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697A - 패키지 - Google Patents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697A
KR20140130697A KR20147024756A KR20147024756A KR20140130697A KR 20140130697 A KR20140130697 A KR 20140130697A KR 20147024756 A KR20147024756 A KR 20147024756A KR 20147024756 A KR20147024756 A KR 20147024756A KR 20140130697 A KR20140130697 A KR 2014013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ackage
cover
containe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날드 에이치 엑스너
아담 로이드
스테펜 피 윌콕스
조-안 클라크
빈센조 디사비노
레오나르드 에스 스카올라
폴 안토니 제르파스
Original Assignee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13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68Means for reclosing the cover after its first opening
    • B65D77/2072Mechanical means
    • B65D77/2088Mechanical means attached to the cover
    • B65D77/2092Mechanical means attached to the cover the means being a part initially broken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art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트레이의 둘러싸는 플랜지(38) 주위로 밀봉되는 커버(12)를 구비하는 트레이(11)를 포함하는 식품 패키지를 제공하며, 플랜지는 비평면형이다. 플랜지는, 서로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에 놓이는 평면형 리딩 에지와 평면형 트레일링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랜지의 측면 에지들은 평면 세그먼트들에 더하여 비평면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재폐쇄가능한 형상부에도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키지{PACKAG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3월 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1/608,081호 및 2012년 8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1/683,161호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본 발명은 트레이와 커버를 구비한 패키지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비평면 플랜지를 지닌 트레이와, 트레이의 비평면 플랜지에 밀봉된 커버 또는 덮개를 구비한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트레이 또는 다른 강성 구조를 지닌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패키지들이 운송, 디스플레이 및 유저에 의한 소비 도중에 제품을 저장하는 데 흔히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패키지의 일반적인 형태는, 트레이를 밀봉하기 위하여 주연 플랜지에 부착된 덮개 또는 커버재를 지닌 막 재료의 웹(web)으로 대량 생산되어 왔다. 이러한 대량 생산된 패키지는, 커버의 밀봉을 위하여 트레이 주위에 배치된 평면 또는 편평하고 대칭인 밀봉 플랜지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푸드 패키지의 트레이의 평면 플랜지가 일반적이지만, 이들은 많은 다른 유사한 구성의 트레이로 인하여 특징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이들은 커버를 시각적으로 투과하여 볼 수 있는 표면 영역을 제한한다는 단점이 있고, 이는 가용 표시량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키지의 다른 단점은, 이들이 종종 사각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나, 푸드 제품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과도한 포장이 된다는 것이다. 대량 생산된 패키지는, 패키지에 저장된 푸드 제품에 대한 과잉 헤드 공간(headspace) 및 과잉 공간을 가지므로 이동할 수 있어 불리하다는 단점도 있다.
패키지에 저장된 내용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춤으로써 패키지의 구성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이 감소되는 패키지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다. 본 패키지는 바닥 벽, 배면 벽 및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강성 또는 반-강성 트레이를 포함한다. 이들 벽은 트레이가, 서로에 대해 180°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진 정면 및 상부면과 같은 적어도 2개의 면에 개구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개구부는, 바닥 벽의 정면 에지, 배면 벽의 상부 에지, 측벽의 에지들 포함하는 벽들의 자유(free) 에지에 의해 규정된다. 트레이는 선택적으로 자유 에지들로부터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주연 플랜지를 더 포함한다. 주연 플랜지에는, 커버에 부착하거나 개구부를 감싸는 커버와 연결시키기 위한 밀봉면이 제공된다.
도 1은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밀봉하는 커버를 지닌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기의 상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용기용 트레이의 사시도.
도 4는 트레이 내에 있는 푸드 제품의 2개의 열을 나타내는 도 3의 트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부분적으로 밀봉된 커버와, 트레이 내에 있는 2개의 열의 푸드 제품을 지닌 도 3의 트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용기 내에 담겨진 2개의 제품을 나타내는 도 1의 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용기의 정면도.
도 8은 도 1의 용기의 좌측면도로서, 이의 우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9는 도 1의 용기의 배면도.
도 10은 도 1의 용기의 하부 평면도.
도 11은 용기를 밀봉하는 커버를 지닌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용기의 정면도.
도 13은 도 11의 용기용 트레이의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용기의 상부 평면도.
도 15는 도 11의 용기의 우측면도.
도 16은 도 11의 용기의 배면도.
도 17은 도11의 용기의 하부 평면도.
도 18은 용기를 밀봉하는 커버를 지닌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용기의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 정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20은 도 18의 용기의 상부 평면도.
도 21은 도 18의 용기가 수직 방향으로 측벽에 기대있는 것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22는 막혀진 구성의 개구 형상부를 나타내는 도 18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3은 열려진 구성의 개구 형상부를 나타내는 도 22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4는 트레이, 일렬의 푸드 제품, 홈이 있는 개구부를 지닌 커버, 및 개구부를 덮기 위한 밀봉 라벨을 나타내는 용기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25는 트레이, 일렬의 푸드 제품, 작고 큰 홈이 있는 개구부를 지닌 커버, 및 작고 큰 개구부를 덮기 위한 작고 큰 부분에 대응하는 밀봉 라벨을 나타내는 용기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26은 닫혀진 구성의 밀봉 라벨을 나타내는 도 24의 용기의 정면도.
도 27은 열려진 구성의 밀봉 라벨을 나타내는 도 24의 용기 정면도.
도 28은 도 18의 용기를 도시하는 배면도로서, 이의 정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29는 도 18의 용기를 도시하는 대체 배면도로서, 이의 정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30은 도 18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31은 단일 제공 형태로 밀봉된 커버를 지닌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3은 도 31의 용기의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 정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34는 도 31의 용기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35는 도 31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36은 도 31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37은 용기를 밀봉하는 커버를 지닌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8은 안에 2개의 제품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 37의 용기의 단면도.
도 39는 도 37의 용기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40은 도 37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41은 도 37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42는 도 37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43은 도 37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4는 용기를 밀봉하는 커버를 지닌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5는 도 44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46은 도 44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47은 도 44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48은 도 44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49는 용기를 밀봉하는 커버를 지닌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0은 도 49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51은 도 49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52는 도 49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53은 도 49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54는 용기를 밀봉하는 커버를 지닌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5는 도 54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56은 도 54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57은 도 54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58은 도 54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59는 용기를 밀봉하는 오목 커버를 지닌 컵을 나타내는 용기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0은 도 59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61은 도 59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62는 도 59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63은 도 59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64는 용기를 밀봉하는 볼록 커버를 지닌 컵을 나타내는 용기의 제10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5는 도 64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66은 도 64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67은 도 64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68은 도 64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69는 용기를 밀봉하는 볼록 커버를 지닌 컵을 나타내는 용기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0은 도 69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71은 도 69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72는 도 69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73은 도 69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74는 용기를 밀봉하는 볼록 커버를 지닌 컵을 나타내는 용기의 제1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5는 도 74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76은 도 74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77은 도 74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78은 도 74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79는 용기를 밀봉하는 오목 커버를 지닌 직사각형 커버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13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0은 도 79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81은 도 79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82는 도 79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83은 도 79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84는 용기를 밀봉하는 볼록 커버를 지닌 직사각형 컵을 나타내는 용기의 제14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5는 도 84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86은 도 84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87은 도 84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88은 도 84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89는 용기를 밀봉하는 볼록 커버를 지닌 유사-반구형 컵을 나타내는 용기의 제15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0은 도 89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91은 도 89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92는 도 89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93은 도 89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94는 용기를 밀봉하는 오목 커버를 지닌 유사-반구형 컵을 나타내는 용기의 제16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5는 도 94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96은 도 94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97은 도 94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98은 도 94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99는 용기를 밀봉하는 볼록 커버를 지닌 트랙(track) 형상의 컵을 나타내는 용기의 제17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0은 도 99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101은 도 99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102는 도 99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103은 도 99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104는 용기를 밀봉하는 상보형(complementary) 곡선 커버를 지닌 곡선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18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5는 도 104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106은 도 104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107은 도 104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108은 도 104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109는 용기를 밀봉하는 상보형 곡선 커버를 지닌 곡선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19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0은 도 109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111은 도 109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112는 도 109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이의 배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113은 도 109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114는 용기를 밀봉하는 상보형 곡선 커버를 지닌 곡선 하트형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20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5는 도 114의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6은 도 114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도 117은 도 114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이의 좌측면도는 미러 이미지임.
도 118은 도 114의 용기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19는 도 114의 용기를 도시하는 하부 평면도.
도 120은 용기를 밀봉하는 상보형 곡선 커버를 지닌 곡선의 하트형 트레이를 나타내는 용기의 제2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1은 도 120의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22는 도 120의 용기의 상부 평면도.
도 123은 도 120의 용기의 정면도와, 미러 이미지인 그 배면도.
도 124는 도 120의 용기의 좌측면도.
도 125는 도 120의 용기의 하부 평면도.
