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418A -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418A
KR20140142418A KR1020130063506A KR20130063506A KR20140142418A KR 20140142418 A KR20140142418 A KR 20140142418A KR 1020130063506 A KR1020130063506 A KR 1020130063506A KR 20130063506 A KR20130063506 A KR 20130063506A KR 20140142418 A KR20140142418 A KR 20140142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ea
display
bezel
cov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741B1 (ko
Inventor
임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741B1/ko
Priority to US14/171,240 priority patent/US10216020B2/en
Priority to CN201910111629.6A priority patent/CN109686257B/zh
Priority to CN201410171952.XA priority patent/CN104217655B/zh
Priority to TW103118385A priority patent/TWI672224B/zh
Publication of KR2014014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418A/ko
Priority to US16/284,298 priority patent/US108023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741B1/ko
Priority to US17/068,548 priority patent/US1137227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커버 윈도우의 베젤 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과 접하며 표시 영역의 뒤쪽으로 구부러진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과,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본 기재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요성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덮어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실제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된다. 커버 윈도우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명 영역과,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불투명한 베젤 영역으로 구분된다.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은 일부의 배선이 지나가는 작은 폭의 비엠(BM, black matrix) 영역과, 모든 배선이 지나가는 큰 폭의 패드 영역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에는 집적회로 칩이 실장될 수 있으며, 패드 전극들이 위치하여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과 접속된다. 주로 비엠 영역은 표시 영역의 세 가장자리와 접하고, 패드 영역은 표시 영역의 나머지 한 가장자리와 접한다.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는 표시 장치 이외에 스피커, 카메라, 근접 센서, 물리적 버튼, 정전식 버튼, 및 마이크 등 많은 부품들을 구비한다. 이 부품들은 커버 윈도우의 베젤 영역 상에 또는 베젤 영역의 뒤쪽에 위치한다.
모바일 기기는 그립감 확보를 위해 패드 영역을 표시 영역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있으며, 전술한 부품들을 표시 영역의 상측과 하측에 나누어 위치시키고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관찰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베젤 영역을 표시 영역의 상하좌우 영역으로 구분하면, 좌우측 베젤 영역은 비엠 영역에만 대응하므로 얇은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하측 베젤 영역은 패드 영역을 덮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부품들 중 하나 이상을 배치해야 하므로 넓은 폭을 유지해야 한다. 상측 베젤 영역은 부품 배치를 위한 적정 폭을 확보하면 되지만, 디자인 관점에서 하측 베젤 영역과 폭을 동일하게 맞출 필요가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넓은 폭을 가지게 된다.
본 기재는 베젤 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같은 외형 크기의 전자 기기에서 표시 영역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요성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를 포함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과 접하며 표시 영역의 뒤쪽으로 구부러진 패드 영역을 포함한다. 커버 윈도우는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전방에 위치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표시 영역은 비엠(BM) 영역과, 패드 영역 중 표시 영역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은 표시 영역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와 접할 수 있고, 표시 영역은 노출 영역과 접하지 않는 세 가장자리에서 비엠 영역과 접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투명 영역과, 투명 영역을 둘러싸며 비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불투명한 베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 영역은 표시 영역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베젤 영역 및 우측 베젤 영역과, 표시 영역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상측 베젤 영역 및 하측 베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베젤 영역과 우측 베젤 영역 중 어느 하나는 노출 영역과 마주하고, 다른 하나는 비엠 영역과 마주할 수 있다. 상측 베젤 영역과 하측 베젤 영역 각각은 비엠 영역과 마주하는 제1 영역과, 부품 배치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좌우측 외곽에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고, 표시 영역은 렌즈부의 곡률에 대응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표시 영역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상측 베젤 영역과 하측 베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베젤 영역과 하측 베젤 영역 각각은 비엠 영역과 마주하는 제1 영역과, 부품 배치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평탄부 및 평탄부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와, 커버 윈도우의 후방에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렌즈부는 타원의 4등분 호(弧, acr) 형태를 이루는 외측면과 내측면을 포함하고, 외곽으로 갈수록 큰 두께로 형성된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평탄부 및 렌즈부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과 접하며 표시 영역의 뒤쪽으로 구부러진 패드 영역을 포함한다.
