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821A -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소음기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821A
KR20140109821A KR1020140024343A KR20140024343A KR20140109821A KR 20140109821 A KR20140109821 A KR 20140109821A KR 1020140024343 A KR1020140024343 A KR 1020140024343A KR 20140024343 A KR20140024343 A KR 20140024343A KR 20140109821 A KR20140109821 A KR 20140109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damping body
silencer
hous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310B1 (ko
Inventor
하인츠-위르겐 펠트
일리야 무르베리
필립 마이어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터보 시스템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터보 시스템즈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터보 시스템즈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10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7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absorbing, damping, insulating or reflecting materials, e.g. porous foams, fibres, rubbers, fabrics, coatings or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5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noise sup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2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driving means being assisted by a power recovery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1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uc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4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sound 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ercharge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압축기의 흡입측에서의 소음기는 관형의 소음기 하우징 (10) 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소음기 하우징은 전방측 유입 개구부 (11) 와 후방측 배출 개구부 (12) 사이의 유동 채널을 감싼다. 상기 소음기 하우징에는, 유동 방향으로 상기 소음기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는 감쇠바디 (2) 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유지 플레이트 (31) 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감쇠바디는 유동 방향으로 천공되고, 즉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구멍 (27) 을 구비한다.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압축기의 흡입측에서의 상기 소음기는 콤팩트한, 가벼운 그리고 비용절감적인 구조를 갖는다. 흡입되어야 하는 공기는 감쇠요소들을 관류할 때 적은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소음기{SOUND ATTENUATOR OF AN EXHAUST GAS TURBOCHARGER}
본 발명은 과급된 내연기관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내연기관을 과급하기 위한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압축기의 흡입측에서의 소음기, 및 이러한 유형의 소음기를 갖는 배기가스 터보차저에 관한 것이다.
이 유형의 소음기들은 전형적으로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압축기의 흡입측에서 사용된다. 압축기에서 연소공기가 압축되며, 그 후 연소공기는 내연기관의 연소챔버들에 공급된다. 압축기는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배기가스 터빈에 의해 구동된다. 소음기들은 종종 추가적인 필터를 구비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필터 소음기라고 부른다.
터보차저의 압축기 유입부는 소음을 발생시키고, 소음은 본질적으로 이른바 블레이드 통과 주파수 (회전수와 압축기휠의 가동 블레이드들의 개수의 곱,“blade pass frequency”라고도 칭함) 와 중파 후싱 사운드 (whooshing sound) 로 이루어져 있다.
이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해 흡입 소음기들이 이용된다. 이 소음기들의 목적은 특정 주파수 범위들에서의 소음을 감쇠시키고, 원하는 유동형태로 유동을 압축기에 공급하는 것이다.
감쇠되어야 하는 높은 주파수들은 주파수의 패스 스루 (pass through) 를 저지하기 위해 감쇠요소들 사이의 작은 간극들 또는 전환부를 요구한다. 효과적으로 감쇠될 수 있기 위해, 약간 보다 낮은 주파수들은 보다 두꺼운 흡수 두께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기존에 알려진 소음기들은 패스 스루 효과를 저지하기 위해 만곡될 수 있는, 삽입된 다수의 감쇠요소로써 실시되거나 또는 벽과 동일 평면에 놓인 라이닝 및 하나 이상의 전환부를 구비한다.
이렇게 예컨대 EP 0574605 A1 은 필터 소음기를 기술하며, 필터 소음기는 주조된 단일 블록으로 구성되고, 그루브 (groove) 들을 갖는 그의 방사상형의 리브 (rib) 들에 감쇠요소들이 배열된다. 제거 가능한 다공 플레이트 부품으로 구성된 필터 프레임은, 감쇠요소들이 방사상 이탈에 대해 보장되는 방식으로 소음기를 둘러싼다. 다공 플레이트 부품은 연결요소들에 의해 링형으로 소음기 둘레에 배열된다. 디스크형의 감쇠요소는 4개의 감쇠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감쇠 세그먼트들은 조립될 때 환상면을 이룬다. 흡수 요소는 2개의 펀칭된 다공 플레이트에 의해 유지되며, 따라서 감쇠요소를 형성하고, 감쇠요소는 주조된 단일 블록의 상기 언급된 리브들의 그루브들에 방사상으로 삽입된다.