도 126은 그에 밀봉된 상보형 커버를 갖는 삼각형 트레이를 나타내는 상방 굴곡 단부를 갖는 용기의 제2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7은 도 126의 용기의 정면도.
도 128은 도 126의 용기의 우측면도와, 미러 이미지인 그 좌측면도.
도 129는 도 126의 용기의 상부 평면도.
도 130은 도 126의 용기의 배면도.
도 131은 도 126의 용기의 하부 평면도.
도 132는 그에 밀봉된 상보형 커버를 갖는 직사각형 트레이를 나타내는 상방 굴곡 단부를 갖는 용기의 제2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3은 도 132의 용기의 배면도.
도 134는 도 132의 용기의 상부 평면도.
도 135는 도 132의 용기의 우측면도와, 미러 이미지인 그 좌측면도.
도 136은 도 132의 용기의 정면도.
도 137은 도 132의 용기의 하부 평면도.
도 138은 그에 밀봉된 상보형 커버를 갖는 직사각형 트레이를 나타내는 상방 굴곡 단부를 갖는 용기의 제24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9는 도 138의 용기의 정면도.
도 140은 도 138의 용기의 우측면도와, 미러 이미지인 그 좌측면도.
도 141은 도 138의 용기의 상부 평면도.
도 142는 도 138의 용기의 배면도.
도 143은 도 138의 용기의 하부 평면도.
도 144는 도 1의 트레이와 유사하지만, 커버가 이에 밀봉하기 위해 내부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 트레이의 사시도.
도 145는 도 1의 트레이와 유사하지만, 그 배면부를 따라 영구적인 접착성을 갖고, 사용 중인 트레이로부터 정면부가 당겨질 때 그 정면부를 따라 재밀봉가능한 접착성을 갖는 커버를 갖는 트레이의 사시도.
도 146은 도 1의 트레이와 유사하지만, 그 정면부를 따라 영구적인 접착성을 갖고, 사용 중인 트레이로부터 배면부가 당겨질 때 그 배면부를 따라 재밀봉가능한 접착성을 갖는 커버를 갖는 트레이의 사시도.
도 147은 도 1의 트레이와 유사하지만, 그 중간부를 따라 영구적인 접착성을 갖고, 사용 중인 트레이로부터 정면부 및 배면부가 당겨질 때 그 정면부 및 배면부를 따라 재밀봉가능한 접착성을 갖는 커버를 갖는 트레이의 사시도.
도 148은 도 1의 트레이와 유사하지만, 그에 정렬된 스냅핏(snap-fit) 커버와 커버 아래에서 트레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선택적인 막을 갖는 트레이의 사시도.
도 149는 그 측면 에지를 따라서 본 도 148의 트레이의 상세 단면도이지만, 트레이에 부착된 덮개를 도시하는 도.
도 150은 도 1의 용기와 유사하지만, 그 내부의 제품의 2개 열을 분리하는 분할 벽(divider wall)을 갖는 용기의 단면도.
도 151은 도 150의 용기와 유사하지만, 벽에 의해 분리된 2개의 구획(compartment) 사이의 갭으로 귀결되는 대안적인 분할 벽과 2개의 구획의 바닥에 부착된 선택적인 지지물(backer)을 갖는 용기의 단면도.
도 152는 도 1의 용기의 트레이와 유사하지만, 트레이의 플랜지와 트레이의 나머지 부분의 제거가능부 사이의 금 라인(score line)을 나타내는 트레이의 사시도.
도 153은 도 1의 용기와 유사하지만, 도 152의 트레이를 통합하고, 트레이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금 라인을 따라 분리된 플랜지의 제거가능 부분과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도록 개방된 커버를 나타내는 용기의 단면도.
도 154는 도 153의 용기이지만, 재폐쇄(reclosed) 위치에서 커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플랜지의 제거가능 부분을 나타내는 용기의 단면도.
도 155는 도 1의 용기와 유사하지만, 도 1의 용기의 호형 세그먼트 대신 그 정면 및 상부측을 연결시키는 일련의 선형 세그먼트를 갖는 용기의 좌측면도.
도 156은 도 155의 용기의 사시도.
도 1 내지 43의 형태를 갖는 용기(10)는 개별 식품 또는 제품(13)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 및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부착된 커버(12)를 갖는 트레이(11)를 포함한다. 트레이(11)는 바닥 벽(14), 배면 벽(16) 및 한 쌍의 측벽(18)을 포함한다. 트레이(11)의 벽(14, 16, 18)은,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연결되어, 트레이(11)는 일 단편의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트레이(11)는 열성형, 사출 성형, 취입 성형 등이 될 수 있다. 바닥 벽(14)은 트레이(11)의 바닥 배면 코너(20)에서 배면 벽(16)에 연결된다. 측벽(18)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트레이의 바닥측 코너(22)와 배면측 코너(24)에서 바닥 벽 및 배면 벽(14, 16)에 개별로 연결된다.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코너(20, 22, 24)는 바람직하게는 라운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측벽(18)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 형태를 가지고 있어, 측벽(18)의 대응점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커버(12)는 실질적으로 수평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트레이(11)는 바닥 벽, 배면 벽 및 측벽(14, 16, 18)의 자유 에지(27)에 의해 규정되는 접근 개구(26)를 포함한다. 자유 에지(27)는 바닥 벽(14)의 정면 에지(28), 배면 벽(16)의 상부 에지(30), 바닥 벽 및 배면 벽(14, 16)에 대향하는 측벽(18)의 에지(32)를 포함한다. 개구(26)는 바닥 벽(14)에 대체로 대향하는 상부 개구부(34)와 배면 벽(16)에 대체로 대향하는 정면 개구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트레이(11)는 바닥 벽(14)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소비자는 음식 제품(13)을 전방으로, 후방으로, 또는 이들 사이의 각도로 접근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추가하여, 트레이(11)는 수직 방향으로 측벽(18) 중 하나에 안정하게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11)는 그 자유 에지(27)로부터 외부로 연장하고, 인접 벽(14, 16, 18)에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직인 주연 플랜지(38)를 추가로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플랜지(38)는 도 1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될 수 있거나, 벽의 상방으로 향하는 에지가 플랜지에 의해 부가된 추가적인 폭 없이 이용될 수 있다. 내부로 연장되는 플랜지(38)를 갖는 대안적인 형태에서, 다른 적절한 제조 기술이 또한 사용될 수는 있지만, 트레이(11)는 내부로 연장되는 플랜지(38)를 형성하기 위해 취입 성형될 수 있다. 주연 플랜지(38)는 개구(26)의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이어서, 트레이(11)에 부착 및 밀봉되는 커버(12)에 대해 연속적인 밀봉 표면(40)을 제공한다. 주연 플랜지(38)는 배면 벽(16)의 상부 에지(30)를 따라 연장하는 상부(42)와 바닥 벽(14)의 정면 에지(28)를 따라 연장하는 정면부(44)를 포함한다. 예시된 형태에서, 주연 플랜지(38)의 상부 및 정면부(42, 44)는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주연 플랜지(38)의 측부(46)는 측벽 에지(32)를 따라 상부와 정면부(42, 44)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144에 나타내어진 플랜지(38)의 내부 연장 형태에서, 커버(12)는 이에 대해 밀봉할 수 있어, 트레이(11)의 벽(14, 16, 18)을 넘어 연장되는 커버(12) 또는 플랜지(38)의 외부 연장 에지가 선택적으로 작거나 없다. 이것은 이러한 형태의 트레이(11)에 유선형의 외관을 부여한다.
플랜지(38)와 커버(12) 사이의 다양한 접착제 종류 및/또는 강도를 이용하는 것은 패키지(10)에 대한 상이한 유틸리티를 제공할 수 있다. 첫번째 예에서, 도 1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2)는 정면 개구부(36)에 대응하는 그 부분에는 이형가능하거나 재밀봉가능한 접착제(15)로, 상부 개구부(34)에 대응하는 그 부분에는 영구적인 접착제(17)로 트레이(11)에 대해 밀봉할 수 있다. 즉, 커버(12)는 제1 접착 강도를 갖는 제1 접착제로 트레이에 대해 밀봉된 제1 파트와 제2 접착 강도를 갖는 제2 접착제로 트레이의 상이한 파트에 대해 밀봉된 제2 파트를 포함한다. 제1 접착 강도는, 대체로 영구적인 접착제와 이형가능/재밀봉가능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제2 접착 강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는 정면 개구부(36)를 노출시키기 위해 트레이(11)로부터 커버를 벗겨 낼 수 있고, 영구적인 접착제(17)는 커버의 정면부와 동일한 정도로 커버(12)의 상부가 플랜지(38)로부터 벗겨내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한다. 반대의 구성에서는, 도 1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2)는 상부 개구부(34)에 대응하는 그 부분에는 이형가능 또는 재밀봉가능 접착제(15)로, 그리고 정면 개구부(36)에 대응하는 그 부분에는 영구적인 접착제(17)로 트레이(11)에 대해 밀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소비자는 완전한 제거를 방지하는 영구적인 접착제(17)로 상부 개구부(34)를 노출시키기 위해 트레이의 커버(12)를 벗겨 낼 수 있다. 추가적인 접근법에 의해, 상부 및 정면 개구부(34, 36)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커버(12)의 정면 부분과 배면 부분이 독립적으로 개방될 수 있게 하지만, 또한 커버(12)의 완전한 제거를 제한하기 위하여 호형 부분(48)에 인접한 상부 선형부(50)에서처럼, 도 1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구적인 접착제(17)는 한 쌍의 대향 플랜지의 중간 또는 다른 부분에만 도포될 수 있다. 도 145 내지 147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바닥뿐만 아니라 커버(12)의 상부 상의 과장된 형태의 접착제를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불투명 커버(12)의 경우에, 접착제는 커버(12)의 외부에는 보이지 않을 것이다.
