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149A -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149A
KR20140140149A KR1020130060139A KR20130060139A KR20140140149A KR 20140140149 A KR20140140149 A KR 20140140149A KR 1020130060139 A KR1020130060139 A KR 1020130060139A KR 20130060139 A KR20130060139 A KR 20130060139A KR 20140140149 A KR20140140149 A KR 20140140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protectiv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881B1 (ko
Inventor
조천희
김대철
유현선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88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0Layers for protecting or enhancing the electron emission, e.g. MgO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가 형성된 일면에 극성 젖음성 개선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눌림 부위를 채우도록 함으로써,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를 보정하여, 양품인 편광판이 불량으로 판별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Correcting method for pressed area of the polarizer or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등과 같은 각종 화상표시장치의 발전과 함께, 고휘도의 색재현성이 우수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높은 편광도 및 투과율을 가진 편광판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은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 등으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콜계 (Polyvinyl alcohol, PVA)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양면을 보호하기 위한,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계 보호필름이 적층된 기본 구조를 가지고 있고, 표시 장치에 따라서 상기 보호필름 상에 위상차판, 시야각 보상막, 휘도향상막 등이 추가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러한 편광자 및 보호필름은 제조 공정 또는 취급 중에 눌림 부위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제품의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편광판은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접합되므로, 최종제품은 패널부에 접합되는 보호필름측에 점착층 및 이형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상태로 불량 판별 검사를 하게 되므로, 눌림 부위가 발생한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경우 제품의 성능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도 불량으로 판별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122300호에는 색차 분석을 이용한 편광판 얼룩 자동 검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122300호
본 발명은 양품인 편광판이 불량으로 판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가 형성된 일면에 극성 젖음성 개선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눌림 부위를 채우도록 하는,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수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또는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인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3. 위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스티렌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염화비닐계 필름, 폴리아미드계 필름, 이미드계 필름, 술폰계 필름, 폴리에테르케톤계 필름, 황화 폴리페닐렌계 필름, 비닐알코올계 필름, 염화비닐리덴계 필름, 비닐부티랄계 필름, 알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옥시메틸렌계 필름, 우레탄계 필름, 에폭시계 필름 또는 실리콘계 필름인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4. 위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편광자와 접합되는 면에 프라이머 처리,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알칼리 처리(비누화 처리) 및 저압 UV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접합 용이 처리가 수행된 것인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5. 위 1에 있어서, 상기 극성 젖음성 개선제는 물 또는 알코올인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6. 위 1에 있어서, 상기 극성 젖음성 개선제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7. 위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를 보정하는 단계; 및 눌림 부위가 보정된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을 편광자, 광경화성 수지층, 보호필름의 순으로 적층하고, 수지층을 경화시켜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를 보정하여, 양품인 편광판이 불량으로 판별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현저히 개선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자의 눌림 부위를 보정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편광판의 이형필름에서 네임펜으로 마킹 표시한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의 돌출 시인 여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편광판의 이형필름에서 네임펜으로 마킹 표시한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의 돌출 시인 여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가 형성된 일면에 극성 젖음성 개선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눌림 부위를 채우도록 함으로써,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를 보정하여, 양품인 편광판이 불량으로 판별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자와 보호필름은 제조 공정상의 두께 편차 또는 취급 중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에 의해 눌림 부위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눌림 부위가 형성된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여 사용할 때는 제품의 성능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
그러나, 편광판은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점착되므로 최종 제품은 편광자, 보호필름, 점착층 및 이형필름의 순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바, 이형필름까지 적층된 상태에서 불량 판별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데, 눌림 부위가 형성된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을 갖는 편광판은 이형필름 측에서 시인시 이형필름 상의 눌림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가 돌출된 것으로 보여, 불량으로 판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가 형성된 일면에 극성 젖음성 개선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눌림 부위를 채우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양품인 편광판이 불량으로 판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은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가 형성된 일면에 극성 젖음성 개선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눌림 부위를 채우도록 한다.
도 1에는 극성 젖음성 개선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눌림 부위를 보정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편광자(100)의 눌림 부위가 형성된 일면에 본 발명에 따른 극성 젖음성 개선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면, 젖음성이 개선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눌림 부위를 채워 이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100)는 편광자 형성용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건조하는 등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따라 제조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일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필름은 이색성 물질, 즉 요오드에 의해 염색 가능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면내에서 편광도의 균일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요오드에 대한 염색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편광자 형성용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150㎛일 수 있다.
