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788A - 변기 팬 몸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기 팬 몸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788A
KR20140135788A KR1020147026980A KR20147026980A KR20140135788A KR 20140135788 A KR20140135788 A KR 20140135788A KR 1020147026980 A KR1020147026980 A KR 1020147026980A KR 20147026980 A KR20147026980 A KR 20147026980A KR 20140135788 A KR20140135788 A KR 20140135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hinge
toilet bowl
wat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리 무어
Original Assignee
피닉스 프로덕트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 프로덕트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피닉스 프로덕트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03D1/012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2Devices for locking the cover in the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06Cisterns with tube siphons
    • E03D1/08Siphon action initiated by air or water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06Cisterns with tube siphons
    • E03D1/08Siphon action initiated by air or water pressure
    • E03D1/082Siphon action initiated by air or water pressure in tube siphons
    • E03D1/087Siphon action initiated by air or water pressure in tube siphons by pump, valve, or the like, in the short leg of the siphon or a vacuum pump in the long leg of the siph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using flushing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2Ceram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28Gas and water specific plumbing component making
    • Y10T29/4943Plumbing fixture m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세라믹 변기 팬(12)은 세라믹 소성으로 인한 팬 몸체 크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힌지 튜브(28)가 지그(22)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하여 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고 고정될 수 있는 오름 후방부(18)를 가지고, 물 펌프(82) 및 공기 펌프(102)가 시트(58) 및 뚜껑(5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변기 팬(10)을 세척하기 위해 제공되고, 시트 및 뚜껑이 힌지 튜브(28) 내에 위치된 수평 힌지 핀(180)에 의해 팬(12)에 회전되게 장착되고, 래치 부재(194)가 폐쇄된 뚜껑(56) 및 시트(58)를 래치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저수조가 오버플로우 위어(320)를 갖는다.

Description

변기 팬 몸체 및 그 제조방법{TOILET PAN BODY AND ITS METHOD 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변기 팬 몸체 및 변기 시스템용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 팬 및 힌지 형성부, 변기 팬 몸체용 래치 장치, 변기 뚜껑을 변기 팬에 래치 고정시키는 래치 부재, 변기 저수조용 오버플로우 장치, 변기 팬 몸체용 매니폴드,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의 하측으로의 연결을 위한 씰을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를 포함하는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변기 팬 몸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EP1071855는 세정을 위해 변기 팬(pan) 내로 물을 가하고 변기 팬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변기 저수조를 가압하는 이중 작용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를 개시한다. 씰/잠금 조립체 및 그 아래의 팬 보울 아래에 챔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변기 팬 몸체는 변기 보울(bowl)의 상부에 밀봉될 수 있는 힌지 뚜껑을 가지며, 씰/잠금 조립체는 변기 뚜껑이 폐쇄될 때 팬의 림에 기밀 씰을 만드는 압축 씰을 가져, 챔버 내에 제공된 공기압이 팬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변기의 시트 및 뚜껑은 섀시 아우트리거에 연결되는 별도의 브래킷을 갖는다. 압축 씰을 갖는 밀봉에 요구되는 정밀 공차로 인하여, 변기 팬 보울 및 밀봉/잠금 조립체 및 변기 뚜껑은 제조 시 크기 면에서 매우 정밀한 공차로 신뢰성 있게 만들어질 수 있는 금속과 같은 소재만으로 만들어진다. 뿐만 아니라, 압축 씰은 가압 중 팬으로부터 벗어나는 뚜껑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조절하는 데에 특히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폐쇄된 변기 뚜껑을 유지하기 위한 래치는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특히 위생적이지 않은 변기 팬의 내면과 래치 볼트의 결합을 수반한다. 추가적으로,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는 세정 및 수리를 위해 변기 팬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공기 펌프는 변기 팬 뒤에 상당한 양의 공간을 필요로 하며, 변기 팬은 그 내부로의 공기 및 물을 위한 별개의 입구를 가져야 한다.
EP-A-1838193에서는, 뚜껑을 몸체에 밀봉하는 밀봉 장치가, 위생 도기가 세라믹 소재로 매우 편리하게 생산되어 제조 공정에서 직면하는 왜곡에 의해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에 의해 높은 수준의 치수 정확도가 가중되는 높은 수준의 제조 정확도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 문헌은 시트 및 뚜껑을 갖는 변기를 개시한다. 시트는 주변 씰에 의해 변기 팬의 림 영역에 밀봉될 수 있으며, 뚜껑은 유사 씰에 의해 시트에 밀봉될 수 있다. 그러나, 조립 중 높은 수준의 기술 및 주의가 요구되며, 그렇지 않으면, 사용된 씰이 항상 그 주변 전체 둘레에서 일관되지 않고 가요성 플랜지가 고정되는 뚜껑 또는 시트로부터 하측 및 내측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가요성 플랜지가 그 길이 주변을 따라 불규칙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변기는 또한 변기의 만곡된 전방 에지 둘레에서 계속 연장되는 핸들 부재를 포함하며, 핸들 부재는 변기 뚜껑의 두 개의 측면 상에 위치된 두 개의 래치 상에 작용하도록 배치되며, 세라믹 변기 팬 측의 각 요홈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후크를 갖는다. 세라믹 팬의 소성 공정 중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팬의 크기의 변화로 인하여, 그리고, 통상 플라스터(plaster)이고 사용될 때마다 크기가 변화하는 팬 몰드가 사용될 때마다의 팬 몰드의 약간의 변화로 인한, 각 분량으로 생산될 세라믹 팬의 크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후크 및 요홈이 계속 결합할 수 있도록, 팬의 측면에 이러한 두 개의 후크 부재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렇게 형성된 래치 장치는 만드는 데에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변기 부품은 세정/수리를 위해 용이하게 분해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핸들 부재가 약간 올라갈 때 핸들 부재에 앉는 것에 의한 핸들 부재 상의 압력은 구속 위험(trapping hazard)을 초래한다.
그리고, EP-A-1838193은 뚜껑과, 팬의 측면에 구비된 요면 내에 위치된 수직 대향 면을 통하여 수평으로 위치된 시트 힌지 축으로 구성된 변기 팬을 보여준다. 이 구성 방법은 힌지 부착 방법의 부품이 종래 화장실의 힌지가 위치되고 사용 중 소변의 오염으로부터 민감하게 하여 규칙적인 세정을 필요로 하는 것이 소변 및 설비의 윤활, 팽윤 및 부식을 초래하는 힌지 핀 및 스크류 클램프 부품으로의 세정 화학 약품의 유입을 일으키기 쉬워, 후속하는 정상적인 사용 중 팬과 연관된 뚜껑 및 시트의 비틀림/스큐 이동 및 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유발시키며, 이는 모두는 교정하기 위한 분해를 필요로 하며, 뚜껑 및 시트의 제거가 부식된 힌지 고정 부품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팬 상부의 수평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상승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팬의 측면의 수직 대향면에 위치된 수평 힌지를 제공하는 알려진 방법은 그 표면이 세라믹 팬 제조 공정 중 이형(de-moulding)을 허용하는 드래프트 각도를 가질 것이 요구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완벽하게 평행하지 않을 수 있는 표면의 홀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거나 클램프 고정될 힌지 부품을 필요로 한다. 제조 중의 불량 표면 마감 및/또는 왜곡은 측면을 평행으로부터 갈라지게 한다. 이러한 부정확성은 왼손 힌지 핀 및 오른손 힌지 핀의 동축 오정렬을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소성 공정 중 세라믹 변기 팬의 크기가 변하는 방식으로 인하여, 전방/후방 및 좌측/우측 방향으로의 조절 이전 및 클램프를 조이는 것에 의해 힌지 부품을 제 자리에 클램프 고정시키기 이전에, 변기 시트 및 뚜껑용 보다 좁은 힌지 부품이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삽입될 수 있는 그 후방 끝단에서의 세라믹 변기 팬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두 개의 상대적으로 큰 수직 보어를 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클램프/힌지 부품은 변기 뚜껑 및 시트를 세라믹 팬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않게 이동시키면서 시간에 걸쳐 풀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알려진 변기 저수조는, 그 물 입구가 개방되지 못하는 경우 또는 폐쇄 가능한 뚜껑을 갖는 변기의 경우, 저수조가 지나치게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수관 오작동 또는 홍수의 경우 화장실로부터 저수조 내로 더러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효과적인 오버플로우 장치를 갖지 않으므로, 휴대용 물 공급을 보호하기 위해 물 입구가 오염되지 않도록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체 카테고리 5 오염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러한 저수조는 이 벽 구조의 하나의 측면을 통한 자유 공간으로의 비 원형 오버플로우 위어를 구비하지만, 이는 보기 흉하며, 전방으로 배수되는 넘치는 물의 수집을 어렵게 하고, 공간을 소비한다.
뿐만 아니라, 감소된 세척 체적으로 인해, 그 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물 유동을 팬 내로 정확하게 향하게 할 필요가 있다. 물 분배 노즐은 적은 물로 팬을 세척하는 효과적인 방식이며, 결과적인 세척 림의 제거는 세정 및 위생을 돕는다. 그러나, 현대의 세라믹 변기의 구조는 노즐 조립체를 위치시키고 부착시키기 위한 제한된 접근을 남기는 이중 벽 부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세라믹 위생 도기는 또한 노즐 조립체의 부착 및 밀봉을 어렵게 하는 변형 및 후방 표면 불규칙을 일으키면서 손에 의해 종종 절단되는 노즐 홀과 함께, 몰드의 수명에 걸쳐 생성되는 벽 두께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특정 정도로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뚜껑 및/또는 시트의 좌측 및 우측 힌지에 대하여 팬을 횡단하여 공통 수평축을 제공하도록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어링 또는 슬리브가 위치될 수 있는 융기의 측벽에 홀이 제공될 수 있도록, 팬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면의 후방으로부터 상승하는 적어도 두 개의 측벽을 갖는 융기(또는 오름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변기 팬을 갖는 변기 팬 몸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및/뚜껑 힌지 개구의 피벗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접하는 수직 끝단 면을 구비하고, 팬의 전방 및 팬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면과 연관된 슬리브의 위치는 융기의 측벽의 과대한 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슬리브는 영구적인 힌지 축을 형성하도록 갭-필링 시멘트 또는 패킹 구조에 의해 과대한 홀 내의 위치에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좌측 및 우측 시트 및/또는 뚜껑 힌지 개구의 하중 지지 동축 피벗점을 제공하도록 슬리브에 끼워지고 슬리브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시트 및/또는 뚜껑 내로 연장되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강성 힌지 핀으로서, 슬리브 내의 플로팅 힌지 핀의 선형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붙잡힌 플로팅 핀을 유지하기 위해 뚜껑 또는 시트 상의 또는 뚜껑 또는 시트에 부착 가능한 끝단 캡에 의해 제한된다.
힌지 개구에 인접한 시트에 구비되는 어깨부가 슬리브 및 시트/뚜껑 힌지 개구를 통과하는 힌지 핀의 정렬 및 삽입을 돕기 위해 슬리브의 돌출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슬리브는 융기의 양쪽 측벽을 넘어 돌출할 수 있도록 그 끝단 면에 대하여 충분한 전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변기 팬과, 변기 팬 상의 힌지 형성부를 갖는 변기 팬 몸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변기 팬을 형성하는 단계와, 힌지 형성부가 변기 팬의 제 위치에 고정되는 동안 힌지 형성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지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지그가 힌지 형성부를 변기 팬 상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힌지 형성부가 그 후 변기 팬에 대하여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힌지 형성부를 중심으로 하는 힌지 이동을 위해 고정된 변기 뚜껑 및/또는 변기 팬은 영구적으로 머무를 것이며, 변기 팬에 대한 힌지 회전을 위해 조절 가능하지 않게 정확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변기 팬과, 변기 팬 상의 힌지 형성부를 갖는 변기 팬 몸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변기 팬을 형성하는 단계와, 힌지 형성부가 변기 팬의 제 위치에 고정되는 동안 힌지 형성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지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양태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방법은 형성 중 변기 팬의 크기를 변경하는 공정에 의해 변기 팬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법은 세라믹 재료의 변기 팬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세라믹 재료의 소성 중 변기 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소성 공정 후 변기 팬 상의 제 위치에 힌지 형성부를 고정하기 위해 힌지 형성부를 위치시키는 데에 지그를 사용하는 것은 임의의 제조 일 회 분량에서 항상 크기가 약간 달라지게 될 세라믹 변기 팬에 대하여 일관되게 형성된 변기 뚜껑 및 시트(예를 들면, 정확하게 반복될 수 있는 성형 공정에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짐)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허용하므로, 특히 유리하다.
상기 방법은 팬에 대하여 제 위치에 고정된 힌지 베어링 튜브로서 힌지 형성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 베어링 튜브는 변기 팬의 벽을 통하여 형성된 개구를 완전히 통과하여 연장하는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개구는 글레이즈(glaze) 및/또는 소성의 적용 이전에 세라믹 변기 팬의 벽을 통하여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그 사용 구성으로 배향된 변기 팬으로 힌지 베어링 튜브가 수평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되고 팬을 횡단하여 좌우로 연장되도록, 힌지 베어링 튜브를 변기 팬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글레이즈의 적용 후 및/또는 팬이 소성된 후, 세라믹 변기 팬의 벽을 통하여 홀을 절단하는 데에 지그를 이용할 수 있다.
힌지 베어링 튜브는 변기 팬의 벽으로부터 항상 변기 팬의 대향 벽으로 횡단하여 연장되는 개방 튜브일 수 있고, 양측 벽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 그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힌지 베어링 튜브는 그 끝단이 변기 팬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변기가 분해되는 것에 의해, 힌지 베어링 튜브가 세정 공정 중, 예를 들면, 물로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거나, 파이프 세정 로드로 세정될 수 있도록, 힌지 베어링 튜브는 그를 통하여 완전히 명백하며 양 끝단에서 개방될 수 있다.
힌지 베어링 튜브(또는 슬리브)는 매끄럽지 않은 외면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힌지 베어링 튜브의 외면 또는 외면부는 널링 가공되거나 질감을 갖거나 언더 컷(undercut) 또는 플루트(flute) 또는 이러한 복수의 특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접착제 등 및 튜브/슬리브 사이에 강한 결합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힌지 베어링 튜브(또는 슬리브)는 종종 연속적이며 중단되지 않은 원통형 내면 및 외면을 갖는 원통형 벽을 포함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그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물 모양 또는 구멍을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변기 팬의 벽을 통하여 형성된 개구에 비하여 작은 외경을 갖는 힌지 베어링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힌지 형성부를 제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는 접착제, 갭 필링 시멘트 또는 패킹 스페이서와 같은 패킹 재료를 이용하여 개구(또는 두 개의 유사한 개구가 있을 때, 변기 팬의 어느 한 쪽에 있는 개구) 내의 제 위치에 힌지 베어링 튜브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방법은 지지 개구 및 힌지 베어링 튜브 사이에 조절 유격을 제공하도록 힌지 베어링 튜브에 비하여 큰 지지 개구를 갖는 변기 팬을 형성하는 단계와, 예를 들면, 접착제, 갭 필링 시멘트 또는 다른 패킹 재료 또는 힌지 베어링 튜브를 유지하기 위한 편심 내측 보어를 갖는 원형 플러그와 같은 패킹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힌지 베어링 튜브를 변기 팬에 고정시키는 도중 지지 개구 내에 지그로 힌지 베어링 튜브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힌지 베어링 튜브는 지그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변기 팬 상의 제 위치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유기 성분 및/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와 같은 고형화 화합물 또는 갭 필링 시멘트가 힌지 베어링 튜브 및 변기 팬의 벽을 통하여 형성되는 과대한 개구 사이의 패킹 재료로서 사용될 때, 셰이퍼가 고형화 화합물이 변기 팬의 벽과 수평 마감(flush finish)되도록 변기 팬의 벽과 접하도록 힌지 베어링 튜브의 끝단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셰이퍼는 힌지 베어링 튜브 상부 또는 내부로 맞춰지도록 구성되는 칼라(collar)일 수 있으며, 접착제가 홀을 통하여 힌지 베어링 튜브 및 과대한 홀 사이의 캐비티 내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도록 그 끝단 면을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셰이퍼는 힌지 베어링 튜브 및 과대한 홀의 주위 벽과 연신 및/또는 압축 맞춤을 형성하도록 가요성 재료로 편리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한, 일단 접착제가 굳어지면, 즉, 실리콘 고무, 제거를 돕는 화학 결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착제와 호환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리콘 고무 셰이퍼는 두 팩의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에폭시 수지와 같은 유기 재료 접착제 또는 패킹 재료와 함께 양호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힌지 핀을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힌지 베어링 튜브는 힌지 핀용 저널 베어링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힌지 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 변기 시트를 힌지 핀에 피벗되게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힌지 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 변기 뚜껑을 힌지 핀에 피벗되게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변기 시트 및 변기 뚜껑은 변기 팬에 대하여 견고한 고정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 위치될 수 있어, 그 아래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항상 변기 팬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것이며 정렬로부터 결코 이동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방법은 뚜껑이 폐쇄 배향으로 위치될 때 뚜껑 아래 및 변기 팬 위에 밀봉된 챔버를 제공하는 씰링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변기 팬에 대한 변기 뚜껑 및/또는 변기 시트의 영구적으로 정확한 위치 결정은 씰링 장치를 매우 신뢰할 수 있게 작동시킨다.
