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649A - 마카추출물과 긴병꽃풀, 감초, 병풀, 인동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카추출물과 긴병꽃풀, 감초, 병풀, 인동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649A
KR20140130649A KR20140129944A KR20140129944A KR20140130649A KR 20140130649 A KR20140130649 A KR 20140130649A KR 20140129944 A KR20140129944 A KR 20140129944A KR 20140129944 A KR20140129944 A KR 20140129944A KR 20140130649 A KR20140130649 A KR 2014013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longituba
naka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필
Original Assignee
제이앤팜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앤팜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제이앤팜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2014012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0649A/ko
Publication of KR2014013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카(Lepidium meyenii)를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하여 초임계추출한 추출물과 긴병꽃풀(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병풀(Centella asiatica (L.) Urb.),인동(Lonicera japonica Rhunberg)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세포증식효과, 항염·항산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피부조직에 독성 반응이 나타나지 아니하며, 항염·항산화 기능 및 피부세포증식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카추출물과 긴병꽃풀, 감초, 병풀, 인동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ing the extracts of Lepidium meyenii,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Glycyrrhiza uralensis Fisch, Centella asiatica (L.) Urb. and Lonicera japonica Rhunberg}
본 발명은 마카(Lepidium meyenii) 추출물과 긴병꽃풀(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병풀(Centella asiatica (L.) Urb.), 인동(Lonicera japonica Rhunberg)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세포증식효과, 항염·항산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피부조직에 독성 반응이 나타나지 아니하면서 피부보호 효과를 가지는 피부노화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노화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생물의 신체기능이 퇴화하는 현상으로 세포가 분열할 수 있는 능력을 잃어버리는 것으로 피부 노화의 요인으로 크게 내인성 피부노화와 외인성 피부노화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 피부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적인 노화현상이며, 외인성 피부노화는 자외선, 환경오염, 먹거리의 오염, 담배연기 및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가 대표적이다.
피부는 외부 감염으로부터 보호, 체온을 조절하고 유지시켜 주는 역할, 수분의 증발 및 이동의 조절, 외상으로부터의 절연, 비타민D의 합성 등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의 피부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자극으로 색소 침착, 활성 산소의 형성에 의한 DNA 손상 등이 초래되고 이러한 자극이 반복되면서 염증 반응이 증가되어 collagen의 분해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피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며 진피층의 구조를 손상시켜 궁극적으로 주름 등의 증상을 포함한 피부노화를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 epidermal growth factor, fibroblast growth factor와 같은 성장호르몬도 감소된다. 피부는 피부세포 생성의 능력의 저하에 따라서 건조해지며, 각질형성세포의 분열감소로 피부는 얇아지게 되며, 주름지게 된다. 또한 피부의 탄력성이나 부드러움, 촉촉함 등의 느낌은 피부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해 유지되므로 건강한 피부를 위해서는 보습도 매우 중요한 역할은 한다.
또한 체내 에너지대사 과정 중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은 체내 항산화 방어 체계에 의해 제거되어 균형을 유지한다. 하지만 비정상적으로 활성산소종의 농도가 높아지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세포손상과 사멸에 의하여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마카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호르몬조절 작용을 포함하는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능성 소재의 추출공정의 개선에 의하여 농축하는 방법으로 고기능성화가 가능하며, 긴병꽃풀, 병출의 경우 화장품용 소재로서 피부보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감초의 경우 한약재로서 해독효과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동의 경우 고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재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소재의 조합과, 추출공정 개발로 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피부보호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얻는 방법에 의하여 항산화,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0451387호 피부 탄력 증가와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원지, 길경, 병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 제조 방법. 대한민국 특허 제 10-0795512호 병풀 및 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미국 특허 제 5,340,568호 WO 97/39734 병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 01/78674
