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898A -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898A
KR20140123898A KR1020140032562A KR20140032562A KR20140123898A KR 20140123898 A KR20140123898 A KR 20140123898A KR 1020140032562 A KR1020140032562 A KR 1020140032562A KR 20140032562 A KR20140032562 A KR 20140032562A KR 20140123898 A KR20140123898 A KR 2014012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display
zooming
spe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0289B1 (ko
Inventor
유키 한자와
아츠시 이리에
모토오 야마모토
히로유키 타나카
? 사카이
타츠야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위치에 응하여 적정한 줌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화상 촬상 장치(1)는,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고, 표시부(50)의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물체 위치 판정(24)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량을 변경하는 줌량 제어부(25)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IMAGE DISPLAY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ED}
본 발명은,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표시 화상에 대해 줌 처리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사체를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하여 디지털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촬영 장치(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디지털 화상을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예를 들면, 화상 뷰어) 등의 디지털 화상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디지털 화상 처리 장치에는, 디지털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를 임의의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줌 기능을 갖고 있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촬영 장치에서는, 줌 인 조작 또는 줌 아웃 조작을 함에 의해, 피사체를 소망하는 크기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하는 디지털 화상의 소정 범위(예를 들면, 피사체가 포함되는 범위)를 소망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할 수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줌 기능에 관해,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제안이 이루어져 왔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줌 초기 위치로부터 줌 목표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줌 위치의 변화량에 의거하여, 줌 속도를, 줌 목표 위치에 근접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자동 화각(畵角) 제어에서, 피사체의 크기의 변화량에 응한 가변의 줌 속도로 화각 변화를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전회 촬영한 때의 초점 거리(줌 위치)를 기억하여 두고, 현재의 초점 거리가, 기억된 초점 거리에 근접하면 초점 거리를 변경하는 스피드를 느리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1-166306호 공보(2011년 8월 25일 공개)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10-23313호 공보(1998년 1월 23일 공개)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5-308836호 공보(2005년 11월 4일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유저가 화상의 줌을 재빠르게 적절한 값으로 하려고 조작을 행하여도, 과잉한 확대 조작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피사체의 일부가 영역 밖으로 나와 버리는 등, 구도를 충분 적절하게 조정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3의 기술은, 피사체의 크기의 변화량이나 줌 위치의 변화량, 또는 기억된 초점 거리에 의거한 화각 제어를 행하는 것이고, 피사체의 위치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피사체의 위치에 응하여 적정하게 줌 처리를 제어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수단과,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수단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스텝과,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스텝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표시 장치는, 촬상 소자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함과 함께,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촬상 장치라도 좋고,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라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우선,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한다.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의 전체라도 좋고, 표시부의 일부에서 윈도우 표시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줌 표시는, 화상 표시 장치가, 화상 촬상 장치로서 실현되는 경우, 광학적으로 줌을 행하는 것이라도 좋고, 표시 화상을 화상 데이터 처리하여 디지털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는, 예를 들면,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물체의 위치와의 거리 관계라고 말할 수도 있다. 물체의 위치는, 물체를 검출한 때로 설정되는 사각형 영역(검출테두리)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검출된 물체의 윤곽을 기준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위치 관계를 판정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가 근접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또한, 다시 예시하면, 위치 관계를 판정한다는 것은,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에 대해,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판정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위치 관계의 판정에서는,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물체의 검출테두리 또는 윤곽이 가장 가까워지는 개소에 대해 산출된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줌 속도는, 단위 시간당의 줌 량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줌 속도는, 단위 조작에서의 줌 량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줌 속도는, 1회의 조작에 있어서 표시 화상을 확대하는 배율로 나타내는 경우, 줌 배율이라고 하여도 좋다.
따라서,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물체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 부근에 있는 경우, 줌 속도를 감소시켜서, 표시 화면에 포함되는 물체가 표시 영역에 머무르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물체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의 밖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프레임 아웃한 경우, 줌 속도를 증대시켜서, 원래의 줌 속도로 되돌릴 수도 있다.
이상에 의해, 물체의 위치에 응한, 적정한 줌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위치 판정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로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가 근접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가 근접하여 있는 경우,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물체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 부근에 있는 경우, 줌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물체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 부근에 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물체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에 대해,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줌 속도의 감소량은, 단계적인 것이라도 좋고, 연속적인 것이라도 좋다. 또한, 소정의 줌 속도로 줌 표시를 행하여, 물체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 부근이 아닌 곳부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 부근에 도달한 때, 소정의 줌 속도를 보다 작은 다른 줌 속도로 전환하여도 좋다. 또한, 줌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에는, 소정의 기간, 줌 속도를 제로로 하여 줌 표시를 정지시키는 것도 포함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물체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 부근에 있는 경우, 줌 속도를 감소시켜서, 표시 화면에 포함되는 물체가 표시 영역에 머무르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가 근접하여 있는 경우, 상기 줌 속도를, 보다 저속의 소정의 줌 속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다 저속의 줌 속도로 전환함으로써, 줌 속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저속의 줌 속도로 전환된 후의 줌 표시의 동안에 유저에 대해 줌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켜서 줌 표시를 행할 수가 있어서, 이와 같은 줌 표시의 동안에 유저에 대해 줌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소정의 기간, 상기 줌 속도를 제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기간, 줌 속도를 제로로 하여, 줌 표시를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줌 표시를 정지하고 있는 동안, 유저에 대해 줌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소정의 줌 속도에 의해 줌 표시를 행한 경우에,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비어져 나올 때,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줌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줌 속도에 의해 줌 표시를 행한 경우에,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비어져 나올 때, 줌 속도를 감소시켜서,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위치 판정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로서,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상기 물체의 위치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상기 물체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상기 물체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 유저에게 줌 표시를 계속할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줌 속도를 증대시켜서 줌 표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상기 물체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 감소된 줌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또한, 줌 속도가 감소된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과 시간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줌 속도가 감소된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줌 속도가 감소된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 유저에게 줌 표시를 계속할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줌 속도를 증대시켜서 줌 표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줌 속도가 감소된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 감소된 줌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판정 수단은, 또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서의 상기 물체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구도(構圖)란, 예를 들면, 3분할법에 의한 구도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구도가 3분할법에 의한 것이라면, 표시 영역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관해 각각 3등분하여, 9개의 분할 영역을 얻는다.
