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279B1 - 편광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279B1
KR102121279B1 KR1020140153541A KR20140153541A KR102121279B1 KR 102121279 B1 KR102121279 B1 KR 102121279B1 KR 1020140153541 A KR1020140153541 A KR 1020140153541A KR 20140153541 A KR20140153541 A KR 20140153541A KR 102121279 B1 KR102121279 B1 KR 10212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acrylate
meth
group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229A (ko
Inventor
이기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2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론산 유도체를 수세 단계에 투입하여 상기 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된 편광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내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광경화성 접착제와의 접착력이 우수한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자의 제조방법 {Process for Preparing Polarizer}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수성 및 접착력이 우수한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형성된다.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PVA)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가교시키는 공정 및 수세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의 이용 분야가 확대되고 주변 기술이 진보하면서, 편광판의 성능에 대한 요구도 한층 더 엄격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고콘트라스트(고투과율 및 고편광도)이면서 동시에 내열성, 내수성 등의 광학 내구성도 우수한 편광판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0990호에는 금속 초산염을 함유하는 가교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광학특성이 우수하고 건열 하에 방치한 후에도 열화가 방지되며 색상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는 편광자의 내수성 안정성에 대해서는 개시되거나 언급된 바 없다.
한편, 편광자를 보호필름과 부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계 접착제는 미검화 셀룰로스계, 아크릴계 보호필름과의 접착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보호필름을 접합할 수 있는 접착제로 광경화성 접착제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광경화성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 보다 접착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09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내수성 및 광경화성 접착제와의 접착력이 우수한 편광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매개로 보호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를 수세 단계에 투입하여 상기 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된 편광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06968649-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및 페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2-C20의 알케닐기,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및 페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2-C20의 알키닐기, 또는 C2-C20의 알케닐기 및 C2-C20의 알키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는 편광자 내에 1 내지 5000 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매개로 보호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내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광경화성 접착제와의 접착력이 우수한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하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를 수세 단계에 투입하여 상기 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된 편광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06968649-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및 페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2-C20의 알케닐기,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및 페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2-C20의 알키닐기, 또는 C2-C20의 알케닐기 및 C2-C20의 알키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일, 2-프로펜-1-일, 시스-1-프로펜-1-일, 4-펜텐일, 트랜스-2-페닐비닐, 트랜스-2-시클로헥실비닐, 1-페닐비닐, p-에틴일페닐, 3-프로프-1-인일페닐 또는 4-(1-n-옥티닐)페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3-C10의 시클로알킬기는 탄소수 3 내지 10개로 구성된 단순 또는 융합 고리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2-C20의 알케닐기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2 내지 20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불포화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에틸렌일, 프로펜일, 부텐일, 펜텐일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2-C20의 알키닐기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2 내지 20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불포화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아세틸렌일, 프로핀일, 부틴일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되는 편광자는 친수성 고분자 필름을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로 염색하고 배향시켜 제조되며, 친수성 고분자 필름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적으로 검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등이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중합도가 통상 500 내지 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6,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0 내지 4,000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검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경우, 검화도는 용해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95.0 몰% 이상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몰% 이상인 것,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9.9 몰%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 필름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이외에도,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에 의해 염색될 수 있는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및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과 같은 친수성 고분자 필름과,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탈염산 처리된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폴리엔 배향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5 내지 4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자의 제조방법에서는 팽윤 단계, 염색 단계 및 가교 단계를 거쳐 제조된 편광자를 수세하고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조한다.
팽윤 단계는 미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염색하기 이전에 팽윤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팽윤조에 침지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표면 상에 퇴적된 먼지나 블록킹방지제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켜 연신 효율을 향상시키고 염색 불균일성도 방지하여 편광자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팽윤용 수용액으로는 통상 물(순수, 탈이온수)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소량의 글리세린 또는 요오드화칼륨을 첨가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팽윤과 함께 가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팽윤용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함량은 5 중량% 이하이고, 요오드화칼륨의 함량은 1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팽윤조의 온도는 20 내지 45 ℃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4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팽윤 단계의 수행 시간(팽윤조 침지 시간)은 180 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초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침지 시간이 상기 범위인 경우에는 팽윤이 과도하여 포화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연화로 인한 파단을 방지하고 염색 단계에서 요오드의 흡착이 균일하게 되어 편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팽윤 단계와 함께 연신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연신비는 약 1.1 내지 3.5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팽윤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염색 단계에서 팽윤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염색 단계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색성 색소, 예를 들어 요오드를 포함하는 염색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염색조에 침지시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시키는 단계이다.