보호필름(300)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시클로올레핀,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폴리노르보르넨,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염화비닐계 필름;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필름; 이미드계 필름; 술폰계 필름; 폴리에테르케톤계 필름; 황화 폴리페닐렌계 필름; 비닐알코올계 필름; 염화비닐리덴계 필름; 비닐부티랄계 필름; 알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옥시메틸렌계 필름; 우레탄계 필름; 에폭시계 필름; 실리콘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알칼리 등에 의해 비누화(검화)된 표면을 가진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편광특성 또는 내구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필름은 위상차 기능과 같은 광학 보상 기능을 겸비한 것일 수도 있다.
보호필름(30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2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일 수 있다.
보호필름(300)은 편광판으로 사용될 때 편광자(100)의 일면에 접합되는데, 편광자(100)와 접합되는 면에 접합력 향상을 위한 접합 용이 처리가 수행된 것일 수 있다.
접합 용이 처리는 편광자(100)와 보호필름(300)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프라이머 처리,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의 드라이 처리; 알칼리 처리(비누화 처리) 등의 화학 처리; 저압 UV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가 형성된 일면에 도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눌림 부위가 형성된 일면에 도포되어 눌림 부위를 채움으로써, 추후 이형 필름이 접합된 후 관찰되는 돌출되어 보이는 문제를 해결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극성 젖음성 개선제를 포함한다.
극성 젖음성 개선제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젖음성을 개선시켜 편광자(100) 또는 보호필름(300)에 도포되었을 때 막과 같이 퍼져 표면을 잘 적실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성물이 눌림 부위를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극성 젖음성 개선제는 조성물의 젖음성을 개선시켜 상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등일 수 있으며, 눌림 부위 보정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t-부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글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젖음성 개선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젖음성 개선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면서 통상적으로 소수성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내에서 상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극성 젖음성 개선제의 함량이 0.5 내지 10중량부인 경우, 젖음성 개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상용성이 우수하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 조성물로서,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과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수지 조성물이며,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은 광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또는 광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일 수 있다.
광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는 1 내지 6관능성 단량체를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도데실티오에틸메타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관능성 단량체;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탄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성 단량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성 단량체;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성 단량체;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성 단량체; 및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성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1 내지 3관능성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성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수소화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등의 알콜형 에폭시 수지; 브롬화 에폭시 수지 등의 할로겐화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우레탄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에폭시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에폭시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수지 등의 에폭시기 함유화합물; 페녹시메틸옥세탄, 3,3-비스(메톡시메틸)옥세탄, 3,3-비스(페녹시메틸)옥세탄,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3-(트리에톡시실릴)프로폭시]메틸}옥세탄, 페놀 노볼락 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등의 옥세타닐기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경화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벤조인계, 벤조인알킬에테르계 등의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방향족 요오드알루미늄염, 벤조인술폰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는 시판되고 있는 제품인 오푸토마-SP-151, 오푸토마-SP-170, 오푸토마-SP-171(아사히 전화공업사), 이가큐어-261(시바사), 씨에이드 SI-60L, UVI-6990(유니온 칼바이드사), BBI-1C3, MPI-103, TPS-103, DTS-103, NAT-103, NDS-103(미도리 화학사), CPI-110A(산 에프로사) 등을 들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중합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적정 경화 속도를 가지며,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바 코터, 에어 나이프, 그라비아, 리버스 롤, 키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다이 코터, 캐스팅, 스핀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눌림 부위가 보정된 편광자(100) 또는 보호필름(300)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정 순서도가 나타나 있는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에 따라 편광자(100) 또는 보호필름(200)의 눌림 부위를 보정한다.
다음으로, 눌림 부위가 보정된 편광자(100) 또는 보호필름(300)을 편광자(100), 광경화성 수지층(200a), 보호필름(300)의 순으로 적층한다.
보호필름(300)은 편광자(1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될 수 있다.
도 3에는 편광자(100)의 양면에 보호필름(300)이 적층된 경우의 공정 순서도가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편광자(100)의 나머지 일면 또는 그 일면에 접합되는 보호필름(300)의 일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0a)을 경화시켜 편광자(100)와 보호필름(300)을 접합한다.
광경화성 수지층(200a)의 경화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수행되며, 그 조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극초단파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이용하여 400㎚ 이하의 파장에서 발광 분포를 갖는 광원을 10 내지 5,000mJ/㎝의 적산 광량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접합되는 측의 보호필름의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이형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의 일 구현예가 나타나 있다.
점착층(400)은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접합되는 층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접합되는 측의 보호필름(300)의 일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점착제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에 점착층(400) 상에 이형필름(500)을 접합한다.