EP 0740080 A2 는 원형 실린더형 필터 소음기를 기술하며, 필터 소음기에는 마찬가지로 단일 블록으로서 주조된 필터 소음기 하우징의 중앙축에 대해 평행한 그 감쇠면을 갖는 감쇠요소가 하우징벽들의 그루브들에 배열된다. 감쇠요소들은 흡수 요소를 감싸는 감쇠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감쇠 플레이트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감쇠 플레이트에 배열된 거친 필터 세그먼트들과 함께 필터 소음기의 둘레에 거친 필터 링을 형성하며, 거친 필터 링은 링형의 필터에 의해 둘러 싸여진다.
JP 2002-4964 는 서로 동축적으로 배열된, 실린더형의 다수의 감쇠요소를 갖는 필터 소음기를 기술하며, 감쇠요소들은 축방향에 있어서 관류되고, 감쇠요소들은 패스 스루 효과를 저지하기 위해 파형으로 형성된다. 유입측 축방향 전방측에는 필터요소가 배열된다.
KR 2008-8664 는 서로 동축적으로 배열된, 원추형의 다수의 감쇠요소를 갖는 필터 소음기를 기술하며, 감쇠요소들은 축방향에 대해 경사져 관류된다. 유동 채널 (flow channel) 들은 정렬된다. 감쇠요소들은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유지 플레이트 (holding plate) 에 의해 유지된다. 유입측 전방측에 필터요소가 배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콤팩트한, 가벼운 그리고 비용절감적인 구조를 갖는,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압축기의 흡입측 상에서 소음기를 제조하는 것이며, 상기 소음기에 있어서 흡입되어야 하는 공기는 소음기를 관류할 때 낮은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관형의 소음기 하우징을 구비하는 소음기에 의해 달성되며, 소음기 하우징은 전방측 유입 개구부와 후방측 배출 개구부 사이에서 유동 채널을 감싼다. 소음기를 통한 유동 방향은 유입 개구부의 중심점으로부터 배출 개구부의 중심점으로의 방향으로서 확정된다. 소음기 하우징에는, 감쇠수단 (attenuation means) 들을 유동 방향으로 포지셔닝하기 위한 유지 플레이트가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쇠수단들은, 유동 방향으로 소음기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는 감쇠바디 (attenuation body) 를 포함하며, 감쇠바디는 유동 방향으로 천공되고 (perforated), 즉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개구부 (이후에는, 구멍들로서도 칭함) 를 구비한다. 감쇠바디는 유동 방향으로 잇달아 배열된 다수의 감쇠매트 (attenuation mat) 로 분할된다.
선택적으로, 소음기는 포지셔닝 수단 (positioning means) 들을 구비하며, 포지셔닝 수단들은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소음기 하우징과 관련하여 감쇠바디의 각위치 (angular position) 를 규정하며, 따라서 감쇠바디는 소음기 하우징 내부에서 미리 제공된 위치를 차지하고, 특히 조립시 또는 작동시 이러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다수의 감쇠매트가 존재하면 소음기는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수단들을 구비하며, 포지셔닝 수단들은 감쇠매트들의 위치를 그들의 천공부 (perforation) 와 관련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규정하고, 따라서 개별적인 감쇠매트들은 유동 방향으로 정확히 잇달아 배열되며, 따라서 다수의 감쇠매트층의 원활한 관류가 보장된다.
상기 언급된 포지셔닝 수단들은 예컨대 유지 플레이트에 및/또는 소음기 하우징에 고정된 핀 (pin), 및 이를 위해 제공된, 감쇠바디에 또는 감쇠매트들에 포지셔닝 구멍 (positioning hole) 을 포함한다.