해당사항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항염, 보습효과를 가지며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긴병꽃풀(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를 각각 1~5, 병풀(Centella asiatica (L.) Urb.), 인동(Lonicera japonica Rhunberg)을 각각 5~1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물, 유기용매 또는 그 혼합물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고형분의 농도가 5~25%(w/v)가 되게 하고, 여기에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고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얻고, 건조된 마카분말을 액체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압력 100 ~300 bar, 온도 30~60℃로 1~5시간 초임계 추출하여 얻어진 수분함량 5~10%의 지질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를 1,3-부틸렌글리콜 분획물과 1 : 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얻는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항산화, 항염, 피부노화 억제효과를 가지며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마카마이드 함유 추출물은 피부세포증식효과, 항염·항산화 기능을 가진 물질로 분획과정을 통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여 효능을 강화하였으며,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병풀(Centella asiatica (L.) Urb.), 인동(Lonicera japonica Rhunberg) 추출 정제물은 우수한 항염효과에 의하여 섬유아세포에서의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 발현을 감소시키고, procollagen의 합성을 증가시키며, 궁극적으로 감소된 MMPs와 증가된 procollagen에 의하여 collagen분해를 감소시켜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개선하여 항염, 항산화, 피부노화예방, 피부트러블의 개선 효과를 가지는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의 비교
본 발명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를 각각 1~5, 병풀(Centella asiatica (L.) Urb.), 인동(Lonicera japonica Rhunberg)을 각각 5~10 중량비로 혼합하여 투입하고 물, 유기용매 또는 그 혼합물로 상온에서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고형분의 농도가 5~25%(w/v)가 되게 하고, 여기에 1,3-부틸렌글리콜을 1~3 부피비로 가하여 층분리한 다음, 1,3-부틸렌글리콜층을 수득하여 분획물을 제조하고(추출물A 라함),
건조된 마카분말을 초임계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가하고, 압력 100~500 bar, 온도 30~60℃로 1~5시간 초임계 추출하여 얻어진 지질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고형분의 농도가 1~10%(w/v)가 되도록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고 용해하고 여과하여 용해물을 얻고(추출물B 라고 함),
상기의 추출물A 와 추출물B를 1: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피부 생리활성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조성물에 있어 마카는 십자화과(Brassicaceae)의 두해살이풀 또는 한해살이풀(Lepidium meyenii)로 배축을 뿌리채소로 먹는다. 크림색의 마카는 단맛이 있고 크기도 적당하여 페루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볼리비아와 페루의 안데스가 원산지이다. 베타-시토스테롤, 사포닌, 스티그마스테롤, 타닌, 알카로이드, 베타-엑디손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자양강장, 항산화 기능, 피부보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풀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줄기는 가늘고 땅 위에 누어 뻗으며 녹색 또는 붉은 자주색인데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나며 번식한다. 베타-카로텐,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캠퍼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병풀로부터 분리된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 또는 그의 유도체는 피부궤양, 광범위한 외상치료, 피부정맥, 노장성궤양, 미란성피부궤양, 한성원형탈모증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 6~10%), 플라보노이드와 아이소(iso), 그리시리진산(glycyrrhizic/glycyrrhizic acid), 사포닌(saponins), 쿠마린, 정유, 전분, 파이토스테롤(phytostrol), 탄닌 및 효소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해독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한약들과 조화를 이뤄 약효를 증진시켜주는 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동은 배탕체 루테올린, 이노시톨(Inositol)이 있으며, 단맛은 약 1%의 이노시톨에 의한다. 그외 탄닌질 약 8%, 사포닌(saponin)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잎과 줄기에는 5~8%의 탄닌질이 있으며, 항균, 면역조절작용 및 신경아세포 활성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은 장관연전초라고 불리는 것으로 경기도, 황해도, 평안남북도 등지에 분포하며, 산지의 습한 양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줄기는 모나고 퍼진 털이 있으며 처음에는 곧게 서나, 자라면서 옆으로 50cm 정도 뻗는 특징이 있다. 페놀(phenol)성 성분인 sterol, flavone, amino acid, 탄닌, 정유, Glechoma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탁월한 항균작용이 있으며, 피부 상처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의 추출물 A와 추출물 B를 각각 1: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피부노화억제 및 피부트러블 해소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의 긴병꽃풀 또는 감초 중 하나, 병풀 또는 인동 중 하나의 추출물 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추출물 A에 비하여 항염·항산화 기능 및 피부세포증식 효과 미약하다. 추출물 A는 긴병꽃풀, 감초, 병풀, 인동을 혼합하여 추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추출물과 비교할 때 기능성의 강화 및 기능성 추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는 마카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추출물 B와의 혼합에 의하여 보다 향상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본 발명의 주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종래의 화장료 제형인 크림, 로션, 에멀젼, 세럼, 스킨, 헤어토닉 및 헤어 및 전신 세정제 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과 물, 그리고 층분리가 이뤄지는 유상층과 수상층을 혼합하여 주는 계면활성제와 점도를 증가시켜 주는 점증제, 방부효과를 가지는 방부제, 그리고 향료 등으로 이뤄지는 군으로 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실시예로서 상술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출물 A의 제조.
긴병꽃풀 100g, 감초 60g, 병풀 200g, 인동 200g을 혼합하여 준비하고, 여기에 추출 용매로서 50%(w/v) 에탄올을 4.6L 가하고, 상온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4.1L를 얻고, 이를 진공감압농축하여 고형분 농도 8%(w/v)의 농축액 550ml을 얻었다. 이 중 100ml을 취하고 여기에 1, 3-부틸렌글리콜을 200ml 가하고 잘 혼합한 다음 층분리 하고 여과하여 1, 3-부틸렌글리콜 층을 회수하여 추출물 A를 168ml 얻었다.
