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336A - 바운서 또는 바운싱 요람 및 이를 위한 프레임 - Google Patents

바운서 또는 바운싱 요람 및 이를 위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336A
KR20140134336A KR1020147029559A KR20147029559A KR20140134336A KR 20140134336 A KR20140134336 A KR 20140134336A KR 1020147029559 A KR1020147029559 A KR 1020147029559A KR 20147029559 A KR20147029559 A KR 20147029559A KR 20140134336 A KR20140134336 A KR 2014013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spacer
frame
bouncer
se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니에 토레 브루스타드
안드레아스 무라이
안데르스 에우구스트 키틸센
욘 안드레 테이겐
Original Assignee
스토케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토케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스토케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4013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7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resiliently suspended or supported, e.g.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부 프레임 및 시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운서에 관한 것이다. 시트 프레임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기부 프레임에 대해 경사져 있다. 아기 바운서는 상기 시트 프레임을 기부 프레임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하는 지지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 지지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제 1 연결부에서 시트 프레임에 부착되고 또한 기부 프레임에도 부착되며, 따라서 바운서의 작동 중에 경사의 증가 및 감소가 번갈아 일어나게 되며 그리고 시트 프레임의 경사가 감소하면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가 기부 프레임에 대해 앞쪽으로 움직이고 또한 그 반대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바운서 또는 바운싱 요람 및 이를 위한 프레임{BOUNCER OR BOUNCING CRADLE AND A FRAME FOR SUCH}
본 발명은 바운서(bouncer) 또는 바운싱 요람 및 이를 위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바운서는 아기와 작은 어린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이 등에 과도한 부담을 받음이 없이 더 잘 볼 수 있도록 반쯤 세워진 위치에 앉아 있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바운서는 바운싱 운동의 정도, 세기 및 방향에 따라 아기가 만족하고 행복하도록 또한 아기가 안전하게 흔들리도록 그리고 예컨대 아기가 잠들도록 달래기 위해 상하 또는 바운싱 운동을 하면서 움직이게 해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운싱 운동은, 아기 자신이 그의 몸무게를 바운서 내에서 이동시키거나 어른이 바운서에서 완만하게 흔들거나 아래로 밀어서 일어날 수 있다.
많은 바운서들이 아기가 절반 점핑으로 그의 다리를 훈련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현재의 바운에서의 운동은 모든 아기들이 좋아하고 달래지게 하지는 않는 것 같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바운서는 이 바운서에 앉아 있는 아기나 작은 어린이가 움직일 수 있게 2개의 다른 원리에 주로 기초하고 있는데, 이는 즉 흔들 의자 운동 또는 단순 경사 운동이다.
US 6,361,106 및 US 2002/063457에는, 시트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만곡된 기부를 가지며 흔들 운동을 얻는 아기 흔들 의자를 위한 프레임이 기재되어 있다.
WO2008/004959에는, 단일의 피봇 장착부에서 회전/경사 운동을 위한 기부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갖는 바운싱 요람이 기재되어 있다.
아기들이 그들의 다리를 사용하도록 고무시켜주기 위한 소위 "아기 점퍼"가 US 3,076,628 및 US 3,066,906 와 같은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기부에 평행 힌지되는 시트는 상하 및 앞뒤로 움직일 때 수평 위치에 유지되고, 이와 동시에 점퍼는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전 바운서의 경사 또는 흔들 의자 운동만이 아닌, 보다즐거운 운동 패턴도 제공하는 바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간단하고 안전하며 또한 바운서의 접힘 없이 연속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한 시트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바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 목적은, 아기가 바운서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한손만 사용하여 그러한 각도 조정 또는 경사 조정을 할 수 있는 바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은, 경사를 유지한 채 움직이고/움직이거나 들어 올려질 수 있는 바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한 보관 및 운반을 위해 시트부가 기부 프레임부 상으로 납작하게 접힐 수 있는 바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은, 바운서를 접힌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에 따른 바운서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아기 바운서로 달성된다. 이 바운서는 기부 프레임 및 시트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 프레임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부 프레임에 대해 경사져 있다. 상기 아기 바운서는 상기 시트 프레임을 기부 프레임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하는 지지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 지지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제 1 연결부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에 부착되고 또한 기부 프레임에도 부착되며, 따라서 바운서의 작동 중에 상기 경사의 증가 및 감소가 번갈아 일어나게 되며 그리고 시트 프레임의 경사가 감소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가 기부 프레임에 대해 앞쪽으로 움직이고 또한 그 반대도 가능하다. 바운서의 경사가 감소할 때 회전 운동과 전진 운동의 조합으로, 아이는 바운서에서 더 자연스러운 흔들림을 경험하게 되고 그래서 아이는 더욱 만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부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의 사이의 15 ∼ 35 도의 내측 각도로 기부 프레임에 대해 경사진다. 이러한 경사는 아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 1 연결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기부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연결부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바운서가 그의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 각각은 기부 프레임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는 본 발명의 바운서의 의도하는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저렴하고 신뢰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 장치는 바운서의 경사의 변화에 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편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운서의 경사를 증가시키고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와 같은 외부 동력의 필요 없이 가역적이고 반복가능한 바운싱 운동이 상기 편향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편향 수단은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비틀림 스프링은 제 1 단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 중의 어느 하나에 부착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기부 프레임 또는 시트 프레임에 부착되며, 따라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바운서의 경사의 변화에 응하여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비틀림 스프링은 바운서를 앞뒤로 움직이게 유지하는 탄성 변형을 위한 튼튼하고 저렴한 수단을 제공한다 .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제 2 단부는 각각의 기부 프레임 또는 시트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의 제 2 단부에는 레버가 제공되어 있고, 이 레버는 길이 조정가능한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기부 프레임 또는 시트 프레임에 연결된다. 비틀림 스프링, 레버 및 길이 조정가능한 스페이서의 조합은, 바운서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는 튼튼하고 저렴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제 1 및 2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스페이서 요소의 외부에는 역 나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서 요소들은 부합하는 나사 슬리브에 의해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의 길이는 상기 슬리브의 회전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리하여, 한손만 사용하여 스페이서의 길이를 신속하게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스페이서 요소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신속 해제 기구, 및 캣치 아암을 포함하고, 이 캣치 아암은 상기 안내 수단 내에서의 스페이서 요소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잠금 위치 및 스페이서 요소가 상기 안내 수단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리하여, 슬리브를 건드리지 않으면서 바운서를 신속하게 접고 펼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며, 그리하여 바운서를 보관 후에 그의 바람직한 경사로 신속하게 셋업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부 프레임 및 시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운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후방 및 적어도 하나의 전방 이격 부재(들)에 의해 상기 기부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후방 이격 부재(들)는, 제 1 단부에서 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에 연결되고 제 2 단부에서는 후방 시트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 이격 부재(들)는, 제 1 단부에서 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에 연결되고 제 2 단부에서는 전방 시트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바운서의 수직 길이방향 면 내에서, 상기 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와 후방 시트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 사이의 거리(D1)는, 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와 전방 시트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 사이의 거리(D2)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일 대안예에서, D1 는 D2의 길이의 적어도 2배이고, 대안적으로 D2의 길이의 적어도 3배이며, 대안적으로 D2의 길이의 2 ∼ 4 배의 범위내에 있다. 대안예에서, 바운서의 확장 상태에서 후방 이격 부재(들)는 전방 이격 부재(들)와 펑행하지 않으며, 대안적으로, 후방 이격 부재(들)와 기부 프레임 사이의 각도는 전방 이격 부재(들)와 기부 프레임 사이의 각도 보다 작다.
