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073A -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073A
KR20140112073A KR1020147022391A KR20147022391A KR20140112073A KR 20140112073 A KR20140112073 A KR 20140112073A KR 1020147022391 A KR1020147022391 A KR 1020147022391A KR 20147022391 A KR20147022391 A KR 20147022391A KR 20140112073 A KR20140112073 A KR 20140112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ngitudinal direction
crimping
wire
c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003B1 (ko
Inventor
유키히로 카와무라
타카시 토노이케
사토시 타카무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48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combined with contact member manufactur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9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metal fusion 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피복(202)측에서의 수분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압착 접속 구조체(1), 수형 커넥터(20), 및 압착 접속 구조체(1)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절연 피복(202)에 대해 단단히 고정해서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131)와,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해 단단히 고정해서 압착하는 심선 압착부(132)로 일체로 구성한 배럴부(130)를 구비한 압착 단자(100)와 피복 전선(200)을 접속해서 구성하는 압착 접속 구조체(1)이며, 폭 방향(Y)에서의 단면 형상을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 배럴부(130)의 피복 압착부(131)의 내면에 압착 상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X)에 대한 수분 침입을 저지하는 수분방지(止水) 돌출부(134)를 배럴부(130)를 압착할 때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CONNECTED STRUCTUR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ED STRUCTUR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용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 등에 장착되는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에 장비된 전자 장비 기기는, 피복 전선을 묶은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 다른 전자 장비 기기나 전원 장치와 접속해서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와이어 하니스와 전자 장비 기기나 전원 장치는, 각각에 장착한 커넥터들로 접속되어 있다.
이 커넥터들은 피복 전선에 압착해서 접속한 압착 단자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요철(凹凸) 대응해서 접속되는 암형(雌型) 커넥터와 수형(雄型)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는 다양한 환경 아래에서 사용되므로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따른 결로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수분이 피복 전선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피복 전선의 표면을 타고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면 피복 전선의 선단에서 노출된 전선 도체의 표면이 부식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압착 단자에서 압착된 전선 도체에 대한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선의 수분방지(止水) 구조는, 전선의 심선을 압착하는 심선 배럴, 및 전선의 절연 피복층을 압착하는 절연 피복 배럴을 구비한 압착 단자에 있어서, 압착 단자에 압착한 전선의 절연 피복층과 함께 심선 배럴, 및 절연 피복 배럴을, 열 수축 튜브를 피복함으로써, 절연 피복층으로부터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선의 수분방지 구조는, 열 수축 튜브를 장착하는 공정, 및 열 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아울러 열 수축 튜브를 확실하게 수축시키는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선의 심선을 압착한 심선 배럴에 대한 수분방지에 막대한 공수(工數)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또한, 열 수축 튜브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와 변질을 억제하기 어려우며 열 수축 튜브가 변형이나 파손되어 수분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1-8191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복체 쪽에서의 수분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 도체(導體)의 외주(外周)를 절연성의 피복체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상기 피복체의 선단 근방에 단단히 고정해서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와, 상기 피복체의 선단에서 상기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노출된 상기 전선 도체에 단단히 고정해서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로 구성한 배럴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와 상기 피복 전선을 접속해서 구성하는 접속 구조체이며, 상기 배럴부를, 상기 피복 전선의 짧은 쪽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을 상기 피복체를 포위하는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해서 형성한 상기 피복 압착부와, 상기 피복 압착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하면서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을 상기 전선 도체를 포위하는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도체 압착부로 구성하고, 상기 피복 압축부의 내면과 상기 피복체의 외면의 경계에 상기 배럴부를 압착할 때 형성한 수분방지(止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럴부는, 내부 중공 형상의 클로즈 배럴 형식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폐쇄 단면 형상은, 단부(端部)를 용착(溶着)해서 형성한 폐쇄 단면 형상, 또는 서로 겹치게 한 단부를 용착해서 일체로 형성한 폐쇄 단면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접속 구조체는 피복체 측으로부터의 수분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짧은 쪽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폐쇄 단면 형상의 피복 압착부 및 도체 압착부와 수분방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배럴부는 피복체 측의 단부에서 피복 압착부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럴부에서의 전선 도체측 단부를 씰링(seal)하거나 밀봉함으로써 배럴부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서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피복체와 피복 압착부의 경계에 상기 배럴부를 압착할 때에 형성된 수분방지(止水)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접속 구조체는, 외부 공기로의 노출로 인한 수분방지 수단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 등을 억제하면서 외적 요인에 의한 수분방지 수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구조체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의 피복 압착부의 내부에 대한 수분 침투를 확실하고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구조체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의 피복 압착부의 내부에 대한 수분 침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수분방지 수단을, 상기 피복 압착부에 형성하면서 상기 피복체를 상기 짧은 쪽 방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로 구성하고, 그 압축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형성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보아서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면을 따라 빈틈없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짧은 쪽 방향으로 압축이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피복체를 압축, 또는 피복체의 지름 방향 중심을 향해서 피복체를 압축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접속 구조체는, 피복체와 피복 압착부의 틈새에서 침입한 수분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부에서 피복체를 짧은 쪽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피복체의 반발력에 의한 피복체와 피복 압착부와의 틈새를 확실히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복체에 대해서 피복 압착부를 단단히 고정시킬 때, 피복 압착부의 변형에 따라 생기는 틈새를 확실히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피복 압착부에 압축부를 형성함으로써 외적 요인에 의한 손상이나 변질을 억제할 수 있으며 피복 압착부의 내부에 대한 수분 침투를 보다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길이 방향에서 보아서 압축부를 빈틈없이 형성함으로써 압착 상태에서의 피복 압착부의 내부에 대한 수분 침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구조체는, 피복체와 피복 압착부의 틈새을 확실히 막는 압축 부에 따라 수분 방지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축부를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면에서 상기 피복 전선의 짧은 쪽 방향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 형상은, 길이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볼록 형상, 산 형상 또는 피복 압착부의 직경을 축소한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접속 구조체는, 압축부에 의한 수분 방지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부를 돌출 형상으로 함으로써, 피복체를 보다 확실하게 압축할 수 있다. 