(t7)에서, 뒤 차축(HA)의 낮아짐 속도는 닫힘 낮아짐 과정(A3.1)에서의 느린 낮아짐 속도에서 열림 낮아짐 과정(A3.2)에서의 빠른 낮아짐 속도로 증가한다. 열림 낮아짐 과정(A3.2)에서, 시간(t7) 후에 어큐뮬레이터 압력(RD)은 시간(t7) 전의 상승하는 플랭크에서 상당히 일정한 어큐뮬레이터 압력(RD)의 플라토(P-RD)로 넘어간다. 그러나 결과에 관하여, 닫힘 낮아짐 과정(A3.1)과 열림 낮아짐 과정(A3.2) 사이의 전환 시간이 능숙하게 선택되거나 시스템 전제 조건의 함수로써 선택된다면,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의 선택은 사실 시스템 조건과 관계없이 낮아짐-들어올려짐 시퀀스의 주기(T)가 항상 일정하게 선택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열림 낮아짐 과정(A3.2)이 아직 존재할 때에도 어큐뮬레이터(92)의 어큐뮬레이터 압력이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의 제한되지 않은 반복성을 위해 충분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도 9a는 들어올려짐-낮아짐-들어올려짐 시퀀스를 위한 선택적인 열림, 닫힘 또는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작동의 본 발명의 개념의 맥락 속에서 시간 축에 따른 앞 차축(VA)의 차량 높이와 그리고 뒤 차축(HA)의 차량 높이를 다시 도시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경우에, 시간(t1)과 시간(t2) 사이의 제 1 시간 간격에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H2), 시간(t3)과 시간(t7) 사이에 닫힘 낮아짐 과정(A3.1) 그리고 시간(t7)과 시간(t4) 사이의 열림 낮아짐 과정(A3.2)에 제공된다; 즉, 전체적으로, 부분적인 닫힘 낮아짐 과정(A3); 그후 시간(t6)과 시간(t9) 사이에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림(H3)가 다시 뒤따른다. 따라서, 도 9a는 도 8을 참고로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주기(T)의 확대된 부분을 도시한다. 도면 부호는 도 8에서와 같이 선택되며, 따라서 하기 설명에서 도면 부호는 도 8의 설명에 대한 세부 사항과 관련된다. -도 7과 유사한- 도 9a에서, 시간(t8)이 부가적으로 표시되며, 여기서 이 시간은 실제로 앞 차축(VA)을 위한 완료된 낮아짐 과정 그리고 뒤 차축(HA)을 위한 시작된 낮아짐 과정의 시간(t8)을 나타낸다. 시간(t7)은 닫힘 낮아짐 과정에서 열림 낮아짐 과정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도 8 및 도 7에 표시된 시간(t7)에 대응한다. 주기(T)가 종료된 후, 즉, 시간(t6)으로 시작된 후, 시간(t1 내지 t4 그리고 t7)의 시퀀스는 반복되며, 여기서 시간(t6)은 시간(t1 및 t9 내지 t2)에 대응한다.