일 대안예에서, 상기 후방 및 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 사이의 거리(D3)는, 후방 및 전방 시트 프레임 피봇 장착부 사이의 거리(D4)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일 대안예에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이격 부재(들) 사이의 각도는 스페이서에 의해 제한되며, 이 스페이서는 상기 후방 이격 부재(들), 전방 이격 부재(들), 기부 프레임 및 시트 프레임 중의 적어도 두개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시트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는 길이 조정가능할 수 있다.
일 대안예에서, 스페이서는 길이방향 슬롯을 가지며 이 슬롯은 그의 길이를 따라 서로 떨어져 있는 리세스들을 가지므로, 상기 스페이서는 길이 조정가능하며, 복귀 부재의 가로 부분은 상기 슬롯에 위치하여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들) 사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그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리세스에 끼워질 수 있다. 다른 대안예에서, 스페이서는 전방 및 후방 나사축을 포함하고 이 나사축은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그 커플링을 돌려서 상기 스페이서의 유효 길이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페이서는 길이 조정가능하다.
스페이서는 시트 프레임이 기부 프레임 상으로 접힐 수 있는 정도로 추가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제 1 및 2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 2 스페이서 요소는 제 1 스페이서 요소의 적합화된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스페이서 요소는 그들의 상호간 연결의 반대쪽 단부에서, 시트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한 바에 따라 추가로 길이 조정가능할 수 있다.
제 2 스페이서 요소는 리세스 또는 구멍과 같은 잠금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리세스 또는 구멍 안에는 핀과 같은 잠금 기구가 들어가, 예컨대 바운서의 확장 상태를 위해 제 2 스페이서 요소가 제 1 스페이서 요소에 대해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한다. 잠금 기구는 레버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이 레버는 작동시 상기 잠금 기구를 삽입하거나 잠금 요소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일 대안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제 1 단부에서 기부 프레임 또는 시트 프레임의 피봇 장착부들 중의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제 2 단부에서는 후방 이격 부재(들), 전방 이격 부재(들), 기부 프레임 또는 시트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부재에 상기 부재의 피봇 장착부로부터 떨어져서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선택된 부재는 스페이서의 제 1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피봇 장착부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스페이서의 제 2 단부는 후방 또는 전방 이격 부재(들)의 일 단부의 복귀 부재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대안예에서, 바운서는 후방 이격 부재(들), 전방 이격 부재(들), 기부 프레임, 시트 프레임 또는 복귀 부재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부재들 사이에 있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한다. 이 스프링 수단은 가요적인 후방 또는 전방 이격 부재(들) 및/또는 후방 또는 전방 이격 부재(들)의 단부와 그의 복귀 부재 사이의 비틀림 회전 및/또는 기부 프레임 또는 시트 프레임에 있는 스프링 하중식 슬라이딩 피봇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가지고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아니된다.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갖는 바운서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 는 도 1a 에 있는 바운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a 는 서로 중첩되어 있는 3개의 뒤로 젖혀진 위치에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바운서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b 는 도 2a 에 있는 3개의 뒤로 젖혀진 위치에 있는 시트 프레임만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a 는 서로 중첩되어 있는 3개의 뒤로 젖혀진 위치에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바운서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b 는 도 3a 에 있는 3개의 뒤로 젖혀진 위치에 있는 시트 프레임만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a 는 서로 중첩되어 있는 3개의 뒤로 젖혀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바운서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4b 는 도 4a 에 있는 3개의 뒤로 젖혀진 위치에 있는 시트 프레임만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1a 에 있는 바운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6b 는 2개의 다른 바운싱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바운서의 측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6c 는 도 6a 및 6b가 중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7 은 도 6a ∼ 6c 에 있는 바운서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a 및 8b 는 도 6a ∼ 6c 에 있는 바운서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8a 는 세워진 위치를 나타내고, 도 8b 는 뒤로 젖혀진 위치를 나타내며, 시트 각도 조절 기구에 대한 상세도가 함께 나타나 있다.
도 9a ∼ 9c 는 도 6a ∼ 6c 에 있는 바운서의 측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운서를 접기 위한 잠금 기구에 대한 상세도가 포함되어 있고, 도 9a 는 바운서가 확장 상태에 있을 때 잠겨 있는 기구를 나타내며, 도 9b 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기구를 나타내고, 도 9c 는 바운서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잠금 해제되어 있는 기구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다른 명시적인 언급이 없으면 아래와 같이 이해되어야 하는 다음과 같은 용어들을 사용할 것이다.
용어 "전방에 있는", "앞쪽으로", "전방" 및 "앞쪽으로 향하는" 은 주로 수평인 방향을 의미하며, 정상적인 사용 중에 바운서에 앉아 있는 아기의 얼굴과 가슴이 그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또한, 용어 "뒤에 있는", "뒤쪽으로", "후방" 및 "뒤쪽으로 향하는" 은 주로 수평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며, 바운서의 정상적인 사용 중에 바운서에 앉아 있는 아기의 등이 향하게 되는 방향이다.