게다가 돌출 형상의 압축부에 따라 피복체가 요철 형상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수분의 침투 경로를 복잡화, 및 침입 경로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복체와 피복 압착부의 틈새에 침입한 수분이 전선 도체에 도달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압착에 의해 돌출 형상의 압축부가 피복체에 파고들어가기 때문에 만일 길이 방향으로 빼내는 힘(引拔力)이 가해져도 피복 전선이 압착 단자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구조체는, 압축부를 돌출 형상으로 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피복체의 선단 근방에서의 외주면에 방수성을 갖는 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씰 부재는 방수성을 가진 수지재로 구성되며, 피복 압착부의 내주면, 또는 피복체의 외주면에 도포하거나 혹은 시트 형상의 수지재를 접착제로 붙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피복 압착부를 단단히 고정시킬때, 피복 압착부, 및 피복체에 씰 부재가 밀착하므로, 압착 상태에 있어서 피복체와 피복 압착부의 틈새를 폐색(閉塞)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착 단자는 피복체의 표면을 전달해 와서 피복 압착부의 내부로 침입하는 수분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전술한 압축부와 병용함으로써, 압착 단자는 압력 상태에 있어서 보다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단자는 씰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피복체와 피복 압착부의 틈새를 쉽게 폐색해서 보다 더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배럴부에 상기 도체 압착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선단을 밀봉한 봉지부(封止部)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접속 구조체는, 배럴부에서의 전선 도체측의 개구에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밀봉부 및 상기 수분방지 수단에 의해 압착 단자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의 배럴부의 내부를 밀폐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구조체는 배럴부의 내부에 대한 수분 침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구조체는, 압착 상태에 있어서의 배럴부의 내부를 밀폐 상태로 함으로써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면서 보다 안정된 도전성(導電性)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피복 압착부에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가,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基端部)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측 대경(大徑) 내주부(內周部)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가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측 대경 내주부를 상기 피복 압착부에 구비함으로써, 피복 압착부에서의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확실히 큰 내경(內徑)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부를 전선 선단부에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피복 압착부의 기단측이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하는 압착력을 완화할 수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전선 도체를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며 적어도 상기 배럴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동선(銅線)에 의한 전선 도체를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할 수 있으며,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이른바 이종 금속 부식(이하, 전해부식이라고 함)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피복 전선의 전선 도체로 종래 이용되었던 구리계 재료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계 재료로 대체하고, 그 알루미늄계 재료로 만든 전선 도체를 압착 단자에 압착한 경우에는, 단자 재료의 주석 도금, 금 도금,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과의 접촉에 의해 비금속인 알루미늄계 재료가 부식되는 현상, 즉 전해부식이 문제가 된다.
덧붙여 전해부식(電食)이란, 귀금속과 비금속이 접촉한 부위에 수분이 부착하면 부식 전류가 생겨 비금속이 부식, 용해, 소실 등을 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에 의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압착된 알루미늄계 재료로 만든 도체 부분이 부식, 용해, 소실하고 결국은 전기 저항이 상승한다. 그 결과, 충분한 도전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구리계 재료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이른바 전해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접속 구조체를 복수 묶어서 구성한 와이어 하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압착 단자와 전선 도체를 구성하는 금속 종류와 상관없이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한 와이어 하니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접속 구조체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압착 단자와 전선 도체를 구성하는 금속 종류와 상관없이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하면서 압착 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서로 결합해서 각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때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하면서 각 커넥터의 압착 단자를 서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는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도체의 외주를 절연성의 피복체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 서의 상기 피복체의 선단 근방에 대해서 단단히 고정시켜서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와, 상기 피복체의 선단에서 상기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노출된 상기 전선 도체에 대해서 단단히 고정시켜서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로 구성한 배럴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와 상기 피복 전선을 접속해서 구성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피복 전선의 짧은 쪽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을 상기 피복체를 포위하는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해서 형성한 상기 피복 압착부와, 상기 피복 압착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하면서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을 상기 전선 도체를 포위하는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도체 압착부로 구성된 상기 배럴부를 압착할 때,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면과 상기 피복체의 외면과의 경계에 수분방지 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압착시의 피복 압착부의 변형에 따라 더 확실하게 수분방지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수분방지 수단이 찌그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피복체와 피복 압착부의 틈새를 보다 확실하게 폐색할 수 있다.
