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052A - 용지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052A
KR20160043052A KR1020167006593A KR20167006593A KR20160043052A KR 20160043052 A KR20160043052 A KR 20160043052A KR 1020167006593 A KR1020167006593 A KR 1020167006593A KR 20167006593 A KR20167006593 A KR 20167006593A KR 20160043052 A KR20160043052 A KR 20160043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rip
sheet
gripping
e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아키 기무라
겐이치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그라드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68887A external-priority patent/JP62638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481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31716A/ja
Application filed by 그라드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그라드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36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gripping the pile
    • B65H31/3045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gripping the pile on the outermost articles of the pile for clamping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 B65H29/2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from mechanical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8Apparatus for vibrating or knocking the pile during 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40Shafts, cylinders, drums, spindles
    • B65H2404/42Arrangement of pairs of drums
    • B65H2404/421Bed arrangement, i.e. involving parallel and spaced drums, e.g. arranged horizontally for supporting a roll to be wound or unwound
    • B65H2404/4213Bed arrangement, i.e. involving parallel and spaced drums, e.g. arranged horizontally for supporting a roll to be wound or unwound the drums having different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9Other means designated for special purpose
    • B65H2404/693Retractable guiding means, i.e. between guiding and non guid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6Bottom with means for changing geometry
    • B65H2405/11164Rear portion extensible in parallel to transpor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베이스 트레이와, 용지 이송 유닛과, 스태커 트레이(103)를 구비한 용지 후처리 장치로서, 고정되는 이젝터(202)와, 이젝터(202)에 대해 소정의 각도 정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그립 바(106)에 의해 수매의 용지를 그립하는 용지 그립 수단을 가지고, 그립을 해제하는 그립 해제 수단(90)을 구비하며, 그립 해제 수단은, 용지 그립 수단의 이송에 의해 그립을 해제하고, 스태커 트레이(103)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한다.

Description

용지 후처리 장치{PAPER POST-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출력 장치(예를 들면 복사기, 프린터)에 연결되며 용지를 모아서 적재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하로 이동하면서 용지를 수납하여 적재하는 스태커(stacker) 트레이 상에 용지가 정돈된 그대로의 상태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에서의 용지 적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나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는 배지(排紙)로부터 스태커 트레이로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 후처리 과정 중에서 용지에 스테이플링(stapling)하는 기능과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되는 용지를 한데 모으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용지 후처리시의 용지 적재 장치는, 용지를 스태커 트레이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롤러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롤러를 하강시키고 나서 이송되어 온 용지를 스태커 트레이쪽으로 밀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롤러의 회전과 마찰력을 가지고 용지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용지가 빠지거나 밀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 스태커 트레이 상에 용지를 롤러에 의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용지가 좀처럼 모아지지 않는 경우도 있고, 게다가, 스태커 트레이 상에 용지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용지 사이의 마찰에 의해 용지가 모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스태커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되고 나서 작업자가 재차 모으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인은, 용지를 용지 적재판에 임시 적재하여 모으고 나서 모아진 수매(數枚)의 용지를 그립하여 절곡되지 않도록 스태커 트레이로 이송시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를 제안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3-89464호 공보
이와 같이, 용지를 용지 적재판에 임시 적재하여 모으고 나서 모아진 수매의 용지를 그립하고, 스태커 트레이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며, 그립 바에 의해 용지의 후단부를 잡고, 잡고 있지 않은 용지의 양단 부분을 벽면에 대는 것에 의해서 빼내는 방식이 채용되지만, 이 빼냄은 그립 바의 회전 궤적 상에서 행하고 있는 것에 의해, 그 도중(途中)에서 용지가 벽면에 접촉해 버리면(벽면에 대해서 용지가 평행이 아니라 경사지거나 하는 경우), 벽면으로의 맞닿음이 강하게 되므로, 그립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용지가 휘기(젖혀 올라가기) 쉬워, 용지에 데미지를 입혀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매의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고,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한 용지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적재하는 베이스 트레이와,
상기 베이스 트레이 상에 적재한 용지속(用紙束)의 후단(後端)을 그립(grip)하는 용지 그립 수단과 상기 용지 그립 수단을 이송하는 용지 이송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지 이송 유닛과,
상기 용지 이송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용지를 적재하는 스태커(stacker) 트레이를 구비한 용지 후처리 장치로서,
상기 용지 그립 수단은,
고정되는 이젝터(ejector)와,
상기 이젝터에 대해 소정의 각도 정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그립 바를 가지며,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해 상기 수매(數枚)의 용지를 그립하는 구성이고,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는 그립 해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그립 해제 수단은, 상기 용지 그립 수단의 이송에 의해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고,
상기 스태커 트레이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그립 해제 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한 해제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상기 용지 그립 수단에 의해 상기 그립 바를 상기 해제 가이드 부재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하고,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그립 해제 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한 해제 가이드 부재를 가지고,
상기 용지 그립 수단은,
상기 그립 바의 그립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를 가지며,
상기 용지 그립 수단에 의해 상기 해제 레버를 상기 해제 가이드 부재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하고, 상기 해제 레버에 의해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적재하는 베이스 트레이와,
상기 베이스 트레이 상에 적재한 용지속의 후단을 그립하여 이송하고, 배출 위치에서 그립을 개방하여 상기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하는 용지 그립 이송 수단과, 상기 용지 적재판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여 이송하는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지 이송 유닛과,
상기 용지 이송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용지를 적재하는 스태커 트레이와,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과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연동하고, 단일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용지 후처리 장치로서,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은,
상기 용지 적재판 상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를 가지런하게 한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용지를 유지하고,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는 그립 위치까지 상기 수매의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여 이송하며,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혹은 그 후에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의 양측에,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한 쌍의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용지 그립 이송 수단의 사이에,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은,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는 엔드 펜스(end fence)를 가지며,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엔드 펜스를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과 연동시켜 이송하고,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혹은 그 후에 상기 연동을 해제하며,
상기 엔드 펜스를,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용지 그립 수단의 이송에 의해 이젝터와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고, 스태커 트레이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하기 때문에, 용지가 벽면에 접촉해도 용지가 휘는(젖혀 올라가는) 경우가 없게 되어,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용지 그립 수단에 의해 그립 바를 해제 가이드 부재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시키고, 이젝터와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할 수 있어, 해제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만으로의 간단한 구성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용지 그립 수단에 의해 해제 레버를 해제 가이드 부재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하고, 해제 레버에 의해 이젝터와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할 수 있어, 해제 가이드 부재와, 해제 레버를 구비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용지 그립 이송 수단과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연동하여, 단일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용지 적재판 상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를 가지런하게 한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용지를 유지하고, 용지 그립 이송 수단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는 그립 위치까지 수매의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여 이송하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혹은 그 후에 초기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간단 또한 저(低)코스트인 구조로 수매의 용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하여 확실히 그립하여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용지 그립 이송 수단의 양측에,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배치함으로써, 수매의 용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하여 그립 위치로 이송하고, 용지를 정확하게 그립하여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또한 용지를 어긋나지 않게 이송하여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한 쌍의 용지 그립 이송 수단을 구비하며, 한 쌍의 용지 그립 이송 수단의 사이에,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배치함으로써, 수매의 용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하여 그립 위치로 이송하고, 용지의 양측에서 용지를 정확하게 그립하여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또한 용지를 어긋나지 않게 이송하여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초기 위치에서, 엔드 펜스를 용지 그립 이송 수단과 연동시켜 이송하고, 용지 그립 이송 수단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혹은 그 후에 연동을 해제하여, 엔드 펜스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수매의 용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하여 그립하여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용지 후처리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용지의 이송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용지의 간섭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용지 이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용지 이송 유닛에서의 용지 적재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용지 이송 유닛의 그립 바가 용지를 그립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용지 이송 유닛의 그립 바가 용지를 그립하고 나서 스태커 트레이에 의해 밀어 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용지 이송 유닛에서의 용지 적재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용지 이송 유닛의 이젝터가 고정되는 고정축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20은 용지 이송 유닛의 이젝터와 그립 바의 결합 구조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22는 용지 이송 유닛의 스태커 트레이 상에 용지를 적재하는 과정 설명도이다.