비교를 위하여, 도 9b는 동일한 변수를 위하여 도 9a의 시간(t1 내지 t4)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시간(t1', t2', t3', t4')을 갖는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는 부분적인 닫힘 모드(A3) 없이 실행된다. 이는 도 6을 참고하여 설명된, 들어올려짐이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H2)으로서 실행될 수 있는 반면에 낮아짐은 열림 낮아짐 과정(A1)에서 실행된다는 결과를 갖는다.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H2) 동안에, 어큐뮬레이터(92)의 리저버 압력(RD)은 떨어지며, 그리고 열림 낮아짐 과정(A1) 동안에는 최대 어큐뮬레이터 압력(RDmaz)보다 현저하게 낮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시간(t6')에서의 어큐뮬레이터로부터의 재개된 들어올림과 함께 시작된 반복된 시퀀스에서, 리저버 압력(RD)은 더 떨어지며, 또한 이는 시간(t9')까지 계속된다. 반면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t6')과 시간(t9') 간의 간격은 시간(t2')과 시간(t1') 간의 간격보다 상당히 길다. 이는 2가지 단점을 갖는다. 먼저, T1+ΔT을 포함하는 제 2 시퀀스는 T1의 제 1 시퀀스보다 현저하게 길다. 두 번째로, 어큐뮬레이터로부터의 다른 들어올려짐을 위하여, 닫힘 낮아짐(A2)에 의하여 진행될 때에도,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어큐뮬레이터 압력을 갖기 위하여 컴프레서(31)는 열려져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설계와 함께 이는 하기와 같은 결과를 갖는다; 먼저, 어큐뮬레이터 체적, 특히 어큐뮬레이터 설치 공간 체적은 적어도 이중(twofold) 들어올려짐 과정을 위해서 설계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어큐뮬레이터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충진하기 위하여 컴프레서는 시간 간격 내에서 작동되어야 하며, 부가적으로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를 길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9a 그리고 도 9b의 비교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은 컴프레서 가동 시간의 보다 효과적인 이용과 더욱 지속된 어큐뮬레이터 압력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들어올려짐-낮아짐 시퀀스를 위한 전체 시간의 단축을 야기한다. 여기서, 작동 중에 상당히 일정하기 때문에 시퀀스는 몇 번이든지 반복 가능하다.
0 : 흡입 연결부
0.3 : 필터
1 : 압력 매체 공급부
1.1, 1.2 : 제 1 및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
2 : 압력 매체 연결부
3 : 벤트 연결부
7 : 분기 연결부
10.1, 10.2, 10.3, 10.4 : 압축 공기 공급 장치
20 : 흡입 라인
20.1, 20.2 : 제 1 및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
21 : 컴프레서 라인
30.1, 30.2, 30.3, 30.4 : 충진 장치
31 : 컴프레서
31.1, 31.2 :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
41, 42 : 제 1 및 제 2 조정 가능한 공칭 폭을 갖는 스로틀
43, 44 : 제 1 및 제 2 고정 공칭 폭을 갖는 스로틀
51, 52 : 제 1 및 제 2 충진 밸브
60 : 메인 공압 라인
61 : 체크 밸브
62 : 에어 드라이어
64 : 재생 스로틀(Regeneration throttle)
70 : 벤트 라인
71 : 벤트 밸브
71S : 벤트 밸브의 제어 연결부
74 : 벤팅 스로틀
80 :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
81 : 제어 밸브
90 : 공압 장치
91 : 벨로우즈
91L : 벨로우즈 라인
92 : 어큐뮬레이터
92L : 어큐뮬레이터 라인
92ZL.1, 92ZL.2 : 충진 분기 라인
93 : 벨로우즈 밸브
94 : 어큐뮬레이터 밸브
95, 95.1, 95.2 : 갤러리, 제 1 갤러리, 제 2 갤러리
96, 96.1, 96.2, 96.3 : 공압 연결 라인, 제 1, 제 2 공압 연결 라인, 공압 라인
97 : 압력 센서
97L : 압력 센서 라인
98.1 : 제 1 밸브 블록
98.2 : 제 2 밸브 블록
99: 격리 밸브
100.1, 100.2, 100.3, 100.4 : 공압 시스템
110, 111, 112, 117 : 제어 라인, 공압 라인
gDM : 가압된 압력 매체
tDM : 다른, 특히 부분적으로 가압된 압력 매체
BA1, BA2, BA3 : 낮아짐 과정 변형, 열림, 닫힘 부분 닫힘 작동 모드(BA)
A1 : 열린 낮아짐 과정
A2 : 닫힌 낮아짐 과정
A3 : 부분적으로 닫힌 낮아짐 과정
A3.1, A3.2 : 낮아짐 과정의 부분
F1-HA : 뒤 차축의 완만한 플랭크
F2-HA: 뒤 차축의 가파른 플랭크
VA, HA : 앞 차축, 뒤 차축
BH1, BH2, BH3 : 들어올려짐 변형, 작동 모드(BA)의 열림, 닫힘 부분적인 닫힘 작동 모드
H1 : 열린 (컴프레서) 들어올려짐 과정
H2 : 닫힌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
H3 : 부분적으로 닫힌 (어큐뮬레이터) 들어올려짐 과정
H3.1, H3.2 : 들어올려짐 과정의 부분
M : 모터
N : 레벨 신호
P : 플라토(plateau)
RD : 리저버 압력, 어큐뮬레이터 압력
RD1, RD2 : 압력
S : 공압 제어 모듈
SA : 공정 단계
SD1, SL1, SL2, SM, SE, ST : 제어 신호
t1...t9 : 시간 (time)
T : 기간 (period)

Claims (23)

  1. 특히 선택적인 열림, 부분적인 닫힘 또는 닫힘 작동을 위하여 구성되며, 어큐뮬레이터(92) 또는 유사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및 다수의 벨로우즈(91) 또는 유사한 압력 매체 챔버를 갖는 공압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압력 매체 공급 장치(10.1, 10.2, 10.3, 10.4)에 있어서,