또한, 물체의 위치는, 물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판정하여도 좋고, 물체의 윤곽·검출테두리를 기준으로 하여 판정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와 같은 복수의 분할 영역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판정하고, 그 결과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한다. 줌 속도의 변경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한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줌 처리에서, 분할 영역의 경계 부근에서, 줌 속도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구도상, 균형이 잡혀지는 위치에 물체가 줌 표시된 때에, 줌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줌 표시에 의해, 물체의 위치가, 구도상, 균형이 잡혀지는 위치에 왔을 때에, 유저에 대해 줌 표시를 계속시키는지의 여부 판단시키는 시간을 줄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과,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수단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경계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수단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스텝과,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스텝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경계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스텝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줌 처리에서, 분할 영역의 경계 부근에서, 줌 속도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구도상, 균형이 잡혀지는 위치에 물체가 줌 표시된 때에, 줌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물체의 위치에 응한, 적정한 줌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각 양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화상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각 수단으로서 동작시킴에 의해 상기 화상 표시 장치를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또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에서 얻어지는 화상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상 촬상 기기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카메라 부착의 정보 단말(노트형 PC, 태블릿형 PC, 스마트 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수단과,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수단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스텝과,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스텝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과,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수단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경계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수단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스텝과,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스텝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경계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스텝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이 때문에, 물체의 위치에 응한, 적정한 줌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는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와, 그래프의 각 점에서의 표시부의 표시에 관해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랜드 마크의 검출 물체 영역과,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의 위치 관계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관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5(a) 내지 (c)는,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랜드 마크의 검출 물체 영역과,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의 위치 관계에 관해 설명하는 다른 도면.
도 6은 실시예 1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에서의 줌 처리의 흐름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7은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관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실시예 2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예시하는 플로 차트.
도 9는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관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실시예 3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예시하는 플로 차트.
도 11은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관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는 실시예 4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예시하는 플로 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4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단계식 줌의 개요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예시하는 플로 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7은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와, 그래프의 각 점에서의 표시부의 표시에 관해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3분할법을 응용한 줌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에 관해 설명한다. 화상 촬상 장치(1)는,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카메라 부착의 정보 단말(노트형 PC, 태블릿형 PC, 스마트 폰) 등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촬상 장치(1)에는, 예시적으로, 촬영을 행하는 촬영 모드와, 촬영한 화상을 열람하기 위한 화상 열람 모드의 2개의 동작 모드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촬상 장치(1)는, 기억부(10), 제어부(20), 조작부(30), 촬상부(40) 및 표시부(50)를 구비한다.
기억부(10)는,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이다. 기억부(10)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불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를 조합시킴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억부(10)에 기억되는 각종 데이터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20)는, 화상 촬상 장치(1)에서의 각종 기능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20)의 기능은, 기억부(10)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가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줌 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20)가 줌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조작부(30)는, 유저로부터 각종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각 기능이 할당된 입력용 버튼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0)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의 표시부(50)에서의 조작부(30)를 터치 패널로서 구성하고, 터치 입력을 실현하여도 좋다. 조작부(30)는, 접수한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조작 신호 또는 조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송신한다. 조작부(30)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촬상부(40)는, 촬상 소자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P)를 생성하는 것이다. 촬상부(40)는, 구체적으로는, 촬상 렌즈, 촬상 소자, 프레임 메모리, 메커 기구, 모터, 플래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촬상 소자로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40)는, 제어부(20)로부터의 촬영 지시에 응하여, 플래시 등의 촬영 조건에 응한 촬영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P)를 생성하여도 좋다. 촬상부(40)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P)를 제어부(20)에 공급한다.
표시부(50)는, 화면 표시를 행하는 표시 영역을 갖고 있고, 당해 표시 영역에서, 화면 표시에 의해, 유저에 대해 정보 제공을 행하는 것이다. 표시부(50)는, 제어부(20)로부터 수신한 화면 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 화면에 문자나 화상 등의 각종의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50)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기억부의 구성)
기억부(1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화상 기억부(11) 및 화면 사이즈 정보 기억부(12)를 구비한다.
촬상 화상 기억부(11)에는, 촬상부(40)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P)가 기억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촬상 화상 기억부(11)에는, 촬상부(40)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P)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예시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 화상 기억부(11)에는, 임의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켜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 화상 기억부(11)에는, 통신 네트워크나,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켜 둘 수 있다.
화면 사이즈 정보 기억부(12)에는, 표시부(50)에서의 표시 영역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화면 사이즈 정보가 기억된다. 화면 사이즈 정보는, 예를 들면, 화면의 세로의 크기 및 화면의 가로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M×N)라도 좋다.
(조작부의 구성)
조작부(3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버튼(31), 화상 열람 버튼(32), 줌 버튼(33), 및 모드 전환 버튼(34)을 구비한다.
촬영 버튼(31)은, 촬영 모드에서, 촬상부(40)에서의 촬영을 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화상 열람 버튼(32)은, 화상 열람 모드에서, 표시부(50)에, 촬상 화상 기억부(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줌 버튼(33)은, 표시부(50)에서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의 줌 처리를 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모드 전환 버튼(34)은, 동작 모드를, 촬영 모드와, 화상 열람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특히 단서가 없는 한, 모드 전환 버튼(34)에 의해, 동작 모드가 촬영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의 구성)
제어부(2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취득부(21), 표시 제어부(22), 줌 조작 접수부(23), 물체 위치 판정부(24), 및 줌량 제어부(25)를 구비한다.
화상 취득부(21)는, 촬상부(40)로부터 화상 데이터(P)를 취득한다. 화상 취득부(21)는, 촬상부(40)에서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P)를 계속적으로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데이터(P)를 표시 제어부(22) 및 물체 위치 판정부(24)에 공급한다. 또한 여기서, 촬영 버튼(31)이 조작되면, 화상 취득부(21)는, 촬상부(40)에 촬영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화상 취득부(21)는, 상기 지시에 응하여 촬상부(40)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P)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데이터(P)를, 촬상 화상 기억부(11)에 기억한다.
표시 제어부(22)는, 표시부(50)에서의 화면 표시의 제어를 행한다. 표시 제어부(22)는, 구체적으로는,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P)에 의거하여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 제어부(22)는, 화상 취득부(21)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P)에 줌 처리를 시행한 데이터를 화면 데이터로 한다. 줌 처리는, 광학적인 광학 줌이라도, 화상 데이터 처리에 의거한 디지털 줌이라도 좋다. 디지털 줌에 의한 줌 처리를 행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22)는, 화상 데이터를 줌 량에 따라 확대 처리하면 좋다. 또한, 광학적인 줌에 의한 줌 처리를 행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22)가, 촬상부(40)에 줌 량을 지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지털 줌에 관해 설명한다. 표시 제어부(22)는, 생성한 화면 데이터를 표시부(50)에 공급한다.
줌 조작 접수부(23)는, 줌 버튼(33)에서의 조작(이하, 줌 조작이라고 칭한다)에 응하여 줌 처리를 접수한다. 화상 줌 조작 접수부(23)는, 줌 처리를 접수하면, 줌 처리를 접수한 취지를, 물체 위치 판정부(24), 및 줌량 제어부(25)에 통지한다.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줌 처리가 접수된 때에, 화상 데이터로부터 물체를 검출하고, 화면 사이즈 정보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 사이즈 정보에 의거하여, 검출한 물체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이다.