외측면은 외측 가상 타원의 4등분 호에 대응하고, 내측면은 내측 가상 타원의 4등분 호에 대응하며, 외측 가상 타원의 곡률 변화 정도는 내측 가상 타원의 곡률 변화 정도보다 작을 수 있다. 외측 가상 타원의 장축 반경은 내측 가상 타원의 4등분 호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외측면의 단부와 내측면의 단부에 각각 외측 가상 타원의 장축 및 내측 가상 타원의 장축과 교차하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이 설정되고, 평탄부의 표면에 대해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는 커버 윈도우의 재질에 따른 굴절 임계각과 같을 수 있다.
표시 영역은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표시 영역의 좌우측 단부는 제2 지점과 일치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강화 유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표시 영역은 비엠(BM) 영역과, 패드 영역 중 표시 영역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은 표시 영역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와 접할 수 있고, 표시 영역은 노출 영역과 접하지 않는 세 가장자리에서 비엠 영역과 접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표시 영역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상측 베젤 영역과 하측 베젤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측 베젤 영역과 하측 베젤 영역 각각은 비엠 영역과 마주하는 제1 영역과, 부품 배치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의 좌측 베젤 영역과 우측 베젤 영역은 각각 비엠 영역과 노출 영역에 대응하며, 그 폭을 최소화하여 전자 기기(모바일 기기)의 그립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하측 베젤 영역은 종래와 달리 패드 영역을 가릴 부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 배치를 위한 최소한의 폭만 확보하면 된다. 즉 종래 대비 하측 베젤 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관점에서 하측 베젤 영역과 같은 폭을 가지는 상측 베젤 영역 또한 그 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Ⅱ-Ⅱ을 따라 절개한 가요성 표시 패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와 비교예의 커버 윈도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 상에” 또는 “~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00)는 가요성 표시 패널(10)과, 가요성 표시 패널(10)의 앞면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30)를 포함한다. 커버 윈도우(30)는 가요성 표시 패널(10)을 덮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과 스크레치 등으로부터 가요성 표시 패널(10)을 보호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은 투명 접착층에 의해 커버 윈도우(30)에 부착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0)은 휘어지는 표시 패널로서 가요성 기판(11)과, 가요성 기판(11) 상에 형성된 표시부(20)를 포함한다. 가요성 기판(11)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금속 포일(metal foil)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0)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복수의 화소에서 방출되는 빛들을 조합하여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3은 도 2의 Ⅱ-Ⅱ을 따라 절개한 가요성 표시 패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0)은 표시부(20)가 형성된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 외측의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된다. 비표시 영역은 다시 일부의 배선이 지나가는 비엠(BM, black matrix) 영역(BA)과, 모든 배선이 지나가며 패드 전극들이 배치되는 패드 영역(PA)으로 구분된다.
도 3에서 부호 12는 비엠 영역(BA)에 위치하는 배선을 나타내고, 부호 13은 어느 하나의 패드 전극을 나타낸다.
비엠 영역(BA)은 표시 영역(DA)의 세 가장자리와 접하며, 패드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의 나머지 한 가장자리와 접한다. 패드 영역(PA)은 비엠 영역(BA)보다 큰 폭을 가진다. 예를 들어, 비엠 영역(BA)은 대략 1m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패드 영역(PA)은 대략 3~5m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에는 집적회로 칩이 실장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화소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와, 화소 회로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도 3에서는 표시부(20)를 화소 회로층(21)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층(22)으로 개략화하여 도시하였다. 표시부(20)는 박막 봉지층(23)으로 덮여 밀봉되며, 배선은 표시 영역(DA)의 화소 회로와 패드 영역(PA)의 패드 전극을 연결한다.
패드 영역(PA)에 배치된 패드 전극들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에 의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14)의 출력측 배선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의 입력측 배선은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해 인쇄회로 기판(15)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인쇄회로 기판(15)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과 배선을 거쳐 표시 영역(DA) 내부의 화소 회로로 전달된다.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 대신 집적회로 칩이 실장된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이 사용될 수도 있다.
패드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의 뒤쪽으로 접히거나 구부러진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 영역(PA)이 평탄한 상태에서 패드 영역(PA) 상에 벤딩 라인(bending line)(BL)이 설정되고, 벤딩 라인(BL)을 기준으로 패드 영역(PA)이 표시 영역(DA)의 뒤쪽으로 접히거나 구부러진다.