또한, 피복체에 대해서 피복 압착부를 단단히 고정시켜 압착하는 공정과 동시에 수분방지 수단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수분방지 수단을 형성하는 특별한 공정이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수분방지 수단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면서 보다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基端部)의 내주부(內周部)를,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內徑)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 측 대경(大徑) 내주부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가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확실히 큰 내경으로 할 수 있으며, 압착부를 전선 선단부에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피복 압착부의 기단 측이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하는 압착력을 완화할 수 있고 상기 절연 피복이 훼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피복 측에서의 수분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피복 전선 및 압착 단자에서의 위쪽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배럴부에서의 용접에 관해 설명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도 1 중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에 있어서 단단히 고정하는 공정을 설명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도1중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에 있어서 압착 접속 구조체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의 접속 대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압착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의 다른 단면 형상을 설명한 설명도이고,
도 7은 배럴부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대해 설명한 설명도이고,
도 8은 다른 용접 방법으로 용접한 배럴부에 있어서 다른 압착 형태에 대해 설명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서의 피복 전선(200), 및 압착 단자(100)에 관해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피복 전선(200), 및 압착 단자(100)에서의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배럴부(130)에서의 용접에 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X는 길이 방향을 나타내고(이하,「길이 방향(X)」라고 함), 화살표 Y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이하, 「폭 방향(Y)」라고 함). 그리고, 길이방향(X)에 있어서 후술하는 박스부(110)측(도면 중 좌측)을 전방(前方)으로 하고, 박스부(110)에 대해 후술하는 피복 전선(200)측(도면 중 우측)을 후방으로 한다.
또한, 도 2(a)는, 박스부(110)를 두 점 쇄 선으로 나타낸 투과(透過) 상태로 한 압착 단자(100)의 바닥 측의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b)는 도 2(a)에서의 Z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피복 전선(200)은, 알루미늄 소선(素線)(201a)을 묶은 알루미늄 심선(芯線)(201)을 절연 수지로 구성하는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해서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은 단면이 0.75㎟가 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합금선을 꼬아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피복 전선(200)은, 절연 피복(202)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만큼 알루미늄 심선(201)을 노출시킨다.
압착 단자(100)는 암형 단자이며, 길이 방향(X)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미도시의 수형 단자의 수형 탭의 삽입을 허용하는 박스부(110)와, 박스부(110)의 후방에서 소정 길이의 트랜지션부(120)를 통해 배치된 배럴부(130)를 일체로 구성한다.
이 압착 단자(100)는, 표면이 주석 도금(Sn도금)된 황동 등의 구리 합금조(미도시)를, 평면 전개한 단자 형상으로 뚫어낸 후, 중공의 사각 기둥체의 박스부(110)와 후방에서 보아 대략 O형의 배럴부(130)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단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면서 배럴부(130)를 용접해서 구성된 클로즈 배럴 형식의 단자이다.
박스부(110)는, 바닥부(111)의 길이 방향(X)와 직교하는 폭 방향 Y의 양측부에 연장된 측면부(112) 중 한쪽을, 다른 쪽 단부에 서로 겹치도록 접어 구부려서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넘어져 있는(倒位) 중공 사각 기둥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박스부(110)의 내부에는, 바닥부(111)에서의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을 연장해서 길이방향(X)의 후방을 향해서 접어 꺾어 형성되어, 삽입되는 수형 단자의 삽입 탭(미도시)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113)(도3 참조)을 구비한다.
배럴부(130)는, 절연 피복(202)을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131)와, 노출된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하는 심선 압착부(132)를 일체로 구성하면서 심선 압착부(132)보다 전방 단부를 평판형상으로 눌러 찌부러뜨릴 듯 변형시킨 봉지부(封止部)(13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배럴부(130)는, 도 2에서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合金條)에서의 배럴부(130)를 피복 전선(200)의 외주를 포위하는 크기로 둥글게 만들고 둥글게 한 단부(130a)끼리를 서로 맞대어서 길이 방향(X)의 용접 부위(W1)를 따라서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자 형으로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배럴부(130)는 폭 방향 Y에서의 단면 형상을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또한, 배럴부(130)의 봉지부(133)는, 도 2에서와 같이, 배럴부(130)의 길이 방향(X)의 전단(前端)을 폐쇄하도록 폭 방향 Y의 용접부위(W2)를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하고 있다.
