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484A - 쿠킹 장치 - Google Patents

쿠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484A
KR20140112484A KR1020147016515A KR20147016515A KR20140112484A KR 20140112484 A KR20140112484 A KR 20140112484A KR 1020147016515 A KR1020147016515 A KR 1020147016515A KR 20147016515 A KR20147016515 A KR 20147016515A KR 20140112484 A KR20140112484 A KR 2014011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determined
recipe
group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824B1 (ko
Inventor
니콜라스 밸런스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1462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11248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4011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쿠킹 장치(1)를 위한 제어 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쿠킹 장치(1)는, 결정된 쿠킹 조리법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 항목 또는 복수의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쿠킹 챔버(2), 및 쿠킹 챔버(2)의 가열 컴포넌트(3)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10)는, 상기 쿠킹 장치(1)의 쿠킹 챔버(2) 내로 도입되는 결정된 쿠킹 조리법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 항목 또는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단일 유닛의 하나 이상의 비표면에 따른 결정된 쿠킹 변수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결정하도록 배치된 제어 유닛(13)을 포함하며, 상기 비표면은 결정된 쿠킹 조리법으로부터의 결정된 식품 항목 또는 복수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단일 요소의 설명적 변수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쿠킹 장치{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식품 조리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쿠킹 기구(appliance)의 제어 장치, 쿠킹 기구, 및 쿠킹 기구와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쿠킹 기구는,
- 결정된 조리법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쿠킹 챔버, 및
- 쿠킹 챔버의 가열 컴포넌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 쿠킹 시간 및/또는 쿠킹 온도와 같은 결정된 쿠킹 변수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쿠킹 사이클을 정의하도록 배치된 가열 컴포넌트의 제어 유닛, 및
-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 쿠킹 기구의 쿠킹 챔버 내에 도입될 복수의 결정된 재료를 포함하는 결정된 식품 및/또는 결정된 조리법의 제1 그룹, 및
- 제1 그룹의 조리법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 및/또는 복수의 결정된 재료를 위한 설명적 변수의 제2 그룹
을 포함한다.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은,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기구의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사전 기록된 쿠킹 사이클을 정의한다.
그러나, 이들 사전 기록된 쿠킹 사이클은, 이들 식품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쿠킹 챔버 내에 삽입되는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의 쿠킹을 최적화하게 하지 못하여, 식품을 대략적으로만 쿠킹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싱술한 단점 중 모두 또는 일부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쿠킹 기구의 쿠킹 챔버 내에 도입되는 결정된 조리법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비표면적에 따라 결정된 쿠킹 변수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결정하기 위해 배치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비표면적은,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상기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재료의 상기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설명적 변수로부터 계산되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쿠킹 기구의 쿠킹 챔버 내에 도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비표면적이 결정되면, 이러한 식품을 정확하게 특징지을 수 있고 따라서 쿠킹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가열 컴포넌트의 제어 유닛은 결정된 조리법에 따른 쿠킹 변수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결정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제어 유닛은, 결정된 쿠킹 변수의 조합의 순차적 시리즈를 포함하는 쿠킹 사이클을 정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여러 가지 쿠킹 변수를 가진 여러 가지 식품의 쿠킹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결정된 식품의 형태 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형태를 고려하여, 쿠킹 변수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결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식품의 형태는, 특히 예를 들면 쇠고기와 같은 육류의 형태, 가금류, 채소의 형태, 또는 녹말/시리얼의 형태를 뜻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 상기 쿠킹 기구의 상기 쿠킹 챔버 내에 도입되도록 의도된 복수의 결정된 재료를 포함하는 결정된 식품 및/또는 결정된 조리법을 포함하는 제1 그룹, 및
-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상기 결정된 식품 및/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설명적 변수를 포함하는 제2 그룹
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1 그룹 내의 결정된 식품 또는 결정된 조리법의 제1 선택 수단, 및
- 상기 제1 그룹에서 선택된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상기 선택된 결정된 식품 및/또는 상기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상기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2 그룹 내의 설명적 변수의 제2 선택 수단
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쿠킹할 식품 또는 조리법의 선택에서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매트릭스 스크린을 가진 그래픽 형태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직관적 인간공학적 인터페이스를 정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제1 선택 수단 및/또는 제2 선택 수단은 회전식 선택 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상기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상기 설명적 변수는 상기 유닛 요소의 형상 및/또는 사이즈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비표면적의 계산을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상기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상기 설명적 변수는 상기 유닛 요소의 양, 특히 그들의 전체 중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비표면적의 계산을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상기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상기 설명적 변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상태, 특히 냉동되었거나 신선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쿠킹 변수의 결정을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제3 그룹 내의 사용자의 기호, 특히 쿠킹의 모드, 예를 들면 증기 쿠킹, 침지 쿠킹, 브라우닝 쿠킹, 및 쿠킹의 수준, 예를 들면 덜 익힘, 중간, 바삭거림, 연함의 제3 선택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호에 따라 결정된 쿠킹 변수의 조합을 결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사용자의 요리 기호에 따른 쿠킹 변수의 결정을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결정된 쿠킹 변수의 결정된 조합의 순차적 시리즈를 포함하는 쿠킹 사이클의 제4 그룹을 포함하며,
쿠킹 변수의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결정된 조합은,
-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결정된 식품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
-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상기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상기 설명적 변수, 및
적용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제3 그룹의 상기 기호
중 가능한 조합과 관련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한 상기 쿠킹 사이클의 결정은,
- 상기 제1 그룹 내의 결정된 식품 또는 결정된 조리법,
- 상기 제1 그룹에서 선택된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선택된 상기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2 그룹 내의 설명적 변수, 및
적용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제3 그룹에서 선택된 상기 기호
에 따라 상기 제4 그룹의 쿠킹 사이클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식품을 쿠킹하기 위한 최적화된 쿠킹 사이클을 확립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제1 그룹, 및/또는 제2 그룹 및/또는 제3 그룹 및 제4 그룹의 쿠킹 사이클의 업데이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소스에 대한 연결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결정된 조리법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쿠킹 챔버, 상기 쿠킹 챔버의 가열 컴포넌트, 및 상술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한편으로는 쿠킹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쿠킹 기구는, 결정된 조리법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쿠킹 챔버, 상기 쿠킹 챔버의 가열 컴포넌트, 및 제1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술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쿠킹 기구의 상기 제1 무선 통신 수단과 통신하도록 배치된 제2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쿠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1 통신 수단 및 제2 통신 수단은 무선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스마트폰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쿠킹 기구에서 결정된 조리법의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쿠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쿠킹 기구의 쿠킹 챔버 내에 도입되는 결정된 조리법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비표면적에 따라 결정된 쿠킹 변수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표면적은,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상기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재료의 상기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설명적 변수로부터 계산되는, 쿠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결정된 조리법의 결정된 식품 또는 복수의 재료에 적용되는 정확한 쿠킹 변수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a) 제1 선택 수단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제1 그룹에서 결정된 식품또는 결정된 조리법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제2 그룹으로부터, 제2 선택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제1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결정된 조리법의 상기 결정된 식품 또는 상기 복수의 재료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설명적 변수를 선택하는 단계, 및
(c) 상술한 쿠킹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쿠킹할 식품 또는 조리법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미리 제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게 한다.
