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913A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913A
KR20140134913A KR20130054947A KR20130054947A KR20140134913A KR 20140134913 A KR20140134913 A KR 20140134913A KR 20130054947 A KR20130054947 A KR 20130054947A KR 20130054947 A KR20130054947 A KR 20130054947A KR 20140134913 A KR20140134913 A KR 20140134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e
lid
protrus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곤
Original Assignee
김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곤 filed Critical 김성곤
Priority to KR2013005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913A/ko
Publication of KR2014013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렌지의 불꽃온도를 조리하기 적합한 불꽃온도 즉, 600~700℃의 불꽃온도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통공에 설치되는 열변환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수용부가 형성되며, 측벽에 하나 이상의 통로가 형성된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저면에 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판; 및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본체에 안착되며, 손잡이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Cooker}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에는 후라이팬과 냄비가 있다.
후라이팬과 냄비의 경우 조리물이 눌러붙지 아니하도록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고 있지만 가스 불꽃의 온도가 1200℃ 이기 때문에 눌러붙게 된다.
그리고, 후라이팬의 경우 생선튀김 시 냄세가 많이 나고 기름이 튀어 가스렌지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뚜껑을 닫아 놓으면 조리물이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지 아니하여 조리물이 삶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육고기, 생선 등을 석쇠를 이용하여 직화구이 시 강한 불꽃에 의해 조리물이 타서 1급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발생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직화 조리기가 개발되어 판매중에 있다.
이러한 직화 조리기는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70093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구가 형성된 외통과, 이 외통에 내장 설치되는 내통과, 관통부를 갖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스렌지의 불꽃이 외통의 개구를 통해 내통에 바로 전달되고, 외통과 내통 사이의 공간을 통해 내통에 담긴 조리물이 조리되며, 뚜껑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냄새나 연기 또는 수증기 등이 배기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직화 조리기 역시 가스렌지의 불꽃이 외통의 개구를 통해 내통에 바로 전달됨으로써 조리물이 눌러붙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고, 관통부를 통해 수증기 즉, 유분이 함유된 증기가 배출됨으로써, 가스렌지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스렌지의 불꽃온도를 조리하기 적합한 불꽃온도 즉, 600~700℃의 불꽃온도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통공에 설치되는 열변환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수용부가 형성되며, 측벽에 하나 이상의 통로가 형성된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저면에 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판;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본체에 안착되며, 손잡이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판환체는 복수 개의 수직 구멍이 형성된 판체로 이루어지거나,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판은 본체의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측 외주연에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제1 플랜지 끝단에 제1 수직돌출부가 형성되며, 이 제1 수직돌출부 하측 내주연에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는 상측 외주연에 제2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제2 플랜지 끝단에 제2 수직돌출부가 형성되며, 이 제2 수직돌출부 하측 외주연에 상기 돌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본체와 내용기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에 외부패킹이 설치되고 이 외부패킹과 접촉하는 제1 밀착돌기가 상기 제1 수직돌출부 하단 외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뚜껑에 외부패킹이 설치되고 이 외부패킹과 접촉하는 제2 밀착돌기가 상기 제2 수직돌출부 하단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내부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 내측에 고정나사에 의해 복사열 반사판이 더 구비되며, 이 복사열 반사판은 뚜껑과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저면 테두리 부분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며, 이 부분 일측에 기름배출수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름배출수단은 상기 본체의 저면에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본체의 저면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호형 벽체와, 상기 호형 벽체에 체결되어 상기 구멍을 폐쇄하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에 배기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 수단은 상기 뚜껑에 형성된 홀과, 일단은 상기 홀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게 손잡이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수직홈과,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형성되며, 캠이 형성된 일부가 수직홈에 수용됨과 더불어 시소 운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시소 운동 시 캠에 의해 하강하는 바와, 상기 바의 하단에 설치되며, 바의 하강 시 홀을 폐쇄하는 차단판과, 일단은 바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홈 내주연에 연결되어 하강된 차단판을 원상 복귀 시키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 수단은 상기 뚜껑에 형성된 홀과, 일단은 상기 홀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게 손잡이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수직홈과, 상기 홀과 대응되는 보조 홀이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수직홈에 설치되며, 하단은 회전판 중앙과 연결되고 상단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의 통공에 설치되는 열변환체를 거친 불꽃이 온도가 떨어져 조리하기 적합한 600~700℃의 온도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된 돌부와, 이 돌부가 끼워지는 홈이 내용기에 형성되어 본체와 내용기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가열판에 돼지고기, 소고기, 빵,고구마 