즉, 배럴부(130)는 길이 방향(X)의 전단, 및 단부(130a)끼리를 서로 용착(溶着)해서 폐색하여, 길이 방향(X)의 후방에 개구를 가지는 통(筒)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의 압착 단자(100)의 배럴부(130)에 피복 전선(200)을 삽입하면서 배럴부(130)를 단단히 고정시켜 압착했을 때에 길이방향 X의 후방에서 배럴부(130)의 내부로 침입한 수분을 방지하는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하는 공정, 및 압착 후의 압착 접속 구조체(1)에 관해서 도 3 및 도 4를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도 3은 도 1 중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에서의 고정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 중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에 서의 압착 접속 구조체(1)의 단면 형상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도 3 (a)는 도 1 중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 (b)는 피복 전선(200)을 삽입한 압착 단자(100)에 대해서 압착 공구(10)로 단단히 고정시키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압착 단자(100)의 배럴부(130)에 대해서, 도 3 (a)에서와 같이 후방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이 노출된 피복 전선(200)을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노출된 알루미늄 심선(201)이, 도 3 (b)에서와 같이 심선 압착부(132)에 배치되도록 삽입한다.
그 후, 도 3 (b)에서와 같이, 피복 전선(200)을 삽입한 압착 단자(100)의 배럴부(130)에 대해서, 앤빌(anvil)과 크림퍼(crimper)로 구성된 1쌍의 압착 공구(10)로 끼워 넣도록 해서 단단히 조인다.
상기 한 쌍의 압착 공구(10)는, 도 3(b)에서와 같이 앤빌이 되는 제 1 압착형(11) 및 크림퍼가 되는 제 2 압착형(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착 공구(10)의 내면 형상은, 압착한 후의 피복 압착부(131), 및 심선 압착부(132)의 외면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피복 압착부(131)에 대응하는 압착 공구(10)의 내면에는 길이 방향(X)로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두 개 형성한 금형 돌출부(10a)를 구비한다. 상기 금형 돌출부(10a)는 길이 방향(X)에서의 단면 형상을 압착 공구(10)의 내면에서 피복 전선(200)을 향해 돌출된 볼록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길이 방향(X)과 교차하는 둘레방향(周方向)을 따라 끊김 없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압착 공구(10)로, 피복 전선(200)을 삽입한 압착 단자(100)의 배럴부(130)를 한 쌍의 압착 공구(10)로 끼워 넣도록 해서 심선 압착부(132) 및 피복 압착부(131)를 단단히 고정하고, 알루미늄 심선(201) 및 절연 피복(202)을 압착해서 압착 접속 구조체(1)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압착 접속 구조체(1)는, 도 4에서와 같이 압착 공구(10)로 심선 압착부(132)를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심선 압착부(132)와 알루미늄 심선(201)이 압착해서 도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압착 공구(10)로 피복 압착부(131)를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피복 압착부(131)와 절연 피복(202)이 압착해서 접속된다. 더불어, 압착 공구(10)의 금형 돌출부(10a)에 의해 피복 압착부(131)에는 길이 방향(X)의 단면 형상이 내면에서 피복 전선(200)의 지름 방향 중심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의 수분방지 돌출부(134)가 길이방향(X)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된다.
이 수분방지 돌출부(134)는 피복 압착부(131)의 내면에 있어서 길이 방향(X)과 교차하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끊김 없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압착 상태에서의 절연 피복(202)을 피복 전선(200)의 지름 방향 중심을 향해서 한층 더 압축한다.
덧붙여, 수분방지 돌출부(134)는, 피복 압착부(131)에서의 길이 방향(X)의 길이에 대해서 대강 10~50% 범위에서 형성하면 보다 효과가 높으며, 상기 범위에서 형성하면 수분방지 돌출부(134)의 개수도 두 개뿐만 아니라 하나나 세 개 이상이라도 좋다.
이렇게 해서 압착 단자(100)의 배럴을 단단히 고정시켜서 피복 전선(200)을 압착해서 접속하면서 알루미늄 심선(201)과 압착 단자(100)의 도통성(導通性)을 확보한 압착 접속 구조체(1)를 구성한다.
이어서, 전술한 압착 접속 구조체(1)를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한 커넥터에 관해서 도 5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또한, 도 5는 암형 커넥터(21)와 수형 커넥터(31)의 접속 대응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 중에 있어서 수형 커넥터(31)를 두 점 쇄선으로 도시한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22)은, 압착 단자(100)를 길이 방향(X)를 따라서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開口)를 내부에 가지고, 폭 방향(Y)에서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의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22)의 내부에 대해서 전술한 압착 단자(100)로 구성한 복수의 압착 접속 구조체(1)를 길이방향(X)에 따라 장착해서 암형 커넥터(21)를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20)를 구성한다.
또한, 암형 커넥터 하우징(22)에 대응하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32)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22)과 마찬가지로 압착 단자를 장착 가능한 복수의 개구를 내부에 가지고, 폭 방향(Y)에서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상이며 암형 커넥터 하우징(22)에 대해서 요철 대응해서 접속 가능하게 형성한다.