결정된 조리법의 복수의 재료의 쿠킹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d) 결정된 쿠킹 변수의 조합의 순차적 시리즈를 포함하는 결정된 쿠킹 사이클을 시작하는 단계,
(e)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쿠킹 챔버 내로 도입될 상기 선택된 조리법의 제1 재료를 나타내는 단계,
(f)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에 따라 상기 쿠킹 챔버 내로 상기 선택된 조리법(Ri)의 제1 재료를 도입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1 재료의 사전 쿠킹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쿠킹 사이클에 포함되는 상기 쿠킹 변수의 상기 결정된 조합의 순차적 시리즈의 제1 시퀀스를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h)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쿠킹 챔버 내로 도입될 상기 선택된 조리법의 하나의 재료 또는 다른 재료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계,
(i)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에 따라 상기 쿠킹 챔버 내로 상기 선택된 조리법(Ri)의 표시된 하나의 재료 또는 다른 표시된 재료를 도입하는 단계,
(j) 상기 쿠킹 챔버 내에서 이미 발견된 상기 재료 및 이러한 재료 또는 이들 다른 재료의 사전 쿠킹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쿠킹 사이클에 포함되는 상기 쿠킹 변수의 상기 결정된 조합의 순차적 시리즈의 다른 시퀀스를 적용하는 단계, 및
(k) 적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조리법의 모든 재료를 도입하고, 상기 결정된 쿠킹 사이클의 상기 쿠킹 변수의 상기 결정된 조합의 순차적 시리즈의 마지막 시퀀스를 완료할 때까지,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쿠킹 챔버 내로 도입될 상기 선택된 조리법의 하나의 재료 또는 다른 재료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계로 구성되는 단계를 시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여러 가지로 쿠킹되어야 할 여러 가지 재료를 포함ㅁ하는 조리법의 준비를 위해, 사용자에게 어떤 식품을 어떤 시간에 쿠킹 챔버 내에 도입하여야 할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를 보조할 수 있게 한다.
어떤 경우에도,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또는 제어 장치 및 쿠킹 방법을 비제한적 예에 의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에 의해 가장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쿠킹 기구의 전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쿠킹 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쿠킹 기구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조립체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의 쿠킹 방법의 스텝을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법의 복수의 재료(ingredients)의 쿠킹 방법의 스텝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었듯이, 쿠킹 기구(1)는, 조리법(Ri)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Ai) 또는 복수 ΣxAi의 결정된 식품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다르게는 용기(2)라고 지칭되는 쿠킹 챔버(2)를 포함한다.
결정된 식품(Ai)은 개별적으로 쿠킹되고 단독으로 소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여러 가지 형태의 어류, 또는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와 같은 육류,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아티초크, 당근과 같은 채소, 또는 심지어는 쌀 또는 밀과 같은 시리얼 중에서 분류될 수 있는, 조리법의 식품 또는 재료이다.
조리법(Ri)은 결정된 식품 또는 재료의 합 ΣxAi이고, 예를 들면 굴래쉬(goulash)는 쇠고기 큐브(beef cubes), 절단된 양파, 오일, 절단된 그린 페퍼, 분쇄된 토마토 및 완두콩으로부터 준비된다.
이러한 조리법의 복수의 재료의 쿠킹 방법의 스텝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쿠킹 기구(1)는 또한 쿠킹 챔버(2)의 가열 컴포넌트(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열 컴포넌트(3)는, 전도 및 대류에 의해 용기(2)를 가열하기 위해 용기 아래에 위치되는 가열 저항기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쿠킹 기구(1)는 제어 장치(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장치(10)는, 쿠킹 시간(t) 및 쿠킹 온도(T)와 같은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를 포함하는 쿠킹 사이클(Ci)를 정의하기 위해 배치되는 가열 컴포넌트(3)의 제어 유닛(13)을 포함한다.
따라서, 쿠킹 사이클은
Ci = {(t1, T1); (t2, T2); ... ; (tn, Tn)}
의 형태를 가지며, 여기에서 각각의 쌍은 쿠킹 변수(ti, Ti)의 결정된 조합(ci)의 시퀀스를 나타내고, n은 쿠킹 사이클(Ci)의 시퀀스의 수이다.
명백하게, 쿠킹 사이클(Ci)은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단일 시퀀스(ci) 만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10)가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유일한 조합(ci)을 직접 결정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결정된 쿠킹 변수(ti, Ti) 및 그들의 수는 예로서 주어진다. 따라서, 다른 변수도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쿠킹 시간 및 쿠킹 온도(T)는 가열 컴포넌트(3)의 전력 공급에 직접 의존하며, 압력(P)에 의해 영향을 받는 온도(T)는 또한 쿠킹 기구(1)의 뚜껑(4)의 존재, 및 쿠킹 기구(1)가 사용되는 고도에도 의존한다.
고도로 인한 용기(2) 내의 압력의 차이는 쿠킹 시간의 변화를 발생시키고, 따라서 쿠킹 사이클(Ci)을 무효화시킨다.
쿠킹 사이클(Ci)의 유효성을 보존하기 위해, 온도는, 적합한 온도(T)에서 쿠킹의 진행을 모니터링하는 온도 조절 장치에 의해, 예를 들면 뚜껑(4) 내에 위치하는 온도(T) 센서를 사용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는 데이터베이스(15)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는, 쿠킹 기구(1)의 쿠킹 챔버(2) 내로 도입되도록 의도되는 복수 ΣxAi의 결정된 재료를 포함하는 결정된 식품(Ai) 및/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제1 그룹(G1), 및 제1 그룹(G1)의 조리법(Ri)의 복수 ΣxAi의 결정된 재료 중에서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및/또는 하나 이상의 재료의 설명적 변수(X)의 제2 그룹(G2)을 포함한다.
제1 그룹(G1)의 결정된 식품(Ai)의 제한된 목록 및 제2 그룹(G2)의 설명적 변수(X)의 제한된 목록은 본 설명의 끝에 있는 부록의 표 1에 예로서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1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쿠킹 기구(1)의 인간공학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트릭스 스크린을 가진 그래픽 형태의 디스플레이 수단(16)을 포함한다.
