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047A -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047A
KR20220099047A KR1020210001103A KR20210001103A KR20220099047A KR 20220099047 A KR20220099047 A KR 20220099047A KR 1020210001103 A KR1020210001103 A KR 1020210001103A KR 20210001103 A KR20210001103 A KR 20210001103A KR 20220099047 A KR20220099047 A KR 2022009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lass layer
adhesive
hous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김경태
김광태
염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047A/ko
Priority to PCT/KR2022/000176 priority patent/WO2022149857A1/ko
Priority to EP22736834.7A priority patent/EP4198953A4/en
Priority to US17/586,038 priority patent/US20220217863A1/en
Publication of KR2022009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폴더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글라스는,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에서 밴딩되는 밴딩부,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 및 상기 접힘 상태에서 평탄한 평탄부로서, 상기 밴딩부와 경계를 이루도록 인접한 제1평탄부,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글라스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는,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글라스 부재는, 상기 제2평탄부에서 제1두께를 갖고, 상기 밴딩부의 중심에서 제2두께를 갖고, 상기 제1평탄부 및 상기 밴딩부의 중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2두께보다 큰 제3두께를 갖고,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밴딩부의 중심으로갈수록 상기 글라스 부재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으로 인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는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TO REDUCE DAMAGE TO GLAS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폴더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점차 슬림화되어가고 있으며, 전자 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디자인적 측면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그 기능적 요소를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획일적인 장방형 형상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한 형상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휴대가 편리하면서, 사용될 경우에는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구조의 일환으로,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하우징들이 서로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foldable)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용에 따른 다양한 개선책이 마련되고 있다.
폴더블(foldable) 전자 장치는 힌지 장치와, 힌지 장치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전자 장치는 힌지 장치를 통해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에 대하여 0도 ~ 360도의 범위를 가지고 회전됨으로서 in-folding 및/또는 out-folding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180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글라스층은 굽힘 가능하도록 UTG(ultra thin galss)를 포함할 수 있다. UTG는, 투명 PI(polyimide) 필름에 비하여, 시인성(투명성)과 경도(표면의 단단함)가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갈라질 수 있다.
한편,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경계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부에서 굴곡진 표면이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 충격으로부터 글라스를 보호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경계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부에서 굴곡진 표면이 육안으로 관찰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이 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장치, 및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제1방향에 배치된 글라스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층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나란하게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펼침 상태에서 평탄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는 접힘 상태에서 밴딩되는 밴딩부, 및 상기 펼침 상태 및 상기 접힘 상태에서 평탄한 평탄부로서, 상기 밴딩부와 경계를 이루도록 인접한 제1평탄부,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글라스층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층은,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글라스 부재는, 상기 제2평탄부에서 제1두께를 갖고, 상기 밴딩부의 중심에서 제2두께를 갖고, 상기 제1평탄부 및 상기 밴딩부의 중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2두께보다 큰 제3두께를 갖고,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밴딩부의 중심으로갈수록 상기 글라스 부재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으로 인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글라스는,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에서 밴딩되는 밴딩부,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 및 상기 접힘 상태에서 평탄한 평탄부로서, 상기 밴딩부와 경계를 이루도록 인접한 제1평탄부,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글라스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는,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글라스 부재는, 상기 제2평탄부에서 제1두께를 갖고, 상기 밴딩부의 중심에서 제2두께를 갖고, 상기 제1평탄부 및 상기 밴딩부의 중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2두께보다 큰 제3두께를 갖고,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밴딩부의 중심으로갈수록 상기 글라스 부재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으로 인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글라스 를 보호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경계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굴곡진 표면이 육안으로 관찰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unfolded stag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folded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역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 글라스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펼침 상태일 때 글라스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에 형성된 요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에 형성된 요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으로부터 글라스층을 박리하는 방법을 설명한 예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unfolded stag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folded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도록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폴딩축(A1)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예: 폴더블 하우징),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을 통해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1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151)(예: 서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는, 접힘 상태에서,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고, 펼침 상태에서, 힌지 장치를 보호하고,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제1디스플레이(1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면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은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폴딩축(A1)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축(A1)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폴딩축(A1)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접힐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unfolded stage)인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면(111), 제1면(1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112), 및 제1면(111)과 제2면(112) 사이의 제1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측면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은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면(121), 제3면(1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면(122), 및 제3면(121) 및 제4면(122) 사이의 제2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111)은, 펼침 상태에서 제3면(121)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접힘 상태에서 제3면(121)과 마주보도록 대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구조적 결합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1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10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01)는 제1디스플레이(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어,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가릴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버(165)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 접힘 상태 또는 중간 상태에 따라,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 사이에서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 커버(165)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버(165)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예: 도 1의 상태) 인 경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0a), 폴딩 영역(130c) 및 제2영역(130b)은 동일 평면을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110)은 제2하우징(120)에 대하여 360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제2면(112)과 제4면(122)이 마주보도록 반대로 접힐 수도 있다(out folding 방식).