용어 "후방" 및 "전방"은 어떤 부분들 또는 물체들의 서로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반드시 바운서에서의 그들의 실제 위치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길이방향"은 바운서의 대칭면 내에서 주로 수평인 방향을 의미하고, 용어 "측방" 또는 "가로"는 바운서의 대칭면에 수직인 일반적으로 수평인 방향을 의미한다. "안쪽으로"는 바운서의 대칭면 쪽을 향하는 측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가지고 본 발명을 설명하며, 이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a 및 1b 는 확장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바운서(100)의 일 실시 형태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바운서(100)는 바닥과 같은 지지부 상에 바운서를 수용하기 위한 기부 프레임(10), 및 시트(seat) 지지부(30)를 갖는 시트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시트 프레임(20)은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의 쌍에 의해 기부 프레임(1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쌍의 상기 이격 부재들 어떤 것도, 유사한 기능을 얻는데 적절한 형상과 폭을 갖는 단일의 이격 부재료로 대안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기부 프레임(10)은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측면부(11)를 포함하며, 이들 두 측면부는 앞쪽에서 전방 가로 프레임부(1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있고 뒤쪽에서는 후방 가로 프레임부(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가로 프레임부는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부 프레임은 길이방향 측면 부분(11)들 사이에서 가로 부분(15)을 포함하는데, 이 가로 부분은 기부 프레임(10)을 시트 프레임(20)에 연결하는 전방 이격 부재(50)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기부 프레임은 프레임을 강화하기 위한 수개의 가로 또는 길이방향 부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 연결 또는 이격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부 프레임(10)은 주로 중실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하지만 예컨대 용이한 운반을 위해 중량을 줄이기 위해 더 개방적인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시트 프레임(20)은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측면 부분(21)을 포함하는데, 이들 두 측면 부분은 앞쪽에서 전방 가로 프레임부(22)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뒤쪽에서는 후방 가로 프레임부(2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두 가로 프레임부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시트 지지부(30)가 시트 프레임(20) 및 그의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그 위에 걸쳐 있다. 시트 지지부는 뒤에서 앞으로 가면서 3개의 주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데, 머리 및 등받이 부분(31), 시트 부분(32) 및 다리 받침부(33)을 포함하며, 아기가 바운서에 누워 있거나 앉아 있을 때 그 아기를 편안하게 지지해준다. 시트 지지부(30)는, 이 시트 지부의 상기 부분의 지지와 형상이 유지되도록 예컨대 시트 부분(32)에서 직물과 같은 가요성 재료(강성 또는 반강성적인 일체화된 부분을 가질 수 있음)를 포함한다. 동시에, 시트 프레임(20)이 기부 프레임 상으로 접혀져 일반적으로 납작하게 되도록 그러한 강성 또는 반강성적인 부분은 인접한 부분에 가요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여기서, 도 1a 및 1b 의 실시 형태에서, 시트 프레임(20) 및 기부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 시트 프레임(20)이 기부 프레임(10) 상으로 접어질 수 있고 또한 대안적으로는, 기부 프레임(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바로 지나는 시트 프레임(20)의 외부 하향 가장자리에 의해 기부 프레임 상으로 스냅될 수 있다. 상기 접힘성으로 인해, 바운서는 특히 납작하게 될 수 있고 또한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취급하고 운반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도 2a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바운서(200)의 세 바운싱 위치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기부 프레임(210)은 단일의 피봇 연결부(250)에 의해 시트 프레임(220)에 연결되어 있고, 여기서 그 피봇 연결부는 상기 두 프레임 사이에 있는 가요성 프레임 부분의 형태로 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220)의 길이방향 측면 부분(221)은 그 시트의 윤곽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바운서(200)의 세 위치는 예컨대 세워진 위치, 뒤로 젖혀진 위치 및 중간의 이완 위치이다.
도 2b 는 도 2a 의 시트 프레임의 운동을 단순화시켜 도시하는데, 세워진 위치(221a)로부터 중간 위치(221b)를 거쳐 뒤로 젖혀진 위치(221c)로 가는 운동에서시트의 경사 상태를 나타내면서 시트 프레임의 측면 부분(221)의 위치만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의 후방 부분은 화살표(201)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운동 중에 아래쪽 및 뒤쪽 모두로 움직이며, 시트의 전방 부분은 화살표(202)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약간 뒤쪽으로 회전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전체적으로, 이 바운서의 시트는 전체적으로 화살표(203)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가상의 회전 중심(204)은 시트의 전방 단부의 약간 아래쪽에 위치된다. 이러한 회전 운동의 효과로, 아기의 머리는 다소 긴 원형의 이동 경로를 따르게 된다.
도 3a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바운서(300)의 세 바운싱 위치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기부 프레임(310)은 시트 프레임(320)에 연결되어 있고, 이 기부 프레임(310)은 길이 방향으로 바닥을 향해 흔들 의자 처럼 오목하게 성형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320)의 길이방향 측면 부분(321)은 여기서도 시트의 윤곽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바운서(300)의 세 위치는 예컨대 세워진 위치, 뒤로 젖혀진 위치 및 중간의 이완 위치이다.
도 3b 는 도 3a 의 시트 프레임의 운동을 단순화시켜 도시하는데, 세워진 위치(321a)로부터 중간 위치(321b)를 거쳐 뒤로 젖혀진 위치(321c)로 가는 운동에서시트의 경사 상태를 나타내면서 시트 프레임의 측면 부분(321)의 위치만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의 후방 부분은 화살표(301)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운동 중에 아래쪽 및 특히 뒤쪽 모두로 움직이며, 시트의 전방 부분은 화살표(302)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위쪽 및 뒤쪽으로 움직인다. 전체적으로, 이 바운서의 시트는 전체적으로 화살표(303)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가상의 회전 중심(304)은 시트의 거의 바로 밑에 위치된다. 이러한 회전 운동의 효과로, 아기의 머리는 엄마의 편안한 팔에 안겨 흔들릴 때와 유사한 가속이 아닌 흔들 의자 처럼 롤링 운동을 하게 된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바운서(100)의 세 바운싱 위치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기부 프레임(10)은 이중의 힌지식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를 통해 시트 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20)의 길이방향 측면 부분(21)은 시트의 윤곽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바운서(100)의 세 위치는 예컨대 세워진 위치, 뒤로 젖혀진 위치 및 중간의 이완 위치이다.