가요성 기판(11)은 휘어짐을 방해하는 외부 요인이 없을 때 쉽게 구부리고 접을 수 있으므로, 벤딩 라인(BL)에 휘어짐을 방해하는 외부 요인, 예를 들어 집적회로 칩이 위치하지 않는 이상 패드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의 뒤쪽으로 쉽게 접히거나 구부러진다. 패드 영역(PA)이 뒤로 접힐 때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의 일부도 같이 휘어지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과 인쇄회로 기판(15)은 표시 영역(DA)의 뒤쪽에 위치한다.
패드 영역(PA)이 표시 영역(DA)의 뒤쪽으로 접히거나 휘어짐에 따라, 패드 영역(PA) 중 표시 영역(DA)과 접하는 최소의 영역만 표시 영역(DA)과 나란하게 위치하여 표시 영역(DA)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즉 패드 영역(PA)은 커버 윈도우(30)가 없는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표시 영역(DA)과 함께 관측되는 영역(노출 영역)(PA1)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노출 영역(PA1)의 폭을 w1으로 표시하였다.
노출 영역(PA1)은 비엠 영역(BA)과 같은 대략 1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패드 영역(PA) 전체가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위치하는 종래의 표시 패널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패드 영역(PA)의 일부, 즉 전술한 노출 영역(PA1)만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위치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30)는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투명 영역(31)과,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불투명한 베젤 영역(32)을 포함한다. 이때 패드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의 뒤쪽으로 접히거나 휘어져 있으므로 비표시 영역은 비엠 영역(BA)과 노출 영역(PA1)에 해당한다. 즉 베젤 영역(32)은 비엠 영역(BA)과 노출 영역(PA1)에 대응한다.
커버 윈도우(30)는 스크레치가 쉽게 생기지 않도록 강도가 높은 강화 유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및 폴리카보네이트(ploycarbonate, P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는 가요성 표시 패널(10)과 각종 부품들을 수납하는 케이스(19)와 체결된다.
베젤 영역(32)은 표시 영역(DA)의 상측 베젤 영역(32U), 하측 베젤 영역(32D), 좌측 베젤 영역(32L), 및 우측 베젤 영역(32R)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전자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를 관찰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위아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하 방향은 전자 기기가 초기 작동할 때 화면이 정상적으로 구현되는 방향(예를 들어 글자를 표시할 때 글자가 옆으로 눕지 않고 바르게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위아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좌우 방향은 상하 방향과 직교한다.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전자 기기는 스피커, 카메라, 근접 센서, 물리적 버튼, 정전식 버튼, 및 마이크 등 많은 부품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부품들은 커버 윈도우(30)의 베젤 영역(32) 상에 또는 베젤 영역(32)의 뒤쪽에 위치한다. 모바일 기기의 경우 그립감 확보를 위해 이 부품들을 상측 베젤 영역(32U)과 하측 베젤 영역(32D)에 나누어 위치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에서 노출 영역(PA1)은 표시 영역(32)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와 접한다. 즉 노출 영역(PA1)은 하측 베젤 영역(32D)의 뒤쪽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 베젤 영역(32L)과 우측 베젤 영역(32R) 중 어느 한 베젤 영역의 뒤쪽에 위치한다. 도 1과 도 4에서는 노출 영역(PA1)이 우측 베젤 영역(32R)의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따라서 좌측 베젤 영역(32L)과 우측 베젤 영역(32R)은 각각 비엠 영역(BA)과 노출 영역(PA1)에 대응하며, 그 폭을 최소화하여 전자 기기(모바일 기기)의 그립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하측 베젤 영역(32D)은 종래와 달리 패드 영역을 가릴 부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 배치를 위한 최소한의 폭만 확보하면 된다. 즉 종래 대비 하측 베젤 영역(32D)의 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관점에서 하측 베젤 영역(32D)과 같은 폭을 가지는 상측 베젤 영역(32U) 또한 그 폭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와 비교예의 커버 윈도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a)가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30)를 나타내고, (b)가 비교예의 커버 윈도우(301)를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비교예의 경우 하측 베젤 영역(32D)은 패드 영역을 가리기 위한 영역(A10)과 부품 배치를 위한 영역(A11)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자인 관점에서 상측 베젤 영역(32U)은 하측 베젤 영역(32D)과 같은 폭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부품 배치를 위한 영역(A11) 이외에 추가 영역(A12)을 포함한다.