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 및 제2하우징(120)의 제3면(12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0a)과 제2영역(130b)은 폴딩 영역(130c)를 통해, 서로 좁은 각도(예: 0도 ~ 10도 범위)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영역(130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중간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0a)과 제2영역(130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폴딩 영역(130c)의 곡률 반경은 접힘 상태인 경우보다 클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 사이의 지정된 폴딩 각도에서 멈출 수 있는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free stop 기능).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지정된 변곡 각도를 기준으로, 펼쳐지는 방향 또는 접히는 방향으로, 가압받으면서 동작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 입력 장치(115), 음향 출력 장치(127, 128), 센서 모듈(117a, 117b, 126), 카메라 모듈(116a, 116b, 125), 키 입력 장치(119), 인디케이터(미도시) 또는 커넥터 포트(1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는,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으로부터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제2하우징(120)의 제3면(121)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130)(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제2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서 제4면(122)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1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디스플레이(151)는,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중간 상태의 경우,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폴딩 각도에 기반하여 제1디스플레이(130) 또는 제2디스플레이(151)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100)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10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제1하우징(110)과 대면하는 제1영역(130a), 제2하우징(120)과 대면하는 제2영역(130b) 및 제1영역(130a)과 제2영역(130b)을 연결하고,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와 대면하는 폴딩 영역(130c)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0a)은, 실질적으로,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2영역(130b)은, 실질적으로, 제2하우징(120)의 제3면(121)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110, 120) 및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에 의한 예시적인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110, 120) 및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130)는 이음매 없는(seamless), 하나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영역(130a)과 제2영역(130b)은 폴딩 영역(130c)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거나, 부분적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110)의 제2면(112)에 배치되는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하우징(120)의 제4면(122)에 배치되는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측면 부재(1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후면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측면 부재(12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 또는 불투명한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후면 커버(140)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과 같은, 불투명한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후면 커버(150)는, 예를 들어, 글래스 또는 폴리머와 같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151)는, 제2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서, 제2후면 커버(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115)는, 마이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115)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127, 128)는 스피커들(127, 128)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들(127, 128)은, 제2하우징(120)의 제4면(122)을 통해 배치되는 통화용 리시버(127) 및 제2하우징(120)의 측면 부재를 통해 배치되는 외부 스피커(128)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마이크(115), 스피커들(127, 128) 및 커넥터(129)는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공간들에 배치되고,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에 형성된 홀들은 마이크(115) 및 스피커들(127, 128)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 장치(127, 128)는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에 형성된 홀이 배제된 채, 동작되는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16a, 116b, 125)은,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는 제1카메라 장치(116a), 제1하우징(110)의 제2면(112)에 배치되는 제2카메라 장치(116b)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제4면(122)에 배치되는 제3카메라 장치(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카메라 장치(116b) 근처에 배치되는 플래시(11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118)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들(116a, 116b, 125)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카메라 장치들(116a, 116b, 125)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는 2개 이상의 렌즈들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어느 한 면에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117a, 117b, 126)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17a, 117b, 126)은,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는 제1센서 모듈(117a), 제1하우징(110)의 제2면(112)에 배치되는 제2센서 모듈(117b)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제4면(122)에 배치되는 제3센서 모듈(126)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117a, 117b, 126)은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조도 센서, 초음파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또는 거리 검출 센서(TOF 센서 또는 RiDAR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지문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센서는 제1하우징(110)의 제1측면 부재(113)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제2측면 부재(123)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재를 통해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119)는, 제1하우징(110)의 제1측면 부재(1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119)는 제2하우징(120)의 제2측면 부재(12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9)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9)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119)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포트(129)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 또는 IF 모듈(interface connector port 모듈))를 수용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커넥터 포트(129)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함께 수행하거나,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 포트(예: 이어잭 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들(116a, 116b, 125)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116a, 125), 센서 모듈(117a, 117b, 12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17a, 126)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116a, 125),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17a, 126)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0, 12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130, 140)의 활성화 영역(display area) 아래에 배치되고, 커버 부재(예: 제1디스플레이(130)의 윈도우층(미도시) 및/또는 제2후면 커버(150))까지 천공된 오프닝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부 카메라 장치 또는 센서 모듈(104)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01)(예: 디스플레이 패널)의, 카메라 장치 및/또는 센서 모듈과 대면하는 영역은, 천공된 오프닝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디스플레이(130), 제2디스플레이(151),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1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플레이트(예: Cu 시트 또는 SUS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실질적으로 제1디스플레이(130)와 동일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디스플레이(130c)의 폴딩 영역(130c)과 대면하는 영역이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예: 그라파이트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디스플레이(151)는 제2하우징(120)과 제2후면 커버(15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디스플레이(151)는 제2하우징(120)과 제2후면 커버(150) 사이의 공간에서, 제2후면 커버(150)의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으로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제1지지 부재(161)(예: 제1지지 플레이트), 제2지지 부재(162)(예: 제2지지 플레이트), 제1지지 부재(161)과 제2지지 부재(162)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장치(164), 힌지 장치(164)를 외부에서 볼 때, 이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 및 제1지지 부재(161)와 제2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 부재(161)는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1인쇄 회로 기판(1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 부재(162)는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2영역(131b)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와 힌지 장치(164)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는 제1지지 부재(161)와 제2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는 폴딩 영역(130c)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은, 