도 23은 용지 이송 유닛의 용지를 그립하는 과정 설명도이다.
도 24는 용지 이송 유닛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25는 용지 이송 유닛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26은 용지 이송 유닛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27은 용지 이송 유닛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28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9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0은 용지 적재 장치의 용지 배출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용지 적재 장치의 그립 해제의 구조도이다.
도 32는 용지 적재 장치의 그립 해제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용지 적재 장치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34는 용지 적재 장치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35는 용지 적재 장치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36은 용지 적재 장치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37은 용지 적재 장치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38은 용지 적재 장치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도 39는 용지 적재 장치의 이젝터가 고정되는 고정축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40은 용지 적재 장치의 그립 해제의 설명도이다.
도 41은 용지 후처리 장치에서의 용지 적재의 평면도이다.
도 42는 제1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3은 제어 블록도이다.
도 44는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제2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6은 제어 블록도이다.
도 47은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제3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용지 후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1)에는,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용지 후처리 장치(102)가 설치되며, 이 용지 후처리 장치(102)는 용지 이송 유닛(104)과, 그 용지 이송 유닛(104)의 하부에 구성되는 스태커(stacker) 트레이(103) 등을 포함한다. 용지 이송 유닛(104)은, 한 쌍의 조거(jogger)(105, 115), 베이스 트레이(112), 확장 가이드(113), 후벽(117), 그립 바(106) 등으로 구성된다. 또, 용지 이송 유닛(104)의 하측 단부에는, 용지 이송 유닛(104)에 적재된 용지속(用紙束)(Pb)을 후처리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stapler)(107) 등의 부가 장치가 설치된다.
용지 이송 유닛(104)의 베이스 트레이(112)의 상측에는, 패들(122)이 설치되고, 패들(122)의 상측에는 용지 이송 유닛(104) 내의 용지를 이송시키는 용지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입구 롤러(109) 및 배출 롤러(108)가 설치된다. 용지(Pa)가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이송되어 오면, 그 이송되어 오는 용지(Pa)는, 입구 롤러(109) 및 배출 롤러(108)를 통해서 용지 이송 유닛(104) 내에 적재된 후, 스테이플러(107)에 의해 후처리되며, 후처리된 용지속(用紙束)(Pb)은 스태커 트레이(103)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용지 후처리 장치(10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지속(Pb)이 그립 바(106)에 의해서 배출되고 있는 동안에 후속 용지(Pa)의 선단(先端)이 용지속(Pb)을 배출하고 있는 그립 바(106)의 후단(後段)에 간섭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 바(106)에 후속 용지(Pa)의 선단이 걸리지 않도록 그립 바(106)의 후단(後段)과 후속 용지(Pa)의 선단(先端)의 사이에 D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후속 용지(Pa)를 지연하여 이송시키던지, 그립 바(106)의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하여 후속 용지(Pa)의 선단이 그립 바(106)보다 선행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생각되어지지만, 용지속(Pb)의 배출시 후속 용지(Pa)를 용지 이송 유닛(104) 내로 고속으로 이송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용지 후처리 장치(102)의 구동 효율이 떨어진다.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102)를, 도 4 내지 도 13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102)는, 용지 이송 유닛(104)과, 그 용지 이송 유닛(104)의 하부에 구성되는 스태커 트레이(103) 등을 구비한다. 용지 이송 유닛(104)은,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Pa)를 적재하는 베이스 트레이(112)와,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되는 용지(Pa)를 정합(整合)하는 한 쌍의 조거(105, 115)와, 베이스 트레이(112)에 설치되어 그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된 용지(Pa)를 외측에서 밀어 내도록 후벽(117)의 후방에 구성되는 그립 바(106)와, 베이스 트레이(112)의 선단 쪽으로 연장되어 돌출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확장 가이드(113)를 포함하여 구비한다.
한편, 베이스 트레이(112)의 하측 단부에는, 스테이플러(107)가 설치된다. 스테이플러(107)는, 용지 이송 유닛(104) 내에 적재되는 용지속(Pb)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스테이플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용지 이송 유닛(104)의 베이스 트레이(112)의 상측에는 패들(122)이 설치되고, 패들(122)의 상부에는, 용지 이송 유닛(104) 내의 용지를 이송시키는 입구 롤러(109) 및 배출 롤러(108)가 설치된다.
용지(Pa)는, 입구 롤러(109) 및 배출 롤러(108)를 통해서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된다. 용지(Pa)가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성형되는 패들(122)이 구동하여 용지 상면을 가볍게 터치해 줌으로써 용지의 후단부를 후벽(117)으로 당겨 내리도록 유도하여 용지(Pa)의 흐트러짐이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한 쌍의 조거(105, 115) 중, 선택되는 편측의 조거(115)는, 고정 조거, 타측의 조거(105)는 구동 조거로 기능하여, 각 조거의 배출 롤러(108) 쪽에 위치하는 단부는, 각각 구배(50, 51)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구동 조거(105)는, 용지(Pa)가 이송되어 오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의 조거(115)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방의 조거(105)를 구동시켜, 조거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하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구동 조거(105)를 이동시켜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하는 용지를 그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해서 직각이 되는 용지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P) 떨어진 위치의 고정 조거(115) 쪽으로 시프트시켜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102)는,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 트레이(103)에 대해서 확장 가이드(113)가 진출시켜진 위치에 있고,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용지(Pa)가 베이스 트레이(112) 상으로 이송되어 오면, 외측에서 일어서 있던 편측의 구동 조거(105)가 기준을 취하고 있는 타측의 고정 조거(115) 쪽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되어 온 용지(Pa)의 측면을 몰아 넣어(시프트시켜) 미리 세팅된 용지 매수가 적재할 때까지 정합하여 적재한다.
구동 조거(105)는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용지(Pa)가 1매씩 이송되어 올 때마다 용지(Pa)의 측면을 밀어 고정 조거(115) 쪽으로 시프트시켜 정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설정된 용지 매수가 적재할 때까지 대기하고 있는 도중 한 번에 모아서 적재한 용지의 측면을 밀어 고정 조거(115) 쪽으로 시프트시켜도 괜찮다.
정합된 용지속(Pb)은, 이송되어 오는 후속 용지(Pa)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P)의 위치로 시프트된 상태가 되어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된다.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미리 설정된 용지 매수가, 소정 거리(P)의 위치로 시프트가 되어 적재 완료하면, 1개의 용지속(Pb)이 구성되어, 용지 이송 유닛(104)의 측부에 구성된 스테이플러(107) 등을 이용하여 스테이플링이 됨으로써 용지 후처리 작업이 이루어진다.
용지속(Pb)의 후처리 작업이 이루어진 후에는, 도 5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 바(106)가 용지속(Pb)의 후단(後端)을 그립하여 밀어 내기 시작한다. 용지속(Pb)이 그립 바(106)에 의해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배출 개시됨과 동시에 확장 가이드(113)를 후퇴시킨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1로트(Lot)의 용지속(Pb)에 연속하여 다음의 로트의 용지속(Pb)의 후속 용지(Pa)가 이송되어 오는 경우, 후속 용지(Pa)의 선단(先端)이 그립 바(106)의 위치보다 선행하여, 후단(後段)이 용지속(Pb)을 밀어 내는 그립 바(106)보다 하부의 베이스 트레이(112)의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그립 바(106)를 구동시킨다. 이 때, 후속 용지(Pa)의 선단(先端)이 그립 바(106)보다 선행하여, 후단(後段)이 그립 바(106)보다 하부의 베이스 트레이(112)의 영역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용지속(Pb)의 배출 꼬임 방지 및 선행 용지속(Pb)과 후속 용지(Pa)를 분리하기 위해서 구동 조거(105)를 후속 용지(Pa)의 진행 영역 내측(구동 조거가 고정 조거 쪽으로 시프트가 된 상태)에 위치시켜 배출되는 용지속(Pb)을 가이드하도록 한 상태에서 그립 바(106)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 조거(105)가 후속 용지(Pa)의 이송 진행 영역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음의 로트의 후속 용지(Pa)는 구동 조거(105)의 구배(50)를 타고 올라 이동하게 되어, 후속 용지 선단이 그립 바(106)보다 선행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후속 용지(Pa)가 용지속(Pb)과 분리하여 용지속(Pb)만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잼(jam) 발생의 걱정없이 후속 용지(Pa)를 안정되도록 베이스 트레이(112)의 영역에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11은 용지속(Pb)이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배출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용지속(Pb)이 스태커 트레이(103)에서 배출되어 적재된 후에는, 그립 바(106)는 베이스 트레이(112)의 편면을 통과하여 후벽(117) 쪽으로 이동한다. 확장 가이드(113)가 후퇴하고 있어, 용지속(Pb)이 그립 바(106)에 의해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원활히 배출된다.