이러한 매트릭스 스크린은 또한 터치-민감성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또한, 데이터베이스(15)의 제1 그룹(G1) 내의 결정된 식품(Ai)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제1 선택 수단(11), 및 제1 그룹(G1)에서 선택되는 결정된 조리법(Ri)의 선택된 결정된 식품(Ai 또는 복수 ΣxAi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데이터베이스(15)의 제2 그룹(G2) 내의 설명적 변수(X)의 제2 선택 수단(12)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선택 수단(11, 12)은 통합되며 회전식 선택 노브(17)를 포함하고, 회전식 선택 노브는 노브의 회전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선택을 하이라이트 하며, 노브(17)의 선택이 발생하는 평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따라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러한 선택을 유효하게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 특징에 따라, 제어 유닛(13)은, 쿠킹 기구(1)의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의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에 따라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하나 이상의 조합(ci)의 결정을 작동시키며, 상기 비표면적은,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 ΣxAi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설명적 변수(X)로부터 계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3)은,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를 포함하는 쿠킹 사이클(Ci)을 결정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어 유닛(1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4) 즉 선택 수단(11, 12) 및 디스플레이 수단(16)과 교환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이터베이스(15)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프로세싱 수단(19)을 포함한다.
비표면적은, 물체의 중량 또는 체적에 의해 나누어진 표면적을 지칭한다.
쿠킹은 식품에 대한 에너지/열 공급의 결과이다. 따라서, 식품의 쿠킹의 제어(쿠킹 시간)는 이러한 식품에 대한 열 전달을 제어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여러 가지 다른 방식, 즉
- 대류,
- 전도, 및
- 복사
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쿠킹 기구(1)의 경우에, 에너지 전달은 실질적으로 전도 및 대류에 의해 수행된다.
전도와 대류 사이의 비는 실현되는 조리법의 형태에 직접 의존한다. 예를 들면, 침지 쿠킹은 액체와 고체 사이의 대류 현상을 발생시키고, 증기 쿠킹은 대류 및 전도 현상에 더하여 상 변화로 인한 에너지 전달을 발생시키며, 액체 없이 쿠킹 챔버(2)의 바닥과의 접촉에 의한 쿠킹은 주로 전도에 의한 쿠킹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결정된 식품(Ai)의 유닛 요소의 핵심부로의 에너지 전달은 전도에 의해서만 달성된다.
이들 쿠킹 모드 각각에 대해, 식품에 전달되는 에너지 양(Q), 및 따라서 간접적으로는 이러한 식품을 쿠킹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이러한 식품의 비표면적에 의존한다.
전도의 경우에,
Figure pct00001
여기에서,
- Q.("Q 돗트"라고 읽음)는 열 흐름이고, 왓트(W)로 표현된다.
- K는 실험적으로 결정된 재료의 열 전도율(W.m-1.K-1)이고, 이러한 변수는 현재 결정된 식품(Ai)(육류 형태, 채소 형태, ...)에 의존한다.
- A는 열 흐름(고려되는 축(x)에 대해 직각임)에 대해 직각인 표면 영역이며, 이러한 변수는 비표면적(유닛 요소가 작을수록, A는 식품의 동일한 질량에 대해 더 클 것임)에 직접 링크된다.
- T는 온도(켈빈)이다.
- x는 고려되는 축이다.
대류의 경우에, 열 흐름은
φ = hS(TS - T)
에 의해 주어진다.
여기에서,
- φ는 열 흐름(W)이다.
- h는 열 전달 계수(W.m-2.K-1)이고,
Figure pct00002
여기에서,
- △Q는 전달된 에너지(J ⇔ W.s ⇔ kg.m2.s-2)이다.
- A는 교환 표면적(m2)이다.
- △T는 교환 표면 영역의 양쪽의 온도 차이(K 또는 ℃)이다.
- △t는 시간 간격(s)이다.
- S는 고려되는 식품의 표면적(m2)이다.
- Ts는 2개의 매체 사이의 한계에서의 식품의 표면 온도(K 또는 ℃)이다.
- T는 고려되는 식품의 핵심부에서의 온도(K 또는 ℃)이다.
전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결정된 식품(Ai)의 유닛 요소의 비표면적은, 이러한 유닛 요소로 전달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가진다.
이러한 에너지가 일단 유닛 요소의 표면에 전달되면, 에너지는 유닛 요소의 핵심부로 고체/고체 전도에 의해 전달된다. 이러한 전달 자체는 고려되는 식품의 열전달율 및 따라서 식품의 형태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열 전달에 영향을 주는 주요 물리량은,
- 식품(Ai)의 결정된 형태에 대해 일정한, 데이터베이스(15)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쿠킹 기구(1)의 사용자에 의해 규정되는 설명적 변수(X) 내에 있지 않은 열전도율,
- 쿠킹 기구(1)의 사용자에 의해 규정되는 설명적 변수(X)의 부분인, 식품의 절단 형태에 의존하는 비표면적, 및
- 역시 쿠킹 기구(1)의 사용자에 의해 규정되는 설명적 변수(X)의 부분인,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되는 결정된 식품(Ai)의 전체 양
이다.
이러한 후자의 양인,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되는 결정된 식품(Ai)의 전체 양은 예를 들면 조리법을 선택하는 경우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조리법이 쿠킹되는 목표가 되는 사람의 수(N)의 선택은 조리법에 사용되는 결정된 재료의 전체 양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고, 1일당 재료의 양은 정량화된다.
따라서,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되는 결정된 식품(Ai)의 형태, 및 절단 형태를 규정함으로써 이러한 결정된 식품(Ai)의 형상 및/또는 사이즈의 설명적 변수(X)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의 작동은 결정된 쿠킹 사이클(Ci)의 식별에 필수적이다.
이들 2개 이상의 설명적 변수(X)를 알지 못하면 대다수의 여러 가지 다른 식품 또는 재료(Ai)를 위한 올바른 쿠킹 시간(t)을 세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
조리법(Ri)을 선택할 때, 식품의 형상 및/또는 사이즈, 특히 예를 들면 육류, 또는 링으로 절단될 수 있는 당근과 같은 특정 채소를 위한 재료 절단의 형태에 의해 정의되는 형상, 및 예를 들면 완두콩 또는 비트(beet)와 같은 채소를 위한 그 사이즈, 작음 또는 큼과 같은 특정 설명적 변수(X)가 사전 선택될 수 있다.
절단의 형태 및 양에 기초하는 조리법의 몇몇 식품 또는 재료의 쿠킹 시간은 본 설명의 끝에 있는 부록의 표3에 예로서 주어졌다.