또한, 물체 위치 판정부(24)가 검출하는 물체는, 표시 영역(D)상의 위치가 특정 가능한 물체라면 특히 제한은 없다.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예를 들면, 인물의 얼굴, 인체, 랜드 마크 등의 물체를 검출 대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물체 검출을 화상 데이터(P)의 화상 해석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여도 좋다. 또한,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유저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검출 대상을 검출 대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검출한 물체 중, 조작부(30)에서의 조작에 의해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것만을, 위치의 판정의 대상으로 하여도 좋다. 유저에 의한 선택은, 촬영 중에 접수하여도, 사전에 접수하여도 상관없다.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판정 결과를 줌량 제어부(25)에 통지한다.
줌량 제어부(25)는, 표시 영역 내·외에서의 물체의 위치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줌 량(또는, 줌 률(率)·줌 속도)을 결정한다. 줌량 제어부(25)는, 결정한 줌 량을 표시 제어부(22)에 공급한다.
(화상 촬상 장치의 줌 처리의 개요)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2는,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와, 그래프의 각 점에서의 표시부(50)의 표시에 관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줌 조작의 조작량을 횡축으로 하고, 줌 량을 종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그래프의 횡축은 시간축으로 생각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줌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간으로 생각하여도 좋다.
도 2는, 줌 조작의 조작량이 T0, T(X1), 및 T(X2)일 때, 표시부(50)에서의 화면 표시(D)가 각각 상태(OP1), 상태(OP2), 및 상태(OP3)로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태(OP1)는, 줌 처리를 행하기 전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부(50)의 사각형의 표시 영역(D)에는, 촬상부(4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P)가 화면 데이터로서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표시 영역(D)을 가로가 길다란 장방형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영역(D)의 애스펙트비로서는 임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표시 영역(D)에 표시되는 화면 데이터(즉, 화상 데이터(P))에는, 인물(M1)과, 랜드 마크(M2)가 포함된다. 인물(M1)과 랜드 마크(M2)란, 물체 위치 판정부(24)에서의 물체 검출 처리에 의해 검출되어 있고, 인물(M1)과 랜드 마크(M2)에는, 각각, 검출된 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검출 물체 영역(검출테두리라고 칭하여도 좋다)(R1 및 R2)가 설정된다. 검출 물체 영역(R1 및 R2)은, 각각, 예시적으로, 물체를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물체의 윤곽을 검출하여, 검출한 윤곽을 당해 물체의 검출 물체 영역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초기 상태에서, 조작량(T0)=0에서는, 줌 량도 0이다.
상태(OP1)에서, 줌 버튼(33)을 조작량(T(X1))만큼 조작함으로써 상태(OP2)로 천이한다. 상태(OP2)에서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이, 줌 처리에 의해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에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태(OP2)에서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좌변과 상변이, 각각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좌변의 일부와 상변의 일부에 거의 겹쳐져 있다. 줌 처리의 조작량(T0으로부터 T(X1))에 걸쳐서 증가함에 따라,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은,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에 근접한다.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이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에 근접함에 따라, 화상 촬상 장치(1)는 단위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증가량(줌 속도 ; 그래프의 기울기)을 서서히 저감시킨다.
결과로서, 도 2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이 T0로부터 일정량 증가하면, T(X1)에 걸쳐서 단위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증가량은 서서히 저감한다. T(X1)부근에서는, 줌 속도는 개략 제로로 되어 있다. 또한, 줌 속도를 제로로 설정하고, 줌 처리를 정지시켜서도 상관없다.
또한, 있는 물체가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에 근접함으로써 줌 처리를 정지한 경우, 도 2의 상태(OP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 처리의 정지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지(「Stop」)를 당해 물체에 부수(付隨)하여 화면 영역상에서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줌 속도의 감속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줌 속도의 감속"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지를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이상에서는, 화상 촬상 장치(1)가 줌 속도의 변화량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의 위치 관계에 응하여,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부터, 당해 통상의 줌 속도보다도 저속의 저속 줌 속도로 전환하여도 상관없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태(OP2)로부터, 줌 버튼(33)을 조작량T(X2)까지 조작하면 상태(OP3)로 천이한다. 상태(OP3)에서는, 인물(M1)의 검출 물체 영역(R1)의 상변과 우변이, 각각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우변의 일부와 상변의 일부와 거의 겹쳐져 있다.
T(X1) 이후,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좌변과 상변이 표시 영역(D)으로부터 프레임 아웃하면, 서서히 줌 속도가 증대한다. 결과로서, 도 2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이 T(X1)로부터 일정량까지는, 조작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서서히 줌 속도가 증대한다. 더욱 조작량을 늘리면 줌 속도(즉, 그래프의 기울기)는 일정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줌 속도는, 원래의 줌 속도로 되돌아와 있어도 좋고, 원래의 줌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도, 작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또한, 인물(M1)의 검출 물체 영역(R1)의 상변과 우변이,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에 근접함에 따라, 줌 속도는, 저감하여 T(X2) 부근에서 개략 제로가 된다. 결과로서, 도 2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이, T(X2)에 근접하면, 줌 속도는, 저감하여 T(X2) 부근에서 개략 제로가 된다. 즉, 다시 T(X2) 이후는, 조작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서서히 줌 속도가 증대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로, 검출 물체 영역(R1)의 상변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과의 위치 관계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4변 중, 상변뿐만 아니라, 좌변, 우변, 및 하변에 관해 판정하여도 좋다.
또한,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 검출 물체 영역(R1)과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변에 관해 위치 관계를 판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물체가 검출되어 있을 때는, 물체마다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여도 좋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각 실시예에 관해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1)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보다 상세한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줌 속도와 저속 줌 속도를 전환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의 위치 관계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조작량에 대한 줌 량의 관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5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의 위치 관계에 관해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줌 조작 중에, 검출 물체 영역이,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줌 속도를 저속 줌 속도로 전환한다(감속). 또한, 더한층의 줌 조작 중에, 검출 물체 영역이, 소정의 거리 이상,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로부터 프레임 아웃한 경우,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전환한다(가속). 또한, 더한층의 줌 조작 중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전환하여도 좋다(가속).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위치 관계를,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초기 상태로 하고,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과의 위치 관계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 영역(D)의 좌표계는, 좌상(左上)을 원점(0, 0)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에 대한,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의 수직 방향의 위치를 L로 한다. 환언하면, L의 크기는,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과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과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보다도 상방의 영역은, 부(負)의 부호를 붙여서 위치를 나타낸다. 이 경우, L은 부의 값이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임계치(th1(>0) 및 th2(<0))는, 줌 처리의 감속/가속을 행하는 위치 관계의 판정 기준을 규정하는 것이다. 또한, 임계치(th1 및 th2)의 한쪽은, 0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이상은 설명의 편리를 위한 것이고,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원점, 및 좌표계, 위치의 표현은 임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줌 조작이 시작되면, 조작량의 증가에 따라, 줌 처리에 의해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이 접근한다. 즉, 조작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도 3에 도시하는 L은 짧아져 간다. 여기서, L>th1이면,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 아니라고 판정한다. 이에 응하여,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T0 내지 T1)의 구간에서는,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
다시,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져서, 조작량이 T1이 되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h1이 된다. 그리고, 또한 L<th1이 되었을 때,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라고 판정한다. 이에 응하여,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저속 줌 속도로 한다.