이러한 수형 커넥터 하우징(32)의 내부에 대해서 도시를 생략하는 수형의 압착 단자로 구성된 압착 접속 구조체(1)를 길이 방향(X)를 따라서 장착해서 수형 커넥터(31)를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30)를 구성한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21)와 수형 커넥터(31)를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하니스(20)과 와이어 하니스(30)를 접속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실현하는 압착 접속 구조체(1), 암형 커넥터(21), 및 압착 접속 구조체(1)의 제조 방법은, 절연 피복(202) 측에서의 수분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럴부(130)의 앞 단(前端)에 봉지부(133)를 구비함으로써, 압착 단자(100)는 배럴부(130)의 앞 단에서의 수분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피복 압착부(131)의 내주면에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함으로써, 배럴부(130)의 후방 측단부에서 배럴부(130)의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봉지부(133) 및 수분방지 돌출부(134)에 의해, 압착 단자(100)는 압력 상태에서의 배럴부(130)의 내부를 밀폐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착 단자(100)는 배럴부(130)의 내부에 대한 수분 침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압착 상태에서의 절연 피복(202)을 수분방지 돌출부(134)로 한층 더 압축함으로써 절연 피복(202)의 반발력에 의해 절연 피복(202)과 피복 압착부(131)의 틈새를 확실히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피복 압착부(131)를 단단히 고정시킬 때, 피복 압착부(131)의 변형에 수반해서 생기는 틈새를 확실히 폐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배럴부(130)의 압착시에 피복 압착부(131)에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함으로써 외적 요인에 의한 손상이나 변질을 억제할 수 있으며 피복 압착부(131)의 내부에 대한 수분 침투를 더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후방에 있어서,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원주 방향을 따라서 빈틈없이 형성함으로써 압착 상태에서의 피복 압착부(131)의 내부에 대한 수분 침입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돌출형상으로 함으로써 절연 피복(202)을 더 확실하게 압축할 수 있다. 게다가 돌출형상의 수분방지 돌출부(134)에 의해 절연 피복(202)이 요철 형상으로 변형하므로 수분 침투 경로가 복잡해지고 침입 경로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 피복(202)과 피복 압착부(131) 사이의 틈새로 침입한 수분이 알루미늄 소선(201a)에 도달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할 수 있다.
더하여, 압착에 의해 돌출 형상의 수분방지 돌출부(134)가 절연 피복(202)에 파고들기 때문에 만일 길이 방향(X)으로 뽑아내는 힘이 가해져도 피복 전선(200)이 압착 단자(100)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단자(100)는, 봉지부(133) 및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함으로써 압착 상태에 있어서 더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배럴부(130)의 내부에 대한 수분 침입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한 압착 단자(100)에 의해 압착 단자(100)의 배럴부(130)에 피복 전선(200)을 압착하는 것만으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압착 접속 구조체(1)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접속 구조체(1)는 더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압착 접속 구조체(1)에서의 압착 단자(100)를 암형 커넥터 하우징(22)의 내부에 배치해서 암형 커넥터(21)를 구성함으로써, 암형 커넥터 하우징(22) 내에 배치한 압착 단자(100)에 수형 커넥터(31)의 압착 단자를 접속할 때,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한 상태에서 암형 커넥터(21)의 압착 단자(100)를 수형 커넥터(31)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21)는, 확실한 도전성을 구비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전선(200)의 심선을,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하면서 배럴부(130)를 구리 합금으로 구성함에 따라 동선에 의한 심선을 가지는 피복 전선(200)에 비해서 경량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밀봉부(133), 및 수분방지 돌출부(134)에 의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에 의해 이종 금속으로 구성된 압착 단자(100)와 피복 전선(200)에 의한 전해부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피복 압착부(131)를 단단히 고정시킬 때에, 피복 압착부(131)에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하는 압착 접속 구조체(1)의 제조 방법으로 함으로써, 피복 압착부(131)의 변형에 추종해서 확실하게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착 접속 구조체(1)의 제조 방법은, 수분 방지 돌출부(134)가 찌그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절연 피복(202)과 피복 압착부(131)의 틈새를 더 확실하게 폐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피복 압착부(131)를 단단히 고정시켜서 압착하는 공정과 동시에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압착 접속 구조체(1)의 제조 방법은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하는 특별한 공정이 필요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접속 구조체(1)의 제조 방법은,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효율적으로 형성하면서 더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 피복 압착부(131)의 내면에 돌출 형상의 수분방지 돌출부(134)를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 피복(202)을 압축하는 형상이라면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압착 접속 구조체(1)에서의 다른 단면 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를 나타내는 도 6에 있어서, 도 6 (a)에서와 같이, 압착 공구(10)로 피복 압착부(131)를 단단히 고정시킬 때 길이 방향(X)의 단면 형상이 피복 압착부(131)의 내면에서 피복 전선(200)의 지름 방향 중심을 향해서 돌출한 단면(斷面) 모자 형태로 둘레방향을 따라서 끊김 없이 연속된 사다리꼴 돌출부(135)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단면 형상의 예로서, 도 6 (b)에 나타내는 같이, 압착 공구(10)로 피복 압착부(131)를 단단히 고정시킬 때에, 피복 압착부(131)의 일부의 직경을 줄인 축경부(縮俓部)(136)를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또한, 다른 단면 형상의 예로서, 도 6 (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공구(10)로 피복 압착부(131)를 단단히 고정시킬 때에 길이 방향(X)의 단면 형상이 피복 압착부(131)의 내면에서 피복 전선(200)의 지름 방향 중심을 향해서 돌출한 산(山) 형상으로 둘레방향을 따라서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산 형태 돌출부(137)를 길이 방향(X)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사다리꼴 돌출부(135), 축경부(136), 또는 산 형상 돌출부(137)로 압착 상태에서의 절연 피복(202)을 더 압축함으로써, 압착 단자(100) 및 압착 접속 구조체(1)는 수분방지 돌출부(134)와 마찬가지로 확실한 수분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피복 압착부(131)는, 압착 후의 피복 압착부(131)의 형상에 따른 내면 형상으로 구성한 압착 공구(10)로 단단히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압착 단자(100)를 암형의 압착 단자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암형 압착 단자(100)에 대해서 길이 방향(X)으로 결합하는 수형 압착 단자이어도 좋다.
