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129A -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comprising rhus verniciflua extract - Google Patents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comprising rhus verniciflua extr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129A
KR20140108129A KR1020140020106A KR20140020106A KR20140108129A KR 20140108129 A KR20140108129 A KR 20140108129A KR 1020140020106 A KR1020140020106 A KR 1020140020106A KR 20140020106 A KR20140020106 A KR 20140020106A KR 20140108129 A KR20140108129 A KR 20140108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mposition
weight
extract
raspberry extract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4951B1 (en
Inventor
장영훈
박헌신
안준식
옥주안
이세환
김인순
Original Assignee
청산화학(주)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산화학(주),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청산화학(주)
Publication of KR2014010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9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 Rhus verniciflua extract. Particles containing the Rhus verniciflua extract are produced by eliminating urushiol and by increasing a flavonoid content, and can be used for providing the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enhanced antibacteri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hus verniciflua extract is extracted by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hot water extract method, an enzyme extract method, and a fermentation extract method.

Description

옻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COMPRISING RHUS VERNICIFLUA EXTRAC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 ricotta extract,

본 발명은 옻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옻의 독성 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하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함유량을 높여 항균성이 강화된 옻 추출물을 입자화하여 의류용 세제에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에 자극이 없고 항균성이 우수한 의류용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ricotta extract,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ricotta extract, which contains urushiol as a poison ingredient, To a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which has no irritation to the skin and has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옷은 제 2의 피부’ 라는 말처럼 현대인에게 옷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켜주는 보호막이다. 피부에 직접 밀착되는 옷은 우리 몸과 하루 24시간 함께 한다는 점에서 개인의 위생 및 건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세제에 들어 있는 계면활성제, 형광증백제, 합성착색료 등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질 수 있는 화학물질은 아토피, 주부 습진 등 피부염의 원인이 된다. 합성세제로 세탁을 하는 것은 피부에 화학오염 물질을 바르는 것과 같기 때문에 세재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점은 세척력이지만 그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이 바로 안전한 세제를 찾는 일이다. 특히 연약한 아기 피부에 직접 닿는 유아용 의류 세제는 안전함은 물론이고, 피부 자극이 덜하고 항균 효과가 뛰어나야 한다. 이 때문에 옷을 세탁하는 세제의 성분과 작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친환경 윤리적 소비가 소비시장의 트렌드로 떠오름에 따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의류용 세제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As the word 'clothes is the second skin', clothes for modern people are a means of expressing their personality and a shield for protecting our body from the outside environment. Clothes directly attached to the skin are closely related to the hygiene and health of the individual in terms of being in contact with our body 24 hours a day. In particular, chemicals such as surfactants,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and synthetic coloring agents in detergents that can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humans cause dermatitis, such as atopy and housewife eczema. Washing with synthetic detergent is like applying chemical contaminants to your skin, so the most important point in selecting a detergent is detergency, but the priority is to find a safe detergent. In particular, children's clothing detergents that directly touch the skin of a baby should be safe, less irritating to the skin, and have good antimicrobial effects. As a result,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ingredients and functions of detergents for washing clothing. Recently, as environment-friendly ethical consumption has emerged as a trend in the consumer market, detergents for clothing that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are attracting particular attention.

세제는 흡착, 습윤, 계면장력 저하, 유화, 가용화, 분산 등의 복잡한 물리적 및 화학적 작용에 의해서 물체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합물질로 세계적으로 품질수준의 차이가 거의 없고, 운반비 부담이커 수출입 물량이 적은 내수 소비 산업으로 국내 세제 산업은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아 급속히 성장해 왔다. A detergent is a mixed material used for removing contaminants attached to an object surface due to complicated physical and chemical actions such as adsorption, wetting, interfacial tension reduction, emulsification, solubilization and dispersion, The domestic taxation industry has been growing rapidly as it has become a necessity of life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people's standard of living.

일반적으로 세제란 오염에 대한 효율적인 세정을 도와주는 혼합물질로서, 계면활성제와 조제로 구성되며, 세척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세척제라고 하는 등 세제의 세척작용은 주로 계면활성제의 역할에 의하는 것이다. 세제는 제조방법에 따라 비누와 합성세제로 구분되고 성분상으로 크게 나누면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비이온성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In general, a detergent is a mixed substance that helps efficient cleaning of contamination. It is composed of a surfactant and an auxiliary agent. The surfactant used for cleaning is called a cleaning agent. will be. Detergents can be divided into soaps and synthetic detergent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and divided broadly into constituent phases into anionic surfactant soaps, sodium alkylbenzenesulfonates, and nonionic detergents.