또한, T0-T1의 구간은, "L≤th1"로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경계치가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다시,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지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0이 된다. 이 때,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이 맞겹친다. 또한,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지면,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 부근은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밖으로 프레임 아웃하기 시작한다(L은 부의 표현으로 된다).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th2<L<0이면,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밖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라고 판정한다. 이에 응하여,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저속 줌 속도로 한다.
이상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T1 내지 T2)(th2<L<th1)의 구간에서는, 저속 줌 속도로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
조작량이 T2보다 커져서,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h2(<0)가 되면,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밖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 아니라고 판정한다. 이에 응하여,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T2∼)의 구간에서는,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감속 시작(환언하면, 저속 줌 속도로의 줌 처리 시작)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전환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검출 물체 영역(R2)이 표시 영역부터 소정량만큼 밖으로 프레임 아웃하고 있고, 또한, 감속 시작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전환하여도 상관없다.
(줌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1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예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화상 촬상 장치(1)에서 줌 조작이 시작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S101). 즉, 줌 조작 접수부(23)가, 줌 조작의 유무를 판정한다. 줌 조작이 시작되지 않은 경우(S101에서 NO), 줌 조작 접수부(23)는, 줌 조작이 시작되는 것을 대기한다.
다음에, 줌 조작이 시작되었으면(S101에서 YES), 물체 위치 판정부(24)가, 화상 데이터에 대해 물체 검출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검출 물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2). 검출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02에서 NO),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S112). 또한, 유저가 조작을 중지하지 않는 한(S113에서 NO인 경우), S112에서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줌이, 줌할 수 있는 범위의 한계에 달한 경우, 처리는 종료한다. 이하에서, 마찬가지이다.
화상 데이터에서 검출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S102에서 YES), 물체 위치 판정부(24)가, 대상이 되는 검출 물체의 위치를 판정한다(S103). 그리고, 물체 위치 판정부(24)가 표시 화면 내에서의 검출 물체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S104에서 NO), 화상 촬상 장치(1)는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를 행한다(S110). 또한, 유저가 조작을 중지하지 않는 한(S111에서 NO인 경우), 검출 물체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라고 판정될 때까지, S110에서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물체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의 위치에 있는 경우(S104에서 YES), 화상 촬상 장치(1)는 저속으로 줌 처리를 행한다(S105). 구체적으로는, 줌량 제어부(25)가, 줌 속도를 저속 줌 속도로 설정하고, 표시 제어부(22)가 설정된 저속 줌 속도에 의거하여 줌 처리를 시행하여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줌량 제어부(25)는, 감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6). 또한, 감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S106에서 NO),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검출 물체가 표시 영역 밖으로 소정량만큼 프레임 아웃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7).
여기서, 감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S106에서 YES), 또는, 검출 물체가 표시 영역 밖으로 소정량 만큼 프레임 아웃하고 있는 경우(S107에서 YES), 화상 촬상 장치(1)는 통상의 속도로 줌 처리를 행한다(S108). 구체적으로는, 줌량 제어부(25)가,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설정하고, 표시 제어부(22)가 설정된 통상의 줌 속도에 의거하여 줌 처리를 시행하여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유저가 조작을 중지하지 않는 한(S114에서 NO인 경우), S108에서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검출 물체가 표시 영역 밖으로 소정량만큼 프레임 아웃하지 않은 경우(S107에서 NO), 줌 조작 접수부(23)가,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9).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고 있는 경우(S109에서 YES)는,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지 않은 경우(S109에서 NO)는 S105로 되돌아와 저속으로의 줌 처리가 계속해서 행하여진다.
(실시예 2)
다음에, 도 7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속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줌 조작 중에, 검출 물체 영역이,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속한다. 또한, 더한층의 줌 조작 중에, 검출 물체 영역이, 소정의 거리 이상,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로부터 프레임 아웃한 경우, 줌 속도를 서서히 가속한다. 또한, 더한층의 줌 조작 중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줌 속도를 서서히 가속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3, 5도 참조하여,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의 위치 관계에 관해 설명한다.
줌 조작이 시작되면, 조작량의 증가에 따라, 줌 처리에 의해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이 접근한다. 즉, 조작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도 3에 도시하는 L은 짧아져 간다. 여기서, L>th1이면,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 아니라고 판정한다. 이에 응하여,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T0 내지 T1)의 구간에서는,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져서, 조작량이 T1이 되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h1이 된다. 더욱,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져서, 조작량이 Tx가 되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0이 된다. 이 때,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이 맞겹친다. 0≤L<th1에서, (즉, 조작량(T1부터 Tx)의 구간에서),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라고 판정한다. 이 구간에서,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부터, 저속 줌 속도가 될 때 까지 서서히 감속시킨다.
도 5의 (b)에 도시하는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이 맞겹친 상태로부터, 더욱,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짐으로써 L이 임계치(th2)보다 작아질 때까지는(즉, th2<L≤0 ; 조작량(Tx부터 T2)의 구간),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밖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라고 판정한다. 이 구간에서는,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가 될 때까지 서서히 가속시킨다.
또한, 조작량이 T2보다 커져서,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h2(<0)가 되면,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위치가 표시 영역 외의 바깥테두리 부근이 아닌 위치까지 프레임 아웃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에 응하여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유지한다.
또한, 감속 시작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는, 줌량 제어부(25)는, L≤0이 되기 전에, 가속을 시작하여도 좋다.
(줌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예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S201, S202, S210, 및 S211은, 각각, 도 6에 도시하는 S101, S102, S112, 및 S113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S202에서 YES인 경우, 물체 위치 판정부(24)가, 대상이 되는 검출 물체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4). 물체 위치 판정부(24)가 표시 화면 내에서의 검출 물체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S204에서 NO), 화상 촬상 장치(1)는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를 행한다(S212). 또한, 유저가 조작을 중지하지 않는 한(S213에서 NO인 경우), 검출 물체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라고 판정될 때까지, S212에서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물체가 바깥테두리 부근의 위치에 있는 경우(S204에서 YES),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또한, L≤0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5).
물체 위치 판정부(24)에서의 판정 결과가 L≤0이 아닌 경우(S205에서 NO), 줌량 제어부(25)는 감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6). 감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S206에서 YES),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서서히 가속시킨다(S207). 여기서,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가 될 때 까지 서서히 가속시켜도 좋다.
한편, 감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S206에서 NO), 줌량 제어부(25)가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속시킨다(S208). 여기서,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저속 줌 속도가 될 때 까지 서서히 감속시켜도 좋다. 계속해서, 줌 조작 접수부(23)가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9).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고 있는 경우(S209에서 YES),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지 않은 경우(S209에서 NO)는 S205로 되돌아와 줌 처리가 계속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S205 내지 S209의 처리를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물체 위치 판정부(24)에서의 판정 결과가 L≤0으로 된 경우(S205에서 YES), 물체 위치 판정부(24)가 L<th2로 되어 있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14).
