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377A -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 Google Patents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377A
KR20140108377A KR1020130019998A KR20130019998A KR20140108377A KR 20140108377 A KR20140108377 A KR 20140108377A KR 1020130019998 A KR1020130019998 A KR 1020130019998A KR 20130019998 A KR20130019998 A KR 20130019998A KR 20140108377 A KR20140108377 A KR 20140108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safety device
heating
cas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한욱
이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3001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377A/ko
Priority to JP2013137818A priority patent/JP5753230B2/ja
Priority to CN201310279632.1A priority patent/CN104000536B/zh
Publication of KR2014010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열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온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열 등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는,
사용자에게 착좌면을 제공하고, 금속으로 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저면에 안착되고,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결합되고, 합성수지로 되며, 상부케이스에 미치는 하중을 지지하는 삽입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결합되고, 합성수지로 되며, 변기와 접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열선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열선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
상기 안전장치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신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warm seat of bidet}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 근접하는 사용자를 감지함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열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온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열 등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에 관한 것이다.
배변 과정에서 항문 주위는 당연히 변에 의해 오염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배변 이후에는 항문 주위를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뒤처리를 요하게 된다.
과거 배변 이후 뒤처리는 휴지 등으로 항문 및 주변을 닦아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휴지 등으로 항문 및 주변을 닦아내는 것만으로는 항문을 청결히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변 이후 뒤처리에 따르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온수세정기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온수세정기는 배변 이후 세정수로써 항문 및 국부를 세척 및 마사지하게 되므로 항문 및 국부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온수세정기에는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하는 변좌가 마련된다.
이때,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은 경우 변좌 표면이 저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 착좌시 차가움으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는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특허출원 제10-2005-0131252호("난방변좌 및 이를 구비한 변기")와 같이 온수세정기에는 열선이 내장된 난방변좌가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는 사용자 착좌시 착좌면을 가열하게 되므로 착좌시의 차가움으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는 사용자 착좌 이후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가열 즉, 대기 온도로부터 목표 온도에 도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므로 자칫 사용자가 착좌 상태에서 차가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고장 등으로 과열될 경우 화상,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열 과정에서 온도 제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열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가열 과정에서의 온도 제어 불안정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는,
사용자에게 착좌면을 제공하되, 금속으로 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저면에 안착되고,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결합되고, 합성수지로 되며, 상부케이스에 미치는 하중을 지지하는 삽입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결합되고, 합성수지로 되며, 변기와 접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열선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열선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
상기 안전장치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신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알루미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선은 상부케이스 저면에 일정한 패턴 형태로 프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케이스는 후크 결합 또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진동 융착에 의해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케이스 저면에는 고정러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장치는 입력 전원의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누전차단부와, 입력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동시에 측정하는 전압전류검출부와, 전압전류검출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신하는 처리유닛과, 처리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열선으로 이어지는 회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어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장치의 전압전류검출부는 일정한 영역의 전압 변동 범위 내에서 통전 시간에 따른 전류량으로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장치의 처리유닛은 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열선을 대기모드로부터 가열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장치의 제어소자는 양방향성의 전류 제어가 가능한 트라이액(tria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장치는 누설 전류가 열선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릴레이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는 상부케이스가 금속으로 된 것이고, 열선이 상부케이스 저면에 안착된 것인바, 상부케이스의 재질 특성 및 열선의 위치 특성에 의해 열선 발열시의 열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착좌면의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는 안정정치의 처리유닛에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연결된 것인바, 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처리유닛이 사용자 착좌 이전부터 열선을 대기모드로부터 가열모드로 전환하므로 착좌면의 가열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는 누전차단부와 전압전류검출부가 마련된 것인바, 누전 또는 고전압 또는 저전압 등의 전원 이상 공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되므로 전원 이상 공급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에서 안정장치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A)는 상부케이스(10)와, 열선(20)과, 삽입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와, 안전장치(50)와, 감지센서(6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10)는 사용자에게 착좌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케이스(10)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케이스(10)가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됨으로써 재질의 특성상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열선(20)으로부터의 열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열선(20)은 상부케이스(10) 저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열선(20)은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열선(20)은 상부케이스(10) 저면에 일정한 패턴 형태로 프린팅될 수 있는 것이다.