원하는 경우에, 커버(12)는 라인 또는 천공 패턴, 라인 또는 금의 패턴, 또는 그 조합과 같이, 이들 이를 지나 연장하는 취약부의 라인 또는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취약부의 라인은, 소비자가 패키지의 내부에 더욱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폴딩 메커니즘 또는 힌지로서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취약부의 라인은, 패키지의 내부에 대한 방해가 없는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가 커버의 일부를 찢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취약부의 라인은 도 145 내지 147에 나타내어진 이러한 용기에 대한 것을 포함하여, 여기에 설명되는 임의의 용기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측벽(18)의 자유 에지(32)는 굴곡되거나 각이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비선형 또는 호형 부분(48)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측벽 에지(32)는 전체로 호형일 수 있다. 도 1 내지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 자유 에지(32)는, 호형 부분(48)을 사이에 갖는 상부 및 정면 선형부(50, 52)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에, 정면 선형부(52)는 수직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어, 트레이(11)의 정면, 구체적으로 정면 개구부(36)는 상방으로 향해진 정면을 제공하기 위해 각을 갖는다.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주연 플랜지 측부(46)는 상부 및 정면부(42, 44)의 중간의 비평면 또는 호형 밀봉면(54)을 포함한다. 따라서, 주연 플랜지(38)는 상부 및 정면부(42, 44)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분과 비평면 부분(54)을 포함한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평면 부분(42, 44)의 평면을 따라 그어진 라인의 교차부는 적어도 10도의 각을 만든다. 커버(12)가 트레이(11)에 밀봉되거나 접착되거나 아니면 부착되는 경우에, 커버(12)는 주연 플랜지 상부 및 정면부(42, 44)를 따라 그 상부 및 정면에서 밀봉되고 대응하는 측벽 에지(32) 사이에서 신장하는 대응 평면(57) 및 호형 부분(59)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정면 개구부(36)는 상부(42)에 대하여 밀봉되고 개방되어 대체로 상부(42)의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12)와 트레이(11)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를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상부 개구부(34)는 정면부(44)에 대하여 밀봉되고 개방되어 대체로 정면부(44)의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12)와 트레이(11)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접근법에 의해, 스냅핏 커버(41)는 도 148 및 149에 의해 나타내어진 트레이(11)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형태에서, 커버(41)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딱딱하지만, 충분한 탄성을 가지고 있어, 트레이의 플랜지(38)에 대해 스냅핏팅할 수 있고 그 내부에 트레이(11)의 내용물을 밀봉할 수 있다. 커버(41)는 적절하게 딱딱한 취입 성형된 또는 열성형된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커버(41)는 베이스 벽(43)과 베이스 벽(43)의 외부 에지로부터 매달린 스커트(45)를 포함한다. 스커트(45)는, 도 1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1)의 플랜지(38)에 대하여 스냅핏팅되고 커버(41)를 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내부로 돌출한 리브(rib) 또는 돌기(49)를 포함한다. 커버(41)는 도 3에 나타내어진 트레이(11)와 함께 나타내어지고, 트레이(11)의 상부 및 정면을 커버하는 대응 형태를 갖지만, 커버(41)는 원하는 경우에 여기에 설명되는 다른 트레이에 스냅핏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위에 스냅핏 커버(41)를 갖는 트레이(11)는 커버(41) 아래의 트레이(11)의 플렌지(38)에 대해 밀봉된 막(51)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41)가 제거되었어도, 막(51)은 개봉 전에 패키지(10)의 내용물에 대한 밀봉을 보존할 것이다.
용기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또 다른 접근법에서, 도 152 및 1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1)는 플랜지(38)의 탈착가능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8)의 탈착가능부(71)는 이들 사이의 취약부(73)의 라인을 따라 플랜지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랜지(38)의 탈착가능부(71)는 플랜지(38)의 상부(42)와 플랜지(38)의 정면부(44) 중 어느 하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측면 플랜지부(48, 50, 52)와 같은 플랜지(38)의 다른 부분의 일부가 탈착가능부(71)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도 152 및 15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착가능부(71)는, 플랜지(38)의 상부(42)에 인접한 측면 플랜지부(50)의 실질적인 파트는 아니지만, 측면 플랜지부(48, 52)의 인접 파트뿐만 아니라 플랜지(38)의 정면부(44)의 길이의 전체를 포함한다.
플랜지(38)의 탈착가능부(71)가 플랜지(38)의 잔여부로부터 분리될 때, 커버(12)는 탈착가능부(71)에, 선택적으로는 커버(12)와 플랜지(38)의 잔여부 또는 플랜지(38)의 상부(42) 사이에 비해 보다 강한 접착제로 접착되어 남아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탈착가능부(71)가 커버(12)를 개방하기 위한 탭으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탈착가능부(71)는 재폐쇄 위치에서 커버(12)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의 밀봉부 내에 및 적어도 플랜지(38)의 전방부(44)의 일부였지만 이제는 탈착가능부(71)의 일부인 장착부에 약간의 갭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갭은 재폐쇄 위치에서 커버(12)를 고정시키기 위해 플랜지(39)의 전방부(44)의 잔여부를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하나의 장점은, 트레이(12)에 장착될 때, 커버(12 또는 41)가 비파단(즉, 접힘부, 코너, 립(lip) 등의 비연속부가 없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고, 그 전체가 거의 90도의 시야 영역에서 보여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패키지(10)가 식료품점 또는 편의점 등의 선반 상에 판매용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특히 유리하다. 90도의 시야 영역은 대체로 소비자의 신장에 무관하게, 커버 그리고 임의의 그래픽, 광고, 텍스트 등의 비파단 시야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것이다. 이는 그래픽, 표시(indicia) 및 다른 정보가 종래의 패키지에 비해 눈길을 끄는 상부 및 측부를 갖고 표시되도록 보다 큰 비파단 영역을 제공한다.
커버(12)는 그 전체 표면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주름이 없다면 보다 양호한 시야 표면을 제공한다. 이는 보드지 등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재료, 상대적으로 높은 게이지 막, 또는 얇은 반 강성 또는 강성 플라스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들은 각각의 패키지(10)의 재료 비용을 증가시킨다. 다른 주름이 없는 커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게이지 막일 수 있다. 이러한 낮은 게이지 막에 있어서, 패키지(10)는 제조시 변경된 공기를 가질 수 있어서, 패키지의 밀봉된 내부가 대기압에 비해 정압(positive pressure)을 갖는다. 정압은 얇은 막을 가압하여 주연 플랜지(38)의 막의 내부가 지지되지 않는 결과로서 형성된 막의 임의의 주름을 펴게 된다.
플랜지(38)의 호형 부분(48)을 갖는 변형예에서, 일련의 선형 중간부(61)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1)의 상부(42)와 전방부(44) 사이에서 이어질 수 있다. 일련의 선형 중간부(61)는 서로 및 상부 및 전방부(42, 44)에 비평행 각도로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형태의 트레이(11)의 밀봉 표면(40)은 호형 부분을 갖지 않거나 또는 호형 부분만을 갖는다. 이와 같이, 커버(12)는, 가로질러 연장되고 선형 중간부(61)를 연결하는 코너(63)와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주름 또는 접힘부(65)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및 다른 트레이에 대해, 자유 에지가 서로 각도적으로 오프셋된 제1 및 제2 부분을 갖는다. 이들은, 하나 또는 이상의 연속적인 호형 부분, 일련의 선형 또는 평면형 각도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도 8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및 전방부의 선형 또는 평면형 부분(42, 44)은 서로에 대해 각도적으로 오프셋되며, 예를 들어 이들은 비평행 평면에 놓여 있다. 도 8a에서 상부 및 전방부의 선형 부분(42, 44)은 일련의 중간부(61)에 의해 이어지는 반면, 도 8에서는 이들이 호형 부분(59)에 의해 이어져 있다.
이제 트레이의 특정 형태로 돌아가면, 다수의 상이한 구성이 가능하며, 그 예가 본원에 기술된다. 제1 형태에서, 트레이(11)는 제품(13)의 열(55)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트레이(11) 내에 보관되는 이상적인 제품은 대체로 환형인 측벽(56)을 갖는 쿠키 또는 비스킷이다. 쿠키(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이거나 또는 충전제에 의해 적층될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이(11)는 임의의 다른 음식 제품 또는 다른 식용 제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포장 또는 개별 용기 내에 포함된 음식 제품이 트레이(11) 내에 보관될 수도 있다. 쿠키(13)는 트레이(11) 내의 측부에 열(55)로 적층되어 놓여진다.