등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에 외부패킹이 설치되고 이 외부패킹과 접촉하는 제1 밀착돌기 또는 제2 밀착돌기가 본체 또는 내용기에 형성됨으로써, 내용기의 수용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냄세, 연기, 증기 등이 뚜껑과 내용기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와 내용기 사이에 내부패킹이 더 구비됨으로써, 내용기의 수용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냄세, 연기, 증기 등이 본체와 내용기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에 복사열 반사판이 더 구비됨으로써, 내부 온도가 향상되어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름배출수단이 더 형성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을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 수단이 더 구비되어, 조리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증기 또는 열기는 뚜껑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유분 또는 심한 냄새 등은 본체의 통공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불꽃을 통해 유분 및 냄새를 희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열변환체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열변환체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체에 돌부가 형성되고, 내용기에 홈이 형성되어 본체와 내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체와 내용기 사이에 내부패킹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뚜껑에 외부패킹이 형성되고, 이 외부패킹과 접촉되는 제1 밀착돌기가 본체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뚜껑에 외부패킹이 형성되고, 이 외부패킹과 접촉되는 제2 밀착돌기가 내용기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뚜껑에 복사열 반사판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배기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배기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기름배출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열변환체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열변환체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체에 돌부가 형성되고, 내용기에 홈이 형성되어 본체와 내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체와 내용기 사이에 내부패킹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뚜껑에 외부패킹이 형성되고, 이 외부패킹과 접촉되는 제1 밀착돌기가 본체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뚜껑에 외부패킹이 형성되고, 이 외부패킹과 접촉되는 제2 밀착돌기가 내용기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뚜껑에 복사열 반사판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배기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배기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기름배출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열변환체(20)와, 내용기(30)와, 가열판(40)와, 뚜껑(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후술할 내용기(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저면 중앙에 가스렌지의 불꽃이 통과하는 통공(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일측 또는 양측에 파지손잡이(17)가 더 구비되며, 상기 통공(12)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변환체(20)는 상기 통공(12)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가스렌지의 불꽃이 거치도록 하여 불꽃의 온도를 낮춘다. 즉, 1200℃의 불꽃 온도를 조리하기 적당한 600~7000℃로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열변환체(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수직 구멍이 형성된 판체(21)로 이루어지거나, 망(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열변환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부분이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 부분이 상향 절곡되고 그 끝단부가 후술할 가열판(40)에 연결되어 가열판(4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열변환체(20)는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고,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미도시함)
상기 내용기(30)는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설치되고,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수용부(31)가 형성되며, 측벽에 하나 이상의 통로(32)가 형성된다.
이러한 내용기(30)는 측면과 저면이 본체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과 통로(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열기가 수용부(31)로 유입되거나, 조리 시 수용부(31)에서 발생되는 유분 또는 유해가스 또는 수분 등이 배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통로(32)는 후술할 제2 플랜지(33)에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함)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상측 외주연에 수평으로 제1 플랜지(13)가 형성되며, 이 제1 플랜지(13) 끝단에 제1 수직돌출부(14)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제1 수직돌출부(14) 하측 내주연에 돌부(15)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30)는 상측 외주연에 수평으로 제2 플랜지(33)가 형성되고, 이 제2 플랜지(33) 끝단에 제2 수직돌출부(34)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제2 수직돌출부(34) 하측 외주연에 상기 돌부(15)가 끼워지는 홈(35)이 형성되어 본체(10)와 내용기(30)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내용기(30)가 본체(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분리하여 후술할 가열판(40)에 돼지고기, 소고기, 빵, 고구마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청소하기 용이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내용기(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열기 또는 냄새 또는 연기 또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랜지(13)와 제2플랜지(33) 사이에 내부패킹(6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판(40)은 상기 내용기(30)의 저면에 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기(30)를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판(40)은 본체(10)의 통공(12) 중앙을 기점으로 일정 각도를 두고 복 수개 배치되는 지지브라켓(41)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라켓(41)은 일단은 본체(10)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향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위치하는 가열판(40)이 측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중앙 부분 역시 절곡되어 가열판(40) 상면이 내용기(30) 저면과 맞닿도록 설치되게 한다.
