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626B1 - 차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공압 회로 - Google Patents

차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공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626B1
KR102348626B1 KR1020167036181A KR20167036181A KR102348626B1 KR 102348626 B1 KR102348626 B1 KR 102348626B1 KR 1020167036181 A KR1020167036181 A KR 1020167036181A KR 20167036181 A KR20167036181 A KR 20167036181A KR 102348626 B1 KR102348626 B1 KR 102348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ng
connection
valve
contro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609A (ko
Inventor
마크-미셸 보데트
프랑크 마이스너
Original Assignee
바브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4012680.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4012680B4/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4012609.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4012609B4/de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브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4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5Filling or draining of flui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4Removal or measurement of undissolved gas, e.g. de-aeration, venting or blee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8Arrangements for compressed air preparation, e.g. comprising air driers, air condensers, filters, lubricators or pressure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02Supply or exhaust flow rates; Pump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3Distributor valve unit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e.g. valves, pump or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60G2500/2044Air exhaus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5Air-compresso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05Non-return valves, i.e.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0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09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up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36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up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using unloading valves controlling the supply pressure by diverting fluid to the retur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2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528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에 관한 것으로서 이 설비는 압축 공기 공급부(1), 공압 유니트(90)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부(2) 및 주변 환경에 대한 벤팅 연결부(3) 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를 포함하되, 주 공압 라인(60)은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 형성되며, 벤팅 라인(70)은 제1 및 제2 벤팅 밸브 연결부(73X, 73Y)를 통하여 연결된 벤팅 밸브(73)를 갖고 압축 공기 연결부(2)와 벤팅 밸브 연결부(3) 사이에 형성되고, 벤팅 밸브(73)는 공압 연결부에서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에 의하여 제어 밸브(74)에 연결된 제어 연결부(73Z)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그리고 벤팅 밸브(73)는 제1 및 제2 스위칭 상태를 갖고, 그리고 제어 밸브(74)는 제1 및 제2 스위칭 상태를 가지며 또한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 형태로서 구현되고, 여기서, 공압 제어 라인(120)은 벤팅 밸브(73)의 제1 및/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에 의하여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 그리고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공압 회로{PNEUMATIC CIRCUIT FOR PASSENGER CAR PNEUMATIC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공압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 청구항 제21항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청구항 제22항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 그리고 청구항 제24항에 따른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압축 공기를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모든 종류의 차량 내에 사용된다.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또한 차고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차고 높이 조절 장치는 차량 차축과 차체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압 시스템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다수의 공기 벨로우즈를 포함하며, 이 공기 벨로우즈는 공통 라인(갤러리)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공기로 점차적으로 채워짐에 따라 차체를 들어올리고 또한 상대적으로 채워짐이 감소함에 따라 차체를 낮춘다. 차량 차축과 차체 간의 거리 또는 최저 지상고가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 이동이 길어지고 그리고 차체와의 접촉 없이 지면의 더 큰 불균일도 극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갈수록 전지형 만능차 및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차량에 우선적으로 사용 중에 있다.
성능 차량, 특히 SUV의 경우, 차량에 한편으로는 높은 도로 속도를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최저 지상고를 제공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오프로드 사용을 위하여 비교적 높은 최저 지상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고 지상고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변경하는 것이 또한 바람하며, 이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응답성, 유연성 그리고 신뢰성에 관한 요구를 증가시킨다.
압축 공기 설비의 장시간의 가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압축 공기 설비의 주 공압 라인은 공기 드라이어를 포함하며, 이 공기 드라이어는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공압 시스템 내에 수분이 수집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분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밸브에 손상을 입히는 결정체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더욱이 압축 공기 공급 설비 내 그리고 공압 유니트 내에서의 원하지 않는 결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공기 드라이어는 건조제, 일반적으로 과립 충전제를 포함하며, 압축 공기를 이 건조제를 통과하여 과립 충전제는 압축 공기 내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공기 드라이어는 가능하게는 재생 공기 드라이어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공압 유니트, 특히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부터의 건조된 압축 공기를 각 벤팅 사이클 내에서 - 충전제 방향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역류로 그러나 때로는 동시 흐름으로- 과립 충전제를 통하여 흐르게 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과립이 수분을 발산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공기 건조기의 재생은 공기 드라이어 상의 교번 압력을 통해 실질적으로 제공되며, 여기서 재생 중에 퍼져있는 압력은 흡착 동안의 압력보다 규칙적으로 낮다. 이 목적을 위하여 벤팅 밸브 장치는 개방될 수 있으며, 공기 드라이어의 재생 용량은 압축 공기 공급 설비에서의 압력비 및 교번 압력 진폭의 함수로서 규칙적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소위 교번 압력 흡수를 위하여, 또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를 유연하게 그리고 동시에 신뢰성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입증되어 왔다. 이 목적은 특히, 공기 드라이어의 재생을 위하여 충분하게 높은 교번 압력 진폭을 갖는 비교적 낮은 공기 압력(즉, 재생 동안)을 제공하는 반면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는 상대적으로 신속한 벤팅을 허용하는 것이다.
최근의 선행 기술은 위에서 언급된 압축 공기 공급부와 위에서 언급된 공압 유니트 사이에 공압 연결부를 구성하려는 매우 다양한 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공압 유니트를 벤팅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기본적인 기능을 고려한다. 그러나, 공기 드라이어의 재생에 충분하지만, 낮은 그리고/또는 최대 공기 압력 또는 교번 압력 진폭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벤팅을 위한 위에서 언급된 필요성과 관련하여 여전히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가능하게 한다.
본 출원인의 DE 35 42 974 A1는 차량을 위한, 공기 필터를 구비한 지상고(ride-height) 제어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공기 스프링을 채움에 의하여 또는 공기 스프링을 비움에 의한 차량 로딩의 함수로서 차량 차축으로부터 차량 셀의 설정된 거리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장치는 공기 스프링 내의 압력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안전 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설비에서, 채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한기 및 체크 밸브를 통해 공기 드라이어의 재생은 가능하다. DE 35 42 974 A1에서의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성공적인 것으로 오랫동안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지만, 아직 개선될 수 있다. 이 설비가 압축 공기 공급 설비와 공압 시스템을 분리하기 위해 제1 체크 밸브를 사용함에 의하여 공기 드라이어의 재생시 압축 공기를 또한 절감하기에 유리하게 적당할지라도, DE 35 42 974A1에 개시된 본 출원인의 설비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그리고 빠른 압축 공기 처리를 요구하는 진보된 응용을 위하여 그 범위가 제한된 것으로 입증되고 있음이 보여지고 있다.
공지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특히 전력 수요 및 /또는 음향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히, 공기 드라이어의 재생 태양에 관하여 제한기의 공칭 직경이 제한되며 이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공기 흐름 속도에 그리고 그에 따라 그의 융통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명백하다. 한편, 공칭 직경의 단순한 조정은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전력 수용 및 음향에 광범위하게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DE 10 2010 054 704 A1는 공기 공급부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컴프레서를 갖는, 공압 유니트의 작동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를 설명한다. 벤팅 라인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벤팅 밸브 장치 및 벤팅 연결부를 가지며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 라인은 공압 유니트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드라이어 및 압축 공기 연결부를 갖는다. 여기서, 공기 드라이어는 건조제를 함유한 건조 용기를 포함하며, 압축 공기는 건조제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직접적으로 제어된 벤팅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로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제어 라인을 통하여 작동될 때 모든 압축 공기 체적의 직접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벤팅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의 단일 밸브는 부가적인 제어 밸브의 필요 없이 공압 유니트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신속한 또한 유연한 벤팅을 허용한다. 이것은 주로 소형의 압축 공기 공급 설비를 제공하지만, 개선된 음향 및/또는 공기 드라이어의 재생을 위한 유리한 근거로서, 이 개념은 특히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비록 압축 공기 공급 설비 내에 공압 유니트의 갤러리가 압축 공기 공급 설비로부터 차단될 수 있어 공기 드라이어의 체적을 동시에 채우지 않고서도 공압 유니트 내의 솔레노이드 밸브 블록 요소를 전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구성조차도 여전히 개선될 수 있다.
DE 10 2011 109 500 A1는 본질적으로 특히 유익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를 개시하며, 여기서 주 공압 라인 내의 격리 밸브는 공압적으로 해제 가능한 체크 밸브로서 형성된다. 개발안에서, 이중 릴레이 피스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릴레이 피스톤은 체크 밸브가 해제될 수 있는 반면에 동시에 벤팅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가 그의 스위칭 시 유연하도록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높은 제어 성능 및/또는 소음 감소와 함께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압축 공기 공급 설비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개선을 나타내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및 공압 유니트의 작동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설명된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다루려고 시도한다. 특히, 개선된 음향 거동을 달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적어도 이 목적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해결책에 대하여 대안적인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신뢰성이 있으면서도 유연하며, 그리고 필요한 경우 신속한 작동 모드가 바람직하게 제공되어야 하며, 여기서 압축 공기 공급 설비 및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작동 방법은 특별하게 간략화된 방식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독립청구항 제1항에 따른 공압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 청구항 제21항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청구항 제22항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 그리고 청구항 제24항에 따른 차량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를 포함한다. 공압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 압축 공기 공급부, 공압 유니트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부 및 주변 환경에 대한 벤팅 연결부 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를 포함하되, 여기서
- 주 공압 라인은 압축 공기 공급부와 압축 공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며,
- 제1 및 제2 벤팅 밸브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벤팅 밸브를 갖는 벤팅 라인은 압축 공기 연결부와 벤팅 밸브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고,
- 벤팅 밸브는 공압 연결부에서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에 의하여 제어 밸브에 연결된 제어 연결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 벤팅 밸브는
- 벤팅 밸브의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1 벤팅 밸브 연결부와 제2 벤팅 밸브 연결부 사이에서 벤팅 연결부에 대하여 폐쇄되며, 그리고
- 벤팅 밸브의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제1 벤팅 밸브 연결부와 제2 벤팅 밸브 연결부 사이에서 벤팅 연결부에 대하여 개방되고,
- 벤팅 밸브의 제어 연결부가 압력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벤팅 밸브를 벤팅 밸브의 제1 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벤팅 밸브의 다른 스위칭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제어 밸브는,
-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 사이에서 제어 연결부에 대하여 폐쇄되며,
제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 사이에서 제어 연결부에 대하여 개방되고; 그리고
- 제어 밸브는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의 형태로서 구현되고,
-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은 벤팅 밸브의 제1 및/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에 의하여 벤팅 연결부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21항의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 및 공압 유니트, 특히 교통수단, 바람직하게는 특히 갤러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공기 서스펜션 시스템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분기 라인은 갤러리에, 벨로우즈 및/또는 리저버에 그리고 벨로우즈 및/또는 리저버의 상류에 배치된 방향 제어 밸브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22항에 따른 본 발명의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작동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 주 공압 라인 내의 압력으로부터 제어 릴레이 라인을 격리시키기 위하여,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 사이에서 제어 연결부에 대하여 폐쇄된 제1 스위칭 상태로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가 전환된 공압 유니트의 벤팅; 및
- 제어 릴레이 라인이 압력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 사이에서 제어 연결부에 대하여 개방된 제2 스위칭 상태로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가 전환된 공압 유니트의 벤팅을 포함하며,
- 여기서 제어 밸브의 제1 및/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의 제어 릴레이 라인은 부가적인 벤팅 라인을 통하여 벤팅 연결부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을 갖는 청구항 제24항의 차량, 바람직하게는 다용도 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과도하게 빠른 압력 강하로 인하여, 높은 압력 하에서, 체적, 예를 들어 공기 드라이어 또는 공압 유니트의 벤팅시, 벤팅 폭발음(venting report) 형태의 높은 음향적 문제(acoustic nuisance)가 주변 환경에 부과된다는 고려로부터 비롯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발견에 따르면, 과도하게 급격한 압력 강하 및/또는 높은 초기 압력 진폭이 높은 소음 수준의 주요 원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소음 레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결과적으로 주로 벤팅 밸브의 설계 자료 및 구성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고려로부터 비롯된다.
