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033A -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033A
KR20140116033A KR1020140033738A KR20140033738A KR20140116033A KR 20140116033 A KR20140116033 A KR 20140116033A KR 1020140033738 A KR1020140033738 A KR 1020140033738A KR 20140033738 A KR20140033738 A KR 20140033738A KR 20140116033 A KR20140116033 A KR 20140116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display
display control
norma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406B1 (ko
Inventor
코이치 나카고메
유이치 오누마타
토모히코 무라카이
요시히로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62Analysis of motion using transform domain methods, e.g. Fourier domain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촬상 장치 1은,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CPU 11과,
취득된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영역을 소정의 기준에 맞게 정규화하는 정규화부 54와,
정규화부 54에 의해 정규화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출력부 19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5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기록 매체{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 평10-304299호 공보(특허문헌1)에는, 따로따로 기록된 복수의 동영상에 대하여, 재생 타이밍을 맞춘(match) 멀티 표시(Multi-display)에 의한 동시 재생을 수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10-304299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단지, 각 동영상의 중앙 영역을 자동적으로 추출해서 멀티 표시에 의한 재생을 수행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각 동영상의 촬영 각도나 위치에 따라서는 멀티 표시를 수행해도 상호를 비교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복수의 이미지를 쉽게 비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의하면,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소정의 기준에 맞도록 정규화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 수단에 의해 정규화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해당 정규화된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표시 제어 장치로 실행되는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소정의 기준에 맞도록 정규화하는 정규화 단계와, 상기 정규화 단계에 의해 정규화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정규화된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컴퓨터가 독출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을 소정의 기준에 맞게 정규화하는 정규화 수단, 및 상기 정규화 수단에 의해 정규화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당해 정규화된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시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촬상 장치의 기능적 구성 중, 이러한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로 표시되는 출력부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태 이미지의 정규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히스토그램의 생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정규화 이미지와 함께 히스토그램을 표시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포함하는 도 1의 촬상 장치가 실행하는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flow chart)이다.
도 8a는, 이미지의 정규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이미지의 정규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이미지의 정규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이미지의 정규화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이미지의 정규화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이미지의 정규화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이미지의 정규화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이미지의 정규화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이미지의 정규화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시 제어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 1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 1은,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로서 구성된다.
촬상 장치 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과, ROM(Read Only Memory) 12와, RAM(Random Access Memory) 13과, 이미지 처리부 14와, 버스 15와, 입출력 인터페이스 16과, 촬상부 17과, 입력부 18과, 출력부 19와, 기억부 20과, 통신부 21과, 드라이브 22를 갖추고 있다.
CPU 11은, ROM 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 20으로부터 RAM 13으로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 13에는, CPU 11이 각종의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기억된다.
이미지 처리부 14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나,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PU 11과 협동(協動)하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각종 이미지 처리를 시행한다.
CPU 11, ROM 12 및 RAM 13은, 버스 15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고 있다. 이 버스 15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16도 접속되고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16에는, 촬상부 17, 입력부 18, 출력부 19, 기억부 20, 통신부 21 및 드라이브 22가 접속되고 있다.
촬상부 17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옵티컬 렌즈(optical lens)부와, 이미지 센서를 갖추고 있다.
옵티컬 렌즈(optical lens)부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 빛을 모으는 렌즈,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된다. 포커스 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는 렌즈다. 줌 렌즈는, 촛점 거리를 일정한 범위에서 자유자재로 변화시키는 렌즈다. 옵티컬 렌즈(optical lens)부에는 또, 필요에 따라, 초점, 노출, 화이트 밸런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가 마련되어진다.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 소자나, AFE(Analog Front End)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에는, 옵티컬 렌즈(optical lens)부에서 피사체상이 입사된다. 거기에서, 광전 변환 소자는,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촬상)해서 이미지 신호를 일정 시간 축적하고, 축적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서 AFE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AFE는, 이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에 대하여,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신호 처리에 의해, 디지털 신호가 생성되어, 촬상부 17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촬상부 17의 출력 신호를, 이하, "촬상 이미지 데이터"라고 부른다. 촬상 이미지 데이터는, CPU 11, RAM 13 및 이미지 처리부 14 등에 공급된다.
입력부 18은,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출력부 19의 표시 화면에 적층되는 터치패널(touch panel)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입력부 18은, 각종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출력부 19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이미지나 음성을 출력한다.
기억부 20은, 하드 디스크 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 21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수행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 22에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을 포함하며, 리무버블(removable) 미디어 31이 장착된다. 드라이브 22에 의해 리무버블 미디어 31로부터 독출된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 20에 인스톨된다. 또한, 리무버블 미디어 31은, 기억부 20에 기억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 20과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기능을 포함하는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촬상 장치 1의 기능적 구성 중에서,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라 함은, 기억되는 복수의 동영상으로부터 선택된 동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이미지를 소정의 사이즈로 조정해서 스윙의 동작마다 순차적으로 표시할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이다. 이미지를 소정의 동작마다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이하에서 "슬라이드 쇼 표시"라고 부른다. 골프의 스윙을 촬영한 동영상을 표시 대상으로 하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스윙의 일련 동작을 상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시간축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슬라이드 쇼 표시를 수행한다.