또, 도 7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 트레이(103) 쪽에서 용지속(Pb)을 밀어 내어 적재하는 순간에 확장 가이드(113)는 전진함과 동시에, 구동 조거(105)가 후속 용지(Pa)의 이송 영역 외측으로 이동하여, 배출 롤러(108)를 완전히 빠져나온 후속 용지(Pa)가 앞의 용지속(Pb)쪽으로 이송되지 않도록 패들(122)이 구동된다.
확장 가이드(113), 패들(122) 및 베이스 트레이(112)의 경사각에 의해서 후속 용지(Pa)가 지지되고, 도 8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속 용지(Pa)의 후단(後端)이 후벽(117)에 정합되어, 다음 후속 용지(Pa)가 구동 조거(105)의 구배(50)에 도달하기 전에 구동 조거(105)를 구동하여 용지(Pa)의 측면을 고정 조거(115) 쪽으로 소정 거리(P)의 위치로 몰아 넣어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정합한다.
한편, 후속 용지(Pa)가 이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용지 후처리 과정을 거쳐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로 배출하여 적재와 작업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용지 이송 유닛(104)의 구성을, 도 14 내지 도 2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용지 이송 유닛(104)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용지를 수납하여 적재하는 스태커 트레이(103) 상에 용지가 정돈된 그대로의 상태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베이스 트레이(112)의 중앙부에는, 베이스 트레이(112)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속(Pb)을 그립하여 스태커 트레이(103)로 이송시키는 용지 이송 수단(220)이 배치된다. 용지 이송 수단(220)은, 용지 이동 방향을 따라서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수단(280)과, 가이드 수단(280)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소정 위치에서 베이스 트레이(112)에 수납된 용지속(Pb)을 그립하도록 동작하는 용지 그립 수단(221)과, 용지 그립 수단(221)이 가이드 수단(280)을 따라서 순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222)을 구비한다.
가이드 수단(280)은 한 쌍의 가이드 측판(203)을 구비하며, 이 가이드 측판(203)은, 용지속(Pb)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베이스 트레이(112)의 중앙부에 평행하게 한 쌍이 배치되고, 각각의 가이드 측판(203)에는 순환 궤도를 형성하는 레일 홈(203a) 및 곡면 캠(203b)이 구성된다.
레일 홈(203a)의 순환 궤도는, 베이스 트레이(112)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또, 곡면 캠(203b)은 레일 홈(203a)의 순환 궤도가 타원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판(203)의 일측에 레일 홈(203a)과 근접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가이드 측판(203) 사이에 끼워져 구동되는 용지 그립 수단(221)은,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이 용지 그립 수단(221)은, 양단부가 레일 홈(203a)에 끼워지고, 그 레일 홈(203a)을 따라서 이동하는 고정축(212)과, 고정축(212)의 양측에 결합되는 이젝터(202)와, 이젝터(202)에 대해 소정의 각도 정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그립 바(106)로 이루어진다. 레일 홈(203a)에 끼워지는 고정축(212)의 단부에는, 고정축(212)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베어링이나 롤러(223) 등을 설치할 수 있다.
고정축(212)에 고정되는 이젝터(202)는, 이젝터 판(板)(215)과, 그 이젝터 판(215)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돌출 마련되는 지지대(215a)로 구성되며, 지지대(215a)의 단부에 그립 바(106)의 중앙부가 힌지부(216)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대(215a)의 단부에 고정되는 그립 바(106)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1 연장부(201a)와, 제2 연장부(201b)로 구분되며, 제2 연장부(201b)에는 보스(217)가 돌출 마련되고, 가이드 측판(203)의 곡면 캠(203b)과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를 이젝터(202)의 이젝터 판(215)으로 밀어 붙이도록 작용하는 스프링(218)이 힌지부(216)에 끼워져 구성된다.
용지 그립 수단(221)은, 고정축(212)에 장착되는 이젝터(202)가 가이드 측판(203)의 레일 홈(203a)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젝터(202)가 가이드 측판(203)의 곡면 캠(203b)의 위치에 이르면 이젝터(202)와 결합된 그립 바(106)의 보스(217)가 곡면 캠(203b)과 접속되고, 그 보스(217)에 연결되어 있는 그립 바(106)의 제2 연장부(201b)가 밀려 회전된다. 따라서, 스프링(218)의 탄력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던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와, 이젝터 판(215)이 서로 이격되어 용지를 그립할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다.
제1 연장부(201a)와, 이젝터(202)가 서로 이격되어 용지를 그립할 수 있는 준비 상태에서 이젝터(202)가 레일 홈(203a)을 따라서 더 이동하여 곡면 캠(203b)의 에어리어를 벗어나면 재차 스프링(218)의 복원력에 의해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와, 이젝터(202)와, 이젝터(202)의 이젝터 판(215)이 접촉된다. 즉,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와, 이젝터(202)의 이젝터 판(215) 사이에 끼워지는 용지속(Pb)의 후단을 그립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측판(203)의 레일 홈(203a)을 따라서 용지 그립 수단(221)을 순환시키는 구동 수단(222)은, 그립측 회전축(211b)과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211a) 사이에 끼워지는 이송 벨트(206)와, 그립측 회전축(211b)과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211a)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207)로 이루어진다. 용지 그립 수단(221)은, 무단(無端) 이송 수단인 이송 벨트(206)에 마련되며, 구동 모터(207)와,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211a) 사이에는, 불 기어(bull gear) 및 타이밍 벨트 등의 동력 전달 수단(213)이 매개가 되어 구동 모터(207)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송 벨트(206)는, 용지 그립 수단(221)의 고정축(212)이 결합되어, 그 이송 벨트(206)의 회전에 의해 용지 그립 수단(221)과 함께 이동한다. 물론, 용지 그립 수단(221)은, 고정축(212)의 단부가 레일 홈(203a)에 끼워져 있으므로 레일 홈(203a)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용지 그립 수단(221)은, 그립측 회전축(211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베이스 트레이(112)에 수납된 용지속(Pb)의 후단을 그립하고,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211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립한 용지(Pa)가 스태커 트레이(103)에 적재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이송 벨트(206)의 순환 궤도와, 레일 홈(203a)의 순환 궤도가 대략 일치되도록 구성해야만 한다. 이 용지 이송 유닛(104)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는 가이드 측판(203)의 곡면 캠(203b)의 기점(基点)에 보스(217)가 위치하고, 보스(217)가 곡면 캠(203b)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내측으로 밀리므로 스프링(218)에 의해 접속되어 있던 이젝터 판(215)과,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가 이격되어 용지속(Pb)의 후단을 그립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복사가 시작되고, 용지속(Pb)이 베이스 트레이(112)에 소정의 매수로 수납되면 그 신호를 감지하여 구동 모터(207)가 회전하게 되어, 구동 모터(207)의 회전 이동력은 그립측 회전축(211b)과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211a)에 전해지며, 그립측 회전축(211b)과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211a)에 장착된 이송 벨트(206)가 회전 이동한다.