가열 컴포넌트(3)의 제어 유닛(13)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조리법(Ri)에 따른 쿠킹 변수(ti, Ti)의 하나 이상의 조합(ci)의 결정을 작동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따라서, 표 3에서, 제1 결정된 절단 형태에 따른 결정된 재료의 결정된 양의 쿠킹 시간(ti)은 동일한 재료의 동일한 양의 쿠킹 시간보다 높을 수 있지만, 제2 절단 형태를 위해서는 제1 절단 형태의 비표면적보다 작은 재료의 비표면적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 3에서, 이러한 구성이 특히 쇠고기에 대해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재료로서 쇠고기를 통합하는 특정 조리법에서, 조각으로 절단되는 쇠고기는 35분의 끓임을 필요로 하는 반면에, 조각으로 절단되는 쇠고기의 비표면적보다 작은 쇠고기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로스트 쇠고기를 통합하는 조리법은 단지 22분의 쿠킹 시간을 필요로 하여, 로스트의 쿠킹은 덜 익힌 상태로 머문다.
조리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단지 쿠킹 챔버(2) 내로 도입되어야 할 결정된 재료(Ai)의 전체 양을 계산하기 위해, 조리법이 쿠킹되어야하는 목표의 사람의 수(n)를 규정하기만 하면 된다.
결정된 재료(Ai)의 상태 즉 신선함 또는 냉동 역시 설명적 변수(X)에 규정될 수 있다.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되는 결정된 재료(Ai)의 전체 중량, 및 결정된 재료(Ai)의 상태에 따른 예열 또는 더 긴 쿠킹 시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침지, 증기 또는 접촉에 의한 열 전달의 형태, 및 필요한 쿠킹의 레벨 예를 들면 덜 익힘, 중간, 바삭바삭, 연함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 정보는 사용자의 기호(Pref)를 구성할 뿐이어서, 식품 또는 결정된 재료(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를 본질적인 방식으로 기술하는 설명적 변수(X)가 아니다.
이들 기호(Pref)는 데이터베이스(15)의 제3 그룹(G3)으로 그룹핑되며, 사용자가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른 2개의 선택 수단(11, 12)과 통합되는 제3 선택 수단(18)을 사용함으로써 선택된다.
제3 그룹(G3)의 기호의 제한된 목록은 본 설명의 끝에 있는 부록의 표 1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13)은, 예를 들면 쿠킹 사이클의 동일한 시퀀스를 반복하여 적용함으로써, 쿠킹 사이클(t, T)의 실시 동안에 이들 기호(Pref)를 고려한다.
쿠킹 사이클(Ci)은, 상술한 설명적 변수(X) 및 옵션으로 사용자의 기호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도록 외삽된 시험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쿠킹 사이클은 데이터베이스(15)에 영구적으로 정의 및 저장되고, 쿠킹 기구(1)의 제조시에 수정될 수 없다.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하나 이상의 결정된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를 포함하는 이들 쿠킹 사이클(Ci)은 데이터베이스(15)에서 제4 그룹(G4)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4 그룹(G4)은 본 설명의 끝에 있는 부록의 표 1에 지침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시퀀스의 각각의 결정된 조합(ci)은,
- 제1 그룹(G1)의 결정된 식품(Ai) 또는 결정된 조리법(Ri), 및
- 제2 그룹(G2)의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에서 결정된 식품(Ai) 또는 하나 이상의의 재료(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설명적 변수(X)
의 가능한 조합과 관련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13)의 프로세싱 수단(19)에 의한 쿠킹 사이클(Ci)의 결정은,
- 제1 그룹(G1) 내의 결정된 식품(Ai) 또는 결정된 조리법(Ri), 및
- 제1 그룹(G1)에서 선택된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에서 선택된 결정된 식품(Ai) 또는 하나 이상의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데이터베이스(15)의 제2 그룹(G2) 내의 설명적 변수(X)
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4 그룹(G4)의 결정된 쿠킹 사이클(Ci)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쿠킹 사이클(Ci)의 결정된 조합(ci)의 특정 시퀀스의 연속은 제3 그룹(G3)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용자 기호(Pref)에 의존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은, 본 설명의 끝에 있는 부록의 표 1에 도시된 각각의 요소들 사이에 위치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제4 그룹(G4), 및 다른 3개의 그룹(G1, G2, G3)은, 연결 수단(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서버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통해 상기 장치가 연결되는 원격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0)는 쿠킹 기구(1)에 통합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어 장치(10)는 쿠킹 기구(1)와 각각 바람직하게 무선인 제1 통신 수단(21) 및 제2 통신 수단(22)을 통해 통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0) 및 쿠킹 기구(1)는 쿠킹 조립체(100)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20)일 수 있다.
프로세싱 수단(19)은 따라서, 제1 통신 수단(21)을 통과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스하고 가열 컴포넌트(3)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쿠킹 기구(1) 내에 위치되는 제1 데이터 프로세싱 수단(19a), 및 스마트폰의 데이터 프로세싱 수단과 통합될 수 있고 제2 통신 수단(22), 데이터베이스(1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선택 수단(11, 12, 13) 및 디스플레이 수단(16)을 통과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스하는 제2 데이터 프로세싱 수단(19b)으로 분할된다.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쿠킹 기구(1)에서 결정된 조리법(Ri)의 결정된 식품(Ai) 또는 복수의 재료의 쿠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트 송아지 고기의 쿠킹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스텝(a)에서, 사용자는 제1 선택 수단(11)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 내의 제1 그룹(G1) 내의 송아지 고기를 선택함으로써 시작한다.
제2 스텝(b)에서, 사용자는, 제2 선택 수단(12)을 사용하여, 설명적 변수(X)의 제2 그룹(G2)으로부터, 제1 그룹(G1)으로부터 선택된 송아지 고기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를 선택한다.
도시된 예에서, 이들 변수들은 육류의 절단 형태에 관련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절단 형태는 로스트이고 그 양은 1000 그램이다.
제3 스텝(c)에서, 제어 유닛(13)은 로스트 송아지 고기의 비표면적에 따라 쿠킹 변수(ti, Ti)를 결정하며, 상기 비표면적은 로스트 송아지 고기의 질량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쿠킹 기구(1)를 사용하여, 조리법의 복수의 재료의 쿠킹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굴래쉬(goulash)의 조리법(Rgoulash)을 준비하기 위한 스텝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한 조리법(Rgoulash)의 준비를 위해 필요한 재료, 그 준비를 위해 고려할 설명적 변수(X), 및 사용자의 기호가 본 설명의 끝에 있는 부록의 표 2에 그룹핑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제1 선택 수단(11)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제1 그룹(G1) 내의 결정된 조리법(Ri)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제1 스텝(a)을 포함한다.