대체로 환형인 측벽(56)을 갖는 이러한 제품에 있어서, 트레이(11)의 바닥 후방 코너(20)는 쿠키(13)의 측부(56)의 만곡에 상보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이러한 만곡은 패키징 재료를 최소화시키고 쿠키(13)를 보다 양호하게 지지하여 트레이(11) 내의 과잉 공간으로 인해 쿠키가 트레이(11) 또는 다른 쿠키와의 부딪침 또는 충격에 기인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쿠키를 보호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바닥 후방 코너(20)는 다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1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 및 도 31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벽(14) 및 배면 벽(16)은 서로 대체로 수직이어서, 코너(20)가 대체로 90도의 각도로 라운딩 가공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벽(14) 및 배면 벽(16)은 서로에 대해 예각이다. 이와 같이, 코너(20)는 90도와 180도 사이에서 라운딩 가공된다. 원한다면, 라운딩 가공된 코너들이 약 180도에서 이어지도록, 바닥 벽 및 배면 벽(14, 16)이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쿠키(13)를 트레이(11) 내에 유지하기 위해, 개구(26)가 개방되었을 때, 바닥 벽(14)은 상향으로 테이퍼 가공된 전방부 또는 립(58)을 포함할 수 있다. 립(58)의 상향 테이퍼는 트레이(11)가 대체로 평탄한 표면 상에 놓였을 때 쿠키(13)가 전방 개구부(36)로부터 굴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에 도시된 형태에서, 립(58)은 바닥 벽(14)의 대체로 평면인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립(58)은, 쿠키(13)가 트레이(11) 내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이동하게 되는 상당한 공간을 갖지 않도록, 쿠키(13)의 바닥 접촉점(60)에 가까이 인접한 위치에서 상향으로 테이퍼링되기 시작한다.
다른 형태에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벽(14)은 상향으로 만곡된 전방부 또는 립(62)을 포함한다. 이러한 만곡된 립(62)에 있어서, 트레이(11)의 전방부는 바닥 후방 코너(20) 외에 환형의 측벽(56)의 만곡에 상보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테이퍼 가공된 립(58)에 있어서, 만곡된 립(62)은 쿠키(13)의 바닥 접촉점(60)에 가장 인접하도록 상향으로 만곡되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형태에 있어서, 트레이(11)는, 립(58, 62) 대신에,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정면 벽을 포함하여 음식 제품(13)이 트레이(11)의 전방부로부터 굴러나오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 및 도 37 내지 도 43의 트레이(11)는 그 내에 2개 열의 제품(13)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어 있다. 트레이(11)는, 바닥 벽(14)이 립(58, 62)의 후방으로 대체로 평면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키(13)의 열(55)은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조체 없이 서로 인접하게 놓인다.
도 41에 도시된 변형 형태에 있어서, 바닥 벽(14)은 열(55)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상향으로 돌출하는 분할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기(64)는 접착제, 고온 밀봉, 초음파 용접 등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바닥 벽(14) 내에 형성되거나 그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할기(64)의 전방과 후방 대향면들(66, 68)은 쿠키(13)의 환형의 측벽(56)에 상보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 열(55)은 분할기(64)의 후방 대향면(68)과 트레이(11)의 바닥 후방 코너(20) 사이에 포획되고, 전방 열(55)은 분할기(64)의 전방 대향면(66)과 립(58, 62) 사이에 포획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1)는 쿠키(13)의 단일 열(55)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이와 같이, 다른 형태에 있어서, 단일 열(55)은 트레이(11)의 바닥 후방 코너(20)와 립(58, 62) 사이에 포획된다.
제품의 열(55)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선택이 도 150 및 도 151에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11)는 트레이의 바닥 벽(14)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분할 벽(65)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 벽(65)은 트레이(11)의 전체 높이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고, 상향으로 대향하는 밀봉 표면(69)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12)는 트레이(11)의 플랜지(38)를 따라 분할 벽(65)의 밀봉 표면(69)에 밀봉될 수 있다. 그 결과, 각각 선택적으로 개별 접속 가능한 2개의 분리 구획이 분할 벽(65)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분할 벽(65)은 트레이(11)와 일체일 수 있거나 또는 접착제 등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트레이(11)에 장착된 분리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수의 분할 벽(65)이, 3개의 구획에 대해 2개의 분할 벽(65), 4개의 구획에 대해 3개의 분할 벽(65) 등과 같이, 2개 이상의 구획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50의 예에 있어서, 분할 벽(65)은 배면 벽(16)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열(55)을 수용하도록 2개의 부분으로 트레이 내부를 분할한다. 원한다면, 분할 벽(65)은, 분할기(64)에 대해 상술된 바와 같이, 쿠키(13)를 부분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 바닥에 테이퍼 가공 또는 만곡된 표면(6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1의 예에 있어서, 분할 벽(65)은 트레이(11)의 바닥 벽의 역 U자형 부분으로부터 형성된다. 역전된, 대체로 U자형 부분의 결과는 상측으로 대향하는 밀봉 표면(69)을 제공하도록 U자형의 바닥(도 151의 역 배향에서의 상측부)에서의 평탄한 구역이다. U자 형상(도 151의 역 배향에서의 하측부)에 있어서, U자 형상의 레그들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이러한 역 U자형 분할 벽(65)은 열 성형에 의해 트레이(11)를 제조하게 하지만, 다른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벽(65)의 밀봉 표면(69)의 구역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구획의 피봇을 제한함으로써 용기에 대해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인 백킹 카드(25)가 트레이(11)의 각각의 구획의 바닥 벽에 부착될 수 있다.
이들의 트레이(11)의 다수의 구획의 예는, 상술된 제1 및 제2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로 영구적인 접착제일 수 있는 제1 접착제는, 분할 벽(65)의 밀봉 표면(69)에 사용될 수 있고, 해제 가능/재밀봉 가능한 접착제일 수 있는 제2 접착제는, 주연 플랜지(38)의 다른 부분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50 및 도 151의 용기는 서로 분리 가능한 2개의 구획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벽(65)의 일 측부 상의 도 150의 용기의 커버(12) 내에 취약 라인(19)이 형성될 수 있고, 분할 벽(65)의 동일 측부 상의 트레이(11)의 바닥 벽 내에 취약 라인(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0의 용기의 우측 구획은 취약 라인(19 및 21)을 따라 좌측 구획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음식 제품(13)에 대한 접근을 위해 우측 구획이 개방되도록 하며, 우측 구획은 밀봉이 유지되도록 한다. 취약 라인(19 및 21)은 대안적으로 분할 벽(65)의 대향 측부로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분할 벽(65)의 양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51의 예에 대해서, 취약 라인(19)은 분할 벽(65)의 하선부에서 다른 취약 라인(23) 뿐만 아니라 U자형 분할 벽(65)의 밀봉 표면(69)에 인접하게 커버(12)에 형성될 수 있다. 존재한다면, 백킹 카드(25)는 분할 벽(65)의 갭 내에 취약 라인(29)을 가질 수 있다. 취약 라인(19, 23 및 29)은 2개의 구획으로 용기를 분할하도록 파단될 수 있고, 이러한 분할 후 밀봉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50 및 도 151에 대해 설명된 트레이(11)의 이러한 예는, 상술된 제1 및 제2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로 영구적인 접착제일 수 있는 제1 접착제는, 정면 및 배면 벽(77, 89) 중 하나 또는 양자 또는 다른 분할기에 커버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해제 가능/재밀봉 가능한 접착제일 수 있는 제2 접착제는, 주연 플랜지(38)의 다른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분할 벽(65)의 사용은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용기에 사용될 수 있다.
원한다면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1)는 배면 벽(16) 및/또는 코너(20)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외측 방향의 돌출부 또는 피트(feet)(5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3)는 트레이(11)와 일체일 수 있거나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그에 장착될 수 있다. 돌출부(53)는 트레이(11)의 안정적인 위치를 위한(즉, 바닥 벽(14) 상에 놓이는)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트레이(11)는 2개의 이격된 돌출부(53)를 포함하지만, 더 가질 수 있으며, 원한다면 보다 넓은 돌출부를 사용할 수 있다. 돌출부(53)는,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해,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단일 열(55)만 포함하도록 이상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트레이 설계는 하나 이상의 안정적인 위치(즉, 패키지가 제 위치에 놓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10의 트레이(11)는 바닥 벽(14), 각각의 측벽(18) 상에 놓일 수 있고, 그 상부에서 주연 플랜지의 상부(42, 50) 상에 놓일 수 있으며; 도 11 내지 도 17의 트레이는 돌출부(57)가 어느 하나의 위치에 대해 지지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바닥 또는 배면 벽(14, 16) 중 하나 상에 놓일 수 있고; 도 18 내지 도 30의 트레이는 측부 플랜지부(48, 50, 52)가 측벽(18) 상에 안정적인 위치를 위한 지지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측벽(18)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8)는 패키지(11)를 비스듬히 유지하도록 더욱 절결되거나 형상화될 수 있다.