또한, 피복 전선(200)에서의 심선을 알루미늄 합금으로 하고, 압착 단자(100)를 황동 등의 구리 합금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피복 전선(200)에서의 심선, 및 압착 단자(100)를 황동 등의 구리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동일 금속으로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구성과 전술한 실시형태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선 도체는, 실시 형태의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응해서,
아래와 마찬가지로,
피복체는, 절연 피복(202)에 대응하고,
도체 압착부는, 심선 압착부(132)에 대응하고,
짧은 쪽 방향은 폭 방향(Y)에 대응하고,
수분방지 수단은. 수분방지 돌출부(134,138), 사다리꼴 돌출부(135), 축경부(136), 산(山)형 돌출부(137)에 대응하고,
압축부는, 수분방지 돌출부(134), 사다리꼴 돌출부(135), 축경부(136), 산형 돌출부(137)에 대응하고,
알루미늄계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응하고,
구리계 재료는, 황동 등의 구리 합금 스트립(條)에 대응하고,
접속 구조체는, 압착 접속 구조체(1)에 대응하고,
커넥터 하우징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22), 및 수형 커넥터 하우징(32)에 대응하고,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21) 및 수형 커넥터(31)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실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착 단자(100)의 배럴부(130)를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금속으로 된 알루미늄 심선(201)에 압착 접속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그 비금속 이외에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도체 부분에 압착 접속해 좋고, 상기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술한 구성의 배럴부(130)는, 압착상태에 있어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그동안 선간(線間) 수분방지를 위해 압착 후에 씰링 등이 필요했던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심선으로 구성하는 피복 전선을 접속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 스트립을 둥글게 하면서 단부(130a)끼리 서로 맞대어 길이 방향(X)의 용접 부위(W1)를 따라 용접해서 후방에서 보아 O형으로 형성한 뒤, 길이 방향(X)의 앞단부분을 짓누르면서 폭 방향(Y)의 용접 부위(W2)를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하고, 길이 방향(X)의 앞단이 봉지부(133)로 밀봉시켜져 길이 방향(X)의 후방에 개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배럴부(130)를 형성했지만, 배럴부(130)에서의 다른 용접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인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부(130)의 형상을 형성한 뒤, 용접 부위를 용접해서 배럴부(130)를 형성해도 좋다.
상술하면, 도7(a)에서와 같이, 단자형상으로 뚫은 구리 합금조를 둥글게 하면서 길이 방향(X)의 앞단부분을 짓눌러서 봉지부(133)를 포함한 배럴부(130)의 형상으로 미리 형성한다.
그리고 둥글게 맞대어지는 단부(130a)끼리를 길이 방향(X)의 용접 부위(W3)를 따라서 용접하면서 봉지부(133)에 있어서 폭 방향(Y)의 용접 부위(W4)를 따라서 용접해서 밀봉하여 배럴부(130)를 완성시킨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배럴부(130)의 바닥 측에서 단부(130a)끼리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여도 좋고, 도 7 (a), (b)에서와 같이, 배럴부(130)의 상면 측에서 단부(130a)끼리를 서로 맞대어 용접해도 좋다.
게다가, 도 7 (c)에서와 같이, 압착 상태에 있어서 배럴부(130)의 피복 압착부(131)를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에 대해서 정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압착하고, 심선 압착부(132)를 알루미늄 심선에 대해서 정면으로 보아 U자 모양으로 압착해도 좋다.
또한, 압착 단자(100)는, 도 7에서와 같이, 띠 모양의 캐리어(K)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럴부(130)를 용접하고 나서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할 때, 혹은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한 뒤 캐리어(K)에서 분리해도 좋지만, 캐리어(K)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압착 단자(100)를 형성하여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하여도 좋다.