염색용 수용액은 물, 수용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와 요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요오드의 함량은 0.4 내지 400 mmol/L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내지 275 mmol/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내지 200 mmol/L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염색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해보조제로서 요오드화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튬,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타늄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요오드화칼륨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크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의 함량은 염색용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색조의 온도는 5 내지 42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3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색조 내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침지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분이다.
염색 단계와 함께 연신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누적 연신비는 1.1 내지 4.0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누적 연신비"는 각 단계에서의 연신비의 곱의 값을 나타낸다.
가교 단계는 물리적으로 흡착되어 있는 요오드 분자 또는 이색성 염료에 의한 염색성이 외부 환경에 의해 저하되지 않도록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가교용 수용액에 침지시켜 흡착된 요오드 분자 또는 염료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색성 염료는 내습 환경에서 용출되는 경우가 많지는 않으나, 요오드는 가교 반응이 불안정한 경우 환경에 따라 요오드 분자가 용해 또는 승화되는 경우가 많아, 충분한 가교 반응이 요구된다. 또한, 모든 폴리비닐알코올 분자와 분자 사이에 위치된 요오드 분자를 배향시켜 광학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교 단계에서 가장 큰 연신비로 연신되어야 하므로 가교 단계가 중요하다.
가교용 수용액은 용매인 물과, 붕산, 붕산나트륨 등의 붕소 화합물 및 요오드화물을 포함하며, 물과 함께 상호 용해 가능한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은 짧은 가교결합과 강직성을 부여하여 공정 중 주름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취급성을 향상시키고 요오드 배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붕소 화합물의 함량은 가교용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6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붕소 화합물의 가교 효과가 감소하여 강직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무기계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과다하게 활성화되어 유기계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어렵다.
요오드화물은 편광자 면내에서의 편광도의 균일성과 염착된 요오드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요오드화물은 염색 단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가교용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5 중량%일 수 있으며, 0.5 내지 1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필름 내의 요오드 이온이 빠져 나와 투과율이 증가하고 편광자의 색상 값이 변하게 되어 이를 조절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하게 되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용액 내의 요오드 이온이 필름으로 침투하여 투과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가교조의 온도는 20 내지 70 ℃이고, 가교조에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침지 시간은 1 초 내지 15 분일 수 있으며, 5 초 내지 10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단계와 함께 연신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 누적 연신비가 3.0 내지 8.0 배가 되도록 연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신 단계는 팽윤 단계, 염색 단계 및 가교 단계와 함께 수행될 수 있으며, 가교 단계 이후에 연신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별도의 연신조를 이용한 독립적인 연신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수세 단계는 가교와 연신이 완료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수세조에 침지시켜 이전 단계들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부착된 붕산과 같은 불필요한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수세용 수용액은 물일 수 있으며, 여기에 요오드화물이 더 첨가될 수도 있다.
수세조의 온도는 10 내지 60 ℃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4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세 단계의 수행 시간은 통상적으로 1 내지 60 초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초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초이다.
수세 단계는 염색 단계, 가교 단계 또는 연신 단계와 같은 이전 단계들이 완료될 때마다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1회 이상 반복될 수도 있으며, 그 반복 횟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 단계는 수세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건조시키고, 건조에 의한 네크인으로 염착된 요오드 분자의 배향을 보다 향상시켜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얻는 단계이다.
건조 방법으로는 자연 건조, 에어 건조, 가열 건조, 원적외선 건조, 마이크로파 건조, 열풍 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필름 내에 있는 물만을 활성화시켜 건조시키는 마이크로파 건조가 새롭게 이용되고 있으며, 통상 열풍 건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20 내지 90 ℃에서 1 내지 10 분 동안 열풍 건조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온도는 편광자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자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를 수세 단계에 투입한다.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는 수세 단계에서 미리 만들어진 수세용 수용액에 투입되거나, 상기 수세용 수용액을 만들 때 함께 투입될 수 있다. 그 함량은 수세용 수용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5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수성 및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편광자 광 특성에 영향을 주어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를 수세 단계에 투입하면, 가교와 연신이 완료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히드록시기와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의 히드록시기가 반응하여 결합된다.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인접한 히드록시기와 보론산 유도체의 히드록시기가 반응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4106968649-pat00003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편광자는 소수성 불포화기가 도입되어 내수성이 향상되고, 불포화기는 하기 반응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경화성 접착제와 광중합 반응을 할 수 있어 접착력이 증가된다.