하나의 접근법에 의하면, 트레이(11)는 그 상에 리브 또는 파형부(undulations; 7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70)는 트레이(11)의 적층 강도와 압축에 대한 강도를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리브/파형부(70)는 트레이(11) 내의 제품(13)의 개수의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1)는 트레이(11) 내의 개별 제품(13)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그리고 이들과 정렬된 하나의 리브/파형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한다면, 파형부(70)는 패키지(10)에 대한 그립부로서 그 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 설정되고 이격될 수 있다. 트레이(11)가 제품(13)의 열(55)을 수용하는 형태에 있어서, 파형부(70)는 기계 방향, 즉 바닥 벽(14)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및 배면 벽(16)을 따라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파형부(70)는 제품(13)의 환형의 측벽(56)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파형부(70)는 후방 바닥 코너(20) 쪽으로는 연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원한다면, 리브 또는 파형부(70)는 코너(20)를 통해 바닥 벽(14)으로부터 배면 벽(16) 쪽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파형부(70)는 트레이(11)의 전체 폭을 따라 또는 그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커버(12)는 트레이(11)의 주연 플랜지(38)에 밀봉된다. 이는 고온, 저온, 유도 및 접착제 밀봉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품(13)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는 개구(26)를 노출시키도록 커버(12)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하나의 접근법에 의하면, 제품(13)의 순차적인 소비 동안에 커버(12)가 트레이(11)에 재부착될 수 있도록, 커버(12)를 트레이(11)에 밀봉하는 데 감압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12)가 그 둘레를 따라 코팅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접착제가 주연 플랜지(38) 상에 코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체 커버(12)보다 적은 부분이 트레이 내의 제품(13)에 소비자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에 일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개구 형상부(72)는, 예를 들어 측벽(18) 중 하나에 존재하거나 가깝게 인접하는, 주연 플랜지(3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탭(74)을 포함한다. 탭(74)은 소비자에 의해 쥐어지고 커버(12)를 가로질러 그 자체가 당겨지게 조작되도록 구성된다. 탭(74)은 주연 플랜지(38)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일 수 있다. 일체의 형태에 있어서, 주연 플랜지(38)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탭(74)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개구 형상부(74)는, 커버(12)를 반대로 이동시키는 탭(74)의 조작이 주연 플랜지(38)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탭(74)을 파단시키도록, 노치 또는 취약/금 라인 또는 패턴(76)을 포함할 수 있다. 노치(76)가 플랜지(38) 내로 절결될 수 있거나, 또는 레이저 또는 기계적 방법 등에 의해, 취약 라인이, 탭(74)이 주연 플랜지(38)의 나머지 부분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탭(74)을 가로질러 절결되거나 금이 그어질 수 있다. 커버(12)는, 탭(74)이 트레이(11)로부터 분리될 때 커버(12)를 가로질러 대체로 기계 방향으로 커버(12)를 찢는데 탭(74)이 사용될 수 있도록, 탭(74) 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탭(74)이 커버(12) 내의 접근 개구(79)를 찢도록 충분한 거리로 당겨지면, 소비자는 트레이(11)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품(13)을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12)는, 플랩(83)을 형성하는 탭(74)과 대체로 정렬되어 가로지르는, 금 라인(81)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되면, 커버(12)가 반대로 이동되도록 사용자가 탭(74)을 조작했을 때, 커버(12)는 금 라인(81)을 따라 찢어져서 접근 개구(79)를 노출시킨다. 원하는 개수의 제품(13)이 제거되면, 소비자는 그 후 접근 개구(79)를 덮도록 그 원래 위치로 탭(74)을 되돌린다. 바람직하게는, 탭(74)은 개구 형상부(72)가 재밀봉될 수 있도록 주연 플랜지(38)와 정렬된 재밀봉 가능한 접착제를 포함한다.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된 변형 형태에 있어서, 개구 형상부(78)는 측벽(18) 중 하나에 인접하여 기계 방향으로와 같이 커버(12)의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근 개구(80)를 포함한다. 접근 개구(80)는, 커버(12)가 형성된 에지를 따라 깔끔하게 개방될 수 있고 커버(12)를 가로질러 비제어식으로 찢어지지 않게 하는, 그 내에 금이 그어진 재료의 플랩(82)을 포함하도록, 금 라인(8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금 라인(85)은 그 단부에서의 셰퍼드 후크 또는 곡선(87)에서 끝난다.
다음에, 개구 형상부(78)는 레이블(84)이 접근 개구(80)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커버(12)에 부착된 밀봉층 또는 레이블(84)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블(84)은 곡선(87)의 개구(80)의 대향 측부에서 소비자에 의해 용이하게 쥐어지도록 주연 플랜지(38)를 지나 돌출하는 탭(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가 탭(86)을 쥐고 커버(12)를 가로질러 레이블(84)을 당길 때, 레이블(84)은 개구(80)를 형성하는 금 라인(85)을 파단시키고, 부착되어 있다면, 곡선(87)이 개구(80)를 노출시키는 데 도달할 때까지 플랩(82)을 당겨 커버(12)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곡선(87)은 밀봉 레이블(84)이 패키지(11)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원하는 개수의 쿠키(13)가 개구(80)를 통해 제거되면, 소비자는 레이블(84)을 커버(12)를 가로질러 반대로 두어, 임의의 잔여 쿠키(13)를 보존 및 보관하도록 개구 둘레를 재밀봉한다.
다른 형태에서, 커버(12)는 2플라이 막과 같은 2-플라이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밀봉층 또는 레이블(84)은 막의 상부층으로부터 절결되거나 또는 금이 그어질 수 있고, 접근 개구(80)는 레이블(84)의 막 내향의 하부층으로부터 절결되거나 금이 그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탭(86)은 또한 막의 상부층으로부터 절결되거나 금이 그어질 수 있어서, 소비자는 탭(86)을 파지하고 커버(12)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레이블(84)을 당길수 있다. 레이블(84)은 그 에지를 따라 파단되고, 층들 사이의 접착제에 의해 그와 함께 플랩(82)이 위로 당겨져서 개구(80)를 노출시켜, 소비자가 패키지(10) 내의 쿠키(13)에 접근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플랩(82)의 외향의 레이블(84)은 그 위에 배치된(또는 막의 대응하는 하부층에 배치된) 재밀봉 가능한 접착제를 가질 수 있어서, 소비자는 개구(80) 상에 레이블(84)을 재인가하고 그에 레이블(84)을 밀봉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패키지는 전술한 작은 개방 형상부(78)뿐만 아니라, 작은 형상부(78)를 둘러싸는 큰 개방 형상부(91)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패키지(11)는, 작은 밀봉 레이블(84)이 그 일부인 탭(93)을 갖는 큰 밀봉층 또는 레이블(91)을 포함한다. 큰 밀봉 레이블(91)은 바람직하게는 커버(12)의 실질적으로 모든 표면적을 커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대략 커버(12)의 크기이다. 또는, 큰 밀봉 레이블(91)은 75%, 50%, 또는 그 미만을 커버할 수 있다. 게다가, 작은 밀봉 레이블(84)은 바람직하다면, 큰 레이블(91)의 상부에 접착된 개별 레이블일 수 있다.
다음에, 커버(12)는 큰 접근 개구(97)을 한정하는 큰 금 라인 또는 절결 라인(95)을 포함한다. 금 라인(95)의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곡선(87)을 포함하여, 큰 밀봉 레이블(91)은 개방되는 경우에 이것이 패키지(11)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이렇게 구성되어, 소비자가 하나 또는 두 개의 쿠키(13)를 원하면, 소비자는 탭(93)을 파지하여 커버(12)를 가로질러 큰 밀봉 레이블(91)을 되돌릴 수 있다. 레이블(91)이 되돌려짐에 따라 금 라인(95)이 파단하여, 플랩(99)은 밀봉 레이블(91)에 접착되어 이와 함께 되돌려진다. 따라서, 접근 개구(97)가 드러나서 소비자는 실질적으로 제품(13) 전부에 접근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소비자가 적게 원하면, 소비자는 단순히 작은 밀봉 레이블(84)을 사용할 수 있다. 큰 밀봉 레이블(84)은 전술한 두 형태를 모두 취할 수 있다.
개구 형상부는 도 21 내지 27에 대해 전술하였지만, 개구 형상부는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패키지들에 마찬가지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패키지(10)의 다른 형태에서, 바닥 및 배면 벽(14, 16)은 중간벽(88)에 의해 연결된다. 도 44 내지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8)은 작은 비편평 또는 호형 부분(48)과, 비교적 긴 선형 부분(50, 52)을 가져서, 측벽(18)은 일반적으로 삼각형 외관을 갖는다. 패키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벽(88)에 놓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측벽(18) 또는 커버(12)에 놓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12)는 패키지(10) 내의 제품을 노출하도록 양측면으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연 플랜지(38)가 충분히 커서 중간벽(88)으로 옆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커버(12)는 수평 시점, 수직 시점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각도에서 절첩부, 립부, 에지 등에 의해 파단되지 않는다.