실시예의 경우 하측 베젤 영역(32D)은 비엠 영역(BA)을 가리기 위한 제1 영역(A1)과 부품 배치를 위한 제2 영역(A2)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영역(A1)의 폭은 비교예의 패드 영역을 가리기 위한 영역(A10)의 폭보다 작으므로 하측 베젤 영역(32D)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상측 베젤 영역(32U) 또한 비엠 영역(BA)을 가리기 위한 제1 영역(A1)과 부품 배치를 위한 제2 영역(D2)을 포함하며, 비교예의 상측 베젤 영역(32U) 대비 작은 폭을 가진다.
다시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노출 영역(PA1)을 하측 베젤 영역(32D)의 뒤쪽에 위치시키는 경우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하측 베젤 영역(32D)의 뒤쪽에는 전술한 부품들이 위치하므로, 뒤로 휘어진 패드 영역(PA)이 이 부품들과 간섭을 일으켜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패드 영역(PA)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반면, 좌우측 베젤 영역(32L, 32R)의 뒤쪽에는 전술한 부품들이 위치하지 않으므로, 뒤로 휘어진 패드 영역(PA)은 부품들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패드 영역(PA)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 설치가 용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에서 패드 영역(PA)은 뒤로 접혀 노출 영역(PA1)의 폭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품들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상하 방향에 따른 폭이 좌우 방향에 따른 폭보다 큰 포트레이트(potrait) 타입으로 형성되거나, 좌우 방향에 따른 폭이 상하 방향에 따른 폭보다 큰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첫 번째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두 번째 경우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제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200)에서 커버 윈도우(302)는 좌우측 외곽에 렌즈부(40)를 형성하고, 가요성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A)은 렌즈부(40)에 대응하여 구부러진다.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좌우측 베젤 영역을 생략하여 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아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302)는 평탄부(35)와 렌즈부(40)를 포함하며, 렌즈부(40)는 수직부(36)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과 도 9에서는 수직부(36)를 도시하였으나, 수직부(36)는 생략 가능하다. 평탄부(35)와 렌즈부(4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한다.
도 10과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302)의 렌즈부(40)는 타원의 4등분 호(弧, arc) 형태를 이루는 외측면(41)과 내측면(42)을 포함하며, 외곽으로 갈수록 큰 두께로 형성된다. 렌즈부(40)의 외측면(41)은 가상 타원(외측 가상 타원(43))의 4등분 호에 대응하고, 내측면(42)은 다른 가상 타원(내측 가상 타원(44))의 4등분 호에 대응한다.
외측 가상 타원(43)의 곡률 변화 정도는 내측 가상 타원(44)의 곡률 변화 정도보다 작다. '곡률 변화 정도'는 단위 구간의 곡률 차이를 의미한다. 즉 가상 타원 호의 임의의 지점마다 곡률을 구할 수 있으며, 두 지점 사이(단위 구간)의 곡률 차이를 알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2)의 단면 상에서 외측면(41)의 단부는 외측 가상 타원(43)의 장축과 교차하는 제1 지점(P1)이 된다. 그리고 내측면(42)의 단부는 내측 가상 타원(44)의 장축과 교차하는 제2 지점(P2)이 된다. 그리고 커버 윈도우(302)의 내부에는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L10)이 설정된다. 이 가상의 선(L10)이 렌즈부(40)와 수직부(36)를 나누는 경계가 된다.
평탄부(35)의 표면 또는 외측 가상 타원(43)의 장축에 대해 가상의 선(L10)이 이루는 각도는 커버 윈도우(302)의 재질에 따른 굴절 임계각(θ)과 동일하다. 굴절 임계각(θ)은 굴절률이 큰 물질에서 작은 물질로 빛이 입사할 때, 전반사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입사각이다.
밀도가 다른 두 매질의 경계면에 빛이 입사할 때 빛의 반사율은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따라 두 물질의 밀도 차이와 굴절률 차이 및 입사각이 클수록 커진다. 빛이 밀도가 높은 매질에서 밀도가 낮은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을 점점 크게 하여 어떤 입사각이 되면 굴절각이 90°가 되는데, 이때의 입사각이 굴절 임계각(θ)이다. 굴절 임계각(θ)보다 큰 각도로 빛이 입사하면, 빛은 굴절 성분 없이 경계면에서 100% 반사된다.