L<th2로 되지 않은 경우(S214에서 NO), S207이 실행된다. S207은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L<th2로 되어 있는 경우(S214에서 YES), 화상 촬상 장치(1)에서, 통상의 줌 속도에 의거하여 줌 처리가 실행된다(S215). 또한, 유저가 조작을 중지하지 않는 한(S216에서 NO인 경우), S215에서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실시예 3)
다음에,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줌을 정지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줌 조작 중에, 검출 물체 영역이,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줌을 정지한다(환언하면, 줌 속도를 0으로 한다). 또한, 줌 정지중에 더한 층의 줌 조작이 행하여지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줌 속도를 원래로 되돌린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3, 5도 참조하여,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의 위치 관계에 관해 설명한다.
줌 조작이 시작되면, 조작량의 증가에 따라, 줌 처리에 의해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이 접근한다. 즉, 조작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도 3에 도시하는 L은 짧아져 간다. 여기서, L>th1이면,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 아니라고 판정한다. 이에 응하여,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T0 내지 T1)의 구간에서는,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져서, 조작량이 T1이 되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h1이 된다.
또한,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짐으로써, L≤th1이 되면,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라고 판정한다. 이에 응하여,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0"으로 한다. 이에 의해, 줌 처리는 정지한다.
또한,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진 경우, 줌량 제어부(25)는, 줌 처리가 정지한 때부터 소정의 시간(th_t)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줌 처리가 정지한 때부터 소정의 시간(th_t)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즉, 정지시간≤th_t),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0"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줌 처리가 정지한 때부터 소정의 시간(th_t)이 경과할 때까지의 조작량(T1 내지 T3)의 동안, 줌 처리는 정지한다.
한편, 줌 처리가 정지한 때부터 소정의 시간(th_t)이 경과한 경우(즉, 정지시간>th_t),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되돌린다. 따라서, 줌 처리가 정지한 때부터 소정의 시간(th_t)이 경과한 후의 조작량(T3) 이후에는,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
(줌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10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3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예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S301, S302, S309, 및 S310은, 각각, 도 6에 도시하는 S101, S102, S112 및 S113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S303에서, 물체 위치 판정부(24)가, 대상이 되는 검출 물체의 위치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의 검출 물체 영역의 위치가 임계치 이하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환언하면,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표시 화면 내에서의 검출 물체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의 검출 물체 영역의 위치가 임계치 이하가 아닌 경우(S304에서 NO), 화상 촬상 장치(1)는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를 행한다(S311). 또한, 유저가 조작을 중지하지 않는 한(S312에서 NO인 경우), 검출 물체 영역의 위치가 임계치 이하라고 판정될 때까지, S311에서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S311에 관해서는 S110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의 검출 물체 영역의 위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S304에서 YES),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0"으로 한다. 이에 의해, 줌 처리는 정지한다(S305).
다음에, 줌량 제어부(25)는, 감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6). 감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S306에서 YES),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한다(S307). 또한, 유저가 조작을 중지하지 않는 한(S313에서 NO인 경우), S307에서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한편, 감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S306에서 NO), 줌 조작 접수부(23)가,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8).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고 있는 경우(S308에서 YES),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지 않은 경우(S308에서 NO)는 S305로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화상 촬상 장치(1)에서는, 줌 조작이 행하여져도, 줌 처리가 정지한 상태로 된다.
(실시예 4)
다음에, 도 11, 도 12를 이용하여,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속하여 정지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줌 조작 중에, 검출 물체 영역이,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속한다. 또한, 더한층의 줌 조작에 의해, 검출 물체 영역이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부근까지 또한 근접한 때, 줌 속도를 "0"으로 하여 줌 처리를 정지시킨다. 또한, 줌 속도의 감속률은,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부근까지 더욱 근접한 때, 줌 속도를 "0"가 되도록 조정하면 좋다.
또한, 줌 정지중에, 더한층의 줌 조작이 행하여지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줌 속도를 서서히 가속한다. 또한, 더한층의 줌 조작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든지 또는, 검출 물체 영역이 소정의 거리 이상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로부터 프레임 아웃할 때까지 줌 속도를 원래로 되돌린다. 또한, 줌 속도의 가속률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든지, 또는 검출 물체 영역이 소정의 거리 이상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로부터 프레임 아웃할 때까지 줌 속도가 원래대로 돌아오도록 조정하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3, 5도 참조하여,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의 위치 관계에 관해 설명한다.
줌 조작이 시작되면, 조작량의 증가에 따라, 줌 처리에 의해 검출 물체 영역(R2)의 상변과,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의 상변이 접근한다. 즉, 조작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도 3에 도시하는 L은 짧아져 간다. 여기서, L>th1이면, 물체 위치 판정부(24)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위치가 바깥테두리 부근이 아니라고 판정한다. 이에 응하여,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통상의 줌 속도로 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T10 내지 T11)의 구간에서는, 통상의 줌 속도로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져서, 조작량이 T11이 되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h1이 된다.
또한, 줌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져서, 임계치(th1)보다도 작은 다른 임계치(th1'(th1'<th1 ; th1'≥0이라도 좋다))에 대해, L=th1'이 될 때 까지, 줌량 제어부(25)는, 서서히 줌 속도를 감속시킨다. 즉, th1'<L≤th1이면,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속시킨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량(T11 내지 T12)의 구간에서는, 서서히 줌 속도가 감속되고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
조작량이 T12가 되면, L=th1'이 된다.
또한, 조작량이 T12 이상이 되고, L<th1'이 되면, 이 구간에서,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제로로 한다. 이에 의해, 줌 처리는 정지한다.
줌량 제어부(25)는, 줌 처리가 정지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th_t1)이 경과할 때까지, 줌 속도를 제로로 유지한다. 따라서, 조작량(T12 내지 T13)의 사이는, 줌 처리는 정지한다.
줌 처리가 정지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th_t1)이 경과하면,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서서히 가속시킨다. 그리고,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틀으로부터 소정의 거리(th2) 이상 떨어지든지, 또는, 줌 처리가 정지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th_t2)이 경과할 때까지,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원래의 통상의 줌 속도로 되돌린다.
따라서, 조작량(T13 내지 T14)의 동안에서, 줌 속도가 서서히 가속되고, 조작량(T14)을 초과한 곳에서, 줌 속도가 통상의 줌 속도로 되돌아온다.
(줌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12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 4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예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S401 내지 S404, S411, S412, S413, 및 S414는, 은, 각각, 도 6에 도시하는 S101 내지 S104, S112, S113, S110, 및 S11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물체가 바깥테두리 부근의 위치에 있는 경우(S404에서 YES), 줌 조작 접수부(23)가,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05).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고 있는 경우(S405에서 YES),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유저가 줌 조작을 중지하지 않은 경우(S405에서 NO), 줌량 제어부(25)는, 줌 정지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06).