그렇게 하여, 디스플레이 수단(16)은 사용자에게, 쿠킹하기 원하는 조리법을 선택하도록, 사용자가 훑어볼 수 있는 조리법의 목록을 보여준다.
조리법 목록을 훑어보는 것은 회전식 선택 노브(17)를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되며, 선택을 유효화하는 것은, 노브(17)가 회전하는 평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따라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는 굴래쉬 조리법(Rgoulash)을 쿠킹하는 것을 선택한다.
조리법(Rgoulash)을 쿠킹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사람의 수(N)를 사용자에게 선택하라고 요구하는 제2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수단(16)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선택은 제2 스텝(b)을 구성하며, 제2 스텝에서, 사용자는, 제2 선택 수단(12)을 사용하여, 설명적 변수(X)의 제2 그룹(G2)으로부터, 제1 그룹(G1)으로부터 선택된 결정된 조리법(Rgoulash)의 복수의 재료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재료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제2 선택 수단(12)은 제1 선택 수단(11)과 통합되며, 회전식 선택 노브(17)에 의해 형성된다.
선택된 결정된 조리법(Rgoulash)의 복수의 재료에 대한 설명적 변수(X)는, 결정된 조리법(Rgoulash)을 수행하는 목적인 사람의 수(N)에 관련된다.
이러한 사람의 수(N)는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될 결정된 재료의 전체 양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3 스텝(c)에서, 제어 유닛(13)은 따라서, 쿠킹 기구(1)의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되는 결정된 재료(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비표면적에 따라, 쿠킹 변수(ti, Ti)의 결정된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를 포함하는 쿠킹 사이클(Cgoulash)을 결정하며, 상기 비표면적은, 데이터베이스(15)의 제2 그룹(G2) 내의 결정된 조리법(Rgoulash)의 선택, 및 설명적 변수(X)의 제2 그룹(G2)으로부터의, 선택된 결정된 조리법(Rgoulash)의 복수의 재료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재료의 선택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지침으로서, 제어 유닛(13)은, 디스플레이 수단(16)에, 계산된 준비 시간, 및 쿠킹 사이클(Cgoulash)의 결정된 조합(ci)의 모든 시퀀스의 시간의 합에 대응하는 결정된 쿠킹 시간을 표시한다.
제1 종속 스텝(c')은, 디스플레이 수단(16)에, 조리법(Rgoulash)을 위해 필요한 재료(Ai), 및 선택된 사람의 수(N)를 위한 재료의 양, 및 선택된 절단의 형태 예를 들면 입방체로 절단되는 쇠고기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회전식 선택 노브(17)를 사용하여 재료의 목록을 스크롤할 수 있다.
제2 종속 스텝(c")은, 사용될 재료(Ai)를 알고난 후에 이러한 조리법(Rgoulash)을 실현하기를 참으로 원하는지 확인하라고 요구한다.
부정의 반응의 경우에는, 새로운 조리법(Ri)을 선택하도록 되돌릴 수 있는 메인 메뉴로 사용자를 복귀시킨다.
긍정의 반응의 경우에는, 쿠킹 사이클(Cgoulash)을 시작하는 것, 특히 이러한 사이클(Cgoulash)의 결정된 조합(ci)의 제1 시퀀스를 시작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도면 쿠킹 방법의 제4 스텝(d)으로 간다.
이러한 사이클(Cgoulash)의 결정된 조합(ci)의 제1 시퀀스는, 쿠킹 변수(ti, Ti)에 기초하여 쿠킹 챔버(2)의 예열에 대응하며, ti는 30분과 같고, Ti는 조리법(Rgoulash)의 이러한 스테이지에서 쿠킹 챔버(2) 위에 뚜껑(4)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대기압(P1)에서 조리법(Rgoulash)의 제1 재료를 브라우닝할 수 있는 온도에 대응하는 136℃와 같다.
제5 스텝(e)에서,디스플레이 수단(16)은,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될 굴래쉬 조리법(Rgoulash)의 제1 재료들, 이러한 경우에 절단된 양파, 다음에는 입방체로 절단된 육류를 나타내며, 그 전체 양은 선택된 설명적 변수(X), 이러한 경우에는 4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6 스텝(a)에서, 굴래쉬 조리법(Rgoulash)의 이들 제1 재료들의 도입을 수행한다.
제7 스텝(g)은 결정된 조합(ci)의 제1 시퀀스를 적용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즉, 이들 제2 재료들의 예비 쿠킹 또는 브라우닝을 수행하기 위해, 이러한 제1 시퀀스를 형성하는 결정된 조합(ci) 내의 결정된 시간의 끝까지 대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7 스텝(g)을 따라서, 육류 및 양파의 브라우닝 동안에, 제어 유닛(13)은, 이들 제1 재료의 브라우닝과 관련하여 기호(Pref)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자를 위해 디스플레이 수단(16)에 질문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종속 스텝(g')을 수행한다.
사용자 기호를 안내하기 위해, 이러한 쿠킹 기호(Pref)는 데이터베이스(15)의 제3 그룹(G3)의 이러한 조리법(Rgoulash)을 위해 사전 선택된다.
질문은, 사용자가 육류 및 양파을 브라우닝하는 것을 계속하기를 원하는지를 체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예라고 답하면, 제어 유닛(13)은 쿠킹 사이클(Cgoulash)의 결정된 조합(ci)의 제1 시퀀스를 반복할 것이다.
그러나 반복의 회수는 최대 시간 30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세팅된다.
사용자가 아니오라고 답하면, 쿠킹 방법은 제8 스텝(h)으로 전환하기 전에 결정된 조합(ci)의 제1 시퀀스에 표시된 시간의 끝을 기다릴 것이다.
제8 스텝(h)은 선택된 설명적 변수에 기초하여, 이러한 경우에는 사람의 수(N)에 기초하여 쿠킹 챔버 내로 도입되어야 할 선택된 조리법(Rgoulash)의 하나의 재료 또는 다른 재료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굴래쉬 조리법(Rgoulash)에서, 상기 다른 재료는 나머지 재료로 구성된다.
다른 조리법에서, 이러한 스텝은 단지 하나의 재료를 규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8 스텝(h)은 자연스럽게 쿠킹 챔버(2) 내에 나머지 재료를 도입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제9 스텝(i)으로 향한다.
