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129A -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129A
KR20140134129A KR1020130053891A KR20130053891A KR20140134129A KR 20140134129 A KR20140134129 A KR 20140134129A KR 1020130053891 A KR1020130053891 A KR 1020130053891A KR 20130053891 A KR20130053891 A KR 20130053891A KR 20140134129 A KR20140134129 A KR 20140134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container
tab sheet
adhesive lay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338B1 (ko
Inventor
소윤섭
서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성
소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성, 소윤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성
Priority to KR102013005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33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81/00Seals; Sealing equipment; 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라미네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구조는 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몸체를 가진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한쪽면에 일부가 접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멤브레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손잡이용 탭을 제공하는 탭 시트; 및 상기 탭 시트의 중심 부분이 상기 멤브레인에 접착되지 않도록 남겨둔 상태로 상기 탭 시트가 상기 멤브레인에 접착되도록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LAMINATE STRUCTURE FOR CONTAINER SEALING}
본 발명은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서 밀봉을 제거할 때 손잡이로 사용되는 탭(tab) 부분의 구조가 개선된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각종 내용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단 개구부가 실링부재에 의해 밀봉되고, 실링부재를 덮도록 결합되는 스크류 캡에 의해 캡핑되어 보호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용기는 우유 등의 음료수 제품을 비롯하여 인스턴트 음식 제품, 의약품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실링부재는 개구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에 결착되어 밀봉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실링부재는 통상적으로 열 민감성 접착 코팅, 알루미늄 호일, 폼 층(foam layer) 등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도 1에는 통상의 우유병이 해당되는 음료 용기(10)에 적용된 일반적인 실링부재(3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링부재(30)는 밀봉의 제거를 도모하기 위해 외주 부분에 바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접힌 상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탭(31)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음료 용기(10)를 개봉하고자 할 때에는 일차적으로 스크류 캡(20)을 음료 용기(10)로부터 분리한 후, 실링부재(30)의 탭(31)을 손톱으로 일으켜 세워서 비스듬히 상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밀봉을 제거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실링부재는 스크류 캡(20)의 내벽 방향으로 돌출된 탭(31)이 스크류 캡(20)의 나사산과 접촉하여 자동 포장 공정 중에 에러를 유발하는 취약점이 있다.
또한, 손톱으로 탭을 일으켜 세우는 과정에서 손톱이 깨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실링부재(30)의 안쪽면과 손톱 간의 접촉으로 인해 위생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안으로, US4,961,986에는 멤브레인(membrane)과 제1 시트의 라미네이트 구조에 의해 형성되고 최상층에 위치한 제1 시트의 일부가 그 하부의 멤브레인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탭을 제공하는 용기용 실링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에 있어 멤브레인은 인덕션 가열기에 의해, 용기의 넥(neck) 부분에 마련된 개구부 가장자리에 접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50)에 구비된 제1 시트(52)의 절반부(52a)는 멤브레인(51)에 접착되고 나머지 절반부(52b)는 미접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탭을 제공한다.