    - 적어도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1, 31.2)를 갖는 2-스테이지 또는 다수-스테이지 컴프레서(31)를 갖는 충진 장치(30.1, 30.2, 30.3, 30.4)가 압력 매체 공급측에서 연결되어 있는 압력 매체 공급부(1);
    - 공압 장치(90.1, 90.2, 90.3, 90.4)에 대한 압력 매체 연결부(2), 외부에 대한 벤트 연결부(3) 그리고 공압 장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 1.2);
    - 외부에 대한 흡입 연결부(0)와 컴프레서(31) 사이에서 컴프레서(31)의 흡입측 상의 흡입 라인(20);
    - 제 1 및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1, 31.2) 사이의 컴프레서 라인(21);
    - 압력 매체 공급부(1)와 압력 매체 연결부(2) 사이의 메인 공압 라인(60);
    - 압력 매체 연결부(2)와 벤트 연결부(3) 사이에 있으며 벤트 밸브(71)를 갖는 벤트 라인(70); 및
    -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 1.2)와 컴프레서 라인(21)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 20.2)을 포함하되,
    충진 장치(30.1, 30.2, 30.3, 30.4)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 1.2)에 가해진 가압된 압력 매체(gDM)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압력 매체(tDM)를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 동시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압력 매체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컴프레서 라인(21)은 가압된 압력 매체(gDM) 그리고 다른 압력 매체(tDM)를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 동시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압력 매체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컴프레서 라인(21)은 가압된 압력 매체(gDM) 그리고 다른 압력 매체(tDM)를 유지 압력 없이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압력 매체 공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컴프레서 라인(21)은 차단 수단 및/또는 조절 수단 없이 구성된 압력 매체 공급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1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은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와 컴프레서 라인(21) 사이의 제 1 스로틀(41, 43)을 포함하며, 그리고/또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2)은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2)와 컴프레서 라인(21) 사이의 제 2 스로틀(42, 44)을 포함하되, 제 1 스로틀(41, 43) 및/또는 제 2 스로틀(42, 44)은 컴프레서 라인(21)에 대하여 제 1 및/또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 20.2) 내에서의 압력 강하를 가져오도록 구성된 공칭 폭을 갖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 20.2) 내의 압력의 1/3 내지 1/2 크기를 갖는 압력 강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압력 강하의 폭은 8 내지 10 바(bar)의 범위 내에 있으며, 특히 압력 강하는 15 내지 25바의 범위에서 5 내지 15 바의 범위까지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제 1 및/또는 제 2 스로틀(41, 42, 43, 44)의 공칭 폭에 의하여 조정되거나 조정되지 않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1 스로틀(41, 43) 및/또는 제 2 스로틀(42, 44)은 0.5 mm 내지 1.5 mm의 범위 내에 있는, 특히 0.6 mm 내지 1.2 mm 범위 내에 있는, 특히 0.6 mm 내지 0.8 mm 범위 내에 있는 공칭 폭을 갖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스로틀(43, 44)은 고정된 공칭 폭을 가지며, 그리고/또는 제 1 및/또는 제 2 스로틀(41, 42)은 조절 가능한 공칭 폭을 갖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1 충진 밸브(51)는 제 1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제 2 충진 밸브(52)는 제 2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2)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충진 장치(30.1, 30.2, 30.3, 30.4), 특히 컴프레서 라인(21)은 제 1 및/또는 제2 충진 밸브(51, 52)의 스위칭 상태와 관계없이 가압된 압력 매체(gDM) 그리고 다른 압력 매체(tDM)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압력 매체 공급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다른 압력 매체 공급 장치(10.1, 10.2, 10.3, 10.4); 및 어큐뮬레이터(92) 또는 유사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 그리고 다수의 벨로우즈(91) 또는 유사한 압력 매체 챔버를 포함하는, 압력 매체 서스펜션 시스템 형태의 공압 장치(90.1, 90.2, 90.3, 90.4)를 갖는 공압 시스템(100.1, 100.2, 100.3, 100.4).