[반응식 2]
Figure 112014106968649-pat00004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된 편광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는 편광자 내에 1 내지 5000 pp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100 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 ppm 미만인 경우에는 내수성 및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5000 ppm 초과인 경우에는 편광자 광 특성에 영향을 주어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매개로 보호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는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1 내지 6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를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도데실티오에틸메타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관능성 단량체;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탄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성 단량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성 단량체;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성 단량체;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성 단량체; 및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성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1 내지 3관능성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경화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벤조인계, 벤조인알킬에테르계 등의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광중합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적정 경화 속도를 가지며,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당해 분야에 알려진 광 증감제, 산화 방지제 등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호필름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알칼리 등에 의해 비누화(검화)된 표면을 가진 셀룰로오스계 필름 또는 아크릴계 필름이 편광특성 또는 내구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일 수 있다. 또한,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필름이 적층되는 경우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보호필름의 편광자와 접합되는 면에는 접합용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접합용이 처리로서는 프라이머 처리,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의 드라이 처리, 알칼리 처리(비누화 처리) 등의 화학 처리, 용이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코팅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광경화성 접착제를 미경화 상태로 보호필름에 도공하여 접착제 도공면을 형성하는 도공 공정과, 보호필름의 그 접착제 도공면에 편광자를 접착하는 접착 공정과,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하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편광판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미경화 상태로 적하한 후, 롤 등으로 균일하게 펴 넓히면서 압착시키고, 이어서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도 채택할 수 있다.
보호필름에 대한 광경화성 접착제의 도공 방법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닥터 블레이드, 와이어바, 다이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여러 가지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적하한 후, 롤 등으로 가압하여 균일하게 펴서 넓히는 방법에서, 롤의 재질로는 금속이나 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적하한 것을 롤과 롤 사이에 통과시켜 가압해서 펴 넓히는 방법에서, 이들 롤은 동일한 재질이어도 되고, 상이한 재질이어도 된다.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하여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두께는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50 ㎛ 이하인 경우 편광판의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적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다.
보호필름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도공했을 때에는, 이어서 그 접착제 도공면에 편광자가 접착된다. 또한,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적용했을 때에는 그대로 양자가 접착된다.
이상과 같이, 미경화 상태의 광경화성 접착제를 통해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접착한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하여 보호필름을 편광자 상에 고착시킨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400 nm 이하의 발광 분포를 갖는 활성 에너지선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광조사 강도는, 그 광경화성 접착제의 조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합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의 조사 강도는 0.1∼6000 mW/㎠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조사 강도가 0.1 mW/㎠ 이상인 경우 반응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고, 6000 mW/㎠ 이하인 경우 광원으로부터 복사되는 열 및 광경화성 접착제의 경화시의 발열에 의한 황변이나 편광자의 열화가 생길 우려가 적다. 광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광 조사 시간은 경화하는 광경화성 접착제마다 제어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조사 강도와 조사 시간의 곱으로서 나타내는 적산광량이 10∼10000 mJ/㎠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적산광량이 10 mJ/㎠ 이상인 경우 중합개시제 유래의 활성 종을 충분 량 발생시켜 경화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진행시킬 수 있고, 10000 mJ/㎠ 이하인 경우 조사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아 양호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하는 경우, 편광자의 편광도, 투과율 및 색상, 및 보호필름의 투명성과 같은 편광판의 제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조건으로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판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한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광학층이 편광자 상에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이 적층된 구조;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 