그리고 또한, 배럴부(130)의 피복 압착부(131)에 있어서, 피복 압착부(131)의 내면과,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 사이에, 수분 방지 성능이 있는 씰재를 개재시켜 압착하여 배럴부(130)의 후방에서의 수분 방지 성능을 향상시켜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용접 방법으로 용접한 배럴부(130)에서의 다른 압착 형태에 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인 도 8에서과 같이 배럴부(130)의 기단부 측(길이 방향(X) 후방)에 기단측 확경부(擴俓部)(139)를 형성해도 좋다.
덧붙여, 도 8 (a)는, 기단측 확경부(139)를 형성한 압착 접속 구조체(1)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b)는 해당 압착 접속 구조체(1)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배럴부(130)에서의 피복 압착부(131)의 기단부에 기단측 확경부(139)를 형성한 압착 접속 구조체(1)는, 배럴부(130)에서 피복 전선(200)을 압착할 때에 배럴부(130)의 길이 방향(X)의 길이보다 짧은 압착 지그로 압착함으로써 기단측 확경부(139)에 해당되는 부분이 압착되지 않고, 압착 상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X) 후방을 향해 넓어지는 나팔 모양의 기단측 확경부(13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럴부(130)의 길이 방향(X) 후방의 기단부에 형성된 기단측 확경부(139)의 내주부는, 배럴부(130)에서의 피복 압착부(131) 부분의 내경(內徑)보다 큰 내경이 되고, 배럴부(130)에서 피복 전선(200)의 선단부를 압착한 상태에서 피복 압착부(131)의 기단 측에서의 절연 피복(202)을 압착하는 압착력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복 압착부(131)의 단부가 절연 피복(202)에 파고들어서 파손하는 등의 문제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1; 압착 접속 구조체
20; 와이어 하니스
21; 암형 커넥터
22; 암형 커넥터 하우징
31; 수형 커넥터
32; 수형 커넥터 하우징
100; 압착 단자
130; 배럴부
131; 피복 압착부
132; 심선 압착부
133; 봉지부
134,138; 수분방지 돌출부
135; 사디리꼴 돌출부
136; 축경부
137; 산형 돌출부
139; 기단측 확경부
200; 피복 전선
201; 알루미늄 심선
202; 절연 피복
X; 길이 방향
Y; 폭 방향

Claims (13)

  1. 전선 도체의 외주를 절연성의 피복체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상기 피복체의 선단 근방에 대해서 단단히 고정해서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와, 상기 피복체의 선단에서 상기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노출된 상기 전선 도체에 대해서 단단히 고정시켜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로 구성한 배럴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와 상기 피복 전선을 접속해서 구성하는 접속 구조체이며,
    상기 배럴부를,
    상기 피복 전선의 짧은 쪽 방향에서의 단면(斷面) 형상을 상기 피복체를 포위하는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해서 형성한 상기 피복 압착부와,
    상기 피복 압착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하면서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을 상기 전선 도체를 포위하는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도체 압착부로 구성하고,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면과 상기 피복체의 외면의 경계에, 상기 배럴부를 압착할 때 형성한 수분방지(止水) 수단을 구비한 접속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방지 수단을,
    상기 피복 압착부에 형성하면서, 상기 피복체를 상기 짧은 쪽 방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로 구성하고,
    상기 압축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하면서, 길이 방향에서 보아 상기 피복 압축부의 내면을 따라 빈틈없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접속 구조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를,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면에서 상기 피복 전선의 짧은 쪽 방향에서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형상으로 형성한 접속 구조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피복체의 선단 근방에서의 외주면에 방수성을 갖는 씰 부재를 구비한 접속 구조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부에,
    상기 도체 압착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선단을 밀봉한 봉지부(封止部)를 구비한 접속 구조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압착부에,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基端部)의 내주부(內周部)가,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內徑)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측 대경(大徑) 내주부를 구비한 접속 구조체.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도체를,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면서,
    적어도 상기 배럴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접속 구조체.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기재된 접속 구조체를 복수 묶어서 구성한 와이어 하니스.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속 구조체에서의 상기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커넥터.