상기 방법은 변기 팬의 전방 에지에 대하여 힌지 형성부를 위치시키는 데에 지그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과정 중 세라믹 변기 팬의 크기의 상당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변기 뚜껑 및/또는 변기 팬의 전방 에지가 변기 팬의 전방 끝단에 대하여 매우 정확하고 영구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단일 중앙 전방 래치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아래로 내려와 폐쇄되고 변기 팬의 위에 있을 때, 공기 압력과 같은 압력을 변기 뚜껑 아래에 형성된 밀봉된 챔버로 제공하는 것에 의해 변기가 계속 세척 중일 때 폐쇄된 변기 뚜껑을 유지하기 위해 상당히 단순하고 보다 비용 효과적인 래치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변기 팬의 상부 림의 상면에 대하여 힌지 형성부의 높이를 위치시키는 데에 지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변기 팬이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때 제조 도중의 변기 팬 크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변기 뚜껑 및/또는 변기 시트의 높이가 변기 팬에 대하여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변기 팬의 제조 중, 변기 팬의 크기를 변경하기 전, 변기 팬의 재료에 수용 형성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데에 다른 지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성 전에, 또한, 선택적으로, 팬의 글레이징 이전에, 팬의 전방에 대하여 변기 팬의 재료에 만들어지는 힌지 개구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팬의 상부 주변 림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변기 팬이 세라믹 재료의 소성으로 이루어질 때, 다른 지그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성 공정 중에 변기 팬의 크기가 변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면 변기 팬의 몰드가 플라스터로 이루어질 때 몰드의 크기가 사용될 때마다 약간 변경될 것이어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 회 분량의 소성되지 않은 변기 팬의 크기의 변화를 고려할 때, 다른 지그의 사용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변기 팬 및 힌지 형성부를 포함하며, 힌지 형성부는 힌지 형성부 및 수용 형성부 사이의 상대 운동을 억제하도록 힌지 형성부 및 수용 형성부 사이에 위치되는 패킹에 의해 변기 팬의 수용 형성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변기 팬 몸체가 구비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변기 팬이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때, 이에 대한 힌지 형성부의 위치는 먼저 조절된 후 패킹 재료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패킹은 힌지 형성부 및 수용 형성부를 서로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접착제, 갭 필링 시멘트 또는 다른 패킹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형성부는 변기 팬의 벽을 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힌지 형성부는 그 사이에 유격을 갖는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힌지 베어링 튜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패킹은 유격을 채운다. 변기 팬은 두 개의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하나의 개구는 변기 팬의 어느 일측에 위치되고 그 일측에서 변기 팬의 각각의 벽을 통하여 연장된다. 통상적으로, 개구는 후방 끝단 가까이에서 변기 팬의 일측에 위치된 전반적으로 수직이고 평행한 면, 또는 팬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면의 후방으로부터 상승하는 적어도 두 개의 측벽의 융기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베어링 튜브는 변기 팬을 완전히 횡단하여 그 일측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힌지 베어링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그를 통하여 완전히 명백하며 양 끝단에서 개방된다. 이는, 변기가 분해될 때, 힌지 베어링 튜브가 물 또는 파이프 세정 로드로 용이하게 세척되고 세정되도록 한다.
변기 팬 몸체는 힌지 베어링 튜브 내에 삽입되도록 힌지 베어링 튜브를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두 개의 힌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핀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는 힌지 베어링 튜브의 길이의 약 절반에 비하여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는, 변기 팬 몸체가 좁은 변기 큐비클과 같은 좁은 공간에 위치될 때, 힌지 핀이 변기 큐비클 또는 다른 주변 설치 구조의 측벽과 간섭하지 않고 힌지 베어링 튜브로부터 힌지 핀을 여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힌지 핀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장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힌지 베어링 튜브를 통하여 완전히 연장되고 조립/분해 도중 그 두 개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멀리 연장되는 하나의 긴 힌지 핀이 반드시 사용되지 않으며, 변기 팬 몸체가 좁은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변기 팬은 바람직하게는 소성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변기와, 변기 팬으로의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의 피벗 결합을 위해 배치되는 힌지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도록 변기 팬을 횡단하여 연장되게 위치된 힌지 베어링 튜브를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가 구비된다. 변기 팬을 횡단하여 연장된 힌지 베어링 튜브를 갖는 이 장치는, 튜브가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고 힌지 축의 신뢰할 수 있는 위치 결정이 가능하므로, 매우 유리하다.
변기 팬 몸체는 변기 팬에 피벗되게 결합 가능한 변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베어링 튜브는 변기 팬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변기 시트는 변기 시트 및 힌지 베어링 튜브를 서로에 대하여 정렬시키기 위해 힌지 베어링 튜브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정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변기 시트는 돌출 베어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변기 뚜껑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변기 뚜껑은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를 서로에 대해 정렬시키기 위해 돌출 베어링 부재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정렬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정렬 부재는 조립 공정을 상당히 도울 수 있다. 정렬 부재는 아치형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변기 시트는 정렬 부재에 인접한 관통 보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변기 팬 몸체가 사용 구성일 때, 힌지 핀이 힌지 베어링 튜브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변기 시트의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변기 뚜껑은 제2 정렬 부재에 인접한 관통 보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 구성의 장치를 갖는 힌지 핀이 힌지 베어링 튜브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변기 뚜껑의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될 수 있다.
힌지 베어링 튜브 내에서 핀을 구속하기 위해, 끝단 캡이 관통 보어에 인접하는 변기 뚜껑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 핀 또는 일부 힌지 핀이 관통 보어를 따라 구비될 때의 다중 힌지 핀의 길이는 끝단 캡의 연동 부분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핀이 힌지 베어링 튜브(즉, 축방향 플로팅) 내에서 용이한 미끄럼 맞춤일 수 있으나, 힌지 핀이 항상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의 힌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잘 유지될 수 있다. 끝단 캡이 변기 뚜껑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어, 힌지 핀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고,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가 변기 팬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베어링 튜브가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고, 변기 뚜껑 및 시트가 또한 세정 및 수리를 위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변기 팬은 제1 평면에 놓여진 상면을 갖는 상부 주변 림과, 후방 오름부를 포함할 수 있고, 베어링 튜브는 제1 평면 위에 위치된 힌지 축을 갖는 후방 오름부를 통하여 연장된다. 후방 오름부는, 변기 시트 및/또는 뚜껑을 각각 메인 뚜껑 및 시트 부품과 전반적으로 동일한 평면에서 힌지 보어를 갖는 상대적으로 평탄한 부품으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몰드가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를 만드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그 전방면에 요홈을 갖는 변기 팬을 포함한다. 요홈은 변기 팬 전방면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요홈은 편리하고 유리하게는 변기 뚜껑 닫힘을 중앙으로 래치 고정하기 위한 단일 래치용 래칭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변기 팬 및 변기 뚜껑을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용 래치 장치에 있어서, 래치 장치는, 변기 팬에 대한 상측 방향 이동에 대하여 변기 뚜껑을 잠그는 래치 위치 및 변기 뚜껑이 팬에 대하여 상승 가능한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기 뚜껑이 변기 팬 상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 가능한 래치 부재를 가지며, 래치 부재는, 폐쇄 위치에서 변기 뚜껑의 아래에 배치되고, 해제 위치에서 상측으로 당겨질 때 변기 뚜껑 아래에서 밀려 올라가도록 배치되는 래치 장치가 구비된다. 이 래치 장치는 매우 단순하고 상대적으로 강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매우 유리하다. 래치 장치는 또한 구속 위험(trapping hazard)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변기 뚜껑을 변기 팬에 선택적으로 래치 고정하기 위해 통합적으로 형성된 래치 부재에 있어서, 래치 부재는, 변기 뚜껑에 피벗되게 장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변기 팬에 대한 상측 방향 이동에 대해 변기 뚜껑을 잠그는 래치 위치 및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기 뚜껑이 변기 팬 상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 가능하며, 래치 부재는, 래치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손으로 변기 뚜껑을 직접 상승시키기 위해 직접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일체형 리프팅 핸들을 갖는, 래치 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매우 단순한 래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구속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래치 부재는 상부 끝단에 피벗 핀에 의해 결합 가능한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부재는 그 상부 끝단 및 그 수동 작동 위치 사이에서 도중에 위치되는 정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정지 부재는 래치 부재의 상승에 따라 변기 뚜껑과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래치 부재의 상부 끝단에서 반력을 발생시킨다. 래치 부재의 상부 끝단은 변기 뚜껑의 상방 대면 베어링면에 의해 피벗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정지 부재는 이에 따라 래치 부재의 상승에 따라 상방 대면 베어링면에 하측 방향 반력을 발생시킨다. 래치 부재의 수동 작동위치에 큰 힘이 작용할수록 래치 부재의 상부 끝단이 더 견고하게 상방 대면 베어링면에 의해 지지되는 매우 효과적인 쐐기 작용으로 래치 부재가 변기 뚜껑을 들어올리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는 매우 유리하다.
래치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변기 뚜껑의 폐쇄에 따라 자동으로 잠긴다.
변기 뚜껑은 설치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래치 부재는 설치 개구를 통하여 힌지 핀이 래치 부재 내로 삽입 가능한 위치로 삽입 가능하며, 래치 부재는 그 후 변기 뚜껑의 베어링면과의 힌지 핀의 결합을 위해 하강 가능하다. 이는 래치 부재의 매우 단순한 설치 절차를 가능하게 한다. 래치 부재의 하강 후, 캡은 붙잡힌 래치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변기 뚜껑에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캡은 변기 뚜껑으로부터의 힌지 핀 및 래치 부재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변기 뚜껑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 부재는 세정 또는 수리를 위해 변기 뚜껑으로부터 매우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다. 래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탱이 뚜껑의 대응하는 슬롯을 바로 통과하여 뚜껑 슬롯의 하측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여 뚜껑 상에서 붙잡힌 캡을 유지하는 원래의 위치로 다시 스냅 결합할 때까지 탱이 뚜껑의 대응하는 슬롯을 통과하여 캡의 하측 방향 운동에 의해 내측으로 강제로 구부러지도록, 캡이 뚜껑 내에 위치된 대응하는 슬롯 위치로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가지는 스냅 탱 래치를 구비한다. 탱을 뚜껑의 하측으로부터 함께 압박하는 것은 탱을 결합 해제시키며, 이에 따라, 캡을 해제하도록 뚜껑 슬롯을 통하여 뒤로 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저수조 챔버를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용 저수조 몸체에 있어서, 저수조 챔버는 저수기 및 물 펌프를 포함하며, 물 펌프는 물을 압력하에서 저수조 몸체로부터 물 출구 바깥으로 펌핑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변기 시스템용 저수조 몸체가 구비된다. 변기 시스템용 저수조 몸체 내에서 전기 물 펌프를 사용하는 것은, 세척 사이클에서 물을 구동하기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저수조 외측에 추가적인 펌핑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세척 물을 제공하기 위해 중력에 의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기 동력식 물 펌프의 사용으로 인하여 적은 물 체적에 매우 신뢰할 수 있고 효과적이며 소형인 변기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저수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 펌프는 정지 상태일 때, 물 도관 및 노즐 세척 시스템을 통하여 WC 팬으로 오버플로우 또는 내부 경고 파이프를 제공하도록 임펠러 위로 그리고 물 펌프의 몸체를 통하여 물이 자유 유동할 수 있는 원심형 임펠러에 의해 이루어지며, 노즐 개구는 펌프로부터의 중력 유동이 구속되지 않도록 종합적으로 물 펌프의 출구 보어에 비하여 같거나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오버플로우 경고 파이프와 관련한 법규의 구체적인 요건이 합치할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서(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입구 밸브의 물 튀김 및 유입하는 물 공급의 가능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물 입구 밸브는 저수기의 표면으로부터 물의 유입 유동을 편향시키는 쉬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 몸체는 저수조 챔버 내에 위치되는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 펌프는 저수조 몸체로부터 공기 출구 바깥으로 공기를 펌핑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공기 펌프 및 물 펌프는 따라서 세척 사이클 중 펌프 지속 기간 내에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겹치는 방식으로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저수조 몸체 내에 모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든 세척 펌핑 부품이 단일 저수조 몸체 내에 수용되는 매우 작은 변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변기 저수조의 매우 신속한 설치 및 수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저수조 몸체는 종래와 같이 그 뒤에 큰 공기 펌프를 위한 큰 공간을 요구하지 않는 전반적으로 표준 치수를 갖는 변기 팬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허 US2008253915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때 이형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드래프트 각도를 제공하는 테이퍼진 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단일 실린더에 단일 로터가 끼워지는 자가 정렬 로터리 피스톤 기계를 개시한다. 그러나, 소형 크기 및 높은 체적 변위에 대한 요구는 플라스틱 성형 공정을 통한 왜곡에 영향을 받기 쉬운 길이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및 로터를 필요로 하며, 긴 실린더의 길이에 걸친 요구되는 드래프트 각도는 두 개의 끝단 사이에서 직경의 상당한 변화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양태의/에 따른 공기 펌프는 완전한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중앙 구동 샤프트에 접합되는 두 개의 절반에 모두 구성되는 로터 및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한다. 이러한 접근의 장점은 부품의 길이가 반으로 줄어 제조 공정 중 직면하는 응력 및 왜곡이 크게 저감되고, 실린더 절반의 드래프트 각도가 끝단 직경 사이의 차이에서 감소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작동 중의 왜곡은 함께 직접 접합된 두 개의 실린더 절반을 가질 때 실린더에 발생하므로, 본 발명은 두 개의 실린더 절반이 부착되어 작동 중 치수 안정성을 제공하는 플랜지 링을 제공한다.
전자식일 수 있는 제어부가 세척 사이클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물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 펌프가 수위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저수조 내의 물의 수위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물 펌프 및/또는 공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센서가 저수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저수조 몸체는 물 펌프의 출구 경로 하류에 위치되는 일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의 상부가 밀봉 폐쇄되면 그 내용물을 비우기 위해 변기 팬으로 압력을 제공하도록 공기 펌프가 구비되는 경우, 공기/물이 물 펌프를 통하여 저수조 내로 뒤로 밀리지 않는다. 밸브는 그 자연적인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중력 오버플로우 상황 중 필요할 수 있는 경우 물의 제한되지 않는 자유로운 유동을 허용한다. 이 위치에 있을 때, 밸브는 항상 그 길이를 따라 적어도 19mm2 의 최소 유동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밸브는 유리하게는 이를 개방 및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압 또는 유체 압력이 적거나 없을 것을 필요로 한다. 밸브는 물에서 실질적으로 중성 부력의 포핏 요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밸브는, 밸브가 개방 및 폐쇄 및 그 반대의 사이에서 이동하기 전에 실질적인 압력 변화를 필요로 하는 본래의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종래의 밸브에 비해 유리하다.
호스가 저수조 출구 커넥터 및 팬 입구 매니폴드 커넥터 사이에서 부착될 필요가 있는 경우, 커넥터가 설치 중 호스의 킹킹(kinking)을 방지하도록 선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적어도 일부 커넥터는 호스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호스 커프(cuff)와, 호스 커프와 미끄럼 맞춤을 형성하는 저수조 출구 및 팬 입구 매니폴드 상의 대응하는 커넥터로 구성되며, 클립이 계속 선회를 허용하면서 커넥터에 붙잡힌 커프를 유지하도록, 호스 커프는 스프링 클립을 수용하도록 커넥터 내의 리베이트(rebate)와 정렬되는 그 측면에서 두 개 이상의 슬롯을 갖도록 구성된다. 유사한 커넥터가 출구 엘보우 또는 출구 파이프를 물 펌프의 출구에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물 역류 방지 밸브 몸체 상의 파이프-수용 소켓의 경우, 소켓 및 물 펌프로 이어지는 파이프와 같은 연결 파이프 사이의 접합부가 O-링으로 밀봉되며, 이에 따라, 접합부는 물 홈통 및/또는 물 펌프 및 밸브 몸체의 높이 사이의 임의의 제조상 차이를 수용하도록 망원경 형태로 된다.
저수조 몸체는 물 펌프 및 일방향 밸브 사이에 있는 출구 경로 내의 위치로부터 대기로 이어지는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특히, 물 펌프가 시스템의 저수기로부터 물을 그런 다음 물 펌프가 꺼질 때 변기 팬을 향하는 방식으로 하측으로 하강되는 도관 내로 상측 방향으로 펌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물 펌프를 통한 임의의 잠재적인 사이펀 작용이 명확하게 파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펀-파괴 도관의 사용이 물 펌프가 작동될 때 적은 양의 물이 그를 통하여 저수기로 다시 펌핑되도록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도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물 펌핑 중, 물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 중 작은 비율만이 이를 통과한다. 마찬가지로, 유동 상태에서 도관이 물 사이펀으로 유입되는 적은 양의 공기는 사이펀 파괴될 때 물 유동이 정지할 때까지 물 유동을 따라 운반되며, 이에 따라, 임의의 부분 사이펀 상태가 발생하거나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대기로 배출하는 것에 의해 홈통의 내부 공동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부분 진공과 신속하게 동등화된다.