이형필름(500)은 점착층(400)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스티렌계 필름, 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실리콘계, 불소계,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해 적절히 이형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은 편광자(100) 또는 보호필름(300)의 눌림 부위가 보정되어, 이형필름(500) 측에서 시인시 이형필름(500) 상의 눌림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가 돌출된 것으로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양품인 편광판이 불량으로 판별되는 것을 막아, 공정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1) 편광자의 제조
평균중합도가 2,400이고, 비누화도가 99.9몰% 이상인 75㎛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건식으로 약 5배로 일축 연신하고, 연신 상태를 유지한 채로 60℃의 물(증류수)에 1분 동안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증류수의 중량비가 0.05/5/100인 28℃의 수용액에서 60초 동안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증류수의 중량비가 8.5/8.5/100인 72℃ 수용액에 300초 동안 침지하고, 26℃의 증류수로 20초 동안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2) 편광판의 제조
네임펜으로 접합면의 눌림 부분에 마킹 표시를 한 연신 노르보르넨계 보호 필름(두께 70㎛)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필름(두께 70㎛)의 편광자와 접합되는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후에 연신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 및 조성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바 코터로 3㎛ 두께로 도포하고, 그 위에 상기 편광자를 적층하였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필름에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동일하게 도포하여 편광자의 나머지 면에 적층하였다.
이후에 상기 적층체를 벨트 컨베어가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사 Fusion H 밸브)에 의해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UVA 기준 적산 광량 300 mJ/cm2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층을 경화시켜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접합함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분 광중합성 화합물
(A)
광중합 개시제
(B)
극성 젖음성 개선제
(C)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실시예 1 A-1/A-2 47/50 B-1 3 C-1 2
실시예 2 A-1/A-2 47/50 B-1 3 C-1 1
실시예 3 A-1/A-2 47/50 B-1 3 C-1 3
실시예 4 A-1/A-2 47/50 B-1 3 C-1 5
실시예 5 A-1/A-2 47/50 B-1 3 C-1 7
실시예 6 A-1/A-2 47/50 B-1 3 C-2 1
실시예 7 A-1/A-2 47/50 B-1 3 C-2 3
실시예 8 A-1/A-2 47/50 B-1 3 C-2 5
실시예 9 A-1/A-2 47/50 B-1 3 C-2 10
실시예 10 A-3/A-4 45/50 B-2 5 C-1 2
실시예 11 A-3/A-4 45/50 B-2 5 C-2 3
실시예 12 A-3/A-4 45/50 B-2 5 C-3 3
실시예 13 A-2/A-4 48/47 B-1/B-2 2/3 C-1 2
실시예 14 A-1/A-4 48/47 B-1/B-2 2/3 C-1 2
비교예 1 A-1/A-2 47/50 B-1 3 - -
비교예 2 A-3/A-4 45/50 B-2 5 - -
비교예 3 A-2/A-4 48/47 B-1/B-2 2/3 - -
A-1: 페녹시 글리시딜 에테르
A-2: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A-3: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A-4: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B-1: CPI-110A(산 에프로사)
B-2: Irg184(시바사)
C-1: 물
C-2: 프로판올
C-3: 프로필렌글라이콜
실험예
(1) 접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커터의 날을 밀어넣었을 때 날이 들어가는 정도로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의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 커터의 날이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들어가지 않음
○: 커터의 날이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2mm 이하로 들어감
△: 커터의 날이 편광자와 적어도 한쪽의 보호필름 사이에 2mm 초과 내지 5mm 이하로 들어감
X: 커터의 날이 편광자와 적어도 한쪽의 보호필름 사이에 무리 없이 끝까지 들어감
(2) 내온수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23℃, 상대 습도 55%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에, 흡수축(연신 방향)을 긴 변으로 하여 5cm×2cm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후 상기 각 샘플의 짧은 변 측을 파지하고 길이 방향의 80%를 60℃의 수조에 4시간 침지한 후에 꺼내어 수분을 닦아내었다.
온수 침지에 의해 편광자는 수축하므로, 샘플의 짧은 변 중앙의 보호필름의 끝에서부터 수축한 편광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수축 길이로 하였다.
또한, 온수 침지에 의해 편광자의 주변부로부터 요오드가 용출되어 탈색되므로, 샘플의 짧은 변 중앙의 수축한 편광자 끝에서부터 탈색되지 않은 부분까지의 거리를 요오드 빠짐 길이로 하였다.
상기 수축 길이와 요오드 빠짐 길이의 합계를 총 침식 길이로 하였다. 즉, 총 침식 길이는 샘플의 짧은 변 중앙의 보호필름의 끝에서부터 편광자의 탈색되지 않은 부분까지의 거리로서, 이 침색 길이가 작을수록 내수성이 우수하다.