도 49 내지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중간벽(88)을 갖는 패키지(10)는 또한 두 개의 비편평 또는 호형 부분(48)을 갖는 측벽(18)을 포함할 수 있어서, 측벽(18)은 호형 부분(48)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3 선형 부분(90)을 포함한다. 따라서 주연 플랜지(38)는 두 개의 대응하는 호형 부분을 포함하여, 커버(12)는 플랜지(38)에 대해 밀봉될 때, 측부(92)와 상단부(94)를 포함하여, 패키지의 양 측면 상에서 연장하는, (예를 들어, 절첩부, 에지, 립부 등에 의해) 파단되지 않은 커버를 제공한다. 전술한 삼각형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형태는 선반에서의 제품 차별성과 구별되는 외관(look)을 제공하도록 넒은 범위의 각도에서 보여질 수 있는 커버(12)를 제공한다.
도 59 내지 88 및 도 99 내지 103에 도시된 패키지의 다른 형태로 되돌아간다. 이들 형태에서, 패키지(100)는 직립 측벽 또는 측벽들(104) 및 바닥 벽(106)을 갖는 기부 트레이 또는 컵(102)을 포함한다. 이전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패키지(100)는 주연 플랜지(108)를 포함한다. 주연 플랜지(108)는 측벽(들)(104)의 연속하는 상부 에지(110)로부터 외향 또는 내향으로 연장하여 일반적으로 상향으로 대면하는 밀봉 표면(112)을 제공한다. 또는, 측벽(들)(104)의 상향 대면 에지는 밀봉 표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커버(114)는 컵(102) 내에 전술한 임의의 제품(13)과 같은 내용물을 밀봉하도록 주연 플랜지(108)의 밀봉면(112)에 밀봉된다. 측벽(들)(104)의 상부 에지(110)는 연속으로 수직으로 호형이다. 이와 같이, 외향으로 돌출한 주연 플랜지(108)는 반경 방향 및 축방향 모두에서 연속적으로 호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주연 플랜지(108)의 대향 지점이 바닥 벽(106)으로부터 동일한 높이 또는 거리를 갖고 컵(102)의 중심점 C로부터 동일한 반경 방향 거리를 갖도록 호형 패턴이 구성된다.
도 59 내지 78에 도시된 하나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바닥 벽(106)과, 그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환형인 측벽(104)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벽(106)의 크기와 측벽(104)의 높이는 특정 제품에 바람직하거나 요구되는 바와 같이, 또는 원하는 용기 형상을 달성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도 59 내지 73에서 도시된 형태에서, 측벽(104)은 외향으로 테이퍼 가공되어, 측벽(104)의 상부 에지(110)는 바닥 벽(106)에 대한 벽의 연결부에서보다 더 멀리 이격된다. 컵(102)은 커버(114)가 오목(도 59 내지 63) 또는 볼록(도 64 내지 78)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연 플랜지(108)는 일반적으로 90도로 이격되는 바와 같이 서로 등거리로 이격된 대향하는 저점(118)과 대향하는 고점(120)을 포함한다. 오목 커버에 대해서는, 커버(114)가 저점(118)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하고 고점(120)까지 상향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에지(110)가 구성된다. 볼록 커버에 대해서는, 커버(114)가 고점(120)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하고 저점(118)에 대해 하향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에지(110)가 구성된다.
대안적인 컵(102)이 도 89 내지 98에 도시된다. 전술한 형태에 관해서, 컵(102)의 상부 에지(110)와 주연 플랜지(108)는 원하는 바와 같이 오목 또는 볼록 커버(114)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에서, 컵(102)은 반구형 바닥(116)를 포함한다. 이러한 컵(102)은 이상적으로는 구형 제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패키지의 바닥의 패키징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포장 재료를 최소하하면서 독특한 패키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컵(102)은 도 79 내지 88에 도시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컵(102)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바닥 벽(106)과, 그의 에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측벽 부분(104)을 포함한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벽 및 대응하는 측벽(들)은 삼각형, 다른 폐쇄 다각형, 곡선 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에지(110)는 서로 등거리로 이격되지만, 환형 구성과 마찬가지로 전체 에지(110) 둘레의 중심점 C로부터 균일하게 이격되는 것은 아니다. 정사각형 커버(114)는 고점 및 저점(118, 120)을 포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오목 및 볼록 커버를 제공한다. 그러나 전술한 형상과 마찬가지로, 고점 및 저점(118, 120)은 서로에 대해 컵(102)의 중심점 C로부터 등거리로 이격되고, 바닥 벽(106)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 컵(102)은 트랙 형상 바닥 벽(106)을 포함하여, 측벽(104)은 대응하는 곡선 단부(122)와 중간 직선 측면(124)을 포함한다. 도 99 내지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에지(110)의 고점(120)은 일반적으로 측면(124)에 중심을 갖고, 저점(118)은 일반적으로 곡선 단부(112)에 중심을 가져서 볼록 커버(114)를 제공한다. 다른 형상과 마찬가지로, 이들 고점 및 저점(118, 120)은 배향을 변경하도록 바뀌어질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오목 커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4 내지 119에 도시된 다른 패키지(200)를 참조한다. 이들 형태에서, 패키지(200)는 일반적으로 그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측벽(204)을 갖는 호형 바닥 벽(20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측벽(204)은 일반적으로 균일한 높이를 가져서, 그의 상부 에지(206)는 바닥 벽(202)에 일반적으로 상보적인 호형 구조를 포함한다. 상부 에지(206)로부터 외향 또는 내향으로 연장하는 주연 플랜지(20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밀봉되도록 커버(212)용의 밀봉 표면(210)을 제공한다. 또는, 측벽(204)의 상향 대면 에지가 밀봉 표면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볼 때, 패키지(200)는 일반적으로 상보적인 호형 표면을 갖는 바닥 및 상부 표면을 포함한다. 이는 전통적인 플로우-랩핑 패키지를 갖는 다른 것들과 함께 선반에 전시될 때, 소비자의 눈길을 끌 수 있는 독특한 패키지를 제공한다. 도 103 내지 108에 도시된 형태에서, 바닥 벽(202) 및 커버(212)는 단일 볼록 곡선을 갖지만고, 도 109 내지 113에 도시된 형태에서, 바닥 벽(202) 및 커버(212)는 그 사이의 중간 오목 곡선을 갖는 두 개의 볼록 곡선을 갖는다. 다른 파형 구성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벽(202)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4 내지 1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벽(202)은 그의 에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측벽(204)을 갖는 하트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파형 표면은 임의의 적절한 신규 형상용의 독특한 패키징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패키지(250)는 도 120 내지 1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그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측벽(254)과 단부벽(256)을 갖는 편평 바닥 벽(2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측벽(254)의 상부 에지(258)는 대응하는 파형 패턴(260)을 가져서, 측벽(254)의 대향하는 에지(258)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패키지(250)는 측벽(254)과 단부벽(256)의 상부 에지(258)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주연 플랜지(262)를 포함하지만, 다르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패턴(260)은 측벽(254)을 따라 균일할 필요는 없으며 상이한 파장과 깊이를 갖는다.