도 4b 는 도 4a 의 시트 프레임의 운동을 단순화시켜 도시하는데, 세워진 위치(21a)로부터 중간 위치(21b)를 거쳐 뒤로 젖혀진 위치(21c)로 가는 운동에서 시트의 경사 상태를 나타내면서 시트 프레임의 측면 부분(21)의 위치만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의 후방 부분은 화살표(101)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운동 중에 아래쪽으로 움직이고 또한 뒤쪽으로는 약간만 움직이게 되고, 시트의 전방 부분은 화살표(102)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약간 전방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이 바운서의 시트는 전체적으로 화살표(103)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가상의 회전 중심(304)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시트의 전방 단부 위쪽에 위치된다. 이러한 회전 운동의 효과로, 아기가 성인의 팔에 완만하게 흔들릴 때 경험하게 되는 자연스런 움직과 더 유사한 흔들 운동이 더 많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운동은, 종래 기술의 단일 힌지식 바운서와 비교하여 아기에게 스트레를 덜 주고 또한 아기 머리의 이동 경로를 줄여주며, 동시에 흔들 의자형 바운서와 비교해 아기 다리의 이동 경로도 줄여 준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바운서(100)의 상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기부 프레임(10)은 후방 및 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400, 500)을 포함하고,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의 제 1 단부(41, 51)는 기부 프레임의 후방 부분(13) 및 전방 부분(12)에 각각 힌지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20)은 후방 및 전방 시트 피봇 장착부(401, 501)을 더 포함하며,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의 제 2 단부(42, 52)는 시트 프레임에 각각 힌지된다. 피봇 장착부와 관련한 "후방" 및 "전방"은 그들의 서로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드시 상기 프레임 상에서의 그들의 실제 위치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시트 프레임(20)에 있는 두 후방 및 전방 시트 피봇 장착부(401, 501)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 부분에 위치되며, 전방 이격 부재(50)를 위한 장착부는 후방 이격 부재(40)를 위한 장착부의 앞쪽에 위치된다. 그 결과, 시트가 아기를 위해 적당히 절반 정도 뒤로 젖혀진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후방 이격 부재(40)는 전방 이격 부재(50) 보다 상당히 더 길게 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서는 그 길이의 3배 이상이다. 상기 이격 부재(40, 50)의 길이는 회전시 그들의 유효 회전 반경에 영향을 주고 그래서 그들의 운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 후방 및 전방 기부 피봇 장착부(400, 500)를 갖는 기부 프레임(10)은 지지부(즉, 바닥) 상에 움직이지 못하게 놓여 있으며, 그래서 후방 및 전방 시트 피봇 장착부(401, 501)의 운동은 화살표(105, 106)로 각각 나타나 있는 운동을 하게 된다. 후방 이격 부재(40)는 전방 이격 부재(50) 보다 상당히 더 길게 되어 있으므로, 후방 이격 부재는 전방 이격 부재 보다 큰 회전 반경을 갖게 된다. 시트의 예시적인 경사 위치에서, 후방 이격 부재(40)는 또한 전방 이격 부재(50)(약 45°) 보다 더 경사져 있다(약 30°). 바운싱 중에, 후방 시트 피봇 장착부(401)의 운동은 주로 수직 방향으로 일어나고 이때 길이방향 운동은 비교적 더 작으며, 전방 시트 피봇 장착부(501)의 운동은 전방 이격 부재(50)의 초기 각도 때문에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모두로 일어난다. 그래서 시트의 결과적인 운동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살표(101, 102)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운동 성분 모두를 갖게 된다.
바운서가 접히지 않고 확장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의 회전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회전 잠금 수단에 의해 서로에 대해 잠금되어야 한다. 그 수단은 피봇 장착부(400, 401, 500 및/또는 501) 중의 하나 이상에서 회전을 잠그는 것이거나 또는 다른 수단이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회전 감금은, 후방 이격 부재, 전방 이격 부재, 기부 프레임 및 시트 프레임 중의 임의의 두개에 연결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스페이서는 상기 부재 또는 프레임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 위치된다. 최소한으로, 시트와 기부 프레임 및 이격 부재들이 병렬 구성이 아니라면, 그러한 스페이서의 적어도 제 1 부분은 상기 부재 또는 이것과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의 피봇 장착부로부터 떨어져 연결될 필요가 있고, 제 2 부분은 다른 부재 또는 프레임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부재 또는 이것과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의 피봇 장착부 외의 다른 피봇 장착부들 중의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일시적인 조정가능한 잠금이 스페이서(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스페이서는 그의 전방 단부에서 시트 프레임(20)의 전방 부분에 힌지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 이격 부재(50)와 동일한 전방 피봇 장착부(501)에 힌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60)는, 후방 시트 피봇 장착부(401)로부터 뒤로 돌출되어 있는 후방 이격 부재(40)의 복귀 부재(43)에 의해 후방 이격 부재(40)의 제 2 단부에 힌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복귀 부재(43)는 후방 이격 부재(40)과 비교하여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진 각도를 갖는다. 상기 스페이서(60)로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 사이의 각운동을 잠금으로써, 시트는 바운서의 확장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스페이서(60)는 길이방향 슬롯(63)을 포함하며, 이 슬롯(63)은 그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하향 리세스(63)들을 가지며, 그 슬롯은 뒤쪽 방향으로 열려 있다. 복귀 부재(43)의 자유 단부(44)에 있는 가로 부분은 상기 슬롯(63)에 위치되어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 사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그 리세스(62) 안으로 끼워져 상기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복귀 부재(43)의 자유 단부(44)를 개방단 슬롯(63) 밖으로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바운서는 납작하게 접힐 수 있다. 시트 프레임(20)이 기부 프레임(10) 상으로 접힐 수 있도록, 시트 프레임(20)의 후방 단부에서 후방 시트 피봇 장착부(401)까지의 거리는, 기부 프레임(10)의 후방 단부와 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400) 사이의 거리와 후방 이격 부재(40)의 길이의 합과 대략 같아야 한다. 유사하게, 시트 프레임(20)의 전방 단부에서 전방 시트 피봇 장착부(501)까지의 거리와 전방 이격 부재(50)의 길이의 합은, 기부 프레임(10)의 전방 단부와 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500) 사이의 거리와 대략 같아야 한다. 일 대안예에서는, 바운서가 접힐 때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의 겹침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 이격 부재(40)의 길이는 후방 및 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400, 500)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되어 있다.