열선(20)이 상부케이스(10) 저면에 일정한 패턴 형태로 프린팅됨으로써 상부케이스로(10)부터 열선(20)의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케이스(30)는 상부케이스(10) 내측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부케이스(10)에 미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삽입케이스(30)는 합성수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케이스(30)가 합성수지로 됨으로써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경량이면서도 상부케이스(10)에 미치는 하중의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삽입케이스(30)는 후크(31) 결합 또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부케이스(10)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케이스(30)가 후크(31) 결합 또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부케이스(10)와 결합함으로써 상부케이스(10)와 삽입케이스(3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40)는 상부케이스(10)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고, 변기(도면상 미도시)와 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케이스(40)는 합성수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스(40)가 합성수지로 됨으로써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케이스(40)는 진동 융착에 의해 상부케이스(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스(40)가 진동 융착에 의해 상부케이스(10)에 결합됨으로써 하부케이스(40)와 상부케이스(1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40)의 저면에는 고정러버(4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스(40)의 저면에 고정러버(41)가 마련됨으로써 변기상에서 하부케이스(4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하부케이스(40)에 미치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장치(50)는 열선(20)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것이고, 열선(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안전장치(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전차단부(51)와, 전압전류검출부(52)와, 처리유닛(53)과, 제어소자(5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누전차단부(51)는 입력 전원의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것이고, 상기 전압전류검출부(52)는 입력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며, 상기 처리유닛(53)은 전압전류검출부(52)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소자(54)는 처리유닛(53)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열선(20)으로 이어지는 회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압전류검출부(52)는 일정한 영역의 전압 변동 범위 내에서 통전 시간에 따른 전류량으로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전압전류검출부(52)가 일정한 영역의 전압 변동 범위 내에서 통전 시간에 따른 전류량으로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것임으로써 열선(20) 발열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소자(54)는 트라이액(triac)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소자(54)가 트라이액임으로써 양방향성의 전류 제어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유닛(53)은 감지센서(60)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열선(20)을 대기모드로부터 가열모드로 전환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처리유닛(53)이 감지센서(60)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열선(20)을 대기모드로부터 가열모드로 전환하는 것임으로써 감지센서(6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사용자 착좌 이전부터 열선(20)의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가열 시간 즉, 대기 온도(평상시 유지온도)로부터 목표 온도(착좌면 최고 가열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전장치(50)는 릴레이소자(5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장치(50)가 릴레이(55)소자를 더 포함함으로써 열선(20) 대기모드에서 릴레이소자(55) 작동을 통해 누설 전류가 열선(20)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안전장치(50)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것이고,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감지센서(60)는 변기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을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감지센서(6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며, 그 예로는 동작 감지센서 또는 체온 감지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A)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A)는 변기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부케이스(40)가 변기와 접하게 되고, 하부케이스(40)와 결합하는 상부케이스(10)가 사용자에게 착좌면을 제공하게 되며, 상부케이스(10) 저면에 안착되는 열선(20)이 상부케이스(10)를 가열하게 되고, 하부케이스(40)와 상부케이스(10)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케이스(30)가 상부케이스(1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이 이루어지는 열선(20)은 안전장치(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정장치(50)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와 연결된 것이다.
따라서, 실내로 사용자가 입장하여 변기에 근접하게 되면 감지센서(60)가 사용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때, 감지센서(60)로부터의 신호는 안전장치(50)의 처리유닛(53)에 입력되고, 처리유닛(53)은 감지센서(60)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열선(20)을 대기모드로부터 가열모드로 전환하므로 열선(20)은 대기 온도(평상시 유지온도)로부터 목표 온도(착좌면 최고 가열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발열하게 된다.
여기서, 열선(20)은 상부케이스(10) 저면에 안착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10)는 알루미늄으로 된 것인바, 열선(20)으로부터의 열은 상부케이스(10)에 원활하게 전달되므로 상부케이스(10)의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입장 이후 변기에 착좌하는 사용자는 사전에 가열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부케이스(10)와 접하게 되므로 차가움으로 인한 불쾌감 없이 쾌적한 상태로 용변에 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열선(20)으로 입력되는 전원이 누전될 경우 감전 및 화재 등의 사고가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안전장치(50)에는 입력 전원의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누전차단부(51)가 마련되어 있는바, 열선(20)으로 입력되는 전원의 누전으로 인한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선(20)으로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가 불안정할 경우 열선(20)의 과열 등 이상 작동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안전장치(50)에는 입력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동시에 측정하는 전압전류검출부(52)가 마련되어 있어 전압전류검출부(52)의 데이터에 따라 처리유닛(53)에 의한 열선(20) 작동이 제어되므로 열선(20)의 과열 등 이상 작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A)는 상부케이스(10)가 금속으로 된 것이고, 열선(20)이 상부케이스(10) 저면에 안착된 것인바, 상부케이스(10)의 재질 특성 및 열선(20)의 위치 특성에 의해 열선(20) 발열시의 열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착좌면의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있게 되고, 감지센서(6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안전장치(50)의 처리유닛(53)이 사용자 착좌 이전부터 열선(20)을 대기모드로부터 가열모드로 전환하므로 착좌면의 가열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안전장치(50)에 누전차단부(51)와 전압전류검출부(52)가 마련된 것인바, 누전 또는 고전압 또는 저전압 등의 전원 이상 공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되므로 전원 이상 공급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상부케이스 20 : 열선