그리고, 가열판(40)은 열전도율이 높은 세라믹, 맥반석, 철, 구리,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열이 장시간 유지되는 맥반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뚜껑(50)은 상기 수용공간(11)을 덮도록 본체(10)에 안착되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면 중앙에 손잡이(51)가 구비된다.
한편, 내용기(30)의 수용부(31)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냄세 또는 증기가 뚜껑(50)과의 사이 즉, 미세 틈새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50)의 하측 외주연에 외부패킹(65)이 설치되고 이 외부패킹(65)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제1 밀착돌기(16)가 상기 제1 수직돌출부(17) 하단 외측에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50)의 하측 외주연에 외부패킹(65)이 설치되고 이 외부패킹(65)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제2 밀착돌기(36)가 상기 제2 수직돌출부(34) 하단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뚜껑(50)에 설치되는 외부패킹(65)과, 이 외부패킹(65)과 접촉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밀착돌기(16) 또는 제2 밀착돌기(36)에 의해 수용부(31)에 형성되는 열기 또는 냄세 또는 연기 또는 증기가 뚜껑(50)과 내용기(30) 사이의 틈새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50) 내측에 고정나사에 의해 복사열 반사판(70)이 더 구비되며, 이 복사열 반사판(70)은 뚜껑(50)과 이격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복사열 반사판(70)은 고광택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사열 반사판(70)이 구비될 경우 내부 온도가 40~50℃ 상승하게 되어 조리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껑(50)에 배기수단(80)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배기수단(80)은 필요 시 수용부(31)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 또는 수증기 등이 배기되도록 하며, 냄새가 많이 나는 생선구이를 하거나 식용유를 많이 사용하는 튀김을 조리할 때 배기를 차단하여 내용기(30)를 통로(32)와, 내용기(30)와 본체(10) 사이의 공간 및 본체(10)의 통공(12)을 통해 외부로 심한 냄새와 유분을 외부로 배출한다. 즉, 가스렌지의 불꽃을 거쳐 배출됨으로써 냄새가 희석되고 유분의 배출량 또한 적어진다.
이러한 배기수단(80)은 상기 뚜껑(50)에 형성된 홀(81)과, 일단은 상기 홀(81)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게 손잡이(51)에 형성된 유로(82)와, 상기 손잡이(51)의 중앙에 형성된 수직홈(83)과, 상기 손잡이(51)의 상면에 형성되며, 캠(84-1)이 형성된 일부가 수직홈(83)에 수용됨과 더불어 시소 운동하는 스위치(84)와, 상기 스위치(84)의 시소 운동 시 캠(84-1)에 의해 하강하는 바(85)와, 상기 바(85)의 하단에 설치되며, 바(85)의 하강 시 홀(81)을 폐쇄하는 차단판(86)과, 일단은 바(85)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홈(83) 내주연에 연결되어 하강된 차단판(86)을 원상 복귀시키는 스프링(87)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기수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50)의 중앙 일측에 형성된 홀(81)과, 일단은 상기 홀(81)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게 손잡이(51)에 형성된 유로(82)와, 상기 손잡이(81)에 형성된 수직홈(83)과, 상기 홀(81)과 대응되는 보조 홀(88-1)이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회전판(88)과, 상기 수직홈(83)에 설치되며, 하단은 회전판(88) 중앙과 연결되고 상단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파지부(89)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내용기(30)의 통로(32)를 거쳐 본체(10)의 통공(12)으로 유분이 배출될 때 본체(10)의 저면에 유분이 쌓이게 된다. 이 유분이 모여 통공(12)을 통해 낙하하면 화재의 위험이 발생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저면 테두리 부분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며, 이 부분 일측에 기름배출수단(90)이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기름배출수단(90)은 본체(10)의 저면에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91)과, 상기 본체(10)의 저면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91)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며, 내측에 나사산(92)이 형성된 한 쌍의 호형 벽체(93)와, 상기 호형 벽체(93)에 체결되어 상기 구멍(91)을 폐쇄하는 볼트(9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볼트(94)가 풀려 구멍(91)이 개방되면, 한 쌍의 호형 벽체(9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분 즉, 기름이 구멍(91)으로 흘려 들어가며, 볼트(94)가 잠금되어 구멍(91)이 폐쇄되면 하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본체(10)의 저면 테두리 부분에 유분 즉, 기름이 보관된다. 따라서, 기름배출수단(90)은 내용기(30)를 분리한 후, 가열판(40)에 직접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기(30)의 수용부(32)에 조리물 즉, 생선을 넣고 기름을 두른 후 뚜껑(50)을 닫는다.