여기서, "스윙의 일련의 동작"이라 함은, 어드레스, 테이크 백, 톱, 임팩트, 팔로우, 피니시 등의 스윙의 각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이다.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CPU 11에 있어서는, 표시 범위지정부 51과, 이미지 해석부 52와, 이미지 추출부 53과, 정규화부 54와, 히스토그램 생성부 55와, 표시 제어부 56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범위 지정부 51, 이미지 해석부 52, 이미지 추출부 53, 정규화부 54, 히스토그램 생성부 55 및 표시 제어부 56의 각 기능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CPU 11에 탑재되어 있을 필요는 특별히 없으며, 이 각 기능 가운데 적어도 일부를 이미지 처리부 14에 이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억부 20의 한 영역으로서, 동영상 기억부 71과, 정규화 이미지 기억부 72와, 히스토그램 기억부 73이 포함된다.
동영상 기억부 71에는, 촬상부 17로 촬상한 동영상, 통신부 21 등을 통해서 외부에서 취득한 동영상 등의 동영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영상 기억부 71에는, 골프의 스윙을 정면 방향에서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가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동영상 기억부 71에는, 골프의 스윙을 정면 방향에서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로서, 촬영 시간, 촬영 장소, 스윙 대상이 다른 동영상 데이터가 복수 기억된다.
정규화 이미지 기억부 72에는,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상태 이미지를 소정의 규칙으로 보정한 이미지(이하, "정규화 이미지"라고 한다.)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정규화 이미지 기억부 72에는, 구체적으로는, 스윙 대상자 등의 피사체가 동일한 사이즈로 되게 보정된 정규화 이미지 데이터가 기억된다. 또한, 정규화 이미지 기억부 72에는,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스윙 동작이 특정된 정규화 이미지 데이터가 동영상마다 관리되어서 기억된다. 또한, 정규화 이미지 데이터의 헤더에는, 스윙에 관한 각종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스윙의 정보로서는, 헤더 정보에는, 예를 들면, 동영상의 촬영 일시, 스윙 대상자 이름, 클럽의 종류, 클럽의 평균 헤드 스피드, 공 스피드, 스윙의 동작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 정보는, 이미지 해석에 의해 자동적으로 입력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등의 방법으로 부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부가되는 스윙의 정보가 정규화 이미지의 검색에 사용되는 항목이 된다.
히스토그램 기억부 73에는, 동영상을 해석한 결과로서 얻을 수 있는 스윙의 정보나 사용자가 입력한 스윙의 정보에 기초해서 생성된 히스토그램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히스토그램은, 정규화 이미지 기억부 72에 기억되는 정규화 이미지와 대응시켜 기억된다.
표시 범위 지정부 51은, 동영상 기억부 71에 기억되는 모든 동영상 중에서, 슬라이드 쇼 표시의 대상이 되는 동영상(이하, "대상 동영상"이라 한다.)을 지정한다. 표시 범위 지정부 51은, 예를 들면, 촬영 시기, 스윙 대상의 이름, 클럽의 종류마다 대상 동영상을 지정한다. 사용자는, 입력부 18을 거쳐 대상 동영상의 범위 조건을 지정한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범위 지정부 51은, 대상 동영상을 지정한다.
도 3은,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로 표시되는 출력부 19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표시 화면에 있어서는, "비교 동영상 범위 지정"의 필드 100과, "일람 표시"의 필드 101이 포함된다.
"비교 동영상 범위 지정"의 필드 100에는, "일람 표시"의 필드 101에서 표시하는 이미지의 검색 키가 되는 항목이 표시되고, 풀 다운(pull-down) 방식으로 각 항목의 사항이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다.
"촬영 일시"의 항목에서는, 촬영된 일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표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반년 전~"으로 되어, 동영상의 생성 시기가 반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동영상이 선택되고 있다.
"사람 선택"의 항목에서는, 인물 이름으로부터 동영상의 기억 대상이 되는 인물을 선택할 수 있다.
"클럽 지정"의 항목에서는, 사용되고 있는 클럽을 선택할 수 있다. 본 표시 예에서는, "드라이버"가 선택되어 있다.
"상태"의 항목에서는, 스윙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표시 예에서는, "임팩트"가 선택되어 있다. "일람 표시"의 필드 101에 표시되는 동영상의 프레임이 지정된다.
"파라미터"의 항목에서는, 상술한 항목 이외의 동영상의 선택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본 표시 예에서는, 클럽의 헤드 스피드가 빠른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헤드 스피드"를 선택되어 있다. 한편, "파라미터"의 항목은, 히스토그램의 생성에 사용되는 항목이 된다.
또한, "비교 동영상 범위 지정"의 필드 100에는, 상술한 항목으로 동영상을 검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표시"버튼이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표시"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촬영 일시", "사람 선택", "클럽 지정", "상태"의 조건으로 대상 동영상의 지정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각 항목의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대상 동영상이 지정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대상 동영상을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해도 좋다.
또한, "일람 표시"의 필드 101에는, "비교 동영상 범위 지정"의 필드 100에서 지정된 조건으로 검색된 동영상이 복수 표시된다.
본 표시 예에서는, 상술한 항목으로 검색을 한 결과가 3×3인 9개 표시된다. 또, 본 표시 예에서는, "상태"의 항목으로 "임팩트"가 지정되고 있기 때문에, 검색된 동영상 중에서, "임팩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다.
또, 표시되는 순서는, 동영상의 촬영 일시가 오래된 순서로 표시된다. 또한, 표시는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항목에서 선택된 "헤드 스피드"가 빠른 순서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람 표시"의 필드 101에는, "비교 동영상 범위 지정"의 필드 100에서 지정된 항목에 기초한 검색 결과가 되는 동영상이 촬영 일시 순으로 표시됨과 함께, 동영상 중에서 지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프레임이 표시된다.