전류 하나의 센서가 마련될 때 공기 펌프의 모터에 의한 전류 흐름을 감지하기 위해 전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값 아래의 공기 펌프 모터 전류 흐름 강하를 나타내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공기 펌프 모터를 정지시키거나 공기 펌프 모터의 속도를 낮추도록 공기 펌프용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펌프는, 압력 하에서 변기 팬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 공기 펌프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 유동에 대한 감소된 저항으로 인하여 팬 내용물이 배출된 것을 나타내는 전류 흐름 강하 시 꺼질 수 있다. 변기가 변기 세척으로부터의 계속적인 공기 유동이 공기가 배출될 때까지 배수관을 따라 물을 밀게 되어 폐수가 중력 유동으로 되돌아가고 모터의 부하가 떨어지는 작은 직경의 배수관에 연결되는 경우, 이 제어 방법이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제어부가 세척 사이클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기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 몸체는 저수기에 의해 위치되는 오버플로우 위어 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변기 저수조용 오버플로우 장치가 구비되며, 오버플로우 장치는 변기 저수조의 저수기에 의해 위치될 수 있는 오버플로우 위어 벽을 포함한다. 변기 저수조를 갖는 위어의 사용은, 하수도 범람 또는 다른 배수 오작동의 경우 시스템으로의 물 입구가 개방되기 어렵거나, 더러운 물이 팬으로부터 저수조로 역류하는 경우 물의 실질적인 유량이 저수조로부터 비원형 슬롯을 통하여 자유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유체 카테고리 5 안전 분류의 요건을 만족할 것이 요구된다. 이는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다른 전기 부품과 같은 전기 구동식 부품이 세척 용 전기 구동식 물 펌프 및/또는 전기 구동식 공기 펌프와 함께 저수조 몸체 내에 구비될 때 특히 유리하다. 오버플로우 위어는, 매우 신뢰할 수 있게, 저수조의 수위가 지나치게 높이 상승하여 전기 부품에 손상을 초래하거나 높은 수위로 인하여 위험 상황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거나, 입구 물 공급 네트워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위어 벽은 저수기를 전반적으로 하측 방향으로 지향하는 오버플로우 유로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오버플로우 유로는 둘레의 자유 공간, 특히, 아래와 연통되는 일정하게 방해 받지 않는 직사각형 단면 실질적으로 수직 또는 전반적으로 직립형 유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로는 바람직하게는 저수조 몸체 내측에 위치된다. 오버플로우 위어 벽은 저수기의 수용 벽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오버플로우 유로의 벽의 상부는 바람직하게는 오버플로우 상태가 발생할 때 수직 유로 내로의 위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저수기의 둘레벽에 비하여 낮아, 물이 저수조 몸체 내측의 수직 유로 아래로 유동되고 둘레 자유 공간 내로 저수조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유동된다. 오버플로우 위어 벽은 직사각형 단면 수직 유로의 세 개의 벽에 대응하며 넘치는 물이 진행할 수 있는 세 개의 벽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치로, 비-원형 오버플로우 위어 벽의 상대적으로 긴 길이가 이에 따라 내부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접합되거나 용접될 필요 없고 저수조의 측면을 통하여 자유 공간으로의 가시적인 오버플로우 슬롯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일 성형 저수조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유로의 하단은 오버플로우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림을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전방으로의 배수의 오버플로우 장치의 출구로 이어지는 수집 호퍼를 구비할 수 있다. 원형 전방 배수 시스템에 연결하는 수집 호퍼는 유체 카테고리 5 분류와 동일한 요건과 합치하도록 비-원형 오버플로우 위어를 필요로 하므로, 넘침(spill-over) 위어를 제공하도록 오버플로우 유로 아래에서 충분한 거리로 장착될 수 있거나, 측면 개구를 구비할 수 있고 저수조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유로는 오버플로우 장치의 출구 위의 측면 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측면 개구는 오버플로우 장치의 출구를 경유하는 유동이 어떠한 이유로 차단되는 경우 오버플로우 배출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측면 개구는 유리하게는 저수조의 수위가 지나치게 높이 상승하는 가능성을 더 최소화하기 위해 역 오버플로우 경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저수조는 벽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다. 수집 호퍼는 벽 브래킷에 부착될 수 있고 및 오버플로우 유로에 밀접하게 유지될 수 있지만, 저수조가 벽 브래킷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전방 배수용의 임의의 연관된 배관과 함께 벽 브래킷에 부착되어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변기 팬 몸체용 매니폴드에 있어서, 공기 입구, 물 입구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물 출구를 가지며, 공기 출구 및 물 출구 모두를 변기 팬 몸체 내의 단일 전달 개구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끝단 커넥터를 갖는 매니폴드가 구비된다. 따라서, 지나치게 많은 입구 개구를, 공기 및 물 모두의 사용에 의해 세척될 변기 팬에 구비할 필요가 없다.
매니폴드는 외측 공기 전달 유로와, 외측 공기 전달 유로의 내측을 따라 물을 전달하는 내측 물 전달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공기 유로 및 끝단 플러그 사이에 변기 팬 몸체의 벽을 밀봉 유지하기 위해 끝단 플러그가 외측 공기 유로에 연결 가능할 수 있고, 끝단 플러그는 공기 및 물을 변기 팬 내로 분배하기 위한 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끝단 플러그의 사용은 변기 팬 몸체의 변기 팬에 대하여 매니폴드를 위치시키는 것을 편리하게 돕는다.
끝단 플러그는 공기 전달 유로 내로 망원경 형태로 미끄럼 맞춤될 수 있어, 두 개의 부품이 팬 벽 두께의 변화 범위에 걸쳐 팬의 개구 둘레에서 함께 긴밀하게 클램프 고정될 수 있다. 끝단 플러그가 공기 전달 유로 내로 망원경 형태로 미끄럼 맞춤되는 경우, 물 도관의 부품도 팬 입구 개구 둘레의 벽 두께 범위를 더 수용하도록 서로에 망원경 형태로 미끄럼 맞춤될 수 있다.
공기 매니폴드는 사용 중 누설되어 물 입구 전달 시스템을 형성하거나 세척 또는 세정 중 팬으로부터 매니폴드 내로 역류하는 임의의 물에 대해 팬으로의 자연적인 배수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팬 입구 개구를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매니폴드는 스플리터로부터의 복수의 물 출구 사이의 단일 유입 물 유동을 분할하는 스플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리터는 외측 공기 전달 유로 외측에서 외측 공기 전달 유로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플리터로부터의 물 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외측 공기 전달 유로 내로 이어져 외측 공기 전달 유로의 내측을 따르는 도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신규한 구성은 그 내부/하측의 공기/물 전달 부품을 위치시키기 위해 변기 팬의 내측/하측에 제한된 공간이 이용 가능할 때, 세척을 위해 공기 및 물 모두가 신뢰할 수 있게 변기 팬으로 제공되게 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리하다.
물 펌프의 몸체를 통해 세척 및 오버플로우 상태를 경고하는 도중 저수조로부터 팬 내로의 물의 중력 유동을 허용하도록, 물 매니폴드/스플리터가 공기 매니폴드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매니폴드는 변기 팬의 후방에 마련되는 융기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맞춤 및 사용 중 매니폴드의 고정을 제공하는 데에 충분한 융기 내에 위치된 횡방향 힌지 슬리브에 연결될 수 있다.
중앙 또는 후방 물 노즐은 공기 매니폴드 출구 플러그 플레이트/팬 내로의 공기 출구 노즐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물을 변기 팬 내로 분배하기 위한 출구가 노즐인 경우, 노즐은 보울에 대한 세척 패턴도 제공하기 위해 팬의 내측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보울의 측면에 위치되는 임의의 노즐 장착홀의 후방은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즐은 홀의 뒤쪽에 맞춰지는 엘보우를 포함할 수 있고, 장착홀을 통하여 맞춰지는 슬리브를 갖도록 구성된 하나의 암과, 물 입구 시스템과 유체 연통을 위해 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암과, 엘보우 슬리브와 연결되도록 슬리브를 갖도록 구성되는 전방 편향기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이 두 개의 부품은, 조립될 때, 밀봉 방식으로 그들 사이에 장착홀을 개재되고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수단을 갖는다. 조립 중 엘보우를 위치시키고 지지하는 방법은 호스의 내부 또는 위로 그리고 엘보우의 내부 또는 둘레로 미끄러지는 공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갭 필링 시멘트가 엘보우 상에 구비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엘보우에 도포될 수 있고, 그런 다음 공구가 팬의 후방에서 접근홀을 통하여 호스, 엘보우 및 시멘트 조립체를 밀고 노즐 장착홀을 통하여 볼 수 있는 위치로 팬 캐비티를 따라 이를 트레들(treadle)시키는 데에 사용되며, 이에 따라 제2 공구가 엘보우 조립체와 결합하여, 엘보우 플랜지 상의 시멘트가 노즐 장착홀의 후방면에 접촉할 때까지 장착홀을 통하여 엘보우 슬리브를 당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그는 엘보우 슬리브의 전방면을 노즐 장착홀의 전방면과 정렬시키는 데에 사용되어, 일단 갭 필링 시멘트가 경화되면 고정구가 되는 세척 조립체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후방 접근홀의 외측으로 매달린 호스를 물 분배 시스템으로 연결될 준비 상태로 유지하면서, 정렬 지그가 제거되고 정렬 공구가 추출된다. 이러한 장치로, 엘보우의 슬리브가 세라믹 벽의 두께 또는 불규칙성과 관계 없이 노즐 장착홀의 면과 동일 높이를 이루는 밀봉된 고정구를 일관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향기 플레이트의 슬리브가 엘보우의 슬리브 내로 편리하게 밀릴 수 있고 알려진 측정에서 설정된 결합 수단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를 변기 시트 또는 변기 팬에 각각 밀봉하기 위해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 하측에 연결되는 씰에 있어서, 씰은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는 단면을 가지는 길게 연장된 링 형상 부재를 포함하며, 베이스 부재는 가요성 플랜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성인, 씰이 제공된다. 이 장치는, 강성 베이스가 가요성 플랜지가 일단 설치되면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에 대하여 일관된 구성을 갖는 것을 보장하므로, 매우 유리하다. 특히, 강성 베이스 부재는 씰의 가요성 플랜지 부재 부분이 링 형상 형태 둘레에서 그 길이를 따라 연신되지 않도록 씰 장치의 설치 중 연신 가능하지 않다.
베이스는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가요성 플랜지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요성 플랜지는 베이스 상으로 오버-몰드될 수 있다. 가요성 플랜지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전반적으로 하측 및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척 중 공기 압력이 가요성 플랜지를 짝을 이루는 팬 또는 시트 표면 상으로 밀도록, 베이스 부재의 외측 주변 에지에서 또는 주변에서 베이스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는 전반적으로 평탄하고 수평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그 하측면의 링 형상 슬롯인 각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의 연동 슬롯에 밀어 맞춤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씰의 가요성 플랜지 재료가 수용 슬롯을 밀봉하고 파지하도록 강성 링 재료 상으로 압축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변기 부품이 변기 팬 몸체 상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는 도중 변기 부품을 공구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 중 변기 팬 몸체 내에 변기 부품을 위치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변기 부품은 호스를 포함할 수 있고, 공구는 호스를 유지하기 위해 호스 내부 또는 상부로 미끄러질 수 있으며,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길게 연장된 로드를 포함한다.
변기 팬 몸체는 세라믹일 수 있고, 세라믹 팬의 벽 사이의 공간으로 이어지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공구로 변기 부품을 유지하면서 개구를 통하여 변기 부품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구는 변기 팬 몸체의 후방 세라믹 벽에 형성될 수 있다.
변기 부품은 엘보우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변기 팬 몸체의 팬의 물-세척 상면 벽을 통하여 형성된 개구로 엘보우 부재가 고정되는 동안 공구로 엘보우 부재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를 변기 시트 또는 변기 팬에 각각 밀봉하기 위해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 하측에 연결되는 씰에 있어서, 길게 연장된 링 형상 부재를 포함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를 포함하는 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도관과, 배수 도관을 따라 오물 및/또는 물과 같은 물질을 수송하기 위해 배수 도관을 가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제어부가 가압에 대한 저항의 강하 및 이에 응답하는 배수 도관의 가압의 정지 및/또는 감소를 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 따른 다수의 부품 및 변기 팬 몸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 따른 변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변기 팬을 제조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변기 시스템의 제어 및 부품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g는 그 조립 중 도 1a의 변기 시스템의 다양한 부품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변기 시스템의 변기 시트의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4c 및 도 4d는 또한 변기 시스템의 변기 팬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변기 시스템의 변기 뚜껑의 부분을 도시하며, 도 5c 및 도 5b는 변기 뚜껑이 변기 시트 및 변기 팬에 조립될 때의 변기 뚜껑, 변기 시트 및 변기 팬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6a는, 그 아래에 도시된 변기 시트 및 변기 팬의 부분과 함께, 그 전방 래치 영역에서의 변기 뚜껑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6b는 그 작동 위치에서 제 자리에 또한 도시된 래치 힌지 핀을 통한 단면을 갖는 도 6a와 유사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6c는 그 하측으로부터 변기 뚜껑의 전방 래치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d 내지 도 6g는 변기 뚜껑 상의 래치 부재의 설치에서의 다양한 단계를 도시한다.
도 6h는 래치/잠금 위치에 있는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변기 팬, 변기 시트, 변기 뚜껑 및 래치 장치를 통한 단면이다.
도 6i는, 래치 부재가 래치 해제된 위치로 회전되고 변기 뚜껑과 함께 변기 시트 및 변기 팬으로부터 들어 올려진, 도 6h와 유사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아래 및 일측으로부터 볼 때의 변기 뚜껑 및 래치 장치를 통한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7b는 도 7a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a은 아래로부터 그리고 일측으로 볼 때의 변기 시트를 통한 사시 단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변기 팬에 고정된 공기 및 물 매니폴드 조립체를 도시하는, 변기 팬의 중앙 종방향 수직 평면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은 각각 도 9에 도시된 매니폴드를 통한 등측도인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매니폴드 조립체의 스플리터 플러그의 전방 및 후방 사분의 일 사시도이며, 도 11c는 스플리터 플러그를 통한 중앙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전방 플레이트 및 인쇄 회로 기판 제어 및 명확화를 위해 제거된 그의 다양한 전기 와이어를 갖는 변기 시스템의 저수조를 도시하며, 도 12b는, 공기 펌프 부품이 제거된, 도 12a에 도시된 저수조 부품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변기 저수조의 공기 펌프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저수조의 일방향 밸브의 확대도 및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 도 15e, 도 15f 및 도 15g는 도 6a 내지 도 6i에 도시된 래치 부품의 추가적인 도면을 도시하지만, 또한 래칭 조립체의 스플래시 가드/탱(tang) 잠금을 도시한다.
도 16a는 힌지 베어링 튜브의 위치를 설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지그를 도시한다.
도 16b는 변기 팬 상에 위치된 도 16a의 지그를 도시한다.
도 16c는 제 위치에 고정될 때 힌지 베어링 튜브를 지지하는 도 16a의 지그를 도시한다.
도 17은 변기 팬 보울 내에 힌지 베어링 튜브용 개구 및 노즐 개구를 절단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지그를 도시한다.
도 16d 및 도 16e는 힌지 베어링 튜브를 제 위치에 맞추기 위해 패킹 접착제를 도포할 때 셰이퍼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18a는 변기 팬의 뒤쪽 및 아래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8b는, 측면 물 도관을 조립하는 데에 유용한 개구를 도시하는, 변기 팬의 뒤쪽으로부터의 도면이다.
도 18c는 변기 팬이 어떻게 내부 및 외부 세라믹 측벽 및 그 사이의 공간을 갖는지를 도시하는, 뒤쪽으로부터 볼 때의 변기 팬을 통한 단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j는 측면 물 도관 및 노즐 부품의 변기 팬 상으로의 조립 중의 단계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각 측면 물 노즐의 노즐 편향기 부분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그 엘보우 부재를 포함하는 측면 물 노즐의 부품을 도시한다.
도 22는, 팬 보울에 한번 연결된 측면 노즐의 구성을 도시하는, 변기 팬의 일측 및 측면 노즐 중 하나를 통한 단면이다.
도 23a는 두 개의 일체형 버퍼를 포함하는 수정된 변기 시트 씰을 도시한다.
도 23b는 버퍼 중 하나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23c 및 도 23d는, 버퍼와 맞추어져 버퍼를 유지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시트 씰 요홈 중 하나를 도시하는, 수정된 변기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4a 내지 도 24f는, 변기 팬 몸체에 대하여 제 위치에 고정될 때, 힌지 튜브를 위치시키는 수정된 지그를 도시한다.
도 25a 및 25b는 변기 팬에 대하여 제 위치에 힌지 튜브의 접착 고정 중 접착제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힌지 튜브 둘레에 위치된 탄력성 튜브를 도시한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측면 물 노즐이 변기 팬 몸체에 고정될 때 측면 물 노즐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데에 추가적인 지그 부품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공구 로드가 측면 노즐 부품이 접착제에 의해 변기 팬 몸체에 고정되는 동안 측면 노즐 부품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 튜브형 공구와 교체되는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수정예를 도시한다.
도 28a 내지 도 28d는 변기 팬 몸체에 측면 물 노즐을 부착하는 방법에서의 단계를 도시한다.