이송 벨트(206)의 이동에 의해 고정축(212)에 끼워져 고정된 이젝터(202)가, 레일 홈(203a)을 따라서 소정 구간 정도 이동하게 된다. 이 때에, 도 25와 같이 용지 그립 수단(221)의 이젝터(202)가 이동하여 그립 바(106)의 보스(217)가 곡면 캠(203b)의 에어리어를 벗어나면 힌지부(216)에 의해 이젝터(202)와 결합되어 있는 그립 바(106)가 스프링(21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립 바(106)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적재된 용지속(Pb)의 후단(後端)을 그립하게 되어, 도 26과 같이 용지속(Pb)의 후단을 그립한 상태에서 이젝터(202)가 레일 홈(203a)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용지 그립 수단(221)이 용지속(Pb)의 후단을 그립한 상태에서, 도 27과 같이 이젝터(202)가 이동을 계속하여 스태커 트레이(103)의 위치에 이르면 용지속(Pb)의 대부분의 면이 스태커 트레이(103)의 면에 접속된다. 용지속(Pb)이 스태커 트레이(103)의 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이젝터(202)는 계속하여 회전하여, 하부로 이동하므로 용지속(Pb)의 후단부를 그립하고 있던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가 그대로의 상태로 이동하고, 그립된 용지속(Pb)이 제1 연장부(201a)로부터 분리되어, 그립된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에 내려 둔다. 이 때, 다음의 소정의 매수의 용지속(Pb)이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공급된다.
이 동안에, 이송 벨트(206)가 회전 이동하여, 용지 그립 수단(221)이 도 24의 위치로 복귀하며,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와, 이젝터(202)의 이젝터 판(215)이 접속된 상태로 하여, 레일 홈(203a)을 따라서 곡면 캠(203b) 쪽으로 이동한다.
용지 그립 수단(221)이 용지속(Pb)의 후단을 그립하고, 이 그립한 상태에서, 이젝터(202)가 이동을 계속하여 마찬가지로, 스태커 트레이(103)의 위치에 이르면 용지속(Pb)의 대부분의 면이 스태커 트레이(103)의 면에 접속된다. 용지속(Pb)이 스태커 트레이(103)의 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이젝터(202)는 계속하여 회전하여, 하부로 이동하므로 용지속(Pb)의 후단을 그립하고 있던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가 그대로의 상태로 이동하고, 그립된 용지속(Pb)이 제1 연장부(201a)로부터 분리되며, 그립된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에 내려 두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용지 그립 수단(221)을 이송 벨트(206)에 마련함으로써, 용지속(Pb)을 베이스 트레이(112)에 임시 적재하여 모으고 나서 모아진 수매의 용지속(Pb)을 효율 좋게, 또한 확실히 이송할 수 있어,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또, 용지 그립 수단(221)은, 그립측 회전축(211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베이스 트레이(112)에 수납된 용지속(Pb)을 그립하고,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211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립한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에 내려 두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지속(Pb)의 그립과 그립된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에 내려 두는 동작에 의해서 생기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용지의 이송 간격 및 속도, 정합 과정에서 용지가 시프트되는 소정 거리(P)는, 용지의 사이즈, 용지 검출 센서(SW1) 및 입구 롤러(109), 배출 롤러(108)의 회전 등에 근거하여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적절히 제어 설정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를, 도 28 및 도 2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29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용지 후처리 장치(102)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400)를 구비하며, 이 제어 장치(400)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고, 화상 형성 장치(1)의 제어 장치와 일체로 구성해도, 별체로 구성해도 괜찮다. 또, 용지 후처리 장치(102)는,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하는 용지의 매수를 설정하는 용지 적재 매수 설정 수단(300)을 가지며, 이 용지 적재 매수 설정 수단(30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조작부와 일체로 구성해도, 별체로 구성해도 괜찮다. 또, 용지 후처리 장치(102)는,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Pa)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용지 사이즈 설정 수단(301)을 가지며, 이 용지 사이즈 설정 수단(301)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조작부와 일체로 구성해도, 별체로 구성해도 괜찮다.  
게다가, 용지 후처리 장치(102)는, 용지 이송 수단(310)과, 구동 조거(105)를 구동하는 조거 구동 수단(311)과, 그립 바(106)를 구동하는 그립 바 구동 수단(312)과, 패들(122)을 구동하는 패들 구동 수단(313)과, 확장 가이드(113)를 구동하는 확장 가이드 구동 수단(314)을 구비한다. 용지 이송 수단(210)은, 롤러 등에 의해 구성되고, 입구 롤러(109), 배출 롤러(108)를 포함하며,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이송한다.
제어 장치(400)는, 용지 사이즈 설정 수단(301)에 의해 설정된 용지(Pa)의 폭방향의 사이즈에 근거하여 구동 조거(105)의 대기 위치로부터 용지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소정 거리(P)를 설정한다. 또,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검출하는 용지 검출 센서(SW1)가 배출 롤러(108)의 전단(前段)에 배치되지만, 이 위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용지 검출 센서(SW1)는, 비접촉에 의해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하고 있지만, 접촉에 의해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해도 괜찮다.
제어 장치(400)는, 용지 적재 매수 설정 수단(300)에 의해 설정된 용지의 매수가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되어 용지속(Pb)으로서 배출되도록, 용지 검출 센서(SW1)로부터의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조거 구동 수단(311), 그립 바 구동 수단(312), 패들 구동 수단(313), 확장 가이드 구동 수단(314)을 제어한다.   
용지 후처리 장치(102)의 작동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지 사이즈 설정 수단(301)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Pa)의 사이즈를 설정하면, 제어 장치(400)는, 용지 사이즈 설정 수단(301)에 의해 설정된 용지(Pa)의 폭방향의 사이즈에 근거하여 구동 조거(105)의 대기 위치로부터 용지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소정 거리(P)를 설정한다(S21). 게다가, 용지 적재 매수 설정 수단(300)에 의해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하는 용지의 매수가 설정되면(S22), 제어 장치(400)는, 용지 이송 수단(310)을 구동하여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Pa)를 이송하고,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정합하는 작동을 개시한다(S23). 이 이송 개시시에는, 구동 조거(105)가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S24).
용지(Pa)가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이송되어 오면, 그 이송되어 오는 용지(Pa)는, 입구 롤러(109) 및 배출 롤러(108)를 통과하여 컴파일 유닛(104) 내에 적재되며, 이 배출 롤러(108)가 회전함과 아울러(S25), 확장 가이드 구동 수단(314)에 의해 확장 가이드(113)가 진출하여, 스태커 트레이(103)로 배출되는 용지속(Pb)의 선단을 지지 가능하게 한다(S26).
배출 롤러(108)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용지 검출 센서(SW1)가 이송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까지 용지(Pa)의 선단을 검출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S27),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잼 또는 에러의 표시를 행한다(S28).
용지 검출 센서(SW1)가 용지(Pa)의 선단을 검출하면, 소정 시간까지 용지(Pa)의 후단을 검출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S29),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잼 또는 에러의 표시를 행한다(S30). 소정 시간까지 용지(Pa)의 후단을 검출하면, 패들 구동 수단(313)에 의해 패들(122)이 회전하고, 또 조거 구동 수단(311)에 의해 구동 조거(105)가 대기 위치로부터 용지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P)를 이동하여 용지(Pa)를 정합한다(S31).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설정 매수의 용지(Pa)가 반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S32), 반입이 완료되면, 용지속(Pb)으로의 후처리를 실행하고(S33), 그립 바 구동 수단(312)에 의해 그립 바(106)가 회전 동작을 개시하며(S34), 그립측 회전축(211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베이스 트레이(112)에 수납된 용지속(Pb)의 후단을 그립하여 스태커 트레이(103)측으로 밀어 내기 시작한다(S35). 확장 가이드 구동 수단(314)에 의해 진출하고 있는 확장 가이드(113)가 스태커 트레이(103)로 배출되는 용지속(Pb)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후퇴한다(S36).
이 상태에서 용지 검출 센서(SW1)의 검출에 의해 후속 용지(Pa)가 베이스 트레이(112) 상으로 이송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S37), 후속 용지(Pa)가 베이스 트레이(112) 상으로 이송되면, 후속 용지(Pa)의 선단이, 선행 용지속(Pb)을 밀어 내는 그립 바(106)보다 선행하여 반입되고 있는 구동 조거(105)의 구배(50) 또는 그립 바(106)로부터 타고 오른다. 후속 용지(Pa)의 후단은 그립 바(106)보다 후방에 위치한다(S38).