굴절 임계각(θ)은 스넬의 법칙에 따라 아래 수식 (1)과 같이 두 물질의 굴절률(n1, n2)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 (1)
커버 윈도우(302)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의 굴절률(n_glass)은 1.5이다. 그리고 대기의 굴절률(n_air)는 1이다. 수식 (1)에 유리의 굴절률과 대기의 굴절률을 대입하면, 굴절 임계각(θ)은 대략 41.81°가 된다. 커버 윈도우(302)의 재질에 따라 굴절 임계각이 변하므로, 두 가상 타원(43, 44)의 곡률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L10)이 굴절 임계각을 구현하도록 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A)은 커버 윈도우(302)의 평탄부(35) 및 렌즈부(40)와 마주하며, 표시 영역(DA)의 좌우측 단부는 렌즈부(40) 내측면(42)의 제2 지점(P2)과 일치한다. 즉 표시 영역(DA)은 수직부(36)와 마주하지 않는다.
표시 영역(DA) 중 평탄부(35)와 마주하는 부분에서 구현된 이미지는 평탄부(35)를 그대로 통과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확보된다. 그리고 표시 영역(DA) 중 렌즈부(40)와 마주하는 부분에서 구현된 이미지는 굴절되어 사용자가 위치하는 전방을 향한다. 따라서 표시 영역(DA) 중 렌즈부(40)와 마주하는 부분에서 구현된 이미지 또한 사용자의 시야에 확보된다.
만일 표시 영역(DA)이 제2 지점(P2)을 지나 수직부(36)와 마주하는 경우, 수직부(36)와 마주하는 부분에서 구현된 이미지는 사용자의 전방으로 굴절되지 못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이 부분에서 구현된 이미지를 볼 수 없다.
렌즈부(40)의 폭 또는 사용자가 관측할 수 있는 관측 영역의 폭은 외측 가상 타원(43)의 장축 반경과 동일하다. 그리고 외측 가상 타원(43)의 장축 반경은 내측 가상 타원(44)의 4등분 호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부(40)의 화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커버 윈도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2를 참고하여 외측 가상 타원(43)의 장축 반경(lo)이 내측 가상 타원(44)의 4등분 호의 길이와 같아지는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과 도 12를 참고하면, 렌즈부(40)는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 (2)
여기서, lo는 외측 가상 타원(43)의 장축 반경을 나타내고, li는 내측 가상 타원(44)의 장축 반경을 나타내며, si는 내측 가상 타원(44)의 단축 반경을 나타낸다.
한편, 하기 수식 (3)은 도 12에 도시한 각 치수들의 삼각함수 관계를 이용해 구해진 관계식이다.
Figure pat00003
--- (3)
여기서, t는 커버 윈도우(302)의 평탄부(35) 두께를 나타내고, so는 외측 가상 타원(43)의 단축 반경을 나타낸다.
수식 (2)와 수식 (3)을 정리하면 하기 수식 (4) 및 수식 (5)와 같다.
Figure pat00004
--- (4)
Figure pat00005
--- (5)
위의 수식 (2)와 (3)에 의해 외측 가상 타원(43)의 장축 반경(lo)과 단축 반경(so) 및 평탄부(35)의 두께(t)가 주어지면, 내측 가상 타원(44)의 장축 반경(li)과 단축 반경(si)을 구할 수 있다. 반대로, 내측 가상 타원(44)의 장축 반경(li)과 단축 반경(si) 및 평탄부(35)의 두께(t)가 주어진 경우에도 수식 (2)와 (3)을 이용하여 외측 가상 타원(43)의 장축 반경(lo)과 단축 반경(so)을 구할 수 있다.
수식 (2) 내지 (5)에 표기된 굴절 임계각(θ)은 커버 윈도우(302)가 유리인 경우이므로, 커버 윈도우(302)의 재질에 따라 굴절 임계각(θ)을 다르게 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302)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형성되는 경우, 굴절 임계각(θ)은 대략 42.16°이고, 커버 윈도우(302)가 폴리카보네이트(PC)로 형성되는 경우, 굴절 임계각은 대략 39.09°이다.