하지만, 종래에 개발되어 있는 각종 세제들은 피부에 무해한 쪽으로 개선되어 가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들 세제들은 항균 기능을 하는 세균억제성분이 부족해 세척 후에도 피세척물로 인한 피부질환이 유발되고, 주요성분으로 포함되는 솔비톨은 세제의 경화현상을 촉진시켜 세제 사용자들에게 불편과 불쾌감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developed various detergents have been improved to harmless to the skin. However, since these detergents do not have enough antibacterial inhibiting components to be antibacterial function, the skin diseases caused by the washed-off water are induced, Sorbitol has a problem of promoting the hardening phenomenon of the detergent and causing discomfort and discomfort to the detergent users.

따라서, 최근 환경 문제의 심각성 고조,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로 인하여 합성세제 보다는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만든 저공해, 고기능성 세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세제는 상표전환율이 높은 산업이며 고가의 외국제품들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development of low-emission, high-performance detergents made from natural raw materials rather than synthetic detergents, due to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heightened interest in health. Since detergents are industries with high trademark conversion rates and high-priced foreign products have high market sha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ducts that meet new trends in order to cope with them.

따라서 합성세제 보다는 쌀뜨물, 팥 추출물 등과 같은 천연 소재를 함유하는 친환경 천연세제가 화학물질 일변도의 세제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천연 소재를 함유하는 세제가 급부상하면서 소비자의 세제 선택 기준도 급속히 달라지는 추세이며, 미국에서도 환경을 생각하는 주부들이 빠르게 늘고 있는데, 지난 3월 뉴욕타임스는 주부들 사이에서 불고 있는 환경보호 열풍을 전하면서 이렇게 가정에서 생태주의적인 삶을 추구하는 주부들을 ‘에코맘(Eco Mom)’이라고 부른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Therefore, eco-friendly natural detergents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s such as rice flour and red bean extracts are shaking up the detergent market of chemicals instead of synthetic detergents. With the rapid rise of detergents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s, the consumer selection criteria for detergents are rapidly changing. In the United States, the number of housewives who think about the environment is rapidly increasing. In March, the New York Times reporte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trend blowing among housewives He also introduced housewives who pursue an ecological life at home as "Eco Mom."

이렇게 천연 세제가 각광을 받는 이유는 화학물질 성분이 들어간 기존 세제에 비하여 피부의 건강을 지켜주는데다 환경오염도 거의 없는 무공해 친환경 제품이기 때문이다. 화학물질의 주방세제는 세제 속에 거품이 잘나도록 첨가하는 인(P) 성분이 우리 몸에 칼슘과 1대1로 결합하여 빠져나가면서 골다공증을 일으키고 아이의 성장을 저해할 뿐 아니라 수질의 부영양화를 가속하는 등 그동안 환경의 적이라는 비난을 받아왔다.This is because the natural detergent is in the spotlight because it protects the health of the skin compared to conventional detergents containing chemical ingredients and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with littl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chemical detergent of the chemical is added in the detergent so that the bubbles are added to the detergent, and the phosphorus (P) component binds to the body in a one-to-one relationship with the calcium, thereby causing osteoporosis and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child and accelerating the eutrophication of water quality Has been accused of being an enemy of the environment.