도 2로 돌아가면, 이미지 해석부 52는, 대상 동영상에 대하여 이미지 해석을 수행하고, 동영상 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스윙 동작을 포함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특정하거나, 동영상에 있어서의 피사체(공이나 스윙 대상자)의 위치를 특정한다.
또한, 이미지의 해석에 관해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스윙에 대해서는, 스윙 대상자의 위치, 공 위치 및 클럽의 위치 변화로부터 특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윙에 대해서는, 스윙 대상자의 위치와 공 위치와 클럽의 천이(遷移)에 의해, 어드레스, 테이크 백, 톱을 특정할 수 있고, 스윙 대상자의 위치와 공의 유무와, 클럽의 천이에 의해 임팩트, 팔로우, 피니시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윙 대상자의 머리의 위치에 대하여는, 주지의 얼굴 인식 기술 등을 이용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공의 위치에 대해서는, 촬영시의 라이브 뷰 표시에 있어서 마크를 표시해서 공을 마크에 맞추는 것으로 공 위치를 한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스윙 대상자의 머리나 공 위치는, 이미지 해석에서 자동적으로 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특정하게 할 수 있다.
이미지 추출부 53은, 표시 범위 지정부 51에 의해 지정된 동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스윙 동작 상태 이미지(이하, "상태 이미지"라고 한다)를 추출한다. 다시 말해, 이미지 추출부 53은, 1개의 동영상으로부터 소정의 동작을 포함하는 상태 이미지를 복수 추출한다.
정규화부 54는, 이미지 추출부 53에 의해 추출된 상태 이미지를 소정의 규칙으로 변경하는 보정(이하, "정규화"라고 한다)을 수행함으로써 정규화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규화부 54는, 임팩트 동작의 상태 이미지를 기준으로 해서, 공 위치와 스윙 대상자의 머리 위치와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가 되도록, 모든 상태 이미지의 사이즈를 정규화한다. 이에 의해, 비교해야 할 이미지들 사이에 있어서는, 카메라로부터 피사체와의 거리 등의 촬영 조건의 편차(차이)나, 스윙 대상자의 체격이 다른 것에 의한 비교의 어려움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미지 사이의 적정한 비교를 위해 보정해야 할 점 이외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되고, 이러한 차이가 사용자에게 인식되기 쉬워진다.
또한, 정규화부 54은, 사이즈를 소정의 규칙으로 변경하는 보정 이외에도, 예를 들면, 이미지를 소정의 규칙으로 변경하는 보정이나 이미지 중의 피사체의 위치를 소정의 규칙으로 변경하는 보정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정규화부 54는, 스윙 대상자에 있어서의 스윙 동작시의 자세를 각 동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상태 이미지로 비교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해서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상태 이미지의 정규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태 이미지의 정규화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태 이미지 p1 및 p2 사이에서 스윙 대상자의 위치가 촬영 위치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촬영 위치가 다른 각 대상 이미지가 동일한 위치, 크기, 각도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4의 예에서는, 일점쇄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각 상태 이미지 p1 및 p2에서 스윙 대상자의 무릎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정규화 처리로서, 스윙 대상자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정규화부 54는, 피사체가 중앙에 위치하고, 또한 공이 보여지는 사이즈로 이미지를 잘라냄으로써 정규화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4에 있어서의 정규화는, 절대적인 기준에 기초해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면, 히스토그램 생성부 55는, 이미지 해석부 52에서의 이미지 해석의 결과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한 스윙의 정보로부터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히스토그램 생성부 55는, 도 3에서 지정된 바 같이, 이미지 해석의 결과 얻을 수 있었던 클럽의 헤드 스피드의 평균치로부터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히스토그램은, 동영상 기억부 71에 기억되는 모든 동영상에 있어서의 클럽의 헤드 스피드의 평균치를 소정의 스피드 단위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고, 정규화 이미지가 속하는 부분은 색깔 구분 등을 수행하여 시각적으로 구분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히스토그램의 생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스토그램 생성부 55는, 대상 동영상의 해석 결과로부터 대상 동영상을 헤드 스피드마다 구분하고, 헤드 스피드 마다의 대상 동영상의 수(빈도)를 히스토그램으로서 표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헤드 스피드를 12단계로 나눈 빈도를 히스토그램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히스토그램에서는, 일반적인 헤드 스피드의 범위를 중심으로 해서, "35m/s"로부터 "50m/s"를 1m/s마다 그 빈도를 막대 그래프의 형식으로 표시하고 있다. 전체 대상 동영상을 대상으로 한 히스토그램에서는, "38m/s"에서 "빈도 1", "39m/s"에서 "빈도 2", "40m/s"에서 "빈도 4", "41m/s"에서 "빈도 5", "42m/s"에서 "빈도 6", "43m/s"에서 "빈도 5", "44m/s"에서 "빈도 7", "45m/s"에서 "빈도 2", "47m/s"에서 "빈도 1"이라고 하는 결과가 표시된다.
도 2로 돌아가면, 표시 제어부 56은, 표시 범위 지정부 51에 의해 지정된 조건에 기초해서 검색된 검색 결과를, 일람 표시하도록 출력부 19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 56은, 도 3의 "비교 동영상 범위 지정"의 필드 100에서 지정된 조건으로 검색된 동영상을, "일람 표시"의 필드 101에 일람 표시하도록 출력부 19를 제어한다.