확장 가이드 구동 수단(314)의 구동에 의해 확장 가이드(113)가 후퇴하여, 그립 바(106)에 의해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로 배출한다(S39). 후속 용지(Pa)가 베이스 트레이(112) 상으로 이송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S37), 확장 가이드 구동 수단(314)의 구동에 의해 확장 가이드(113)가 후퇴하여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그립 바(106)에 의해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로 배출한다(S39).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설정 매수의 용지(Pa)가 반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S32), 후속 용지(Pa)가 반입하고(S40), 구동 조거(105)가 정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후속 용지(Pa)가 구동 조거(105)에 간섭하는 위치까지 도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41).
후속 용지(Pa)가 구동 조거(105)에 간섭하는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으면, 구동 조거(105)의 구배(50)로부터 후속 용지(Pa)의 선단이 타고 오르도록 후속 용지(Pa)를 배출하고(S42), 구동 조거(105)를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S43). 그리고, 용지 검출 센서(SW1)가 후속 용지(Pa)의 선단을 검출하면, 소정 시간까지 후속 용지(Pa)의 후단을 검출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S29)로 이행한다.
또, 후속 용지(Pa)가 구동 조거(105)에 간섭하는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S41), 구동 조거(105)를 대기 위치로 이동하고(S44), 후속 용지(Pa)를 베이스 트레이(112) 상으로 배출하며(S45), 용지 검출 센서(SW1)가 후속 용지(Pa)의 선단을 검출하면, 소정 시간까지 후속 용지(Pa)의 후단을 검출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S29)로 이행하여, 상기한 작동을 반복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400)는, 용지 검출 센서(SW1)로부터의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조거 구동 수단(311)을 제어하여, 용지(Pa)가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구동 조거(105)를 대기 위치로부터 용지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P) 이동시키고,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이송되는 후속 용지(Pa)의 면영역 내의 위치에서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된 용지(Pa)를 정합하며, 구동 조거(105)가 용지(Pa)를 정합하고 있는 상태에서 후속 용지(Pa)를 구동 조거(105)의 상면에 싣고, 후속 용지(Pa)를 구동 조거(105)의 상면 또는 그립 바(106)에 실은 상태에서 구동 조거(105)를 원래의 대기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조거(105)의 상면에 실어져 있던 후속 용지(Pa)를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적재시키고, 구동 조거(105)의 대기 위치로부터 용지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P) 왕복 이동하는 작동을 반복하여,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용지(Pa)를, 설정 매수를 정합하여 적재하고, 구동 조거(105)의 작동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트레이(112) 상의 용지(Pa)와 후속 용지(Pa)가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고속으로 이송시켜 적재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400)는, 용지 사이즈 설정 수단(301)에 의해 설정된 용지(Pa)의 폭방향의 사이즈에 근거하여 구동 조거(105)의 대기 위치로부터 용지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소정 거리(P)를 설정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사이즈의 용지를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설정 매수를 정합하여 적재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400)는, 용지 검출 센서(SW1)가 용지(Pa)의 선단을 검출하고, 소정 시간까지 용지(Pa)의 후단을 검출하면, 패들 구동 수단(313)에 의해 패들(122)을 회전시켜, 후속 용지(Pa)에 패들(122)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후속 용지(Pa)의 전방으로의 이송을 억제하여 용지속(Pb)의 후단(後端)의 단면(端面)을 가지런하게 하고, 또한 그립 바 구동 수단(311)에 의해 구동 조거(105)가 소정 거리(P)를 이동하여 용지(Pa)를 정합함으로써, 후속 용지(Pa)와 용지속(Pb)이 간섭하지 않고 용지속(Pb)을 확실히 정합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400)는, 용지 검출 센서(SW1)가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면, 확장 가이드(113)를 진출시켜,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배출되는 용지속(Pb)의 선단을 지지 가능하게 하며, 베이스 트레이(112) 상에 용지가 설정 매수 정합하여 적재된 후, 그립 바(106)에 의해 용지속(Pb)의 후단을 그립하여 밀어 내어, 진출하고 있는 확장 가이드(113)에 의해 용지속(Pb)을 지지하면서 확장 가이드(113)를 후퇴시켜 대기 위치로 하고, 베이스 트레이(112) 상의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배출하고,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 상에 배출한 후에, 용지 검출 센서(SW1)가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면, 확장 가이드(113)를 진출시켜,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배출되는 용지속(Pb)의 선단을 지지 가능하게 하는 컴팩트한 구조이며, 게다가 확장 가이드(113)는 그립 바(106)가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용지속(Pb)의 배출을 완료할 때만 후퇴하여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이므로, 확실히 용지속(Pb)을 지지하여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배출하는 용지속(Pb)에 후속하는 후속 용지(Pa)가, 베이스 트레이(112) 상으로 이송될 때, 후속 용지(Pa)의 선단이 구동 조거(105) 또는 그립 바(106)를 타고 올라, 선행하는 용지속(Pb)을 밀어 내는 그립 바(106)보다 선행하고, 후속 용지(Pa)의 후단은 그립 바(106)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확장 가이드(113)가 후퇴하여, 그립 바(106)에 의해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배출함으로써, 후속 용지(Pa)와 그립 바(106)가 간섭하지 않고, 게다가 확장 가이드(113)의 후퇴에 의해 확장 가이드(113)가 용지속(Pb)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아, 원활히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 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를 도 30 내지 도 4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용지 적재 장치의 용지 배출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1은 용지 적재 장치의 그립 해제의 구조도, 도 32는 용지 적재 장치의 그립 해제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3 내지 도 38은 용지 적재 장치의 동작 과정 설명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는, 그립 해제 수단(90)을 구비하며, 이 그립 해제 수단(90)의 구성을, 도 30 내지 도 3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그립 해제 수단(90)은, 용지 그립 수단(221)의 이송에 의해 이젝터(202)와 그립 바(106)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고, 스태커 트레이(103)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한다.
이 실시 형태의 그립 해제 수단(90)은, 장치 본체(X)에 마련한 해제 가이드 부재(91)를 가지며, 이 해제 가이드 부재(91)는 가이드 측판(203)에 마련된 돌기로 구성된다. 용지 그립 수단(221)에 의해 이젝터(202)와 그립 바(106)에 의해 용지속(Pb)을 그립하여 이송하고(도 32의 (a)), 이 이송에 의해서 그립 바(106)가 해제 가이드 부재(91)에 맞닿으며(도 32의 (b)), 또 그립 바(106)를 해제 가이드 부재(91)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하고, 이 때문에 그립 바(106)는 스프링(218)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이젝터(20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그립 바(106)의 이간하는 방향에 의해서 이젝터(202)와 그립 바(106)에 의한 용지속(Pb)의 그립을 해제하고(도 32(c)), 게다가 그립 바(106)가 이송됨으로써 용지속(Pb)은 낙하하여 스태커 트레이(103)에 적재된다. 그리고, 그립 바(106)가 해제 가이드 부재(91)를 타고 넘고 나서 빠져, 스프링(218)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용지 그립 수단(221)에 의해 이송된다.
이와 같이, 용지 그립 수단(221)의 이송에 의해 이젝터(202)와 그립 바(106)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고, 스태커 트레이(103)에 용지(Pa)를 모아서 적재하기 때문에, 용지(Pa)가 벽면에 접촉해도 용지(Pa)가 휘는(젖혀 올라가기) 경우가 없게 되어, 용지(Pa)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스태커 트레이(103)에 적재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는, 용지 그립 수단(221)에 의해 그립 바(106)를 해제 가이드 부재(91)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하고, 이젝터(202)와 그립 바(106)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는 구성이며, 해제 가이드 부재(91)는, 장치 본체(X)를 구성하는 가이드 측판(3)에 마련된 돌기이고, 해제 가이드 부재(91)를 구비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그립을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용지 후처리 장치(102)에서의 용지 적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33 내지 도 38에 의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는 가이드 측판(203)의 곡면 캠(203b)의 기점에 보스(217)가 위치하고, 보스(217)가 곡면 캠(203b)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내측으로 밀리므로 스프링(218)에 의해 접속되어 있던 이젝터 판(215)과,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가 이격되어 용지속(Pb)을 그립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디지털 출력 장치의 복사가 시작되어, 용지(Pa)가 용지 적재판(205)에 소정의 매수로 수납되면 그 신호를 감지하여 구동 모터(207)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 모터(207)의 회전 동력은 그립측 회전축(211b)과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211a)에 전해지며, 그립측 회전축(211b)과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211a)에 장착된 이송 벨트(206)가 회전 이동한다.