이러한 화학 성분들을 최대한 배제하고, 피부의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친환경 성분인 천연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천연 세제 조성물이 연구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19142 B1「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세제가 가지는 기본적인 세정력을 구비함과 동시에 한약재 또는 해조류 같은 천연물의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천연물 추출물이 가지는 항균활성 및 관능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까지 가지는 고기능성 천연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39407 A「석창포뿌리, 뽕잎, 뽕가지, 오가피잎 그리고 구기자잎을 이용한 천연세제조성물」은 천연물인 석창포뿌리, 뽕잎, 뽕가지, 오가피잎 그리고 구기자잎을 원료로서 사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또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주방용 식기, 유리, 쇠, 타일, 세면기, 골프채, 과일, 야채 등을 포함하는 어떤 재질의 물건에 대해서도 뛰어난 세척, 광택 및 코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섬유, 예를 들어 유아복, 기저귀 등에 대해 정전기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특히 진정효과, 염증에 대한 치료효과를 가지는 약초성분을 주원료로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완화 및 예방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11685 B1「대두지방산과 레시틴을 이용한 활성 수용성 천연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대두지방산과 레시틴을 이용한 활성 수용성 천연세제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일반적인 합성세제의 경우처럼 세제분자와 오물과의 접촉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거품을 낼 필요도 없고, 일반 합성세제에 첨가제로 사용하는 각종 화합물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체나 환경에 해로운 오염물질이 전혀 없는 친환경적인 특징이 있는 천연세제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옻으로부터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주요 성분으로 이용하여 세제 조성물을 개발한 사례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Various natural detergent compositions have been studied using extracts of natural substances, which are eco-friendly components, in order to exclude these chemical components to the utmost and to protect the health of the skin.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9142 B1 entitled " Natural Deterg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includes basic detergents of detergents and extracts of natural products such as herbal medicines or seaweeds to make them harmless to the human body, Functional natural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microbial activ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natural extract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39407 A, "Natural detergent composition using roots, mulberry leaves, mulberry leaves, ogafi leaves and gugija leaves of Seokchangpo" Can be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imple operation to perform an excellent cleaning, luster and coating function on any material including kitchen utensils, glass, iron, tiles, washbasins, golf clubs, fruits and vegetabl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tigation and prevention effect for atopic dermatitis, using as a main ingredient a herbal composition which does not generate static electricity for fibers, for example, baby clothes and diapers, and has a therapeutic effect on sedative effect and inflamma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11685 B1 entitled " Active Water-Soluble Natural Detergent Composition Using Soybean Fatty Acid and Lecith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discloses that an active water-soluble natural detergent composition using soybean fatty acid and lecithin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bubble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contact with dirt, and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use various compounds used as additives in general synthetic detergents, natural detergent Lt; / RTI > However, there has not yet been developed a detergent composition using the particles containing ricotta extract removed from uric acid as a main component.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19142 B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9142 B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39407 A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39407 A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11685 B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11685 B1

본 발명은 옻 추출물에서 옻의 독성 성분인 우루시올(Urushiol)을 제거하고 항균 활성이 우수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의 함량을 높여 항균성이 강화된 성분을 입자화하여 의류용 세제에 함유시킴으로써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이 없고 항균성이 우수한 의류용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the storage stability by removing Urushiol which is a poisonous component of rucovsk powder from ralph lauren extract and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flavonoids having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nd which has no irritation to the skin and is excellent in antimicrobial activity.

본 발명은 옻으로부터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urushiol extracted from lacquer with ruminal extract.

상기 옻 추출물은 열수 추출법, 효소 추출법 및 발효 추출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된다.The ruminal extract is extracted using at least one extraction method selected from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n enzyme extraction method and a fermentation extraction method.

상기 옻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다.The raspberry extract comprises 0.5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상기 옻은 옻 추출물 총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다.The lacqu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ricotta extract.

상기 옻 추출물은 BRIX 기준으로 5 내지 30°Bx를 포함한다.The raspberry extract contains 5 to 30 [deg.] Bx on a BRIX basis.

상기 옻 추출물은 입자형 물질인 소금, 설탕, 중회, 망초, 벤토나이트 및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자형 물질을 포함한다.The rumba extract comprises at least one particulat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nular materials such as salt, sugar, heavy metal, manganese, bentonite and silicate.

상기 입자형 물질은 옻 추출물 총량 대비 5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한다.The particulate material comprises 50 to 9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raspberry extract.

상기 옻 추출물은 수용성 폴리머를 0.5 내지 15 중량% 포함한다.The raspberry extract comprises 0.5 to 15% by weight of a water-soluble polymer.

상기 옻 추출물은 제오라이트, 실리카 및 탄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raspberry extrac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zeolite, silica, and magnesium carbonate.

상기 옻 추출물은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디메칠실록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rumba extrac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vegetable oils, animal fats, cat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and polydimethylsiloxanes.