도 126 내지 143에서 도시된 다른 종류의 패키지(300)는 상향 돌출벽(302)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키지(300)는, 패키지(300)가 놓여지도록 구성된 일반적으로 편평한 전방부(306)를 갖는 바닥 벽(304)과, 상향 굴곡 후방부(308)를 포함한다. 측벽(310)은 바닥 벽(304)의 에지(312)로부터 상부 에지(314)까지 상향으로 연장한다. 측벽(310)은 바닥 벽(304)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그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주연 플랜지(3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320)용의 밀봉 표면(318)을 제공하기 위해 측벽(310)의 상부 에지(134)로부터 연장한다. 측벽(310)의 상부 에지(314)는 일반적으로 바닥 벽(304)의 구성을 따르므로, 커버(320)는 대응하는 편평 전방부(322)와 후방 굴곡부(324)를 포함한다. 후방 굴곡부(324)는 편평 상부면을 갖는 종래의 패키징으로부터 이 패키지(300)를 식별할 수 있는 눈길을 끄는 표시(eye catching indicia), 그래픽 또는 텍스트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수직인 표면 영역을 제공한다. 도 126 내지 131의 형태에서, 바닥 벽(304)과 커버(320)는 일반적으로 삼각형이지만, 도 132 내지 143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바닥 벽(304)과 커버(32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다른 폐쇄 다각형, 곡선 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른 형상 및 구성이 활용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트레이와 컵은, 열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섬유판, 수지 충진 섬유판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커버는, 마찬가지로, 종이, 종이 적층 조합체, 금속 포일, 다중 플라이 라미네이트,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패키지 또는 용기에 대한, 상업적인 고속 패키징 동작과 같은 제조 방법은 트레이의 형성 단계, 트레이 내에 복수의 개별 식품을 삽입하는 단계 및 패키지 내의 식품을 밀봉하기 위해 트레이에 커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단계는, 중합체 시트로부터 트레이를 열성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합체 시트는 중합체 재료의 웹의 세그먼트일 수 있다. 트레이는 열성형 후에 웹으로부터 나뉘어질 수 있다. 커버는 트레이가 열성형된 후 트레이가 웹으로부터 나뉘어지기 전에 트레이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트레이가 웹으로부터 나뉘어진 후에 커버가 트레이에 부착될 수 있다. 패키지의 제조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는, 본원에서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포함된 2012년 3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1/608,08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모든 패키지는 독특한 패키징을 제공하며, 이는 종래의 플로우-랩(flow-wrap)형 패키지 또는 트레이와 편평 덮개를 갖는 종래의 패키지의 옆에서 선반에 진열될 때 소비자의 눈길을 끌 수 있다. 선반에서의 차별성은, 제품 개발에 있어서 핵심이며, 본원에 개시된 패키지는, 패키지 재료를 최소화함으로써 비용 효율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70)

  1. 패키지로서,
    제품들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내부를 규정하는, 배면 벽, 바닥 벽, 및 직립 측벽들의 한 쌍을 갖는 트레이로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바닥 벽의 정면 에지, 상기 측벽들의 에지들, 및 상기 배면 벽의 상부 에지를 포함하는 자유 에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의 에지들은 비평면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의 자유 에지들은 상기 내부에 대한 개구를 규정하고, 상기 개구는 전방 개구 부분과 상부 개구 부분을 갖는 것인, 상기 트레이; 및
    상기 개구의 전방 개구 부분과 상부 개구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자유 에지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부착된 커버를 포함하는, 패키지.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자유 에지들로부터 주연 플랜지가 연장되며, 정면 밀봉면, 측면 밀봉면, 및 상부 밀봉면을 규정하고, 상기 측면 밀봉면은 측벽 에지들의 비평면 부분들에 상응하는 호형(arcuate) 부분을 갖는, 패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주연 플랜지의 밀봉면들에 밀봉 연결되는, 패키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들은, 선택 사항으로서 개별적으로 랩핑(wrap)되는 개별적인 식품들을 포함하는, 패키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들은 외측 에지가 곡선형인 대략 원통형이며, 상기 트레이는 수평 적층 배향으로 에지 상에서 상기 대략 원통형의 제품들을 한 열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벽과 상기 바닥 벽을 연결하는 코너는, 상기 트레이 내에 수용되는 대략 원통형의 제품들의 휘어진 외측 에지들에 대하여 대략 상보적으로 되도록 휘어진, 패키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수평 적층 배향으로 상기 대략 원통형의 제품들의 두 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벽은, 상기 제품들의 적층된 열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도록 상기 바닥 벽을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윤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으로 돌출되는 윤곽부는, 선택 사항으로서, 상기 대략 원통형의 제품들의 휘어진 외측 에지들에 대하여 상보적인 휘어진 측벽들을 갖는, 패키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벽은 상측으로 테이퍼 가공되는 정면 부분을 포함하는, 패키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으로 테이퍼 가공되는 정면 부분은 상기 정면 개구 부분이 커버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트레이 내의 제품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패키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으로 테이퍼 가공된 정면 부분은 상측으로 휘어진, 패키지.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으로 테이퍼 가공된 정면 부분은, 상기 바닥 벽의 정면 에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주연 플랜지의 외측 에지가 상기 트레이를 위한 안정 지지부로서 기능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패키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개구 부분은, 상기 상부 개구 부분이 커버된 상태로 상기 트레이 내의 제품들이 상기 정면 개구 부분을 통해 개별적으로 접근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게 하는 구성과 크기를 갖는, 패키지.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구 부분은, 상기 정면 개구 부분이 커버된 상태로 상기 트레이 내의 제품들이 상기 상부 개구 부분을 통해 개별적으로 접근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게 하는 구성과 크기를 갖는, 패키지.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벽과 상기 배면 벽 중 하나 이상은 파형부들(undulations)을 포함하고, 상기 파형부들은, 상기 파형부들의 마루와 골이 각각 상기 바닥 벽을 따라 또는 상기 배면 벽을 따라 수직으로 앞에서 뒤로 이어지도록 구성된, 패키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부들의 개수는 상기 트레이 내의 제품들의 개수에 상응하는, 패키지.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배면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은 안정 위치를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포함하는, 패키지.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은 대략 평행한, 패키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은 대략 동일한 치수와 형상을 갖는, 패키지.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유연하고, 상기 측면 밀봉면의 호형 부분은 상부 부분과 정면 부분 사이의 커버에 호형 부분을 부여하는, 패키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커버는 막을 포함하는, 패키지.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열성형된, 패키지.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박리가능하고 선택 사항으로 재밀봉 가능한 밀봉부를 사용하여 상기 주연 플랜지에 밀봉된, 패키지.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부에 접근 개구, 및 상기 접근 개구 주위에 밀봉된 밀봉층을 포함하는, 패키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는 플랩(flap)을 생성하는 커버 내의 금이 그어진 라인들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밀봉층은 상기 플랩을 상기 커버의 나머지로부터 들어올려 상기 접근 개구를 드러내도록 구성된, 패키지.
  26.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 플랜지는 잘라낼 수 있는 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탭을 상기 주연 플랜지로부터 잘라내어 상기 커버를 가로질러 그어서 상기 커버의 접근 개구를 찢도록, 상기 탭으로 연장되는, 패키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접근 개구의 상측 에지와 하측 에지를 규정하도록 가로질러 대략 평행하게 금이 그어진 라인들의 쌍을 포함하는, 패키지.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는 바닥 벽과 배면 벽 사이에서 상기 커버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패키지.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는 상기 커버의 표면적의 50% 미만인, 패키지.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측벽 상에 수직 배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근 개구는 상기 측벽에 인접하는, 패키지.
  31.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는 두 개 이하의 제품이 상기 접근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다른 제품들은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하는 커버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패키지.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1 접착 세기를 갖는 제1 접착제에 의해 상기 트레이에 밀봉된 제1 부분 및 제2 접착 세기를 갖는 제2 접착제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다른 부분에 밀봉된 제2 부분을 갖고, 상기 제1 접착 세기는 상기 제2 접착 세기보다 큰, 패키지.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는 대략 영구적인 접착제이고, 상기 제2 접착제는 박리가능한 접착제인, 패키지.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측벽들은 상기 상부와 정면 사이의 상기 커버 상의 표시에 있어서 불연속성이 없도록 구성된, 패키지.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 플랜지는 상기 트레이의 자유 에지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패키지.
  36. 제1항 내지 제19항, 제22항, 제30항, 제34항, 및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략 강성의 덮개를 더 포함하는, 패키지.
  37. 제2항 내지 제19항, 제22항, 제30항, 제34항, 및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주연 플랜지에 스냅핏팅(snap-fit)되도록 구성된 대략 강성의 덮개를 더 포함하는, 패키지.
  38. 제2항 내지 제11항 및 제13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 플랜지는 상기 트레이의 자유 에지들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패키지.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분할 벽을 더 포함하는, 패키지.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분할 벽의 상면과 밀봉 연결하는, 패키지.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1 접착 세기를 갖는 제1 접착제에 의해 상기 개별적인 벽에 밀봉되고, 상기 커버의 나머지 부분들은 제2 접착 세기를 갖는 제2 접착제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다른 부분들에 밀봉되고, 상기 제1 접착 세기는 상기 제2 접착 세기보다 큰, 패키지.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인접하는 구획부들을 분리하는 분할 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 이상의 구획부를 갖는, 패키지.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인접하는 구획부들을 개별적으로 밀봉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구획부들 사이의 상기 분할 벽에 부착된, 패키지.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벽은 바닥 벽과 일체 형성되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패키지.
  45. 제4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구획부들의 쌍은 서로 분리가능한, 패키지.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들은, 분리 후, 밀봉된 구획부와 개방된 구획부가 존재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취약선과 상기 커버의 취약선을 따라 분리가능한, 패키지.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들은, 분리 후 각 구획부가 밀봉되도록 상기 분할 벽의 취약 선과 상기 커버의 취약선을 따라 분리가능한, 패키지.
  48. 제42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킹 카드(backing card)가 인접하는 구획부들의 바닥에 부착된, 패키지.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카드는 상기 구획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취약 선을 갖는, 패키지.
  50. 제품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내부를 규정하는 바닥 벽과 하나 이상의 직립 측벽을 갖는 트레이로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부에 대한 개구를 규정하는 상기 측벽들의 자유 에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자유 에지들은 서로 각지게 오프셋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갖는 것인, 상기 트레이; 및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자유 에지들에 대하여 부착된 커버를 포함하는, 패키지.