다시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200)는 커버 윈도우(302)에 전술한 렌즈부(40)를 형성함에 따라 커버 윈도우(302)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에 이르는 영역 전체에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302)는 상측 베젤 영역(32U)과 하측 베젤 영역(32D)만 포함하며, 제1 실시예의 좌우측 베젤 영역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200)는 제1 실시예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측 베젤 영역(32U)과 하측 베젤 영역(32D)의 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패드 영역(PA)은 커버 윈도우(302)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의 뒤쪽에 위치하며, 표시 영역(DA)의 뒤로 접히거나 구부러진다. 패드 영역(PA)이 뒤로 접힐 때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의 일부도 같이 휘어지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과 인쇄회로 기판(15)은 표시 영역(DA)의 뒤쪽에 위치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200: 표시 장치 10: 가요성 표시 패널
20: 표시부 DA: 표시 영역
BA: 비엠 영역 PA: 패드 영역
30, 301, 302: 커버 윈도우 31: 투명 영역
32: 베젤 영역 35: 평탄부
36: 수직부 40: 렌즈부

Claims (18)

  1.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과 접하며 표시 영역의 뒤쪽으로 구부러진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은 비엠(BM) 영역과, 상기 패드 영역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와 접하며,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노출 영역과 접하지 않는 세 가장자리에서 상기 비엠 영역과 접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투명 영역과, 투명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비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불투명한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베젤 영역 및 우측 베젤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상측 베젤 영역 및 하측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베젤 영역과 우측 베젤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노출 영역과 마주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비엠 영역과 마주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베젤 영역과 상기 하측 베젤 영역 각각은 상기 비엠 영역과 마주하는 제1 영역과, 부품 배치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좌우측 외곽에 렌즈부를 형성하며,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렌즈부의 곡률에 대응하여 구부러지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영역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상측 베젤 영역과 하측 베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베젤 영역과 상기 하측 베젤 영역 각각은 상기 비엠 영역과 마주하는 제1 영역과, 부품 배치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평탄부와, 평탄부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및
    상기 커버 윈도우의 후방에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타원의 4등분 호(弧, acr) 형태를 이루는 외측면과 내측면을 포함하고, 외곽으로 갈수록 큰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평탄부 및 상기 렌즈부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과 접하며 표시 영역의 뒤쪽으로 구부러진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은 외측 가상 타원의 4등분 호에 대응하고,
    상기 내측면은 내측 가상 타원의 4등분 호에 대응하며,
    상기 외측 가상 타원의 곡률 변화 정도는 상기 내측 가상 타원의 곡률 변화 정도보다 작은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상 타원의 장축 반경은 상기 내측 가상 타원의 4등분 호의 길이와 동일한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의 단부와 상기 내측면의 단부에 각각 상기 외측 가상 타원의 장축 및 상기 내측 가상 타원의 장축과 교차하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이 설정되고,
    상기 평탄부의 표면에 대해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재질에 따른 굴절 임계각과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표시 영역의 좌우측 단부는 상기 제2 지점과 일치하는 표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강화 유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은 비엠(BM) 영역과, 상기 패드 영역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와 접하며,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노출 영역과 접하지 않는 세 가장자리에서 상기 비엠 영역과 접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영역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상측 베젤 영역과 하측 베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베젤 영역과 상기 하측 베젤 영역 각각은 상기 비엠 영역과 마주하는 제1 영역과, 부품 배치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30063506A 2013-06-03 2013-06-03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01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506A KR102018741B1 (ko) 2013-06-03 2013-06-03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14/171,240 US10216020B2 (en) 2013-06-03 2014-02-03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CN201910111629.6A CN109686257B (zh) 2013-06-03 2014-04-25 带有覆盖视窗的显示装置
CN201410171952.XA CN104217655B (zh) 2013-06-03 2014-04-25 带有覆盖视窗的显示装置
TW103118385A TWI672224B (zh) 2013-06-03 2014-05-27 具有覆蓋窗口之顯示裝置
US16/284,298 US10802312B2 (en) 2013-06-03 2019-02-25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US17/068,548 US11372272B2 (en) 2013-06-03 2020-10-12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506A KR102018741B1 (ko) 2013-06-03 2013-06-03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418A true KR20140142418A (ko) 2014-12-12
KR102018741B1 KR102018741B1 (ko) 2019-09-06

Family

ID=5198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506A KR102018741B1 (ko) 2013-06-03 2013-06-03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216020B2 (ko)
KR (1) KR102018741B1 (ko)
CN (2) CN109686257B (ko)
TW (1) TWI672224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8651A1 (zh) * 2016-01-28 2017-08-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70112278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180029190A (ko) * 2016-09-09 2018-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KR20190023020A (ko) * 2017-08-25 2019-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490770B2 (en) 2016-09-09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0880277A (zh) * 2018-09-05 2020-03-1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599321B2 (en) 2015-08-13 2020-03-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member