또는 보호필름 상에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방지층, 확산방지층, 눈부심방지층 등의 표면처리층이 적층된 구조;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 또는 보호필름 상에 시야각을 보상하는 배향액정층 또는 또 다른 기능성 막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각종 화상표시장치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편광변환장치와 같은 광학막, 리플렉터, 반투과판, 1/2 파장판 또는 1/4 파장판 등의 파장판(λ판 포함)을 포함하는 위상차판, 시야각 보상막, 휘도향상막 중의 하나 이상이 광학층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의 한 면에 보호필름이 적층된 구조의 편광판으로서, 적층된 보호필름 상에 리플렉터 또는 반투과 리플렉터가 적층된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위상차판이 적층된 타원형 또는 원형 편광판; 시야각 보상층 또는 시야각 보상막이 적층된 넓은 시야각 편광판; 또는 휘도 향상막이 적층된 편광판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편광판은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전계발광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장치 등의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에틸렌일보론산(Ethylen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검화도가 99.9 % 이상인 투명한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 필름(VF-PS, KURARAY사)을 30 ℃의 물(탈이온수)에서 2 분 동안 침지하여 팽윤시킨 후, 요오드 3.5 mM와 요오드화칼륨 2 중량%가 함유된 30 ℃의 염색용 수용액에 4 분 동안 침지하여 염색하였다. 이때, 팽윤 및 염색 단계에서 각각 1.3 배, 1.4 배의 연신비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요오드화칼륨 10 중량%, 붕산 3.7 중량%가 함유된 50 ℃의 가교용 수용액에 2 분 동안 침지하여 가교시켰다. 이때, 가교 단계는 총 누적 연신비가 5.8 배가 되도록 하였다. 가교가 완료된 후 에틸렌일보론산(Ethylenylboronic acid) 3.0 중량%를 함유하는 10 ℃의 수세용 수용액으로 20초 동안 수세하였다. 수세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70 ℃의 오븐에서 4 분 동안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프로펜-1-일보론산(2-Propen-1-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2-프로펜-1-일보론산(2-Propen-1-ylboronic acid) 1.0 중량%를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시스-1-프로펜-1-일보론산(cis-1-Propen-1-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시스-1-프로펜-1-일보론산(cis-1-Propen-1-ylboronic acid) 0.5 중량%를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4-펜텐일보론산(4-Penten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4-펜텐일보론산(4-Pentenylboronic acid) 0.3 중량%를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트랜스-2-페닐비닐보론산(trans-2-Phenylvin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트랜스-2-페닐비닐보론산(trans-2-Phenylvinylboronic acid) 0.1 중량%를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트랜스-2-시클로헥실비닐보론산(trans-2-Cyclohexylvin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트랜스-2-시클로헥실비닐보론산(trans-2-Cyclohexylvinylboronic acid) 0.05 중량%를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1-페닐비닐보론산(1-Phenylvin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1-페닐비닐보론산(1-Phenylvinylboronic acid) 0.01 중량%를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p-에틴일페닐보론산(p-ethynylphen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p-에틴일페닐보론산(p-ethynylphenylboronic acid) 0.3 중량%를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3-프로프-1-인일페닐보론산(3-prop-1-ynylphen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3-프로프-1-인일페닐보론산(3-prop-1-ynylphenylboronic acid) 0.3 중량%를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4-(1-n-옥티닐)페닐보론산(4-(1-n-octynyl)phenylboronic acid)을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4-(1-n-옥티닐)페닐보론산(4-(1-n-octynyl)phenylboronic acid) 0.3 중량%를 함유하는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종래의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보론산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은 수세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박리력, 내수성 및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자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박리력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필름이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의 일면에 접합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PMMA 필름과 편광자가 접하도록 하고, 접착제 조성물(4-hydroxy butyl acrylate 55% (니혼카세이 주식회사), ω-Carboxy-polycaprolactone monoacrylate 22% (Aronix M-5300, Toagosei),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25% (DAICEL CORPORATION), 2,4,6-trimethyl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1% (BASF JAPAN), triarylsulfonium salt 2% (SAN-APRO))로 롤 라미네이터(roll laminator)를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평가를 위해 말단 부분은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후에 UV 노광기(퓨젼사)를 이용하여 광량 2000mJ/cm2으로 313nm의 파장의 UV를 조사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상온에서 48시간 방치 후에, 박리력은 상기 제조된 편광판 샘플을 25cm 폭으로 절단한 뒤, 180도 박리방향으로 300mm/min의 속도로 박리하여 측정하였다.
(2) 내수성
편광자 샘플을 50mmX50mm로 재단하고 60 ℃의 수조에 침지하여 3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수조에서 각 샘플을 꺼내 수분을 닦아내고 온수침지에 의해 편광자 주위에서 온수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요오드가 녹아내려 주위의 색이 빠졌는지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 기준>
변화 없음: OK
색이 빠짐: NG
(3) 보론산 유도체의 함량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 LC) (Agilent 1100)를 이용하여, 편광자 1g 중에 존재하는 보론산 유도체의 함량(ppm)을 측정하였다.
