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704A - 꼬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꼬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704A
KR20140114704A KR1020130029402A KR20130029402A KR20140114704A KR 20140114704 A KR20140114704 A KR 20140114704A KR 1020130029402 A KR1020130029402 A KR 1020130029402A KR 20130029402 A KR20130029402 A KR 20130029402A KR 20140114704 A KR20140114704 A KR 2014011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late
base
skew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9256B1 (ko
Inventor
박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2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25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그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꼬치용 대상물에 막대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꼬치용 대상물에 삽입시킴으로써, 꼬치의 제조 속도를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꼬치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막대기를 공급하는 막대기 공급부와, 상기 막대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막대기를 꼬치 대상물에 삽입시키는 막대기 삽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꼬치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skewered food }
본 발명은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그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꼬치용 대상물에 막대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꼬치용 대상물에 삽입시킴으로써, 꼬치의 제조 속도를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는 어묵, 닭고기, 돼지 고기, 야채 등 꼬치 대상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막대기를 끼워서 조리 및 취식을 함으로써, 조리가 간편하고, 취식이 용이하면서 직접 접촉에 따른 세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어 위생적임에 따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 및 취식이 용이함에 따라 간편 음식으로 길거리나 시장 등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각각의 꼬치 대상물에 수작업으로 직접 막대기를 꽂아 제조함에 따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작업자가 꼬치 대상물을 지속적으로 파지한 상태로 막대기를 끼우는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위생적이지 못하고, 끼우는 작업 미숙으로 작업자의 손을 찌르게 되는 부상이 발생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부상 발생에 따른 이물질이 음식물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작업을 통하여 제조되는 꼬치는 꼬치 대상물에 삽입되는 막대기의 위치가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게 되어 꼬치 대상물을 취식시에 사용자가 막대기의 첨단 위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부상이 발생하거나, 조리 시에 음식물과 막대기가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04707호 "꼬치어묵 조립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실용신안등록 제20-304707호는 꼬치어묵용 막대기에 수개의 어묵을 반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꼬치어묵 조립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체인컨베이어의 고정판 상에는 클램프몰드를 이웃하는 클램프몰드와 연접되도록 결합공을 통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이웃하는 클램프몰드가 상호 연접하는 면에는 각각 클램핑요입홈을 형성하여 이웃하여 마주보는 클램핑요입홈이 형성하는 삽입부에 어묵을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클램핑요입홈을 가로 지르는 부분에 막대기 삽입용 반원형 요홈을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형성하여 클램프몰드의 일측에 막대기를 수개의 어묵에 일시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체인컨베이어의 회전시 체인컨베어에 결속된 클램프몰드의 하중에 의해 어묵이 안착되는 위치에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클램프몰드와 클램프몰드의 사이에 형성된 반원형 요홈이 서로 어긋나게 되어 막대기의 삽입부로 막대기의 삽입시 정확한 위치에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처짐 현상으로 인하여 클램프몰드와 이웃하는 클램프몰드의 마찰 등으로 인해 클램프몰드의 파손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23138호 "꼬치 제조장치"가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특허등록 제10-923138호는 꼬챙이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케이스에 수용된 꼬챙이가 드럼에 형성된 안착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드럼을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게 되어 장치의 부피가 커짐과 동시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컨베이어벨트에 꼬치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그를 구비하고, 이 지그에 꼬치 대상물을 안착시킨 상태로 이동하는 꼬치 대상물에 자동으로 막대기가 꽂히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으로 많은 양의 꼬치 대상물에 막대기를 꽂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되어 막대기를 꽂을 때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 지지함으로써, 안전하고 정확한 위치에 막대기가 꼬치 대상물에 꽂힐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막대기가 꽂힐 때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막대기가 꼬치 대상물에 삽입될 때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꼬치 대상물에 막대기를 삽입시킴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꼬치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막대기를 공급하는 막대기 공급부와, 상기 막대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막대기를 꼬치 대상물에 삽입시키는 막대기 삽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작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지그는 상부가 개방되게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길이 방향 일측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그의 이동 방향으로 한 쌍의 절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되,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가압실린더의 실린더에 결속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에 