본 발명은 제어 압력을 높이는 (pick up) 벤팅 밸브의 공압적 제어를 기초로 한 개념을 제안한다. 적어도 제어 변수가 벤트될 압력의 크기의 함수로서 달라지기 때문에 이 개념은 일부 양태에서는 더 우수하지만, 어쨌든 일부 양태에서는 대안으로서 더 적절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제어 압력이 벤팅 밸브를 공압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벤팅 밸브의 초기 벤팅 위상을 연장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벤팅 폭발음을 야기하는 폭발적인 초기 벤팅을 방지한다는 점을 인식한다.
이 결과에서 기인하여, 본 발명의 개념은 벤팅 밸브 및/또는 제어 밸브의 제1 그리고 제2 스위칭 상태에서의 제어 릴레이 라인이 부가적인 벤팅 라인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에 의하여 벤팅 연결부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청구항의 대상을 형성하며 그리고 장치 그리고 방법 및 차량을 특정한다. 특히, 바람직한 개발안은 종속청구항의 대상물을 형성하고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장치/방법이 전술한 목적의 맥락에서 그리고 다른 이점을 위하여 실행될 수 있는 그리고 개발될 수 있는 유리한 가능한 방법을 자세하게 지시한다.
공기 공급 설비의 개선안에서, 부가적인 제한기는 바람직하게는 부가적인 벤팅 라인 내에 배치된다. 이 개발안에서, 부가적인 제한기 또는 부가적인 제한기 밸브는 부가적인 벤팅 라인 내의 국부적인 수축부, 특히 부가적인 벤팅 라인의 흐름 횡단면의 국부적인 수축부로서 제공된다. 이는 이를 따라 흐르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훨씬 더 바람직한 개발안에서, 부가적인 제한기는 개방 또는 폐쇄 루프 제어를 갖는 제한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적절한 개발안에서, 부가적인 제한기는 1밀리미터보다 적은 그리고 0밀리미터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부가적인 제한기는 제어된 또는 제어되지 않은 제한기로서 구현되며 그리고 1밀리미터의 최대 직경을 갖는 국부적인 수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러면 부가적인 제한기는 바람직하게는 제1 제한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되, 제1 제한기는 주 공압 라인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이 제한기를 통하여 벤트되며- 벤팅 밸브는 개방된다. 예를 들어, 부가적인 제한기는 0.9㎜의 직경을 가지며 그리고 주 공압 라인 내의 제1 제한기는 1.2 ㎜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바람직한 개발안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제2 벤팅 밸브 연결부와 벤팅 연결부 사이에서 벤팅 라인의 부분에 그리고/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이 유리한 개발안에서, 벤팅 밸브의 스위칭 상태에 관계없이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특히 벤팅 연결부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벤팅 연결부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에 항상 공압적으로 연결, 즉 흐름에 개방되며, 따라서 벤팅 밸브의 스위칭 상태에 관계없이 벤팅 밸브가 폐쇄될 때 부가적인 벤팅 라인 그리고 -부가적인 벤팅 라인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제어 릴레이 라인은 벤트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압축 공기/압력이 제어 릴레이 라인에서 내려갈 수 있기 때문에 공압 유니트의 벤팅 과정을 따르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바람직한 개발안에서, 제어 밸브의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와 벤팅 밸브의 제어 연결부 사이의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은 제어 압력을 받을 수 있는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으로서, 특히 벤팅 밸브의 릴레이 피스톤을 위한 릴레이 피스톤 제어 라인으로서 구현된다. 여기서 벤팅 밸브는 릴레이 피스톤을 포함하며, 이 릴레이 피스톤은 제어 릴레이 라인을 통하여 제어 압력을 받으며, 가압될 때 벤팅 밸브를 -밸브 스프링에 의하여 유지된- 제1의 폐쇄된 밸브 위치에서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한 -제어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2 밸브 위치로 전환시킨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어 밸브는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2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며,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릴레이 라인은 (제어) 압력을 받으며 그리고 벤팅 밸브는 개방된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바람직한 개발안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릴레이 피스톤 내의 또는 벤팅 밸브의 벤팅 밸브 하우징 내의 개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개발안에서, 개구(여기서, 압축 공기는 이 개구를 통하여 벤팅 연결부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로 또는 이 연결부로부터 흐를 수 있다)는 릴레이 피스톤 내에 또는 벤팅 밸브의 벤팅 밸브 하우징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특히 설계 면에서 실행하기 쉬우며 그리고 기존 시스템, 특히 기존 압축 공기 공급 설비에서 최소한의 간섭만을 필요로 한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개발안에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벤팅 밸브의 릴레이 피스톤 내의 보어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을 형성하는 개구는 벤팅 밸브의 릴레이 피스톤 내의 보어로서 형성된다. 이 개발안은 특히 설계 면에서 실행하기 용이하다.
바람직한 개발안은 시일(seal)이 제공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이 시일은 벤팅 밸브의 제1 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개구 또는 보어를 밀봉하고 그리고 폐쇄한다. 이 개발안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폐쇄되고 그리고 밀봉되는 반면에, 릴레이 피스톤은 벤팅 밸브의 제1 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1 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벤팅 밸브는 공압 유니트의 벤팅을 위하여 개방된다. 여기서, -릴레이 피스톤의 변위를 통하여- 시일은 부가적인 벤팅 라인의 유입구를 폐쇄시킨다. 벤팅 밸브가 특히 폐쇄 위치로의 릴레이 피스톤의 변위를 통하여 폐쇄 스위칭 상태로 복귀되면,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다시 개방되며, 따라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 자체 그리고 공압적으로 연결된 제어 릴레이 라인 또한 벤트될 수 있다.
유리한 개발안은 개구가 벤팅 밸브의 벤팅 밸브 하우징 내의 구멍으로서 형성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구멍은 특히 벤팅 밸브의 릴레이 피스톤의 밸브 리프트의 부분적인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특별하게 유리한 개발안은 제어 밸브가 솔레노이드 제어 밸브로서 구현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제어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밸브로서 구현된다. 여기서 제어 밸브는 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 제어 라인을 통하여 제어 밸브의 코일(솔레노이드)로 전달된, 예를 들어 전압 및/또는 전류 신호 형태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어 밸브는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 사이에서 폐쇄된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 사이에서 개방된 제2 스위칭 상태로 전환된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개발안에서, 제어 밸브의 제1 스위칭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비공급 (unenergized) 스위칭 상태이며, 그리고 제2 스위칭 상태는 에너지 공급 (energized) 스위칭 상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제어 밸브의 제1 스위칭 상태가 또한 에너지 공급 상태일 수 있으며, 제어 밸브의 제2 스위칭 상태가 에너지 비공급 스위칭 상태일 수 있다.
일부 개발안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피드백 라인으로 구현되며, 여기서 피드백 라인은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에 그리고 벤팅 밸브의 제2 제어 연결부에 연결된다.
변형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벤팅 밸브의 벤팅 연결부의 경우, 벤팅 연결부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또 다른 벤팅 라인의 연결부가 특히 제공된다.
일부 개발안의 변형에서, 제2 제어 연결부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제어 압력 부분(pressure fraction)을 받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제2 제어 압력 부분은 제1 제어 연결부의 제1 제어 압력 부분에 더하여 작용한다.
한 개발안 변형에서, 특히 제2 제어 연결부는 역제어 연결부로서 구현되며, 이 역제어 연결부는 제2 제어 압력 부분을 받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제2 제어 압력 부분은 제1 제어 연결부의 제1 제어 압력 부분에 더하여 제한된 시간 동안 그리고 제1 제어 연결부의 제1 제어 압력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특히 피드백 라인으로서 벤팅 밸브의 벤팅 후방 공간에 그리고 벤팅 연결부에 그리고/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또 다른 벤팅 라인은 또 다른 제2 벤팅 분기 연결부에 의하여 벤팅 라인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벤팅 라인은 특히 벤팅 밸브의 벤팅 연결부 내의 벤팅 후방 공간에 연결되며, 이는 벤팅 밸브와 제1 벤팅 분기 연결부 사이에서 또 다른 제2 벤팅 분기 연결부에 의하여 벤팅 라인에 연결된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에서, 벤팅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압력을 받을 수 있는 릴레이 피스톤에 의하여 형성되되, 여기서 제어 압력은 제어 밸브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그리고 릴레이 피스톤은 벤팅 밸브를 특히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벤팅 밸브는 공압적으로 작동되는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로서 구현된다.
여기서, 릴레이 피스톤은 제어 챔버를 향하는 제1 제어면 및 벤팅 후방 공간을 향하는 제2 제어면을 포함하되, 제1 및 제2 제어면은 제1 제어 압력 부분 그리고 제2 제어 압력 부분을 반대로 받아들이기 위하여 배치되고, 제1 및 제2 제어 압력 부분은 릴레이 피스톤 제어 라인으로부터 얻어진다.
특히 바람직한 개발안에서, 전체 벤팅 과정, 바람직하게는 벤팅 과정의 시작에서의 제한된 시간 범위에 국한될지라도; 벤팅 밸브의 릴레이 피스톤은 릴레이 피스톤의 양 측부 상에서 압력을 양방향으로 받으면서, 압력 변수(pressure variable) 는 제어 압력으로부터, 즉 제어 압력 부분의 제1 제어 압력 부분 변수를 받기 위한 제1 제어면 그리고 제어 압력 부분의 제2 제어 압력 부분 변수를 받기 위한, 제1 제어면과 서로 마주하는 제2 제어면으로부터 얻어진다.