감쇠바디의 천공부의 구멍들은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단면들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유동 채널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감쇠바디에 구멍들은 유동 채널의 중앙에서의 감쇠바디에 구멍들보다 크거나 또는 작은 단면들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감쇠바디에 구멍들은, 구멍들이 반경에 대해 평균화된 개방된 구멍 면적을 형성하도록 형성 및/또는 배열되고, 구멍 면적은 각도에 대해 동일한 분배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균일하게 분배된 그리고 동일하게 형성된 원형 구멍들이 60°각도로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되는 가장 밀집된 팩킹 (packing) 에 따른 구멍들의 배열에서와 동일한 전체 구멍 면적을 갖는 보다 작은 소음기들이 제조될 수 있다. 가장 밀집된 팩킹에 따른 배열로부터 생기는 60°사이클에서의 대칭, 및 각도당 반경에 대해 평균화된 개방된 구멍 면적의 불규칙한 분배는 6 오더 (6 order) 의 블레이드 기진력 (blade excitation) 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도에 걸친, 상기 반경에 대해 평균화된 개방된 구멍 면적의 불균일한 분배는, 상기 각도에 대해 서로 상이한 양의 매체가 흡입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는 압축기휠의 가동 블레이드들의 상기 언급된 원치 않은 기진력을 초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감쇠바디의 천공부의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유동 방향으로 일정치 않은 단면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감쇠바디의 천공부의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 구멍의 유입 및 배출 개구부가 유동 방향으로 겹침 (overlapping) 을 갖지 않도록 유동 방향에서 벗어나 진행한다.
감쇠바디와 소음기 하우징은 감쇠바디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소음기 하우징은 감쇠바디의 영역에서, 소음기 하우징의 배출 개구부의 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감쇠바디에 천공부의 모든 유입 개구부의 합계는 적어도 소음기 하우징의 배출 개구부의 면적에 상응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쇠바디는 유동 방향으로 양쪽에서, 각각 천공된 유지 플레이트에 의해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소음기는, 소음기 하우징의 유입 개구부의 영역에서 필터가 유동 채널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필터 소음기로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들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압축기의 상류에 접속된 선행기술에 따른 소음기를 갖는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내며, 배기가스 및 외기 (fresh air) 의 유입 및 배출은 화살표들로 나타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소음기의 등각도를 나타내며, 다수의 감쇠매트로 이루어진 소음기의 감쇠바디는 부분적으로 절개되고, 소음기의 하우징은 부분적으로 투영되게 도시된다,
도 3 은 유동 방향 (F) 으로의, 도 2 에 따른 소음기의 유입 개구부의 도면,
도 4 는 유동 방향 (F) 맞은 편의, 배출 개구부를 갖추고 있는 도 2 에 따른 소음기의 후방측의 도면,
도 5 는 V-V 를 따른 그리고 유동 방향 (F) 으로 안내된 도 4 에 따른 소음기를 통한 단면,
도 6 은 도 2 에 따른 소음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 및 도 8 은 도 2 에 따른 소음기의 감쇠바디의 선택적인 실시형태들, 그리고
도 9a 및 도 9b 는 유동 방향으로의, 도 2 에 따른 소음기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의 유입 개구부의 도면을 나타내며, 이때 도 9a 는 가장 밀집된 팩킹에 따른 구멍패턴의 섹션을 나타내고,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멍배열을 나타낸다.
도입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유형의 소음기들은 전형적으로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압축기의 흡입측에서 사용된다. 도 1 은 이러한 유형의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필터 소음기 (1) 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는 압축기 (7) 에서 압축된다. 71 로 표시된 화살표는 압축기의 공기유입을 나타낸다. 압축된 공기는 이어서 공기 배출부 (72) 를 통하여 내연기관의 연소챔버들에 공급된다. 압축기 하우징의 내부의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휠은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터빈휠을 통해 구동된다. 터빈휠은, 가스 유입부 (91) 를 통하여 터빈 하우징 안으로 안내되는 내연기관의 연소챔버들로부터의 뜨거운 배기가스들에 의해 작동된다. 터빈휠의 하류에서, 배기가스는 가스 배출부 (92) 를 통하여 배기 장치에 공급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소음기의 등각도를 나타낸다. 외기 유동은 화살표들로 나타낸다. 소음기의 관형의 하우징 (10) 은 유입 개구부 (11) 와 배출 개구부 (12) 를 구비하며, 두 개구부는 관형의 하우징의 대향 면측에 배열되고, 이를 통해 작동시 관 방향으로의 (이는 원형 단면을 갖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축방향에 상응함) 관류가 발생한다. 유동 전환부의 생략으로 인해, 방사상으로의 유입 유동을 갖는 종래의 소음기들에서보다 낮은 압력손실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음기 하우징은 일체형 주조 하우징으로서 실현된다.