도 29a 및 도 29b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물 매니폴드 조립체의 수정예를 도시하며, 도 29c는 다른 도면의 물 경로 스플리터에 대한 수정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6d에 도시된 래치 부재의 수정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팬 몸체(10)를 제조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전방 끝단(16)에 위치된 래치 요홈(14) 및 융기 또는 오름 중앙 후방부(18)를 갖는 세라믹 변기 팬(12)은 한 쌍의 개구(20)(도 1b, 도 4c 및 도 4d 참조, 명확화를 위해 개구(20)는 다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개구(20)는 본질적으로 변기 팬의 글레이징 및 소성 전에 후방 오름부의 두 개의 측벽(23, 25)을 통과하여 형성된 횡방향 수평 배치 보어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2)는 슬리브 또는 힌지 베어링 튜브 형태의 힌지 형성부(28)의 양 끝단(24, 26)을 변기 팬(12)에 대한 제 위치에 클램프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도 1b는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일단(24)(도 3a 참조)을 유지하는 지그(22)의 두 개의 클램프 부재(30, 32)만을 도시하지만, 두 개 더의 클램프 부재(미도시)가 타단(26)(도 4d 참조)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지그(22)는 지그(22)를 위치시켜 이에 따라 각각 변기 팬(12)의 래치 요홈(14) 및 전방 끝단(16)에 대하여 힌지 베어링 튜브(28)를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 부재(34, 36)를 갖는다. 지그(22)는 또한 변기 팬(12)의 림(44)의 상면(42)에 대하여 클램프 고정된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높이를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 부재(38, 40)를 더 구비한다(도 1b 및 도 3c 참조). 힌지 베어링 튜브(28)가 이렇게 위치되는 한편,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외경이 오름 후방부(18)의 측벽(23, 25)을 통과하여 형성된 개구(20)의 내경에 비하여 작다는 것이 주목된다. 따라서, (소성된) 세라믹 변기 팬(12)의 크기는 일 회 분량의 변기 팬 마다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사실, 이는 사실상 불가피하며,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외경 및 개구(20) 사이에 유격이 있다. 따라서, 힌지 베어링 튜브(28)가 개구(20) 내에서 중심을 벗어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일 회 분량의 상이한 변기 팬 몸체에서 개구(20) 대한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림(44)의 상면(42)과 접촉되는 추가적인 횡방향으로 이격된 추가적인 위치 결정 부재(미도시)뿐만 아니라) 지그의 위치 결정 부재(34, 36) 및 추가적인 위치 결정 부재(38, 40)에 의해, 힌지 베어링 튜브(28)가 상면(42) 위의 높이 및 각 변기 팬(12)에 동일한 고정된 변기 팬(12)의 전방 끝단(16) 뒤쪽의 거리로 수평으로 위치된다. 이는, 세라믹 팬으로, 소성 공정에서의 차이 및 몰드가 사용될 때마다 미리 소성된 변기 팬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진 플라스터 몰드의 크기의 변화로 인하여, 각 팬을 동일한 크기로 만드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그(22)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 힌지 베어링 튜브(28)에 의해, 접착제 형태의 패킹 재료(46)(도 4d 참조)가 힌지 베어링 튜브(28) 및 양쪽 측벽(23, 25)을 통과하는 양쪽 개구(20) 사이에 도포된다. 도포기 공구가 힌지 베어링 튜브의 돌출단 위에 긴밀히 맞도록 구성되는 보어 및 도포기 공구의 보어가 팬의 벽에 대해 경사질 수 있도록 측벽의 끝단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구성되는 끝단 면을 갖는 칼라로 구성되어 주입 및 경화 중 접착제의 펼쳐짐을 방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으며, 공구는 두 개의 끝단 면을 연결하고 힌지 베어링 튜브 및 과대한 홀 사이의 공동과 연통되는 홀을 더 갖도록 구성되어, 접착제가 홀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고, 공동을 범람하여 세라믹 벽과 동일 높이를 이루는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패킹 재료/접착제가 견고하게 굳으면, 지그 및/또는 도포기 공구가 제거되고, 힌지 베어링 튜브는 변기 팬(12)에 대하여 제 위치에 영구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힌지 베어링 튜브(28) 및 각 개구 또는 각 개구(20) 내에 고정된 원형 스페이서 사이의 위치에 강성 플라스틱을 상대적으로 성형하고, 팬(1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없는 중앙축을 갖는 힌지 베어링 튜브(28)를 지지하는 편심 개구를 갖는 것과 같은 접착제의 대안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힌지 베어링 튜브(28)는 유리하게는 림(44)의 상면(42)의 위 및 변기 팬(12)의 전방 끝단(16) 뒤쪽에서 정확한 거리에서 제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방법의 추가적인 개선에서는, 동일한 몰드로부터 만들어지는 변기 팬의 일 회 분량의 변기 팬(12) 부분의 달라지는 크기를 고려하여, 개구(20)가 뚫리거나 오름 후방 위치(18)의 측벽(23, 25)을 통과하여 만들어지는 도중, 상면(42) 위의 높이 및 개구(20)의 변기 팬의 전방 끝단(16) 뒤쪽의 거리를 고정시키기 위해, 유사한 지그(미도시)가 소성되지 않은 변기 팬(12)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성 후에 소성된 세라믹 변기 팬(12)의 크기가 계속해서 변화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사실이 그러한 것과 같이 상면(42) 위의 높이 및 개구(20)의 전방 끝단(16) 뒤쪽의 거리가 고려되는 한, 변기 팬(12)의 크기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요구되는 패킹 재료 또는 접착제(46)의 양을 최소화하고 변기 팬(12)의 일체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개구(20)의 크기 또는 직경이 베어링 튜브(28)의 직경의 외측 크기 보다 큰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팬이 소성된 후, 지그(400)(또한 도 18a, 도 18b 및 도 18c 참조)에 형성된 개구(410, 412)를 통하여 다이아몬드 커터 또는 다른 공구를 이용하여 개구를 절단하도록 유사한 지그(400)(도 17)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지그(400)의 전방 가이드(408)를 이용하여 팬(12)의 전방 끝단(16)에 대한 위치로 지그 내의 개구(402, 404, 406)를 팬(12)과 정렬하는 것에 의해 보울 내로의 노즐 및 공기 매니폴드용 개구를 절단하는 것을 돕도록 도 17의 지그(400)를 사용한다.
도 1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팬은 물 트랩 수준(54)까지 물(53)로 정상적으로 채워진 물 트랩(52)으로 이어지는 보울(50)을 갖는다. 변기 팬 몸체(10)는 또한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종방향 중심선에 의해 정의되는 힌지 축(6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 변기 팬(12)에 힌지 결합되는 변기 뚜껑(56) 및 변기 시트(58)를 갖는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트랩(52)은 변기 팬 보울(10)이 설치되는 공간(68)의 바닥(66) 아래의 하수도 또는 수집 용기(미도시)로 이어지는 오물 도관(64)에 연결되는 변기 팬 몸체의 출구(62)로 이어진다. 변기 팬(12)의 후방면(70)은 공간(68)의 가상의 벽(72)에 접하며, 저수조 챔버 또는 몸체(74)는 가상의 벽(72) 위에서 공간(68)의 벽(76) 상에 위치 장착된다. 저수조 챔버(74)는 브래킷(78, 80)에 의해 벽에 장착된다. 팬은 바닥(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에 서 있을 수 있거나, 벽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바닥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저수조 몸체(74)는 매니폴드 조립체(88) 상에 장착되는 물 경로 스플리터(86)에 공급 도관(84)에 의해 연결되는 전기식 물 펌프(82)를 포함하며, 물 경로 스플리터(86)는 물을 세 개의 전달 유동으로 분할하며, 하나의 전달 유동은 중앙 물 도관(90)을 따라 중앙 물 노즐(92)로 이어지고, 두 개의 측면 물 도관(94, 96)은 각각 변기 보울(50)의 내부 우측 및 좌측 상면부에 높게 장착된 우측 물 노즐(98) 및 좌측 물 노즐(100) 각각으로 이어진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 조립체는 일단 케이블 타이(88')에 의해 힌지 베어링 튜브(28)로부터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매니폴드 조립체(88)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 몸체(74)는 공기 라인(104)에 의해 매니폴드 조립체(88)를 경유하여 매니폴드 조립체(88)의 공기 전달 유로(106)를 통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50)의 후방측부(110)에 높게 중앙으로 장착되는 공기 출구 노즐(108)에 연결되는 전기식 공기 펌프(102)를 수용한다. 이는 또한 도 9에 도시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변기 팬(12)은 내측 보울(50) 및 변기 팬(12)의 인접하는 외측 보울 표면(112) 사이에서 중공형이며, 측면 물 도관(94, 96)이 매니폴드 조립체(88)로부터 측면 물 노즐(98, 100)에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부(112)는 공급 도관(114)을 통하여 저수조 몸체 내로 연결되며, 물 공급을 끄기 위해 레버 암(117)(도 12a)을 밀어 올리는 전기 솔레노이드(미도시) 또는 종래의 플로트(float)(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저수기 수위 입구 제어 밸브(116)에 연결된다. 입구 밸브(116)는, 입구 밸브의 물 튀김 및 유입하는 물 공급의 가능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기의 표면으로부터의 물의 유입 유동을 편향시키도록 쉬라우드(116a)(도 12a)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전기 공급부(118)가 전기 공급 경로(122)를 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 제어기(120)에 연결되며, 대기(124)는 저수조 공기 입구(126)를 통하여 저수조 챔버(74)에 연결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입구(126)는 저수조 챔버(74)의 상면(128)을 향하여 높게 위치된 두 개의 일련의 길게 연장된 슬롯(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 조립체(88)의 공기 전달 유로(106) 내의 물 검출 센서(128')(또한 도 10b 참조)는, 물이 공기 전달 유로(106) 내에서 검출되는 경우 세척을 억제하기 위해, 팬(50)이 센서(128')의 수위 위로 범람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면서, 신호 경로(130)를 경유하여 인쇄 회로 기판 제어기(120)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저수기 수위 센서(131)(예를 들면, 물 플로트 제어 마이크로 스위치)가 신호 경로(132)를 경유하여 PCB 제어기(120)에 연결되며, 이는, 개시 사이클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PCB 제어기(120)가 물 펌프를 개시하도록 하는 저수조 챔버(74)의 저수기(134)의 수위가 최대일 때를 나타내고, PCB 제어기(120)가 물 펌프(82)를 끄도록 하고 세척 사이클 중 공기 펌프(102)를 개시하도록 하는 수위가 특정 수위 아래로 떨어진 때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또는 그 외의 (예를 들면, 적외선 감지) 액추에이터 스위치(136)가,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 이루어질 때 세척 사이클을 개시하기 위하여, 신호 경로(138)를 경유하여 PCB 제어기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공급부(118)는, 한편으로는 DC와 같은 전력을 PCB 제어기(작동 신호 및 전력을 각각 라인(142' 및 144')을 통하여 공기 펌프(102) 및 물 펌프(82)로 제공할 수 있음)로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변압기/정류기(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배터리/변압기/정류기(140)는 태양 전지(142), 풍력 터빈(144) 또는 주 전기 그리드(146) 또는 연관된 특정 설치에 요구되는 바와 같은 기타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다중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 공급부(118)는 주 AC 공급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PCB(120) 및 전기 부품은 상보적 작동 정격을 가진다.
도 1a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있는 변기 뚜껑(56) 및 변기 뚜껑(56)의 아래 및 보울(50)의 위에, 특히, 수위(54) 위에 형성된 밀봉된 챔버(147)에 의하여, 그리고, 뚜껑이 차단된 PCB 제어기(120)로 신호를 제공하는 선택적 뚜껑 폐쇄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그리고, 매니폴드 조립체(88)의 공기 전달 유로(106)의 물 범람이 없음을 PCB 제어기(120)로 나타내는 물 검출 센서(28)에 의하여, 및 사용자가 기동 스위치(136)를 작동시킬 때 저수기가 완전히 채워지고 물 펌프(82)가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 PCB 제어기(120)로 나타내는 저수기 수위 센서(131)에 의하여, PCB 제어기(120)는 먼저 물 펌프(82)를 작동시켜, 물을 상승시켜, 펌프(82a)의 캐비티의 내부 몸체를 범람하게 하고, 압력하에서(과정에서 자연적인 사이펀을 형성함) 펌프의 외부로 및 출구 튜브(329)의 아래로 및 물 분배 시스템 내로 물을 가하며, 노즐(98, 100, 92)이 보울(50)을 씻기 위해 보울(50)의 내면 상으로 물 유동을 향하게 한다. 물 펌프(82)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또는 저수기 수위 센서가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분배되었다는 신호를 PCB 제어기(120)로 보낼 때까지 작동하며, 이에 따라, PCB 제어기(120)가 물 펌프(82)를 정지시키고, 오물 및 물(53)을 포함하는 보울(50)의 내용물을 출구(62)를 통하여 오물 도관(64)을 통하여 아래로 하수도 또는 수집 용기(미도시)로 신속하게 비우기 위해, 공기 펌프(102)가 수위(54) 위의 밀봉 챔버(147) 내로 공기를 펌핑하도록 한다. 팬 가압의 시간 동안, 포핏 밸브(333)가 밀려 폐쇄되며, 출구 튜브(329) 내에서 생성되는 자연적인 사이펀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또는 PCB 제어기(120)의 공기 펌프 전류 인입 센서(148)가 공기 펌프로부터의 공기 유동에 대한 챔버(147) 및 오물 도관(64) 영역에서의 저항이 떨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이는 결국, 팬(50)의 도관이 출구(62)를 통하여 비워졌고, 공기가 폐수 도관(64)을 통하여 하수도 또는 수집 용기(미도시)와 접속되는 지점으로 오물을 밀었고, 폐수 유동의 뒤쪽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켜 중력 유동으로 되돌아갔다는 것을 나타내는, 공기 펌프 전류의 감소를 감지하는 경우, 공기 펌프(102)가 꺼지게 된다. 폐수 도관(64)은 바람직하게는 팬 가압 중 폐수 유동이 완전히 채워진 보어를 진행하도록 하기에 충분히 작은 보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폐수 도관은 구배 없이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PCB 제어기(120)는 그런 다음, 저수기가 다시 채워지고 물 펌프(82)가 다시 준비되는 것을 저수기 센서가 감지하면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다음의 세척 기동에 응답하게 될 오프 모드로 되돌아간다. 공기 펌프(102)가 정지되고 밀봉된 챔버(147)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되돌아가면, 포핏 밸브(333)가 개방되어 출구 파이프(329) 및 펌프 몸체(82a) 내의 자연적인 사이펀이 계속 유동하도록 하여, 물 트랩(53)이 다시 채워진다. 사이펀은 저수기 내의 수위가 입구(327)의 총안 형상(crenel)을 노출시킬 때까지 계속 유동하며, 공기는 이를 파괴하는 사이펀 내로 인입된다. 사이펀이 파괴됨에 따라, 물 펌프(327)의 몸체 내에 유지된 물이 수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키는 저수기 내로 다시 떨어지지만, 물 펌프(327)의 총안은 모든 물이 물 전달 시스템(82a)으로부터 외부로 떨어질 때까지 사이펀으로 배출되도록 대기와 연통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저수기 리필 밸브가 개방되기 전에는, 물이 항상 물 전달 시스템(82a)으로부터 완전히 배출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승하는 물은 톱니 모양 돌기를 밀봉할 것이며, 물 전달 시스템의 임의의 후속하는 비움은 물이 감소된 유동으로 물 전달 시스템(82a)을 통하여 인입될 수 있는 부분적인 사이펀을 생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분적인 사이펀이 발생하지 않도록 출구 파이프(82)의 아래 측이 일정하게 대기와 연통되도록 브리더 파이프(339)가 제공된다.
세척 사이클이 종료되고 자연적인 사이펀(82a)이 파괴될 때까지 저수기의 리필을 지연시키기 위해, 물 입구 밸브 플로트(미도시)가 메인 저수기(116b)와 제한적으로 연통되는 그 자체의 저수기(116a) 내에 놓여져, 플로트 저수기 내의 물이 메인 저수기 내의 물에 비하여 보다 느린 속도로 떨어지며, 입구 플로트 밸브 저수기 내의 물이 밸브가 물 리필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떨어지기 전에 자연적인 사이펀(82a)이 미리 파괴된다. 저수기(134)는 그런 다음 입구 밸브(116)가 차단될 때까지 다시 채워진다(메인 저수기(74) 내의 상방향 물 유동에 의해 개방되는 밸브(116c)를 통하여 플로트 저수기(116a)를 신속하게 채움).