◎:총 침식길이가 2mm 미만
○:총 침식길이가 2mm 이상 내지 3mm 미만
△:총 침식길이가 3mm 이상 5mm 미만
X:총 침식길이가 5mm이상
(3) 돌출 시인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에서, 패널부에 접합되는 보호필름 측에 코로나 처리를 수행한 후, 보호필름 상에 이형필름을 아크릴계 양면 점착제로 롤 라미네이터(25도, 속도 5m/min)를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이후에 광학 현미경(SMZ800, 니콘사)의 반사모드(x100배)로, 이형필름에서 네임펜으로 마킹 표시한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가 돌출된 것으로 시인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비교예 1의 편광판의 이형필름에서의 마킹 표시한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를 촬영하였다(도 5 및 6 참조).
○:돌출이 시인되지 않음
△:미세하게 돌출된 것으로 시인됨
X:돌출된 것으로 시인됨
구분 접착성 내온수성 돌출 시인 평가
노르보르넨계 보호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보호필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비교예 1 X X
비교예 2 X X
비교예 3 X X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14의 편광판은 이형필름에서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돌출이 시인되지 않거나 미세한 정도로만 시인되어, 눌림 부위가 확실히 보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접착성 및 내온수성도 우수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편광판은 이형필름에서 해당 부위가 돌출된 부위가 전혀 없이 평탄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편광판은 해당 부위가 돌출된 것으로 시인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편광판은 이형필름에서 해당 부위가 돌출된 것으로 시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0: 편광자 200a: 광경화성 수지층
200b: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층 300: 보호필름
400: 점착층 500: 이형필름

Claims (7)

  1.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가 형성된 일면에 극성 젖음성 개선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눌림 부위를 채우도록 하는,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수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또는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인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스티렌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염화비닐계 필름, 폴리아미드계 필름, 이미드계 필름, 술폰계 필름, 폴리에테르케톤계 필름, 황화 폴리페닐렌계 필름, 비닐알코올계 필름, 염화비닐리덴계 필름, 비닐부티랄계 필름, 알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옥시메틸렌계 필름, 우레탄계 필름, 에폭시계 필름 또는 실리콘계 필름인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편광자와 접합되는 면에 프라이머 처리,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알칼리 처리(비누화 처리) 및 저압 UV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접합 용이 처리가 수행된 것인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성 젖음성 개선제는 물 또는 알코올인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성 젖음성 개선제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를 보정하는 단계; 및
    눌림 부위가 보정된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을 편광자, 광경화성 수지층, 보호필름의 순으로 적층하고, 수지층을 경화시켜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130060139A 2013-05-28 2013-05-28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KR102026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39A KR102026881B1 (ko) 2013-05-28 2013-05-28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39A KR102026881B1 (ko) 2013-05-28 2013-05-28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149A true KR20140140149A (ko) 2014-12-09
KR102026881B1 KR102026881B1 (ko) 2019-10-01

Family

ID=5245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139A KR102026881B1 (ko) 2013-05-28 2013-05-28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88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082A (ko) * 2004-02-26 2006-12-27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광학 필름, 광학 보상 시트,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KR20070089140A (ko) * 2004-11-30 2007-08-3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8257199A (ja) * 2007-03-15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接着剤、該光硬化性接着剤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10038977A (ko) * 2009-10-09 2011-04-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JP2012118201A (ja) * 2010-11-30 2012-06-21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
KR20120122300A (ko) 2011-04-28 2012-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색차 분석을 이용한 편광판 얼룩 자동 검사방법
JP2013061365A (ja) * 2011-09-12 2013-04-04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082A (ko) * 2004-02-26 2006-12-27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광학 필름, 광학 보상 시트,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KR20070089140A (ko) * 2004-11-30 2007-08-3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8257199A (ja) * 2007-03-15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接着剤、該光硬化性接着剤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10038977A (ko) * 2009-10-09 2011-04-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JP2012118201A (ja) * 2010-11-30 2012-06-21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
KR20120122300A (ko) 2011-04-28 2012-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색차 분석을 이용한 편광판 얼룩 자동 검사방법
JP2013061365A (ja) * 2011-09-12 2013-04-04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881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4784B (zh) 偏光板及偏光板形成用光硬化性接著劑
KR101938411B1 (ko) 편광판
KR101908172B1 (ko)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121279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KR20160142546A (ko) 편광판
KR20180065027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TWI707165B (zh) 偏光板
JP2010286737A (ja)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31512A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334799B (zh) 起偏镜、偏振膜、光学膜、以及图像显示装置
KR102443829B1 (ko) 광학 적층체
KR20150003011A (ko) 편광판용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KR20140091217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150017446A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40149A (ko)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의 눌림 부위의 보정 방법
KR10209698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10109215A (ko)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KR20110109206A (ko)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KR20130074942A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988982B1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3012A (ko) 편광판의 돌출 시인 부위의 보정 방법
CN112969940A (zh) 偏振板
KR20160071089A (ko) 편광판
CN112334798B (zh) 起偏镜、偏振膜、光学膜、以及图像显示装置
KR102388999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