유입 개구부 (11) 의 영역에는, 이미 위에서 언급된 필터가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필터는, 작동시 공기유동에 의해 보다 큰 물체들이 압축기에 그리고 내연기관의 연소챔버들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한다. 배출 개구부 측에서, 소음기는 전형적으로 고정수단들을 구비하며, 고정수단들과 함께 소음기 및 압축기 하우징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예컨대 둘러싸는 돌출부들을 둘러싸거나, 또는 나사들을 삽입하기 위한 고정 개구부들이다. 이때, 소음기의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압축기 하우징 위에 놓여 있을 수 있고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소음기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감쇠바디 (2) 를 포함하며, 감쇠바디는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다수의 감쇠매트 (21, ..., 26) 로 이루어져 있다. 감쇠바디를 형성하는 도시되는 매트들의 개수는 예시적이며, 6개의 매트보다 많거나 또는 적을 수 있다.
감쇠바디 (2) 는 유동 방향으로 천공되고, 즉 구멍 모양의 다수의 개구부 (27) 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흡수 재료는 채널들 뿐만 아니라 소음 흡수 벽들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진다.
일체형 감쇠바디는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형태로 발포 (foamed) 되어 있지만, 감쇠매트들은 천공부와 함께 비용절감적으로 감쇠소재의 플레이트들로부터 펀칭될 수 있다.
감쇠바디 (2) 는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 방향으로 소음기 하우징 (10) 에 삽입되며, 즉 둥근 하우징 단면에 있어서 중앙축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때, 감쇠바디는 유입 개구부 (11) 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또는 예컨대 두 부분의 소음기 하우징에 있어서는, 대향 방향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감쇠바디는 축방향에 있어서, 천공된 유지 플레이트 (31) 에 의해 유지되며, 이때 유지 플레이트는 전체 관 단면을 통해 연장되거나 또는 그의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천공부는 감쇠바디의 천공부와 일치할 수 있거나, 또는 감쇠 바디에 다수의 구멍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유지 플레이트의 구멍으로 인해 감쇠바디의 천공보다 거친 메쉬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유지 플레이트는 감쇠바디의 양쪽에 제공될 수 있으며, 즉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하류측에 그리고 유입측에 제공될 수 있다. 유입측에서 유지 플레이트는 필터와 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입 개구부에 걸쳐 펼쳐진 필터는 감쇠바디의 유지 기능을 수행한다.
소음기 하우징 (10) 은 감쇠바디 (2) 의 영역에서, 배출 개구부의 영역의 하류에서보다 큰 단면을 갖는다. 이에 따르면, 유동을 압축기휠에 공급하기 위해, 하우징은 소음기 하류에서 압축기 유입부 쪽으로 테이퍼된다.
천공부의 구멍 단면, 유동 방향으로의 감쇠바디의 형태, 웨브 두께 및 전체 길이는 필요한 감쇠가 달성되도록 선택된다. 구멍들의 개수와 형태 및 모든 구멍의 전체 단면은 체적유동 및 허용된 압력손실에 상응하여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쇠바디에 천공부의 모든 유입 개구부의 합계는 적어도 소음기 하우징의 배출 개구부의 면적에 상응한다.