상기 세제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The detergent composition may be a nonionic surfactant alone or an anionic surfactant.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The nonionic surfactant comprises 0.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이다.The nonionic surfactant is polyoxyethylene ether.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한다.The anionic surfactant comprises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 알파올레핀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술폰산염, 알킬설폰산염, 및 알칸설폰산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traight chain alkylbenzenesulfonic acid salt, an alpha olefin sulfonic acid salt, a polyoxyethylene ether sulfonic acid salt, an alkyl sulfonic acid salt, and an alkane sulfonic acid salt.

상기 세제 조성물은 세정촉진제인 빌더를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한다.The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es 10 to 60% by weight of a builder which is a cleaning accelerator.

상기 세정 촉진제인 빌더는 지방산 비누 0.5 내지 15 중량%, 폴리카르복실레이트 1 내지 5 중량%, 구연산염 1 내지 10 중량%, 탄산나트륨 5 내지 30 중량%, 중탄산나트륨 5 내지 20 중량%, 과탄산나트륨 1 내지 20 중량% 및 황산나트륨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The builder which is the cleaning accelerator may comprise 0.5 to 15% by weight of fatty acid soap, 1 to 5% by weight of polycarboxylate, 1 to 10% by weight of citrate, 5 to 30% by weight of sodium carbonate, 5 to 20% by weight of sodium bicarbonate, 20 wt% and 5 to 30 wt% sodium sulfate.

상기 세제 조성물은 형광증백제 0.1 내지 1 중량%, 효소 0.1 내지 2 중량% 및 향료 0.1 내지 0.5 중량%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The detergent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0.1 to 1% by weight of a fluorescent whitening agent, 0.1 to 2% by weight of enzyme and 0.1 to 0.5% by weight of perfume.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셀루라아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enzyme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rotease, lipase, and cellulase.

상기 세제 조성물은 유아용이다.The detergent composition is for infants.

상기 세제 조성물은 분말 형태이다.
The detergent composition is in powder form.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은 옻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 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하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함유량을 높인 옻 추출물을 입자화함으로써 항균 효능이 우수하고, 상기 옻으로부터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의류용 세제에 포함함으로써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항균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이 없는 의류 세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containing the ricott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by removing the toxic component urushiol contained in the lacquer and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flavonoid component to granulate the rattan lacquer, By incorporating the particles containing the extract into the detergent for cloth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es detergent composition which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has excellent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has no irritation to the ski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옻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detergent composition for garments containing raspberry extract.

옻나무(Rhus verniciflua 또는 Rhus vernicifera)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및 히말라야 지방이 원산지이며, 전 세계적으로 열대지방을 중심으로 한 아열대 지방과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국내를 포함하여 일본, 중국 및 동남아시아 등의 지역에서 주로 칠액을 얻기 위해 재배되고 있는데, 옻나무의 수액을 옻(칠액)이라고 한다. 상기 칠액이 고화된 것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든 것을 건칠이라고 하는데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건칠이 어혈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구충, 복통, 위산과다, 진해, 폐결핵, 통경, 변비, 당뇨, 학질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Rhus verniciflua or Rhus vernicifera ) is a deciduous arboreous tree belonging to anacardiaceae . It is originated from the Central Asian Highlands and the Himalayas,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ubtropical and temperate regions around the world, mainly in the tropics. It is cultivated mainly in Japan, China and Southeast Asia including Korea to obtain chilled liquid. The sap of lacquer tree is called lacquer (liquid solution). It is said that the chilled liquid is crushed into powder and rinsed from the powder. In the oriental medicin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eosinophilia from the past and accelerate the blood circulation. It is known to be effective.

옻의 주성분은 폴리페놀 유도체인 우루시올(Urushiol) 이지만, 최근 들어 옻에 함유된 생화학적 유효성분인 플라보노이드계(Flavonoids) 물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옻나무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성분은 항암, 항산화, 항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The main ingredient of lacquer is urushiol, a polyphenol derivative, but flavonoids, which are biochemically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lacquer, are attracting attention. Flavonoids extracted from Rhus verniciflua were reported to have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최근에는 옻나무의 수피 및 목부에서 추출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혈관형성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암세포의 증식 및 전이를 억제하고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분화되도록 유도하는 항암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되고 있다.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flavonoid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bark and throat of Rhus verniciflua inhibits angiogenesis, inhibits the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of cancer cells, and induces the differentiation of cancer cells into normal cells.