제10 스텝(j)에서, 제어 유닛(13)은, 쿠킹 사이클(Cgoulash)의 결정된 조합(c2)의 다른 시퀀스를 적용하며, 상기 결정된 조합의 결정된 쿠킹 변수(t2, T2)는 쿠킹 챔버(2) 내에서 이미 발견된 재료 및 후에 첨가된 나머지 재료의 쿠킹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이러한 스테이지에서, 쿠킹 기구(1)의 뚜껑(4)은 아직 닫히지 않아, 쿠킹 챔버(2) 내로의 나머지 식품의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13)은, 쿠킹 사이클(Cgoulash)의 결정된 조합(c2)의 새로운 시퀀스의 쿠킹 변수로 쿠킹 챔버(2)를 준비하도록 의도된 일련의 질문을 사용자에게 미리 보낸다.
이들 질문 중의 종속 스텝(j')을 구성하는 제1 질문은 용기(2)의 존재를 입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용기(2)가 없으면, 제어 유닛(13)은 사용자에게, 용기(2)를 삽입해야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디스플레이 수단(16)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낸다.
용기(2)가 존재하면, 뚜껑(4)의 폐쇄 및 잠김을 체크하며, 그것은 제2 종속 스텝(j")을 구성하는 제2 질문을 일으킨다.
뚜껑이 폐쇄 및 잠기지 않았으면, 제어 유닛(13)은 사용자에게, 뚜껑(4)을 폐쇄해야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디스플레이 수단(16)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낸다.
뚜껑이 폐쇄 및 잠겼으면, 제어 유닛(13)은 쿠킹 변수(t1', T1')에 기초하는 다른 예열에 대응하는 쿠킹 사이클(Cgoulash)의 새로운 결정된 조합(c1')을 시작하며, T1'는 115℃와 같다.
예열의 끝에서, 제어 유닛(13)은 쿠킹 사이클(Cgoulash)의 새로운 결정된 조합(c2)을 적용한다.
쿠킹 사이클(Cgoulash)의 결정된 조합(c2)의 시퀀스에 표시된 쿠킹 시간의 끝에서, 쿠킹 챔버(2)의 내용물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종속 스텝(j")은 쿠킹 사이클(Cgoulash)의 새로운 결정된 조합(c3)을 시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쿠킹 방법은 또한, 적용될 수 있는 경우에, 조리법의 식품을 모두 도입하고 결정된 쿠킹 사이클(Ci)의 마지막 시퀀스를 완료할 때까지, 상기 방법을 제8 스텝(h)으로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제11 스텝을 포함한다.
조리법(Rgoulash)의 경우에, 이러한 스텝은 적용되지 않는데, 그것은 조리법(Rgoulash)이,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될 재료의 도입 및 따라서 표시의 2개의 상(phases)만 포함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쿠킹 방법은, 사용자에게 조리법의 준비를 계속하기를 원하는지 묻는 것으로 구성되는 추가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요청은 예를 들면 쿠킹 사이클(Ci)의 결정된 조합(ci)의 각각의 시퀀스의 끝에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사용자가 어떤 때라도 조리법의 준비를 중단할 수 있게 하는 중단 수단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주의를 끄는 것은, 제어 유닛(13)에 의해 제어되는 경고 수단(23),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경우에 중단 삑 소리, 또는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현존하는 진동 또는 울림 수단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여러 가지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일 뿐이다. 이들 여러 가지 실시예의 대안이 고려될 수 있고, 여러 가지 설명된 실시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다.
부록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Claims (16)

  1. 쿠킹 기구(1)의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쿠킹 기구(1)의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비표면적에 따라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하나 이상의 조합(ci)을 결정하도록 배치된 제어 유닛(13)을 포함하며,
    상기 비표면적은,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재료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설명적 변수(X)로부터 계산되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를 포함하는 쿠킹 사이클(Ci)을 정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3)은, 상기 결정된 식품의 형태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형태를 고려함으로써 쿠킹 변수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결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1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 상기 쿠킹 기구(1)의 상기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되도록 의도된 결정된 식품(Ai) 및/또는 복수의 결정된 재료(Ai)를 포함하는 결정된 조리법(Ri)을 포함하는 제1 그룹(G1), 및
    - 상기 제1 그룹(G1)의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및/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설명적 변수(X)를 포함하는 제2 그룹(G2)
    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 상기 데이터베이스(15)의 상기 제1 그룹(G1) 내의 결정된 식품(Ai)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제1 선택 수단(11), 및
    - 상기 제1 그룹(G1)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상기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상기 데이터베이스(15)의 상기 제2 그룹(G2) 내의 설명적 변수(X)의 제2 선택 수단(12)
    을 포함하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매트릭스 스크린을 가진 그래픽 형태의 디스플레이 수단(1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선택 수단(11) 및/또는 제2 선택 수단(12)은 회전식 선택 노브(17)를 포함하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상기 설명적 변수(X)는, 상기 유닛 요소의 형상 및/또는 사이즈를 포함하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상기 설명적 변수(X)는, 유닛 요소의 양, 특히 그들의 전체 중량을 포함하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상기 설명적 변수(X)는, 상기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의 상태, 특히 냉동되었거나 신선함을 포함하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4항에 종속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5)의 제3 그룹(G3) 내의 사용자의 기호(Pref), 특히 쿠킹의 모드, 예를 들면 증기 쿠킹, 침지 쿠킹, 브라우닝 쿠킹, 및 쿠킹의 수준, 예를 들면 덜 익힘, 중간, 바삭거림, 연함의 제3 선택 수단(18)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13)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호(Pref)에 따라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조합(ci)을 결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4항에 종속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15)는,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결정된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sequential series)를 포함하는 쿠킹 사이클(Ci)의 제4 그룹(G4)을 포함하며,
    쿠킹 변수의 시퀀스(sequence)의 각각의 결정된 조합(ci)은,
    - 상기 제1 그룹(G1)의 상기 결정된 식품(Ai)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
    - 상기 제2 그룹(G2)의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상기 설명적 변수(X), 및
    적용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제3 그룹(G3)의 상기 기호(Pref)
    중 가능한 조합과 관련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닛(13)에 의한 상기 쿠킹 사이클(Ci)의 결정은,
    - 상기 제1 그룹(G1) 내의 결정된 식품(Ai) 또는 결정된 조리법(Ri),
    - 상기 제1 그룹(G1)에서 선택된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상기 데이터베이스(15)의 상기 제2 그룹(G2) 내의 설명적 변수(X), 및
    적용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제3 그룹(G3)에서 선택된 상기 기호(Pref)
    에 따라 상기 제4 그룹(G4)의 쿠킹 사이클(Ci)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쿠킹 기구의 제어 장치.
  11.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Ai)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쿠킹 챔버(2),
    상기 쿠킹 챔버(2)의 가열 컴포넌트(3),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장치(10)
    를 포함하는, 쿠킹 기구(1).