물 매니폴드 조립체(88)는 노즐(92)을 향하여 아래로 약간 연장되는 중앙 물 도관(90)에 끼워진다는 것이 주목된다. 사실상, 펌프(82)로부터 노즐(92, 98, 100)로의 가득 채워진 물 경로는 물의 양호한 배수가 허용되도록 스플리터(86) 및 매니폴드 조립체(88)를 통하여 항상 하측을 향하게 된다. 또한, 펌프로부터 전체 물 시스템을 통과하는 유동의 최소 단면적은 적어도 19mm2 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 작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g,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5a 내지 도 5d는 변기 팬(12)으로의 변기 시트(58) 및 뚜껑(56)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d의 초기 구성에서, 변기 팬(12)은 그 오름 후방부(18)의 측벽(23, 25)으로부터 돌출되는 단부(24, 26)를 갖는 힌지 베어링 튜브(28)에 끼워진다.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58)는 두 개의 후방 연장 힌지부(150, 152)를 가지며, 이는 각각 힌지 보어(154, 156)를 포함하고, 각 힌지 보어(154, 156)는 각각 반원형 아치형 상부 칼라 부분(158, 160)에 의해 그 내측 끝단에서 수반된다. 시트가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끝단(24, 26)에 놓여지는 칼라 부분(158, 160)을 갖는 변기 팬(12) 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칼라 부분이 동등하게 이격되고 배치되며, 칼라 부분(158, 160) 및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끝단(24, 26) 사이의 결합이 이에 따라 시트(58)를 팬(12) 상의 제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시킨다. 시트(58)의 힌지부(150, 152)가 또한 각각 외측을 향하는 원형 부시부 (162, 164)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도 4b 내지 도 4d 참조). 도 5a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뚜껑(56)은 힌지 보어(150, 152) 및 힌지 베어링 튜브(28) 모두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힌지 보어(170, 172)를 갖는 힌지부(166, 168)를 포함한다. 힌지부(166, 168)는 또한 칼라 부분(158, 160)과 같이 아치형이고 반원형인 아치형 상부 칼라 부분(174, 176)을 갖는다. 뚜껑(56)은 변기 시트(58)의 힌지부(150, 152)의 원형 돌출 부시부(162, 164)의 상부에 놓여지는 아치형 상부 칼라 부분(174, 176)과 함께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56)의 칼라 부분(174, 176)은 변기 뚜껑(56)을 변기 시트(58)의 힌지부(150, 152) 및 힌지 베어링 튜브(28)(또한, 변기 시트 칼라 부분(158, 160)의 작용에 의해) 모두와 편리하게 정렬시켜, 보어(170, 172, 154, 156) 및 힌지 베어링 튜브(28) 모두가 동축으로 정렬된다. 상기 부분들은 도 3e에 도시된 구성 및 두 개의 힌지 핀(180)을 가지며, 도 3e에 도시된 것 중 하나는 그런 다음 보어(170, 172) 내로, 즉, 팬(12)의 일측으로부터 보어 중 하나의 내부로 미끄러질 수 있다. 두 개의 힌지 핀(180)이 있으며, 각 하나의 길이는 변기 뚜껑(56)의 보어(170, 172)로의 외측 입구(182, 184) 사이의 거리의 절반과 동일하다. 따라서, 양쪽 핀이 완전히 삽입되면, 양쪽 핀이 차지하는 공간은 힌지 베어링 튜브(28), 변기 시트(58)의 힌지 보어(154, 156) 및 변기 뚜껑(56)의 힌지 보어(170, 172)의 내부 체적 모두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힌지 축의 조절 가능성이 없고 시간에 걸쳐 힌지 축이 우연하게 이동할 가능성이 없이 변기 시트(58) 및 변기 뚜껑(56)이 팬(12)에 견고히 체결되는 도 3g에 도시된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 그 중 하나가 도 3f에 도시되고, 다른 하나는 미러 이미지로 제시되는 클립(185)이 뚜껑(56)의 힌지부(166, 168)에 형성된 요홈(186) 내로 스냅-잠금 클립 고정된다. 세정/수리를 위해 변기 시트(58), 변기 뚜껑(56), 클립(185) 및 힌지 핀(180)를 포함하는 부품을 제거하도록 설명된 부품용 조립 절차가 용이하게 역으로 진행될 수 있다. 힌지 베어링 튜브(28)가 명백하고 양 끝단에서 개방되므로, 예를 들면 호스(세정용)로부터의 물로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힌지 핀(180)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변기 팬(12)에 인접한 벽 또는 다른 장애물과 간섭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좁은 변기 큐비클(cubicle) 또는 다른 설치 공간 내에서 팬(12)의 측면을 향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시트(58)의 힌지부(150, 152)는 보통 변기 시트(58)와 동일한 평면에 놓이며, 메인 링 형상 몸체(185) 및 변기 뚜껑(56)의 힌지부(166, 168)가 보통 변기 뚜껑(56)의 본체(187)와 동일한 평면에 놓여진다는 것에 주목된다. 따라서, 힌지부(150, 152)의 존재는 플라스틱 변기 시트(58) 및 변기 뚜껑(56)을 만드는 데에 필요한 몰드의 크기를 상당히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는 유리하게는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축이 변기 보울(50)의 림(44)의 상면(42) 위에 이격되도록 할 수 있는 오름 후방부(18)의 존재로 인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능하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뚜껑(56)은 래치 부재(194)의 상부(192)(도 6d 참조)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는 전방 래치 설치 요홈(190)을 포함한다. 도 6e의 오름 위치에서의 래치 부재(194)에 의해, 래치 핀(196)이 그 어느 하나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끝단부(198', 200)를 갖는 도 6f에 도시된 위치로 래치 상부 보어(198)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래치 부재(194)는 그런 다음, 뚜껑(56)의 래치 설치 요홈/개구(190) 다음에 형성된 베어링면(202)에 상측으로 대면함에 따라, 래치 핀(196)이 도 6b(명확화를 위해 래치 부재(194)가 생략됨)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끝단에서 접근하는 핀(196)의 끝단(198', 200)과 결합하는 도 6g에 도시된 설치 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냅 탱(206)이 베어링면(202)의 어느 일측의 설치 개구(208)에 붙잡힌 캡(204)을 유지하도록 클립 면(207) 아래에 결합하도록, 스냅 탱(tang)(206)을 갖는 캡(204)이 래치 설치 요홈(190)의 상부로부터 그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도 15a 내지 도 15d). 이에 따라,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194)의 상부 끝단(192)과 결합하는 하측으로 연장된 플랜지(206)를 갖는 캡(204)은 그 상방향 이동에 대하여 붙잡힌 래치 부재(194)를 유지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4)은 핀(196)용 상부 베어링부로서 작용하는 베어링면(209)을 갖는다. 래치 스플래시 가드(211)는 스플래시 가드(211)의 벽(215)과 외측으로 대면하는 유로(213)가 캡(204)의 탱(206)의 내벽(219) 상의 돌출부(217)와 스냅-잠금으로 결합하는 도 15f에 도시된 위치로 미끄러지는 것에 의해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질 수 있다. 제 위치에서, 스플래시 가드(211)는 이에 따라 표면(207)으로부터의 탱(206)의 결합 해제를 방지하는 탱 잠금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스플래시 가드/탱 잠금부(211)는 이를 당기는 것에 의해 다시 제거될 수 있으며, 한번 제거되면, 래치 부재(194), 핀(196), 캡(204) 및 베어링면(202)으로 형성된 래치 장치(208)를 세정 또는 수리하기 위해, 캡(204)은 뚜껑의 하측으로부터 탱을 함께 압박하는 것에 의해 편리하게 제거될 수 있고, 설치 과정의 반대로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부품을 제거하는 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부품은 그런 다음 세척되거나 수리되거나 교체되고, 장치가 신속하게 재조립된다.
도 6h는 변기 보울(12)의 전방에서 요홈 내에 결합된 그 후크 부재(220)를 갖는 래치 부재(194)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의 래치 부재(194)는 변기 시트(58) 및 뚜껑(56)이 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폐쇄 위치에서, 뚜껑(56)은 주변 씰(222)(도 7a)에 의해 변기 시트(58)로 밀봉되며, 변기 시트(58)는 주변 씰(224)(도 8a)에 의해 팬(12)의 상면(42)으로 밀봉된다. 따라서, 변기 세척 중, 공기 펌프(102)가 뚜껑(56)의 아래 및 팬의 보울(50) 위의 밀봉된 챔버(147)를 가압할 때, 변기 시트(58) 및 뚜껑(56)은 위로 상승하지 않거나 밀봉이 파괴될 정도로 충분히 상승하지 않는다.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래치 부재(194)를 요홈(14)으로부터 전방 및 상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후크부(220)의 전방에서 이격되는 래치 부재(194)의 일체로 형성된 핸들부(222) 상에서 전방 및 상측으로 당길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통합 래치 부재(194)의 힌지 핀(196) 및 후크부(220) 및 중간부(226)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이격되는 정지 부재(224)는 뚜껑(56)의 하측의 각 결합부(228, 230)에 대하여 뚜껑(56)의 하부에 결합한다. 이는 핸들부(120)에서 위로 당겨 올리는 동작이 뚜껑(56)에서 상측으로 대면하는 베어링부(202) 상에서 힌지 핀(96)에 의해 아래로 밀리는 동작을 발생시키는 쐐기 작용을 래치 부재(194)에 의해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부(222)를 더 힘들게 당길 수록 결합부(228, 226)와의 결합이 더 커지며, 상측으로 대면하는 베어링부(202)의 핀(196)의 하측으로의 결합이 더 견고하다. 래치 부재(194)는 이에 따라 구조 면에서 매우 단순하고, 매우 안정적이고 강하며,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 또는 수리를 위해 매우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래치 부재(194)는, 예를 들면, 성형될 수 있는 통합적으로 형성된 단일 강성 부품이며, 핸들부(222) 및 후크부(220)는 함께 이동한다.
또한, 힌지 베어링 튜브(28)가 상술한 바와 같이 팬(12)의 전방 끝단(16)에 대하여 조심스럽게 위치되었고 변기 시트(58) 및 변기 뚜껑(56)이 플라스틱 성형 공정에서 정확하게 제조되었기 때문에, 일회 분량의 서로 다른 팬 사이에서 팬(12)의 크기가 크게 다른 것을 의미하는 세라믹 소성 공정으로 인해 팬(12)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하더라도, 래치 부재(192)는 팬(12)의 전방 끝단(16) 및 요홈(14)에 대하여 매우 정확하게 위치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224)은 가요성 플랜지부(237)가 오버-몰드되는 강성 베이스부(235)를 갖는다. 베이스부(235)는 충분히 강성이고 연신 가능하지 않아, 이를 눌러 가요성 플랜지(237)의 둘레의 오버-몰드된 부분을 뚜껑(56)의 둘레에 모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 또는 슬롯(239) 내로 눌러서 뚜껑(56) 내에 설치되면, 씰(224)이 주변 방향으로 연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씰(224) 및 특히 가요성 플랜지(237)는 그 링 형상의 주변 둘레에서 항상 매우 규칙적 위치를 차지하여, 가요성 플랜지(237)의 정지 위치 각도는 전반적으로 씰(224)을 따라/씰(224)의 둘레에서 항상 매우 일정하다. 이는 설치 후 가요성 플랜지의 각도가 크게 변하는 EP1838193-A에 개시된 종래의 씰에 비하여 큰 장점이다. 요홈(또는 슬롯)(239)의 영역에서, 가요성 플랜지(237)의 소재는 요홈/슬롯(239) 및 베이스부(235) 사이에서 압축된다.
변기 시트(58)를 팬(12)으로 밀봉시키는 씰인 도 23a의 수정된 시트 씰(500)과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씰(500)은 가로 놓이고/놓이거나 변기 뚜껑에 대해 수정예인 지지 요홈(50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일체형 버퍼(502)를 포함하는 수정예이다. 각 버퍼(502)는 가요성 플랜지(237)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덮개(510)에 의해 그 하측으로 대면하는 측면(508)에 전반적으로 둘러싸인 베이스부(235)의 L-형 부분(506)을 포함한다. 버퍼(502)는 유리하게는 특히, 팬(12)의 중앙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매우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씰(500)의 일부로서 위치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추가적인 버퍼가 제공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별개의 버퍼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버퍼(502)는 팬(12) 상에서 폐쇄될 때 시트(58)의 착지를 완충하며, 중량이 인가될 때 시트를 지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버퍼 대신에 단지 하나의 일체형 버퍼 또는 두 개 보다 많은 버퍼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사한 버퍼 장치가 변기 뚜껑(56)의 씰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도 8a 및 도 8b에서는 베이스부가 씰(222)로부터 생략되었지만,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뚜껑(58)의 씰(222)은 씰(224)과 유사하다. 현실적으로, 이는 도 7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씰(224)용 단면을 갖는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 조립체(88)는 공기 전달 유로 또는 통로(106)를 경유하여 공기 노즐(108)로 이어지는 공기 입구 자유부(300)를 갖는다. 스플리터(86, 302)는 매니폴드 조립체(88)의 상부에 장착되며, 스플리터 플러그(308)로 이어지는 물 입구(304)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플러그(308)는 노즐(98, 100)로 이어지는 도관(94, 96)으로 이어지는 도관부(316, 318) 내로 유동을 향하게 하는 하측 지향 표면(310) 및 두 개의 대향 측면 통로 지향 표면(312, 314)을 갖는다. 공기 전달 유로(106)로 밀봉하고 하측 지향 표면(310)으로부터 아래로 이어지는 물 통로(312')를 낮추기 위해, 노즐(108, 92)이 매니폴드 조립체(88)의 끝단부(320) 내로 밀봉되게 밀려 끼워진다. 외측 공기 노즐(108)은 단일 개구(53)에서 팬(50)의 인접면(51)을 클램프 고정시켜, 단일 개구(53) 내의 노즐(108, 92) 모두의 존재에 의해 세라믹 보울(50) 내의 개구의 형성부가 감소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펌프(82)는 사이펀 효과를 파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저수기(134)로부터의 총안 모양의 입구(327)를 가지며, 펌프(82)로부터의 출구 튜브(329)는, 공기 펌프(102)에 인가되는 변기 팬(50) 내의 압력에 의해 유발되는 튜브(329) 위로의 역류의 경우 밸브 시트(335)에 대하여 상승될 포핏 밸브(333)를 갖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방향 밸브(331)로 이어진다. 일방향 밸브(331)는 또한 그 상부 끝단(341)이 챔버(134)에서 물이 상승될 수 있는 수위 위에 있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339)로 이어지는 출구(337)를 가지며, 파이프(339)의 목적은 펌프(82)를 통과하는 임의의 사이펀을 파괴하기 위해 파이프(329) 내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저수조 챔버(74)는 또한 장변(321) 및 두 개의 단변(323)을 포함하는 세 개의 변을 갖는 직사각형 벽(320)을 갖는 오버플로우 위어(320)를 포함한다. 이 벽(321, 323) 중 두 개가 도 12a에 도시된다. 오버플로우 위어(320)는 저수기(134)로의 입구 밸브(116)가 개방되기 어려운 경우에 상당한 오버플로우 용량을 제공한다. 오버플로우 벽(320)은 물이 호퍼(325) 및 오버플로우 출구(326)로 이어지는 수직 오버플로우 유로(324) 아래로 물이 빠져나가게 한다. 오버플로우 출구(326)가 차단되거나 물 경로 하류가 차단되면, 하측 지향 유로(324)의 측면으로 수평인 호퍼(325) 내의 측면 개구(327)는, 출구(326)가 차단된 경우, 이를 통하여 물이 바닥(66) 상으로 빠져나가게 한다. 물 입구 밸브 또는 공기 펌프 및 PCB 제어기(120)용 모터 하우징(329)과 같은 시스템 챔버 내의 물 펌프(82) 상의 전기 부품과 간섭할 수 있는 수위로 물이 상승할 위험이 전적으로 최소화되므로, 이는 매우 유리하다. 오버플로우 위어는, 물 입구 밸브 고장으로 오버플로우 상태가 발생된 경우, 상승하는 물이 먼저 물 펌프(82a)의 내부 몸체를 통과하여 넘치고, 물 분배 시스템을 통과하고, 노즐을 통하여 팬의 내부로 넘치는, 오버플로우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가시적으로 경고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어(320)는 물 펌프(82)를 통과하는 모든 내부 물 통로에 비하여 높을 수 있다. 물이 넘칠 때 내부 오버플로우 경고 시스템이 넘치는 물을 동일한 속도로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오버플로우 상태가 변기 팬으로부터 하수도 역류에 의해 발생된 경우, 저수기 내의 물은 그런 다음 물이 넘치게 되는 오버플로우 위어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상승할 것이다. 이 두 개의 부품 사이의 접합 지점 및 저수조 챔버/몸체(74)의 하부의 외측을 횡단하여 누출이 없도록, 유로(324)는 오버랩 방식으로 호퍼(325) 내로 하측으로 연장되는 림(329')(도 12b)을 갖는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펌프(102)의 구조는, 로터(350), 베인(355, 356, 357) 및 편심 힌지 베인 로터(350)의 씰이 끝단끼리 접합된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작동 중 치수 안정성을 제공하는 플랜지 링(355')에 대하여 함께 접합되는 두 개의 절반을 포함하는 실린더가 펌프를 저수조 몸체에 연결하기 위해 진동 방지 마운트(102a)를 더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US-A-2008/0253919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다. 로터(350), 베인(355, 356, 357) 및 씰은 성형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공기 펌프(102)가 펌핑에 사용되는 동안 공기 펌프(102)의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된 후 조립 전에 정확한 길이로 트림 가공된다.
공기 펌프(102)는 또한 모터(350) 및 진동 방지 마운트(102b)와 맞추어질 수 있다.