또, 표시 제어부 56은, 정규화 이미지 기억부 72에 기억되는 지정된 상태의 정규화 이미지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해서 슬라이드 쇼 표시를 하도록 출력부 19를 제어한다. 그때, 표시 제어부 56은, 히스토그램 기억부 73에 기억되는 히스토그램 중에서, 일람 표시된 정규화 이미지에 대응하는 히스토그램을 해당 정규화 이미지와 함께 슬라이드 쇼 표시하도록 출력부 19를 제어한다.
도 6은, 정규화 이미지와 함께 히스토그램을 표시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정규화 이미지의 우하단에 히스토그램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표시되는 히스토그램에 있어서는, 정규화 이미지가 속해 있는 범위의 색을 다르게 해서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되어 있는 정규화 이미지가 대상 동영상 중에서 어느 정도의 평가인가, 다시 말해, 정규화 이미지가 표시하는 스윙의 평가가 전체에서 어느 정도인 것일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고, 이러한 도 2의 기능적 구성의 촬상 장치 1이 실행하는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포함하는 도 1의 촬상 장치 1이 실행하는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flow chart)이다.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 18에 대한 슬라이드 쇼 표시 처리의 시작 조작이 행해진 것을 계기로서 개시된다.
단계 S1에 있어서, 동영상 기억부 71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동영상 중에서 대상 동영상을 지정한다. 표시 범위 지정부 51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시기, 스윙 대상자의 이름, 클럽의 종류마다 대상 동영상을 지정한다. 표시 범위 지정부 51은, 정규화 이미지로서 추출되는 범위를 지정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이미지 해석부 52는, 대상 동영상의 해석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이미지 해석부 52는, 표시 범위 지정부 51에 의해 지정된 대상 동영상을 해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영상을 해석함으로써, 대상 동영상의 클럽 헤드 스피드, 대상 동영상의 공 위치, 대상 동영상의 스윙 대상자의 머리의 위치, 대상 동영상에 있어서의 상태 이미지를 특정한다.
단계 S3에 있어서, 이미지 추출부 53은, 이미지 해석부 52의 해석 결과로부터 상태 이미지를 추출한다. 다시 말해, 이미지 추출부 53은, 대상 동영상 중에서, 스윙 대상자의 동작이 어드레스, 톱, 임팩트, 피니시 등의 동작이 되는 상태 이미지를 추출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정규화부 54는, 추출한 상태 이미지를 정규화한다. 다시 말해, 정규화부 54는, 이미지의 비교가 용이하게 되도록, 크기, 각도, 위치를 일치시키는 보정을 각 상태 이미지에 대하여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정규화부 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태 이미지 중의 스윙 대상자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각 상태 이미지 중의 스윙 대상의 위치가 이미지의 중앙이 되도록 하는 바와 같은 보정을 수행한다.
단계 S5에 있어서, 히스토그램 생성부 55는, 소정의 파라미터의 분산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히스토그램 생성부 55는 각 동영상을 해석한 소정의 파라미터로부터 모든 동영상의 분산을 산출함으로써, 표시 대상이 되는 각 동영상의 상태 이미지의 파라미터가 산출된 분산의 어느 부류에 속할지를 표시하고 있는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단계 S6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56은, 슬라이드 쇼 표시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 표시 제어부 56은, 정규화 이미지를 각 동영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바꿈으로써 슬라이드 쇼 표시를 수행한다. 이에 의해, 출력부 19에서는, 각 이미지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순차 표시된다. 또, 출력부 19에서는, 피사체인 스윙 대상자의 위치나 크기가 일치된 정규화 이미지가 표시되기 때문에, 동작의 차이가 명확해져 촬영 조건이 다른 타 동영상과의 비교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쇼 표시에 있어서는, 표시된 정규화 이미지에 대응되는 히스토그램이 정규화 이미지의 구석에 중첩적으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도 6의 예와 같은 이미지의 구석에 히스토그램을 배치한 것 같은 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쇼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 정규화 이미지에 대응되는 히스토그램이 정규화 이미지의 구석에 중첩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촬영 조건의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스윙의 동작에 의한 차이만을 명확히 하여 표시할 수 있고, 각 상태 이미지의 비교를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의 정규화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이미지 정규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이미지의 정규화는, 예를 들면 스윙 대상의 위치를 중앙으로 하도록 구성했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는 다른 관점에서의 이미지의 정규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의 예에서는, 스윙 대상자의 머리 위치와 공 위치와의 거리를 소정의 거리로 하는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촬영 조건이나 스윙 대상의 체격이 달라도, 양쪽 어깨의 경사, 손목의 위치, 스탠스의 중심 위치, 스탠스의 폭 등의 차이가 더욱 명확하게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 표시를 할 때는, 양쪽 어깨의 경사, 손목의 위치, 스탠스의 중심 위치, 스탠스의 폭 등의 요소로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차이를 강조하고 싶을 경우에는,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적극적으로 잘라내는 보정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자세를 강조하고 싶을 경우에는, 클럽 헤드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의 잘라내기가 행하여진다. 또, 스윙 전체의 차이를 강조하고 싶을 경우에는, 클럽의 천이 범위, 다시 말해, 어드레스 상태의 클럽헤드의 위치와, 클럽을 치켜들었을 때의 클럽 헤드의 최고 위치가 포함될 것으로 보이는 부분의 잘라내기가 행하여진다.