  12. 제11항에 있어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는 12리터보다 작은 설치 공간 체적, 특히 4 내지 12리터의 설치 공간 체적, 특히 4 내지 6 리터의 설치 공간 체적을 갖는 공압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공압 장치(90.1, 90.2, 90.3, 90.4)의 부분으로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는 어큐뮬레이터 라인(92L)을 통하여 갤러리(95)에 연결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충진 분기 라인(92ZL.1, 92ZL.2)은 어큐뮬레이터(도 1의 92), 갤러리(95.1)에 대한 공압 라인(도 2의 96.3), 갤러리(도 3의 95) 및 어큐뮬레이터 라인(도 4의 92L)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압 요소로부터 분기된 공압 시스템.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 제어 밸브, 특히 벨로우즈 밸브(91L)와 충진 밸브(52)는 결합되어 제 1 밸브 블록(98.1), 특히 5-중(5-fold) 또는 6-중 블록이 되며, 그리고/또는 제 2 방향 제어 밸브, 특히 어큐뮬레이터 밸브(94) 및/또는 격리 밸브(99)는 결합되어 제 2 밸브 블록(98.2), 특히 2-중 블록이 된 공압 시스템.
  15. 특히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따른 공압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특히 선택적인 열림, 부분적인 닫힘 또는 닫힘 모드에서 청구항 1항 내지 10항 중 한 항에 따른 압력 매체 공급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 1.2)에 가해진 가압된 압력 매체(gDM) 그리고 컴프레서(31)의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압력 매체(tDM)를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 전달 방향으로 동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력 매체 공급 장치 작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가압된 압력 매체(gDM)와 다른 압력 매체(tDM)는 전달 방향에 대하여 작용하는 유지 압력 없이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라인(20.1, 20.2)을 통하여 특히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그리고/또는 컴프레서 라인(21)을 통하여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가압된 압력 매체(gDM)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 1.2)에서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 공급되며, 그리고 더 압축되어 압력 매체 공급부(1)와 압력 매체 연결부(2) 사이의 메인 공압 라인(60)을 통하여 공압 장치(90.1, 90.2, 90.3, 90.4)로 공급되는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다른 압력 매체(tDM)는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를 통하여, 특히 흡입 라인(20)과 컴프레서 라인(21)을 통하여 흡입 연결부(0)로부터 사용 가능하며 또한 제 2 컴프레서 스테이지(31.2)로 공급되고, 이 압력 매체는 압력 매체 공급부(1)와 압력 매체 연결부(2) 사이의 메인 압력 라인(60)을 통하여 공압 장치(90.1, 90.2, 90.3, 90.4)로 공급되고 더 압축되는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 공압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는 낮아짐 과정을 위하여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열림(A1), 닫힘(A2) 또는 부분적인 닫힘(A3)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 공압 장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들어올려짐 과정을 위하여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열림(H1), 닫힘(H2) 또는 부분적인 닫힘(H3)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낮아짐 과정을 위하여, 압력 매체를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벤트 연결부(3)로 배출하는 동안에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열리며,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 1.2)에 가해진 가압된 압력 매체(gDM)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압력 매체(tDM)는 제 2 압력 매체 스테이지(31.2)로 전달 방향으로 전달되는 동안에 압력 매체를 컴프레서(31)를 통하여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 배출하는 동안에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닫히며, 그리고/또는 연속적으로 또는 적어도 동시에 간헐적으로 어떠한 순서로 압력 매체를 압력 매체 챔버에서 벤트 연결부(3)로 그리고 압력 매체 챔버에서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로 배출하는 동안에 특히 위에서 언급된 양 작동 모드의 참여로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작동하여 부분적으로 닫혀지는 방법.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들어올려짐 과정을 위하여, 압력 매체가 컴프레서(31)를 통하여 압력 매체 연결부(2)로 전달되는 동안에만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열리며, 그리고/또는 압력 매체가 갤러리(95)를 통하여 압력 매체 저장 컨테이너에서 압력 매체 챔버로 배출되는 동안에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닫히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매체 충진 연결부(1.1, 1.2)에 가해진 가압된 압력 매체(gDM) 그리고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압력 매체(tDM)가 연속적으로 또는 적어도 간헐적으로 동시에 제 2 압력 매체 스테이지(31.2)로 전달 방향으로 전달되는 동안에 특히 위에서 언급된 양 작동 모드의 참여로 압력 매체 공급 장치는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닫혀지는 방법.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부분적인 닫힘 들어올려짐 과정 및/또는 낮아짐 과정 중에 벤트 연결부(3)에 대한 벤팅 과정은 메인 공압 라인(60) 내의 드라이어(62)의 재생과 함께 일어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드라이어(62)의 재생 과정에서, 기준 압력 체적으로의 공압 장치 내에 존재하는 압력 체적의 감소가 일어나며, 부분적인 닫힘 들어올려짐 과정 및/또는 낮아짐 과정 동안에 제 1 컴프레서 스테이지(31.1)에 의하여 부가적으로 이송된 압력 체적의 적어도 일부는 특히 드라이어(62)의 재생을 위하여 사용된 방법.