추출물 B의 제조.
건조된 마카분말 200g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압력 230 bar, 온 도30℃로 1시간 초임계 추출하여 얻어진 지질추출물 18g을 수득하고, 여기에 1,3-부틸렌글리콜 1L를 가하고, 용해하여, 추출물B를 960ml 얻었다.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 A와 추출물B를 1: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게 된다.
추출물 A와 추출물B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표
시료명 "가" "나" "다" "라" "마"
추출물 A 1 1 1 1 0
추출물 B 0 1 3 5 1
항산화 효과의 비교
잔틴옥시다아제에 의하여 생성된 라디칼의 소거활성을 NBT(Nitro-Blue Tetrazolium) 환원법으로 측정하였다.
0.4mM Xanthine 과 0.24mM NBT 함유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5) 1ml 과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5) 0.6ml에 시료 0.1ml을 혼합한 후 xanthine oxidase(0.07U/ml) 1ml을 가하여 섭씨 3도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1M HCl 1ml을 첨가하고 반응을 완료한 다음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계산하였다.
항산화 효과(%) = ((Control - Sample) / (Control - Blank)) *100
Control : 시료대신 0.24mM NBT를 첨가한 경우의 흡광도,
Sample : 시료를 첨가한 경우의 흡광도
Blank : 물을 첨가한 경우의 흡광도
상기의 식에서 Sample의 흡광도가 낮을 수록 항산화 효과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의 조성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다음의 표에 보였다.
"가" "나" "다" "라" "마"
항산화도(%) 45 74 86 85 55
세포독성 여부에 대한 검증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세포독성은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배양하고 여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가한 다음 세포의 생존율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MTT asssay를 통하여 결정하였다. 먼저 섬유아세포를 24-well plate에 105cells/ml로 깔고, 여기에 추출액을 0.1%, 0.5%, 2.5%(w/v)로 투입하고 48시간 배양 후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3에 보였다.
세포 생존율의 비교
시료명 "가" "나" "다" "라" "마"
0.1% 98% 99% 100% 99% 102%
0.5% 100% 101% 98% 103% 105%
2.5% 97% 99% 97% 100% 97%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보습효과의 확인
피부보습효과는 피부 수분측정기를 이용하여 피부보습력을 평가하였다. 측정 조건은 실내온도 섭씨 25도, 상대습도 55%에서 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좌측팔의 안쪽 부위에 도포하고 3시간 이후 보습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에 보였다.
"가" "나" "다" "라" "마" "대조군"
보습력(%) 125±1.3 127±2.2 146±1.8 145±4.1 139±3.3 100
본 발명의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한 피부보습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항염효과의 확인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을 이용한 평가법으로 확인하였다(Ref. Agents and actions 1987 (20), 69-76).
마우스(hairless)의 양쪽 귀를 에탄올로 세척하고, 마우스의 귀 두께를 측정한 다음, 본 발명의 조성물, 아라키논산 처리군(양성대조군)으로 하여 20ul씩 처리하고 좌측귀는 시료만을 처리하고, 우측귀는 아라키돈산을 처리한 다음 도포 1시간 후 귀의 부종 정도를 측정하여 염증억제 지표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5에 보였다.
아라키돈산 본 발명의 시료 "다" 본 발명의 시료 "라"
염증억제율(%) 45.2 57.4 60.1
상기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뛰어난 항염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인체 상피세포주, CSK323를 이용한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SIRCOL collgen assay를 실시하였다. 세포주를 105cells/ml의 농도로 24well plate에 분주하고, 10% FBS /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10% FBS/DMEM 배지를 각각 0.8ml 씩 투입하고, 여기에 테스트용 시료를 각각 0.8ml 투입한 다음 1일 간 추가 배양하고, 상등액을 0.5ml 취하여 염색시약을 1ml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알칼리 agent를 0.1ml 첨가하고 5분간 섞어 준 다음, 96-well plate에 옮기고 micro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6에 보였다. 이를 도1에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양성대조군의 경우 ascorbic acid, 100ppm을 이용하였고, 음성대조군은 생리심염수 첨가군이다.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본 발명의 시료 "다" 본 발명의 시료
"라"
콜라겐 생성 촉진(%) 100% 208% 135.2% 144.5%
상기의 표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뛰어난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항노화 효과의 비교
과산화물에 의한 세포의 산화적스트레스에 의하여 초래되는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이토카인 TNF-α의 분비량을 비교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HaCaT 세포주를 DMEM/10% FBS 로 배양하고, 24well plate에 105cells/ml의 농도로 분주하고, 안정화 시킨 다음, 시료를 각각 1mg/ml의 농도로 가하고, 대조군으로는 헤스페리딘을 25ug/ml 처리하고, 여기에 과산화수소를 100uM 농도로 처리한 다음 24시간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정량하는 방법으로 TNF-α의 분비량을 비교하였다. TNF-α의 분비량이 적을 수록 라디칼에 의한 항노화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NF-α의 분석은 ELISA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7에 보였다.