  10. 전선 도체의 외주를 절연성의 피복체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상기 피복체의 선단 근방에 대해서 단단히 고정해서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와, 상기 피복체의 선단에서 상기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노출된 상기 전선 도체에 대해서 단단히 고정해서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로 구성한 배럴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와 상기 피복 전선을 접속해서 구성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피복 전선의 짧은 쪽 방향에서의 단면(斷面)형상을 상기 피복체를 포위하는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해서 형성한 상기 피복 압착부와, 상기 피복 압착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하면서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을 상기 전선 도체를 포위하는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도체 압착부로 구성한 상기 배럴부를 압착할 때에,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면과 상기 피복체의 외면의 경계에 수분방지(止水) 수단을 형성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방지 수단을,
    상기 피복 압착부에 형성하면서, 상기 피복체를 상기 짧은 쪽 방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로 구성하고,
    상기 압축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보아서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면을 따라 빈틈없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를,
    상기 피복 압착부의 내면에서 상기 피복 전선의 짧은 쪽 방향에서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형상으로 형성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기단부의 내주부를,
    상기 압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적어도 기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이 되는 기단 측 대경 내주부로 형성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147022391A 2012-07-20 2013-07-19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481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2074 2012-07-20
JPJP-P-2012-162075 2012-07-20
JP2012162075 2012-07-20
JP2012162074 2012-07-20
PCT/JP2013/069690 WO2014014103A1 (ja) 2012-07-20 2013-07-19 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073A true KR20140112073A (ko) 2014-09-22
KR101481003B1 KR101481003B1 (ko) 2015-01-09

Family

ID=4994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391A KR101481003B1 (ko) 2012-07-20 2013-07-19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63808B2 (ko)
EP (1) EP2876732A1 (ko)
JP (2) JP5521123B1 (ko)
KR (1) KR101481003B1 (ko)
CN (1) CN104094471B (ko)
WO (1) WO2014014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4178B1 (ja) * 2013-02-21 2015-01-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端子と被覆導線の接続方法、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CN104969415B (zh) * 2013-02-23 2018-05-2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压接端子、压接端子的制造方法、电线连接结构体和电线连接结构体的制造方法
JP5579344B1 (ja) * 2013-02-23 2014-08-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構造体の圧着方法、接続構造体の圧着装置、接続構造体、端子圧着部材、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4364980B (zh) * 2013-02-24 2017-04-12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电线连接结构体的制造方法和电线连接结构体
JP2015159092A (ja) * 2014-02-25 2015-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CN105940557B (zh) * 2014-03-24 2019-08-16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线束、包覆导线与端子的连接方法以及线束结构体
JP2015185465A (ja) * 2014-03-25 2015-10-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JP6258754B2 (ja) * 2014-03-31 2018-01-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US9859649B2 (en) * 2014-07-05 2018-01-02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Plug adapter for an electrical device for plugging in supply lines, and system formed by a plug adapter and a device
JP6147232B2 (ja) * 2014-08-25 2017-06-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WO2016031798A1 (ja) * 2014-08-25 2016-03-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JP6402930B2 (ja) * 2015-03-06 2018-10-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JP6319635B2 (ja) * 2015-03-06 2018-05-0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JP6651393B2 (ja) * 2016-03-25 2020-02-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圧接コンタクト及び圧接コネクタ
DE102016215641A1 (de) 2016-08-19 2018-02-22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er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kverbinders
JP7149542B2 (ja) 2020-05-27 2022-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361U (ko) * 1987-08-12 1989-01-19
JP2002216862A (ja) * 2001-01-19 2002-08-02 Yazaki Corp 端子と電線の接続部の防水構造及び防水方法
JP2003023539A (ja) 2001-07-11 2003-01-24 Ricoh Co Ltd 網点領域検出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網点領域検出方法
JP4376682B2 (ja) * 2004-04-09 2009-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端部の加締構造
US7896712B2 (en) * 2005-12-22 2011-03-01 Tensolite, Llc Integral bonding attachment
JP5103137B2 (ja) * 2007-11-01 2012-12-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圧着端子、端子付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EP2151893A1 (en) * 2008-08-07 2010-02-1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terminal fitting and a crimping method
JP2010040478A (ja) * 2008-08-08 2010-02-1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10045007A (ja) * 2008-08-18 2010-02-25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5428722B2 (ja) 2009-10-02 2014-02-2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の止水構造および該止水構造の形成方法
JP5606115B2 (ja) * 2010-03-23 2014-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構造
DE102010031505A1 (de) * 2010-07-19 2012-01-19 Stocko Contact Gmbh & Co. Kg Crimphülse für Quetschverbi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003B1 (ko) 2015-01-09
WO2014014103A1 (ja) 2014-01-23
US20150079857A1 (en) 2015-03-19
CN104094471B (zh) 2015-11-25
JP5521123B1 (ja) 2014-06-11
JP2014160662A (ja) 2014-09-04
US9263808B2 (en) 2016-02-16
JP6133228B2 (ja) 2017-05-24
EP2876732A1 (en) 2015-05-27
JPWO2014014103A1 (ja) 2016-07-07
CN104094471A (zh)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003B1 (ko)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488463B1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
KR101529255B1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및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
WO2015152313A1 (ja)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JP5391700B2 (ja) 端子付き電線
KR101488651B1 (ko) 압착 단자, 단자 부착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 구조체
JP6000202B2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圧着端子の圧着方法
WO2015141614A1 (ja)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JP6316258B2 (ja)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
JP2844993B2 (ja) ジョイント端子の防水接続方法
JP6062212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4164847A (ja) 圧着端子、圧着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圧着端子の圧着方法
JP2014164946A (ja) 端末絶縁剥離電線、及び、電線接続構造体
KR20150120846A (ko) 전선 접속 구조체, 전선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전선 접속 구조체를 구비한 커넥터, 및 압착용 금형
JP2014164897A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4164922A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4164921A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7233229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6200366B2 (ja) 接続構造体、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8092739A (ja) 端子付き電線、端子、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ワイヤハーネス
JP2014164848A (ja) 圧着端子、圧着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圧着端子の圧着方法
JP2018107142A (ja)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