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265Y1 -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 - Google Patents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265Y1
KR200465265Y1 KR2020100008818U KR20100008818U KR200465265Y1 KR 200465265 Y1 KR200465265 Y1 KR 200465265Y1 KR 2020100008818 U KR2020100008818 U KR 2020100008818U KR 20100008818 U KR20100008818 U KR 20100008818U KR 200465265 Y1 KR200465265 Y1 KR 200465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heater
temperature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499U (ko
Inventor
박영석
김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2020100008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6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열선으로 구성되는 제1 히터와 유도 가열 코일에 의한 제2 히터를 포함함으로써 평소에는 제1 히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1 온도로 유지되고, 변기 사용 전 제2 히터를 사용하여 급속하게 제2 온도로 가열되는 좌변기 시트 및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중공부를 갖는 좌변기 시트로, 상기 좌변기 시트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금속재의 둔부 안착부와; 상기 둔부 안착부를 1차 예열하는 열선 히터와; 상기 좌변기 시트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둔부 안착부를 일정 온도로 급속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좌변기 시트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Toilet seat having a dual heater}
본 고안은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열선으로 구성되는 제1 히터와 유도 가열 코일에 의한 제2 히터를 포함함으로써 평소에는 제1 히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1 온도를 유지하고, 변기 사용 전 제2 히터를 사용하여 급속하게 제2 온도로 가열되는 좌변기 시트 및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열선을 이용한 히팅 방식 또는 유도 가열 코일을 이용한 히팅 방식이 적용된 변기 시트가 개발되었다.
열선을 이용한 히팅 방식은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기 직전에 급속하게 변기 시트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상승하기에는 시간적인 조건이 불만족스러웠고, 또한 온도 상승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율이 높았다.
또한, 유도 가열 코일을 이용한 히팅 방식은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기 직전에 변기 시트를 급속하게 가열하는 데는 효율적이긴 하나, 급속히 가열된 온도를 유지하는 데는 열선 방식보다 제어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사용 대기 시에는 동작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변기 시트의 둔부 안착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둔부 안착부에 앉는 순간 사용자에게 일시적으로나마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좌변기 시트에 있어서, 대기 시에는 보조 히터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좌변기 사용 직전에 급속 히터를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일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좌변기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일 양태로서, 중공부를 갖는 좌변기 시트로, 상기 좌변기 시트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금속재의 둔부 안착부와; 상기 둔부 안착부를 1차 예열하는 열선 히터와; 상기 좌변기 시트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둔부 안착부를 일정 온도로 급속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좌변기 시트가 제시된다.
한편, 상기 둔부 안착부는 강자성체로서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좌변기 시트 외면에는 상기 열선 히터가 수용될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열선 히터는 상기 둔부 안착부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열선 히터와 상기 둔부 안착부 사이에는 온도 센서가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은 다수의 국부 유도 가열 코일 형태로 좌변기 시트 중앙 홀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국부 유도 가열 코일은 위치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고, 전방 양측에는 폭이 크고 긴 장방형으로, 후방 양측에는 폭이 크고 짧은 장방형으로, 후방 중앙부에는 폭이 작고 짧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양태로서, 열선 히터와, 유도 가열 코일을 포함한 좌변기 시트와; 사용자의 좌변기로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좌변기 시트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감지 전후 별로 상기 열선 히터 및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좌변기 시트의 온도를 다른 온도로 유지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가 제시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 대기 시에는 상기 열선 히터만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설정된 대기 온도로 상기 좌변기 시트의 온도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열선 히터 및 상기 유도 가열 코일에, 또는 상기 유도 가열 코일 만에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설정된 사용 온도로 상기 좌변기 시트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변기 시트가 사용 온도로 가열된 이후에는 상기 열선 히터 만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좌변기 시트를 사용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사용자의 좌변기 시트 상의 착좌를 감지하기 위한 착좌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착좌감지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열선 히터로만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사용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감지센서에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열선 히터만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좌변기 시트를 대기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좌변기 시트는, 좌변기 시트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금속재의 둔부 안착부와; 상기 둔부 안착부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는 열선 히터와; 상기 좌변기 시트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에 지지되고 상기 둔부 안착부를 급속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유도 가열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표시등과; 상기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한 예열 정지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열 정지 버튼이 눌리면 상기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열선 히터에만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좌변기 시트를 대기 온도로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좌변기 시트에 있어서, 대기 시에는 보조 히터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좌변기 사용 직전에 급속 히터를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사용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았던 급속 히터의 동작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온도로의 상승 이전에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면 급속 히터의 동작을 정지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코일의 배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코일의 형태에 따른 자속 형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선 히터의 열선의 배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시트의 단면도이다.