또한, 도 8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윙 대상자를 정면에서 촬영한 동영상이 아니고, 비구 방향과는 반대의 후면으로부터 촬영했을 경우의 이미지 정규화의 일례이다.
도 8b의 예에서는, 공 위치와, 스윙 대상자에 있어서의 오른쪽 다리의 발끝 거리(이하, "스탠스 거리"라고 한다)를 소정의 거리로 하는 보정이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표시 화면에서는, 예를 들면 상반신의 경사인 전경각(前傾角)이나, 클럽의 샤프트 중심선과 지면이 만들어 내는 각도인 라이 각 등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시를 할 때는, 전경각이나 라이 각 등의 요소로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차이를 더욱 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럽의 최고 위치와, 공 위치를 포함하도록 스윙 대상자의 오른쪽 다리 부근을 잘라냄에 의해, 지면과 클럽의 스윙 각도인 스윙 플레인 각도가 두드러지는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표시를 할 때는, 스윙 플레인 각도 등의 요소로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그 차이를 더욱 명확히 인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미지의 정규화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정규화 이미지를 나란히 표시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이미지 정규화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2개의 상태 이미지를 절대적인 기준에 기초해서 보정했지만, 도 9 내지 도 14는, 일방의 이미지를 타방의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보정하는 것이다. 즉, 도 9 내지 도 14에 있어서의 정규화는, 상대적인 기준에 기초해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정규화 이미지를 나란히 표시하지만, 왼쪽에 표시되는 이미지 A에는, 프로를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오른쪽에 표시되는 이미지 B에는, 아마추어를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아마추어의 이미지를 정규화한다. 다시 말해, 이미지 A를 기준으로 하여 이미지 B를 보정한다.
또한, 기준으로 하는 이미지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지만, 도 2의 이미지 해석부 52에 의해 이미지를 해석함으로써 자동으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미지를 해석해서 측정한 헤드 스피드의 속도 등으로부터 측정 결과가 우수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는 이미지로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헤더 정보에 기재되는 스윙 대상자의 이름 등을 판단하고, 특정한 인물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 9은, 스윙 대상자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이미지의 정규화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지 정규화 방법으로서는, 먼저 사용자는 입력부 18을 통해 이미지 A의 발끝이 통과하는 라인을 지정한다. 이렇게 지정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선이 형성된다. 이 파선을 이미지 B에 있어서 확인하면, 파선과 스윙 대상자의 발끝이 벗어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파선과 스윙 대상자의 발끝이 벗어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윙 대상의 양쪽 발끝을 지정한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굵은 선이 형성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굵은 선의 끝부분(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파선 상에 있는 왼쪽의 발끝측의 끝부분)을 지정한다. 이에 의해, 정규화를 위해서 스윙 대상자를 회전시킬 때의 회전 중심이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이미지의 정규화 처리를 실행시키는 조작을 함으로써,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B의 스윙 대상의 발끝이 파선과 일치하는 정규화 이미지가 생성된다.
한편, 정규화 이미지가 생성되었을 때에, 하단의 이미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의 변화 수치가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각도의 변화 수치를 표시했을 경우는, 파선 등의 보조 선은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소거하고, 각도의 변화 수치는 그대로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10은, 스윙 대상자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이미지 정규화의 다른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스윙 대상자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점에서는 같지만, 도 9의 예와는 달리 이미지를 드래그(drag)해서 드롭하는 조작을 함으로써 이미지의 정규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 장치 1이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도 10의 예에서는, 각도를 변경하는 기준이 되는 양쪽의 발끝을 지정하고, 기준이 되는 이미지 A에 이미지 B중의 스윙 대상자의 이미지 각도를 보정함으로서, 이미지 A의 스윙 대상자의 각도와 일치하는 정규화 이미지가 생성된다. 또, 정규화 이미지가 생성될 때는, 각도의 변경이 있었던 이미지 B측에, 변경한 각도의 수치를 일정 기간 표시한다.
도 11은, 스윙 대상자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이미지 정규화의 다른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의 예에서는, 지정된 스윙 대상의 경사 개소와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했지만, 도 11의 예에서는, 각도의 변화 정도를 사용자가 손으로 써서 지정해서 각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윙 대상자의 경사 개소를 지정한 후에, 각도의 변화 정도를 쏜으로 써서 입력하고, 손으로 쓴 것이 텍스트로서 인식됨으로써, 각도의 변경이 행하여진다. 손으로 쓴 것이 텍스트로서 인식되는 것은, 손으로 쓴 표시가 텍스트의 소정의 폰트로 표시되는 것으로 나타내진다.
도 12는, 스윙 대상자의 위치를 변경하는 이미지의 정규화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이미지 A의 공을 기준으로 한 스윙 대상자의 위치와 동일한 좌표에 이미지 B의 스윙 대상자의 위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공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스윙 대상자를 이미지 A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이미지A 및 이미지B 각각에 대해서 공 위치를 지정하고, 이미지 B의 스윙 대상의 이미지를 이미지 A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미지 B의 스윙 대상자의 위치가 이미지 A의 좌표와 같은 위치가 된다. 이때, 이동량의 값을 이미지 B에 일정 기간 표시한다.