도 16a는 도 17에 도시된 지그의 수정예인 수정된 지그(400)를 도시한다. 도 16a 내의 지그는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아치형 상방 대면 지지부(418, 420)를 갖는 두 개의 슬라이드 가능 지지부(414, 416)를 포함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400)는 팬(12) 상으로 하강될 수 있으며, 오름 후방부 또는 융기(18)의 측면으로 위치된 지지부(414, 416)를 구비하여 위치된다. 접착제 또는 구조의 다른 패킹 재료가 도포기(422)에 의해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영역 내에 도포될 수 있고,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가 굳는 동안 아치형 상방 대면 지지부(418, 420)가 베어링 튜브(28)를 지지하도록 지지부(414, 416)는 내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으며, 지지부(414, 416)는 이 공정의 기간 동안 너트(424, 426)에 의해 제 위치에서 조여진다.
도 16d 및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 공정의 수정예에서, 에폭시 수지 패킹 재료(430)(또는 다른 접착제 또는 갭-필링 재료 또는 구조)가 도포기(422)를 이용하여 개구(432)를 통하여 도 16e에 도시된 위치로 분사되는 동안, 실리콘 고무 재료의 셰이퍼(428)가 힌지 베어링 튜브(28)의 각 끝단 위에 끼워질 수 있다. 분사 공정 동안 또는 분사 직후부터 접착제 패킹 재료(430)이 굳는 동안, 베어링 튜브(28)는 지그(40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실리콘 셰이퍼(428)가 실리콘 재료로 이루어지고, 패킹 재료(430)가 두 팩의 에폭시 수지와 같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은 서로 부착되지 않으며, 일단 패킹 재료(430)가 굳으면, 실리콘 셰이퍼(428)가, 필요에 따라, 팬(12)의 오름 후방부(18)의 측면(434)과 전반적으로 동일 높이를 이루는 등, 패킹 재료(430)를 위해 깔끔한 표면을 남기면서 제거될 수 있다.
도 18c의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 팬은 내부 세라믹 측벽(434) 및 외부 세라믹 측벽(436)을 갖는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434, 436) 사이의 공간(438, 440)은 세라믹 팬 캐스팅의 내측 후방 벽(446)의 개구(442, 444)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이제 설명될 바와 같이, 측면 물 도관(94, 96)은 개구(442, 444)를 통과하여 맞추어지며, 팬 측 개구(448, 450)에 도달한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즐(98, 100)은, 전반적으로 제2 암(452)에 수직인 제1 암 또는 슬리브부(450)를 갖는 직각부 또는 엘보우 부재(448)와, 두 개의 암(450, 452) 사이의 엘보우(454)로 구성된다. 각 노즐(98, 100)은 또한 제2 암(452) 상에 링 형상 플랜지(456)를 포함한다. 제2 암(452)은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 및 플랜지(456) 사이에 위치된 원형 링 씰, 또는 O-링 또는 압축 씰(462)을 갖는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부(458)를 갖는다. 편향기 플레이트부(460)는 도 20a, 도 20b 및 도 20c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며, 편향기 플레이트부(460)가 변기 팬(12)의 보울(50) 상에 스프레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편향기 플레이트(466)로 이어지는 출구 개구(464)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측면 물 도관(94, 96)이 엘보우 부재(448)에 연결되면, 로드(470)가 도 19b에 도시된 구성을 채용하도록 측면 물 도관(94, 96) 각각의 내측(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 상부 및 외측)을 따라 수동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가 플랜지(456) 및 커넥터부(458) 상에서 플랜지(456) 가까이에 위치되도록, 접착제가 도포기(472)를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물 도관(94, 96)이 개구(442, 444)(도 18b)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9d, 도 19e, 도 19f 및 도 19g에 도시된 지그(474)를 사용하여, 물 도관(94, 96)의 각각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인, 접착제(480)가 나타난 도 22에 도시된 위치에, 플랜지(456)를 설정하기 위해, 지그부(476, 478)가 노즐부(440)에 후크 결합되거나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그러나, 편향기부(460)가 맞춰지지 않았다. 일단 접착제(480)가 굳으면, 지그 부품(476, 478) 및 그런 다음 지그(474)가 로드(470)가 제거됨에 따라 물 도관(94, 96)을 제 자리에 남기면서 도 1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다. 그런 다음, 도 1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9i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와셔/압축 씰(462)이 편향기 플레이트부(460) 상으로 미끄러지며, 편향기 플레이트부(460)는 노즐부(448)의 제2 암(452) 내로 밀려 스냅-맞춤되거나 연결된다. 물 도관(94, 96)은 그런 다음 매니폴드 조립체(88)까지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셰이퍼(428)가 도 24a 내지 도 24f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24a 내지 도 24f 및 도 26a 및 도 26b는 힌지 튜브(28)이 도 16d 및 도 16e에 도시된 하나의 셰이퍼(428)와 같은 셰이퍼를 이용하여 접착제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되는 동안 힌지 튜브(28)를 위치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지그(22)의 수정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24b 및 도 24e 및 도 24f에 예를 들어 도시된 힌지 튜브(28)가 오름 후방부(18) 내에서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다 큰 개구(미도시) 내에 위치되며, 오름 후방부(18) 내의 튜브(28) 및 개구 사이의 반경 방향 갭이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로 채워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2)가 팬(12)에 적용되기 이전에, 힌지 튜브(28)가 탄력성 가요성 튜브(500)를 통하여 대략적인 위치로 미끄러지며, 접착제가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도포될 때, 팬(12)의 내부로의 접착제의 누출이 적거나 없고 접착제의 사용 및 유출이 최소화되도록, 튜브가 팬(12)의 오름 후방부(18)의 내면(502, 504)에 탄력적으로 접한다. 가요성 탄력성 슬리브(500)는 일단 접착제(430)가 굳으면 튜브(500)가 힌지 튜브(28)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그리고 재사용될 수 있도록) 가요성 탄력성 슬리브(500)를 따라 전체 경로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절단부(506)를 갖는다.
도 26a 및 도 24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2)는 링(510)을 가지며 세 개의 안정화 패드(미도시) 상의 변기 팬(12)에 놓여지는 본체(508)를 가지고, 링(510)은 그 전방 끝단에서 합부 판정(pass/fail) 래치 특징부(512)를 가지고, 합부 판정 특징부는 래치 요홈(14) 내에서의 결합을 위한 레지(ledge)(514)를 가지며, 합부 판정 래치 특징부(512)의 플랜지(514)가 요홈(14) 내에 정확하게 맞지 않는다면, 소성된 세라믹 변기 팬(12)은 거부될 수 있다. 합부 판정 래치 특징부(512)는 요홈(14)의 영역 내에서 변기 팬(12)의 전방에 결합하며, 힌지 베어링 튜브(28)가 변기 팬(12)에 대하여 제 위치에 접착되거나 고정되는 종방향 위치를 정의한다.
지그(22)의 후방 끝단에서, 지그의 본체(508)는 스프링 편향부(516)(도 24b)를 통하여 변기 팬(12)의 오름 후방부(18)의 후방을 밀어 변기 팬(12) 상의 지그(22)의 종방향 위치를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푸셔 플레이트(518)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횡방향 정렬 장치(520)가 지그(22)의 횡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24c는 뒤집어진 지그(22)를 도시하며, 이 도면으로부터, 횡방향 정렬 장치가 인디케이터 스트립(526)뿐만 아니라 두 개의 슬라이더(522)를 가지며, 각 슬라이더(522)는 지그의 본체에 대하여 썸 스크류(524)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더(522)는 내측 끝단(528)을 가지며, 썸 스크류(524)가 회전됨에 다라, 슬라이더 끝단(8)이 도 24d에서의 위로부터 볼 때 인디케이터 스트립(526)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썸 스크류(524)가 회전될 때 그 끝단 면(530)이 슬라이더(522)와 함께 미끄러지도록, 썸 스크류(524)는 본체(508) 내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양 끝단 면(520) 또는 패드(미도시) 또는 이에 부착된 다른 부품이, 동시에 슬라이더 끝단 모두가 인디케이터 스트립(526)의 두 개의 끝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인 동안, 변기 팬(12)의 측면과 결합될 때까지 썸 스크류(524)가 조절될 수 있어, 지그가 변기 팬(1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중앙으로 정의된다.
다음으로, 힌지 튜브(28)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 중 지그(22)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그 내측 끝단(미도시) 상의 패드(미도시)가 팬(12)의 측면에 결합하도록 추가적인 지지 썸 스크류(534)가 조여질 수 있다.
다음으로, 핀(538)을 갖는 정렬 핀 스크류(536)가 도 24e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핀(538)이 힌지 튜브(28)에 결합하여 팬(1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중앙으로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도 24f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정렬 핀 스크류(536)가 (회전에 의해 다시 나사산의 작용에 의해) 횡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며, 팬 전방에 대한 힌지 튜브(28)의 종방향 위치 및 변기 팬(12)의 상면(42)/림(44)에 대한 힌지 튜브(28)의 높이 또한 정확하게 설정된다. 힌지 튜브(28) 및 도 16e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변기 팬(12)의 오름 후방부(18)의 보다 큰 개구 사이의 상기에서 개요로 설명된 반경 방향 갭이 이 위치에 존재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셰이퍼(428)가 그런 다음 힌지 튜브(28)의 양 끝단에 추가되고,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430)가 (도 1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힌지 튜브(28) 및 후방 오름부(18)의 영역 내의 변기 팬(12)의 둘레면 사이에서 패킹 재료로서 분사된다. 일단 접착제(430)가 굳어지고 힌지 튜브(28)가 제 위치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면, 셰이퍼(428) 및 슬리브(500)가 제거될 수 있고,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변기의 나머지(즉, 시트(58) 및 뚜껑(56) 및 다양한 다른 부품 모두를 포함함)가 이후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식에서는, 세라믹 팬(12)의 크기의 일부 변화에도 불구하고, 소성으로 인하여 약간 다른 크기를 갖는 이러한 팬(12)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산 중 크기가 현저히 변하지 않는 시트(58) 및 뚜껑(56) 및 다른 부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힌지 튜브(28)가 팬(12)의 전방 및 상면(42)/림(44) 각각에 대하여 일정한 종방향 위치 및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그리고, 중앙으로 설정됨).
그러나, 도 26a 내지 도 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2)가 제거되기 전에는, 플랜지 형상 위치 결정 요소(또는 상부 모자(hat) 부재)(554)를 전반적으로 유지하는 클램프(552)를 갖는 추가적인 지그 부품 공구(550)가 지그 상에 위치될 수 있고, 클램프 스크류(556)의 회전에 의한 클램핑 작용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공구(550)는 팬(12)의 측면 노즐 홀(560) 내측에 위치된 위치 결정 요소(554)의 돌출부(따라서, 상부 모자의 모습을 주는 원통형 튜브의 짧은 길이임)(558)로 제 위치에 위치되고 클램프 고정된다. 도 26a에는 하나의 공구(550)가 도시되었지만, 두 개의 공구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고, 하나는 팬(12)의 각 측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로 한 상술한 설명의 수정예에서,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공구(570)는, 엘보우(454) 및 공구(570)가 서로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각 엘보우(454)의 대응하는 만곡된 형성부(574)에 결합하는 각 공구(570)의 만곡된 절개부(572)를 가지고, 엘보우 부재(454)에 부착된 측벽 도관(94, 96)(즉, 두 개의 공구(570))의 각각을 따라 미끄러진다.
접착제는 그런 다음 도 27c 및 도 27d에 도시된 공구(570)중 하나가 팬(12)의 후방에서 홀(442, 444) 내로 미끄러지기 전에 각 엘보우 부재(454)의 환형 플랜지(456)에 도포된다. 엘보우 부재(454)는 팬의 측면에 의해 위치 결정 요소(554)의 돌출부(558)의 대향면(578)에 그 전방면(576)이 접촉한 상태로 위치된다. 환형 플랜지(456) 및 팬(12) 사이의 접착제는 그런 다음 엘보우 부재(454)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굳어진다. 고정된 길이를 갖는 돌출부(558)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하여, 엘보우 부재(454)가 팬(12)의 상방 대면 표면(580)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예를 들면, 약 1mm 또는 2mm일 수 있음)로 함몰되도록 고정되며, 이는 팬(12)이 소정됨에 따라 세라믹 팬(12) 벽의 두께의 변화를 제공하며, 즉, 일 회 분량의 모든 변기가 동일한 양의 함몰을 가질 수 있다. 엘보우 부재(454)가 제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각 공구(570) 상의 형성부(582)는, (래칭 또는 후크 작용 또는 다른 작용에 의해), 엘보우 부재(454)가 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공구(570)의 홀(442, 444)로부터의 반력으로 인해) 엘보우 부재(454)를 제 위치에 유지하고 엘보우 부재(454)를 위치 결정 요소(554)를 향하여 밀도록 형성부(584)로 지그(22)에 잠글 수 있다.
일단 접착제가 굳으면, 공구(570), 지그(22) 및 추가적인 지그 부품(550)이 엘보우 부재(454) 및 도관(94, 96)을 제 위치에 남기면서 제거될 수 있다. 지그(22)를 사용하는 것은, 종방향 위치를 위한 합부 판정 "래치" 특징부(512), 양호한 평균 높이를 찾기 위한 지그 아래의 세 개의 패드(미도시)의 사용 및 횡방향으로 횡방향 정렬 장치(520)(또는 "센터링 게이지")의 사용으로, 힌지 튜브(28)의 종방향 높이 및 횡방향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주목될 것이다.
각 엘보우 부재(454)는 핀(fin)(590)을 포함할 수 있고,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는,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가 엘보우 부재(454)(먼저 도포된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내로 밀리도록 할 수 있는 그 내부에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594)(하나가 도면에 도시되며 - 다른 것은 존재할 수 있음)을 갖는 둘레 방향 리브(5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2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엘보우 부재(454) 내의 위치로 밀리면,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가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의 대응하는 형성부(604)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슬롯(602)을 갖는 지그부(600)를 사용하여 회전될 수 있다. 지그 공구(600)는 정지 부재(604)가 팬(12)의 상면에 결합하는 도 28c 및 도 28d에 도시된 위치로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정지 부재(604)를 포함한다. 회전량은 대략 45도 또는 90도 또는 다른 각도일 수 있다.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는 그로부터의 노즐 스프레이가 사용하는 도중에 정확하게 지향되도록 제 위치에 매우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둘레 방향 부재 또는 부재(592)가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핀(fin)(590) 내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를 밀봉하는 데에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원형 링 씰 또는 O-링 또는 압축 씰(462)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 편향기 플레이트부(460)의 추가 이전 또는 이후에, 변기 조립의 나머지, 즉, 시트(58) 및 뚜껑(56) 및 다양한 다른 부품을 포함하는 조립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도 29a는 매니폴드 조립체(88)에 대한 수정예를 도시하며, 이에 의해, 필요에 따라 매니폴드 조립체(88) 및 노즐(92, 108)을 변기 팬 몸체(10) 내에 정렬시키도록, 개스킷(320)은 어느 한 쪽이 그 상부 에지(650)를 향하여 보다 얇고 하부 에지(652)에서 보다 두꺼운, 또는 그 반대인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320)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또는 고무 또는 유사한 유용한 밀봉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매니폴드 조립체(88)는 물 경로 스플리터(86)의 미늘(658)(또한, 선행 실시예의 장치에 대한 수정예)을 스냅-맞춤으로 수용하기 위한 슬롯(656)를 포함하도록 수정된다. 수정된 물 경로 스플리터(86)는 또한 직립 정렬 부재, 핀(fin) 또는 탭(tab)(660)을 포함하며, 탭은, 실질적으로 응력이 없는 개스킷(652) 및 팬(12) 내에서 공기 및 물의 출구에 대하여 정확하게 배향되는 공기 출구 노즐(108) 및 중앙 물 노즐(92)을 갖는 오름 후방부(18)(도 29c 참조)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예를 들면, 절단에 의해) 트림 가공 가능하다. 탭의 트림 가공 가능한 특성은 소성 공정으로 인한 사용된 세라믹 팬(12)의 크기의 자연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 특성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매니폴드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타이(88')를 이용하여 힌지 튜브(28)와 결합하는 탭(590)으로 유지될 수 있다.
매니폴드 조립체(88)는 또한 예를 들면, 공기 펌프가 지나치게 큰 압력을 생성하거나 폐색이 발생될 수 있다면, 초과 공기 압력의 경우, 공기를 배출하도록 개방 배치되는 스프링 다이어프램으로 구성되는 압력 릴리프 밸브(662)를 포함하도록 수정된다.
도 30은, 매우 많은 세척 사이클이 세척 중 팬(12)의 가압에 대한 잠재력으로 인하여 래치 부재(194)를 통해 작용하는 힘으로 인해 래치 부재(194)의 파손 없이 완료될 수 있도록, 응력 완화 필렛(664) 및 강화 리브(666)가 팬(12)의 요홈(14) 내에 결합하는 후크부(220)를 강화시키기 위해 포함되는, 래치 부재(194)에 대한 수정예를 도시한다.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430)가 아래로부터 분사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방향 또는 위치로부터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및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접착제 유동도 최소화하기 위해) 슬리브(500)(도 25b)를 사용하는 대신, 실리콘(silicon) 와셔(미도시)가 오름 후방부(18) 내측의 표면(502, 504)을 제 위치에 결합하는 데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어(154, 156, 170, 172)를 (예를 들면,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공구(미도시)는, 부품이 공구로부터 제거되도록 테이퍼질 수 있으며, 뚜껑(56) 및 시트(58)가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힌지 핀(180)과의 양호한 밀접한 회전 맞춤을 제공하기 위해 이 보어는 소형으로 형성된 후 넓혀질 수 있다.