박리력(N) 내수성 보론산 유도체의 함량 (PPM)
실시예 1 1.5 OK 1022
실시예 2 1.2 OK 521
실시예 3 1.0 OK 421
실시예 4 0.9 OK 312
실시예 5 0.8 OK 127
실시예 6 0.6 OK 87
실시예 7 0.5 OK 55
실시예 8 0.5 OK 321
실시예 9 0.6 OK 221
실시예 10 0.7 OK 147
비교예 1 0.2 NG 0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를 수세 단계에 투입하여 상기 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된 편광자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9119343993-pat00005

    상기 식에서,
    R은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및 페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2-C20의 알케닐기;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및 페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2-C20의 알키닐기; 또는 C2-C20의 알케닐기 및 C2-C20의 알키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은 에틸렌일, 2-프로펜-1-일, 시스-1-프로펜-1-일, 4-펜텐일, 트랜스-2-페닐비닐, 트랜스-2-시클로헥실비닐, 1-페닐비닐, p-에틴일페닐, 3-프로프-1-인일페닐 또는 4-(1-n-옥티닐)페닐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히드록시기와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의 히드록시기가 반응하여 결합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된 편광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보론산 유도체는 편광자 내에 1 내지 5000 ppm으로 포함되는 편광자.
  6. 제4항에 따른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매개로 보호필름이 적층된 편광판.
  7. 제5항에 따른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매개로 보호필름이 적층된 편광판.
KR1020140153541A 2014-11-06 2014-11-06 편광자의 제조방법 KR10212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41A KR102121279B1 (ko) 2014-11-06 2014-11-06 편광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41A KR102121279B1 (ko) 2014-11-06 2014-11-06 편광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29A KR20160054229A (ko) 2016-05-16
KR102121279B1 true KR102121279B1 (ko) 2020-06-10

Family

ID=5610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541A KR102121279B1 (ko) 2014-11-06 2014-11-06 편광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305B1 (ko) * 2016-05-17 2021-11-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적층 광학 필름,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접착 용이 처리 수지 필름
JP7026454B2 (ja) * 2016-05-26 2022-02-28 隆平 西藪 固体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の表面修飾剤、固体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の表面修飾方法、及び固体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の表面修飾器
TWI733862B (zh) * 2016-07-26 2021-07-2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偏光薄膜及其製造方法
TWI795515B (zh) * 2018-01-25 2023-03-1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偏光薄膜及其製造方法
CN114096899A (zh) * 2019-05-09 2022-02-25 株式会社可乐丽 偏振膜及其制造方法
TW202108682A (zh) * 2019-06-27 2021-03-0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偏光薄膜及其製造方法
KR20220041093A (ko) 2019-07-29 2022-03-31 주식회사 쿠라레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54799A (ko) * 2019-08-29 2022-05-0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보호용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보호층을 구비하는 편광판
JP7297642B2 (ja) * 2019-10-30 202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保護用樹脂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形成された保護層を備える偏光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7272A (ja) * 2010-06-21 2012-04-05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光学補償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0578A1 (en) * 2002-01-17 2003-07-24 Fuji Photo Film Co., Lt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linearly polarizing film and phase retarder
JP3925413B2 (ja) * 2003-01-16 2007-06-06 住友化学株式会社 ヨウ素系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070025463A (ko) * 2005-09-02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검사용 편광판을 고정하는 지그유닛 및 이를사용한 검사방법
KR20130030990A (ko) 2011-09-20 2013-03-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7272A (ja) * 2010-06-21 2012-04-05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光学補償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29A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279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KR20160091014A (ko) 편광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351454B (zh) 偏振板以及含有该偏振板的图像显示装置
TWI675737B (zh) 偏光板之製造方法、偏光板、光學膜及圖像顯示裝置
JP6254891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50085157A (ko) 편광판
KR20170048458A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편광판
TW202019987A (zh) 偏光件、偏光薄膜、光學薄膜以及影像顯示裝置
JP6921070B2 (ja) 高耐久性の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並びに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40091217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TWI702423B (zh) 偏光片之製造方法
KR10209698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745989B1 (ko) 편광판
KR20130074942A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40147939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CN112969940A (zh) 偏振板
WO2023286575A1 (ja) 偏光板および積層体
KR102388999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CN114252950A (zh) 防反射偏光板和包括该防反射偏光板的显示装置
KR102024733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150031350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CN114077006A (zh) 防反射偏光板和包括该防反射偏光板的显示装置
TW202225742A (zh) 偏光板及有機el顯示裝置
KR20150003944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CN114077005A (zh) 防反射偏光板和包括该防反射偏光板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