도 4a 및 4b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운서가 바운싱 운동 또는 페더링(feathering) 효과를 갖도록,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의 서로에 대한 회전은 스프링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은 하중은 스페이서 없이 피봇 장착부(400, 401, 500 및/또는 501) 중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얻어질 수 있는데, 이들 피봇 장착부는 비틀림 스프링 장착부를 제공하고 그래서 이격 부재(40 또는 50) 중 임의의 이격 부재의 하나 이상의 단부의 각회전 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이격 부재(40 또는 50) 또는 복귀 부재(43)는 가요적이거나 휨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스페이서(60)의 길이는 유연할 수 있고 또는 피봇 장착부들 중의 어떤 것도 이격 부재 또는 프레임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도 6a 및 6b 는 바운서(100) 및 그의 바운싱 또는 흔들 운동을 도시한다. 이 바운서는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를 포함하고, 스페이서(600)는 그의 전방 단부에서 전방 시트 피봇 장착부(501)에 힌지되어 있으며, 후방 이격 부재(40)는 복귀 부재(43)를 포함하고, 이 복귀 부재는 그의 단부(44)에서 상기 스페이서(600)의 제 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페이서(600)는 이 실시 형태에서 전방 및 후방 나사축을 포함하는데, 이 나사축은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그 커플링을 단순히 돌려서 상기 스페이서의 유효 길이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6a 는 확장 위치에 있는 바운서(100)를 도시하는데, 이때 시트 프레임(20)은 상대적인 세워진 위치에 있다. 후방 이격 부재(40)는 상대적인 경사 각도(약 30°)에 있으며, 전방 이격 부재(50)는 거의 수직이다. 이 실시예에서, 평행한 금속 로드를 포함하는 후방 이격 부재(40)는 어느 정도 가요적인데, 그래서 시트 프레임은 아래로 앞쪽으로 경사질 수 있고 또한 도 6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들 사이의 회전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가요성의 전체적인 효과가 도 6c 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도 6a 및 6b 가 중첩된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이격 부재(40)는 아주 중요하게 아래쪽으로 휨 상태로 휘어져 있으며, 전방 이격 부재(50)는 앞쪽으로 또한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어, 시트 프레임(20)은 흔들 운동을 하게 된다. 도 6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이격 부재(40)와 그의 복귀 부재(43) 사이의 각도는 하부 위치에서 보다 상부 위치에서 더 작으며, 이는 상기 두 부분이 연결되면 그들 부분 사이에 비틀림 회전이 또한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후방 이격 부재(40)가 강성적이고 가요적이지 않는 경우에, 비틀림 스프링 효과 처럼 후방 이격 부재(40)와 그의 복귀 부재(43) 사이에 스프링 하중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 은 도 6a ∼ 6c 에 있는 바운서의 배면도를 나타내는데, 후방 이격 부재(40)와 그의 복귀 부재(43)의 상기 배치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후방 이격 부재(40)는, 제 1 및 2 단부(41, 42)를 갖는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로드를 갖는 폐쇄형 또는 부분 폐쇄형 프레임에 연결되거나 그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제 1 단부(41)들은 서로의 쪽으로 옆으로 둥글게 되어 있어 기부 프레임(10)의 후방 피봇 장착부(400)에서 힌지되어 있다. 제 2 단부(42)들은 측방 가로편(45) 쪽으로 안쪽으로 둥글게 되어 있고, 시트의 후방 피봇 장착부(41)에 있는 시트 프레임(20)에 힌지되며, 이 실시예에서 그 장착부는 가로편(45)을 수용하는 클립(24)이다. 측방 가로편(45)의 안쪽 단부는 길이방향 복귀 부재(43) 안으로 평행하게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방 단부(44)는 상호 측방편 안으로 안쪽으로 향해 있으며, 그 측방편은 스페이서의 후방 피봇 장착부(601)를 통해 스페이서(600)의 후방 단부에 힌지된다. 길이방향 복귀 부재(43)는 그의 경사에 있어서 후방 이격 부재(40)의 나머지의 경사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고, 그 경사는 바운서(100)의 대칭면 내에서의 경사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시트의 운동과 관련하여 대안적인 스프링 하중을 얻기 위해, 가로편(45)은 비틀림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후방편(43)과 후방 이격 부재(40)는 시트로부터 상기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다른 대안예에서, 스페이서(600)는 스페이서 내부에 있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신축자재할 수 있음)에 의해 스프링 하중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인 충격 흡수기 구성과 유사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스페이서(600)는 레버(700)에 의해 작동되면 확장될 수 있게 해주는 신축자재 기능을 포함하며, 그 레버는 바운서의 접힘을 가능하게 해주나디.
도 8a 및 8b 는 2개의 다른 확장 상태에 있는 바운서를 도시하는데, 도 8a 에서 시트는 도 8b 와 비교하여 각도(A)로 더 세워진 위치에 있고, 도 8b 에서 시트는 각도(B)로 뒤로 더 젖혀진 위치에 있으며, 두 각도는 기부 프레임 또는 지지부에 대한 것이다. 시트의 각도 위치의 차이는 스페이서(600)의 길이에 의해 조절되며, 두 도면은 또한 상기 스페이서(600)의 상태를 상세도로 보여주고 있다.
스페이서(600)는 후방 스페이서 피봇 장착부(601)에서 복귀 부재(43)의 후방 단부(44)에 힌지되어 있는 후방 스페이서 요소(610)를 포함한다. 이 스페이서(600)는 또한 피봇 장착부(501)에서 시트 프레임(20)에 힌지되어 있는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는 뒤에서 설명할 추가적인 기능을 위한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를 또한 내장한다. 그러나, 상기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는 대안적으로 시트 각도 조절 목적으로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의 일체화된 부분이 될 수 있다.
후방 및 전방 스페이서 요소(610, 620)는 스페이서(600)를 짧게 하거나 길게 하기 위한 거리 조절 수단(640)에 의해 연결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거리 조절 수단은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640)이며, 이 슬리브는 후방 및 전방 스페이서 요소(610, 620)의 대향하는 나사 단부를 수용하게 되며(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슬리브가 회전하면 스페이서 요소(610, 620)는 서로를 향해 물러나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게 분리된다.
도 8a 에서, 스페이서(60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어 있어 시트는 각도 A 의 세워진 위치에 있으며, 후방 및 전방 스페이서 요소(610, 620)는 서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스페이서(600)가 짧아지면, 시트 프레임(20)의 전방 부분과 후방 이격 부재(40)의 전방 부분(복귀 부재로 인해 전방 단부에서 떨어져 있음)사이의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시트 각도가 커지게 되며, 그래서 전방 이격 부재(50)는 뒤쪽으로 세워지며 후방 이격 부재(40)는 시트 프레임의 힌지식 장착부 사이의 설정된 거리 때문에 다소 위로 뒤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8b 에서, 스페이서(600)의 길이가 늘어나 있어 시트는 각도 B 의 뒤로 젖혀진 위치에 있으며, 후방 및 전방 스페이서 요소(610, 620)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스페이서(600)가 늘어나면, 시트 프레임(20)의 전방 부분과 후방 이격 부재(40)의 전방 부분(복귀 부재로 인해 전방 단부에서 떨어져 있음)사이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시트 각도는 작아지게 되며, 그래서 전방 이격 부재(50)는 앞쪽으로 또한 다소 아래쪽으로 움직이고 후방 이격 부재(40)는 다소 아래로 앞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격 부재들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거리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스페이서(600)의 길이가 비교적 작게 변해도 시트 각도가 상당히 중요하게 변하게 됨을 주목해야 한다. 그래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 및 상호 작용 스페이서 편(610, 630)에서 비교적 거친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슬리브(640)의 작은 회전 조정으로도(예컨대, 반회전, 완전 1회전 또는 완전 2회전), 시트의 요망되는 각도 변화를 주는데 충분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나타나 있는 선택적인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는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중간 스페이서 요소는 원통 형태로 된 전방 부분을 가지며, 이 부분은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의 적합화된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의 후방 단부는 외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슬리브(640)와 결합한다.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의 전방 단부(632)는 외부 잠금 기구(703)와 협력하는 잠금 요소(633)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의 잠금 요소(633)는 리세스(또는 구멍)이고, 상기 잠금 기구(703)(이 경우에는 핀의 형태임)가 그 리세스에 들어가,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가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에 대해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한다. 잠금 기구(703)는 레버(702)에 의해 작동되며, 이 레버는 작동시 상기 핀(703)을 삽입 또는 제거하여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가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 내부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하게 해준다. 이 실시 형태에서 상기 잠금 요소(633)의 리세스는 이의 전방 상부 가장자리에서 작은 후향 립 또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유사하게, 상기 리세스에 들어가는 상기 잠금 기구(703)는 전방 돌출부 또는 신발 형태로 되어 있어, 핀을 상기 립 아래에 유지시킨다. 이 대안예는 잠금 요소로부터 잠금 기구를 풀어 바운서를 접기 전에 어떤 힘 또는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를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 안으로 더 삽입하는 것과 관련한 요건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은 스페이서의 잠금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 "클릭" 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 ∼ 9c 는 운반 또는 보관 위치에서 바운서가 어떻게 접히고 잠금되는가를 도시한다.