도 13은, 스윙 대상자의 높이 방향의 축척을 변경하는 이미지의 정규화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상단의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A와 이미지B에서는, 스윙 대상자의 발끝으로부터 머리까지의 길이가 다르다. 거기에서, 중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맞추고 싶은 부위(머리와 발끝)를 지정하고, 기준이 되는 이미지 A에 이미지 B의 스윙 대상자의 이미지를 이동시킴으로써,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대상자의 발끝으로부터 머리까지의 길이가 일치한 정규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B의 축척이 이미지 B에 일정 기간 표시된다.
도 14는, 스윙 대상자의 높이 방향의 축척을 변경하는 이미지 정규화의 다른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축척을 변경시키고 싶은 부분을 지정한 후에, 축척을 손으로 써서 입력하고, 손으로 쓴 것이 텍스트로서 인식되는 것으로써, 축척의 변경이 행하여진다. 손으로 쓴 입력이 텍스트로서 인식된 것은, 손으로 쓴 입력의 표시가 텍스트의 소정의 폰트로 표시되는 것으로 식별하여 나타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촬상 장치 1은, 정규화부 54와, 표시 제어부 56을 포함한다. 정규화부 54는,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이미지 영역을 정규화한다. 표시 제어부 56은, 정규화부 54에 의해 정규화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출력부 19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이미지 영역을 정규화한 이미지를 표시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 정규화부 54는,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각 이미지 영역의 위치, 크기, 각도 중에서 선택된 것이, 소정의 위치, 크기, 각도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되도록 각 이미지를 보정함으로써, 정규화를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출력부 19로, 각 이미지 영역의 위치, 크기, 각도의 어느 하나가 소정의 위치, 크기, 각도가 되도록 보정된 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복수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 1은, 이미지 해석부 52을 포함한다. 이미지 해석부 52는, 보정해야 할 각 이미지 영역을 특정한다.  정규화부 54는, 이미지 해석부 52에 의해 특정된 영역의 위치, 크기, 각도 중에서 선택된 것이, 소정의 위치, 크기, 각도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되도록 각 이미지를 보정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출력부 19로, 각 이미지의 영역 위치, 크기, 각도 중에서 선택된 것이, 소정의 위치, 크기, 각도로 되도록 보정된 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복수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 1은, 입력부 18을 포함한다. 입력부 18은, 보정해야 할 각 이미지 영역을 입력 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조작에 의해 특정한다. 정규화부 54는, 입력부 18에 의해 특정된 영역의 위치, 크기, 각도 중에서 선택된 것이, 소정의 위치, 크기, 각도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되도록 각 이미지를 보정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출력부 19로, 각 이미지 영역의 위치, 크기, 각도 중에서 선택된 것이 소정의 위치, 크기, 각도로 되도록 보정된 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복수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 1은, 이미지 해석부 52를 포함한다. 이미지 해석부 52는, 복수의 이미지로부터 보정의 기준으로 해야 할 이미지를 선택한다. 정규화부 54는, 이미지 해석부 52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의 소정의 위치, 크기, 각도 중에서 선택된 것이 되도록 다른 이미지를 보정한다.
또,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복수의 이미지는, 복수의 동영상으로부터 각각 특정한 이미지를 추출한 것을 이용해서 구성된다.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복수의 동영상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 1은, 히스토그램 생성부 55를 포함한다. 히스토그램 생성부 55는, 동영상을 평가하는 지표가 되는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표시 제어부 56은, 히스토그램 생성부 55에 의해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복수의 이미지와 함께 출력부 19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이미지의 특징을 인식하는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 56은, 각 이미지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표시 이미지가 바뀌는 슬라이드 쇼 표시로 출력부 19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복수의 동영상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 56은, 각 이미지를 일람 표시로 출력부 19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복수의 동영상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CPU 11은, 촬상부 17, 기억부 20(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영상 기억부 71) 또는 통신부 21을 통해서 다른 장치 등으로부터 복수의 동영상을 취득한다.  정규화부 54는, CPU 11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동영상 중의 각 이미지를 정규화한다.  표시 제어부 56은, 정규화부 54에 의해 정규화된 각 이미지를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취득한 동영상에 있어서 복수의 동영상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히스토그램의 생성과 정규화이미지의 생성을 동시기에 수행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영상이 기억되는 대로 차례로 할 수도 있지만, 히스토그램의 생성과 정규화 이미지의 생성은, 처리 부담 등을 고려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동영상의 취득시에 정규화 이미지의 생성을 수행하고, 슬라이드 쇼 표시의 즈음에 히스토그램의 생성을 수행하는 등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동영상으로부터 상태 이미지의 추출을 수행한 후에 정규화를 수행하여 정규화 이미지를 생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먼저 정규화를 수행하고 나서, 해당 정규화를 수행한 동영상으로부터 상태 이미지를 추출해서 정규화 이미지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각 동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정규화 이미지를 슬라이드 쇼로 표시하게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동영상을 정규화하고, 해당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지 A를 기준으로서 이미지 B를 보정해서 정규화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이미지 A를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보정해서 정규화를 수행하고, 이미지 A와 이 복수의 정규화된 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일람 표시)해도 좋다. 이에 의해, 1개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여 정규화된 복수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동영상으로부터 해석한 스윙 스피드를 파라미터로 한 히스토그램을 이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스토그램은, 스윙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파라미터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공 스피드, 헤드 스피드, 공 스피드와 헤드 스피드의 비율인 스매쉬 팩터, 좌우 다리 폭이나 좌우 다리내의 공 위치나 공과 발끝 거리 등의 각종 스탠스, 다이나믹 라이 각, 전경각, 스윙 리듬, 공과 손목의 수평 거리, 공과 머리의 수평 거리, 스윙 플레인 각도, 어드레스 때의 어깨 경사각, 스윙 리듬 등을 파라미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이미지와 함께 히스토그램을 표시하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기억되어 있는 전 동영상 중에 있어서의 샷의 좋고 나쁨을 아이콘 등으로 나타내거나, 스윙의 조언을 텍스트 등으로 나타내는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쇼 표시로서 검색한 동영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동작을 포함하는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생성한 정규화 이미지를 시간축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규화 이미지는, 소정의 동작을 포함하는 프레임 이미지에 한하지 않고,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생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표시에 있어서는, 모든 프레임 이미지가 정규화된 동영상이 표시되는 것이 된다.