선택적으로, 감쇠바디에 구멍들은 불규칙적으로 분배될 수 있으며 및/또는 상이하게 형성되고 및/또는 상이한 크기의 단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면에 걸친 상이한 소음도 분포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영역에서의 구멍들이 감쇠바디의 중앙 내부 부분에서의 구멍들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구멍들이 바람직하게는 내부 구멍들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소음도 분포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감쇠바디에 구멍들은 유동 방향으로 일정치 않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멍들은 예컨대 유동 방향으로 수렴하며 진행할 수 있다. 감쇠바디가 다수의 감쇠매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면, 구멍들은, 도 7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매트마다 상이한 단면적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흡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감쇠바디에 구멍들은, 도 8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구멍의 유입 및 배출 개구부를 통해 유동 방향으로 사이트 스루 라인이 존재하지 않도록 유동 방향에서 벗어나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구멍들은 만곡될 수 있고 또는 구부러진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감쇠바디에 구멍들이 배열될 수 있는 추가의 변형예가 도 9b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변형예의 출발점은, 원형 구멍들이 60°각도로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도 9a 에서의 섹션에 따른 가장 밀집된 팩킹의 구멍배열이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전체 단면에 걸쳐 가능한 가장 큰 흡입 단면 (구멍 부분) 이 보장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음기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도 9b 의 변형예에 따른 감쇠바디에 구멍들의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은, 가장 밀집된 팩킹의 구멍배열에 있어서 60°각도로 대칭이 존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반경에 대해 평균화된 개방된 구멍 면적 - 즉, 방사상으로 안내된, 감쇠바디의 중앙에서 연장되는 방사상 라인 상의 구멍 면적의 부분 - 이 각도당 변화한다는 문제를 해결한다. 60°사이클에서의 대칭 조합된 구멍 면적 분배의 이러한 변형예는 소음기 뒤의 압축기 블레이드들의 6 오더 (6 order) 기진력 (excitation) 을 발생시킬 수 있다. 6 오더 기진력은 상기 각도에 대해 유입된 공기 또는 유입된 매체의 고르지 않은 분배로부터 발생한다. 즉, 상기 각도에 대한 구멍배열을 통해 서로 상이한 양의 매체가 흡수되고 그리고 이는 부분적으로 매우 현저하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도 9b 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구멍배열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반경에 대해 평균화된 개방된 소음기 면적 - 즉, 방사상으로 안내된, 감쇠바디의 중앙에서 연장되는 방사상 라인 상의 구멍 면적의 부분 - 이 각도당 가능한 일정하게 된다는 것에 주의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된 도 9a 에 따른 구멍배열의 가장 밀집된 팩킹에 기초하여, 흡입된 공기를 단면에 대한 각도와 관련하여 보다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 구멍들은 생략된다. 이는 따라서 항상, 방사상 방향에서 함께 가장 근접한 그러한 구멍들과 관련된다. 구멍들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생략되며, 이때 생략의 개수는 소음기의 크기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생략은 기진력을 극단적으로 감소시키며, 작은 형태적 추후 보정에 의해 기진력이 거의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형태적 추후 보정들은 예컨대 생략된 구멍들 옆의 구멍들을 서로 접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9b 에 따른 실시형태에서는, 가장 밀집된 팩킹에 기초하여, 도 9a 에 X 와 Y 로 표시된, 밖으로부터의 3개의 구멍이 행략되었지만, 각각의 이웃 구멍들은 화살표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서로 접근되었다. Y 로 표시된 제 3 구멍은 보다 작은 직경으로써 다시 도입되었다. 이제 감쇠바디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안내된 방사상 라인을 고려하면, 방사상 라인의 각각의 각위치에 대해, 본 발명에 따라 본질적으로 불변의 값을 갖는 구멍 면적 부분이 발생한다.