비유적으로 설명하면, 릴레이 피스톤은 양 방향, 특히 간략하게는 초기 단계에서는, 즉 양방향으로 가압된 실린더가 되고, 따라서 벤팅 과정에서 릴레이 피스톤이 개방될 때 결과적인 지연은 요구에 비례한 부수적인 제어 공기의 재분배로 이어져 공기 드라이어의 더 느린 개방 과정을 야기한다. 이 지연은 어떠한 벤팅 폭발음을 현저하게 약화시키기에 그리고 벤팅 과정에서 전체 소음 환경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하다. 특히, 또 다른 벤팅 라인은 릴레이 피스톤이 작동될 때 벤팅 밸브의 벤팅 후방 공간을 벤팅하도록 설계되며, 그리고 특히, 또 다른 벤팅 라인은 릴레이 피스톤이 작동될 때 벤팅 밸브의 벤팅 후방 공간을 벤팅하도록 설계되며, 그리고 또 다른 벤팅 라인은 제3 제한기에 의하여 압축 공기의 통과를 제한하고, 벤팅 후방 공간으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한정된 통과로 인하여, 작동될 때의 릴레이 피스톤의 이동 또한 약화된다.
부분적으로 나타내어진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 도면들이 개략적으로 그리고/또는 약간 왜곡된 형태로 제공되는 대신에 실시예를 일정한 비율로 나타내는 것을 반드시 의도하지는 않는다. 도면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부여된 기술을 보완할 목적으로 본 기술 분야의 관련 기술을 참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유념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그리고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한 어떠한 조합 형태로 본 발명의 개발에 필수적 일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또는 청구범위에 개시된 특징 중 적어도 2개의 모든 조합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사상은 이하에서 나타내어지고 그리고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확한 형태 또는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거나, 청구범위에 청구된 대상물과 비교하여 제한될 대상물에 한정된다. 규격의 범위가 인용되는 경우, 명시된 범위 내에 있는 값은 한계값으로 개시되며 그리고 선택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청구 가능하다. 간략화의 목적에 적합한 경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 또는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특징 및 세부 구조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하기 도면으로부터 나타난다.
도 1은 압축 공기 공급 설비, 특히 예를 들어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설비,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설비,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설비,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설비,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밸브 장치의 가능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
도 6b는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적인 영역, 특히 벤팅 밸브의 부분적인 영역의 개략적인 도면.
도 6c는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적인 영역, 특히 벤팅 밸브의 부분적인 영역의 개략적인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위한 가능한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개발 중인 변형에 따른 도 2의 실시예를 특히 유리하게 보완하는, 제1의 특별하게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개발 중인 변형에 따른 도 3의 실시예를 특히 보완하는, 제2의 특별하게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개발 중인 변형에 따른 도 4의 실시예를 특히 보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특별하게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릴레이 피스톤 상에서 에어 쿠션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 8 및 도 10과 비교된 변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다른 특별하게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릴레이 피스톤 상에서 에어 쿠션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 8 및 도 10과 비교된 변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또 다른 특별하게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특징 또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하여 확인된다.
도 1은 예를 들어,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제시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는 공압 유니트(90)에 연결된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와 공압 유니트(90)는 함께 공압 시스템을 형성한다.
도 1은 또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를 도시하며, 이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압축 공기 공급부(1) 및 공압 유니트(90)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부(2)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 공기 공급부(1)는 모터(51)에 구동되는 에어 컴프레서(50)를 통하여 흡기 라인을 통하여 공기 공급 연결부(0)에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모터(51)는 에어 컴프레서(50)의 컴프레서를 구동한다.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의, 공압 유니트(90)로의 주 공압 라인(60)으로 제1 공압 연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압축 공기를 세정 그리고 건조시키기 위한 공기 드라이어(61)가 주 공압 라인(60)에 제공된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는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 그리고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제어 밸브(74)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어 밸브는 3/2-웨이 방향 제어 밸브의 형태로서 구현된다. 제어 밸브(74)는 3개의 연결부(74A, 74B 및 74C),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그리고 벤팅 연결부(74C)를 갖고 형성된다. 여기서, 제어 밸브(74)는 공압 제어 라인(110)을 통하여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에, 주 공압 라인(60)에 그리고 벤팅 연결부(74C)를 통하여 벤팅 라인(70)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어 밸브(74)는 제어 릴레이 라인(120)을 통해 제어 밸브(74)의 제어 압력 입력부(74A)를 통하여 벤팅 밸브(73)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3/2-웨이 방향 제어 밸브(74)는 2가지의 스위칭 상태, 즉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폐쇄되고 그리고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벤팅 연결부(74C)에서 개방된 제1의 에너지 비공급 스위칭 상태(unenergized switching state) 및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개방되고 그리고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벤팅 연결부(74C)에서 폐쇄된 제2의 에너지 공급 스위칭 상태(energized switching state)를 갖는다. 제어 밸브(74)는 전기 제어 라인(83)을 통해 코일로 전달된 전압 및/또는 전류 신호 형태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어 밸브(74)를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2 스위칭 상태로 전환시킨다.
-전압 및/또는 전류 신호에 의하여- 작동될 때, 제어 밸브(74)는 제1의 에너지 비공급 스위칭 상태에서 제2 스위칭 상태로 전환된며, 여기서 제2 스위칭 상태는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개방되어, 따라서 제어 압력은 제어 라인(110)과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을 통하여 주 공압 라인(60)으로부터 얻어지며 그리고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를 제어하기 위한, 특히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으로서 전달된다. 제어 압력은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특히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따라서 벤팅 밸브(73)는 개방된다.
벤팅 밸브(73)는 제1 벤팅 밸브 연결부(73X)와 제2 벤팅 밸브 연결부(73Y) 사이에서 벤팅 연결부(3)에 대하여 벤팅 라인(170)을 통하여 폐쇄된 제1 스위칭 상태; 및 제1 벤팅 밸브 연결부(73X)와 제2 벤팅 밸브 연결부(73Y) 사이에서 벤팅 연결부(3)에 대하여 벤팅 라인(170)을 통하여 개방된 제2 스위칭 상태를 갖는다.
제어 밸브(74)를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2 스위칭 상태로, 즉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의) 제1의 에너지 비공급 폐쇄 상태에서 제2의 에너지 공급 개방 상태로 전환시킴에 의하여, 벤팅 밸브(73)는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2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며,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부(1)와 벤팅 연결부(3)는 그러면 개방된 벤팅 밸브(73)를 통하여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 특히 공압 유니트(90)는 벤트될 수 있다.
공압 유니트(90)가 벤트되면, 제어 밸브(74)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제1 스위칭 상태로 복귀된다.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벤팅 연결부(74C) 사이에서 개방된 제어 밸브의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어 릴레이 라인(120) 내의 제어 압력은 다른 벤팅 라인(170)를 통하여 벤트될 수도 또는 내려갈 수 있다.
도 2는 공압 유니트(90)에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간략화된 개략적인 도면이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와 공압 유니트(90)는 함께 공압 시스템을 형성한다. 나타난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는 공압 유니트(9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공지된 본 기술 분야(도 1 참조)와 달리 3/2-웨이 방향 밸브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2/2-웨이 방향 밸브(74) 및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를 갖고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를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압축 공기 공급부(1), 압축 공기 연결부(2) 그리고 벤팅 연결부(3)를 포함한다. 더욱이 주 공압 라인(60)은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압축 공기 연결부(2)와 그리고 벤팅 연결부(3) 사이에 벤팅 라인(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공압 연결부는 공압 유니트(90)에 대한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공급부(2) 사이의 주 공압 라인(60)을 갖고 형성된다. 공기 드라이어(61) 그리고 분리 밸브가 주 공압 라인(60)에 배치된다. 여기서, 분리 밸브는 제1 공압 체크 밸브(63.1)로서 형성된다.
주 공압 라인(60)과 벤팅 라인(70)은 벤팅 밸브(73) 그리고 대응하는 공압 연결부에 의하여 공압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주 공압 라인(60)은 벤팅 밸브(73) 상의 제1 벤팅 밸브 연결부(73X)를 통하여 벤팅 밸브(73)에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벤팅 밸브(73) 상의 제2 벤팅 밸브 연결부(73Y)를 통하여 벤팅 라인(70)에 연결된다.
또한, 벤팅 밸브(73)는 제어 연결부(73Z)를 포함하며, 이 제어 연결부는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을 통하여 제어 밸브(74)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벤팅 밸브(73)는 압력 리미터(75; pressure limiter)를 부가적으로 구비하며, 압력 리미터(75)는 벤팅 밸브(75)의 제어 연결부(73Z) 상의 제어 압력을 제한한다.
제어 밸브(74)는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 형태로 구현되며, (여기서) 이 밸브는 제1의 에너지 비공급 스위칭 상태에서 제어 연결부(73Z)에 대하여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폐쇄되고 그리고 제2의 에너지 공급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어 연결부(73Z)에 대하여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개방된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는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부가적인 제한기(160C; restrictor)에 의하여 제한된다. 부가적인 제한기(160C) 또는 부가적인 제한 밸브는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 내의 국부적인 수축부, 특히 부가적인 벤팅 라인(16.B)의 흐름 횡단면의 국부적인 수축부이다. 제한기는 이를 통하여 흐르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도시되지 않은 개발안에서,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또한 조절 가능한 제한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바람직하게는 1밀리미터의 최대 직경을 갖는 국부적인 수축부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지 않은) 제1 제한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여기서 제1 제한기는 주 공압 라인(60)에 배치되며 그리고 -벤팅 밸브가 개방될 때-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제1 제한기를 통하여 벤트된다. 예를 들어,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0.9㎜의 직경을 가지며 그리고 주 공압 라인(60) 내의 제1 제한기는 1.2㎜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 (실시예에 따라) 벤팅 밸브(73)의 제1 및/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을 벤팅 라인(70)에 공압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에 의하여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연결된다.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여기서 벤팅 밸브(73)의 제1 그리고 또한 제2 스위칭 상태 모두에서 개방된다.
여기서, 제어 밸브(74)의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와 벤팅 밸브(73)의 제어 연결부(73Z) 사이에 형성된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특히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을 위한 릴레이 피스톤 제어 라인으로서 제어 압력을 받을 수 있는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으로서 형성된다.