그런 다음, 가스렌지(미도시함)를 점화한다.
그러면, 점화된 불꽃이 열변환체(30)를 거친 후 낮은 온도로 변환된다. 즉, 1200℃의 온도가 열변환체(30)를 거친 다음 600~700℃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가열판(40)이 가열되고 이로 인해 내용기(30) 또한 가열된다.
그리고, 가스렌지의 불꽃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는 본체(10)의 통공(12)과, 본체(10)와 내용기(30) 사이의 공간과, 내용기(30)의 통로(32)를 통해 수용부(31)에 전달되고, 뚜껑(50)에 형성된 복사열 반사판(70)에 의해 내부 온도가 빨리 상승하며, 생선의 윗부분에도 열기가 전달되어 조리 시간이 단축된다.
내부 온도 상승에 의해 조리가 되며, 이때 생선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과 기름에 의해 유분이 함유된 증기와, 연기와, 냄새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조리 전에 기름배출수단(90)의 볼트(94)를 호형 벽체(93)에 체결 조임하여 본체(10) 저면에 형성된 구멍(91)을 폐쇄하여 기름을 보관하며, 배기수단(80)의 스위치(84)를 조작하여 차단판(86)이 홀(81)을 폐쇄하거나, 또 다른 배기수단(80)의 회전판(88)을 회전하여 보조홀(88-1)과 홀(81)이 대응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뚜껑(50)에 형성된 홀(81)을 폐쇄한다.
즉, 뚜껑(50)에 형성된 홀(81)을 막음으로써, 조리용기 내부에 발생되는 증기와, 연기와, 냄새는 내용기(30)의 통로(32)와, 내용기(30)와 본체(10) 사이의 공간과, 본체(10)에 형성된 통공(12)을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가스렌지에 의해 발생된 불꽃에 의해 유분이 함유된 증기와, 연기와, 냄새가 희석된다.