좌변기 시트(1)는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와,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둔부 안착부(30)와, 열선 히터(40)와, 유도 가열 코일(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좌변기 시트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0)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금속재의 둔부 안착부(30)에 인서트되어 서로 밀착 고정된다.
상기 둔부 안착부(30)는 사람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판으로 구성되며, 강판에는 강자성체인 니켈, 크롬 등이 함유되거나 코팅될 수 있으며, 특히 SUS 430인 스테인리스 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둔부 안착부(30)의 하면에는 온도에 따른 변형이 작으면서도 열선의 온도가 둔부 안착부(30)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면 형태의 열선 히터가 부착된다.
열선 히터(40)는 면 형태의 PVC 기저면에 열선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열선히터(40)의 상면에는 접착력이 강한 접착제가 도포 되어 있어 열선히터의 상면과 둔부 안착부의 하면은 접착제의 의해 접착된다.
열선히터의 열선(42)은 좌변기의 중앙홀을 따라 환형으로 상부 케이스(10)의 수용 홈(12)에 분포된다(도 6 참조).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둔부 안착부 및 상기 열선 히터 사이에는 온도 센서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상기 열선히터(40)를 수용할 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선 히터는 사람의 하중이 적은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측 특정 부위에는 유도 가열 코일을 지지할 지지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4)에 상기 유도 가열 코일(50)이 지지되어 상부 케이스의 하면 근처에 배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코일의 배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유도 가열 코일은 하나의 환형으로 상부 케이스 하면에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그것보다는 효율적인 유도 가열을 위하여 다수 개의 소형 국부 유도 가열 코일을 일정한 패턴으로 상부 케이스의 환형 형태를 따라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국부 유도 가열 코일을 적용할 때(도 3의 b)가 하나의 환형 유도 가열 코일을 적용할 때(도 3의 a)보다 변기 시트 중앙 부분의 자속을 줄여줌으로써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국부 유도 가열 코일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며, 동일한 권회 방향으로 형성된다.
국부 유도 가열 코일의 패턴은 가열 부위를 최대한 넓게 형성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의 선단 양측에는 중앙 홀의 외주를 따라 폭이 큰 긴 장방형(52)으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의 중단 양측에는 중앙 홀의 외주를 따라 폭이 큰 짧은 장방형(54)으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의 하단 중앙부에는 중앙 홀의 외주를 따라 폭이 작은 짧은 장방형(56)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는 통상의 비데 장치에 포함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에 국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좌변기 후방 측에는 착좌감지센서(7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좌변기 시트에 앉아 있는 것을 감지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화장실 출입 또는 사용자의 좌변기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가 화장실 출입문 또는 좌변기의 상측부 등에 설치된다.
열선히터(40)와 유도 가열 코일(50)이 포함되어 있는 좌변기 시트(1)가 변기의 몸체 위에 내려져 있다.
변기의 일 측부에는 기능 조절부(2)가 위치하고, 상기 기능 조절부(2) 내부에는 좌변기 시트의 가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기능 조절부(2)에는 유도 가열 코일의 동작에 따른 유도 열을 발생시키고 있음을 표시하는 예열 표시등(120)과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시키기 위한 예열 정지 버튼(122)이 더 포함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착좌감지센서(70)는 사용자가 좌변기 시트에 앉아 있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통보하여 준다.