제1지지 부재(161)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지지 부재(162)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은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1후면 커버(140) 및/또는 제2후면 커버(15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은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110)의 제1공간에서, 제1지지 부재(161)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 제1지지 부재(161)의 제1스웰링 홀(161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배터리(191),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182)(예: 도 1의 제1카메라 장치(116a) 및/또는 제2카메라 장치(116b))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예: 도 1의 제1센서 모듈(117a) 및/또는 제2센서 모듈(117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의 제2공간에는 제2지지 부재(162)를 통해 형성된 제2공간에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제2지지 부재(162)의 제2스웰링 홀(162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터리(19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과 제1지지 부재(1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과 제2지지 부재(162)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은 제1회전 지지면(1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우징(120)은 제1회전 지지면(114)에 대응되는 제2회전 지지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를 덮어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노출시키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3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영역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의 전자 장치(3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1면(311)(예: 도 1의 제1면(111)), 제1면(311)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312)(예: 도 1의 제2면(112)) 및 제1면(311)과 제2면(312) 사이의 제1공간을 둘러싸는 제1측면 부재(313)(예: 도 1의 제1측면 부재(113))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310)(예: 도 1의 제1하우징(110))(예: 제1하우징 구조)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제1면(311)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3면(321)(예: 도 1의 제3면(121)), 제2면(312)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4면(322)(예: 도 1의 제4면(122)) 및 제3면(321)과 제4면(322) 사이의 제2공간을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323)(예: 도 1의 제2측면 부재(123))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320)(예: 도 1의 제2하우징(120))(예: 제2하우징 구조)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310) 및 제2하우징(320)은 힌지 장치(364)(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폴딩축(A1)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0)는 힌지 장치(364)를 통해 제1하우징(310)과 제2하우징(320)을 서로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접힘 상태에서, 제1면(311)과 제3면(321)이 대면할 수 있으며, 펼침 상태에서 제1면(311)과 제3면(321)은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접힘 상태에서, 제1면(311)과 제3면(321)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으며, 펼침 상태에서 제1면(311)과 제3면(321)은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1면(311)과 제3면(32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예: 도 1의 제1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제1하우징(310), 힌지 장치(364) 및 제2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310)에 대면하는 제1영역(h1), 제2하우징(320)에 대면하는 제2영역(h2) 및 힌지 장치(364)과 대면하는 폴딩 영역(h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1영역(h1)에 대응하는 제1하우징(310)이 폴딩 영역(h3)에 대응하는 힌지 장치(364)을 통해 제2영역(h2)에 대응하는 제2하우징(32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프레임(340, 350)(예: 장식 부재 또는 데코)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 프레임(340, 350)은 제1영역(h1)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보호 프레임(340) 및 제2영역(h2)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보호 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프레임들(340, 350)은 폴리머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각 하우징들(310, 320)에 본딩, 테이핑, 융착 또는 구조적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식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제1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는 제1가장자리(4001), 제2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는 제2가장자리(4002), 제1가장자리(4001)의 일단과 제2가장자리(400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가장자리(4003) 및 제1가장자리(4001)의 타단과 제2가장자리(4002)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가장자리(400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제1가장자리(4001) 및 제3가장자리(4003)와 제4가장자리(4004)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310)과 제1보호 프레임(34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제2가장자리(4002) 및 제3가장자리(4003)와 제4가장자리(4004)의 적어도 일부는 제2하우징(320)과 제2보호 프레임(35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제1보호 프레임(340) 및/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제2보호 프레임(350) 사이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내부로 정전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된 정전기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정전기 유도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메인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구조물로 유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5의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오동작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 쌍의 보호 프레임들(340, 350)은 힌지 장치(364)를 기준으로 제1하우징(310)과 제2하우징(320)의 접히고 펼쳐지는 동작을 위하여, 힌지 장치(364)와 대응되는 폴딩 영역(h3)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이러한 폴딩 영역(h3)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제3가장자리(4003)의 적어도 일부 및 제4가장자리(4004)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보호 구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영역(h3)을 통해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들은 보호 구조(50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구조(500)는, 힌지 장치(364)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지지 받도록 배치되는 지지 바디(510) 및 지지 바디(510)의 지지를 받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감추도록 배치되는 차단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지 바디(510)는 필름 타입의 차단 부재(520)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 바디(510)의 좌, 우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윙 구조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 1 하우징(310)),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 2 하우징(320)), 상기 제1하우징(31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320)이 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310)과 상기 제2하우징(3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 및 상기 제1하우징(310) 및 상기 제2하우징(320)에 의해 지지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5의 디스플레이 패널(43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제1방향에 배치된 글라스층(예: 도 5의 글라스층(412))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층(412)은, 상기 제1하우징(310)과 상기 제2하우징(320)이 나란하게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펼침 상태에서 평탄하고, 상기 제1하우징(310)과 상기 제2하우징(320)이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는 접힘 상태에서 밴딩되는 밴딩부(예: 도 6의 밴딩부(710)), 및 상기 펼침 상태 및 상기 접힘 상태에서 평탄한 평탄부(예: 도 6의 평탄부(720))로서, 상기 밴딩부(710)와 경계를 이루도록 인접한 제1평탄부(예: 도 7의 제1평탄부(721)), 및 상기 제1평탄부(721)로부터 상기 글라스층(412)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평탄부(예: 도 7의 제2평탄부(722))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층(412)은, 글라스 부재(예: 도 6의 글라스 부재(610))를 포함하되, 상기 글라스 부재(610)는, 상기 제2평탄부(722)에서 제1두께를 갖고, 상기 밴딩부(710)의 중심에서 제2두께를 갖고, 상기 제1평탄부(721) 및 상기 밴딩부(710)의 중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2두께보다 큰 제3두께를 갖고, 및 상기 제1평탄부(721)로부터 상기 밴딩부(710)의 중심으로갈수록 상기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으로 인해 오목부(예: 도 7의 오목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부재(610)는 UTG(ultra thin glass)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630)의 폭은, 상기 밴딩부(71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630)의 표면에는 경사진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722)의 표면에 대한 상기 경사진 표면의 각도를 각도를 θ라고 정의할 때, 상기 경사진 표면의 기울기인 tan θ 는 약 1/1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두께는 제2두께의 2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630)는, 상기 글라스층(412)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630)는, 상기 글라스층(412)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630)의 상기 경사진 표면에는 규칙적인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630)의 상기 경사진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상기 글라스층(412) 사이에 배치된 편광층, 상기 편광층과 상기 글라스층(412) 사이에 배치된 충격 흡수층, 및 상기 글라스층(412)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배치된 