또한, 표시 형태는, 예를 들면, 도 3의 "일람 표시"의 필드 101과 같은 표시 영역에 정규화된 각 동영상의 프레임 이미지가 동기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정규화의 방법으로서는, 도 9 내지 도 14에 해당하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 표시 형태는,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예를 들면 선택한 1개의 이미지를 바꾸어서 표시하거나, 복수의 이미지를 일람할 수 있도록 표시하거나, 2개의 이미지를 병렬해서 표시하거나, 복수의 이미지를 겹쳐서 표시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를 표시할 경우에는, 각각의 이미지를 같은 사이즈로 표시하게 구성해도 좋고, 각 이미지에 "주"와 "종"의 관계를 붙이고, 예를 들면, 우수한 결과를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주"로 하여 큰 사이즈로 표시하고, 다른 이미지를 "종"으로 하여 "주"가 되는 이미지보다도 작은 사이즈로 표시하는 등의 표시를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표시의 타이밍에 관해서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표시시키게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교를 원하는 개소에 대응되는 부분의 표시를 강조적으로 지연시키도록 구성하거나, 비교해서 표시할 경우 차이가 큰 부분을 강조적으로 지연시켜 표시하거나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강조적인 표시에 관해서는, 표시의 속도에 차이를 두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미지의 주위 색을 변경하는 등의 강조적인 표시를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한편, 강조적인 표시를 함에 있어서는, 이미지의 해석 결과나 미리 등록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표시 대상을 판단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정규화 이미지의 생성은, 표시하는 대상을 결정하고 나서 하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규화 이미지의 생성은, 예를 들면, 동영상을 취득한 후 등과 같이, 표시할 대상을 결정하기 이전에 미리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표시에 의한 처리와 이미지의 생성에 의한 처리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시에 있어서의 응답을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으로, 표시할 대상을 결정하고 나서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표시 대상이 되지 않는 이미지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게 되며 또한 생성한 이미지를 보유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메모리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환언하면, 도 2의 기능적 구성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로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촬상 장치 1에 대비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어떤 기능 블록을 이용하는 것일지는 특히 도 2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1개의 기능 블록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좋고,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구성해도 좋으며,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좋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 하드웨어로 조립된 컴퓨터이여도 좋다. 또,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의 PC이어도 좋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와는 달리 배포되는 도 1의 리무버블(removable) 미디어 31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갖추어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리무버블(removable) 미디어 31은,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floppy disk를 포함한다.),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광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광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Blu-ray Disc(블루레이 디스크)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 장치 본체에 미리 갖추어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도 1의 ROM 12나, 도 1의 기억부 20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본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밖의 각양각색인 실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게다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이나 치환 등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소정의 기준에 맞도록 정규화하는 정규화 수단과,
    상기 정규화 수단에 의해 정규화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해당 정규화된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 수단은,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각 이미지의 위치, 크기 및 각도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이, 소정의 위치, 크기 및 각도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에 맞도록 보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로부터 보정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특별히 정하는 제1 특정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정규화 수단은,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위치, 크기 및 각도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이, 소정의 위치, 크기 및 각도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에 맞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로부터 보정해야 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특별히 정하는 제2 특정 수단과,
    상기 정규화 수단은, 상기 사용자 조작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영역의 위치, 크기 및 각도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이, 소정의 위치, 크기 및 각도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에 맞도록 상기 이미지를 보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소정의 기준으로 삼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정규화 수단은,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소정의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가운데 다른 이미지를 정규화하는 표시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 수단은, 상기 이미지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의 소정의 위치, 크기 및 각도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에 맞도록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제외한 다른 이미지를 보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복수의 동영상으로부터 각각 특정의 이미지를 추출한 것인 표시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이미지를 평가하는 평가 수단과,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한 평가 결과에 대응하는 지표를 생성하는 지표 생성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지표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지표를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생성 수단은, 상기 지표로서, 각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해석하여 히스토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히스토그램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표시 이미지가 바뀌는 슬라이드 쇼 표시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일람 표시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 수단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동영상 중의 각 이미지를 정규화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정규화 수단에 의해 정규화된 각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
  13. 표시 제어 장치로 실행되는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소정의 기준에 맞도록 정규화하는 정규화 단계와,
    상기 정규화 단계에 의해 정규화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정규화된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4. 컴퓨터가 독출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이미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을 소정의 기준에 맞게 정규화하는 정규화 수단, 및
    상기 정규화 수단에 의해 정규화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당해 정규화된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
    으로서의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40033738A 2013-03-22 2014-03-22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101583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1074 2013-03-22