제어 밸브(74)는 전자 제어 라인(83)을 통하여 제어 밸브(74)의 코일에 전달된 전압 및/또는 전류 신호 형태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밸브는 벤팅 밸브(73)의 제어 연결부(73Z)에 대하여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폐쇄된 제1 스위칭 상태에서 벤팅 밸브(73)의 제어 연결부(73Z)에 대하여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개방된 제2 에너지 공급 스위칭 상태로 에서는 전환된다. 제어 밸브(74)의 제2 스위칭 상태에서는, 벤팅 밸브(73)의 제어 연결부(73Z)에 압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그리고 벤팅 밸브(73)를 벤팅 밸브(73)의 제1 또는 제2의 폐쇄 스위칭 상태에서 벤팅 밸브(73)의 다른 스위칭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제어 밸브 라인(12)에는 주 공압 라인(60)으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공압 제어 라인(110)을 통하여 작용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 밸브(74)의 작동은 공압 유니트(90)의 벤트를 위하여 벤팅 밸브(73)를 개방하는 역할을 (간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다른 공압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130)을 더 포함하며, 이 공압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은 주 공압 라인(60)을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에 연결한다. 차단 밸브(79) 또는 제한기 그리고 제2 체크 밸브(63.2)는 주 공압 라인(60)과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 사이의 다른 공압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130) 내에 배치된다. 이하에서 설명된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그리고 도 3 내지 도 7e에서 차단 밸브(79)로서 지시된 구성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정한 또는 조절 가능한 횡단면을 갖는 제한기이다.
도 3은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는 도 2에 나타난 예시적인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은 -부가적인 제한기(160C')에 의하여 제한된- 다른 공압적인 부가 벤팅 라인(160B')이 벤팅 밸브(73)를 통하여 이어진다는 점이다. 여기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제1의 부가적인 벤팅 밸브 연결부(73A)를 통하여 제어 릴레이 라인(120)에 그리고 제2의 부가적인 벤팅 밸브 연결부(73B)를 통하여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벤팅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개발 형태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릴레이 피스톤 내의 또는 벤팅 밸브(73)의 하우징 내의 개구 형태로 구현된다. 여기서 압축 공기는 그러면 릴레이 피스톤 내의 개구를 통하여 또는 벤팅 밸브의 벤팅 밸브 하우징 내의 개구를 경유하여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로 흐를 수 있거나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특히 설계 면에서 실행하기 쉬우며 그리고 기존의 시스템, 특히 기존의 압축 공기 공급 설비에서 최소한의 설계 개입만을 필요로 한다. 부가적인 벤팅 라인을 형성하는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릴레이 피스톤 내의 보어 또는 벤팅 밸브의 하우징 내의 구멍 형태로 구현된다.
도 4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 및 에어 서스펜션 형태의 공압 유니트(90)를 갖는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 경우에 에어 서스펜션은 전부 4개의 소위 벨로우즈(91)를 포함하며, 이 벨로우즈는 각각이 차량(도시되지 않음)의 휠에 할당되고 또한 차량의 에어 스프링을 형성한다. 또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벨로우즈(91)를 위하여 이용 가능한 압축 공기를 신속하게 저장하기 위한 리저버(92)를 포함한다. 각 경우에 벨로우즈(91)를 갖고 형성된 에어 스프링의 개폐를 위한 차고 높이 조절 밸브 역할을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93)는 스프링 분기 라인(98) 내의 각 벨로우즈(91)의 상류에 배치된다. 스프링 분기 라인(98) 내의 솔레노이드 밸브(93)는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로서 구현된다. 다른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 형태의 그리고 리저버 밸브 역할을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94)는 리저버 분기 라인(99) 내의 리저버(92)의 상류에 배치된다. 솔레노이드 밸브(93, 94)는 스프링 및 리저버 분기 라인(98, 99)에 의하여 공통 수집 라인, 갤러리(95)-형성 공압 라인에 연결된다. 공압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갤러리(95)는 다른 공압 라인(96)을 통하여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의 압축 공기 연결부(2)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밸브(93, 94)는 5개의 밸브를 갖는 밸브 블록(97) 내에 배치된다. 도 4에서는 에너지 비공급 상태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93, 94)가 도시된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93, 94)는 정상적으로 폐쇄된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된 실시예는 솔레노이드 밸브(93, 94)가 다른 배치를 실행할 수 있다-밸브 블록에서 더 적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특히, 이하에서 차단 밸브로서 설명된 체크 밸브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의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한 실시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밸브는 또한 공압 유니트(90) 내에, 예를 들어 밸브 블록(97) 내에 또한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공압 유니트(90)는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나타나있지 않은 전압/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센서는 나타나 있지 않은 부가적인 분가 라인 내에서 갤러리(95)에 연결될 수 있어, 따라서 전압/압력 센서를 통하여 공압 유니트(90)의 갤러리(95) 내의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는 공압 유니트(9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는 공압 유니트(90)에 대한 압축 공기 공급부(1) 및 압축 공기 연결부(2)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 공기 공급부(1)는 -흡기 라인(54) 또는 유사한 공압 연결부를 통하여- 공기 공급부(0)와 공기 공급부(0)의 상류에 배치된 공기 필터(0.1)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공기 공급부(0)의 하류에 배치되고 또한 모터(51; M)에 의하여 구동되는 에어 컴프레서(50)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모터(51; M)는 에어 컴프레서(50)의 컴프레서(52)를 구동한다.
여기서 제1 공압 연결부는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의 주 공압 라인(60)을 갖고 형성되며, 그리고 한편으로는 압축 공기 공급부(1)의 압축 공기 공급 연결부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압축 공기 연결부(2) 및 다른 공압 라인(96)에 연결되어 공압 연결부를 형성한다. 공기 드라이어(61) 및 제1 제한기(62)는 주 공압 라인(60) 내에 배치된다. 차단 밸브 또한 주 공압 라인(60) 내에 배치되며, 이 차단 밸브는 제1 공압 체크 밸브(63.1) 형태로 구현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공압적으로 해제 가능한 체크 밸브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는 제2 공압 연결부, 즉 벤팅 라인(70)을 더 포함하며, 이 벤팅 라인은 주 공압 라인(60), 벤팅 연결부(3) 그리고 다른 필터(0.3) 및/또는 소음기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벤팅 라인(70)은 압축 공기 공급부(1)의 압축 공기 공급 연결부에서 주 공압 라인(60)에 연결된다. 제2 제한기(72)와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가 벤팅 연결부(3)의 방향으로 벤팅 라인(70) 내에 배치된다. 벤팅 라인(70)에 의하여 형성된 제2 공압 연결부 내에 배치된 벤팅 밸브(73)는 3/2-웨이 방향 제어 밸브로서 구현된다.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는 간접적으로 전환된 릴레이 밸브로서 구현된다. 제어 밸브(74)는 전자 제어 라인(83)을 통하여 제어 밸브(74)의 코일(82)에 전달된 전압 및/또는 전류 신호 형태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어 밸브(74)의 피스톤과 상호 작용하는 또는 후자를 형성하는 마그네트 아마튜어 상에 힘이 작용한다. 작동될 때, 제어 밸브(74)는 도시된 정상적으로 폐쇄된 위치에서 공압적으로 개방된 위치로 전환될 수 있으며, 개방된 위치에서는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의 공압 제어를 위하여 - 여기에서는 주 공압 라인(60)으로부터의 주 분리 연결부(78)에서- 공압 제어 라인(110)을 통하여 얻어진 압력이 릴레이 밸브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는 압력 리미터(75)를 부가적으로 구비한다. 벤팅 밸브(73)의 다른 공압 제어 라인 상류-구체적으로, 제2 제한기(73)와 벤팅 밸브(73) 사이-를 통하여 압력 리미터(75)는 압력을 가하며(tabs), 여기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 압력은 조정 가능한 스프링(76)의 힘에 대하여 벤팅 밸브(73)의 피스톤을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올린다 -즉, 제어 밸브(74)를 통한 작동 없이도 이 압력은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는 공압 시스템(100) 내에서 과도하게 높은 압력이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 형태로 구현된 제어 밸브(74)는 2개의 연결부, 즉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를 포함하며 그리고 정상적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에 대하여 제어 라인(110)과 제어 릴레이 라인(120)을 분리한다.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을 통하여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부가적인 제한기(160C)를 포함하며, 여기서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1㎜의 최대 직경을 갖는다.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바람직하게는 주 공압 라인(60)에 배치된 제1 제한기(6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다른 공압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130)이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 내의 주 공압 라인(60)과 제어 릴레이 라인(120) 사이에 제공되며 그리고 분리 연결부(77)에서 제어 릴레이 라인(120)에 연결된다. 차단 밸브(79) 또는 제한기 및 다른 체크 밸브(63.2)가 다른 공압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130) 에 배치된다.
공압 제어 라인(110)을 통하여 주 압력 라인(60)으로부터 또는 다른 공압 라인(96)으로부터 얻어진 제어 압력을 고려해 볼 때, 공압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130)에 가해진 압력 하에서 - 즉, 개방 상태로 제어 밸브(74)를 전환시킴에 의하여- 체크 밸브(63.2)는 제어 밸브(74)를 통하여 해제될 수 있다. 제어 밸브(74)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은 또한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의 벤팅 밸브(73)의 전환을 야기하며, 그리고 공압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130)을 통하여 체크 밸브(63.2), 제1 제한기(62), 드라이어(61), 제2 제한기(72) 그리고 최종적으로 개방된 벤팅 밸브(73)는 공압 유니트(90)의 벤팅을 야기한다. 이는 또한 별도로 공기 드라이어(61)의 양쪽의 공압 개방으로 이어진다. 작동 중에, 공압 유니트(90)를 벤트하기 위하여 그리고 동시에 공기 드라이어(61)를 재생하기 위하여 이 작동 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의 작동 위치는 주로 체크 밸브(63.1)를 통한 흐름으로 주 공압 라인(60)을 통하여 공압 유니트(90)를 채우는 역할을 한다. 벨로우즈(91)의 상류에 배치된 솔레노이드 밸브(93) 및/또는 리저버(92)의 상류에 배치된 솔레노이드 밸브(94)는 개방된 위치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폐쇄 위치에 있는 공압 유니트(90) 내의 솔레노이드 밸브(93, 94)로 체크 밸브(63.1)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에서 격리된 공압 유니트(90)의 작동 위치를 허용한다. 즉,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벨로우즈(91)들의 교차 연결(예를 들어, 차량(1000)의 오프-로드 작동 상태시), 리저버(92)로부터의 벨로우즈(91)의 채움 또는 갤러리(95)를 통한 공압 유니트(90) 내의 압력 측정이 착수될 수 있다. 특히, 압축 공기 연결부(2)에서 압축 공기 공급부(1)로의 체크 밸브(63.1)의 차단 그리고 제어 밸브(74)의 폐쇄는 공기 드라이어(61)가 불필요하게 압축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 드라이어(61)를 압축 공기에 노출시키 것은 공압 유니트(90)의 모든 작동 위치에서 유리하지 않다는 것이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식된다. 오히려 공압 유니트(90)의 벤팅의 경우에; 즉 압축 공기 연결부(2)로부터 압축 공기 공급부의 압축 공기 공급 연결부로 그리고 그후 벤팅 연결부(3)로의 벤팅 방향으로의 벤팅의 경우에 공기 드라이어만이 작동한다면, 이는 공기 드라이어(61)의 효과적인 그리고 신속한 재생에 유리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어 밸브(74)는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2 스위칭 상태가 되며, 따라서 벤팅 밸브(73)는 개방된다. 공압 유니트(90)의 벤팅은 공압 제어 라인(110), 제어 밸브(74), 공압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130), 체크 밸브(63.2), 제1 제한기(62), 공기 드라이어(61)의 재생 및 제2 제한기(72) 그리고 개방된 벤팅 밸브(73)를 통하여 벤팅 연결부(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벤팅 밸브(73)는 릴레이 피스톤(160)을 구비하며, 릴레이 피스톤은 제어 압력을 받을 때 벤팅 밸브(73)를 제1 폐쇄 밸브 위치에서 제2 밸브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제어 압력을 받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제1 폐쇄 밸브 위치에서는 벤팅 밸브는 압력이 없으며 그리고 밸브 스프링(76)에 의하여 유지되며, 그리고 제2 밸브 위치에서 벤팅 밸브는 밸브 스프링(76)의 압축력에 대하여 제어 압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이미 실질적으로 나타내고 그리고 설명된 바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의 바람직한 개발안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특징을 위하여 사용된다.