폴리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층(412)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고, 및 상기 글라스층(412)과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층(412)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글라스층(412)과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면적와 같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으로 돌출되고, 및 상기 제2점착제의 끝단과 상기 글라스층(412)의 끝단은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층(412)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글라스층(412)과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으로 돌출되고, 및 상기 제2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3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층(412)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면적과 같고, 상기 글라스층(412)과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점착제의 끝단과 상기 글라스층(412)의 끝단은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및 상기 제2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글라스층(41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층(41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3방향에는, 상기 제1점착제와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대응하도록 점착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격 흡수층의 면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충격 흡수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0) 사이에 배치된 제3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충격 흡수층의 끝단 및 상기 제3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점착제의 고온 점착력은, 제1점착제 및 제2점착제 각각의 고온 점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점착제는, 지정된 파장대의 UV(ultraviolet ray) 광이나 레이저에 반응하여 점착력이 낮아지도록, 광개시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점착제의 두께는 상기 제1점착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10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글라스는,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에서 밴딩되는 밴딩부(710),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 및 상기 접힘 상태에서 평탄한 평탄부(720)로서, 상기 밴딩부(710)와 경계를 이루도록 인접한 제1평탄부(721), 및 상기 제1평탄부(721)로부터 상기 글라스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평탄부(722)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는, 글라스 부재(610)를 포함하되, 상기 글라스 부재(610)는, 상기 제2평탄부(722)에서 제1두께를 갖고, 상기 밴딩부(710)의 중심에서 제2두께를 갖고, 상기 제1평탄부(721) 및 상기 밴딩부(710)의 중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2두께보다 큰 제3두께를 갖고, 및 상기 제1평탄부(721)로부터 상기 밴딩부(710)의 중심으로갈수록 상기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으로 인해 오목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부재(610)는 UTG(ultra thin glass)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630)의 폭은, 상기 밴딩부(71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630)의 표면에는 경사진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722)의 표면에 대한 상기 경사진 표면의 각도를 각도를 θ라고 정의할 때, 상기 경사진 표면의 기울기인 tan θ 는 약 1/1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UB(unbreakable) type OLED 디스플레이(예: curved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Y-OCTA(YOUM-on cell touch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의 제1디스플레이(13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예: 도 1의 제1디스플레이(130))는 윈도우층(410), 윈도우층(410)의 배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편광층(POL(polarizer))(420)(예: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410)은 폴리머층(411)(예: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머층(411)과 합지되는 글라스층(412)(예: UTG(ultra thin galss))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층은 PET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은 UTG(ultra thi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층(411)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에 포함된 다른 레이어들(예: 글라스층(412), 편광층(420) 및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층(411)은 글라스층(412)을 보호하고, 글라스층(412)에 크랙(crack)이 발생한 경우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폴리머층(411)은 글래스 소재를 포함하거나, 필름층 또는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폴리머층(411)은 플렉서블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층(411)은 높은 빛 투과율을 갖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편광층(420)을 대신하여 컬러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컬러 필터는 편광층(42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전자 장치(100)는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방식의 전자 장치(100)로 정의될 수 있다. COE 방식의 전자 장치(100)는 편광층(420)의 기능 또는 역할을 컬러 필터가 대신하도록 함으로써 투과율이 향상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두께를 약 100㎛~약 150㎛ 줄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시하지 않은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편광층(420)과 글라스층(4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편광층(4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윈도우층(410), 편광층(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1하우징(예: 도 1의 제1하우징(110))의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1))과 제2하우징(예: 도 1의 제2하우징(120))의 제3면(예: 도 1의 제3면(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410), 편광층(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점착제(P1, P2, P3)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P1, P2, P3)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일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또 다른 접착 부재(예: 양면 테이프 또는 방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또 다른 접착 부재를 통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의 지지 부재 어셈블리(예: 도 3의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440)는 어두운 색상(예: 블랙)이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off시 배경 시현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440)는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부재(cushion)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방수를 위하여, 폴리머 부재(440)은 제거되거나, 도전성 플레이트(450)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전자 장치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SUS(steel use stainless)(예: STS(stainless steel)), Cu, Al 또는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기타 다른 합금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전자 장치(예: 도 4a의 전자 장치(300))의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1하우징(310))에 대면하는 부분과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2하우징(320))에 대면하는 부분이 힌지 장치(예: 도 4a의 힌지 장치(364))와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된 굴곡 가능부(예: 복수의 오프닝 및/또는 슬릿들을 포함하는 래티스(lattice) 구조를 통해 굴곡성이 제공된 부분)와 연결됨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힌지 장치(예: 도 4a의 힌지 장치(364))와 대면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1하우징(310))에 대면하는 부분과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2하우징(320))에 대면하는 부분이 각각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도전성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보강 플레이트들(4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플레이트들(460)은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1하우징(310))에 대면하는 제1보강 플레이트(461)와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2하우징(320))에 대면하는 제2보강 플레이트(46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폴리머 부재(440)와 도전성 플레이트(45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방열을 위한 그라파이트 시트, 포스터치 FPCB, 지문 센서 FPCB,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방열 시트, 도전 / 비도전 테이프 또는 open cell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굽힘이 가능할 경우,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1하우징(310))으로부터 힌지 장치(예: 도 4a의 힌지 장치(364))를 통해,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2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까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필기 부재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부재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적층 구조 및 적층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적층 구조 또는 적층 순서에, 적어도 일부 레이어가 추가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 레이어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일 때 글라스층(4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일 때 글라스층(4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4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글라스층(412)은 도 5에 도시된 글라스층(412)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를 결부하여, 도 5에서 미설명되거나 달라진 글라스층(412)의 특징만을 기재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412)은, 평탄부(720), 