줌 정지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S406에서 NO), 물체 위치 판정부(24)가, L≤th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08).
L>th1'일 때(S408에서 NO), 줌량 제어부(25)가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속시켜서(S409) 처리는 S405로 되돌아온다.
한편, L≤th1'일 때(S408에서 YES), 줌량 제어부(25)가 줌 속도를 제로로 하고 (즉, 줌을 정지하고)(S410) 처리는 S405로 되돌아온다.
그 후, 줌 정지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S406에서 YES), 줌량 제어부(25)가, 줌 속도를, 서서히 가속시킨다(S407). 구체적으로는, 랜드 마크(M2)의 검출 물체 영역(R2)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거리(th2) 이상 떨어지든지, 또는, 소정의 시간(th_t2)이 경과할 때까지,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서서히 가속시켜서 줌 속도를 원래의 통상의 줌 속도로 되돌린다. 이에 의해 처리는 종료한다.
(변형예)
이상의 설명에서는 촬영 모드에서의 줌 처리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열람 모드의 화상 열람 기능에서도 이상에 설명한 줌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화상 열람 기능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의 화상 촬상 장치(1)에서도 상기 줌 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용·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는, 표시부(50)의 표시 영역(D)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촬상 장치(1)로서,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표시부(50)의 표시 영역(D)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물체 위치 판정(24)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량을 변경하는 줌량 제어부(25)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물체의 위치에 응한, 적정한 줌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 설명하는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단계식의 줌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2)에 관해 설명한다. 화상 표시 장치(2)는, 구체적으로는, 화상 열람 기능을 갖는 정보 단말(노트형 PC, 태블릿형 PC, 스마트 폰)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화상 촬상 장치(1)의 화상 열람 모드가, 이하에 설명하는 화상 표시 장치(2)에 의해 실현되어 있어도 좋다. 화상 열람 기능에서의 화상 표시는, 전화면(全畵面) 표시의 형식이라도 좋고, 윈도우 표시의 형식이라도 좋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윈도우 표시의 형식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2)는, 기억부(10), 제어부(20B), 조작부(30B), 표시부(50B)를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에서, 제어부(20), 및 조작부(30)를, 각각, 제어부(20B), 및 조작부(30B)에서 변경함과 함께, 촬상부(40)를 제거한 것이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에 설명되지 않은, 제어부(20B), 조작부(30B), 표시부(50)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20B)는, 화상 촬상 장치(1)에서의 제어부(20)에서, 물체 위치 판정부(24), 및 줌량 제어부(25)를, 각각, 물체 위치 판정부(24B), 및 줌량 제어부(25B)로 변경함과 함께, 조작 제어부(26)를 추가한 것이다. 제어부(20B)에 관해서는, 이들 이외의 부재는 제어부(20)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 제어부(26), 물체 위치 판정부(24B) 및 줌량 제어부(25B)의 상세에 관해서는 잠시 후에 설명한다.
조작부(30B)는, 유저로부터 각종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입력용 버튼, 키보드, 텐 키,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터치 패널, 그 밖의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조작부(30)는 접수한 유저의 조작에 따르고 조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데이터를 제어부(20B)에 송신한다.
또한, 기억부(10)의 화면 사이즈 정보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 사이즈 정보는, 윈도우에서 표시 영역(Q)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라고 한다. 또한, 표시부(50)의 표시 영역(D)에서는, 그 전체 또는 일부에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가 표시된다.
(제어부의 구성)
이하, 제어부(20B)가 구비하는 조작 제어부(26), 물체 위치 판정부(24B), 및 줌량 제어부(25B)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조작 제어부(26)는, 조작부(30B)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데이터에 의거하여, 입력된 조작을 검출한다. 또한, 조작부(30B)에서 검출된 조작에 응한 제어를 실행하다. 또한, 조작 제어부(26)는, 예를 들면, 키보드에서 압하된 키, 마우스, 터치 패널에서 포인트된 위치, GUI 부품의 종류에 응하여 상기 조작의 검출을 행할 수가 있다.
조작 제어부(26)는, 화상 판독 조작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 화상 취득부(21)에 화상을 취득하도록 지시한다. 화상 판독 조작은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에 의해, 유저가 화상 열람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지정하는 조작이다.
또한, 조작 제어부(26)는, 줌 조작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 줌 조작 접수부(23)에, 줌 처리를 접수하도록 지시한다. 줌 조작이란, 예를 들면, 화면상에 표시되는 줌 버튼을 마우스 등에 의해 유저가 압하하는 조작이다.
물체 위치 판정부(24B)는, 줌 처리가 접수된 때에, 화상 데이터로부터 물체를 검출하고, 화면 사이즈 정보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 사이즈 정보에 의거하여, 줌 처리 후의 물체가 표시 영역(Q) 내에 머무르는지, 또는 표시 영역(Q)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줌량 제어부(25B)는, 표시 영역(Q) 내에서의 물체의 위치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줌 배율(또는, 줌 량·줌 속도)을 결정한다. 줌량 제어부(25)는, 결정한 줌 배율을 표시 제어부(22)에 공급한다.
또한, 줌량 제어부(25B)가 결정한 줌 배율에는, 미리 설정된 통상 줌 배율과, 통상 줌 배율을 조정한 조정 줌 배율이 있다.
조정 줌 배율은, 예를 들면, 통상 줌 배율로 줌 처리를 행하면, 검출 물체가 표시 영역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에, 검출 물체가 표시 영역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을 정도로 조정됨으로써 얻어진다.
(단계식(段階式) 줌 처리의 개요)
다음에, 도 14를 이용하여, 화상 표시 장치(2)에서의 단계식 줌의 개요에 관해 설명한다. 화상 표시 장치(2)에서는,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 조작을 검출할 때마다, 줌량 제어부(25B)가 결정한 줌 배율로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
상태(OP1)는, 줌 처리를 행하기 전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윈도우의 표시 영역(Q)에는, 판독된 화상 데이터(P)가 표시된다. 화상 데이터(P)에는, 인물(M1)이 포함된다. 인물(M1)은, 물체 위치 판정부(24)에서의 물체 검출에 의해 검출되어 있고, 인물(M1)에는, 검출된 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검출 물체 영역(R1)이 설정된다.
또한, 표시 영역(Q)에는, 줌 인 버튼(B1)과, 줌 아웃 버튼(B2)이 오버랩하여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줌 인 버튼(B1) 및 줌 아웃 버튼(B2)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고, 표시 영역(Q)뿐만 아니라 표시부(50)의 표시 영역(D)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태(OP1)에서, 줌 인 버튼(B1)이 1회 눌러지면, 줌 처리가 실행되어, 화상 데이터(P)가 25% 확대된다. 이에 의해 상태(OP2)로 천이한다.
가령, 상태(OP2)에서, 다시, 줌 인 버튼(B1)이 1회 압하된 때에, 줌 처리에서, 화상 데이터(P)가 25% 확대되었다고 하면, 상태(OP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물(M1)의 상방이 표시 영역(Q)으로부터 비어져 나온다.