WO2020246668A1 (ko) * 2019-06-05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21427A (ko) * 2020-08-13 2022-02-22 애플 인크. 만곡 디스플레이 표면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US11880235B2 (en) 2019-05-10 2024-01-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enhanced display are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650B1 (ko) 2013-04-10 2020-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8741B1 (ko) 2013-06-0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271585B1 (ko) * 2014-02-10 2021-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409020B (zh) * 2014-12-15 2017-09-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16104358A1 (ja) * 2014-12-25 2016-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304102B1 (ko) * 2015-01-14 2021-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89014A (ko) * 2015-01-16 2016-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JP6448391B2 (ja) * 2015-01-28 2019-01-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モジュール
TWI696108B (zh) 2015-02-13 2020-06-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功能面板、功能模組、發光模組、顯示模組、位置資料輸入模組、發光裝置、照明設備、顯示裝置、資料處理裝置、功能面板的製造方法
JP6404150B2 (ja) * 2015-03-12 2018-10-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410549B1 (ko) * 2015-04-09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리스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60124310A (ko) * 2015-04-16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US10564678B2 (en) * 2015-10-26 2020-02-18 Motorola Mobility Llc Display screen and display lens of electronic device
KR102339282B1 (ko) * 2015-11-02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3948A (ko) * 2015-12-21 201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필름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04128B1 (ko) * 2016-03-11 2023-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6108111A1 (de) * 2016-05-02 2017-11-02 Osram Oled Gmbh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US10223952B2 (en) 2016-10-26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rved edge display with controlled distortion
US10185064B2 (en) 2016-10-26 2019-0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rved edge display with controlled luminance
US10048532B2 (en) 2016-11-08 2018-08-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edge emission compensation
KR20180057773A (ko) * 2016-11-21 2018-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76419A (ko) * 2016-12-27 2018-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디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777558B2 (ja) 2017-01-20 2020-10-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80098890A (ko) * 2017-02-27 201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847099A (zh) * 2017-04-24 2017-06-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KR102388902B1 (ko) * 2017-05-26 2022-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367971B1 (ko) * 2017-06-16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7491221B (zh) * 2017-08-31 2023-08-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451750B1 (ko) 2018-03-26 2022-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US10620365B2 (en) * 2018-06-19 2020-04-14 Sony Corporation Overlay panel with light guides for a display device
KR102589994B1 (ko) * 2018-12-12 2023-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78243A (ko) * 2018-12-21 2020-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구조물
KR20210008221A (ko) * 2019-07-11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634402A (zh) * 2019-08-28 2019-12-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折弯方法及显示装置
US11385737B1 (en) * 2021-04-13 2022-07-12 Tpk Touch Systems (Xiamen) Inc. Electron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5934A1 (en) * 2009-02-06 2011-11-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130004085A (ko) * 2011-06-30 201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07311A (ko) * 2011-06-30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53449U (en) * 1995-11-16 2001-09-01 Hitachi Ltd LCD display panel with buckling driving multi-layer bendable PCB
JPH11305205A (ja) * 1998-04-22 1999-11-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4035051B2 (ja) 2000-08-09 2008-01-16 キム、シハン 携帯用情報表示装置用折り畳み式ケース
GB0028890D0 (en) * 2000-11-27 2001-01-10 Isis Innovation Visual display screen arrangement
TW200617498A (en) * 2004-11-26 2006-06-01 Sanyo Electric Co Display device, portable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0649758B1 (ko) * 2005-11-15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균일한 광량 분포를 위한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장치
US7620175B2 (en) * 2006-07-24 2009-11-17 Motorola, Inc. Handset device with audio porting
KR20080033000A (ko) * 2006-10-12 200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과액정표시장치
CN100439995C (zh) 2007-01-12 2008-12-0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平面显示面板
KR100876248B1 (ko) 2007-07-02 2008-12-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5657B1 (ko) 2008-08-11 2014-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2067196B (zh) * 2008-06-25 2014-04-2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BRPI0914267A2 (pt) * 2008-06-26 2015-11-03 Sharp Kk dispositivo de exibição e dispositivo e elétrico