저수조 저수기 내의 충분한 물 없이 세척을 방지하기 위해, 리드(reed) 스위치와 같은 플로트 센서 형태의 세척 센서(미도시)가 적어도 세척에 충분한 주입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세척 중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물 펌프를 통과한 때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의 신호는, 예를 들면, 1.5리터의 세척 물 이후에,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이보다 적거나 많은 물 이후에, 공기 펌프 상의 물 펌프 및 스위치를 끄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CB 제어기(120) 또는 다른 부품은 계량된 사용된 물, 에너지 사용(예를 들면, 펌프에 의해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및 세척 횟수와 같은 형성부의 변기 사용을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변기 사용이 용이하게 계획되도록,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을 위해 원격지로 전달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면, 물 넘침, 폐색 또는 펌프 압력 상태를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알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특허법에 의해 해석되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Claims (105)

  1. 변기 팬 및 힌지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형성부는 상기 힌지 형성부 및 수용 형성부 사이의 상대 운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힌지 형성부 및 상기 수용 형성부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제와 같은 패킹에 의해 상기 변기 팬의 수용 형성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변기 팬 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힌지 형성부 및 수용 형성부를 서로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형성부는 상기 변기 팬의 벽을 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형성부는 유격을 갖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힌지 베어링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 재료는 상기 유격을 채우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는 상기 변기 팬을 완전히 횡단하여 그 일측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기 팬을 통과하여 완전히 명백하며 양 끝단에서 개방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를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힌지 핀을 포함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는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의 길이의 약 절반에 비하여 작거나 같은,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은 소성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지는, 장치.
  8. 변기 팬과, 상기 변기 팬 상의 힌지 형성부를 갖는 변기 팬 몸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변기 팬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힌지 형성부가 상기 변기 팬의 제 위치에 고정되는 동안 상기 힌지 형성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지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형성부를 접착제 또는 패킹 재료로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또는 패킹 재료를 형상화하는 역할을 하는 셰이퍼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셰이퍼 장치는 하나 이상의 와셔 및/또는 셰이퍼 튜브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셰이퍼 튜브는 상기 튜브/슬리브로부터의 용이한 해제를 위해 셰이퍼 튜브를 따라 슬릿을 선택적으로 갖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의 형성 중 상기 변기 팬의 크기를 변경하는 공정에 의해 상기 변기 팬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세라믹 재료의 상기 변기 팬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재료의 소성 중 상기 변기 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대하여 제 위치에 고정되는 힌지 베어링 튜브로서 상기 힌지 형성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를 상기 변기 팬의 벽을 통하여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완전히 연장되게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 구성으로 배향된 상기 변기 팬으로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가 수평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되고 상기 팬을 횡단하여 좌우로 연장되도록,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를 상기 변기 팬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의 상기 벽으로부터 항상 상기 변기 팬의 대향 벽으로 횡단하여 연장되는 개방 튜브로서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의 끝단이 상기 변기 팬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개구 및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 사이에 조절 유격을 제공하도록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에 비하여 큰 지지 개구를 갖는 상기 변기 팬을 형성하는 단계와,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를 상기 변기 팬에 고정시키는 도중 상기 지지 개구 내에 상기 지그로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힌지 핀을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 변기 시트를 상기 힌지 핀에 피벗되게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 변기 뚜껑을 상기 힌지 핀에 피벗되게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폐쇄 배향으로 위치될 때 상기 뚜껑 아래 및 상기 변기 팬 위에 밀봉된 챔버를 제공하는 씰링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의 전방 에지에 대하여 상기 힌지 형성부를 위치시키는 데에 상기 지그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의 상부 림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힌지 형성부의 높이를 위치시키는 데에 상기 지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포함하거나, 상기 지그는 상기 변기 팬에 대하여 상기 힌지 형성부를 횡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방법.
  24. 제9항 또는 제9항을 인용하는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의 크기를 변경하기 전, 상기 변기 팬의 재료에 수용 형성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데에 다른 지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10항을 인용하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의 소성 전, 상기 변기 팬의 재료를 통하여 만들어진 개구의 위치를 선택하는 데에 다른 지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변기 팬을 갖는 변기 팬 몸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팬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면의 후방으로부터 상승하는 적어도 두 개의 측벽을 갖는 융기(또는 오름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측벽에 홀을 제공하는 단계와, 영구적인 힌지 축, 베어링 또는 슬리브를 형성하여, 변기 뚜껑 및/또는 변기 시트의 좌측 및 우측 힌지에 적합한 상기 팬을 횡단하는 공통 수평 축을 제공하도록, 상기 측벽의 홀 사이에 실질적으로 강성 베어링 또는 슬리브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또는 슬리브에 대하여 과대한 홀을 제공하는 단계와, 갭-필링 시멘트 또는 패킹 구조에 의해 상기 과대한 홀 내의 위치로 상기 베어링 또는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팬의 전방 및 상기 팬의 실질적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제어되도록 고정된 위치를 갖는 상기 힌지 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변기 시트 및/또는 변기 뚜껑의 구조를 피벗시키기 위해 평행한 접합부를 제공하는 수직 끝단 면(힌지 개구의 피벗면과 같음)을 갖는 상기 슬리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6항 또는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시트 및/또는 뚜껑 힌지 개구의 하중 지지 동축 피벗점을 제공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끼워지고 상기 슬리브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변기 시트 및/또는 뚜껑 내로 연장되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힌지 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을 상기 슬리브 내에 축방향 플로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붙잡힌 플로팅 핀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내에서 상기 플로팅 힌지 핀의 선형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변기 뚜껑 및/또는 시트 상의 또는 변기 뚜껑 및/또는 시트에 부착 가능한 끝단 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변기 팬과, 상기 변기 팬으로의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의 피벗 결합을 위해 배치되는 힌지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도록 상기 변기 팬을 횡단하여 연장되게 위치된 힌지 베어링 튜브를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에 피벗되게 결합 가능한 변기 시트를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는 상기 변기 팬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변기 시트는 상기 변기 시트 및 힌지 베어링 튜브를 서로에 대하여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정렬 부재를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는 변기 뚜껑이 구비되는 돌출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 뚜껑은 상기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를 서로에 대해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 베어링 부재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정렬 부재를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부재는 아치형 형성부를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는 상기 정렬 부재에 인접한 관통 보어를 구비하며, 사용 구성의 장치를 갖는 힌지 핀이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변기 시트의 상기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는, 변기 팬 몸체.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뚜껑은 상기 제2 정렬 부재에 인접한 관통 보어를 구비하며, 사용 구성의 장치를 갖는 힌지 핀이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변기 뚜껑의 상기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는, 변기 팬 몸체.
  38. 제3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 내에 힌지 핀을 유지시키는 끝단 캡을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캡은 상기 변기 뚜껑으로부터 제거 가능하여, 상기 힌지 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변기 팬으로부터의 상기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변기 팬 몸체.
  40. 제3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은 제1 평면에 놓여진 상면을 갖는 상부 주변 림과, 후방 오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베어링 튜브는 상기 제1 평면 위에 위치된 상기 힌지 축을 갖는 상기 후방 오름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변기 팬 몸체.
  41. 그 전방면에 요홈을 갖는 변기 팬.
  42. 변기 팬 및 변기 뚜껑을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용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 장치는, 상기 변기 팬에 대한 상측 방향 이동에 대하여 상기 변기 뚜껑을 잠그는 래치 위치 및 상기 변기 뚜껑이 상기 팬에 대하여 상승 가능한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기 뚜껑이 변기 팬 상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 가능한 래치 부재를 가지며,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변기 뚜껑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측으로 당겨질 때 상기 변기 뚜껑 아래에서 밀려 올라가도록 배치되는 래치 장치.
  43. 변기 뚜껑을 변기 팬에 선택적으로 래치 고정하기 위해 통합적으로 형성된 래치 부재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변기 뚜껑에 피벗되게 장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기 팬에 대한 상측 방향 이동에 대해 상기 변기 뚜껑을 잠그는 래치 위치 및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변기 뚜껑이 변기 팬 상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 가능하며,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손으로 상기 변기 뚜껑을 직접 상승시키기 위해 직접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일체형 리프팅 핸들을 갖는, 래치 부재.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상부 끝단에 피벗 핀에 의해 결합 가능한 보어를 포함하는, 장치.
  45. 제42항 또는 제43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그 상부 끝단 및 그 수동 작동 위치 사이에서 도중에 위치되는 정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 부재는 상기 래치 부재의 상승에 따라 상기 변기 뚜껑과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래치 부재의 상기 상부 끝단에서 반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의 상기 상부 끝단은 상기 변기 뚜껑의 상방 대면 베어링면에 의해 피벗되게 지지되며, 상기 정지 부재는 이에 따라 상기 래치 부재의 상승에 따라 상기 상방 대면 베어링면에 하측 방향 반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47. 제42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뚜껑은 설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설치 개구를 통하여 힌지 핀이 상기 래치 부재 내로 삽입 가능한 위치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래치 부재는 그 후 상기 변기 뚜껑의 베어링면과의 상기 힌지 핀의 결합을 위해 하강 가능한,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붙잡힌 상기 래치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그 후 상기 변기 뚜껑에 부착 가능한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기 뚜껑으로부터의 상기 힌지 핀 및 래치 부재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변기 뚜껑으로부터 제거 가능하며, 상기 캡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 핀용 베어링면을 제공하는,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을 상기 변기 뚜껑에 스냅-잠금으로 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탱의 해제를 차단하는 탱 잠금 부재가 구비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탱 잠금 부재는 스플래시 가드로서의 역할을 하는, 장치.
  50. 저수조 챔버를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용 저수조 몸체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챔버는 저수기 및 물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물 펌프는 물을 압력하에서 상기 저수조 몸체로부터 물 출구 바깥으로 펌핑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저수조 몸체.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챔버 내에 위치되는 공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펌프는 전력 또는 인력으로 상기 저수조 몸체로부터 공기 출구 바깥으로 공기를 펌핑하도록 작동 가능한, 저수조 몸체.
  52. 제50항 또는 제51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세척 사이클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물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53. 제50항 또는 제51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위 센서에 응답하여 물 펌프 개시 및/또는 정지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불충분한 수위의 경우 세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주입 수위를 감지하고/감지하거나 미리 설정된 체적의 유동 이후에 물 펌핑이 정지되도록 미리 설정된 체적이 세척된 때를 감지하도록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장치.
  54. 제50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펌프의 출구 경로 하류에 위치되는 일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물 펌프 및 상기 일방향 밸브 사이에 있는 상기 출구 경로 내의 위치로부터 대기로 이어지는 도관을 포함하는 장치.
  56. 제51항 또는 제51항을 인용하는 제5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의 모터에 의한 전류 흐름을 감지하기 위해 전류 센서가 구비되며, 미리 설정된 값 아래의 공기 펌프 모터 전류 흐름 강하 또는 전류의 급격한 강하를 나타내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기 펌프 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공기 펌프 모터의 속도를 낮추도록 상기 공기 펌프용 제어부가 배치되는, 장치.
  57. 제51항 또는 제51항을 인용하는 제52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척 사이클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공기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58. 제51항 또는 제51항을 인용하는 제52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위 센서에 응답하여 공기 펌프 개시 및/또는 정지를 작동시키도록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59. 제50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기에 의해 위치되는 오버플로우 위어 벽을 포함하는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위어 벽은 상기 물 펌프를 통과하는 모든 내부 통로에 비하여 높은, 장치.
  61. 변기 저수조용 오버플로우 장치에 있어서, 변기 저수조의 저수기에 의해 위치 가능한 오버플로우 위어 벽을 포함하는 오버플로우 장치.
  62. 제59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위어 벽은 상기 저수기를 전반적으로 하측 방향으로 지향하는 오버플로우 유로로부터 분리시키는,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유로는 직사각형 단면 수직 유로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오버플로우 위어 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사각형 단면 수직 유로의 세 개의 벽에 대응하며 넘치는 물이 진행하는 세 개의 벽부를 갖는, 장치.
  64. 제62항 또는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유로는 상기 저수기를 수용하는 저수조 챔버 내측에 위치되는, 장치.
  65. 제62항 또는 제63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유로의 하단은 상기 오버플로우 장치의 출구로 이어지는 수집 호퍼를 구비하거나 수집 호퍼로 이어지는,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호퍼는 상기 유로에 대해 별개로 형성된 부품이며, 상기 유로는 상기 호퍼 내로 연장되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림을 갖는, 장치.
  67.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유로는 상기 오버플로우 장치의 출구 위의 측면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측면 개구는 상기 오버플로우 장치의 출구를 경유하는 유동이 차단되는 경우 오버플로우 물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
  68. 제59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위어 벽은 상기 저수기로의 물 입구에 비하여 낮게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장치.
  69. 변기 팬 몸체용 매니폴드에 있어서, 공기 입구, 물 입구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물 출구를 가지며, 상기 공기 출구 및 상기 물 출구 모두를 변기 팬 몸체 내의 단일 전달 개구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끝단 커넥터를 갖는 매니폴드.
  70. 제69항에 있어서,
    외측 공기 전달 유로와, 상기 외측 공기 전달 유로의 내측을 따라 물을 전달하는 내측 물 전달 유로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71.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물 전달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망원경식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매니폴드.
  72. 제69항 또는 제70항 또는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공기 유로에 연결 가능하며 그 사이에서 상기 변기 팬 몸체의 벽을 밀봉되게 유지하는 끝단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끝단 플러그는 변기 팬 내로 공기 및 물을 분배하는 출구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끝단 플러그는 상기 외측 공기 유로와 망원경식 맞춤되는, 매니폴드.
  73. 제69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과 공기 압력을 완화시키는 공기 압력 릴리프 밸브를 갖는 매니폴드.
  74. 제69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플리터로부터의 복수의 물 출구 사이의 단일 유입 물 유동을 분할하는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75. 제70항을 인용하는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외측 공기 전달 유로 외측에서 상기 외측 공기 전달 유로에 장착되며, 상기 스플리터로부터의 물 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측 공기 전달 유로 내로 이어져 상기 외측 공기 전달 유로의 내측을 따르는 도관에 연결되는, 매니폴드.
  76. 제69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범람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77.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를 변기 시트 또는 변기 팬에 각각 밀봉하기 위해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 하측에 연결되는 씰에 있어서, 상기 씰은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는 단면을 가지는 길게 연장된 링 형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가요성 플랜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성인, 씰.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하나의 재료를 가지며, 상기 가요성 플랜지는 다른 더 가요성 재료로 되는, 씰.
  79. 제77항 또는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 상으로 오버-몰드되는, 씰.
  80. 제77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전반적으로 하측으로 그리고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측 주변 에지에서 또는 외측 주변 에지 가까이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는, 씰.
  81. 제77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전반적으로 평탄하고 수평인 부재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 내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변기 뚜껑 또는 시트의 유지 슬롯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배치되는, 씰.
  82. 제77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를 포함하는 씰.
  83.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를 변기 시트 또는 변기 팬에 각각 밀봉하기 위해 변기 뚜껑 또는 변기 시트 하측에 연결되는 씰에 있어서, 길게 연장된 링 형상 부재를 포함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를 포함하는 씰.
  84. 변기 저수기용 물 입구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물 튀김 및 유입하는 물 공급의 가능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저수기의 수면으로부터의 유입 물 유동을 편향시키는 쉬라우드를 포함하는, 물 입구 밸브.
  85. 변기 세척 사이클 시스템과 같이 공기 유동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펌프에 있어서, 완전한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중앙 구동 샤프트에 접합되는 두 개의 절반(또는 보다 많은 하부 조립체)에 모두 구성되는 로터 및 실린더를 포함하는 공기 펌프.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절반(또한 보다 많은 하부 조립체)은 주변 지지 플랜지에서 함께 접합되는, 공기 펌프.
  87. 제1항 내지 제10항 및 제34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를 포함하는 변기 몸체 조립체.
  88. 변기 부품이 변기 팬 몸체 상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는 도중 변기 부품을 공구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 중 변기 팬 몸체 내에 변기 고정구를 위치시키는 방법.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고정구는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는 상기 호스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호스 내부 또는 상부로 미끄러지며, 상기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길게 연장된 로드 또는 튜브를 포함하는, 방법.
  90. 제88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팬 몸체는 세라믹이고 상기 세라믹 팬의 벽 사이의 공간으로 이어지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변기 부품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공구로 상기 변기 부품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1. 제88항 또는 제89항 또는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고정구는 엘보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변기 팬 몸체의 팬의 물-세척 상면 벽을 통하여 형성된 개구로 상기 엘보우 부재가 고정되는 동안 상기 공구로 상기 엘보우 부재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2. 적어도 하나의 배수 도관과, 상기 배수 도관을 따라 오물 및/또는 물과 같은 물질을 수송하기 위해 상기 배수 도관을 가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제어부가 가압에 대한 저항의 강하 및 이에 응답하는 상기 배수 도관의 가압의 정지 및/또는 감소를 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배수 시스템.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공기 펌프 전류의 강하를 감지하도록 배치되는, 시스템.
  95.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변기 몸체.