  51. 제50항에 있어서, 주연 플랜지는, 상기 자유 에지들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각지게 오프셋된 상응하는 제1 평면 세그먼트와 제2 평면 세그먼트를 갖는 밀봉면들을 규정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밀봉면들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각지게 오프셋된 부분들을 상기 커버에 부여하도록, 상기 주연 플랜지의 밀봉면들에 밀봉 연결되는, 패키지.
  52.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대략 환형의 측벽을 포함하는, 패키지.
  53.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직사각형 구성의 4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패키지.
  54. 제50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벽은 대략 반구형인, 패키지.
  55. 제50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에지들의 제1 및 제2 부분들은 호형 부분에 의해 연결된, 패키지.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부분은 볼록 호형 부분을 포함하는, 패키지.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부분은 오목 호형 부분을 포함하는, 패키지.
  58. 제50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평면 세그먼트들은 상기 제1 및 제2 평면 세그먼트들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하나 이상의 중간 평면 세그먼트에 의해 이어지는, 패키지.
  59. 대략 평면의 단부 벽들의 쌍과 상기 쌍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략 휘어진 측벽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를 갖는 트레이로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단부 벽들 중 하나의 자유 에지, 상기 단부 벽들 중 나머지 하나의 자유 에지, 및 상기 측벽의 이격된 자유 에지들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자유 에지들의 각각은, 플랜지들이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대한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플랜지를 갖고, 상기 단부 벽들의 자유 에지들의 플랜지 각각은 대략 호형이고, 상기 측벽의 자유 에지들의 각각의 플랜지는 대략 평면형인, 상기 트레이; 및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플랜지들에 대하여 밀봉 연결된 커버를 포함하는, 패키지.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이격된 자유 에지들의 쌍의 대략 평면의 플랜지들은 서로 각지게 오프셋된, 패키지.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들은 서로 평행한, 패키지.
  62. 제50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탈착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가능한 부분에는 상기 커버가 부착되고, 상기 탈착가능한 부분은 개방 후 상기 커버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도록 사용가능한, 패키지.
  63. 제5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후 상기 커버를 재폐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패키지.
  64. 제50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초기 개방 전에 상기 트레이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별적인 식품과 조합되는, 패키지.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원형 크랙커 또는 쿠키를 포함하는, 패키지.
  66. 제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트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복수의 개별적인 식품을 상기 트레이 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트레이에 부착하여 상기 패키지 내의 식품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키지 제조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이를 폴리머 시트로 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키지 제조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시트는 폴리머 물질의 웹(web)의 세그먼트이고, 상기 트레이는 열성형 후에 상기 웹으로부터 나누어지는(singulate), 패키지 제조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트레이가 열성형된 후 상기 웹으로부터 나누어지기 전에, 상기 트레이에 부착되는, 패키지 제조 방법.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웹으로부터 나누어진 후에 상기 트레이에 부착되는, 패키지 제조 방법.
KR20147024756A 2012-03-07 2013-03-07 패키지 KR20140130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08081P 2012-03-07 2012-03-07
US61/608,081 2012-03-07
US201261683161P 2012-08-14 2012-08-14
US61/683,161 2012-08-14
PCT/US2013/029689 WO2013134547A1 (en) 2012-03-07 2013-03-07 Pack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697A true KR20140130697A (ko) 2014-11-11

Family

ID=4799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4756A KR20140130697A (ko) 2012-03-07 2013-03-07 패키지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2822872B1 (ko)
JP (1) JP6182554B2 (ko)
KR (1) KR20140130697A (ko)
CN (1) CN104159833B (ko)
AU (1) AU2013230780B2 (ko)
CA (1) CA2864175A1 (ko)
CO (1) CO7131379A2 (ko)
ES (1) ES2678598T3 (ko)
MX (1) MX369411B (ko)
PE (1) PE20150007A1 (ko)
PH (1) PH12014501810A1 (ko)
PL (1) PL2822872T3 (ko)
RU (1) RU2014135290A (ko)
WO (1) WO2013134547A1 (ko)
ZA (1) ZA2014065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07U (ko) * 2015-03-25 2016-10-06 민미강 수납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ITMI20131583A1 (it) * 2013-09-25 2015-03-26 Masterpack S P A Dispositivo di formazione di un'apertura di prelievo richiudibile nella pellicola di una confezione sigillata e confezione-dispensatore
TW201620791A (zh) * 2014-08-28 2016-06-16 葛蘭素史密斯克萊有限責任公司 包裝盒及熱密封裝置
DE102015009652A1 (de) * 2015-07-24 2017-01-26 Steripac Gmbh Verpack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USD964862S1 (en) 2018-08-21 2022-09-27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Tray
TW202337346A (zh) * 2021-12-16 2023-10-01 美商壯生和壯生視覺關懷公司 增壓或真空密封的隱形眼鏡包裝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723A (en) * 1964-07-21 1967-08-29 Swift & Co Sliced bacon package and tray employed therein
US3371848A (en) * 1966-10-24 1968-03-05 Anderson Bros Mfg Co Reclosable package
FR1544040A (fr) * 1967-08-11 1968-10-31 Fromageries Bel La Vache Quiri Emballage pour portion de matière alimentaire, notamment de fromag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US3740238A (en) * 1971-01-04 1973-06-19 S Graham Stackable cookie package and tray
US3937389A (en) * 1971-12-27 1976-02-10 Harold Wind Disposable food container
DE2609525A1 (de) * 1976-03-08 1977-09-15 Pfeiffer Ohler Eisen Theob Behaelter fuer heiss einzufuellendes fluessiges oder pasteuses fuellgut
JPS5849769U (ja) * 1981-09-30 1983-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再閉鎖可能なカツプ
DE3618237A1 (de) * 1986-05-30 1987-12-03 Bempflinger Fruechtekonserven Verpackungsbehaelter fuer nahrungsmittel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artiger verpackungsbehaelter
US4750669A (en) * 1987-07-07 1988-06-14 Leight Howard S Container with resilient cover
DE8807680U1 (ko) * 1988-06-14 1988-08-25 Mueller, Wolfgang, 2105 Seevetal, De
DE9112511U1 (ko) * 1991-03-04 1992-01-02 Barilla G.E.R. F.Lli- S.P.A., Parma, It
FR2755432B1 (fr) * 1996-11-04 1998-12-18 Keriniz Conditionnement pour des animaux aquatiques vivants, notamment des huitres
JP4289530B2 (ja) * 1999-10-27 2009-07-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材
JP2001270512A (ja) * 2000-03-24 2001-10-02 Giken Kasei Kk 食品容器
CN2609840Y (zh) * 2003-03-14 2004-04-07 百事食品(中国)有限公司 一种组合食品包装罐
US20050029258A1 (en) * 2003-08-05 2005-02-10 Juliano Don E. Molded container
JP5593533B2 (ja) * 2009-10-09 2014-09-24 株式会社フジシール ブリスター容器
AU2009355809B2 (en) * 2009-11-25 2013-05-09 Pringles S.A.R.L. Packaged food product
GB201010080D0 (en) * 2010-06-16 2010-07-21 Cadbury Adams Usa Llc Packag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07U (ko) * 2015-03-25 2016-10-06 민미강 수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64175A1 (en) 2013-09-12
ES2678598T3 (es) 2018-08-14
PH12014501810A1 (en) 2014-11-17
EP2822872A1 (en) 2015-01-14
AU2013230780A1 (en) 2014-08-28
MX369411B (es) 2019-11-07
ZA201406533B (en) 2015-11-25
MX2014010718A (es) 2014-10-13
CN104159833B (zh) 2016-10-12
RU2014135290A (ru) 2016-04-27
AU2013230780B2 (en) 2016-03-17
EP2822872B1 (en) 2018-05-09
PL2822872T3 (pl) 2018-09-28
JP2015512838A (ja) 2015-04-30
JP6182554B2 (ja) 2017-08-16
PE20150007A1 (es) 2015-01-23
WO2013134547A1 (en) 2013-09-12
CO7131379A2 (es) 2014-12-01
CN104159833A (zh)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0697A (ko) 패키지
EP2347971B1 (en) Resealable packaging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5405629A (en) Multi-seal reclosable flexible package for displaying thinly sliced food products
US5077064A (en) Easy-open recloseable peggable package
JP5727632B2 (ja) プラスチックフランジ付き容器およびそうした容器を備える食品パック
RU2633240C2 (ru) Двухсекционный пластмассовый контейнер и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такие контейнеры
EP2516292B1 (en) Co-packaged articles
JP2930397B2 (ja) 食品等のコンパクト・パッケージ
US20090039079A1 (en) Multiple-tray, multiple-compartment food package
MX2007012011A (es) Empaque para alimentos re-cerrable.
JPH04242561A (ja) 薄く裁断された肉類用半硬質パッケージ
US20150129594A1 (en) Package
US10407210B2 (en) Plastic cup with a thin outer sleeve and food product pack comprising such cups
JPH066064Y2 (ja) 成形容器の集合包装体
CA2054114C (en) Multi-seal recloseable flexible package
US20150367982A1 (en) Packaged food product
AU2011352982B2 (en) Flexible film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7069970A (ja) 添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