한편, 기름을 쓰지 아니하며, 냄새가 적게 발생하는 음식을 조리할 때에는 배기수단(80)을 조작하여 뚜껑(50)에 형성된 홀(81)을 개방하여 상기 홀(81)과 손잡이(51)에 형성된 유로(82)를 통해 증기와 열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수용공간, 12 : 통공, 13 : 제1플랜지, 14 : 제1 수직돌출부, 15 : 돌부, 16 : 제1밀착부, 17 : 파지손잡이, 20 : 열변환체, 21 : 판체, 22 : 망, 30 : 내용기, 31 : 수용부, 32 : 통로, 33 : 제2플랜지, 34 : 제2 수직돌출부, 35 : 홈, 36 : 제2밀착부, 40 : 가열판, 41 : 지지브라켓, 50 : 뚜껑, 51 : 손잡이, 60 : 내부패킹, 65 : 외부패킹, 70 : 복사열 반사판, 80 : 배기수단, 81 : 홀, 82 : 유로, 83 : 수직홈, 84 : 스위치, 84-1 : 캠, 85 : 바, 86 : 차단판, 87 : 스프링, 88 : 회전판, 88-1 : 보조 홀, 89 : 파지부, 90 : 기름배출수단, 91 : 구멍, 92 : 나사산, 93 : 호형 벽체, 94 : 볼트

Claims (12)

  1.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통공에 설치되는 열변환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수용부가 형성되며, 측벽에 하나 이상의 통로가 형성된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저면에 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판;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본체에 안착되며, 손잡이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판환체는 복수 개의 수직 구멍이 형성된 판체로 이루어지거나,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은 본체의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측 외주연에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제1 플랜지 끝단에 제1 수직돌출부가 형성되며, 이 제1 수직돌출부 하측 내주연에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는 상측 외주연에 제2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제2 플랜지 끝단에 제2 수직돌출부가 형성되며, 이 제2 수직돌출부 하측 외주연에 상기 돌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본체와 내용기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외부패킹이 설치되고 이 외부패킹과 접촉하는 제1 밀착돌기가 상기 제1 수직돌출부 하단 외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뚜껑에 외부패킹이 설치되고 이 외부패킹과 접촉하는 제2 밀착돌기가 상기 제2 수직돌출부 하단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내부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 내측에 고정나사에 의해 복사열 반사판이 더 구비되며, 이 복사열 반사판은 뚜껑과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저면 테두리 부분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며, 이 부분 일측에 기름배출수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름배출수단은
    상기 본체의 저면에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본체의 저면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호형 벽체와,
    상기 호형 벽체에 체결되어 상기 구멍을 폐쇄하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배기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기 수단은
    상기 뚜껑에 형성된 홀과,
    일단은 상기 홀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게 손잡이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수직홈과,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형성되며, 캠이 형성된 일부가 수직홈에 수용됨과 더불어 시소 운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시소 운동 시 캠에 의해 하강하는 바와,
    상기 바의 하단에 설치되며, 바의 하강 시 홀을 폐쇄하는 차단판과,
    일단은 바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홈 내주연에 연결되어 하강된 차단판을 원상 복귀 시키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기 수단은
    상기 뚜껑에 형성된 홀과,
    일단은 상기 홀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게 손잡이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수직홈과,
    상기 홀과 대응되는 보조 홀이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수직홈에 설치되며, 하단은 회전판 중앙과 연결되고 상단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KR20130054947A 2013-05-15 2013-05-15 조리용기 KR20140134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947A KR20140134913A (ko) 2013-05-15 2013-05-15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947A KR20140134913A (ko) 2013-05-15 2013-05-15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913A true KR20140134913A (ko) 2014-11-25

Family

ID=5245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4947A KR20140134913A (ko) 2013-05-15 2013-05-15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9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3640A (zh) * 2018-08-15 2018-10-26 东莞市史雷帝三维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可减少烟尘的温度自调控锅
CN110313798A (zh) * 2019-07-11 2019-10-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的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3640A (zh) * 2018-08-15 2018-10-26 东莞市史雷帝三维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可减少烟尘的温度自调控锅
CN108703640B (zh) * 2018-08-15 2021-05-07 东莞市史雷帝三维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可减少烟尘的温度自调控锅
CN110313798A (zh) * 2019-07-11 2019-10-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的控制方法
CN110313798B (zh) * 2019-07-11 2020-06-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470B2 (en) Double walled domed electric roasting oven
EP2433529B1 (en) Improved two-way heating cooker
US5197379A (en) Outdoor cooker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US2300837A (en) Electric cooker
JP2004160207A (ja) 調理装置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KR20140134913A (ko) 조리용기
KR20120073847A (ko)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이중뚜껑 조리용기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JP5612792B1 (ja) 調理器用のグリル装置
KR20130007807A (ko) 개량형 불판장치
KR20120057475A (ko)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이중뚜껑 조리용기
KR20110046002A (ko) 구이용 불판
JP2008054893A (ja) 陶器製調理具
KR100655907B1 (ko) 원적외선 전기조리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102023759B1 (ko) 전기구이기구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100580564B1 (ko) 구이장치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