30 : 삽입케이스 31 : 후크
40 : 하부케이스 41 : 고정러버
50 : 안전장치 51 : 누전차단부
52 : 전압전류검출부 53 : 처리유닛
54 : 제어소자 55 : 릴레이소자
60 : 감지센서 A :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Claims (11)

  1. 사용자에게 착좌면을 제공하되, 금속으로 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저면에 안착되고,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결합되고, 합성수지로 되며, 상부케이스에 미치는 하중을 지지하는 삽입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결합되고, 합성수지로 되며, 변기와 접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열선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열선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
    상기 안전장치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신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알루미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부케이스 저면에 일정한 패턴 형태로 프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케이스는 후크 결합 또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진동 융착에 의해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6. 제1항에 있어서,
    하부케이스 저면에는 고정러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입력 전원의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누전차단부와, 입력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동시에 측정하는 전압전류검출부와, 전압전류검출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신하는 처리유닛과, 처리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열선으로 이어지는 회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어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의 전압전류검출부는 일정한 영역의 전압 변동 범위 내에서 통전 시간에 따른 전류량으로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의 처리유닛은 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열선을 대기모드로부터 가열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의 제어소자는 양방향성의 전류 제어가 가능한 트라이액(tria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누설 전류가 열선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릴레이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KR1020130019998A 2013-02-25 2013-02-25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KR20140108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98A KR20140108377A (ko) 2013-02-25 2013-02-25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JP2013137818A JP5753230B2 (ja) 2013-02-25 2013-07-01 シーツの過熱防止のための温水洗浄機
CN201310279632.1A CN104000536B (zh) 2013-02-25 2013-07-04 用于防止坐圈过热的温水洁身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98A KR20140108377A (ko) 2013-02-25 2013-02-25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377A true KR20140108377A (ko) 2014-09-11

Family

ID=5136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998A KR20140108377A (ko) 2013-02-25 2013-02-25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53230B2 (ko)
KR (1) KR20140108377A (ko)
CN (1) CN1040005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3664B (zh) * 2015-12-04 2018-11-27 上海亚虹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座便器座圈过热故障的分辨方法
EP3272259A1 (en) * 2016-07-22 2018-01-24 Duravit Aktiengesellschaft Sanitar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power provided by a power unit of a sanitary device
JP2018038528A (ja) * 2016-09-06 2018-03-15 三井化学株式会社 便座上板、便座、暖房便座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455B2 (ja) * 1986-10-21 1994-09-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暖房便座
JP2001190451A (ja) * 1999-11-04 2001-07-17 Toto Ltd 暖房便座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00509A (ja) * 2000-06-20 2002-01-08 Toto Ltd 暖房便座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10485A (ja) * 2002-04-26 2003-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05218538A (ja) * 2004-02-04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便座とそれを搭載したトイレ装置
JP2009112799A (ja) * 2007-10-17 2009-05-28 Panasonic Corp 便座装置
JP5200626B2 (ja) * 2008-03-31 2013-06-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トイレ装置
WO2010013488A1 (ja) * 2008-08-01 2010-0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座装置
JP2010075497A (ja) * 2008-09-26 2010-04-08 Panasonic Corp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0465265Y1 (ko) * 2010-08-24 2013-02-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
KR101273499B1 (ko) * 2011-03-08 2013-06-17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용 변기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61725A (ja) 2014-09-08
CN104000536A (zh) 2014-08-27
JP5753230B2 (ja) 2015-07-22
CN104000536B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374B1 (ko) 전기매트의 전원 자동 차단장치
JP2012250037A (ja) ビデの便座温度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40108377A (ko)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KR100804354B1 (ko) 난방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난방 장치를 탑재한 화장실장치
JP2010022751A (ja) 暖房便座装置
JP2010227361A (ja) 暖房便座装置
JP2008012346A (ja) 暖房便座
JP2008110089A (ja) 暖房便座およびそれを備えた温水洗浄装置
JP4232422B2 (ja) 暖房便座
JP2008110089A5 (ko)
JP2011182955A (ja) 便座装置
JP5061251B2 (ja) 衛生洗浄装置
JP2007082659A (ja) 暖房便座
JP7104889B2 (ja) 暖房便座装置
JP5369386B2 (ja) 暖房便座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20230101038A (ko)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전기매트
JPH01113011A (ja) 水洗便器
JP4067015B2 (ja) 暖房便座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04337498A (ja) トイレ装置
JPH11230562A (ja) トイレ暖房装置
JP5704433B2 (ja) 暖房便座装置
JP5257205B2 (ja) 暖房便座装置
GB2446675A (en) Heated shower seat
JP2007236512A (ja) 便座装置
JP2011177388A (ja) 暖房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