  96. 변기 조립체용 매니폴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매니폴드.
  97. 변기 조립체에서의 사용을 위한 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씰.
  98. 변기 팬과, 상기 변기 팬 상의 힌지 형성부를 갖는 변기 몸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방법.
  99. 변기 팬 및 변기 뚜껑을 포함하는 변기 팬 몸체용 래치 장치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래치 장치.
  100. 변기 뚜껑을 변기 팬에 선택적으로 래치 고정시키는 래치 부재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래치 부재.
  101. 변기 시스템용 저수조 몸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저수조 몸체.
  102. 변기 저수조용 오버플로우 장치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오버플로우 장치.
  103.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공기 펌프.
  104.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물 입구 밸브.
  105. 조립 도중 변기 부품을 위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방법.
KR1020147026980A 2012-03-01 2013-03-01 변기 팬 몸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5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203691.9A GB2499837B (en) 2012-03-01 2012-03-01 Toilet Systems
GB1203691.9 2012-03-01
PCT/EP2013/054212 WO2013128017A1 (en) 2012-03-01 2013-03-01 Toilet pan body and its method of manufactu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788A true KR20140135788A (ko) 2014-11-26

Family

ID=4600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980A KR20140135788A (ko) 2012-03-01 2013-03-01 변기 팬 몸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9834917B2 (ko)
EP (2) EP3871577B1 (ko)
JP (2) JP6381074B2 (ko)
KR (1) KR20140135788A (ko)
CN (1) CN104244789A (ko)
AU (4) AU2013224914A1 (ko)
BR (2) BR122021012908B1 (ko)
CA (2) CA2865963C (ko)
ES (1) ES2879917T3 (ko)
GB (2) GB2552629B (ko)
IL (2) IL234357B (ko)
IN (1) IN2014DN07807A (ko)
MX (1) MX2014010372A (ko)
NZ (1) NZ741748A (ko)
WO (1) WO2013128017A1 (ko)
ZA (1) ZA201407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8073B2 (en) * 2013-12-18 2017-08-08 Sdb Ip Holdings, Llc Plumbing control system with distress signal
DE102013114946B4 (de) 2013-12-30 2017-04-13 Duravit Aktiengesellschaft Druckgussform zur Herstellung eines Gießlings
US9775475B2 (en) * 2014-02-14 2017-10-03 Ned Falk Latching device for selectively lifting toilet lid or combination of toilet lid and seat
KR101665364B1 (ko) * 2014-05-02 2016-10-24 주윤식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변기
TWI564454B (zh) * 2015-11-16 2017-01-01 Shao-Yu Peng Computer toilet seat image capture system
DE102016103421B4 (de) 2016-02-26 2020-12-31 Medi Gmbh & Co. Kg Rundgestrickte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US10052000B2 (en) 2016-03-15 2018-08-21 Acorn Engineering Company Ligature resistant toilet
JP6551815B1 (ja) * 2018-09-28 2019-07-31 Toto株式会社 便座
CN109758020B (zh) * 2019-01-31 2024-01-05 厦门佳普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盖及其坐便器
GB2587207B (en) * 2019-09-17 2022-07-20 Ideal Standard Int Nv Jet flush
DE102019132130A1 (de) * 2019-11-27 2021-05-27 Duravit Aktiengesellschaft Gelenkanordnung zur schwenkbaren Lagerung eines Deckels, eines Sitzes oder einer Sitz-Deckel-Garnitur an einem keramischen Sanitärgegenstand
CN111633782B (zh) * 2020-05-21 2021-11-02 佛山市鸣门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洁具高压注浆成型生产方法及卫生洁具
US11753808B2 (en) 2020-09-04 2023-09-12 Kohler Co. Air drive system for a toilet
IT202100005924A1 (it) * 2021-03-12 2022-09-12 Roberto Giordani Coprisedile igienico per wc
US11751731B2 (en) * 2021-09-03 2023-09-12 Leonard C Brown Stabilized toilet seat and toilet bowl
CN114703937B (zh) * 2022-03-28 2023-03-14 箭牌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注浆成型粘接挂便器
WO2023203370A1 (en) * 2022-04-19 2023-10-26 Sayee Sundar Kasiraman A toilet sanitary-ware system
CN116292642B (zh) * 2023-05-17 2023-08-08 四川托璞勒科技有限公司 轴承安装结构及粘尘机

Family Cites Families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834A (en) * 1911-01-21 1912-09-17 Edgar J Bloom Packing.
GB258516A (en) 1926-05-12 1926-09-23 Nicolaus Welter Air pump for power vehicles
US2431263A (en) * 1945-01-18 1947-11-18 Eric H Lundgren Retaining means for toilet seat covers
GB725309A (en) * 1953-02-13 1955-03-02 Robert Mcard &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inges for closet seats and covers
US3080572A (en) * 1960-09-06 1963-03-12 Silkauf Mfg Co Inc Toilet seat assembly
US3206769A (en) * 1963-08-26 1965-09-21 American Sterilizer Co Apparatus for rinsing bed pans
GB1053375A (ko) * 1966-12-21 1966-12-30
US3514807A (en) * 1968-08-05 1970-06-02 Lee Triplett Hinge construction
US4079471A (en) * 1976-05-03 1978-03-21 Joseph Corda Hinge assembly for toilet seats and other articles
SE428453B (sv) 1978-03-23 1983-07-04 Norlin Lars Olof Toalett med avfallstank
US4658447A (en) * 1985-06-24 1987-04-21 Smith Mark A Toilette seat lock
IT216091Z2 (it) * 1988-06-08 1991-04-26 Ideal Standard Spa Dispositivo per il fissaggio di elementi di copertura ad apparecchi igienico-sanitari, in particolare vasi igienici
FR2670225A1 (fr) * 1990-12-10 1992-06-12 Denance Raymond W.c. dont la liberation de la colonne d'eau de rincage met en surpression la cuvette dont la fermeture est hermetique.
DE9103335U1 (ko) * 1991-03-19 1991-06-20 Keramag Keramische Werke Ag, 4030 Ratingen, De
GB2256206A (en) 1991-05-31 1992-12-02 Gary Daniel Denham Lavatory seat cover
NZ245806A (en) 1992-02-03 1997-03-24 Caroma Ind Ltd Toilet seat, lid and mounting assembly with adjustable mountings for a variety of pan fixing dimensions
US5305475A (en) * 1992-11-13 1994-04-26 Kohler Co. Pump operated plumbing fixture
CN2158896Y (zh) * 1992-12-16 1994-03-16 张国权 抽水马桶除臭器
GB2299102A (en) * 1995-03-23 1996-09-25 Ellis Gordon & Co Toilet seat assembly
CN2240554Y (zh) 1995-08-28 1996-11-20 周学蒙 卫生间冲水水箱
IT1279403B1 (it) * 1995-10-20 1997-12-10 Saniplast Spa Cerniera per l'applicazione del gruppo sedile-coperchio sui vasi igienici
JP3539072B2 (ja) 1996-06-11 2004-06-14 松下電工株式会社 便座と便蓋との回転装置への取付け構造
US6073275A (en) * 1996-09-12 2000-06-13 Klopocinski; Stanislaw Multifunction toilet
IT1295337B1 (it) * 1997-01-21 1999-05-12 Sipex S N C Di Cavagna Livio & Dispositivo di connessione rapida particolarmente per applicare un'asse di copertura a un water
JP3630260B2 (ja) * 1997-03-05 2005-03-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便座取り付け構造
GB9807943D0 (en) 1998-04-15 1998-06-10 Moore Garry Air displacement toilet
US6003161A (en) 1998-05-06 1999-12-21 Tomaini; John J. Toilet water saver alert system
AR018403A1 (es) * 1998-05-28 2001-11-14 Consorcio G Grupo Dina S A De C V Sistema mejorado para el suministro de agua y drenaje para el retrete de vehiculos automotores
DE29819469U1 (de) * 1998-10-31 1999-02-18 Goetz Maria Luis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Toilettenbrillen und/oder -deckel
WO2000043602A1 (fr) * 1999-01-25 2000-07-27 Toto Ltd. Dispositif de lavage du corps humain
EP1041205A2 (en) 1999-03-27 2000-10-04 George William Worrell Lavatories
JP2000332310A (ja) 1999-05-21 2000-11-30 Kubota Corp 熱電モジュールの作製方法
TR200101525T1 (tr) * 1999-09-27 2001-12-21 Toto Ltd. Su fışkırtmalı tuvalet ve fışkırtma suyu temin aygıtı
US6314841B1 (en) 2000-03-27 2001-11-13 Larry K. Burk Multi-purpose hand tool
DE10061615A1 (de) 2000-12-11 2002-06-13 Grohedal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Ablaufventil
KR100439071B1 (ko) 2001-04-12 2004-07-07 이성호 재래 화장실용 수세식 좌변기의 세척장치
GB2369626A (en) 2001-04-26 2002-06-05 Peter Syrus Bidet attachment for a w.c.
EP1511904B1 (de) * 2002-06-10 2006-10-11 Geberit Technik Ag Toiletten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toilettenanlage
JP4017952B2 (ja) 2002-09-27 2007-12-05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着脱構造
GB0308227D0 (en) * 2003-04-09 2003-05-14 Kelly Joseph S Toilet seat
US20040255727A1 (en) 2003-06-23 2004-12-23 Kovach James A. Tub drain wrench
US6772449B1 (en) * 2003-08-11 2004-08-10 John P. Wolfe Toilet ventilation system
US20050150332A1 (en) 2004-01-13 2005-07-14 Russell Lynn R. Toilet ballcock valve wrench
JP4263123B2 (ja) 2004-03-23 2009-05-13 三洋電機株式会社 信号処理回路
JP5086808B2 (ja) 2004-10-22 2012-11-28 フェニックス プロダクト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リミテッド 容器
GB0423515D0 (en) 2004-10-22 2004-11-24 Phoenix Product Dev Ltd A container
DE202004017964U1 (de) * 2004-11-18 2005-01-05 Wang, Wei-Chi Luftpumpe
US7325257B2 (en) * 2004-12-01 2008-02-05 Kohler Co. Control system for pump operated plumbing fixtures
DE102005006011B3 (de) 2005-02-10 2006-10-05 Judo Wasseraufbereitung Gmbh Sanitärarmatur mit auswechselbarer Einheit
DE102005014185B4 (de) * 2005-02-14 2010-04-15 Hamberger Industriewerk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US20080066584A1 (en) 2005-04-28 2008-03-20 Vines Richard H Multi-purpose socket tool
DE102005020081A1 (de) 2005-04-29 2006-11-09 Köppern Entwicklungs-GmbH Pulvermetallurgisch hergestellter, verschleißbeständiger Werkstoff
US20090013832A1 (en) 2005-05-06 2009-01-15 Duffey Joseph C Tool for removing toilet seat
US20060278047A1 (en) 2005-06-08 2006-12-14 Thompson David A Multiple purpose plumbing tool
GB0518573D0 (en) 2005-09-12 2005-10-19 Phoenix Product Dev Ltd Self-aligning rotary piston machine
US8032956B2 (en) * 2005-11-21 2011-10-11 Ideal Standard International Bvba Multi-phase, high energy flushing system
DE102006020205B4 (de) * 2006-05-02 2009-09-03 Pagette Gmbh Befestigung für einen WC-Sitz
EP1917892A1 (en) 2006-11-02 2008-05-07 Carlos Avilés Garcia Attachment device suitable for the reversible connection between a toilet lid and seat and corresponding toiled lid
WO2008092208A1 (en) 2007-02-02 2008-08-07 Enviroma Pty Limited Toilet flushing using air under pressure for flushing and water to replenish the trap
ITMI20071284A1 (it) 2007-06-27 2008-12-28 Fausta Donnini Apparecchio sanitario per la raccolta e l'eliminazione di rifiuti organici
US8789213B2 (en) * 2007-08-17 2014-07-29 Hani A. Abunameh Self-ventilating toilet
US20090165198A1 (en) * 2007-12-28 2009-07-02 Efraim Shalev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and adjust water consumption by a toilet during refill of the bowl and reservior
US8047102B2 (en) 2008-05-08 2011-11-01 Chris Gnatz Multi-purpose tool
CN201212180Y (zh) * 2008-05-28 2009-03-25 梁昌益 防臭抽气马桶
CN101718112A (zh) * 2008-10-10 2010-06-02 王振初 一种新型节水马桶
JP2010115571A (ja) 2008-11-11 2010-05-27 Mazda Motor Corp 水処理装置
US9332884B2 (en) * 2008-11-21 2016-05-10 Glyn David ROSSER Toilet equipment
GB2465582B (en) * 2008-11-21 2012-11-21 Glyn David Rosser Toilet equipment
JP5268700B2 (ja) * 2009-02-19 2013-08-21 Toto株式会社 ポンプ及びこれを用いた洋風大便器
JP2011000206A (ja) 2009-06-17 2011-01-06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CN101864798B (zh) * 2010-06-17 2013-04-24 陆启平 一种自动洁身器
MX346157B (es) 2010-07-20 2017-03-09 As Ip Holdco Llc Inodoros de alto rendimiento capaces de la operación a volúmenes reducidos de descarga.
CN202081490U (zh) * 2010-07-22 2011-12-21 路志达 增压空气净化座便器
CN201822786U (zh) * 2010-09-19 2011-05-11 厦门倍杰特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将马桶盖板转动安装到马桶座的安装机构
CN201912003U (zh) * 2010-09-23 2011-08-03 英发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缓升马桶座垫
CH705265A2 (de) * 2011-07-05 2013-01-15 Maria Ayer Toilettendeckel-Garnitur.
EP2697325A2 (de) * 2011-08-02 2014-02-19 Ortwein GmbH Befestiger
CN203729418U (zh) * 2014-02-28 2014-07-23 武汉市中心医院 一种带恒温坐浴器的坐便器
ES2491392B1 (es) * 2014-04-15 2015-04-13 Rolen Technologies & Products, S.L. Bloque compacto de inodoro de vacío
US20150352705A1 (en) 2014-06-06 2015-12-10 KV Innov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Fixtures in Tight Spaces
CN104164914B (zh) * 2014-08-11 2016-04-06 深圳市博电电子技术有限公司 马桶及其冲水系统
JP2016123532A (ja) 2014-12-26 2016-07-1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洗濯機
GB2557482A (en) 2015-07-10 2018-06-20 Aker Solutions As Subsea pump and system and methods of control
US10060111B2 (en) 2016-01-19 2018-08-28 David R. Hall Toilet with air sampling exhaust
CN205675033U (zh) * 2016-05-10 2016-11-09 青岛亚通达铁路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列车用废水及污物集中收集装置
CN205742453U (zh) * 2016-06-30 2016-11-30 南安市溪美固哈水暖店 一种新型节水防溅坐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22021012908B1 (pt) 2022-03-03
CA3131831C (en) 2023-12-12
GB201715478D0 (en) 2017-11-08
JP6621880B2 (ja) 2019-12-18
EP3871577A1 (en) 2021-09-01
GB2552629B (en) 2018-03-07
IL278218A (en) 2020-11-30
BR112014021538B1 (pt) 2021-08-31
GB2499837B (en) 2018-02-21
EP2846670B1 (en) 2021-04-21
EP2846670A1 (en) 2015-03-18
CA2865963A1 (en) 2013-09-06
IN2014DN07807A (ko) 2015-05-15
AU2022200384A1 (en) 2022-02-17
NZ741748A (en) 2019-10-25
GB2499837A (en) 2013-09-04
US9834917B2 (en) 2017-12-05
AU2017219107A1 (en) 2017-09-28
ZA201407050B (en) 2016-02-24
JP2018199996A (ja) 2018-12-20
CN104244789A (zh) 2014-12-24
AU2019203870B2 (en) 2022-02-10
US10612223B2 (en) 2020-04-07
IL234357B (en) 2020-11-30
GB2552629A (en) 2018-01-31
JP2015511849A (ja) 2015-04-23
IL278218B2 (en) 2023-02-01
IL278218B (en) 2022-10-01
AU2013224914A1 (en) 2014-10-02
BR112014021538A8 (pt) 2021-02-17
US20180087251A1 (en) 2018-03-29
ES2879917T3 (es) 2021-11-23
WO2013128017A1 (en) 2013-09-06
AU2019203870A1 (en) 2019-06-20
EP3871577B1 (en) 2024-03-13
US20150020301A1 (en) 2015-01-22
JP6381074B2 (ja) 2018-08-29
MX2014010372A (es) 2015-08-10
GB201203691D0 (en) 2012-04-18
CA3131831A1 (en) 2013-09-06
CA2865963C (en)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5788A (ko) 변기 팬 몸체 및 그 제조방법
CA2162371C (en) Readily installed universal sewage grinder pump
EP2888416B1 (en) Multi-purpose hand washing station
US20050229299A1 (en) Adapter for installation of toilet flushing apparatus
GB2552755A (en) Components f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oilet pan bodies and systems
GB2552752A (en) Components f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oilet pan bodies and systems
GB2552753A (en) Components f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oilet pan bodies and systems
GB2553232A (en) Components f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oilet pan bodies and systems
GB2552754A (en) Components f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oilet pan bodies and systems
GB2552751A (en) Components f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oilet pan bodies and systems
GB2553054A (en) Components f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oilet pan bodies an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