다른 부가적인 벤팅 밸브(64)가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 내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5에 도시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실시예와 다르며, 여기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부가적인 제한기(160C)에 의하여 제한된다. 또한, 주 공압 라인(60)에 배치된 제1 제한기(62)와 공압 체크 밸브(63.1)는 병렬로 연결된다.
부가적인 벤팅 밸브(64)는 3/2-웨이 방향 제어 밸브 형태로 구현되며 그리고 총 3개의 연결부, 즉 제1 연결부(64X), 제2 연결부 (64Y) 및 제3 연결부(64Z)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연결부(64Z)는 부가적인 벤팅 밸브(64)를 위한 릴레이 피스톤 제어 연결부로 구현된다.
부가적인 벤팅 밸브(64)는 제1 연결부(64X)와 제2 연결부 (64Y) 사이에서 폐쇄된 제1 스위칭 상태 그리고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대하여 제1 연결부(64X)와 제2 연결부 (64Y) 사이에서 개방된 제2 스위칭 상태를 갖는다.
만일, 예를 들어 제1 의 에너지 비공급 폐쇄 스위칭 상태에서 제2의 에너지 공급 개방 스위칭 상태로의 제어 밸브(74)의 스위칭을 통하여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이 이제 압력을 받는다면, 벤팅 밸브(74)의 제어 연결부(73Z)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벤팅 밸브(64)의 릴레이 피스톤(65)도 압력을 받게 되며, 따라서 부가적인 벤팅 밸브(64)는 제1폐쇄 스위칭 상태에서 제2 개방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며, 제2 개방 스위칭 상태에서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작동 모드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6a는 (도시되지 않은) 공압 유니트(90)를 제어하기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공압 유니트(90)는, 예를 들어 연결부(2)를 통하여 주 공압 라인(60)에 연결된다.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 형태로 구현된 제어 밸브(74) 및 3/2-웨이 방향 제어 밸브 형태로 구현된 벤팅 밸브(73)를 갖는 장치가 본 도면에 도시된다. 양 밸브, 즉 제어 밸브(74)와 벤팅 밸브(73)는 공통 (밸브) 하우징(173)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여기서는 폐쇄 스위칭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벤팅 밸브(73)는 릴레이 피스톤(160)을 갖는 제어 가능한 릴레이 밸브로 구현된다. 제어 밸브(74)는 (도시되지 않은) 전자 제어 라인에 의하여 제어 밸브(74)의 코일(82)로 작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자기력이 제어 밸브(74)의 피스톤(81)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피스톤(81)은 위로 이동한다. 작동될 때, 제어 밸브(74)는 도시된 정상적으로 폐쇄된 위치(즉, 하부 위치 내의 피스톤(81))에서 공압적으로 개방된 위치(즉, 상부 위치 내의 피스톤(81))로 전환될 수 있으며, 개방 위치에서 공압 제어 라인(110)을 통하여 - 여기서 주 공압 라인(60)으로부터의 주 분기 연결부(78)에서 - 얻어진 압력은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를 공압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릴레이 라인(120)을 통하여 릴레이 밸브로 전달된다.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여기서 제어 밸브(74)를 벤팅 밸브(73)에, 특히 제어 연결부(73Z) 그리고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에 연결시킨다.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이 또한 제공되며, 여기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도시되지 않은) 제한기(160C)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한기(160C)는, 예를 들어,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 내의 국부적인 수축부, 특히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의 흐름 횡단면의 국부적인 수축부일 수 있다. 이는 이를 통하여 흐르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도시되지 않은) 한 개발안에서,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또한 조정 가능한 제한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한기(160C)는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의 최대 직경을 갖는 국부적인 수축부를 포함한다.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을 벤팅 라인(70)에 공압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에 의하여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 내의 개구(160E)로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은 또한 벤팅 밸브(73)의 벤팅 밸브 하우징(173) 내의 개구에 의하여, 예를 들어 구멍(160G)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구멍(160G)은 바람직하게는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의 밸브 리프트의 부분적인 영역에 걸쳐 연장된다.
다른 개발안에서 개구(160E)는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을 관통하는 보어(160F) 형태로 구현된다. 여기서, 시일(160D)이 그러면 제공되며, 이 시일은 벤팅 밸브(73)의 개방 스위칭 상태에서 보어(160F)를 밀봉 및 폐쇄한다.
도 6b 및 도 6c는 밸브 장치를 위한 가능한 실시예의 부분적인 영역, 특히 벤팅 밸브(73)의 부분적인 영역의 2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b 및 도 6c를 참고하면, 양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도 6a에서 나태고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은 벤팅 밸브(73)의 부분적인 영역을 도시한다. 벤팅 밸브(73)는 벤팅 밸브 하우징(173),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 릴레이 피스톤(160) 그리고 대응하는 (O-링) 시일(160.2, 160.3)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여기서 벤팅 라인(73)의 벤팅 밸브 하우징(173) 내의 개구(160E)로서, 특히 구멍(160G)으로서 형성된다. 특히, 벤팅 밸브 하우징(173) 내의 구멍(160G)은 릴레이 피스톤(160)의 밸브 리프트의 부분적인 영역(도 6b)에 걸쳐 또는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의 밸브 리프트의 전체 영역(도 6c)에 걸쳐 연장된다.
도 6c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이 완전 밸브 리프트에 의하여 변위될 때 벤팅 라인(160B)을 밀봉하기 위한 시일(160D)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작동 방법을 위한 가능한 순서를 도시하며, 예를 들어 여기서 도 7a는 방법의 시작, 특히 공압 유니트(90)의 채움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7e는 방법의 종료, 특히 벤트된 공압 유니트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e에서, 압축 공기로 채워진 이 라인들은 굵은선(bold)으로 강조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7a는 먼저 주 공압 라인(60)을 통한 공압 유니트(90)의 채움을 나타낸다.
여기서 공기는 공기 공급부(0)를 경유하여 (공기 공급부(0)의 상류에 배치된) 공기 필터(0.1)로, 그리고 흡기 라인(54)을 통하여 (공기 공급부(0)의 하류에 배치되고 그리고 모터(51; M)에 의하여 구동되는) 에어 컴프레서(50)로 공급되며 또한 압축 공기(볼드체)로서 압축 공기 공급 설비로 전달된다. 압축 공기는 드라이어(61) 내에서 정화, 특히 건조되며, 그리고 그후 주 공압 라인(60), 제1 격리 밸브(63.1) 및 압축 공기 연결부(2)를 경유하여 공압 유니트(90)로 운반된다. 공압 유니트(90)에서, 압축 공기는 다른 공압 라인(96)과 갤러리(95), 벨로우즈(91)의 그리고 (이 경우에는 폐쇄된) 리저버(92)의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93, 94)를 통하여 분배된다.
도 7b는 압축 공기(굵은선)로 채워진 공압 유니트(90)를 나타낸다. 공압 유니트(90)의 채움은 대체로 계속되며, 따라서 공기 공급부(9), 흡기 라인(54) 그리고 컴프레서를 통한 어떠한 다른 공급/유입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제1 격리 밸브(63.1) 그리고 폐쇄된 제어 밸브(74)는 압축 공기가 공압 유니트(90)로부터 빠져 나갈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여기서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74)는 제1 의 에너지 비공급(unenergized) 폐쇄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고, 이는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폐쇄되며, 따라서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특히 주 공압 라인(60) 내의 압력/압축 공기로부터 격리된다.
도 7c는 공압 유니트(90)의 벤팅 과정/벤팅의 시작을 도시하며, 여기서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는 제1 의 에너지 비공급, 폐쇄된 스위칭 상태에서 제2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고, 이는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벤팅 밸브(73)의 제어 연결부(73Z)에 대하여 개방되며, 따라서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어 밸브(74)는 전자 제어 라인(83)을 통하여 제어 밸브(74)로 전달된 전압 및/또는 전류 신호 형태의 (번개 심볼로서 표현된)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며, 따라서 제어 밸브(74)는 제1의 폐쇄된 스위칭 상태에서 제2의 개방된 스위칭 상태로 전환된다.
제어 밸브(74)의 개방 후,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압축 공기로 채워지며 그리고 제어 밸브(74)의 제어 연결부(73Z)는 따라서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릴레이 피스톤(160)의 작동에 의하여 벤팅 밸브(73)는 제1의 폐쇄된 스위칭 상태에서 제2의 개방된 스위칭 상태로 전환된다.
벤팅 밸브(73)의 개방 후, 압축 공기는 분기 연결부(77),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130), 차단 밸브(79) 또는 제한기, 체크 밸브(63.2), 주 공압 라인(60), 제1 제한기(62), 공기 드라이어(61), 제2 제한기(72) 그리고 (개방된) 벤팅 밸브(73)를 통하여 공압 유니트(90) 밖에서 벤팅 연결부(3)로 이어지고 그리고 벤트된다.
동시에, 벤팅은 또한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대하여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을 통하여 일어나며, 여기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 내의 제한기(160C)는 단지 제한된 벤팅(점선)이 이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이 압력을 계속적으로 받는다는 것 그리고 벤팅 밸브(73)가 아직도 제2의 개방된 스위칭 상태에 남아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도 7d는 공압 유니트(90)의 벤팅 과정/벤팅의 종결을 도시하며, 여기서 공압 유니트(90)는 완전히 벤트되고, 그리고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74)는 제2 에너지 공급 개방 스위칭 상태에서 제1 에너지 비공급 폐쇄 스위칭 단계로 복귀되며, 이는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폐쇄된다. 그러나, 제어 라인(160) 내의 압력은 아직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을 작동시키기에 그리고 제2의 개방 스위칭 상태에서 벤팅 밸브(73)를 계속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다.