밴딩부(7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글라스층(412)의 전체 영역은 평탄부(720), 및 밴딩부(710)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평탄부(720)는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일 때 평탄하고,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일 때 평탄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평탄부(720)는 전자 장치(100)의 형태에 상관없이 항상 평탄한 영역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부(720)의 표면의 곡률은 전자 장치(100)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밴딩부(710)는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일 때 구부러지고,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일 때 평탄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밴딩부(710)는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일 때에만 구부러지는 영역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딩부(710)의 곡률은 펼침 상태로부터 접힘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전환될 때 가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밴딩부(710)는 실질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폴딩 영역(예: 도 1의 폴딩 영역(130c))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딩부(710)는 글라스층(412)의 중심(c)에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층(412)의 평탄부(720)는, 글라스층(412)에서 밴딩부(710)가 중심(c)에 위치함에 따라, 밴딩부(710)의 양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딩부(710)의 중심(c)은 글라스층(412)의 중심(c)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평탄부(720)는, 밴딩부(710)와 경계를 이루도록 인접한 영역과, 밴딩부(710)와 인접하지 않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부(720)는, 밴딩부(710)와 경계를 이루도록 인접한 제1평탄부(721), 및 제1평탄부(721)로부터 글라스층(412)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평탄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는, 글라스층(412)에서 밴딩부(710)가 중심(c)에 위치함에 따라, 밴딩부(710)의 일단과 인접한 제1부분(721a), 및 밴딩부(710)의 타단과 인접한 제2부분(721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부(720)의 제2평탄부(722)는, 제1부분(721a)로부터 글라스층(412)의 일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제3부분(722a), 및 제2부분(721b)로부터 글라스층(412)의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제4부분(722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적층 구조는, 글라스 부재(610) 및 충진 부재(6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는, 고분자 필름 또는 글래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는 PI, PET, 또는 UTG(ultra thi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부재(620)는 합성 수지(예: 레진)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합성 수지는 아크릴, 에폭시, 실리콘, 또는 우레탄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부재(620)는 광접착 레진(OCR, 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부재(620)는 글라스 부재(610) 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성이 강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는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전면(예: 도 1의 제1면(111) 및 제3면(121))이 노출되는 제1방향(z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부재(620)은 글라스 부재(610)로부터 제1방향(z 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부재(620)은 글라스 부재(610)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글라스 부재(610)의 전체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고, 밴딩부(710)의 중심(c)에 가까워질수록 줄어들게 설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는, 글라스층(412)의 평탄부(720)에서 제1두께(t1)를 갖되,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에서부터 두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밴딩부(710)의 중심(c)에서 제2두께(t2)(예: 최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는, 밴딩부(710)의 중심(c)에서 제2두께(t2)(예: 최소 두께)를 가질 수 있고,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 사이의 구간에서 제1두께(t1)보다 작고 제2두께(t2)보다 큰 제3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두께(t1)는 제2두께(t2)의 2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밴딩부(710)의 중심(c)에 대응하는 글라스 부재(610)의 제2두께(t2)는, 제2평탄부(722)에 대응하는 글라스 부재(610)의 제1두께(t1)의 1/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는,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가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으로 갈수록 얇아짐에 따라,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 사이의 구간에서 경사진 표면(63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는,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가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으로 갈수록 얇아짐에 따라,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 사이의 구간에서 오목부(630)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630)의 표면은 상기 경사진 표면(6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의 오목부(630)는, 제2방향(-z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 부재(610)의 오목부(630)는,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 사이의 구간에서, 편광층(42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글라스 부재(610)가 상기 오목부(630)를 포함함에 따라 폴딩 영역(130c)의 경계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줄일 수 있고, 글라스 부재(610)의 크랙(crack)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글라스 부재(610)의 오목부(630)가 형성되는 부분(예: 예컨대 경사진 표면(631)이 형성되는 부분)이, 밴딩부(710)에만 국한되지 않고, 평탄부(720)의 일부분(예: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까지 확장됨에 따라 폴딩 영역(130c)의 경계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630)의 폭(w)은, 밴딩부(71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의 오목부(630)에서, 경사진 표면(631)의 기울기는 약 1/10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 부재(610)의 배면(예: 글라스 부재(610)의 제2방향(-z 방향)을 향하는 면)에 대한 경사진 표면(631)의 각도를 θ라고 정의할 때, tan θ 는 약 1/10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점선 79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는, 밴딩부(710)의 전체 영역에서 제2두께(t2)를 갖도록 일정하게 유지되고,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제2두께(t2)보다 크고 제1두께(t1)보다 작은 제3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점선 79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글라스 부재(610)는,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에서 경사진 표면(631)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은, 글라스 부재(610)의 오목부(630)에 충진된 충진 부재(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 부재(610)의 오목부(630)가 편광층(42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대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충진 부재(620)은 글라스 부재(610)의 제2방향(-z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부재(620)은 글라스층(412)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평탄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전체적인 두께는 글라스 부재(610)의 오목부(630)에 충진 부재(620)이 충진됨에 따라 평면부 및 밴딩부(710)에서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층(412)의 전체적인 두께는, 글라스층(412)의 영역에 상관없이, 제1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층(412)의 충진 부재(620)은, 오목부(630)에 충진될 뿐만 아니라, 글라스 부재(610)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진 부재(620)은 오목부(630)로부터 글라스 부재(61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글라스층(412)의 충진 부재(620)의 두께는, 글라스층(412)의 평탄부(720)(예: 평탄부(720)의 제2평탄부(722))에서 제4두께(t4)를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전체적인 두께는, 글라스층(412)의 영역에 상관없이, 제1두께(t1) 및 제4두께(t4)를 합한 제5두께(t5)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412)에 형성된 요철(911)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글라스층(412)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글라스층(412)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결부하여, 도 5 내지 도 8에서 미설명되거나 달라진 글라스층(412)의 특징만을 기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부재(610)는, 오목부(630)의 표면에서 복수의 요철(9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요철(911)들은, 물리적인 미세 패턴 가공 또는 화학적 에칭에 의해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부재(610)는, 오목부(630)의 표면에 대하여 복수의 요철(911)들이 형성되도록 표면 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빛의 난반사를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요철(911)들에 의한 빛의 난반사를 이용하여 폴딩 영역(예: 도 1의 폴딩 영역(130c))의 경계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4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4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4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글라스층(412)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글라스층(412)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결부하여, 도 5 내지 도 9에서 미설명되거나 달라진 글라스층(412)의 특징만을 기재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부재(610)는, 오목부(1130)가, 제2방향(-z 방향)이 아닌, 제1방향(z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글라스 부재(61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글라스 부재(610)와 달리, 오목부(1130)가 