이송 벨트(206)의 이동에 의해 고정축(212)에 끼워져 고정된 이젝터(202)가, 레일 홈(203a)을 따라서 소정 구간 정도 이동하게 된다. 이 때에, 도 34와 같이 일방의 용지 그립 수단(221)의 이젝터(202)가 이동하여 그립 바(106)의 보스(217)가 곡면 캠(203b)의 에어리어를 벗어나면 힌지부(216)에 의해 이젝터(202)와 결합되어 있는 그립 바(106)가 스프링(21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립 바(106)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적재된 용지속(Pb)을 그립하게 되고, 도 35와 같이 용지속(Pb)을 그립한 상태에서 이젝터(202)가 레일 홈(203a)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일방의 용지 그립 수단(221)이 용지속(Pb)을 그립한 상태에서, 도 36과 같이 이젝터(202)가 이동을 계속하여 스태커 트레이(103)의 위치에 이르면 용지(Pa)의 대부분의 면이 스태커 트레이(103)의 면에 접속된다. 용지(Pa)가 스태커 트레이(103)의 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이젝터(202)는 계속하여 회전하고, 하부로 이동하므로 용지속(Pb)의 단부를 그립하고 있던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가 그대로의 상태로 이동하며, 이 이송에 의해서 그립 바(106)가 해제 가이드 부재(91)에 맞닿고, 또 그립 바(106)를 해제 가이드 부재(91)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한다. 이 때문에 그립 바(106)는, 도 37과 같이 스프링(218)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이젝터(202)로부터 이간하도록 이동하고, 그립된 용지속(Pb)이 제1 연장부(201a)로부터 분리되며, 그립된 용지(Pa)를 스태커 트레이(103) 상에 낙하하여, 용지가 벽면에 접촉해도 용지가 휘는(젖혀 올라가는) 경우가 없게 되어,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스태커 트레이(103)에 적재할 수 있다.
그립된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로 이송시키고, 용지 그립 수단(221)이, 도 38과 같이 그립 바(106)의 제1 연장부(201a)와, 이젝터(202)의 이젝터 판(215)이 접속된 상태로 하고, 레일 홈(203a)을 따라서 곡면 캠(203b) 쪽으로 이동하여, 도 33의 상태가 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제3 실시 형태)
이 실시 형태를, 도 39 및 도 4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용지 적재 장치의 이젝터가 고정되는 고정축의 요부 설명도, 도 40은 용지 적재 장치의 그립 해제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그립 해제 수단(90)이, 제2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 실시 형태의 그립 해제 수단(90)은,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X)에 마련한 해제 가이드 부재(91)를 가지지만, 용지 그립 수단(221)은, 그립 바(106)의 그립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96)를 가진다. 해제 레버(96)는, 고정축(212)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부(96a)가 해제 가이드 부재(91)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해제 레버(96)가 회전하여 타단부(96b)가 그립 바(106)를 이젝터(202)로부터 이간시키도록 회전하는 구성이다. 해제 가이드 부재(91)는, 가이드 측판(203)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로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용지 그립 수단(221)에 의해, 그립된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로 이송시키고, 또 해제 레버(96)의 일단부(96a)가 해제 가이드 부재(91)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하면, 이 이송에 의해 해제 레버(96)가 회전하여 타단부(96b)가 그립 바(106)를 이젝터(202)로부터 이간시키도록 회전한다(도 40의 (a)). 이와 같이, 해제 레버(96)에 의해 이젝터(202)와 그립 바(106)에 의한 그립을 해제함으로써, 그립된 용지속(Pb)을 스태커 트레이(103) 상에 낙하하고, 용지가 벽면에 접촉해도 용지가 휘는(젖혀 올라가기) 경우가 없게 되어,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스태커 트레이(103)에 적재할 수 있다(도 40의 (b)).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 가이드 부재(91)와, 그립 바(106)를 이젝터(202)로부터 이간시키는 해제 레버(96)를 구비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그립을 해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용지 그립 이송 수단,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 구동 수단의 제1 구성)
용지 그립 이송 수단,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 구동 수단의 제1 구성을, 도 41 내지 도 4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용지 후처리 장치에서의 용지 적재의 평면도, 도 42는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3은 제어 블록도, 도 44는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102)는, 스태커 트레이(103)를 장치 본체(X)에 구비하며, 스태커 트레이(103)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하는 것이며, 장치 본체(X)에, 용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용지 적재판(205)과, 용지 적재판(205)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P)를 그립하여 이송하고, 배출 위치에서 그립을 개방하여 스태커 트레이(103)에 적재하는 용지 그립 이송 수단(A)과, 용지 적재판(205)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여 이송하는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과, 용지 그립 이송 수단(A)과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을 연동하여, 단일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수단(C)을 구비하고 있다.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은, 상기한 용지 이송 수단(220)과 그립 수단(221)으로 구성되며, 이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의 양측에,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을 배치하고, 양측에 배치된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과, 중간에 배치된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에 의해 용지를 유지하여 이송하는 구성이며, 그립한 용지의 양측을 유지하여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또한 용지를 어긋나지 않게 이송하여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다.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은,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는 엔드 펜스(end fence)(250)와, 엔드 펜스 벨트(251)를 가지며, 엔드 펜스(250)는 엔드 펜스 벨트(251)에 고정되며, 엔드 펜스 벨트(251)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 수단(C)에 구비한 단일의 구동원(260)은, 모터로 구성되며, 이 구동원(260)의 회전은, 구동 벨트(261)를 매개로 하여 제1 구동축(262)에 전달된다. 제1 구동축(262)에는, 구동 기어(263)가 마련되며, 이 구동 기어(263)는, 제2 구동축(264)에 마련된 구동 기어(265)와 치합하고 있다. 제1 구동축(262)의 회전은, 구동 기어(263), 구동 기어(265)를 매개로 하여 제2 구동축(264)에 전달된다.
제1 구동축(262)에는, 그립 구동 기어(270)가 마련되며, 그립 구동 기어(270)의 회전은, 중간 기어(271)를 매개로 하여 벨트 구동 기어(272)에 전달된다. 중간 기어(271)는, 제2 구동축(264)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벨트 구동 기어(272)의 동축(同軸) 상에는, 구동 롤러(273)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롤러(273)에 의해 그립 벨트(274)가 구동되고, 그립 벨트(274)는, 종동 롤러(275)와 텐션 롤러(276)에 걸어 걸쳐져 있다.
제2 구동축(264)에는, 구동 롤러(252)가 마련되며, 엔드 펜스 벨트(251)는, 구동 롤러(252)와, 종동 롤러(253)에 걸어 걸쳐져 있다. 제2 구동축(264)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 롤러(252)가 회전하고, 엔드 펜스 벨트(251)를 매개로 하여 엔드 펜스 벨트(251)가 이동한다. 엔드 펜스 벨트(251)는, 스프링(254)에 의해서 초기 위치(K1)로 복귀하도록 가압되고, 이 초기 위치(K1)는, 용지 적재판(205) 상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를 가지런하게 한 위치이다.
구동 기어(263)에는, 원 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263a)가 마련되고, 구동 기어(265)에는, 원 웨이 클러치(265a)가 마련되며, 래칫(ratchet)(266)에 의해서 구동 기어(265)의 회전을 정지해도 제1 구동축(262)이 회전하고, 제2 구동축(264)이 역회전해도 구동 기어(265)가 역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래칫(266)은, 래칫 구동 수단(277)에 의해서 구동되고, 래칫 구동 수단(277)은, 제어 장치(278)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 제어 장치(278)에는, 그립 바 위치 검출 수단(S1)으로부터 그립 바 위치 검출 정보가 보내어지고, 엔드 펜스 위치 검출 수단(S2)으로부터 엔드 펜스 위치 검출 정보가 보내어지며, 이 그립 바 위치 검출 정보와 엔드 펜스 위치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래칫 구동 수단(277)을 제어하여 구동 기어(265)의 회전을 정지, 또는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용지 그립 이송 수단(A),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 구동 수단(C)의 작동을 설명한다.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에 구비한 엔드 펜스(250)는, 용지 적재판(205) 상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를 가지런하게 한 위치를 초기 위치(K1)로 하고, 용지의 후단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한 상태로 유지하여 정지하고 있다.