결속되되,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결속된 가이드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상판에는 컨베이어벨트가 진행하는 전, 후 방향 또는 어느 일측에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막대기 공급부는 베이스의 측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부에 고정구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안착홀이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되, 안착홀에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결속구가 형성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호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의 고정구에 결속되는 공급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결속구에는 공급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결속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호퍼는 내주면 일측에 한 쌍의 안내구가 형성되고, 이 안내구에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가이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막대기 삽입부는 막대기 공급부의 고정판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설치되는 삽입실린더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 삽입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설치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결합되어 막대기 공급부의 가이드판에 형성된 안착홀에 끼워지는 밀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작업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대는 베이스에 설치되되 상부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결합구가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구 중 어느 하나의 결합구에 힌지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구에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연결되는 작업선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안내바가 구비되고, 이 안내바는 베이스에 고정되고, 일측 끝단부는 지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절개홀에 끼워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에 꼬치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그를 구비하고, 이 지그에 꼬치 대상물을 안착시킨 상태로 이동하는 꼬치 대상물에 자동으로 막대기가 꽂히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으로 많은 양의 꼬치 대상물에 막대기를 꽂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되어 막대기를 꽂을 때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 지지함으로써, 안전하고 정확한 위치에 막대기가 꼬치 대상물에 꽂힐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막대기가 꽂힐 때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막대기가 꼬치 대상물에 삽입될 때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꼬치 대상물에 막대기를 삽입시킴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지그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가압부를 보인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막대기 공급부를 보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막대기 삽입부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작업대를 보인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지그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가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막대기 공급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막대기 삽입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작업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는 하부에 다수개의 다리부재(112)가 구비되고, 이 다리부재(112)에는 바퀴(1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꼬치 제조장치(100)를 지면에 고정시에는 다리부재(112)에 의해 고정하고, 꼬치 제조장치(100)를 이동시에는 바퀴(114)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꼬치 대상물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10)는 베이스(110)에 궤도형상으로 설치되어 일정하게 정지 및 운행을 반복하면서 동작하는 컨베이어벨트(2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212)는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스프라켓(212a)이 구비되고, 이 스프라켓(212a)에 결속되는 한 쌍의 체인(212b)이 구비되고, 이 한 쌍의 체인(212b)을 서로 연결시키는 지지바(212c)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212)가 궤도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터(214)는 일정한 간격으로 정지와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여 컨베이어벨트(212)가 정지 및 운행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컨베이어벨트(212)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꼬치 대상물이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상부가 개방되게 안착홈(216a)이 형성되고, 안착홈(216a)의 길이 방향 일측부에는 삽입공(216b)이 형성되며, 이 안착홈(216a)의 폭 방향으로는 한 쌍의 절개홀(216c)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그(2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그(216)는 지지바(214c)의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꼬치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지그(216)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212)의 타측부, 즉 모터(214)가 설치된 타측부에는 컨베이어벨트(212)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21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그(216)의 안착홈(216a)에 꼬치 대상물을 안착시키게 되면 컨베이어벨트(212)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꼬치 대상물이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212)에 구비된 지그(216)의 안착홈(216a)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된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310)는 베이스(110)의 측부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312)가 구비되고, 이 지지플레이트(312)의 상부에 설치되되, 