그러나, US4,961,986에 따른 실링부재는 탭을 잡아당김에 따라 멤브레인에 가해지는 박리력이 개구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쪽으로 분산되지 않고 손가락이 위치한 지점에만 국소적으로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실링부재가 용기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으므로 과도한 박리강도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탭에 과도한 박리력이 가해지면 실링부재를 이루는 라미네이트 구조 내에서 층간 분리가 발생하여 탭이 찢어지는 등 개봉 불능상태가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탭을 통해 가해지는 박리력이 용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쪽으로 분산되어 종래에 비해 작은 박리강도로 밀봉의 제거가 가능한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탭을 통해 가해지는 박리력이 용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대칭적으로 분산되어 밀봉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라미네이트 구조로서, 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몸체를 가진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한쪽면에 일부가 접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멤브레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손잡이용 탭을 제공하는 탭 시트; 및 상기 탭 시트의 중심 부분이 상기 멤브레인에 접착되지 않도록 남겨둔 상태로 상기 탭 시트가 상기 멤브레인에 접착되도록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을 중심으로 하여 양편에 상기 손잡이용 탭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멤브레인과 상기 탭 시트는 원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원주부의 직경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의 직경과 상기 탭 시트의 직경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멤브레인은 금속 박판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에 접착될 상기 멤브레인의 다른쪽면은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전도되는 유도열에 의해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에 접착 가능한 고열 용융성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탭 시트의 중심 부분에 미접착부가 마련된 구조에 의해, 탭 시트를 통해 가해지는 박리력이 용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쪽으로 분산되므로 효율적으로 밀봉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손잡이를 구비한 탭 시트를 잡아당겨서 밀봉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박리력이 용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대칭적으로 분산되어 밀봉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용기 포장 공정에서 에러율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개봉시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링부재의 외관 및 적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링부재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의 적용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100)는 용기(도 5의 110 참조)의 넥 부분 개구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멤브레인(101)과, 멤브레인(101)의 상부에 위치하는 탭 시트(102)와, 멤브레인(101)과 탭 시트(102)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10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용기(110)로는 우유 등의 음료수 제품을 비롯하여 인스턴트 음식 제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용기가 채용 가능하다.
멤브레인(101)은 용기(110)의 개구부에 대하여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액체나 기체 형태의 용기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예컨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박판 형태의 몸체를 갖는다.
멤브레인(101)의 한쪽면(상면)은 탭 시트(102)가 라미네이팅된 구조를 가지며, 다른쪽면(하면)은 용기(110)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비록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멤브레인(101)에 있어 용기(110)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접착될 면에는 접착물질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멤브레인(101)이 통상의 인덕션 가열장치에 의해 용기(1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경우, 멤브레인(101)의 하면은 멤브레인(101)의 금속 박판으로부터 전도되는 유도열에 의해 용기(110)의 가장자리에 접착 가능한 고열 용융성 접착물질의 코팅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열 용융성 접착물질로는 예컨대, 공업용 접착제 번호 H046호에 해당하는 접착제가 채용 가능하다. 그밖에, 멤브레인(101)은 다양한 접착수단에 의해 용기(1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의 용기(110)가 원형의 개구부를 갖는 것을 고려하여 멤브레인(101)과 탭 시트(102)는 원주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멤브레인(101)의 직경과 탭 시트(102)의 직경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탭 시트(102)는 일부가 멤브레인(101)의 상면에 접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멤브레인(101)으로부터 분리되어 손잡이부(102a,102b)를 제공한다. 탭 시트(102)의 소재로는 폴리머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탭 시트(102)는 접착층(103)에 의해 멤브레인(101)에 접합된다. 접착층(103)은 탭 시트(102)의 적어도 중심 부분이 멤브레인(101)에 접착되지 않도록 남겨둔 상태로 탭 시트(102)가 멤브레인(101)에 접착되도록 개재된다. 따라서, 탭 시트(102)와 멤브레인(101) 사이의 중심 부분에는 접착이 되지 않은 미접착부(104)가 형성되고, 미접착부(104)의 양편 바깥쪽에 접착층(103)이 위치한다. 여기서, 접착층(103)은 박리력이 용기(110)의 개구부 가장자리로 분산되도록 탭 시트(102)와 멤브레인(101)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접착층(103)은 탭 시트(102)와 멤브레인(101)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이들의 원주부 직경, 즉 최대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strip)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착층(103)이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될 경우, 접착층(103)을 중심으로 하여 양편에 위치한 탭 시트(102) 부분이 멤브레인(101)과 분리된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손잡이부(102a,102b)가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손잡이부(102a,102b)는 밀봉 제거시 박리력을 대칭적으로 용기(110)의 개구부 가장자리로 분산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박리가 이루어지도록 도모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100)의 적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100)는 용기(110)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용기(110)를 밀봉한다.
사용자가 용기(110)를 개봉하고자 할 때에는 일차적으로 스크류 캡(120)을 용기(110)로부터 분리한 후, 탭 시트(102)를 잡아당겨서 밀봉을 제거하면 된다.