  12. 조립체(100)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쿠킹 기구(1)를 포함하며,
    상기 쿠킹 기구(1)는,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Ai)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쿠킹 챔버(2),
    상기 쿠킹 챔버(2)의 가열 컴포넌트(3), 및
    제1 통신 수단(21)
    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장치(1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10)는, 상기 쿠킹 기구(1)의 상기 제1 통신 수단(21)과 통신하도록 배치된 제2 통신 수단(22)을 더 포함하는,
    조립체(100).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따른 쿠킹 기구(1)에서 결정된 식품(Ai)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Ai)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쿠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쿠킹 기구(1)의 쿠킹 챔버(2) 내에 도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비표면적에 따라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하나 이상의 조합(ci)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표면적은,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설명적 변수(X)로부터 계산되는,
    쿠킹 방법.
  14. 쿠킹 방법에 있어서,
    (a) 제1 선택 수단(11)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의 제1 그룹(G1)에서 결정된 식품(Ai) 또는 결정된 조리법(Ri)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베이스(15)의 제2 그룹(G2)으로부터, 제2 선택 수단(12)을 사용하여, 상기 제1 그룹(G1)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결정된 식품(Ai)의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 또는 상기 결정된 조리법(Ri)의 복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료의 설명적 변수(X)를 선택하는 단계, 및
    (c) 제13항에 따른 쿠킹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쿠킹 방법.
  15. 제14항에 따른 조리법의 복수의 재료(Ai)의 쿠킹 방법에 있어서,
    (d) 결정된 쿠킹 변수(ti, Ti)의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를 포함하는 결정된 쿠킹 사이클(Ci)을 시작하는 단계,
    (e)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X)에 기초하여 상기 쿠킹 챔버(2) 내로 도입될 상기 선택된 조리법(Ri)의 제1 재료(Ai)를 나타내는 단계,
    (f)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X)에 따라 상기 쿠킹 챔버(2) 내로 상기 선택된 조리법(Ri)의 제1 재료(Ai)를 도입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1 재료(Ai)의 사전 쿠킹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쿠킹 사이클(Ci)에 포함되는 상기 쿠킹 변수(ti, Ti)의 상기 결정된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의 제1 시퀀스를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쿠킹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h)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X)에 기초하여 상기 쿠킹 챔버(2) 내로 도입될 상기 선택된 조리법(Ri)의 하나의 재료 또는 다른 재료(Ai)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계,
    (i)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X)에 따라 상기 쿠킹 챔버(2) 내로 상기 선택된 조리법(Ri)의 표시된 하나의 재료 또는 다른 표시된 재료(Ai)를 도입하는 단계,
    (j) 상기 쿠킹 챔버(2) 내에서 이미 발견된 상기 재료(Ai) 및 이러한 재료 또는 이들 다른 재료(Ai)의 사전 쿠킹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쿠킹 사이클(Ci)에 포함되는 상기 쿠킹 변수(ti, Ti)의 상기 결정된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의 다른 시퀀스를 적용하는 단계, 및
    (k) 적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조리법(Ri)의 모든 재료(Ai)를 도입하고, 상기 결정된 쿠킹 사이클(Ci)의 상기 쿠킹 변수(ti, Ti)의 상기 결정된 조합(ci)의 순차적 시리즈의 마지막 시퀀스를 완료할 때까지, 상기 선택된 설명적 변수(X)에 기초하여 상기 쿠킹 챔버(2) 내로 도입될 상기 선택된 조리법(Ri)의 하나의 재료 또는 다른 재료(Ai)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계로 구성되는 단계(h)를 시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쿠킹 방법.
KR1020147016515A 2011-11-18 2012-11-16 쿠킹 장치 KR101960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60507 2011-11-18
FR1160507A FR2982756B1 (fr) 2011-11-18 2011-11-18 Dispositif de cuisson
PCT/FR2012/052652 WO2013072640A1 (fr) 2011-11-18 2012-11-16 Dispositif de cuis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484A true KR20140112484A (ko) 2014-09-23
KR101960824B1 KR101960824B1 (ko) 2019-03-21

Family

ID=4714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515A KR101960824B1 (ko) 2011-11-18 2012-11-16 쿠킹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86099B2 (ko)
EP (1) EP2594169B1 (ko)
JP (1) JP6265382B2 (ko)
KR (1) KR101960824B1 (ko)
CN (2) CN103120540B (ko)
AU (1) AU2012338611B2 (ko)
CA (1) CA2855773C (ko)
ES (1) ES2542082T3 (ko)
FR (1) FR2982756B1 (ko)
WO (1) WO20130726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565A (ko) * 2015-09-21 2017-03-29 김경희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6613A1 (en) * 2012-03-10 2013-09-12 Marta Phillips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30236614A1 (en) * 2012-03-10 2013-09-12 Hamilton Beach Brands, Inc. Kitchen Appliance & Method of Using Same
CN102813444B (zh) * 2012-05-31 2015-03-04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显示单元的电炊具及其显示方法
US20150064314A1 (en) * 2013-08-27 2015-03-05 David Briden Manuel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d adjusting a temperature of an object
CN105611861A (zh) * 2013-10-09 2016-05-25 双识国际 用于烹饪食物的设备
CN103598804A (zh) * 2013-11-08 2014-02-2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电热锅
WO2015071112A1 (en) 2013-11-14 2015-05-21 Koninklijke Philips N.V. Smar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705123A (zh) * 2013-12-04 2014-04-0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控制方法和装置
US20160331179A1 (en) * 2014-05-16 2016-11-17 Technology Licensing Corporation Touchscreen controller for fryer
WO2016007354A1 (en) * 2014-07-07 2016-01-14 ChefSteps,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related to providing customized cooking instruction
DE102014112115A1 (de) 2014-07-30 2016-02-0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erarbeitung eines Nahrungsmittels nach vorbestimmten Rezeptdaten mit einem elektrischen Küchengerät
JP6257496B2 (ja) * 2014-10-24 2018-01-10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WO2016106127A1 (en) 2014-12-22 2016-06-30 ChefSteps, Inc. Food preparation guidance system
USD772294S1 (en) * 2014-12-23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4510329B (zh) * 2015-01-16 2017-01-25 孙昊 烹饪器具的菜谱生成系统及烹饪器具
US10009965B2 (en) * 2015-01-28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s detection apparatus,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es
ES2585936B1 (es) * 2015-04-09 2017-07-18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JP6902019B2 (ja) 2015-07-21 2021-07-14 ブレビル ユーエスエー インクBreville USA, Inc. 食品調製制御システム
CN108463780A (zh) 2015-11-16 2018-08-28 厨师步骤有限公司 数据整合和个性化远程控制的烹饪设备
CH712659A1 (de) * 2016-07-08 2018-01-15 V-Zug Ag Generierung eines Garprozesses.