KR1020147030269A 2012-03-30 2012-12-06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KR101993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6382.2 2012-03-30
DE102012006382A DE102012006382A1 (de) 2012-03-30 2012-03-30 Druckmittel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mittelversorgungsanlage
PCT/EP2012/005047 WO2013143566A1 (de) 2012-03-30 2012-12-06 Druckmittel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mittelversorgungs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813A true KR20140143813A (ko) 2014-12-17
KR101993497B1 KR101993497B1 (ko) 2019-09-27

Family

ID=4750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269A KR101993497B1 (ko) 2012-03-30 2012-12-06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73700B2 (ko)
EP (1) EP2831430B1 (ko)
JP (1) JP6114376B2 (ko)
KR (1) KR101993497B1 (ko)
CN (2) CN104204553B (ko)
DE (1) DE102012006382A1 (ko)
WO (1) WO2013143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1756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DE102014207509A1 (de) * 2014-04-17 2015-10-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Integrierte Luftversorgungseinheit
KR102348626B1 (ko) * 2014-08-22 2022-01-07 바브코 게엠베하 차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공압 회로
DE102014012645A1 (de) * 2014-08-22 2016-02-25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neumatikanlage
DE102014012646B4 (de) * 2014-08-22 2023-06-07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DE112015006246T5 (de) * 2015-05-29 2017-12-1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Luftfederungssystem
JP2017159760A (ja) * 2016-03-09 2017-09-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高制御システム
US10017025B2 (en) * 2016-03-18 2018-07-10 BeijingWest Industries Co., Inc.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with high flow exhaust mechanization
JP6396937B2 (ja) * 2016-03-22 2018-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圧力源装置、車高制御システム
DE102016003662B4 (de) * 2016-03-30 2023-06-22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JP6445489B2 (ja) 2016-06-17 2018-1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高制御システム
US10442267B2 (en) * 2016-10-24 2019-10-1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manifold exhaust noise on compressor start
US10596873B2 (en) 2017-02-09 2020-03-24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DE102017001710A1 (de) * 2017-02-22 2018-08-23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US10703159B2 (en) * 2017-05-04 2020-07-07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DE102017004359A1 (de) 2017-05-05 2018-11-08 Wabco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regelanlage mit einem mehrstufigen Kompressor, sowie Druckregelanlage
DE102017004338A1 (de) 2017-05-05 2018-11-08 Wabco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regelanlage in einem Fahrzeug sowie Druckregelanlage
DE102017004414A1 (de) * 2017-05-05 2018-11-08 Wabco Gmbh Drosselanordnung sowie Druckregelanlage mit einer derartigen Drosselanordnung
DE102017004369A1 (de) * 2017-05-05 2018-11-08 Wabco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regelanlage mit einem mehrstufigen Kompressor, sowie Druckregelanlage