도시된 소음기는 중앙 축을 갖는 원형 단면 형태를 포함한다. 하지만, 소음기의 단면 형태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원형 형태에서 벗어나는 것도 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유입 개구부 및 감쇠바디의 영역이 타원형으로, 직사각형으로 또는 아주 일반적으로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1 : 소음기 10 : 소음기 하우징
11 : 유입 개구부 12 : 배출 개구부
2 : 감쇠바디 21-26 : 감쇠매트
27 : 구멍, 천공부 31, 32 : 천공된 유지 플레이트
7 : 압축기 71 : 압축기의 공기 유입부
72 : 압축기의 공기 배출부 8 : 베어링 하우징
9 : 배기가스 터빈 91 : 배기가스 터빈의 가스 유입부
92 : 배기가스 터빈의 가스 배출부 F : 유동 방향

Claims (15)

  1. 관형의 소음기 하우징 (10) 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압축기의 흡입측 상의 소음기 (1) 로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은 전방측 유입 개구부 (11) 와 후방측 배출 개구부 (12) 사이의 유동 채널을 감싸고, 상기 소음기를 통한 유동은 상기 유입 개구부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배출 개구부의 중심점으로 지향되고 (F),
    감쇠수단들은, 유동 방향으로 상기 소음기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는 감쇠바디 (2, 21, ..., 26) 를 포함하며, 상기 감쇠바디는 유동 방향으로 천공되고, 즉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구멍 (27) 을 구비하며, 유동 방향 (F) 으로 잇달아 배열된 다수의 감쇠매트 (21, ..., 26) 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수단들은 상기 유동 방향 (F) 에 대해 수직인 상기 소음기 하우징 (10) 과 관련하여 상기 감쇠바디 (2) 의 각위치 (angular position) 를 규정하는 소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수단들은 상기 감쇠매트들 (21, ..., 26) 의 위치를 그들의 천공부와 관련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규정하는 소음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수단들은 상기 감쇠바디를 상기 소음기 하우징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플레이트에 및/또는 상기 소음기 하우징에 고정된 핀, 및 상기 감쇠바디에서 또는 상기 감쇠매트들에서 상기 핀을 위해 제공된 포지셔닝 구멍을 포함하는 소음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바디의 상기 구멍 (27) 들은 서로 다른 단면들을 갖는 소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채널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상기 감쇠바디의 구멍들은 상기 유동 채널의 중앙에서의 상기 감쇠바디의 구멍들보다 큰 단면들을 갖는 소음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채널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상기 감쇠바디의 구멍들은 상기 유동 채널의 중앙에서의 상기 감쇠바디의 구멍들보다 작은 단면들을 갖는 소음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바디의 상기 구멍 (27) 들은, 상기 유동 채널의 중앙으로부터 연장하는, 방사상으로 안내된 방사상 라인에 걸쳐 합계된 구멍 면적 부분이 상기 방사상 라인의 각도와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배열되고 및/또는 서로 다른 단면적들을 갖는 소음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바디의 상기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유동 방향으로 일정치 않은 단면을 갖는 소음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유동 방향으로 이러한 구멍의 유입 및 배출 개구부를 통해 사이트 스루 (sight through) 라인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유동 방향에서 벗어나 연장되는 소음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바디와 상기 소음기 하우징은 상기 감쇠바디의 영역에서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소음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은 상기 감쇠바디의 영역에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상기 배출 개구부의 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소음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바디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된 유지 플레이트 (31, 32) 에 의해 상기 소음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소음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은 필터를 구비하는 소음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음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터보차저.
KR1020140024343A 2013-03-06 2014-02-28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소음기 KR102160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3827 2013-03-06
DE102013203827.5 2013-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821A true KR20140109821A (ko) 2014-09-16
KR102160310B1 KR102160310B1 (ko) 2020-09-28

Family

ID=5023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343A KR102160310B1 (ko) 2013-03-06 2014-02-28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소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28549B2 (ko)