RU2019131577A (ru) 2017-03-07 2021-04-0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отовки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EP3400856A1 (en) 2017-05-10 2018-11-14 Koninklijke Philips N.V. A method and cook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materials
CN107198439A (zh) * 2017-06-28 2017-09-26 惠州市斯坦利科技有限公司 电饭煲的烹饪方法及电饭煲
CN109691904B (zh) * 2017-10-24 2022-09-2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烹饪方法、服务器及计算机存储介质
US11213158B2 (en) 2018-08-29 2022-01-04 Breville USA, Inc. Cooking system
CA186711S (en) * 2019-03-28 2020-10-15 Instant Brands Inc Cooker
CN110794704B (zh) * 2019-11-28 2022-08-2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参数的确定方法、烹饪装置以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098419A (zh) * 2020-08-28 2022-03-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532860A (zh) * 2020-11-27 2022-05-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制作方法、系统、设备、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625A (ja) * 1990-03-20 1991-12-03 Sharp Corp 食品調理制御システム
JPH08136355A (ja) * 1994-11-08 1996-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材内部の温度推定方法
JP2009529646A (ja) * 2006-03-08 2009-08-20 プレ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調理用オーブンおよび複数の調理技術を利用した関連方法
JP2009281691A (ja) * 2008-05-26 2009-12-03 Panasonic Corp 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345A (en) 1971-02-01 1974-08-06 Robertshaw Controls Co Computer cooking means
US4568810A (en) 1984-01-17 1986-02-04 The Tappan Company Oven cooking control system with scanning display
US4649810A (en) 1985-08-22 1987-03-17 Wong Don M Automatic cooking apparatus
US5893051A (en) * 1994-09-27 1999-04-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estimating temperature inside material to be cooked and cooking apparatus for effecting same
US5981916A (en) * 1998-06-12 1999-11-09 Emerson Electric Co. Advanced cooking appliance
WO2001070087A2 (en) * 2000-03-20 2001-09-27 Global Tv Market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oking
US6953919B2 (en) 2003-01-30 2005-10-11 Thermal Solutions, Inc. RFID-controlled smart range and method of cooking and heating
JP2005046619A (ja) * 2003-07-15 2005-02-24 Michiaki Nagai 内釜式調理器およびその内釜に取り付ける内釜内装紙
DE10332021B3 (de) 2003-07-15 2005-04-14 Diehl Ako Stiftung & Co. Kg Verfahren zum Bestimmen von Parametern eines Garprozesses eines Nahrungsmittels und dieses benutzende Steuervorrichtung
DE102004062737A1 (de) * 2004-12-27 2006-07-13 Rational Ag Gargerät, enthaltend mindestens ein Gassensorarray, sowie ein Verfahren zum Garen mit diesem Gargerät, ein Verfahren zum Reinigen dieses Gargeräts und ein Probenentnahmesystem
CN101263344A (zh) * 2005-08-30 2008-09-10 特博切夫技术有限公司 选择系统和方法
AU2007207961B2 (en) 2006-01-26 2010-06-10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controlling cooker
US7913615B2 (en) * 2006-04-28 2011-03-29 Restaurant Technology, Inc. Automated dual cooking surface grill and method
DE102007031372B4 (de) 2007-07-05 2013-04-11 It-Designers Gmbh Küchenmaschine
DE102007059236A1 (de) 2007-12-07 2009-06-1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omotorisch betriebene Küchenmaschine
US8419434B2 (en) 2008-04-15 2013-04-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recipe preparation using interactive cooking device to communicate with kitchen appliances
EP2149755B1 (en) * 2008-07-30 2012-12-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Ove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4675402B2 (ja) 2008-08-29 2011-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定期ケータリングシステム
US20100313768A1 (en) 2009-06-15 2010-12-16 Technology Licensing Corporation System for facilitating food preparation
DE102010060650A1 (de) 2009-11-25 2011-05-26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
DE102009058258A1 (de) 2009-12-10 2011-06-16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
DE102010016024B4 (de) 2010-03-19 2018-02-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625A (ja) * 1990-03-20 1991-12-03 Sharp Corp 食品調理制御システム
JPH08136355A (ja) * 1994-11-08 1996-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材内部の温度推定方法
JP2009529646A (ja) * 2006-03-08 2009-08-20 プレ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調理用オーブンおよび複数の調理技術を利用した関連方法
JP2009281691A (ja) * 2008-05-26 2009-12-03 Panasonic Corp 加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565A (ko) * 2015-09-21 2017-03-29 김경희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82756B1 (fr) 2013-11-08
WO2013072640A1 (fr) 2013-05-23
CN103120540B (zh) 2016-08-03
AU2012338611A1 (en) 2014-06-26
JP6265382B2 (ja) 2018-01-24
CA2855773C (fr) 2020-09-15
EP2594169A1 (fr) 2013-05-22
US20130125763A1 (en) 2013-05-23
KR101960824B1 (ko) 2019-03-21
JP2015504332A (ja) 2015-02-12
CN203263004U (zh) 2013-11-06
US9486099B2 (en) 2016-11-08
EP2594169B1 (fr) 2015-04-15
FR2982756A1 (fr) 2013-05-24
CN103120540A (zh) 2013-05-29
ES2542082T3 (es) 2015-07-30
CA2855773A1 (fr) 2013-05-23
AU2012338611B2 (en)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824B1 (ko) 쿠킹 장치
JP6902019B2 (ja) 食品調製制御システム
JP6839203B2 (ja) リモート制御された調理機器のためのデータの集約及び個人化
AU2017220002B2 (en) Wirelessly controlled cooking system
US20190320844A1 (en) Generating a cooking process
KR20190057020A (ko) 요리 시스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EP2769149A1 (en) Selection indicator ribbon for an oven user interface
JP2017522678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料理指示を提供するシステム、物品、及び方法
US20180267683A1 (en) Cooking system
US10120553B1 (en) User interface and controller for a heating system
JP6626564B2 (ja) 加熱調理器
WO2024043184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CN112965542B (zh) 智能烹饪设备控制方法、控制设备、智能终端
US20220039603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custom recipes
JP6626563B2 (ja) 加熱調理器
JP6626562B2 (ja) 加熱調理器
KR20240025388A (ko) 조리기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제어방법
JP2023077887A (ja) メニュー提供装置、メニュー提供システム、メニュー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18781A (ja) 消耗品処理システム
JP2011237125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