제1방향(z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의 오목부(1130)는, 제1방향(z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글라스 부재(610)는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 사이의 구간에서, 폴리머층(411)(예: 도 5의 폴리머층(411))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는,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가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으로 갈수록 얇아짐에 따라,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 사이의 구간에서 경사진 표면(113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 부재(610)는, 글라스 부재(610)의 두께가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으로 갈수록 얇아짐에 따라, 평탄부(720)의 제1평탄부(721)로부터 밴딩부(710)의 중심(c) 사이의 구간에서 오목부(1130)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30)의 표면은 상기 경사진 표면(113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글라스 부재(610)가 상기 오목부(1130)를 포함함에 따라 폴딩 영역(예: 도 1의 폴딩 영역(130c))의 경계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줄일 수 있고, 글라스 부재(610)의 크랙(crack)을 줄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부재(610)는, 오목부(1130)가 제1방향(z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부재(610)보다, 글라스 부재(610)의 손상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가 되면, 밴딩부(710)로부터 제2방향(-z 방향)에 인장력으로 인한 스트레스(1001)가 집중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글라스 부재(610)의 배면(예: 제2방향(-z 방향)을 향하는 면)의 곡률을 가변하여 상기 오목부(1130)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곡률이 가변되는 글라스 부재(610)의 배면과 상기 스트레스(1001)가 집중되는 부분이 근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글라스 부재(61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부재(610)는, 글라스 부재(610)의 전면(예: 제1방향(z 방향)을 향하는 면)의 곡률을 가변하여 상기 오목부(1130)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곡률이 가변되는 글라스 부재(610)의 전면과 상기 스트레스(1001)가 집중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글라스 부재(61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3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층(412)에 형성된 요철(911)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글라스층(412)은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글라스층(412)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결부하여, 도 5 내지 도 12에서 미설명되거나 달라진 글라스층(412)의 특징만을 기재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부재(610)는, 오목부(1130)가, 제2방향(-z 방향)이 아닌, 제1방향(z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오목부(1130)의 표면에 복수의 요철(13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요철(1311)들은, 물리적인 미세 패턴 가공 또는 화학적 에칭에 의해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부재(610)는, 오목부(1130)의 표면에 대하여 복수의 요철(1311)들이 형성되도록 표면 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빛의 난반사를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요철(1311)들에 의한 빛의 난반사를 이용하여 폴딩 영역(예: 도 1의 폴딩 영역(130c))의 경계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14는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14는 도 4b의 k-k’ 선상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도시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제1방향(z 방향)에 배치되는 편광층(420), 편광층(420)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층(1425), 충격 흡수층(1425)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에 배치되는 글라스층(412)(예: UTG), 글라스층(412)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에 형성되는 폴리머층(411)(예: PET)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제1방향(z 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z 방향)에 배치된 폴리머 부재(440), 폴리머 부재(440)로부터 제2방향(-z 방향)에 배치된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폴리머층(411)과 글라스층(412)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1410)에 의해 폴리머층(411)과 글라스층(412)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글라스층(412)과 충격 흡수층(1425)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1420)에 의해 글라스층(412)과 충격 흡수층(1425)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충격 흡수층(1425)과 편광층(420) 사이에 배치된 제3점착제(1430)에 의해 충격 흡수층(1425)과 편광층(420)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편광층(420)과 디스플레이 패널(430) 사이에 제4점착제(1440)에 의해 편광층(420)과 디스플레이 패널(430)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에서,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예: 에지 부분)이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예: 에지 부분)에 비하여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예에 따른 글라스층(412)의 면적은 제2점착제(1420)의 면적보다 클 수 있고,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은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에 비하여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방향(x 방향)은 제1방향(z 방향) 및 제2방향(-z 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x 방향)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가 전자 장치(100)의 측면 부재(예: 도 1의 제1측면 부재(113) 또는 제2측면 부재(123))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은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에 비하여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됨에 따라, 외력에 의해 글라스층(412)의 가장자리가 쉽게 손상(1401)될 수 있다. 이하, 외력에 의해 글라스층(412)의 가장자리가 쉽게 손상(1401)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구조를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글라스층(412)의 제1방향(z) 또는 제2방향(-z)에 배치된 점착제 또는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끝단이 글라스층(412)의 끝단과 일치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15는 도 4b의 k-k’ 선상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도시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글라스층(412)은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글라스층(412)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결부하여, 도 5에서 미설명되거나 달라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특징만을 기재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제1방향(z 방향)에 배치되는 편광층(420), 편광층(420)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층(1425)(예: PET), 충격 흡수층(1425)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에 배치되는 글라스층(412)(예: UTG), 글라스층(412)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에 형성되는 폴리머층(411)(예: PET)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제1방향(z 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z 방향)에 배치된 폴리머 부재(440), 폴리머 부재(440)로부터 제2방향(-z 방향)에 배치된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폴리머층(411)과 글라스층(412)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1410)에 의해 폴리머층(411)과 글라스층(412)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글라스층(412)과 충격 흡수층(1425)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1420)에 의해 글라스층(412)과 충격 흡수층(1425)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충격 흡수층(1425)과 편광층(420) 사이에 배치된 제3점착제(1430)에 의해 충격 흡수층(1425)과 편광층(420)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편광층(420)과 디스플레이 패널(430) 사이에 제4점착제(1440)에 의해 편광층(420)과 디스플레이 패널(430)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점착제(1410) 내지 제4점착제(1440) 각각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4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달리,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예: 에지 부분)이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예: 에지 부분)에 비하여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과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은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방향(x 방향)은 제1방향(z 방향) 및 제2방향(-z 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가 전자 장치(100)의 측면 부재(예: 도 1의 제1측면 부재(113) 또는 제2측면 부재(123))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면적은 제2점착제(1420)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에서,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과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은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면적보다 제1점착제(1410)의 면적은 더 크고, 제1점착제(1410)의 끝단(1410a)은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에 비하여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글라스층(412)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 및 제2방향(-z 방향) 각각에 위치한 점착제의 끝단들이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보다 더 돌출되거나 일직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글라스층(412)의 가장자리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16은 도 4b의 k-k’ 선상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도시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글라스층(412)은 도 15에 도시된 글라스층(412)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6을 결부하여, 도 15에서 미설명되거나 달라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특징만을 기재한다.
