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061A -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061A
KR20140133061A KR1020130052605A KR20130052605A KR20140133061A KR 20140133061 A KR20140133061 A KR 20140133061A KR 1020130052605 A KR1020130052605 A KR 1020130052605A KR 20130052605 A KR20130052605 A KR 20130052605A KR 20140133061 A KR20140133061 A KR 20140133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rint media
conveying
main body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김상철
오명훈
정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3061A/ko
Priority to US14/273,706 priority patent/US9132981B2/en
Publication of KR2014013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4Fixed or adjustable stops or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5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2Revolving grippers, e.g. mounted on arms, fram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3Means for sliding the handled material on a surface, e.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을 제 2 트레이로 이송하는 이송모듈을 포함한 인쇄매체 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모듈이 본체의 지지부에 마련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 1 트레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송모듈의 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인쇄매체들이 제 2 트레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은 줄어든다.

Description

인쇄매체 후처리장치{PRINT MEDIUM FIN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등에서 인쇄된 인쇄매체들을 전달받아 이를 후처리 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매체 후처리장치는 프린터나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의 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들을 전달받아, 인쇄매체들에 각종 후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인쇄매체 후처리장치는 인쇄매체들을 정렬하는 정렬 작업, 인쇄매체들에 철을 위한 구멍을 천공하는 펀칭 작업, 복수의 인쇄매체들을 스테이플러를 통해 하나로 묶는 스테이플링 작업, 복수의 인쇄매체들의 중앙을 접어 인쇄매체들이 책과 같은 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제본 작업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제 1 트레이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을 그 정렬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 2 트레이로 이송할 수 있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인쇄매체의 이동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차례로 마련된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이 상기 제 2 트레이로 이송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트레이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며 회전하여 상기 인쇄매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되며 그 하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관통공 내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1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힌지부와 상기 제 2 힌지부가 상기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 1 힌지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그 상단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에 걸려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벨트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이송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벨트는 상기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이송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은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트레이에 상기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정렬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트레이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을 스테이플링 하는 스테이플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인쇄매체의 이동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차례로 마련된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을 상기 제 2 트레이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이격 배치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걸리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배치된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트레이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그 하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중심보다 낮은 위치로 연장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 내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 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이 회전한 회전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매체들이 제 2 트레이로 이송되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들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이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에 적용된 이송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에 적용된 이송모듈의 동작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에 적용된 이송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P)와 연결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화상형성장치(P)로부터 전달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제 1 트레이(11)와, 제 1 트레이(11)에서 후처리가 완료된 인쇄매체들이 적재되는 제 2 트레이(12)와, 제 1 트레이(11)에서 후처리가 완료된 인쇄매체들을 제 2 트레이(12)로 이송하는 이송장치(2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트레이(11)의 양측에는 제 1 트레이(11)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을 정렬하기 위한 한 쌍의 정렬판(13)가 배치되며, 제 1 트레이(11)의 일측 상부에는 제 1 트레이(11) 상에 올려진 인쇄매체들을 스테이플링 하기 위한 스테이플러(30)가 배치된다.