EP (1) EP2775131B1 (ko)
JP (1) JP6395399B2 (ko)
KR (1) KR102160310B1 (ko)
CN (1) CN1040334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3473A (zh) * 2020-12-03 2021-03-12 中山市华南理工大学现代产业技术研究院 一种低噪音鼓风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3720B2 (ja) 2013-07-10 2016-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過給機用サイレンサ
US9970351B2 (en) 2013-11-19 2018-05-15 Cummins Filtration Ip, Inc. High frequency silencer for an air induction system
CN104533843A (zh) * 2014-12-29 2015-04-22 重庆江增船舶重工有限公司 涡轮增压器阻抗式复合消音器
JP6147777B2 (ja) * 2015-01-26 2017-06-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吸気整流装置、これを備えたコンプレッサ
JP6211029B2 (ja) * 2015-03-26 2017-10-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過給機用サイレンサ及び過給機
JP6449095B2 (ja) * 2015-05-01 2019-01-09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通気ダクト
DE102015014550A1 (de) * 2015-11-11 2017-05-11 Man Diesel & Turbo Se Ansaugsystem für einen Abgasturbolader und Abgasturbolader
US10180140B2 (en) * 2016-09-30 2019-01-15 Ingersoll-Rand Company Pulsation damper for compressors
US10533452B2 (en) * 2017-07-19 2020-01-14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Acoustic damper with barrier member configured to dampen acoustic energy propogating upstream in gas flow
DE102017130765B4 (de) * 2017-12-20 2021-02-25 Fdx Fluid Dynamix Gmbh Ultraschallmessvorrichtung und Anwendungen der Ultraschallmessvorrichtung
US10920791B2 (en) 2018-10-03 2021-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Noise mitigating compressor
US11592529B2 (en) * 2019-07-01 2023-02-28 Pony Ai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noise into an enclosure
CN111271324B (zh) * 2020-03-17 2021-06-11 浙江上风高科专风实业有限公司 一种低流阻预旋相位消声器及设计方法
EP3904697A1 (de) * 2020-04-29 2021-11-03 ABB Schweiz AG Schalldämpfer für einen abgasturbolader einer brennkraftmaschine
IT202000027525A1 (it) * 2020-11-17 2022-05-17 Fna S P A Compressore ad aria con filtro d'aria silenziato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597A (en) * 1977-04-08 1980-12-02 Futober Epuletgepeszeti Termekeket Gyarto Vallalat Sound-absorbing device, especially for damping of noises expanding in air ducts
JP2002004964A (ja) * 2000-06-21 2002-01-09 Arupatec Kk 過給機のサイレンサ
JP2003139000A (ja) * 2001-10-29 2003-05-14 Naotaka Ogawa 消音装置
US20090241888A1 (en) * 2008-03-28 2009-10-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ir Induction Housing Having a Perforated Wall and Interfacing Sound Attenuation Chamber
WO2011048323A2 (fr) * 2009-10-22 2011-04-28 ONERA (Office National d'Etudes et de Recherches Aérospatiales) Dispositif d'absorption acoustiqu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29561C (de) 1931-07-15 Albert Klein Dr Ing Vorrichtung zur Schalldaempfung in Leitungen, insbesondere fuer Lueftungs-Anlagen o. dgl.
DE1669265U (de) 1953-09-26 1953-12-24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Ansaugschalldaempfer, insbesondere fuer brennkraftmaschinen, geblaese od. dgl.
US2959243A (en) 1956-03-29 1960-11-08 Gen Sound Control Inc Sound absorbing structure
US3177972A (en) * 1960-12-14 1965-04-13 Garrett Corp Sound absorbing gas turbine exhaust duct
DE1447988A1 (de) 1965-02-25 1969-05-29 F R Meyer Kg Schalldaempfer im Baukastensystem
JPS5029305U (ko) * 1973-07-10 1975-04-03
US4371054A (en) * 1978-03-16 1983-02-01 Lockheed Corporation Flow duct sound attenuator
DE59207544D1 (de) 1992-06-17 1997-01-02 Asea Brown Boveri Filterschalldämpfer
DE19514990B4 (de) 1995-04-24 2005-06-30 Abb Turbo Systems Ag Filterschalldämpfer
DE29511979U1 (de) 1995-07-25 1995-09-28 Stihl Maschf Andreas Schalldämpfer in einem Rohr
JPH09209853A (ja) 1996-02-07 1997-08-12 Seibu Giken:Kk 内燃機関用エアクリーナ
US5792247A (en) 1996-04-26 1998-08-11 Donaldson Company, Inc. Integrated resonator and filter apparatus