구동 수단(C)에 구비한 단일의 구동원(260)이 구동되면, 구동원(260)의 회전은, 구동 벨트(261)를 매개로 하여 제1 구동축(262)에 전달되고, 또 구동 기어(263)로부터 구동 기어(265)에 전달되지만, 래칫(266)에 의해서 구동 기어(265)의 회전을 정지하고 있으며, 제2 구동축(264)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엔드 펜스(250)는, 용지를 그립하는 위치를 초기 위치(K1)에 정지한 채로 있다.
제1 구동축(262)이 회전하고, 이 회전은 그립 구동 기어(270), 중간 기어(271)를 매개로 하여 벨트 구동 기어(272)에 전달되며, 벨트 구동 기어(272)의 동축 상에 마련되어 있는 구동 롤러(273)에 의해 그립 벨트(274)가 구동되어, 그립 바(106)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이 그립 바(106)의 위치를 그립 바 위치 검출 수단(S1)이 검출하여, 그립 바 위치 검출 정보가 제어 장치(278)에 보내어진다.
제어 장치(278)는, 그립 바 위치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래칫 구동 솔레노이드(277)를 제어하고, 래칫(266)에 의한 구동 기어(265)의 회전 정지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2 구동축(264)이 회동을 개시하고, 초기 위치(K1)에서 정지하고 있는 엔드 펜스(250)를 용지 그립 이송 수단(A)과 연동시켜 이송하고, 그립 바(106)와 엔드 펜스(250)가 동기한다. 엔드 펜스(250)는,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는 그립 위치(K2)까지 수매의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여 이송하며, 그립 바(106)가 그립 위치(K2)에서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고, 엔드 펜스 위치 검출 수단(S2)으로부터 엔드 펜스 위치 검출 정보가 제어 장치(278)에 보내어진다. 이 제어 장치(278)는, 엔드 펜스 위치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래칫 구동 솔레노이드(277)를 제어하여 구동 기어(265)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 때문에, 엔드 펜스(250)는, 스프링(254)에 의해서 초기 위치(K1)로 복귀한다. 이 때, 엔드 펜스 벨트(251)에 의해서 제2 구동축(264)이 역회전하지만, 구동 기어(265)의 원 웨이 클러치(265a)에 의해서 제2 구동축(264)이 역회전해도 구동 기어(265)가 역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연동을 해제하여 엔드 펜스(250)를 초기 위치(K1)로 복귀시키고, 이후 그립 바(106)가 용지를 이송하여 스태커 트레이(103)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 위치(K1)에서, 엔드 펜스(250)를 용지 그립 이송 수단(A)과 연동시켜 이송하고, 이 연동의 해제는,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의 그립 바(106)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혹은 그 후에, 이 연동의 해제에 의해서 엔드 펜스(250)를, 초기 위치(K1)로 복귀시킨다.
스태커 트레이(103)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한 후, 래칫(266)에 의해서 구동 기어(265)의 회전을 정지하고 있고, 제2 구동축(264)은 회전하지 않지만, 엔드 펜스(250)는, 용지를 그립하는 위치를 초기 위치(K1)로 복귀하여 정지한 채로 있다.
다음의 용지가 용지 적재판(205)에 수납되면, 제1 구동축(262)이 계속 회전함으로써,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립 바(106)의 위치를 그립 바 위치 검출 수단(S1)이 검출하여, 그립 바 위치 검출 정보가 제어 장치(278)에 보내어지면 마찬가지로 하여, 다음의 용지를 스태커 트레이(103)에 모아서 적재할 수 있다.
(용지 그립 이송 수단,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 구동 수단의 제2 구성)
용지 그립 이송 수단,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 구동 수단의 제2 구성을, 도 45 내지 도 4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6은 제어 블록도, 도 47은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구성과 동일 구성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기어(263)에는 원 웨이 클러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구동 기어(265)에도 원 웨이 클러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구동 기어(263)와 구동 기어(265)는 연동하여 회전하며, 구동 기어(265)의 회전을 정지하는 래칫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은,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는 엔드 펜스(250)와, 엔드 펜스 벨트(251)를 가지지만, 엔드 펜스 벨트(251)에는 소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걸림 구멍(251a)이 형성되고, 엔드 펜스(250)에는, 걸림 핀(250a)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 핀(250a)은, 솔레노이드(250b)에 의해서 작동하여, 걸림 구멍(251a)에 걸리고, 또 걸림 해제가 행해진다. 엔드 펜스(250)는, 걸림 핀(250a)이 걸림 구멍(251a)에 걸림으로써, 엔드 펜스 벨트(251)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스프링(254)에 의해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용지 그립 이송 수단(A),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 구동 수단(C)의 작동을 설명한다.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에 구비한 엔드 펜스(250)는, 용지 적재판(205) 상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를 가지런하게 한 위치를 초기 위치(K1)로 하고, 용지의 후단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한 상태로 유지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엔드 펜스(250)는, 걸림 핀(250a)이 걸림 구멍(251a)에 걸리지 않아, 엔드 펜스 벨트(251)에 의해서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 수단(C)에 구비한 단일의 구동원(260)이 구동되면, 구동원(260)의 회전은, 구동 벨트(261)를 매개로 하여 제1 구동축(262)에 전달되고, 또 구동 기어(263)로부터 구동 기어(265)에 전달되지만, 래칫(266)에 의해서 구동 기어(265)의 회전을 정지하고 있어, 제2 구동축(264)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엔드 펜스(250)는, 용지를 그립하는 위치를 초기 위치로서 정지한 채로 있다.
제1 구동축(262)이 회전하고, 이 회전은 그립 구동 기어(270), 중간 기어(271)를 매개로 하여 벨트 구동 기어(272)에 전달되어, 벨트 구동 기어(272)의 동축 상에 마련되어 있는 구동 롤러(273)에 의해 그립 벨트(274)가 구동되며, 그립 바(106)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이 그립 바(106)의 위치를 그립 바 위치 검출 수단(S1)이 검출하여, 그립 바 위치 검출 정보가 제어 장치(78)에 보내어진다.  
제어 장치(278)는, 그립 바 위치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엔드 펜스 구동 솔레노이드(279)를 제어하여, 걸림 핀(250a)이 작동하며, 걸림 구멍(251a)에 걸려, 초기 위치(K1)에서 정지하고 있는 엔드 펜스(250)를 용지 그립 이송 수단(A)과 연동시켜 이송하며, 그립 바(106)와 엔드 펜스(250)가 동기한다. 엔드 펜스(250)는,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는 그립 위치(K2)까지 수매의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여 이송하고, 그립 바(106)가 그립 위치(K2)에서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고, 엔드 펜스 위치 검출 수단(S2)으로부터 엔드 펜스 위치 검출 정보가 제어 장치(278)에 보내어진다. 이 제어 장치(278)는, 엔드 펜스 위치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엔드 펜스 구동 솔레노이드(279)를 제어하여, 걸림 핀(250a)이 작동하고, 걸림 구멍(251a)의 걸림이 해제되며, 이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엔드 펜스(250)가 스프링(254)에 의해서 초기 위치(K1)로 복귀하고, 이후 그립 바(106)가 용지를 이송하여 스태커 트레이(103)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할 수 있다.
스태커 트레이(103)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한 후, 다음의 용지가 용지 적재판(205)에 수납되면, 제1 구동축(262) 및 제2 구동축(264)이 계속 회전함으로써,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립 바(106)의 위치를 그립 바 위치 검출 수단(S1)이 검출하여, 그립 바 위치 검출 정보가 제어 장치(278)에 보내어지면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다음의 용지를 스태커 트레이(103)에 모아서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은,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에 의해 용지를 유지하고, 용지 그립 이송 수단(A)과 동기하여 용지를 유지하여 이송하며, 스태커 트레이(103)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하고, 용지가 벽면에 접촉해도 용지가 휘는(젖혀 올라가는) 경우가 없게 되어,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또한 용지를 어긋나지 않게 이송하여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다.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은,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는 엔드 펜스(250)를 가지며, 구동 수단(C)은, 초기 위치(K1)에서, 엔드 펜스(250)를 용지 그립 이송 수단(A)과 연동시켜 이송하고,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혹은 그 후에 연동을 해제하고, 엔드 펜스(250)를, 초기 위치(K1)로 복귀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수매의 용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하여 그립하여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의 양측에,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을 배치함으로써, 수매의 용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하여 그립 위치로 이송하고, 간단 또한 저코스트인 구조로 수매의 용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하여 확실히 그립하여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지를 정확하게 그립하여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또한 용지를 어긋나지 않게 이송하여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다.