두 정렬판(13)는 제 1 트레이(11) 상에 인쇄매체의 배출 방향인 제 1 방향과 직각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하며 제 1 트레이(11)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의 양측을 가압하여 정렬한다. 또한 정렬판(13)는 스테이플링이 필요한 인쇄매체들의 일측이 스테이플러(3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인쇄매체를 이동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제 2 트레이(12)는 제 1 트레이(11)와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제 1 트레이(11)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제 1 트레이(11)에서 제 1 방향으로 이송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송장치(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1)와, 구동모터(21)로부터 기어(22)들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풀리(23)와, 구동풀리(23)와 이격 배치된 종동풀리(24)와, 구동풀리(23) 및 종동풀리(24)에 걸려 구동풀리(23)의 회전에 따라 구동풀리(23)와 종동풀리(24) 주위를 이동하는 이송벨트(25)와, 이송벨트(25)에 배치되어 이송벨트(25)와 함께 이동하며 제 1 트레이(11) 상의 인쇄매체들을 제 2 트레이(12)로 이송하는 이송모듈(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벨트(25)는 인쇄매체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 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이송벨트(25)로 이루어지며, 두 이송벨트(25)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이송모듈(26)이 설치되어, 제 1 트레이(11) 상의 인쇄매체들은 양측 두 부위가 동시에 두 이송모듈(26)에 의해 힘을 전달받아 이송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 이송벨트(25)에는 각각 두 개의 이송모듈(26)이 이송벨트(2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각 이송벨트(25)에 배치된 두 이송모듈(26)이 교대로 제 1 트레이(11) 상의 인쇄매체를 제 2 트레이(12)로 이송한다.
본체(10)는 제 1 트레이(11)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 1 트레이(11)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10a)와, 지지부(10a)에 마련되어 이송모듈(26)이 지지부(10a)를 제 1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 1 트레이(11)로 상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10b, 도 4 참조)과, 제 1 트레이(11)에 마련되어 이송모듈(26)이 제 1 트레이(11)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슬롯(11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장치(20)는 한 쌍의 이송벨트(25)를 포함하며, 각 이송벨트(25)에는 이송모듈(26)들이 설치되므로, 관통공(10b) 및 슬롯(11a)은 두 이송벨트(25)에 대응하도록 각각 두 개씩 마련된다.
이송모듈(2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벨트(25)를 통해 제 1 트레이(11)에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261)와, 이동부재(2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62)를 포함하여, 이송벨트(25)의 이동에 따라 상술한 관통공(10b)을 통과하여 제 1 트레이(11)를 제 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부재(261)는 그 일단이 이송벨트(25)에 고정되어 이송벨트(25)가 이동함에 따라 이송벨트(25)와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부재(261)의 타단에는 회전부재(2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힌지부(261a)가 마련된다. 제 1 힌지부(261a) 일측에는 회전부재(26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부(261b)가 마련된다.
회전부재(262)의 일단에는 제 1 힌지부(26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부(262a)가 마련되며, 회전부재(262)의 타단에는 제 1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 트레이(11)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을 지지하는 돌출부(262b)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부재(262)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 1 힌지부(261a)와 제 1 힌지부(261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262)가 회전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262)의 돌출부(262b)가 제 1 트레이(11) 상에 놓인 인쇄매체들의 일측을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부재(262)는 관통공(10b)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면서 제 1 트레이(11) 상의 인쇄매체들을 지지하고, 회전부재(262)의 돌출부(262b)가 인쇄매체들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이송모듈(26)이 이동하며 인쇄매체들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회전부재(262)가 관통공(10b)을 통과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전부재(262)에는 그 하단이 상술한 회전부재(262)의 회전 중심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걸림부재(263)가 마련되며, 본체(10)에는 관통공(10b) 내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부재(263)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 부재(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재(263)는 회전부재(262)와 별도로 제조되어 회전부재(26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걸림턱 부재(14)은 지지부(10a)와 별도로 제조되어 지지부(10a)에 고정 설치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매체 후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인쇄매체 후처리장치는 본체(10)와 연결되어 있는 화상형성장치(P)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들을 전달받아 제 1 트레이(11) 상에 적재한다.
제 1 트레이(11) 상에 설정된 수량의 인쇄매체들이 적재되면, 두 정렬판(13)가 인쇄매체들의 양측에서 제 2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면서 제 1 트레이(11)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을 정렬한다.
인쇄매체들의 정렬이 완료된 후, 두 정렬판(13)는 스테이플링될 인쇄매체들의 일측이 스테이플러(30) 하측에 위치하도록 인쇄매체들을 제 2 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인쇄매체들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스테이플러(30)가 상하로 동작하며 인쇄매체들의 일측을 스테플링한다.
스테플링이 완료된 후에는 구동모터(21)에서 회전력이 발생하여 이송벨트(25)가 구동풀리(23)와 종동풀리(24) 주위를 회전하고, 이송벨트(25)의 회전에 따라 이송모듈(26)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며 관통공(10b)을 통과하여 제 1 트레이(11)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송모듈(26)이 관통공(10b)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전부재(262) 일측에 마련된 걸림부재(263)의 하단이 관통공(10b) 내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 부재(14)에 걸리게 되는데, 걸림부재(263)의 하단은 회전부재(262)의 회전 중심 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회전부재(26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263)에 걸려 회전한다. 회전부재(262)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262)의 돌출부(262b)는 제 1 트레이(11)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의 일측을 지지한다.
이송모듈(26)은 계속해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트레이(11)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은 이송모듈(26)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이송되어 제 2 트레이(12)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인쇄매체들을 이송하는 과정에서도 인쇄매체의 일측은 회전부재(262)의 돌출부(262b)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들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은 줄어든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재(263) 및 걸림턱 부재(14)은 각각 회전부재(262) 및 지지부(10a)와 별도로 제조된 후 회전부재(262) 및 지지부(10a)에 각각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263')는 회전부재(262)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회전부재(26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걸림턱 부재(14')는 지지부(10a)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지지부(10a)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 10a: 지지부
10b: 관통공 11: 제 1 트레이
12: 제 2 트레이 13: 정렬판
14: 걸림턱 부재 20: 이송장치
21: 구동모터 22: 기어
23: 구동풀리 24: 종동풀리
25: 이송벨트 26: 이송모듈
261: 이동부재 262: 회전부재
263: 걸림부재