인체감지센서(72)는 사용자가 화장실 출입문에 들어서는 것을 감지하거나 좌변기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다.
온도 센서(90)는 좌변기 시트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통보하여 준다.
제어부(80)는 착좌감지센서(70), 인체감지센서(72), 온도센서(90)의 감지 신호를 바탕으로 좌변기 시트의 가열 과정을 제어한다.
구동부(100)는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열선히터(40) 또는 유도 가열 코일(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준다.
열선히터(40)는 구동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방출한다.
유도 가열 코일(50)은 구동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자성체인 둔부 안착부에 열을 유도한다.
예열 표시등(120)은 유도 가열 코일(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유도 열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예열 정지 버튼(122)은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할 의사가 없음에도 인체감지센서(72)를 통한 사용자의 감지에 의해 유도 열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을 정지하게 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예열 표시등의 표시를 보고 예열 정지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열선히터(40)로만 전원을 공급하여 대기온도 T1을 유지하게 한다.
좌변기 시트의 가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80)에는 대기 온도 T1과 사용 온도 T2(T2가 T1보다 높음)가 설정되어 있고, 사용 대기 시에는 상기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열선히터(40)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대기 온도 T1을 유지한다. 여기서 T1, T2는 특정 온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특정 범위의 온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려고 화장실에 입장하거나 변기에 접근하면 상기 인체 감지 센서(72)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고,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열선히터(40) 및 상기 유도 가열 코일(50)에 함께 또는 상기 유도 가열 코일(50)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T2까지 좌변기 시트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때, T2까지 온도가 상승되기도 전에 상기 착좌감지센서(70)에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면,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열선 히터로만 T2까지 가열하게 된다.
좌변기 시트가 T2까지 상승한 후에는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열선히터(40)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T2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변기 사용을 마치고 자리를 뜨게 되면, 상기 착좌감지센서(70)는 인체가 감지되지 않음을 제어부(80)에 통보하고, 제어부(80)는 구동부를 통하여 열선히터(4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좌변기 시트를 T1으로 유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 실시예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형한 것에도 미치며, 그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본 고안은 이중 히터를 갖는 변기 시트 및 그 변기 시트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변기 관련 산업 및 비데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 : 좌변기 시트 2 : 기능 조절부
10 : 상부 케이스 20 : 하부 케이스
30 : 둔부 안착부 40 : 열선 히터
50 : 유도 가열 코일 70 : 착좌감지센서
72 : 인체감지센서 80 : 제어부
90 : 온도센서

Claims (14)

  1. 중공부를 갖는 좌변기 시트로, 상기 좌변기 시트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금속재의 둔부 안착부; 상기 둔부 안착부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면서 상기 둔부 안착부를 1차 예열하는 열선 히터; 상기 좌변기 시트의 중앙 홀 외주를 따라 상기 좌변기 시트내에 서로 이격된 채로 다수의 국부 유도 가열 코일 형태로 배치되면서 상기 둔부 안착부를 일정 온도로 급속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열선히터는 변기의 사용 대기상태 또는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려고 화장실에 입장하거나 변기에 접근시 상기 좌변기 시트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1차적인 가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은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려고 화장실에 입장하거나 변기에 접근시 상기 열선히터에 의해 1차 가열되는 좌변기 시트의 일정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2차적인 급속 가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공급은 상기 좌변기 시트로 사용자의 착좌시 차단하고, 상기 열선히터로의 전원공급만을 유지시켜 좌변기 시트의 급속한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을 제한하면서 상기 좌변기 시트의 온도를 설정된 사용온도로 유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둔부 안착부는 강자성체로서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시트 외면에는 상기 열선 히터가 수용될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선 히터와 상기 둔부 안착부 사이에는 온도 센서가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부 유도 가열 코일은 위치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고, 전방 양측에는 폭이 크고 긴 장방형으로, 후방 양측에는 폭이 크고 짧은 장방형으로, 후방 중앙부에는 폭이 작고 짧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8. 