컨베이어벨트(212)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상판(31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상판(314)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316)가 구비되고, 이 가압실린더(316)의 실린더로드는 상판(314)을 관통하여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상판(314)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되, 가압실린더(316)의 실린더로드가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가압부재(3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318)의 상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가이드봉(320)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봉(320)은 상판(314)을 관통되게 결속되어 가이드봉(320)의 상부가 상판(314)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그(216)의 안착홈(216a)에 꼬치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212)가 작동하여 꼬치 대상물이 안착된 지그(216)가 가입부재(318)의 하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컨베이어벨트(212)가 정지하고, 이 상태에서 가압실린더(316)를 작동시켜 가압부재(318)가 하강하면서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실린더(316)에 의해 가압부재(318)가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할 때 가압부재(318)의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봉(320)의 가이드에 의해 안전하게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314)의 전, 후부, 즉 컨베이어벨트(212)가 진행하는 전방과 후방 또는 어느 일측방향에는 커버부재(3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꼬치 대상물에 막대기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막대기를 공급하는 막대기 공급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막대기 공급부(410)는 베이스(110)의 측부, 즉 가압부(310)가 설치된 타측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412)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부에 고정구(414a)가 형성된 고정판(4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414)에 형성된 고정구(414a)는 컨베이어벨트(212)의 진행 방향의 측부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414)의 상부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안착홀(416a)이 형성된 가이드판(41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416)에 형성된 안착홀(416a)은 컨베이어벨트(212)에 구비된 지그(216)의 삽입공(216b)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되되, 컨베이어벨트(212)가 구비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416)의 상부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구(420)가 구비되고, 이 가이드구(420)에 결속되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슬라이드판(41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판(418)에는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대응되게 관통공(418a)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결속구(418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414)의 고정구(414a)에 결합 고정되는 공급실린더(422)가 구비되고, 이 공급실린더(422)의 실린더로드는 슬라이드판(418)의 결속구(418b)에 결속 고정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판(418)의 상부에 설치되되, 내측에 막대기가 수용되는 다수개의 호퍼(4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호퍼(430)는 내주면 일측에 안내구(430a)가 형성되고, 이 안내구(430a)가 형성된 타측 내주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구(430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호퍼(430)에 수용된 막대기는 안내구(430a) 및 가이드구(430b)의 안내에 따라 1개씩 순차적으로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호퍼(430)는 설명상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꼬치 대상물의 크기 등 형상 모양에 따라 다양 크기의 막대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호퍼(430)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퍼(430)에 막대기가 수용되어 호퍼(430)의 하부로 막대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슬라이드판(418)의 관통공(418a)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호퍼(430)로부터 배출되는 막대기가 슬라이드판(418)의 관통공(418a)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호퍼(430)에 수용된 막대기는 안내구(430a) 및 가이드구(430b)에 의해 호퍼(430)의 하부로 1개씩 배출되고, 호퍼(430)로부터 배출되는 막대기는 슬라이드판(418)의 관통공(418a)에 안착되며, 관통공(418a)에 안착된 막대기는 공급실린더(422)에 의해 동작하는 슬라이드판(418)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관통공(418a)에 막대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판(418)이 이동함과 동시에 슬라이드판(418)의 관통공(418a)과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관통공(418a)의 막대기가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안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막대기 공급부(410)의 가이드판(416)에 형성된 안착홀(416a)에 안착된 막대기를 밀어 지그(216)에 안착된 꼬치 대상물에 삽입시키는 막대기 삽입부(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막대기 삽입부(510)는 고정판(414)의 일측 상부에 안착 고정되는 하우징(51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514)의 하부에는 고정구(516)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516)에는 삽입실린더(518)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실린더(518)의 실린더로드가 결속되는 지지구(520)가 구비되고, 이 지지구(520)에는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일측 끝단부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밀봉(5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4)의 하부에 구비되되, 지지구(520)에 결속되어 지지구(520)가 안전하게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52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막대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삽입실린더(518)를 작동시키게 되면 지지구(520)가 가이드봉(524)의 안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212)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지지구(520)에 구비된 