도 16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달리,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에 비하여,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이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면적보다 제1점착제(1410) 및 제2점작체 각각의 면적은 더 크고, 제1점착제(1410)의 끝단(1410a) 및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이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글라스층(412)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 및 제2방향(-z 방향) 각각에 위치한 점착제의 끝단들이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보다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글라스층(412)의 가장자리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17은 도 4b의 k-k’ 선상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도시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글라스층(412)은 도 15에 도시된 글라스층(412)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7을 결부하여, 도 15 내지 도 16에서 미설명되거나 달라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특징만을 기재한다.
도 17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달리,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과 제1점착제(1410)의 끝단(1410a)이 일직선을 이루고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에 비하여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이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면적과 제1점착제(1410)의 면적은 동일하고,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과 제1점착제(1410)의 끝단(1410a)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의 면적보다 제2점작체 면적은 더 크고,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에 비하여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이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글라스층(412)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 및 제2방향(-z 방향) 각각에 위치한 점착제의 끝단들이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보다 더 돌출되거나 일직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글라스층(412)의 가장자리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18은 도 4b의 k-k’ 선상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도시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글라스층(412)은 도 15에 도시된 글라스층(412)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8을 결부하여, 도 15 내지 도 17에서 미설명되거나 달라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특징만을 기재한다.
도 18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달리, 제2점착제(1420)의 끝단(1420a) 및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으로부터 측면 방향(x 방향)에 점착 부재(18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부재(18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에서, 충격 흡수층(1425)으로부터 제1방향(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부재(1810)의 재질은 제1점착제(1410) 내지 제4점착제(1440)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 부재(1810)의 재질은 PSA 또는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부재(18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에서, 글라스층(412)의 끝단(1415a)으로부터 측면 방향(x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글라스층(412)의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부재(1810)의 두께는 제2점착제(1420)의 두께에 비하여 클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으로부터 글라스층(412)을 박리하는 방법을 설명한 예시이다. 예를 들면, 도 19는 도 4b의 k-k’ 선상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를 도시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글라스층(412)은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글라스층(412)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결부하여, 도 15 내지 도 18에서 미설명되거나 달라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특징만을 기재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달리, 충격 흡수층(1425)의 끝단(1425a) 및 제3점착제(1430)의 끝단(1430a)이, 편광층(420)의 끝단, 제4점착제(1440)의 끝단(14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끝단(430a)에 비하여,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흡수층(1425)의 면적은, 편광층(420)의 면적, 제4점착제(1440)의 면적, 및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면적에 비하여 클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흡수층(1425)의 끝단(1425a)은 편광층(420)의 끝단, 제4점착제(1440)의 끝단(14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끝단(430a)에 비하여,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흡수층(1425)의 면적과 제3점착제(1430)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고, 충격 흡수층(1425)의 끝단(1425a) 및 제3점착제(1430)의 끝단(1430a)은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층(420)의 면적, 제4점착제(1440)의 면적,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면적은 서로 동일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층(420)의 끝단, 제4점착제(1440)의 끝단(14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끝단(430a)은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점착제(1420)의 두께(d2)는 제1점착제(1410), 제3점착제(1430), 및 제4점착제(1440) 각각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점착제(1420)의 두께(d2)는 제1점착제(1410)의 두께(d1)보다 5um 이상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제2점착제(1420)의 두께(d2)는 제3점착제(1430)의 두께(d3)보다 5um 이상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제2점착제(1420)의 두께(d2)는 제4점착제(1440)의 두께(d4)보다 5um 이상 작게 설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412)으로부터 제2방향(-z 방향)에 배치된 제2점착제(1420)의 두께(d2)가 제1점착제(1410), 제3점착제(1430), 및 제4점착제(1440) 각각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됨에 따라, 외력에 대한 글라스층(412)의 저항력을 높일 수 있고, 글라스 부재(예: UTG, 도 6의 글라스 부재(61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라스층(412)의 글라스 부재로서 UTG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100)는, UTG가 손상되는 경우 UTG의 파편으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로부터 손상된 글라스층(412)만을 박리하기 어려울 수 있었다. 사용자는, 상기 어려움으로 인하여, UTG가 손상되는 경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모두 교체해야 하였고, 이는 수리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충격 흡수층(1425)의 끝단(1425a) 및 제3점착제(1430)의 끝단(1430a)이, 편광층(420)의 끝단, 제4점착제(1440)의 끝단(1440a) 및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끝단(430a)에 비하여, 측면 방향(x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글라스 부재(예: UTG, 도 6의 글라스 부재(610))가 손상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로부터 글라스층(412)을 포함한 일부 레이어들만을 박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로부터 글라스층(412)을 포함한 일부 레이어들만을 박리 및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충격 흡수층(1425)으로부터 제2방향(-z 방향)에 배치된 제3점착제(1430)의 고온 점착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점착제(1430)의 고온 점착력은, 제1점착제(1410), 제2점착제(1420), 및 제4점착제(1440) 각각의 고온 점착력보다 낮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온에서, 제1점착제(1410), 제2점착제(1420), 및 제4점착제(1440) 각각의 점착력은 450gf/in이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에서, 제1점착제(1410), 제2점착제(1420), 및 제4점착제(1440) 각각의 점착력은 150gf/in보다 클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온은, 예를 들어, 약 70도 내지 약 80도의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온에서, 제3점착제(1430)의 점착력은 450gf/in이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에서, 제3점착제(1430)의 점착력은 150gf/in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점착제(1430)는, 지정된 파장대의 UV(ultraviolet ray) 광이나 레이저에 반응하여 제1점착제(1410), 제2점착제(1420), 및 제4점착제(1440) 각각에 비하여 점착력이 낮아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점착제(1430)는, UV 광이나 레이저에 반응하는 광개시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글라스 를 보호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경계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굴곡진 표면이 육안으로 관찰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이 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장치; 및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제1방향에 배치된 글라스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층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나란하게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펼침 상태에서 평탄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는 접힘 상태에서 밴딩되는 밴딩부; 및
    상기 펼침 상태 및 상기 접힘 상태에서 평탄한 평탄부로서, 상기 밴딩부와 경계를 이루도록 인접한 제1평탄부,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글라스층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층은,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글라스 부재는,
    상기 제2평탄부에서 제1두께를 갖고,
    상기 밴딩부의 중심에서 제2두께를 갖고,