DE102017004360A1 (de) * 2017-05-05 2018-11-08 Wabco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regelanlage mit einem mehrstufigen Kompressor, sowie Druckregelanlage
EP3685049B1 (en) * 2017-09-21 2023-11-15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Time-based power boost control system
DE102017011526A1 (de) * 2017-12-13 2019-06-13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zum Betreiben einer Pneumatikanlage, Verfahren und Fahrzeug
DE102017011527A1 (de) * 2017-12-13 2019-06-13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zum Betreiben einer Pneumatikanlage. Verfahren und Fahrzeug
KR102478656B1 (ko) * 2018-08-29 2022-12-15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서스펜션 장치
DE102019201444B4 (de) * 2019-02-05 2021-09-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uftfederungsanlage und eine Luftfederungsanlage
SE543270C2 (en) * 2019-03-01 2020-11-10 Freevalve Ab Pressure fluid handling system
CN110040439B (zh) * 2019-04-28 2021-03-02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型的综掘机刮板运输机液压系统
DE102019112214A1 (de) * 2019-05-10 2020-11-12 Wabco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Luftfederungsanlage eines Fahrzeugs
CN110939616B (zh) * 2019-11-29 2022-04-01 张巍 一种集成气路控制系统
EP3848211B1 (en) * 2020-01-08 2024-05-08 ZF CV Systems Europe BV Suspension control valve arrangement for a pneumatic suspension system of a commercial vehicle
CN111237276B (zh) * 2020-01-17 2022-03-04 安婷 一种集成气路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029746A1 (en) * 2021-01-19 2022-07-2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Electronically controlled protection valve
DE102021112382B3 (de) 2021-05-12 2022-05-12 Koenig & Bau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ruckluftversorgung wenigstens eines Druckluftverbrauchers einer Substrat ver- und/oder bearbeitenden Maschine sowie Maschine zur Ver- und/oder Bearbeitung von Substraten
US11787255B2 (en) * 2021-09-20 2023-10-17 Caterpillar Inc. Suspension system with individual ride height and dampening control
DE102022104326B4 (de) 2022-02-23 2023-11-02 Amk Holding Gmbh & Co. Kg Niveauregelsystem und Verfahren zur Niveauregelung für Fahrzeuge
DE102022106496A1 (de) 2022-03-21 2023-09-21 Zf Cv Systems Global Gmbh Drucklufterzeugungseinrichtung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Betreib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625A (en) * 1977-09-02 1980-07-22 Maschinenfabrik Augsburg-Nurnberg Aktiengesellschaft Pneumatically suspended bus
US6173974B1 (en) * 1999-09-28 2001-01-1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etecting jacking or hoisting of a vehicle having a suspension system that includes gas levelers
DE102008034240A1 (de) * 2008-07-23 2010-01-28 Wabco Gmbh Niveauregelanlage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Niveauregelanlage
DE102009008351A1 (de) * 2009-02-11 2010-08-1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versorgungssystem für Lastkraftwagenanhänger und Druckluftversorgungs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895A (en) * 1987-06-09 1989-08-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fluid suspension circuit with equalized supply and discharge speeds
DE19515895A1 (de) * 1995-04-29 1996-10-31 Bosch Gmbh Robert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Fahrzeug-Druckluftanlagen sowie Verfahren zum Steuern der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DE10038266B4 (de) * 2000-08-04 2004-07-0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ffüllen einer Luftfeder einer Niveauregelanlage über einen Lufttrockner