화상 표시 장치(2)에서는, 상태(OP2)에서의 줌 인 버튼(B1)이 1회 압하된 경우, 인물(M1)의 상방이 표시 영역(Q)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검출 물체가 표시 영역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 줌 배율(X)를 계산한다.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2)가 계산한 줌 배율(X)에 의거하여 줌 처리를 행하면, 상태(OP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상태(OP3)에서는, 줌 배율(X)에 의거한 줌 처리에 의해, 인물(M1)의 검출 물체 영역(R1)의 상변이, 표시 영역(Q)의 상변에 근접하여 있다.
상태(OP3)에서, 또한 줌 인 버튼(B1)이 1회 압하된 경우, 화상 표시 장치(2)는, 25%의 줌 배율로 줌 처리를 행하여도 좋고, (25-X)%의 줌 배율로 줌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화상 표시 장치(2)가, (25-X)%의 줌 배율로 줌 처리를 행하는 경우, 상태(OP4)로 천이한다.
(줌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1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2)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2)의 줌 처리의 흐름에 관해 예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화상 표시 장치(2)에서의 줌 조작을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1). 즉, 줌 조작 접수부(23)가 조작 제어부(26)에서의 줌 조작이 검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줌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501에서 NO),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줌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S501에서 YES), 물체 위치 판정부(24B)가, 화상 데이터에 대해 물체 검출 처리를 행하여 검출 물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2).
검출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502에서 NO), 줌량 제어부(25B)는, 통상 줌 배율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2)는 통상 줌 배율로 줌 처리를 행한다(S509).
검출 물체가 존재한 경우(S502에서 YES), 줌량 제어부(25B)가, 전회의 줌 처리에서 줌 배율을 조정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7).
전회의 줌 처리에서 줌 배율을 조정한 경우(S507에서 YES), 줌량 제어부(25B)가, 전회의 줌 배율으로부터 금회의 줌 처리에서의 조정 줌 배율을 계산한다(S508). 그리고, 계산된 조정 줌 배율에 의거하여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S506). S508에서는, 예를 들면, 통상 줌 배율이 25%이고, 전회의 줌 배율이 X인 때, 줌량 제어부(25B)가 25%-X를 계산한다.
전회의 줌 처리에서 줌 배율을 조정하지 않은 경우(S507에서 NO), 물체 위치 판정부(24B)가, 대상이 되는 검출 물체가 줌 처리 후에 표시 영역(Q) 내로부터 비어져 나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3).
대상이 되는 검출 물체가 줌 처리 후에 표시 영역(Q)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S504에서 YES), 줌량 제어부(25B)는, 줌 처리 후, 검출 물체가 표시 영역(Q)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 줌 량을 계산하고, 당해 계산한 줌 량에 의거하여 조정 줌 배율을 계산한다(S505). 그리고, 계산된 조정 줌 배율에 의거하여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S506).
한편, 대상이 되는 검출 물체가 줌 처리 후에 표시 영역(Q)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 경우(S504에서 NO), 줌량 제어부(25B)는, 줌 배율을, 통상 줌 배율로고 한다. 그리고, 통상 줌 배율에 의거하여 줌 처리가 행하여진다(S509).
(작용·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2)는, 표시부(50)의 표시 영역(Q)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2)로서,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표시부(50)의 표시 영역(Q)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물체 위치 판정(24B)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량을 변경하는 줌량 제어부(25B)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표시 영역에서의 구도에 맞추어서 줌 처리를 제어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A)에 관해 설명한다. 화상 촬상 장치(1A)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에서, 화면 사이즈 정보 기억부(12) 및 물체 위치 판정부(24)를, 각각, 구도 정보 기억부(13) 및 물체 위치 판정부(24A)로 변경한 것이다. 화상 촬상 장치(1A)의 이들 이외의 부재는 화상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구도 정보 기억부(13)에는, 표시부(50)의 표시 영역(D)에서의 구도를 규정한 구도 정보가 기억된다. 구도 정보는, 소정 비율로 표시 영역을 분할한 구도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다. 구도 정보는, 예를 들면, 표시 영역(D)을 3분할법에 의해 분할하여 얻어지는 영역에 관한 정보이다.
3분할법이란, 화면을 9등분하고, 그들의 선상(線上), 또는, 선 사이의 교점상에 구도상의 중요한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밸런스를 취하는 수법인 것이다.
도 18을 이용하여, 3분할법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표시 영역(D)을 3분할법에 의해 분할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D)은, 수평 방향의 분할선(A11, A12)과, 수직 방향의 분할선(A21, A22)에 의해, 9개의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할된다. 3분할법은, 이 분할선(A11, A12, A21, A22)의 선상 또는 교점상에 검출 물체 영역의 바깥테두리나, 검출 물체의 중심을 배치함에 의해 균정(均整)이 취하여진 구도를 얻는 수법이다.
구도 정보는, 표시 영역(D)을 3분할법에 의해 분할하여 얻어지는 9개의 분할 영역의 위치, 분할선(경계) 및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다.
물체 위치 판정부(24A)는, 줌 처리가 접수된 때에, 화상 데이터로부터 물체를 검출하고, 구도 정보 기억부(13)에 기억되어 있는 구도 정보에 의거하여, 검출한 물체의 표시 영역 내에서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이다. 물체 위치 판정부(24A)는, 검출한 물체의 위치가, 어느 하나의 분할 영역의 바깥테두리에 근접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도 좋다. 또한, 물체 위치 판정부(24A)는, 검출한 물체의 위치가, 분할선(A11, A12, A21, A22)에 근접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도 좋다. 물체 위치 판정부(24A)는, 물체 검출 영역의 바깥테두리를, 물체의 기준으로 하여도 좋고, 검출한 물체(또는 물체 검출 영역)의 중심을, 물체의 위치의 기준으로 하여도 좋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물체 위치 판정부(24A)가, 물체 검출 영역의 중심(重心)을 물체의 위치의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중심(G)이, 인물(M1)의 물체 검출 영역(R1)의 중심이다.
또한, 위치의 판정(예를 들면, 근접하여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한 수법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3분할법을 응용한 줌 처리에 관해)
다음에, 도 17 및 도 18을 이용하여, 3분할법을 응용한 줌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물체 위치 판정부(24A)가, 도 18에 도시하는 인물(M1)의 물체 검출 영역(R1)의 중심(G)의 위치를 판정하는 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인물(M1)의 물체 검출 영역(R1)의 중심(G)이 분할선(A22)의 우측의 영역(3개의 분할 영역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에 존재하고, 줌 조작과 함께, 중심(G)이, 분할선(A22, A21)의 순서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에 걸쳐서 가로지른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줌 처리가 시작되어, 물체 검출 영역(R1)의 중심이, 분할선(A22)에 근접하는 소정의 조작량까지는, 줌량 제어부(25)에 의해 통상의 줌 속도가 설정된다.