도 9a 에서, 바운서는 확장되어 있고, 시트 프레임(20)은 기부 프레임(10)에 대해 각진 위치에서 있으며 스페이서(600)에 의해 위치 유지된다. 스페이서(600)는 다소 확장된 시트 조절 모드에 있으며(후방 스페이서 요소(610)는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로부터 분리되어 있음), 나타나 있는 시트의 기울기를 제공한다. 슬리브를 돌리면 시트는 이 위치로부터 경사질 수 있고 가요적인 후방(또는 전방) 이격 부재(40/50)로부터 주어지는 스프링 하중, 복귀 부재(43)의 스프링 비틀림 또는 스페이서(600)의 스프링 하중이 아기 또는 돌보는 사람에 의해 흔들릴 때 바운서의 흔들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도로부터,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가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의 하우징 안에 어떻게 위치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잠금 요소(633)는 잠금 기구(703)와 정렬되는데, 이 잠금 기구는 상기 잠금 요소 안에 들어가 있다. 잠금 기구(703)는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에 있는 그의 회전 장착부(701)를 통해 손잡이(702)에 의해 회전되어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로부터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중간 스페이서 요소는 시트를 접기 위해 뒤쪽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핀의 상기 전방 돌출부는 잠금 요소(633)의 전방 상부 가장자리에 있는 후향 립 또는 돌출부에 의해 차단된다. 그레서, 스페이서(600)를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핀(730)의 전방 단부가 잠금 요소(633)의 후향 립에서 벗어나도록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시트 중량 및 가능한 경우에는 그 안에 있는 아기의 중량에 의해 뒤쪽으로 힘을 받음)를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 안으로 다소 앞으로 밀어야 한다.
도 9b 에서, 잠금 기구(703)(여기서는 핀)는 잠금 요소(633),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에 있는 구멍 또는 리세스로부터 빠져 있고,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는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의 하우징 밖으로 뒤쪽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어, 시트가 접힘힐 수 있다. 잠금 기구(703) 및 손잡이(702)의 회전은 스프링 하중을 받을 수 있으며, 이 스프링 하중에 의해 잠금 기구는 잠금 요소 쪽으로 밀리게 된다. 그래서 스페이서가 확장되기 시작할 때까지 손잡이를 눌러야 하다. 그후, 손잡이(702)를 놓아주면, 잠금 기구는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의 하우징의 빈 부분 안으로 다시 경사질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상호 피봇 장착부(501)(전방 이격 부재(50)의 상단부 및 스페이서(600)의 전방 단부 모두의)는,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의 하우징 안으로 삽입될 때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의 전방 단부를 위한 상기 장착부의 핀에 스탑퍼를 제공한다.
도 9c 에서, 바운서는 접혀 있는데, 시트 프레임(20)은 기부 프레임(10) 상에 놓여 있고, 두 프레임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스페이서(600)를 수용한다. 상세도로부터, 스페이서(600)가 여전히 약간 확장된 시트 조절 모드에 있음을 알 수 있다(후방 스페이서 요소(610)는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로부터 분리되어 있음). 그러나,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가 부분적으로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 밖으로 뒤쪽으로 더 슬라이딩했으므로, 스페이서는 추가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스페이서(600)의 이 확장으로 인해, 후방 및 전방 이격 부재(40, 50) 모두가 실제로 수평인 위치로 앞으로 내려가서 기부 프레임(10) 상에 높여 있는 시트 프레임(20)사이의 공간 내에 적층된다. 이 도에서 손잡이(702)는 가능한 스프링 하중에 대항하여 여전히 작동된다. 그러나, 상기 손잡이를 놓아주면, 잠금 기구(703)가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의 하우징의 빈 부분 안으로 들어갈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시트 프레임(20)은 단지 기부 상에 정밀하게 끼워짐으로써, 가능한 경우에는 두 프레임이 함께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 영역을 배치함으로써, 또는 가능한 경우에는 스냅 로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로크를 사용하여 기부 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잠금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페이서 내부의 잠금 장치는, 스페이서를 도 9c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확장 상태에서 잠그기 위해 제 2 세트의 잠금 요소 및/또는 잠금 기구를 중간 및 전방 스페이서 요소(630, 620)에 제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9b 에서 처럼 바운서를 다시 확장시킬 때,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가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의 하우징의 전체 길이에 들어가고 잠금 요소(633)가 잠금 기구(703)와 정렬될 때까지 시트 프레임(20)이 상승 된다.
중간 스페이서 요소의 전방 단부는 경사진 전방 단부를 갖는데, 이 전방 단부는 잠금 기구(630)의 경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뒤쪽으로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중간 스페이서 요소(630)를 다시 삽입하면, 그의 전방 단부는 스프링 하중에 저항하면서 잠금 기구(703)를 전방 스페이서 요소(620)의 하우징 밖으로 밀어 낸다. 중간 스페이서 요소가 하우징 안에 완전히 삽입되면, 잠금 기구(703)는 손잡이(702)의 작동에 대한 필요 없이 스프링 하중에 의해 잠금 요소(633)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되며, 그래서 시트 프레임(20)이 위치 고정된다.