(용지 그립 이송 수단,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 구동 수단의 제3 구성)
용지 그립 이송 수단,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 구동 수단의 제3 구성을, 도 4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는, 제1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한 쌍의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을 구비하며, 한 쌍의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의 사이에,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을 배치하고, 양측에 배치된 용지 그립 이송 수단(A)과, 중간에 배치된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에 의해 용지를 이송하는 구성이다.
한 쌍의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을 구비하며, 한 쌍의 용지 그립 이송 수단(A)의 사이에,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B)을 배치함으로써, 수매의 용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하여 그립 위치로 이송하고, 간단 또한 저코스트인 구조로 수매의 용지를 정확하게 가지런하게 하여 확실히 그립하여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지의 양측에서 용지를 정확하게 그립하여 용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또한 용지를 어긋나지 않게 이송하여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의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여러 가지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인쇄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결합되어 그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후처리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에 적용 가능하고, 용지를 확실히 모아서 스태커 트레이 상에 적재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용지 후처리 기능을 고속도로 수행할 수 있으며. 게다가 컴팩트한 구조이다.
1 : 화상 형성 장치 102 : 용지 후처리 장치
103 : 스태커 트레이 104 : 용지 이송 유닛
105, 115 : 조거  106 : 그립 바
107 : 스테이플러 108 : 배출 롤러
109 : 입구 롤러  112 : 베이스 트레이
113 : 확장 가이드 117 : 후벽 
122 : 패들 50, 51 : 구배 
90 : 그립 해제 수단 91 : 해제 가이드 부재
96 : 해제 레버 110 : 용지 적재 장치
202 : 이젝터 203 : 가이드 측판
203a : 레일 홈 203b : 곡면 캠
205 : 용지 적재판 206 : 이송 벨트
207 : 구동 모터 211a : 스태커 트레이측 회전축
211b : 그립측 회전축 212 : 고정축
213 : 동력 전달 수단 215 : 이젝터 판
216 : 힌지부 217 : 보스
218 : 스프링 220 : 용지 이송 수단
221 : 용지 그립 수단 222 : 구동 수단
280 : 가이드 수단 223, 289 : 롤러
Pa : 용지 Pb : 용지속
A : 용지 그립 이송 수단 B :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
C : 구동 수단 X : 장치 본체

Claims (7)

  1.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적재하는 베이스 트레이와,
    상기 베이스 트레이 상에 적재한 용지속(用紙束)의 후단(後端)을 그립(grip)하는 용지 그립 수단과 상기 용지 그립 수단을 이송하는 용지 이송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지 이송 유닛과,
    상기 용지 이송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용지를 적재하는 스태커(stacker) 트레이를 구비한 용지 후처리 장치로서,
    상기 용지 그립 수단은,
    고정되는 이젝터(ejector)와,
    상기 이젝터에 대해 소정의 각도 정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그립 바를 가지며,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해 상기 수매(數枚)의 용지를 그립하는 구성이고,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는 그립 해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그립 해제 수단은, 상기 용지 그립 수단의 이송에 의해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고,
    상기 스태커 트레이에 용지를 모아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 해제 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한 해제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상기 용지 그립 수단에 의해 상기 그립 바를 상기 해제 가이드 부재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하고,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 해제 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한 해제 가이드 부재를 가지고,
    상기 용지 그립 수단은,
    상기 그립 바의 그립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를 가지며,
    상기 용지 그립 수단에 의해 상기 해제 레버를 상기 해제 가이드 부재에 맞닿게 하면서 이송하고, 상기 해제 레버에 의해 상기 이젝터와 상기 그립 바에 의한 그립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용지 후처리 장치.
  4.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적재하는 베이스 트레이와,
    상기 베이스 트레이 상에 적재한 용지속의 후단을 그립하여 이송하며, 배출 위치에서 그립을 개방하여 상기 스태커 트레이에 적재하는 용지 그립 이송 수단과, 상기 용지 적재판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여 이송하는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지 이송 유닛과,
    상기 용지 이송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용지를 적재하는 스태커 트레이와,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과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연동하며, 단일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용지 후처리 장치로서,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은,
    상기 용지 적재판 상에 수납된 수매의 용지를 가지런하게 한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용지를 유지하고,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는 그립 위치까지 상기 수매의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여 이송하며,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혹은 그 후에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의 양측에,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용지 그립 이송 수단의 사이에,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 이송 수단은,
    용지의 후단부를 유지하는 엔드 펜스(end fence)를 가지며,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엔드 펜스를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과 연동시켜 이송하고,
    상기 용지 그립 이송 수단에 의해 용지를 그립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혹은 그 후에 상기 연동을 해제하며,
    상기 엔드 펜스를,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KR1020167006593A 2013-08-15 2014-05-29 용지 후처리 장치 KR20160043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8887 2013-08-15
JP2013168887A JP6263899B2 (ja) 2013-08-15 2013-08-15 用紙後処理装置
JP2014004819A JP2015131716A (ja) 2014-01-15 2014-01-15 用紙後処理装置
JPJP-P-2014-004819 2014-01-15
PCT/JP2014/064322 WO2015022801A1 (ja) 2013-08-15 2014-05-29 用紙後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052A true KR20160043052A (ko) 2016-04-20

Family

ID=5246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593A KR20160043052A (ko) 2013-08-15 2014-05-29 용지 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25272B2 (ko)
KR (1) KR20160043052A (ko)
WO (1) WO20150228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862B1 (ko) * 2018-02-14 2019-07-29 주식회사신도리코 피니셔 기구용 용지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7592B2 (en) * 2016-06-17 2019-08-13 Konica Minolta, Inc. Sheet lo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80574B2 (ja) * 2016-06-17 2021-06-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80013385A (ko) * 2016-07-29 2018-02-0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인쇄매체 후처리 장치, 화상형성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구조체
US10996607B2 (en) * 2016-09-09 2021-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d media stack alignment
JP6858010B2 (ja) 2016-12-09 2021-04-14 株式会社東芝 後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US10280029B2 (en) * 2017-06-23 2019-05-07 Christoph Gahr Accumulator for collating punch system
JP2022030361A (ja) * 2020-08-07 2022-02-1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US20220204302A1 (en) * 2020-12-24 2022-06-30 Canon Finetech Nisca Inc.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3232A1 (de) * 1992-07-15 1994-01-20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Öffnungszeitpunktes von Greifern eines Bogenauslegers einer bogenverarbeitenden Maschine
KR100405324B1 (ko) * 2001-07-19 2003-11-12 (주)케이알디씨 용지후처리장치에서의 용지적재장치
JP4915938B2 (ja) * 2007-04-26 2012-04-11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40133061A (ko) * 2013-05-09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 후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862B1 (ko) * 2018-02-14 2019-07-29 주식회사신도리코 피니셔 기구용 용지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25272B2 (en) 2017-08-08
US20160194172A1 (en) 2016-07-07
WO2015022801A1 (ja)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3052A (ko) 용지 후처리 장치
JP5269161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シート後処理方法
JP4801992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2004269252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168965A (ja) 用紙後処理装置
US20200262671A1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post-processing device
US6834854B2 (en) Sheet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4118295A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15027916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954809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5948985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2101914A (ja) 用紙後処理装置
JP4976246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2013124178A (ja)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308215A (ja) 用紙後処理装置
JP3832964B2 (ja)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5131716A (ja) 用紙後処理装置
JP4500713B2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256729A (ja) シート処理装置
US11535480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06124164A (ja) 用紙後処理装置
JP6072475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JP6058967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US11712915B2 (en) Sheet bundle discharging apparatus and bookbinding apparatus
KR100920173B1 (ko) 용지 후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