밀봉(522)이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안착된 막대기를 밀면서 이동하게 되고, 밀봉(522)에 의해 밀리는 막대기는 지그(216)에 안착된 꼬치 대상물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한 작업대(6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대(61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되, 상부에 서로 대응되게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결합구(612a)가 형성된 고정프레임(6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프레임(612)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구(612a) 중 베이스(110) 방향에 위치한 결합구(612a)에 일측부가 힌지(614) 고정되고, 외측부에 구비된 결합구(612a)에는 유압실린더(616)에 의해 연결되는 작업선반(618)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616)의 작동에 의해 작업선반(618)은 고정프레임(612)의 내측에 위치한 결속구(612a)에 결속된 힌지(61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접거나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 일측부에 설치되되,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지그(216)가 진행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안내바(7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바(710)는 중간부가 베이스(110)에 결속 고정되고, 일측 끝단부는 컨베이어벨트(212)의 상부에 설치된 지그(216)의 절개홀(216c)에 끼워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막대기가 꼬치 대상물에 끼워진 상태로 지그(216)에 안착되어 이동시 이 안내바(710)에 의해 꼬치 대상물이 지그(216)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부에는 이송부(210)와, 가압부(310)와, 막대기 공급부(410)와, 막대기 삽입부(510)를 제어하는 제어부(8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100)는 먼저, 상기 모터(214)를 작동시켜 컨베이어벨트(212)가 궤도상에서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작동하는 상태에서 지그(216)의 안착홈(216a)에 꼬치 대상물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지그(216)의 안착홈(216a)에 꼬치 대상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212)의 작동에 의해 지그(216)가 이동하여 가압부(310)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310)에 지그(216)가 정지된 상태에서 가압실린더(316)를 작동시켜 가압부재(318)를 하강시켜 지그(216)에 안착된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430)에 수용된 막대기는 안내구(430a) 및 가이드구(430b)에 의해 호퍼(430)의 하부로 1개씩 배출되고, 호퍼(430)로부터 배출되는 막대기는 슬라이드판(418)의 관통공(418a)에 안착되며, 관통공(418a)에 안착된 막대기는 공급실린더(42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판(418)의 슬라이드 이동하여 관통공(418a)이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의 상부에 위치시 관통공(418a)의 막대기가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판(418)의 동작에 의해 관통공(418a)에 안착된 막대기가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안착된 후에는 슬라이드판(418)이 원상복귀하여 호퍼(430)로부터 배출되는 막대기가 관통공(418a)에 안착되고, 관통공(418a)에 안착된 막대기는 슬라이드판(418)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막대기를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로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막대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삽입실린더(518)를 작동시키게 되면 지지구(520)가 전진하면서 밀봉(522)이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안착된 막대기를 밀면서 전진하게 되어 막대기가 지그(216)의 삽입공(216b)을 통하여 지그(216)에 안착된 꼬치 대상물에 삽입되어 제품이 생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그(216)에 안착된 꼬치 대상물에 막대기를 삽입시 가압부재(318)가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막대기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꼬치 대상물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그(216)에 안착된 꼬치 대상물에 막대기를 삽입시킨 후에는 밀봉(522)과 밀봉(522)이 설치된 지지구(520)는 원상복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판(418)이 동작하여 가이드판(416)의 안착홀(416a)에 막대기를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216)에 안착된 꼬치 대상물에 막대기가 삽입완료된 후에는 가압실린더(316)를 작동시켜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18)를 상부로 상승시켜 꼬치 대상물의 가압을 해지시키고, 컨베이어벨트(212)는 작동시켜 막대기가 삽입되어 완성된 제품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다음 작업을 위한 막대기를 삽입시킬 꼬치 대상물이 안착된 지그(216)가 가압부(310)에 위치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압부(310)에 위치하여 정지된 지그(216)의 안착홈(216a)에 안착된 꼬치 대상물에 막대기를 삽입시켜 제품이 생산되고, 이 제품은 컨베이어벨트(212)의 작동에 의해 이동함과 동시에 꼬치 대상물이 안착된 지그(216)가 가압부(310)에 위치되어 상기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막대기를 꼬치 대상물에 삽입시켜 제품이 완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216)에 안착된 제품은 순차적으로 컨베이어벨트(212)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제품의 이동시 베이스(110)에 구비되어 지그(216)의 절개홀(216c)에 끼워진 안내바(710)에 의해 제품은 지그(216)로부터 분리되어 안내바(710)의 상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212)가 작동시에 막대기를 삽입시키기 위한 꼬치 대상물이 가압부(310)에 위치되고, 가압부(310)에 위치된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부재(318)가 가압 고정시킨 후 막대기 공급부(410)로부터 공급되는 막대기를 막대기 삽입부(510)의 작동에 의해 지그(216)에 안착된 꼬치 대상물에 삽입시켜 막대기가 삽입된 꼬치제품이 생산되며, 막대기가 삽입된 제품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18)를 상승시켜 가압해지 후 컨베이어벨트(212)가 작동하여 막대기가 제품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막대기를 삽입시킬 꼬치 대상물을 가압부(310)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꼬치 대상물에 연속적으로 막대기를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꼬치 제조장치 110 : 베이스
112 : 다리부재 114 : 바퀴
210 : 이송부 212 : 컨베이어벨트
212a : 스프라켓 212b : 체인
212c : 지지바 214 : 모터
216 : 지그 216a : 안착홈
216b : 삽입공 216c : 절개홀
218 : 장력조절부재 310 : 가압부
312 : 지지플레이트 314 : 상판
316 : 가압실린더 318 : 가압부재
320 : 가이드봉 322 : 커버부재
410 : 막대기 공급부 412 : 지지프레임