DE10231251C1 (de) * 2002-07-11 2003-08-14 Continental Ag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mit zwei Druckspeichern für Fahrzeuge
DE10303399B4 (de) * 2003-01-29 2013-08-29 Wabco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Luftfederungsanlage für ein Fahrzeug
DE102004025340A1 (de) * 2004-05-19 2005-12-15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Luftmengenregelung in einer geschlossenen Luftversorgungsanlage für ein Fahrwerk
DE102005028328A1 (de) * 2005-06-18 2006-12-21 Daimlerchrysler Ag Pneumatisches Federungssystem
DE102006048071A1 (de) * 2006-10-11 2008-04-17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Verfahren zur Parameter-Ermittlung der Anlage
DE102010054710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Kompressor,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DE102011083614A1 (de) * 2011-03-01 2012-09-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rocknerschaltung für eine pneumatische Regelvorrichtung eines Fahrzeu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625A (en) * 1977-09-02 1980-07-22 Maschinenfabrik Augsburg-Nurnberg Aktiengesellschaft Pneumatically suspended bus
US6173974B1 (en) * 1999-09-28 2001-01-1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etecting jacking or hoisting of a vehicle having a suspension system that includes gas levelers
DE102008034240A1 (de) * 2008-07-23 2010-01-28 Wabco Gmbh Niveauregelanlage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Niveauregelanlage
DE102009008351A1 (de) * 2009-02-11 2010-08-1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versorgungssystem für Lastkraftwagenanhänger und Druckluftversorgungs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27805A (zh) 2018-01-26
CN104204553A (zh) 2014-12-10
DE102012006382A1 (de) 2013-10-02
JP6114376B2 (ja) 2017-04-12
EP2831430A1 (de) 2015-02-04
WO2013143566A1 (de) 2013-10-03
EP2831430B1 (de) 2019-08-14
US20130255240A1 (en) 2013-10-03
US9273700B2 (en) 2016-03-01
KR101993497B1 (ko) 2019-09-27
JP2015518116A (ja) 2015-06-25
CN107627805B (zh) 2020-08-04
CN104204553B (zh)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3813A (ko)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US10865813B2 (e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 pneumatic installation
US8777246B2 (en) Compressed ai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US8876122B2 (en) Level control for vehicles having at least one air spring
US7552932B2 (en) Vehicle air-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20140000698A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
US10682894B2 (en) Air suspension system
US10668782B2 (en) Dryer regeneration method for air suspension system
US10960724B2 (e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for operating a pneumatic installation, method and vehicle
US11052717B2 (en) Suspension system
US20190100070A1 (en) Air suspension apparatus
US10875376B2 (en) Air suspension system
CN106574645B (zh) 用于乘用车空气悬挂系统的气动线路
JP6701718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11433730B2 (en) Air suspension apparatus
US20210190102A1 (en) Compressed-air supply system for operating a pneumatic installation, method and vehicle
US10967697B2 (en) Air suspension system
CN105307914A (zh) 驻车制动装置
CN220594586U (zh) 一种气体供给系统及具有该气体供给系统的空气弹簧系统
EP4163167B1 (en) Commercial vehicle comprising a pneumat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neumatic system
KR100712353B1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의 폐회로 에어 공급장치
JPS59130718A (ja) 車高調整装置
KR100726570B1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의 긴급 차고 상승 장치
CN115946491A (zh) 用于车辆高度调节的供气系统和供气方法
KR20180039382A (ko) 에어 현가 공압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