만일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을 통하여 벤팅 연결부(3)로의 제한된 벤팅에 의하여- 제어 릴레이 라인(120) 내의 압력이 계속해서 떨어지면, 벤팅 밸브 또한 제2 개방 스위칭 상태에서 제1 폐쇄 스위칭 상태로 (되돌아) 전환된다. 잔류 압축 공기(점선)는 그러면 제한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을 통하여 벤팅 연결부(3) 및/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 도 7e 참조)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하에 언급된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의 다른 이점, 특징 및 세부 사항, 예로서, 특히 이들이 압축 공기 공급 설비,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위한 청구항 제13항 내지 제20항에서 어떻게 설명되어 있는지를 더 설명한다. 특히 도 8 내의 본 발명의 다른 변형의 실시예는 도 2 내의 실시예를 보완한다. 특히 도 9 내의 본 발명의 다른 변형의 실시예는 도 3 내의 실시예를 보완한다. 특히 도 10 내의 본 발명의 다른 변형의 실시예는 도 4 내의 실시예를 보완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도 3 및 도 7의 상세한 설명이 하기에서 참고되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특징, 또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은 도 2, 도 3 및 도 4 내의 그리고 도 8, 도 9 및 도 10 내의 동일한 도면 부호를 이용하여 확인되고 그리고 설명된다.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4의 설명이 더 참고된다. 하기 설명에서, 도 8, 도 9 및 도 10의 발명의 이 다른 변형예의 차이점 및 변형 그리고 이로 인하여 얻어지는 이점이 특히 참고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체적 감소에 의한 전환 또는 신장 시에, 피스톤 후방 공간 내의 체적 감소로 인한 압력의 증가는 특히 댐핑 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8 내의 실시예는 이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이, 도 2의 실시예에서도 표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라인(140)으로서 구체화되며 따라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 또한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에 연결된다는 점을 도시한다. 피드백 라인(140)은 이제 (도 2의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과 달리) 벤팅 밸브(73)의 제2 제어 연결부(73W)에 더 연결된다. 도 8에서 벤팅 밸브(73)의 이 다른 제2 제어 연결부(73W)는 벤팅 밸브(73)의 벤팅 연결부(73V)에 공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벤팅 라인(150)은 결국 벤팅 밸브(73)의 벤팅 연결부(73V)에 연결된다. 다른 벤팅 라인(150)은 벤팅 연결부(3) 그리고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다른 벤팅 라인(150)은 다른 제2 벤팅 분기 연결부(56)에 의하여 벤팅 라인(70), 즉 벤팅 밸브(73)와 제1 벤팅 분기 연결부(53) 사이에 연결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8 내의 실시예에서, 릴레이 피스톤(160)의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의 벤팅 후방 공간(163)은 벤팅 밸브(73)의 벤팅 연결부(73V)를 통하여 벤트된다.
-특히 릴레이 피스톤(160)의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의 벤팅 후방 공간(163), 즉 릴레이 피스톤(160)의 작동 동안에 제어 연결부(73W)와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의 벤팅 연결부(73V) 사이의 벤팅 후방 공간(163)을 벤팅하기 위한 또 다른 벤팅 라인(150)은 여기서 제3 제한기(152)로 언급된 제한기에 의하여 압축 공기의 통과에 관하여 제한된다. 그로 인하여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의 벤팅 후방 공간(163)으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한정된 통과는 작동 동안에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의 이동 또한 감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드백 라인(140)으로서의 위에서 언급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따라서 벤팅 밸브(73)의 벤팅 후방 공간(163)에 연결되며, 이 벤팅 밸브는 따라서 도 2 내의 실시예의 벤팅 밸브(73)와 대조적으로 더 전개(developed)된다. 제2 제어 연결부(73W)는 벤팅 후방 공간(163)을 통하여 벤팅 밸브(73)의 벤팅 연결부(73V)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그로 인하여 제2 제어 연결부(73W)는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의 제2 제어 압력 부분(pressure fraction)을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제2 제어 압력 부분은 제1 제어 연결부(73Z)의 제1 제어 압력 부분에 더하여 작용한다.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의 제2 제어 압력 연결부(73W)는 따라서 제2 제어 압력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역-제어 연결부로서 구현되며, 이 제2 제어 압력 부분은 제1 제어 연결부(73Z)의 제1 제어 압력 부분에 더하여 작용한다. 이 제어 압력 부분은 특히 제한된 시간 동안에 그리고 릴레이 피스톤(160) 상의 제1 제어 연결부(73Z)의 제1 압력 부분과는 반대 방향으로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에 작용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 압력 또는 하여튼 이로부터 얻어진 제어 압력은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의 제1 및 제2 제어면(161 및 162)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릴레이 피스톤(160)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벤팅 후방 공간(1632)에 대한 다른 벤팅 라인(150) 내의 제3 제한기(152)가 비교적 작은 공칭 직경(N3W)을 갖고 설계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는 릴레이 피스톤(160)의 운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질적인 면에 있어서, 여기서 벤팅 밸브(73)는 이 목적을 위하여, 특히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있는 벤팅 밸브(73)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제어 압력을 받을 수 있는 릴레이 피스톤(160)에 의하여 설계된다; 특히 벤팅 밸브(73)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공압적으로 작동되는 2/2-방향 제어 밸브로서 구현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릴레이 피스톤(160)은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에 제어 챔버(164)를 향하는 제1 제어면(161) 그리고 위에서 언급된 벤팅 후방 공간(163)을 향하는 제2 제어면(16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제어면(161, 162)은 제1 제어 압력 부분(control pressure fraction)과 제2 압력 부분을 상호 반대로 받아들이기 위하여 배치되며, 이 제1 제어 압력 부분과 제2 압력 부분은 릴레이 피스톤 제어 라인(120)에서 얻어진다.
벤팅 밸브 내에서의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의 그리고 릴레이 피스톤(160)의 작동시, 벤팅 후방 공간(163) 내에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를 갖는 릴레이 피스톤(160)의 이러한 구조 그리고 후방 공간을 벤팅하기 위한 다른 벤팅 라인(150)과의 상호 작용은 그로 인하여 다른 벤팅 라인(150)을 통한 압축 공기의 흐름이 제3 제한기(152)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또는 대안적으로, 벤팅 후방 공간(163)으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한정된 흐름은 따라서 또한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의 작동시 릴레이 피스톤(160)의 이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은 기본적으로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100)의 부분으로서의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와 공압 유니트(90)와 결합한 벤팅 밸브(73)의 이 기능을 정확하게 도시한다. 도 8 그리고 도 10 내의 양 경우에, 다른 벤팅 라인(150)의 다른 제2 벤팅 분기 연결부(56)가 벤팅 라인(70)이 아닌, (도시되지 않은) 배기 라인(55) 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칭 직경(NW3)을 갖는 제3 제한기(152)의 흐름 저항 또는 설계 요구에 따라 -배기 라인(55) 또는 벤팅 라인(70) 내에- 제2 벤팅 분기 연결부(56)를 연결하는 양 가능한 방식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도 2 내지 도 5에서는 도면 부호 75로 표시됨)-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가 부가적으로 압력 리미터(75B; pressure limiter)를 구비한다. 벤팅 밸브(73)의 상류-구체적으로 제2 제한기(72)와 벤팅 밸브(73) 사이-의 다른 공압 제어 라인을 통하여, 압력 리미터(75B)는 압력을 가하며(tabs), 여기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 압력은 조정 가능한 스프링(76)의 힘에 대하여 벤팅 밸브(73)의 피스톤을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올린다 -즉, 제어 밸브(74)를 통한 작동 없이도 이 압력은 제어 가능한 벤팅 밸브(73)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는 공압 시스템(100) 내에서 과도하게 높은 압력이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도 8 및 도 9 그리고 도 10의 제어 밸브(74)는 압력 리미터(75A)를 구비한다. 또한, 벤팅 동안 그리고 공기 드라이어(61)의 재생 동안에 주 공기 흐름이 통과하기 때문에 도 8, 도 9 그리고 도 10에서 차단 밸브는 유리하게는 제한기(79)로 대체된다. 제2 체크 밸브(63.2)는 유리하게는 차단 기능을 갖는 립 밸브(lip valve)이다: 증가된 배압은 유리하게는 또한 벤팅 동안에 제어 연결부(73Z)에 대한 제어 릴레이 라인(120)의 영역 내의 파일롯 체적(pilot volume)의 채움을 도울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위에서 언급된 상호 보완적인 변형을 갖는 바람직한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도 역시 도 3의 설명을 먼저 참고하며 그리고 이하에 다른 설명이 뒤따른다. 그러나, 제2 제어 연결부(73W)를 통하여 벤팅 밸브(73)의 벤팅 후방 공간(163)에 연결된- 개별적인 피드백 라인(140)은 부가적인 제한기(160C)의 하류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에 연결되며, 즉 이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 앞에서도 피드백 라인 자체는 다른 제2 벤팅 분기 연결부(56)에서 벤팅 라인(70)에 연결된다. 도 8, 도 9 그리고 도 10 내의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은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공기 드라이어(61)를 더 천천히 개방하며 그리고 벤팅 포트가 현저하게 감쇠된 또는 감소된 방식으로 압력 감소를 지연시킨다 (예를 들어, 10 바(bar)에서의 펄스 발생기를 갖는 공기 드라이어 내에서 7dBA가측정되었다).
도 10 및 도 8 내의 실시예와 달리 도 9 내의 실시예에서, 릴레이 피스톤(160)의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의 벤팅 후방 공간(163)이 벤팅 밸브(73)의 제2 제어 연결부(73W)를 통하여; 즉, 피드백 라인(140), 제3 제한기(152), 그후 벤팅 라인(70)을 통하여 그리고 최종적으로 배기 라인(55)을 통하여 벤팅 연결부(3)로 다시 벤트된다.