JP2013061074A JP5928386B2 (ja) 2013-03-22 2013-03-22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033A true KR20140116033A (ko) 2014-10-01
KR101583406B1 KR101583406B1 (ko) 2016-01-07

Family

ID=5155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738A KR101583406B1 (ko) 2013-03-22 2014-03-22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79383B2 (ko)
JP (1) JP5928386B2 (ko)
KR (1) KR101583406B1 (ko)
CN (1) CN10406587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110A (ko) * 2015-07-22 2017-02-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KR20170012113A (ko) * 2015-07-22 2017-02-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6847A1 (ja) * 2014-03-12 2015-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陳列状況解析装置、陳列状況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6349962B2 (ja) * 2014-05-27 2018-07-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705625B2 (ja) * 2015-07-22 2020-06-03 Run.Edge株式会社 動画再生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KR101627261B1 (ko) * 2015-09-08 2016-06-13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다트 게임 레슨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70297A (ko) 2016-12-16 201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092006A (ja) * 2017-11-13 2019-06-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08342B2 (ja) * 2019-03-05 2022-01-25 株式会社Sportip 運動評価システム
JP7000520B2 (ja) * 2020-09-03 2022-02-04 Run.Edge株式会社 動画再生方法及び動画再生システム
JP7011030B1 (ja) 2020-12-28 2022-01-26 楽天グループ株式会社 ゴルフ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ゴルフスイング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299A (ja) 1997-02-27 1998-11-13 Yamaha Corp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画像記録再生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2004500756A (ja) * 1999-11-24 2004-01-08 ダートフィッシュ エルティーディー. ビデオシーケンスと時空正規化との調整および合成
JP2010130086A (ja) * 2008-11-25 2010-06-10 Casio Computer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2914B2 (ja) * 1993-07-19 2003-03-31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JPH08196677A (ja) 1995-01-30 1996-08-06 Sugino Mach Ltd ゴルフスイング分析システム
JP3878259B2 (ja) 1996-11-13 2007-02-07 東芝医用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医用画像処理装置
JP2000184369A (ja) * 1998-12-10 2000-06-30 Yokogawa Bridge Corp 参照画像と被参照画像との同時表示方法
US6514081B1 (en) * 1999-08-06 2003-02-04 Jeffrey L. Mengoli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ng motion analysis
US6663491B2 (en) * 2000-02-18 2003-12-16 Namco Ltd. Game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that adjust tempo of sound
JP2004275779A (ja) * 2004-05-21 2004-10-07 A I Soft Inc 連続画像を出力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連続画像出力装置および連続画像出力方法
JP2007288555A (ja) * 2006-04-18 2007-11-01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調整装置および画像調整方法
CN101420534B (zh) * 2008-11-07 2011-02-02 华为终端有限公司 多画面显示方法和装置
JP2010127639A (ja) * 2008-11-25 2010-06-10 Casio Computer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410879B (zh) * 2009-01-23 2013-10-01 Ind Tech Res Inst 影像辨識與輸出方法以及其系統
JP5526727B2 (ja) 2009-11-20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54174A (ja) * 2010-01-27 2011-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5685837B2 (ja) * 2010-06-15 2015-03-18 ソニー株式会社 ジェスチャ認識装置、ジェスチャ認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34146A (ja) 2010-07-30 2012-02-16 Nikon Corp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99876A (ja) 2010-10-29 2012-05-24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625976B2 (ja) * 2011-02-09 2014-11-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145463A (ja) * 2012-01-13 2013-07-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299A (ja) 1997-02-27 1998-11-13 Yamaha Corp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画像記録再生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2004500756A (ja) * 1999-11-24 2004-01-08 ダートフィッシュ エルティーディー. ビデオシーケンスと時空正規化との調整および合成
JP2010130086A (ja) * 2008-11-25 2010-06-10 Casio Computer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110A (ko) * 2015-07-22 2017-02-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KR20170012113A (ko) * 2015-07-22 2017-02-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KR101880803B1 (ko) * 2015-07-22 2018-07-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KR101880804B1 (ko) * 2015-07-22 2018-07-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US10504382B2 (en) 2015-07-22 2019-12-10 Run.Edge Limited Video playback device and method
US10573198B2 (en) 2015-07-22 2020-02-25 Run Edge Limited Video playback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406B1 (ko) 2016-01-07
CN104065875A (zh) 2014-09-24
US9679383B2 (en) 2017-06-13
JP5928386B2 (ja) 2016-06-01
JP2014186168A (ja) 2014-10-02
CN104065875B (zh) 2018-12-18
US20140286619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406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JP552672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9662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2420094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936774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pecifying an image relating to a predetermined mo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images
JP2020013290A (ja) 映像解析装置、人物検索システムおよび人物検索方法
US932415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n moving image
JP5754458B2 (ja) 動画像抽出装置、動画像抽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5128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generates a composite image
JP742437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232060A (ja) 画像認識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906588B2 (ja) 特定動作判定装置、リファレンスデータ生成装置、特定動作判定プログラム及びリファレンス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KR101705836B1 (ko) 깊이 정보를 이용한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938381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1147873B1 (ko) 얼굴 인식을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00765A (ko) 고속 카메라 영상에서 골프공과 골프클럽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용 모션 분석 장치
JP2004248725A (ja) 打球の解析装置及び方法
CN107667522A (zh) 调整活动图像的长度
KR101499397B1 (ko) 동영상 분석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55146B1 (ko)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를 이용한 운동 자세 점검 방법 및 운동 자세 점검 장치
JP635058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49891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71521B2 (ja) ゴルフスイングの分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19134204A (ja) 撮像装置
JP638456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