물체 검출 영역(R1)의 중심이, 분할선(A22)에 근접하면,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감속시킨다(T21로 나타내는 구간).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물(M1)의 물체 검출 영역(R1)의 중심이, 분할선(A22)에 겹쳐져 있을 때, 줌량 제어부(25)는 소정 시간 줌 속도를 제로로 설정하여도 좋다.
다시, 줌 조작이 행하여짐에 의해, 인물(M1)의 물체 검출 영역(R1)의 중심이 분할선(A2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멀어지면,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가속시킨다.
또한, 더욱 줌 조작이 행하여짐으로써, 인물(M1)의 물체 검출 영역(R1)의 중심이, 분할선(A21)에 근접하면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감속시킨다(T22로 나타내는 구간).
또한, 더욱, 줌 조작이 행하여짐에 의해, 인물(M1)의 물체 검출 영역(R1)의 중심이 분할선(A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멀어지면 줌량 제어부(25)는 줌 속도를 가속시킨다.
또한, 이상에 나타낸 줌량 제어부(25)에 의한 줌 속도의 가속·감속은 지금까지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작용·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촬상 장치(1A)는, 표시부(50)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촬상 장치(1A)로서, 상기 표시부(50)의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경계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물체 위치 판정부(24A)와,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량을 변경하는 줌량 제어부(25)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물체의 위치에 응한, 적정한 줌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현예]
화상 촬상 장치(1, 1A), 화상 표시 장치(2)의 제어 블록은, 집적 회로(IC 칩)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후자의 경우, 화상 촬상 장치(1, 1A), 화상 표시 장치(2)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컴퓨터(또는 CPU)에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ROM(Read Only Memory) 또는 기억 장치(이들을 「기록 매체」라고 칭한다),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또는 CPU)가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 예를 들면,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논리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그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입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라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표시 화상의 줌 처리를 행하는 장치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카메라 부착의 정보 단말(노트형 PC, 태블릿형 PC, 스마트 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열람 기능을 갖는 정보 단말(노트형 PC, 태블릿형 PC, 스마트 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1A : 화상 촬상 장치(화상 표시 장치, 화상 촬상 기기)
2 : 화상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10 : 기억부
11 : 촬상 화상 기억부
12 : 화면 사이즈 정보 기억부
13 : 구도 정보 기억부
20 : 제어부
24 : 물체 위치 판정부(위치 특정 수단, 위치 특정 수단, 분할 수단)
25 : 줌량 제어부(줌 속도 변경 수단, 경과 시간 판정 수단)
30 : 조작부
40 : 촬상부
50 : 표시부

Claims (15)

  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수단과,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수단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정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로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가 근접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가 근접하여 있는 경우,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가 근접하여 있는 경우, 상기 줌 속도를, 보다 저속의 소정의 줌 속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소정의 기간, 상기 줌 속도를 제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소정의 줌 속도에 의해 줌 표시를 행한 경우에, 상기 물체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비어져 나올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줌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정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로서,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상기 물체의 위치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로부터 상기 물체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줌 속도가 감소된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과 시간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줌 속도 변경 수단은, 줌 속도가 감소된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판정 수단은, 또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서의 상기 물체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과,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수단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경계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수단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스텝과,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스텝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스텝과,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스텝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경계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스텝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3.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스텝과,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테두리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스텝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4.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줌 표시하는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표시 영역을 소정의 구도로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스텝과,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스텝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경계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스텝과,
    판정된 위치 관계에 응하여, 상기 줌 표시에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속도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5.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에서 얻어지는 화상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상 기기.
KR1020140032562A 2013-04-15 2014-03-20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70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5138 2013-04-15
JP2013085138A JP6107354B2 (ja) 2013-04-15 2013-04-15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898A true KR20140123898A (ko) 2014-10-23
KR101570289B1 KR101570289B1 (ko) 2015-11-18

Family

ID=5034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562A KR101570289B1 (ko) 2013-04-15 2014-03-20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21813B2 (ko)
EP (1) EP2797307B1 (ko)
JP (1) JP6107354B2 (ko)
KR (1) KR101570289B1 (ko)
CN (1) CN1041048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6395B2 (ja) * 2014-07-16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制御装置、撮像装置、ズーム制御装置の制御方法、被写体検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6436761B2 (ja) 2014-12-24 2018-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制御装置、撮像装置、ズーム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ズーム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90102948A1 (en) * 2016-05-17 2019-04-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7608751A (zh) * 2017-09-14 2018-01-19 光锐恒宇(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在应用中显示图像的方法和装置
JP2021129178A (ja) * 2020-02-12 2021-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222065B (zh) * 2021-12-20 2024-03-08 北京奕斯伟计算技术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313A (ja) 1996-07-08 1998-01-23 Hitachi Ltd 撮像装置
US20050041111A1 (en) * 2003-07-31 2005-02-24 Miki Matsuoka Frame adjustment device and image-tak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JP2005308836A (ja) 2004-04-16 2005-11-04 Ricoh Co Ltd 撮像装置
US7917935B2 (en) * 2004-10-01 2011-03-29 Logitech Europe S.A. Mechanical pan, tilt and zoom in a webcam
JP5355238B2 (ja) * 2009-06-11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446546B2 (ja) 2009-07-28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撮像システム
JP5381486B2 (ja) * 2009-08-13 2014-01-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方法
JP2011166306A (ja) 2010-02-05 2011-08-25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JP2011188172A (ja) * 2010-03-08 2011-09-22 Panasonic Corp 撮像装置
JP5539045B2 (ja) 2010-06-10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記憶媒体
JP2013034167A (ja) * 2011-06-28 2013-02-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53354B2 (ja) * 2013-03-15 2017-06-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機器及び撮影方法
JP6296801B2 (ja) * 2013-07-24 2018-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289B1 (ko) 2015-11-18
JP6107354B2 (ja) 2017-04-05
US20140307147A1 (en) 2014-10-16
US9621813B2 (en) 2017-04-11
CN104104863A (zh) 2014-10-15
CN104104863B (zh) 2017-12-12
JP2014207616A (ja) 2014-10-30
EP2797307B1 (en) 2018-06-13
EP2797307A2 (en) 2014-10-29
EP2797307A3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289B1 (ko)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0341553B2 (en)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US10742888B2 (en)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partial areas and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between
US9036073B2 (en) Imaging apparatus an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focus (AF) area and an enlargement area in a live view
JP5453717B2 (ja) 情報表示装置
US894735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operation i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317971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hotograph from being shielded
EP2763394A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amera apparatus and a camera apparatus
US10171726B2 (en) Image shooting apparatus for setting image shooting condition easily and method thereof
JP201812561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63388A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62477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20033402A (ko) 촬영 방법, 촬영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
RU26358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кадрирования
US1012049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482327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EP4030745A1 (en) A multiple camera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multiple camera system
JP2009224882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186658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6980470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187105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撮影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2017004343A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12054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5706848A (zh) 对焦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