-특히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고 도 10에서 유사하게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은 벤팅 과정을 위하여- 위에서 언급된 모든 실시예에서, 특별한 시퀀스는 릴레이 피스톤(160)의 이동을 야기하며, 이는 위의 설명에 따라 실제로 생기는 공기 쿠션(air cushion)으로 인하여, 릴레이 피스톤(160)의 하류에서, 즉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에서 벤팅 밸브(73)의 개방시 발생하는 것을 일으킨다. 이 과정을 위하여 특별하게 유리한 것으로 보여질 수 있는 실시예는 도 8 및 도 10과 비교하여 변형을 갖는 도 11 및 도 12에서의 실시예이며, 이 실시예는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에 대한 일부 변형을 갖고 위의 설명에 따라 실제로 생기는 공기 쿠션의 이 과정을 도우며 그리고 이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1과 도 12 내의 변형 간의 차이점은 단지 부가적인 제한기(160C")의 연결과 관련해서만 또는 벤팅 밸브(73)의 벤팅 연결부(도 11의 73V) 또는 제어 연결부(도 12의 73Z)와 관련해서만 존재한다.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서, 특히 릴레이 피스톤(160)은 상단에 위치할 때 사실 다른 벤팅 라인(150)의 바이패스를 거의 단단하게 밀봉한다; 즉 릴레이 피스톤은 벤팅 연결부(73V) 및/또는 제2 제어 연결부(73W)를 폐쇄시킨다. 여기서,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이 점에서는 오히려 조절 가능한 제한기 형태이며, 그의 유효 공칭 통로 직경은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60')를 갖는 릴레이 피스톤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러나, 제어 밸브(74)를 위한 마그넷이 다시 닫히고 그리고 제어 밸브(74)가 폐쇄될 때 제어 연결부(73Z)의 영역 내 파일럿 챔버와 제어 릴레이 라인(120) 그리고 또한 벤팅 후방 공간(163)이 부가적인 제한기(160C")에 의하여 벤팅 라인(160B, 160B')을 통하여 벤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상당히 기밀 상태는 아니다.
그로 인하여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를 위한 특정 결과 시퀀스는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벤팅 밸브(74)의 마그넷이 닫히고 그리고 다시 말해 누설을 통한 초기 벤팅이 중단될 때,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160') 상의 릴레이 피스톤(160) 아래의 그리고 제어 연결부(73Z)와 제어 릴레이 라인(120)의 영역 내의 파일럿 챔버에서의 압력은 가라앉는다. 따라서 사실상 폐쇄된 부가적인 제한기(160C")로부터의 누설 손실은 감소된다. 그러면 릴레이 피스톤(160)은 초기에 밸브 스프링(76)의 스프링 력 하에서 천천히 떨어진다. 부가적인 제한기(160C")가 더 개방될 때, 제어 연결부(73Z)의 영역 내 파일럿 챔버와 제어 릴레이 라인(120) 그리고 갤러리(95) 그리고 최종적으로 후방 공간(163) (잔류 공기는 이들을 통하여 부가적인 벤트 라인(160B)을 경유하여 빠져 나간다)이 완전하게 벤트될 때까지 이 과정은 가속된다.
제1 벤팅 분기 연결부(53)의 지점에서, 공기 흐름들은 전과 같이 만난다. 대안적으로, 제3 제한기(152)는 여전히 그곳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 내에서의 벤팅 연결부(53 그리고 56)들의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공압 댐핑에 대한 차이를 만드는 것은 제3 제한기(152)와 추가적인 제한기(160C")의 균형이다; 부가적인 제한기(160C") 내에서의 횡단면의 변화는 오히려 위의 타이밍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반대 힘 때문에 공기 쿠션은 또한 가동 실린더로서 보여질 수 있으며, 이 가동 실린더는 개방 시에 밸브 스프링(76)을 보조하지만, 그후 제3 제한기(152)를 통하여 힘을 급격하게 감소시킨다. 밸브 스프링(76)은 그러면 폐쇄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 유사하게, 위에서 설명된 조정 가능한 제한기의 원리는 또한 도 9의 실시예 내의 부가적인 제한기(160C")로 전환될 수 있다.
0.1 : 공기 필터
0.3 : 필터/ 소음기
0 : 공기 공급부
1 : 압축 공기 공급부
2 : 압축 공기 연결부
3 : 벤팅 연결부
3A : 다른 벤팅 연결부
10 : 압축 공기 공급 설비
50 : 에어 컴프레서
51 : 모터
52 : 에어 컴프레서의 컴프레서
53 : 제1 벤팅 분기 연결부
54 : 흡기 라인
55 : 배기 라인
56 : 다른 제2 벤팅 분기 연결부
60 : 주 공압 라인
61 : 공기 드라이어
62 : 제1 제한기
63.1 : 제1 체크 밸브
63.2 : 제2 체크 밸브
64 : 부가 벤팅 밸브
64X : 부가적인 벤팅 밸브의 제1 연결부
64Y 부가적인 벤팅 밸브의 제2 연결부
64Z : 부가적인 벤팅 밸브의 제어 연결부
65 : 릴레이 피스톤
70 : 벤팅 라인
72 : 제2 제한기
73 : 벤팅 밸브
73A : 부가적인 제어 릴레이 라인을 위한 제1 벤팅 밸브 연결부
73B : 부가적인 제어 릴레이 라인을 위한 제2 벤팅 밸브 연결부
73V : 벤팅 연결부
73W: 제2 제어 연결부
73X : 벤팅 밸브의 제1 벤팅 밸브 연결부
73Y : 벤팅 밸브의 제2 벤팅 밸브 연결부
73Z : 벤팅 밸브의 제어 연결부
74 : 제어 밸브
74A :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
74B :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
74C : 제어 밸브의 벤팅 연결부
75, 75A, 75B: 압력 리미터
76 : 밸브 스프링
77 : 분기 연결부
78 : 주 분기 연결부
79 : 차단 밸브 또는 제한기
82 : 코일
83 : 제어 라인
90 : 공압 유니트
91 : 벨로우즈
92 : 리저버
93 : 솔레노이드 밸브
94 : 솔레노이드 밸브
95 : 갤러리
96 : 다른 공압 라인
97 : 밸브 블록
98 : 스프링 분기 라인
99 : 리저버 분기 라인
100 :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110 : 제어 라인
120 : 제어 릴레이 라인 (릴레이 피스톤 제어 라인)
130 : 제어 릴레이 벤팅 라인
140 : 피드백 라인
150 : 다른 벤팅 라인
152 : 제3 제한기
160, 160': 릴레이 피스톤, 릴레이 피스톤 연장부
160B, 160B': 부가적인 벤팅 라인
160C, 160C', 160C": 부가적인 제한기, 벤팅 밸브(73) 내의 부가적인 제한기, 조정 가능한 제한기로서의 부가적인 제한기
160D : 시일
160E : 개구
160F : 보어
160G : 구멍
161 : 제1 제어면
162 : 제2 제어면
163 : 벤팅 후방 공간
164 : 제어 챔버
170 : 다른 벤팅 라인
173 : 벤팅 밸브 하우징

Claims (25)

  1. 공압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에 있어서,
    - 압축 공기 공급부(1), 공압 유니트(90)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부(2) 및 주변 환경에 대한 벤팅 연결부(3) 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를 포함하되,
    - 여기서, 주 공압 라인(60)은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 형성되며,
    - 제1 및 제2 벤팅 밸브 연결부(73X, 73Y)를 통하여 연결된 벤팅 밸브(73)를 갖는 벤팅 라인(70)은 압축 공기 연결부(2)와 벤팅 밸브 연결부(3) 사이에 형성되고,
    - 벤팅 밸브(73)는 공압 연결부에서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에 의하여 제어 밸브(74)에 연결된 제어 연결부(73Z)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 벤팅 밸브(73)는
    - 벤팅 밸브(73)의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1 벤팅 밸브 연결부(73X)와 제2 벤팅 밸브 연결부(73Y) 사이에서 벤팅 연결부(3) 에 대하여 폐쇄되며; 그리고
    - 벤팅 밸브(73)의 제2 스위칭 상태에서 벤팅 밸브(73)는 제1 벤팅 밸브 연결부(73X)와 제2 벤팅 밸브 연결부(73Y) 사이에서 벤팅 연결부(8) 에 대하여 개방되고,
    - 제어 밸브(74)는, 벤팅 밸브(73)의 제어 연결부(73Z)가 압력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벤팅 밸브(73)를 벤팅 밸브(73)의 제1 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벤팅 밸브(73)의 다른 스위칭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제어 연결부(73Z)에 대하여 폐쇄되고; 그리고
    - 제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제어 연결부(73Z)에 대하여 개방되며, 그리고
    - 제어 밸브(74)는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의 형태로서 구현되고,
    -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벤팅 밸브(73)의 제1 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에 의하여 벤팅 연결부(3) 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부가적인 벤팅 라인(1620B)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제한기(160C)는 1mm보다 작거나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제2 벤팅 밸브 연결부(73Y)와 벤팅 연결부(3) 사이에서 벤팅 라인(70)의 부분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팅 밸브(73)의 스위칭 상태와 관계없이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벤팅 연결부(3) 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와 제어 연결부(73Z) 사이의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으로서 구현되며, 여기서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은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을 위한 릴레이 피스톤 제어 라인으로서 제어 압력을 작을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릴레이 피스톤(160) 내의 또는 벤팅 밸브(73)의 벤팅 밸브 하우징(173) 내의 개구(160E)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
  8. 제7항에 있어서, 개구(160E)는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 내에 보어(160F) 형태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
  9. 제8항에 있어서, 벤팅 밸브(73)의 제1 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개구(160E) 또는 보어(160F)를 밀봉 또는 폐쇄하는 시일(160D)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
  10. 제7항에 있어서, 개구(160E)는 벤팅 밸브(73)의 벤팅 밸브 하우징(173) 내의 구멍(160G)으로서 형성되며, 구멍(160G)은 벤팅 밸브(73)의 릴레이 피스톤(160)의 밸브 리프트의 부분적인 영역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74)는 솔레노이드 제어 밸브로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제어 밸브로서의 제어 밸브(74)의 제1 스위칭 상태는 에너지 비공급 스위칭 상태이며, 그리고 제2 스위칭 상태는 에너지 공급 스위칭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피드백 라인(140)으로서 구현되며, 여기서 피드백 라인(140)은 공압 제어 릴레이 라인(120)과 벤팅 밸브(73)의 제2 제어 연결부(73W)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제어 연결부(73W)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벤팅 밸브(73)의 벤팅 연결부(763V)의 경우, 또 다른 벤팅 라인(15)이 연결되며, 이 다른 벤팅 라인은 벤팅 연결부(3) 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15. 제13항에 있어서, 제2 제어 압력 연결부(73W)는 제1 제어 연결부(73Z)의 제1 압력 부분에 더하여 작용하는 제2 제어 압력 부분(pressure fraction)을 받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16. 제13항에 있어서, 제2 제어 연결부(73W)는 역제어 연결부로 구현되되, 역제어 연결부는 제1 제어 연결부(73Z)의 제1 제어 압력 부분에 더하여 그리고 제한된 시간 동안에 또한 제1 제어 연결부(73Z)의 제1 제어 압력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제어 압력 부분을 받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17. 제13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은 피드백 라인(140)으로서 벤팅 밸브(73)의 벤팅 후방 공간(163)에 그리고 벤팅 연결부(3) 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공압적으로 연결되되, 여기서 또 다른 벤팅 라인(150)은 또 다른 제2 벤팅 분기 열결부(56)에 의하여 벤팅 라인(7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18. 제13항에 있어서, 벤팅 밸브(73)는 제어 압력을 받을 수 있는 릴레이 피스톤(160, 160')에 의하여 형성되되, 제어 압력은 제어 밸브(74)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그리고 릴레이 피스톤(160, 160')은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의 벤팅 밸브(73)의 전환을 위하여 설계되고, 벤팅 밸브(73)는 공압적으로 작동하는 2/2 방향 제어 밸브로서 구현되며, 릴레이 피스톤(160, 160')은 제어 챔버(164)를 향하는 제1 제어면(161) 및 벤팅 후방 공간(163)을 향하는 제2 제어면(162)을 가지며, 그리고 제1 및 제2 제어면(161, 162)은 제1 제어 압력 부분의 그리고 제2 제어 압력 부분을 상호 반대로 받아들이기 위하여 배치되고, 제1 및 제2 제어 압력 부분은 릴레이 피스톤 제어 라인(120)에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19. 제13항에 있어서, 벤팅 밸브(73)와 제1 벤팅-분기 연결부(53) 사이에서 또 다른 제2 벤팅-분기 연결부(56)에 의하여 벤팅 라인(70)에 연결된 또 다른 벤팅 라인(150)은 벤팅 밸브(73)의 벤팅 연결부(73V)의 경우에 벤팅 후방 공간(16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20. 제13항에 있어서, 또 다른 벤팅 라인(150)은 릴레이 피스톤(160)이 작동될 때 벤팅 밸브(73)의 벤팅 후방 공간(163)을 벤팅하기 위하여 설계되며, 또 다른 벤팅 라인(150)을 통한 압축 공기의 통과는 제3 제한기에 의하여 제한되며, 또는 벤팅 후방 공간(163)으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한정된 통과로 인하여 작동시 릴레이 피스톤(160)의 이동이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10)를 구비하고, 갤러리(95)를 포함하는 공압 유니트(90)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분기 라인(98, 99)이 갤러리(95)에, 벨로우즈(91) 또는 리저버(92)에, 그리고 벨로우즈 또는 리저버의 상류에 배치된 방향 제어 밸브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100).