414 : 고정판 414a : 고정구
416 : 가이드판 416a : 안착홀
418 : 슬라이드판 418a : 관통공
418b : 결속구 420 : 가이드구
422 : 공급실린더 430 : 호퍼
430a : 안내구 430b : 가이드구
510 : 막대기 삽입부
514 : 하우징 516 : 고정구
518 : 삽입실린더 520 : 지지구
522 : 밀봉 524 : 가이드봉
610 : 작업대 612 : 고정프레임
612a : 결합구 614 : 힌지
616 : 유압실린더 618 : 작업선반
710 : 안내바 810 : 제어부

Claims (15)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꼬치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꼬치 대상물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막대기를 공급하는 막대기 공급부와,
    상기 막대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막대기를 꼬치 대상물에 삽입시키는 막대기 삽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작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부가 개방되게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길이 방향 일측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그의 이동 방향으로 한 쌍의 절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되,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가압실린더의 실린더에 결속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에 결속되되,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결속된 가이드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컨베이어벨트가 진행하는 전, 후 방향 또는 어느 일측에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기 공급부는 베이스의 측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부에 고정구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안착홀이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되, 안착홀에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결속구가 형성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호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고정구에 결속되는 공급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결속구에는 공급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결속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내주면 일측에 한 쌍의 안내구가 형성되고, 이 안내구에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가이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기 삽입부는 막대기 공급부의 고정판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설치되는 삽입실린더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 삽입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설치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결합되어 막대기 공급부의 가이드판에 형성된 안착홀에 끼워지는 밀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작업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베이스에 설치되되, 상부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결합구가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구 중 어느 하나의 결합구에 힌지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구에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연결되는 작업선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안내바가 구비되고, 이 안내바는 베이스에 고정되고, 일측 끝단부는 지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절개홀에 끼워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KR1020130029402A 2013-03-19 2013-03-19 꼬치 제조장치 KR10146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402A KR101469256B1 (ko) 2013-03-19 2013-03-19 꼬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402A KR101469256B1 (ko) 2013-03-19 2013-03-19 꼬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704A true KR20140114704A (ko) 2014-09-29
KR101469256B1 KR101469256B1 (ko) 2014-12-09

Family

ID=5175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402A KR101469256B1 (ko) 2013-03-19 2013-03-19 꼬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37B1 (ko) 2016-10-25 2016-12-29 조성구 꼬치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04A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다누림푸드 꼬치 제조장치용 탈부착식 몰드
KR102358851B1 (ko) 2019-10-16 2022-02-04 김인성 식용육 꽂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1615B2 (ja) * 2003-07-02 2006-03-01 有限会社的場電器エムテック 串刺し装置
KR100943734B1 (ko) * 2009-03-10 2010-02-23 (주)이에스푸드 꼬치 제조장치
KR101013884B1 (ko) * 2010-07-08 2011-02-10 (주)이에스푸드 꼬치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37B1 (ko) 2016-10-25 2016-12-29 조성구 꼬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256B1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82339A1 (en) High speed slicing machine
US10919170B2 (en) Food product slicing apparatus
KR101964205B1 (ko) 꼬치용 자동 제조장치
KR101415318B1 (ko) 양파 박피기
CN104608958B (zh) 自动装袋中包机
KR101469256B1 (ko) 꼬치 제조장치
CN110522046B (zh) 一种榨菜剥皮设备及剥皮方法
KR20160099796A (ko) 만두제조장치
KR101184824B1 (ko) 꼬치 제조 장치
KR20190027569A (ko) 연속 꼬치 제조장치
CN108576169A (zh) 一种自动锯骨机
KR200380627Y1 (ko) 김 가공장치
CN210726632U (zh) 一种榨菜剥皮设备
EP12374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ne removing
ES2186023T3 (es) Metodo y aparato para asar en continuo productos alimentarios.
JPH06292553A (ja) 串刺機
KR20170083454A (ko)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KR20170103456A (ko) 위생제품 자동포장장치
JP5399435B2 (ja) 横形製袋充填機の物品供給コンベヤ
CN110549405B (zh) 用于榨菜剥皮设备的榨菜抓取装置
CN210853067U (zh) 高频热压束带机
KR101815023B1 (ko) 꼬치 꽂이장치
CN214216337U (zh) 一种包装袋封口机对齐上料装置
KR200401268Y1 (ko) 김 가공기용 포장케이스 투입장치
CN201133456Y (zh) 输送带剥胶机的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