열선 히터와 유도 가열 코일을 포함한 좌변기 시트; 사용자의 좌변기로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 상기 좌변기 시트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사용자의 좌변기 시트 상의 착좌를 감지하기 위한 착좌감지센서;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착좌감지센서의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열선 히터 및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좌변기 시트의 온도를 다른 온도로 유지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열선히터는 변기의 사용 대기상태 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려고 화장실에 입장하거나 변기에 접근시 상기 좌변기 시트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1차적인 가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려고 화장실에 입장하거나 변기에 접근시 상기 열선히터에 의해 1차 가열되는 좌변기 시트의 일정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2차적인 급속 가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좌변기 시트로 사용자의 착좌상태가 상기 착좌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공급은 차단되고, 상기 열선히터로의 전원공급만을 유지시켜 좌변기 시트의 급속한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을 제한하면서 사용온도로 유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시트는,
    좌변기 시트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금속재의 둔부 안착부와;
    상기 둔부 안착부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는 열선 히터와;
    상기 좌변기 시트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에 지지되고 상기 둔부 안착부를 급속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표시등과;
    상기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한 예열 정지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열 정지 버튼이 눌리면 상기 유도 가열 코일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열선 히터에만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좌변기 시트를 대기 온도로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가열 장치.
KR2020100008818U 2010-08-24 2010-08-24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 KR200465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18U KR200465265Y1 (ko) 2010-08-24 2010-08-24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18U KR200465265Y1 (ko) 2010-08-24 2010-08-24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99U KR20120001499U (ko) 2012-03-06
KR200465265Y1 true KR200465265Y1 (ko) 2013-02-08

Family

ID=4617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818U KR200465265Y1 (ko) 2010-08-24 2010-08-24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377A (ko) * 2013-02-25 2014-09-11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난방변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731Y1 (ko) 1999-09-18 2000-03-15 강남필터주식회사 양변기용 시트
KR200270528Y1 (ko) 2001-09-08 2002-04-03 박영률 예열장치가 구비된 좌변기용 변기시트 공급장치
JP2010075497A (ja) * 2008-09-26 2010-04-08 Panasonic Corp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100059700A (ko) * 2008-11-25 2010-06-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변기 시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731Y1 (ko) 1999-09-18 2000-03-15 강남필터주식회사 양변기용 시트
KR200270528Y1 (ko) 2001-09-08 2002-04-03 박영률 예열장치가 구비된 좌변기용 변기시트 공급장치
JP2010075497A (ja) * 2008-09-26 2010-04-08 Panasonic Corp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100059700A (ko) * 2008-11-25 2010-06-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변기 시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99U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777B1 (ko) 애완동물용 방석
US9717115B2 (en) Textile or non-textile sheet and/or fabric with electrical function
KR20140014934A (ko) 유도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JP5708448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328045B1 (ko) 탄소 온열매트
KR200465265Y1 (ko)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
JP5369155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27261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018114A (ja) 便座暖房装置
KR20160099341A (ko) 인체감지 기능이 있는 온열매트시스템
KR101115600B1 (ko) 영역별 온도제어가 가능한 전기 장판
JP2009285307A (ja) 暖房便座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JP2010086740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063669A (ja) 電磁誘導式暖房装置
JP2010071573A (ja) 面状発熱体
EP3041986B1 (en) Improved ironing board for use with a cordless clothes iron
KR102670505B1 (ko) 전기가열식 온열패드
JP5590288B2 (ja) 暖房便座装置
JP5159578B2 (ja) 便座装置
WO2019163089A1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20322499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11299694A (ja) 暖房便座
JP4232422B2 (ja) 暖房便座
JP545600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3223624A (ja) 面状採暖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