사용자는 탭 시트(102)에 마련된, 멤브레인(10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놓여진 한 쌍의 손잡이부(102a,102b)를 손가락으로 잡고 상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간편히 용기(110)의 밀봉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탭 시트(102)와 멤브레인(101) 사이의 중심 부분에는 미접착부(104)가 마련되고 그 바깥 부분에 접착층(103)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탭 시트(102)를 상방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가해지는 박리력은 탭 시트(102)의 중심으로 쏠리지 않고 주변으로 대칭적으로 분산되어 용기(110)의 개구부 가장자리로 집중되므로 효율적으로 밀봉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101: 멤브레인
102: 탭 시트 103: 접착층
104: 미접착부 110: 용기
120: 스크류 캡

Claims (5)

  1. 용기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라미네이트 구조에 있어서,
    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몸체를 가진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한쪽면에 일부가 접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멤브레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손잡이부를 제공하는 탭 시트; 및
    상기 탭 시트의 중심 부분이 상기 멤브레인에 접착되지 않도록 남겨둔 상태로 상기 탭 시트가 상기 멤브레인에 접착되도록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을 중심으로 하여 양편에 상기 손잡이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과 상기 탭 시트는 원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원주부의 직경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직경과 상기 탭 시트의 직경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금속 박판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에 접착될 상기 멤브레인의 다른쪽면은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전도되는 유도열에 의해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에 접착 가능한 고열 용융성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KR1020130053891A 2013-05-13 2013-05-13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KR10149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891A KR101496338B1 (ko) 2013-05-13 2013-05-13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891A KR101496338B1 (ko) 2013-05-13 2013-05-13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129A true KR20140134129A (ko) 2014-11-21
KR101496338B1 KR101496338B1 (ko) 2015-03-02

Family

ID=5245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891A KR101496338B1 (ko) 2013-05-13 2013-05-13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1290A (zh) * 2016-01-29 2017-08-0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具有密封片的粉盒容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148B1 (ko) 2019-01-21 2020-06-11 소윤섭 밀봉성이 유지되는 이중구조 인덕션리드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6930B2 (en) * 2000-10-20 2006-01-17 Selig Sealing Products, Inc. Closure seal for a container
US6461714B1 (en) * 2000-10-20 2002-10-08 Selig Sealing Products, Inc. Closure seal for a container
JP4542348B2 (ja) * 2004-01-27 2010-09-15 共同印刷株式会社 蓋材
KR101295219B1 (ko) * 2005-04-15 2013-08-12 셀리그 실링 프로덕츠, 아이엔씨. 밀봉 스톡 라미네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1290A (zh) * 2016-01-29 2017-08-0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具有密封片的粉盒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338B1 (ko)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6553B2 (ja) 耐熱性、開封性及び気密性に優れた容器密封体
CA2919452C (en) Flexible package structure with a press-and-pull opening feature
GB2595601A (en) Contact lens blister package with double layer foil component
JP2004262472A (ja)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US11390428B2 (en) User-friendly tamper-resistant/tamper-evident container-seal system for containers of consumer goods and methods of use
JP2004514611A (ja) 容器及び膜を有するパッケージ
KR101496338B1 (ko) 용기 밀봉용 라미네이트 구조
JP2017077912A (ja) 紙カップ
JP6299257B2 (ja) 易開封性容器の開封機構
WO2015041323A1 (ja) 紙容器
JP2012236609A (ja) 蓋部材、飲料容器、および塞ぎ部材
JP2008044645A (ja) 食品の容器と食品容器の開封方法
EP3365173B1 (en) Sealing foil with pull tab
JP6093558B2 (ja) 部分開口用蓋
WO2015033758A1 (ja) 易開封容器
JP2018065620A5 (ko)
JPH01167073A (ja) 密封包装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2010013116A (ja) タブ付き蓋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77635B2 (ja) 蓋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容器
JP2017171320A (ja) 収納容器
JPH0248376Y2 (ko)
CN112105565A (zh) 具有可分离的盖结构的包装
JP2020070057A (ja) シール部材および容器
JP2002284236A (ja) 即席食品用容器及びその容器本体
JP2011006092A (ja) 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