Claims (13)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인쇄매체의 이동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차례로 마련된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이 상기 제 2 트레이로 이송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트레이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며 회전하여 상기 인쇄매체에 지지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되며 그 하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관통공 내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 부재를 포함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1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힌지부와 상기 제 2 힌지부가 상기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 1 힌지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그 상단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에 걸려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벨트에 설치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벨트는 상기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이송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모듈은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에 각각 설치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레이에 상기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정렬판을 더 포함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레이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을 스테이플링 하는 스테이플러를 더 포함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12.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인쇄매체의 이동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차례로 마련된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을 상기 제 2 트레이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이격 배치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걸리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배치된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트레이에 적재된 인쇄매체들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 1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그 하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중심보다 낮은 위치로 연장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 내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 부재를 포함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 부재는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KR1020130052605A 2013-05-09 2013-05-09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KR20140133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605A KR20140133061A (ko) 2013-05-09 2013-05-09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US14/273,706 US9132981B2 (en) 2013-05-09 2014-05-09 Print medium finis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605A KR20140133061A (ko) 2013-05-09 2013-05-09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61A true KR20140133061A (ko) 2014-11-19

Family

ID=5186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605A KR20140133061A (ko) 2013-05-09 2013-05-09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32981B2 (ko)
KR (1) KR201401330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052A (ko) * 2013-08-15 2016-04-20 그라드코 가부시키가이샤 용지 후처리 장치
JP6859744B2 (ja) * 2017-02-23 2021-04-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後処理装置
CN108622710A (zh) * 2017-03-17 2018-10-09 柯尼卡美能达办公系统研发(无锡)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
US10280029B2 (en) * 2017-06-23 2019-05-07 Christoph Gahr Accumulator for collating punch system
CN108657747A (zh) * 2018-07-06 2018-10-16 山东鼎泰盛食品工业装备股份有限公司 整理输送装置、整理输送机构及清洗装置
JP2022030361A (ja) * 2020-08-07 2022-02-1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000A (en) * 1995-11-20 1996-08-13 Xerox Corporation Automatic eject finger retractor for document set eject system
KR100405324B1 (ko) * 2001-07-19 2003-11-12 (주)케이알디씨 용지후처리장치에서의 용지적재장치
CN100456145C (zh) * 2003-09-18 2009-01-28 佳能精技股份有限公司 纸张后处理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20100289205A1 (en) * 2009-05-14 2010-11-18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finish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268552B1 (ko) * 2010-08-04 2013-05-28 주식회사 비즈테크원 용지배출장치
TW201334983A (zh) * 2012-02-24 2013-09-01 Primax Electronics Ltd 具有紙張排出裝置之後處理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3021A1 (en) 2014-11-13
US9132981B2 (en) 201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3061A (ko)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JP5585574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10027002A (ko) 인쇄매체 후처리 장치
JP2014118295A (ja) 用紙後処理装置
KR101619846B1 (ko) 제본장치 및 이를 갖춘 인쇄매체 후처리 장치
US8096541B2 (en) Sheet folding apparatus, sheet fold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5022799A1 (ja) 製本装置
WO2016199590A1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08030932A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07176684A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13220548A (ja) 製本装置
JP2013147323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2246083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50001324A (ko) 인쇄매체 후처리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CN104590941A (zh) 片材折叠装置及片材后处理装置
KR20230055800A (ko) 용지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구조
JP2006315840A (ja) 用紙搬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60235B2 (ja) 後処理装置
JP6589399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4681463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3671145B2 (ja) 後処理装置
JP2008195476A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06306530A5 (ko)
JP5465545B2 (ja) ナイフ折り機
JP2017001843A (ja) 用紙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