AU2009288594B2 (en) 2008-09-05 2012-04-05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US7697281B2 (en) 2008-09-05 2010-04-13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US8472114B2 (en) 2008-12-18 2013-06-2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RU2011137414A (ru) * 2009-02-10 2013-03-20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5349591B2 (ja) * 2009-06-03 2013-11-2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8804317B2 (en) 2009-07-01 2014-08-1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8576209B2 (en) * 2009-07-07 2013-1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101014730B1 (ko) 2009-07-10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101996535A (zh) * 2009-08-25 2011-03-3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学装置和电子设备
US9075258B2 (en) 2009-11-12 2015-07-0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unit and display device
US10061356B2 (en) *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8723824B2 (en)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8982310B2 (en) 2011-12-15 2015-03-17 Apple Inc. Displays with light-curable sealant
KR101876540B1 (ko) * 2011-12-28 2018-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202650440U (zh) * 2012-03-22 2013-01-02 曹嘉灿 消隐边框显示装置
KR102117890B1 (ko) *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991839B1 (ko) * 2013-01-15 2019-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120101B1 (ko) * 2013-04-03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741B1 (ko) * 2013-06-0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JP6221363B2 (ja) * 2013-06-06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9817261B2 (en) * 2015-04-28 2017-11-14 Lg Display Co., Ltd. Curved cover for curved display and curved typ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5838412A (zh) * 2016-03-24 2016-08-10 东营佰孚新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全天候太阳能石油加热脱水系统
CN108573656A (zh) * 2017-03-14 2018-09-2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以及柔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5934A1 (en) * 2009-02-06 2011-11-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130004085A (ko) * 2011-06-30 201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07311A (ko) * 2011-06-30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0043B2 (en) 2015-08-13 2023-1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member
US10599321B2 (en) 2015-08-13 2020-03-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member
US10007141B2 (en) 2016-01-28 2018-06-26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17128651A1 (zh) * 2016-01-28 2017-08-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70112278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180029190A (ko) * 2016-09-09 2018-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US10490770B2 (en) 2016-09-09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90023020A (ko) * 2017-08-25 2019-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880277A (zh) * 2018-09-05 2020-03-1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481004B2 (en) 2018-09-05 2022-10-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47397B2 (en) 2018-09-05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880235B2 (en) 2019-05-10 2024-01-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enhanced display areas
WO2020246668A1 (ko) * 2019-06-05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21427A (ko) * 2020-08-13 2022-02-22 애플 인크. 만곡 디스플레이 표면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US11862083B2 (en) 2020-08-13 2024-01-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urved display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2224B (zh) 2019-09-21
US11372272B2 (en) 2022-06-28
TW201446523A (zh) 2014-12-16
CN104217655B (zh) 2019-03-08
KR102018741B1 (ko) 2019-09-06
CN104217655A (zh) 2014-12-17
US20140355227A1 (en) 2014-12-04
US20190187507A1 (en) 2019-06-20
US10802312B2 (en) 2020-10-13
CN109686257A (zh) 2019-04-26
CN109686257B (zh) 2021-10-12
US20210026187A1 (en) 2021-01-28
US10216020B2 (en)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741B1 (ko)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10446800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light sensors and displays
EP371961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CN108418918B (zh) 电子设备
JP6850550B2 (ja) 曲面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09855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93068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camera
EP3582064B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00121257A (ko) 멀티 인식 터치 패널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04142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22018317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TWM521193U (zh) 電子顯示模組
CN114731347A (zh) 包括显示器和相机装置的电子装置
KR20220099047A (ko)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CN110806781A (zh) 电子设备
KR20210029618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9057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display
CN114415414B (zh) 一种前光模组、显示装置
US2023005015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nder display camera and display included in the same
WO2020140201A1 (zh) 显示设备
KR20230024192A (ko) Udc를 포함한 전자 장치
CN113539061A (zh) 感应组件及电子装置
TWI401595B (zh) 光學式觸控顯示裝置
CN117694034A (zh) 包括显示器下相机的电子装置和电子装置中包括的显示器
CN110650228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