슬리브를 돌리면 시트는 이 위치로부터 경사질 수 있고, 가요적인 후방(또는 전방) 이격 부재(40/50)로부터 주어지는 스프링 하중, 복귀 부재(43)의 스프링 비틀림 또는 스페이서(600)의 스프링 하중이 아기 또는 돌보는 사람에 의해 흔들릴 때 바운서의 흔들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부 프레임(10) 및 시트 프레임(20)을 포함하는 바운서(bouncer)로서,
    상기 시트 프레임(20)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부 프레임(20)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상기 바운서는 상기 시트 프레임(20)을 기부 프레임(10)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하는 지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제 1 연결부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20)에 부착되고 또한 기부 프레임(10)에도 부착되며, 따라서 바운서의 작동 중에 상기 경사의 증가 및 감소가 번갈아 일어나게 되며 그리고 시트 프레임(20)의 경사가 감소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부가 기부 프레임(10)에 대해 앞쪽으로 움직이고 또한 그 반대도 가능한 바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20)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부 프레임(10)과 시트 프레임(20)의 사이의 15 ∼ 35 도의 내측 각도로 기부 프레임(10)에 대해 경사지는 바운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 1 연결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기부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연결부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운서가 그의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 각각은 기부 프레임(10)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바운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바운서의 경사의 변화에 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편향 수단을 포함하는 바운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은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고, 이 비틀림 스프링은 제 1 단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 중의 어느 하나에 부착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기부 프레임(10) 또는 시트 프레임(20)에 부착되며, 따라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바운서의 경사의 변화에 응하여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바운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제 2 단부는 각각의 기부 프레임(10) 또는 시트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며, 비틀림 스프링의 제 2 단부에는 레버가 제공되어 있고, 이 레버는 길이 조정가능한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기부 프레임(10) 또는 시트 프레임(20)에 연결되는 바운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제 1 및 2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하며, 이들 스페이서 요소의 외부에는 역 나사(inverse thread)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서 요소들은 부합하는 나사 슬리브에 의해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의 길이는 상기 슬리브의 회전으로 조정될 수 있는 바운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스페이서 요소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신속 해제 기구, 및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이 잠금 요소는 상기 안내 수단 내에서의 스페이서 요소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잠금 위치 및 스페이서 요소가 상기 안내 수단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바운서.
  9. 기부 프레임(10) 및 시트 프레임(20)을 포함하는 바운서로서,
    상기 시트 프레임(20)은 적어도 하나의 후방 및 적어도 하나의 전방 이격 부재(들)(40, 50)에 의해 상기 기부 프레임(1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후방 이격 부재(들)(40)는, 제 1 단부(41)에서 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400)에 연결되고 제 2 단부(42)에서는 후방 시트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401)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 이격 부재(들)(50)는, 제 1 단부(51)에서 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500)에 연결되고 제 2 단부(52)에서는 전방 시트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501)에 연결되고,
    상기 바운서의 수직 길이방향 면 내에서, 상기 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400)와 후방 시트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401) 사이의 거리(D1)는, 전방 기부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500)와 전방 시트 프레임 피봇 장착부(들)(501) 사이의 거리(D2) 보다 큰 바운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이격 부재(들)(40, 50) 사이의 각도는 스페이서(60, 600)의해 제한되며, 이 스페이서는 상기 후방 이격 부재(들)(40), 전방 이격 부재(들)(50), 기부 프레임(10) 및 시트 프레임(20) 중의 적어도 두개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시트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는 대안적으로 길이 조정가능한 바운서.
KR1020147029559A 2012-03-22 2013-03-22 바운서 또는 바운싱 요람 및 이를 위한 프레임 KR20140134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20388 2012-03-22
NO20120388A NO335935B1 (no) 2012-03-22 2012-03-22 Bouncer
PCT/EP2013/056068 WO2013139960A1 (en) 2012-03-22 2013-03-22 Bouncer or bouncing cradle and a frame for su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336A true KR20140134336A (ko) 2014-11-21

Family

ID=4791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559A KR20140134336A (ko) 2012-03-22 2013-03-22 바운서 또는 바운싱 요람 및 이를 위한 프레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713392B2 (ko)
EP (1) EP2827747B1 (ko)
JP (1) JP6400563B2 (ko)
KR (1) KR20140134336A (ko)
CN (1) CN104334055B (ko)
CA (1) CA2867965A1 (ko)
DK (1) DK2827747T3 (ko)
ES (1) ES2607698T3 (ko)
HK (1) HK1207948A1 (ko)
HU (1) HUE031265T2 (ko)
NO (1) NO335935B1 (ko)
PL (1) PL2827747T3 (ko)
RU (1) RU2628981C2 (ko)
TW (1) TWI576074B (ko)
WO (1) WO2013139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8561B2 (en) 2013-08-09 2018-03-20 Kids Ii, Inc. Access optimized child support device
US10327566B2 (en) * 2016-06-27 2019-06-25 Wonderland Switzerland Ag Infant carrier and swing device therewith
CN106672062A (zh) * 2016-08-26 2017-05-17 杨孟平 一种可摇摆的婴儿手推车
AU201712944S (en) * 2016-12-12 2017-06-01 BABYBJAƒA¶RN AB Baby bouncer
CN106993909B (zh) * 2017-04-17 2020-06-12 霍润豪 上下往复式的婴儿摇床
ES1248472Y (es) * 2020-05-06 2020-09-16 Martinez Carlos Escobedo Hamaca infantil
AU2022200715A1 (en) * 2021-02-05 2022-08-25 Graham Reid Children's exercise and activity apparatus
CN113101068B (zh) * 2021-04-13 2022-06-03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一种新生儿转运装置
US20230129979A1 (en) * 2021-10-27 2023-04-27 Rocking Inc. Portable rebounding device with adjustable and collapsible features
CN116963644A (zh) 2021-12-21 2023-10-27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可调节型婴儿摇椅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4360C (ko)
US1458077A (en) * 1922-11-29 1923-06-05 Albert T Reid Baby jumper
US2704111A (en) * 1954-06-21 1955-03-15 Lowell H Wunderlich Baby jumper
US3004793A (en) * 1959-05-18 1961-10-17 Barbara J Loomis Baby tender
US3076628A (en) 1960-05-16 1963-02-05 Strolee Of California Inc Baby seat
US3061261A (en) * 1960-09-28 1962-10-30 Berlin Daniel Child's jumper seat
US3066906A (en) 1961-05-23 1962-12-04 Berlin Daniel Novel baby jumper