  22. 제21항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에서, 이 방법은
    - 주 공압 라인(60) 내의 압력으로부터 제어 릴레이 라인(120)을 격리시키기 위하여,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제어 연결부에 대하여 폐쇄된 제1 스위칭 상태로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74)가 전환된 공압 유니트(90)의 벤팅; 및
    - 제어 릴레이 라인(120)이 압력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 압력 입력 연결부(74A)와 제어 압력 출력 연결부(74B) 사이에서 제어 연결부(73Z)에 대하여 개방된 제2 스위칭 상태로 2/2-웨이 방향 제어 밸브가 전환된 공압 유니트(90)의 벤팅을 포함하되,
    - 제어 밸브(74)의 제1 또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의 제어 릴레이 라인(120)은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을 통하여 벤팅 연결부(3) 또는 다른 벤팅 연결부(3A)에 연결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벤팅 연결부(3)에 대한 부가적인 벤팅 라인(160B)의 연결은 제어 밸브(74)의 제2 스위칭 상태 또는 벤팅 밸브(73)의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시일(160D)에 의하여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100) 작동 방법.
  24. 제21항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100)을 갖는 차량.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 밸브(73)는 공압적으로 작동하는 2/2 방향 제어 밸브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KR1020167036181A 2014-08-22 2015-08-21 차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공압 회로 KR102348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2680.3A DE102014012680B4 (de) 2014-08-22 2014-08-22 Pneumatikschaltung für PKW-Luftfederungssystem
DE102014012609.9A DE102014012609B4 (de) 2014-08-22 2014-08-22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neumatikanlage
DE102014012680.3 2014-08-22
DE102014012609.9 2014-08-22
PCT/EP2015/001716 WO2016026577A1 (de) 2014-08-22 2015-08-21 Pneumatikschaltung für pkw-luftfederung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609A KR20170046609A (ko) 2017-05-02
KR102348626B1 true KR102348626B1 (ko) 2022-01-07

Family

ID=5401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181A KR102348626B1 (ko) 2014-08-22 2015-08-21 차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공압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43479B2 (ko)
EP (1) EP3183129B1 (ko)
JP (1) JP6745789B2 (ko)
KR (1) KR102348626B1 (ko)
CN (1) CN106574645B (ko)
WO (1) WO2016026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3661B4 (de) * 2016-03-30 2023-06-29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DE102017001710A1 (de) * 2017-02-22 2018-08-23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KR101965976B1 (ko) * 2017-10-20 2019-04-04 와브코 유럽 비브이비에이 상용 차량을 위한 공기 공급 시스템
DE102018215300A1 (de) * 2018-09-07 2020-03-1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Pneumatisches Stellglied, Abluftsystem, Gehäuse mit Abluftsystem, pneumatischer Aktuator
EP3863870B1 (en) * 2018-10-11 2022-02-23 Volvo Truck Corporation Method for venting a pneumatic system of a vehicle, pneumatic system and vehicle
DE102019103661A1 (de) 2019-02-13 2020-08-13 Wabco Europe Bvba Druckluftbremsanlage eines Kraftfahrzeugs
DE102020108758A1 (de) 2020-03-30 2021-09-30 Wabco Europe Bvba Druckluftversorgungsanlage zum Betreiben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ruckluftversorgungssystem mit d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Fahrzeug mit dem Druckluftversorgungssystem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 Druckluftversorgungssystems
US11813916B2 (en) * 2021-10-14 2023-11-14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Integrated air supply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1412A (ja) 2000-02-04 2003-07-15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両用空気ばねシステム
US20130192681A1 (en) 2012-01-31 2013-08-01 Wabco Gmbh Compressed ai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130320639A1 (en) 2010-12-16 2013-12-05 Wabco Gmbh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and pneumatic system
JP2014503055A (ja) 2010-12-16 2014-02-06 ヴアブコ・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圧縮空気供給装置、空気圧システム及び空気圧装置の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2974A1 (de) 1985-12-05 1987-06-11 Wabco Westinghouse Fahrzeug Niveauregeleinrichtung fuer fahrzeuge mit luftfedern
JPS6439988U (ko) * 1987-09-04 1989-03-09
DE3919438C2 (de) 1989-06-14 1999-12-30 Wabco Gmbh Druckluftbetätigbare Einrichtung mit einem zwischen einer Druckmittelquelle und Verbrauchern befindlichem Lufttrockner
DE19724747C1 (de) * 1997-06-12 1998-06-25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DE19835491C2 (de) 1998-08-06 2000-05-25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DE19918157C1 (de) * 1999-04-22 2000-10-26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DE10016970C1 (de) 2000-04-06 2001-07-26 Continental Ag Niveauregelanlage mit einem Druckluftspeicher und einem Reifenfüllanschluss
DE10064395C2 (de) * 2000-12-21 2002-11-14 Continental Ag Niveauregel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US6666078B1 (en) * 2001-12-04 2003-12-23 Dana Corporation Target tire pressure learning method
DE10223405B4 (de) * 2002-05-25 2007-01-11 Daimlerchrysler Ag Luftfed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301119C5 (de) 2003-01-14 2018-04-05 Wabco Gmbh Luftfederungssystem
DE102010009035A1 (de) 2010-02-24 2011-08-25 WABCO GmbH, 30453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DE102010054712B4 (de) * 2010-12-16 2023-06-07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DE102010054713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DE102010054699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DE102011011634B4 (de) * 2011-02-17 2012-12-0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Nutzfahrzeuge
US9505495B2 (en) * 2011-08-30 2016-11-29 Marvin Engineering Co., Inc. Aircraft store ejector system
DE102011121755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DE102011121756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DE102012005303B4 (de) * 2011-12-23 2020-11-12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DE102012005308B4 (de) * 2011-12-23 2022-03-17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Druckluftversorgungssystem und Fahrzeug, insbesondere PKW, mit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DE102012001736A1 (de) * 2012-01-31 2013-08-0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E102012006382A1 (de) * 2012-03-30 2013-10-02 Wabco Gmbh Druckmittel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mittelversorgungsanlage
DE102012010390B4 (de) * 2012-05-29 2023-01-05 Amk Holding Gmbh & Co. Kg Niveauregelung für Fahrzeuge mit mindestens einer Luftfeder
DE102012021597B4 (de) * 2012-11-02 2024-02-22 Zf Cv Systems Hannover Gmbh Verfahren zur Druckluftaufbereitung in Kraftfahrzeugen und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DE102012024757A1 (de) 2012-12-19 2014-06-26 Wabco Gmbh Ringförmiges Dichtungselement, Ventil, Druckluftversorgungsanlage, Druckluftversorgungssystem und Fahrze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1412A (ja) 2000-02-04 2003-07-15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両用空気ばねシステム
US20130320639A1 (en) 2010-12-16 2013-12-05 Wabco Gmbh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and pneumatic system
JP2014503055A (ja) 2010-12-16 2014-02-06 ヴアブコ・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圧縮空気供給装置、空気圧システム及び空気圧装置の操作方法
US20130192681A1 (en) 2012-01-31 2013-08-01 Wabco Gmbh Compressed ai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609A (ko) 2017-05-02
CN106574645A (zh) 2017-04-19
US10343479B2 (en) 2019-07-09
US20190030976A1 (en) 2019-01-31
JP2017527485A (ja) 2017-09-21
EP3183129A1 (de) 2017-06-28
JP6745789B2 (ja) 2020-08-26
WO2016026577A8 (de) 2016-09-29
WO2016026577A1 (de) 2016-02-25
EP3183129B1 (de) 2018-05-02
CN106574645B (zh)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626B1 (ko) 차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공압 회로
KR102080759B1 (ko)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공압 장치 동작 방법
US10288092B2 (en) Compressed-air supply installation, pneumat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ed-air supply installation
US9579943B2 (e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and pneumatic system
KR102001275B1 (ko)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
US9205719B2 (en) Air suspension installatio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and pneumatic system
US7766343B2 (en) Hydraulic spring support system
US10960724B2 (e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for operating a pneumatic installation, method and vehicle
JP5105995B2 (ja) エア回路
US9834053B2 (en) Vehicle air suspension installation and operating method
WO2018021207A1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US10703164B2 (en) Compressed air supply system
KR20210032502A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CN110121439B (zh) 压缩空气供应设备、气动系统和用于运行压缩空气供应设备或气动系统的方法
JP2017506598A (ja) 減衰装置およびスリップ制御可能な車両ブレーキ装置
JP2015054643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5829017B2 (ja) バルブ装置、エアードライヤ
KR20080037126A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공압 회로
US2022014403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and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KR100712353B1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의 폐회로 에어 공급장치
KR101234320B1 (ko)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JP200916095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S61268512A (ja) エア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00475914B1 (ko)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레벨링 시스템
CZ83493A3 (cs) Závěsný systém vozidel a způsob jeho provoz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