    상기 제1평탄부 및 상기 밴딩부의 중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2두께보다 큰 제3두께를 갖고,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밴딩부의 중심으로갈수록 상기 글라스 부재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으로 인해 오목부가 형성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부재는 UTG(ultra thin glass)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폭은, 상기 밴딩부의 폭보다 큰,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표면에는 경사진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의 표면에 대한 상기 경사진 표면의 각도를 각도를 θ라고 정의할 때, 상기 경사진 표면의 기울기인 tan θ 는 1/10보다 작거나 같은,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두께는 제2두께의 2배보다 크거나 같은,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글라스층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형성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글라스층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에 형성되는,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경사진 표면에는 규칙적인 요철이 형성되는, 전자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경사진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요철이 형성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글라스층 사이에 배치된 편광층;
    상기 편광층과 상기 글라스층 사이에 배치된 충격 흡수층; 및
    상기 글라스층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배치된 폴리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층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고, 및
    상기 글라스층과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층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글라스층과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의 면적와 같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글라스층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으로 돌출되고, 및
    상기 제2점착제의 끝단과 상기 글라스층의 끝단은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층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글라스층과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글라스층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으로 돌출되고, 및
    상기 제2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글라스층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3방향으로 돌출되는,
    전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층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배치된 제1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의 면적과 같고,
    상기 글라스층과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글라스층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점착제의 끝단과 상기 글라스층의 끝단은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및
    상기 제2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글라스층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으로 돌출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층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3방향에는, 상기 제1점착제와 상기 충격 흡수층 사이에 대응하도록 점착 부재가 형성되는, 전자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층의 면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충격 흡수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된 제3점착제의 면적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충격 흡수층의 끝단 및 상기 제3점착제의 끝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제3방향으로 돌출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점착제의 고온 점착력은, 제1점착제 및 제2점착제 각각의 고온 점착력보다 작은,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점착제는, 지정된 파장대의 UV(ultraviolet ray) 광이나 레이저에 반응하여 점착력이 낮아지도록, 광개시제 성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제의 두께는 상기 제1점착제의 두께보다 작은, 전자 장치.
  18. 폴더블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글라스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에서 밴딩되는 밴딩부;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 및 상기 접힘 상태에서 평탄한 평탄부로서, 상기 밴딩부와 경계를 이루도록 인접한 제1평탄부,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글라스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는, 글라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글라스 부재는,
    상기 제2평탄부에서 제1두께를 갖고,
    상기 밴딩부의 중심에서 제2두께를 갖고,
    상기 제1평탄부 및 상기 밴딩부의 중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2두께보다 큰 제3두께를 갖고,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밴딩부의 중심으로갈수록 상기 글라스 부재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으로 인해 오목부가 형성되는,
    글라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부재는 UTG(ultra thin glass)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폭은, 상기 밴딩부의 폭보다 큰, 글라스.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표면에는 경사진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의 표면에 대한 상기 경사진 표면의 각도를 각도를 θ라고 정의할 때, 상기 경사진 표면의 기울기인 tan θ 는 1/10보다 작거나 같은,
    글라스.
KR1020210001103A 2021-01-05 2021-01-05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KR20220099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03A KR20220099047A (ko) 2021-01-05 2021-01-05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PCT/KR2022/000176 WO2022149857A1 (ko) 2021-01-05 2022-01-05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EP22736834.7A EP4198953A4 (en) 2021-01-05 2022-01-05 ELECTRONIC DEVICE TO REDUCE GLASS DAMAGE
US17/586,038 US20220217863A1 (en) 2021-01-05 2022-01-27 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to reduce damage to gl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03A KR20220099047A (ko) 2021-01-05 2021-01-05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047A true KR20220099047A (ko) 2022-07-12

Family

ID=8235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103A KR20220099047A (ko) 2021-01-05 2021-01-05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99047A (ko)
WO (1) WO20221498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599A1 (ko) * 2022-11-01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378B1 (ko) * 2018-01-30 2023-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083872A (ko) * 2018-12-31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124059A (ko) * 2019-04-23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영역에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
KR102273083B1 (ko) * 2019-05-08 2021-07-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369897B (zh) * 2020-04-17 2022-02-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显示屏及可折叠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599A1 (ko) * 2022-11-01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9857A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3949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ual display
KR20210152910A (ko)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98953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ducing damage to glass
EP423943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charge structure for connecting static electricity to ground
US2022018317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2022010367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2022038649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20220099047A (ko)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US20230180413A1 (en) Display module including cushion lay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US2023026291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support structure
US2023005126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US2023004419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izer
US2022013766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EP411324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2200435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38534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static induction structure
JP7365490B2 (ja) シーリング部材を含む電子装置
EP4283436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US20230047246A1 (en) Flexible display module including shielding structure and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4346193A1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module
KR2024002398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9057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display
KR102604357B1 (ko)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572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41355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