US3656728A (en) * 1970-08-20 1972-04-18 Collier Keyworth Co Baby jumper
GB1591749A (en) * 1976-11-24 1981-06-24 Rawolle K C Attachment for a bouncing baby cradle
US4081869A (en) * 1977-02-01 1978-04-04 Richard Graham Ash Infant's cradle holder
US4226467A (en) 1979-07-23 1980-10-07 Hedstrom Co. Foldable cantilevered playseat
JPS6021710A (ja) * 1983-07-15 1985-02-04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リクライニングシ−ト
US4553786A (en) * 1983-08-10 1985-11-19 William Lockett, III Infant seating and lounge unit
JPS61184452A (ja) 1985-02-12 1986-08-18 Shimadzu Corp 渦流探傷装置
JPS61184452U (ko) * 1985-05-08 1986-11-17
US5207478A (en) * 1991-02-28 1993-05-04 Gerry Baby Products Company Collapsible infant seat
US5172955A (en) * 1991-02-28 1992-12-22 Gerry Baby Products Company Bouncing infant seat reclining between upright position and recline position with distinct resilient element
US5203611A (en) * 1991-10-21 1993-04-20 Children On The Go, Inc. Infant bounce and rocking chair
US5187826A (en) * 1992-02-24 1993-02-23 James F. Mariol Convertible cradle
US5269591A (en) 1992-06-24 1993-12-14 Playskool Baby, Inc. Bouncer seat for infant
JP2790576B2 (ja) 1992-07-13 1998-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組立体の移載方法、及び装置
DE9215970U1 (ko) * 1992-09-23 1993-01-21 Nichols, Joanna A., Baldwin Park, Calif., Us
JPH0750984Y2 (ja) * 1992-10-02 1995-11-22 弘昭 森田 座の高さが変化するリクライニング椅子
US5411315A (en) * 1993-04-06 1995-05-02 Children On The Go, Inc. Infant bounce chair
US5503458A (en) * 1993-07-02 1996-04-02 Item New Product Development, Inc. Portable infant seat
US5507564A (en) * 1995-06-19 1996-04-16 Huang; Li-Chu C. Baby deck chair having an adjustable back
US5868459A (en) * 1997-04-10 1999-02-09 Kolcraft Enterprises, Inc. Bouncer with positive lock
JP2001112579A (ja) * 1999-10-19 2001-04-24 Sustec Co Ltd 正座椅子
US6682137B2 (en) 2000-05-05 2004-01-27 Ben Ming Hsia Adjustable frame of rocker
US6594840B2 (en) * 2000-06-28 2003-07-22 Cosco Management, Inc. Baby bouncer/bassinet
US6361106B1 (en) 2000-07-11 2002-03-26 Mien Chen Huang Folding collapsible frame structure for a baby rocking chair
US6425842B1 (en) * 2000-08-31 2002-07-30 Mattel, Inc. Child activity device
US20030020317A1 (en) 2001-07-30 2003-01-30 Charles Keegan Baby bouncer
TW502594U (en) * 2001-11-16 2002-09-11 Link Treasure Ltd Rocking chair structure for children
US6877802B2 (en) * 2003-04-15 2005-04-1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infant seat
US20040217643A1 (en) * 2003-05-01 2004-11-04 Piwko Robert D. Infant seat
US6902230B2 (en) * 2003-08-15 2005-06-07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Foldable child support device
US6854799B1 (en) * 2004-02-06 2005-02-15 Mattel, Inc. Collapsible infant entertainment device
US7255393B2 (en) * 2004-05-03 2007-08-14 Flanagan Stephen R Portable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orting a child in multiple positions
US7252333B2 (en) * 2004-07-03 2007-08-07 Caldwell John W Selectively rockable chaise lounge, stackable, and with adjustable posture support
US20060012230A1 (en) * 2004-07-15 2006-01-19 Kennedy Melvin R Glider
CN100496340C (zh) 2005-09-27 2009-06-1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摇椅
US7607734B2 (en) 2005-11-03 2009-10-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motion device
US7563170B2 (en) 2005-11-03 2009-07-21 Graca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motion device
JP2007159709A (ja) * 2005-12-12 2007-06-28 Combi Corp 揺動椅子
RU2415631C2 (ru) * 2006-07-07 2011-04-10 Бэбибьёрн Аб Упругая колыбель
SE530118C2 (sv) * 2006-07-07 2008-03-04 Baby Bjoern Ab Babysitter
CN201271026Y (zh) 2008-10-10 2009-07-15 魏伟 婴儿振动摇椅
CN101986952B (zh) * 2009-08-04 2013-03-13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可收合摇椅
US8322789B2 (en) * 2009-08-17 2012-12-04 Kids Ii, Inc. Toy bar mounting assembly, and associated apparatus
CN102038377B (zh) * 2009-10-21 2013-08-21 伍轮实业有限公司 调整机构及可调倾角的座椅
CN202035821U (zh) * 2010-12-08 2011-11-1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摇椅及摇摆机构
CN201958342U (zh) * 2011-01-28 2011-09-07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可转换使用模式的摇椅
CN202035822U (zh) 2011-02-28 2011-11-1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摇椅
CN202760743U (zh) * 2011-03-14 2013-03-06 泰尼友爱有限公司 婴儿座椅
CN203182478U (zh) * 2012-02-16 2013-09-1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支撑装置及其提把角度调整机构
CA147446S (en) * 2012-03-22 2014-04-23 Stokke As Child's chair with foot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76074B (zh) 2017-04-01
HUE031265T2 (en) 2017-06-28
TW201343109A (zh) 2013-11-01
EP2827747B1 (en) 2016-09-14
CN104334055B (zh) 2017-03-01
WO2013139960A8 (en) 2016-01-28
JP6400563B2 (ja) 2018-10-03
JP2015513938A (ja) 2015-05-18
NO335935B1 (no) 2015-03-30
WO2013139960A1 (en) 2013-09-26
HK1207948A1 (en) 2016-02-19
NO20120388A1 (no) 2013-09-23
ES2607698T3 (es) 2017-04-03
EP2827747A1 (en) 2015-01-28
RU2014142451A (ru) 2016-05-20
RU2628981C2 (ru) 2017-08-23
PL2827747T3 (pl) 2017-03-31
US20150289678A1 (en) 2015-10-15
CN104334055A (zh) 2015-02-04
CA2867965A1 (en) 2013-09-26
DK2827747T3 (en) 2017-01-09
US9713392B2 (en)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4336A (ko) 바운서 또는 바운싱 요람 및 이를 위한 프레임
US8205943B2 (en) Foldable rocking chair
US8186368B2 (en) Child caretaking structures with adjustable canopies and/or headrests
US20080290699A1 (en) Adjustable High Chair
US8118684B2 (en) Infant support structure with a collapsible frame
JP5976747B2 (ja) ティルティングタイプ椅子
US7441835B2 (en) Angle-adjustable backrest device for a child highchair
JP6753576B2 (ja) 折り畳み式椅子
JP5180964B2 (ja) オフィス椅子の同期デバイス
US9113713B2 (en) Chair
JP5258932B2 (ja) 幼児搬送装置
US6644732B1 (en) Structure of a foldable chair with a locking mechanism
US20110095588A1 (en)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JP3183389U (ja)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KR20100034425A (ko) 간이의자
JP3183378U (ja) 座椅子
JP2006150104A (ja) テーブルチェア
WO2024115513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seat adjustment device, rotation adjustment mechanism and chair
CN115606966A (zh) 婴儿弹椅
JP2569965Y2 (ja) 育児椅子
GB2382523A (en) Adjustable and foldable infant's rocker
AU2006255479A1 (en) Adjustable high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