KR100211597B1 (ko) * 1996-10-09 1999-08-02 오상수 버스 에어컨의 소음기
DE19703414A1 (de) 1997-01-30 1998-08-06 Wolf Woco & Co Franz J Geräuschdämpfer
JPH11325655A (ja) * 1998-05-14 1999-11-26 Matsushita Seiko Co Ltd 消音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0045782A (ja) 1998-07-27 2000-02-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過給機の脈動音消音装置
GB0010895D0 (en) * 2000-05-05 2000-06-28 Nelson Burgess Ltd Air intake silencer
DE10022240A1 (de) 2000-05-08 2001-11-15 Abb Turbo Systems Ag Baden Filterschalldämpfer
JP2003083185A (ja) 2001-09-12 2003-03-19 Toyota Motor Corp 車両用消音装置
US6799657B2 (en) 2002-10-02 2004-10-05 Carrier Corporation Absorptive/reactive muffler for variable speed compressors
CN101044320B (zh) 2004-10-20 2010-09-29 开利公司 消声器元件、压缩机及压缩机制造方法
SE528857C2 (sv) 2005-04-27 2007-02-27 Scania Cv Ab Anordning för dämpning av ljud i en ledning
JP4615463B2 (ja) * 2006-03-16 2011-01-19 興国インテック株式会社 吸気異音低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内燃機関、内燃機関の吸気異音低減装置取付構造
KR20080008664A (ko) 2006-07-20 2008-0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터보 과급기용 소음기
DE102008029489A1 (de) * 2008-06-20 2009-12-24 Wabco Gmbh Geräuschdämpfer für Druckluftsysteme von Fahrzeugen
US7712447B2 (en) 2008-10-15 2010-05-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Noise attenua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2518498A (zh) * 2011-12-25 2012-06-27 浙江大学 用于旋转气液混合流动噪声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597A (en) * 1977-04-08 1980-12-02 Futober Epuletgepeszeti Termekeket Gyarto Vallalat Sound-absorbing device, especially for damping of noises expanding in air ducts
JP2002004964A (ja) * 2000-06-21 2002-01-09 Arupatec Kk 過給機のサイレンサ
JP2003139000A (ja) * 2001-10-29 2003-05-14 Naotaka Ogawa 消音装置
US20090241888A1 (en) * 2008-03-28 2009-10-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ir Induction Housing Having a Perforated Wall and Interfacing Sound Attenuation Chamber
WO2011048323A2 (fr) * 2009-10-22 2011-04-28 ONERA (Office National d'Etudes et de Recherches Aérospatiales) Dispositif d'absorption acoustiq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3473A (zh) * 2020-12-03 2021-03-12 中山市华南理工大学现代产业技术研究院 一种低噪音鼓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73598A (ja) 2014-09-22
US9228549B2 (en) 2016-01-05
EP2775131B1 (de) 2016-11-16
US20140251719A1 (en) 2014-09-11
KR102160310B1 (ko) 2020-09-28
EP2775131A1 (de) 2014-09-10
JP6395399B2 (ja) 2018-09-26
CN104033425A (zh) 2014-09-10
CN104033425B (zh)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9821A (ko)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소음기
US9574791B2 (en) Acoustic dispersing airflow passage
US6220021B1 (en) Silencer with incorporated catalyst
KR101178961B1 (ko) 필터 흡음기
CN111099010A (zh) 声衬及其形成方法、以及具有声衬的飞行器发动机组件
CN101270712B (zh) 消音管
US20090014234A1 (en) Acoustic Panel
RU2765129C2 (ru) Шаровой клапан с модальным глушителем шума
EP3034945A1 (en) Gas turbine fuel pipe comprising a damper
JPH0578040B2 (ko)
US20160258355A1 (en) High frequency silencer for an air induction system
US7503427B2 (en) Muffler
DE102011002869B4 (de) Reflektionsschalldämpfer
KR102182473B1 (ko) 덕트 또는 챔버를 위한 음향 감쇠 장치
JP3930252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200340730Y1 (ko) 자동차 머플러
EP1060328B1 (en) A silencer
EP3692264B1 (en) An air silencer connectable to a compressor part of a turbocharger
JP7266960B2 (ja) 回転機械用のノイズバッフル及びそれを作成する方法
US11639676B2 (en) Vehicle exhaust system
JP2000227019A (ja) 排気消音装置および排気消音装置用連通管
KR101692579B1 (ko) 복수 유로를 가지는 차량용 소음기
US11828253B2 (en) Air duc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608762B2 (en) Vehicle exhaust system
JP2001164921A (ja) 排気消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