음성대조군 과산화수소 시료 "다" 시료 "라" 헤스페리딘
TNF-α 상대량(%) 0% 100% 76% 65% 55%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매우 뛰어난 항노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제조예 1. 화장료로서 크림의 제조
실시예 2의 시료 "다"를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인 시료 "다" 5%, 아르간오일 5%, 쉐어버터 5%, 녹차씨유 3%, 아보카도오일 2%, 이소아미 라우레이트(isoamy laurate) 5%, 세티아릴 알콜(Cetearyl alcohol) 5%, 히알루론산 10% 솔루션 10%, 베타글루칸 10% 솔루션 10%, 향료 3% 나머지는 정제수를 각각 부피비로 가하고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화장료로서 로션의 제조
실시예 2의 시료 "라"를 함유하는 로션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인 시료 "라" 5%, 아르간오일 2%, 쉐어버터 2%, 녹차씨유 1%, 호호바오일 1%, 이소아미 라우레이트(isoamy laurate) 4%, 세티아릴 알콜(Cetearyl alcohol) 3%,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1%, 히알루론산 5% 솔루션 10%, 베타글루칸 10% 솔루션 5%, 향료 3% 나머지는 정제수를 각각 부피비로 가하고 혼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화장료로서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 2의 시료 "라"를 함유하는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인 시료 "라" 2%, 아르간오일 2%, 드럼스틱씨오일 2%, 호호바오일 1%, 이소아미 라우레이트(isoamy laurate) 2%, 세티아릴 알콜(Cetearyl alcohol) 1.5%,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1%, 글리세린 올리에이트(Glyceryl oleate) 1% 히알루론산 10% 솔루션 5%, 베타글루칸 10% 솔루션 5%, 향료 3% 나머지는 정제수를 각각 부피비로 가하고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의 제조시 원료로서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품은 매우 뛰어난 피부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어 고부가가치의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
해당사항 없음

Claims (3)

  1. 긴병꽃풀, 감초를 각각 1~5, 병풀, 인동을 각각 5~10 중량비로 한 혼합물을 물, 유기용매 또는 그 혼합물로 추출하고, 여기에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얻어진 분획물과(추출물A 라고함), 마카분말을 초임계 추출하여 얻어진 지질추출물에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얻어진 분획물(추출물B라고 함)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서 추출물A : 추출물B = 1 : 1~5의 무게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긴병꽃풀, 감초를 각각 1~5, 병풀, 인동을 각각 5~10 중량비로 한 혼합물을 물, 유기용매 또는 그 혼합물로 추출하고, 여기에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얻어진 분획물과(추출물A 라고함), 마카분말을 초임계 추출하여 얻어진 지질추출물에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얻어진 분획물(추출물B라고 함)를 무게비로서 1 : 1~5의 비로 혼합한것을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29944A 2014-09-29 2014-09-29 마카추출물과 긴병꽃풀, 감초, 병풀, 인동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0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9944A KR20140130649A (ko) 2014-09-29 2014-09-29 마카추출물과 긴병꽃풀, 감초, 병풀, 인동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9944A KR20140130649A (ko) 2014-09-29 2014-09-29 마카추출물과 긴병꽃풀, 감초, 병풀, 인동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649A true KR20140130649A (ko) 2014-11-11

Family

ID=5245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9944A KR20140130649A (ko) 2014-09-29 2014-09-29 마카추출물과 긴병꽃풀, 감초, 병풀, 인동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06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68A (ko) * 2021-07-07 2023-01-16 경기도 긴병꽃풀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68A (ko) * 2021-07-07 2023-01-16 경기도 긴병꽃풀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8012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6063B1 (ko)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9096B1 (ko)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0658B1 (ko) 마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58B1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2452A (ko) 미세조류추출물 제조방법과 미세조류추출물로부터 수득한 펩타이드복합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87592A (ko)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72626A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00010315A (ko)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생약 화장료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0649A (ko) 마카추출물과 긴병꽃풀, 감초, 병풀, 인동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5718B1 (ko)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KR20130001028A (ko) 초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54270A (ko) 검정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80059318A (ko) 자감초, 향부자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1692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484A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23372A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758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2335B1 (ko) 황금, 황련, 감초, 오가피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