플라보노이드란, 식물에 널리 분포하는 황색 계통의 색소로 페닐기 2개가 C3사슬을 매개로하여 결합한 탄소골격구조로 되어 있고, 산성에는 안정하여 색이 더욱 선명해지지만, 강한 알칼리에는 그 구조가 변하여 짙은 황색이나 갈색으로 변한다.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이 있고,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한다. 그리스어로 황색을 의미하는 플라부스(flavus)에서 유래된 말로, 플라본(flavone)을 기본구조로 갖는 식물 색소를 일컫는다. 최근 플라보노이드계(系) 물질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특히 옻의 생화학적 성분인 우루시올과 플라보노이드에는 면역 기능, 항균 기능, 항산화 기능, 항염 기능이 있다는 학계의 보고가 있다.Flavonoid is a yellow-based pigment widely distributed in plants. It has a carbon skeleton structure in which two phenyl groups are bonded via a C3 chain. The flavonoid is stable in acidity and becomes clearer in color, but its structure changes to strong yellow Or brown. It has antibacterial, anticancer, antiviral,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inhibits in vivo oxidation. It is derived from the flavus , which means yellow in Greek, and refers to a plant pigment having flavone as a basic structure. Recent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lavonoid-based materials. Especially, uriciol and flavonoid, biochemical components of lacquer, have been reported to have immune function, antimicrobial function, antioxidant function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

일반적으로 옻을 오르게 하기도 하고 옻의 유효성을 가지고 있기도 한 주성분으로 알려진 우루시올(urushiol)의 화학구조는 벤젠환에 2개의 수산기를 갖는 카테콜(catechol) 화합물에 탄소수 15개인 긴 지방산을 곁가지(R)가 결합된 형태로 곁가지에 있는 이중결합의 수와 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한 우루시올 유도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chemical structure of urushiol, which is known as the main ingredient, is a catechol compound having two hydroxyl groups on the benzene ring, and a long fatty acid having 15 carbon atoms is branched (R) It is known that various urushiol derivatives exist depending on the number of double bonds in the side chain and the type of bond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의류용 세제 조성물은 옻으로부터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용 세제 조성물은 옻에 함유되어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는 독성 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하고 플라보노이드의 함유율 높여 항균 효과를 증진시킨 옻 추출물을 입자화함으로써 저장 안정성 및 항균 효능이 우수한 세제 조성물을 개발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may include particles containing urushiol-free raspberry extract from lacquer.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includes a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torage st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by removing uriciol, which is a poison ingredient of allergic dermatitis, which is contained in lacquer, and increasing the content of flavonoids to improve the antimicrobial effect So that the merchantability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옻 추출물은 열수 추출법, 효소 추출법 및 발효 추출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수 추출법은 옻나무를 절단하여 얇게 저민다음 고온에서 건조시켜 우루시올을 휘발시킨 다음 옻나무를 물에 넣고 70℃ 이상에서 3시간 이상 달여서 옻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효소 추출법은 Cellulase을 사용하여 옻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발효 추출법은 발효 미생물들을 이용하여 옻나무 토막, 수피, 옻 순 등을 발효시키면 발효 미생물이 옻 성분을 섭취하여 무독성의 대사산물을 배설하여 독성이 없는 옻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umax extract can be extracted using at least one extraction method selected from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n enzyme extraction method and a fermentation extraction method. For example, hydrothermal extraction can be performed by cutting the lacquer tree, thinning it, drying it at a high temperature, volatilizing urushiol, adding the lacquer tree to water and dipping it at 70 ° C or more for 3 hours or more. In addition, the enzyme extraction method can be used to obtain an extract of RVSV using Cellulase. The fermentation extraction method can extract the lacquer component which is not toxic when the fermenting microorganism consumes the lacquer component and the non-toxic metabolite is excreted by fermenting the lacquer segment, the bark, and the lacquer net using the fermenting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옻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옻 추출물이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미비하게 나타나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옻 추출물을 입자화 하는데 입자의 형태가 잘 형성되지 않으며, 옻 추출물의 과량으로 인한 세탁물이 이염이 발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spberry extract preferably contains 0.5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to 10%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1.0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 When the amount of the raspberry extract is less than 0.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the antimicrobial effect is insufficient. When the raspberry extract is more than 15% by weight, the granule of the raspberry extract is not granular, The laundry may cause a milde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옻 추출물은 의류용 세제 조성물 내에 Brix 기준으로 5 내지 30°Bx를 포함하는 것이 항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spberry extract contains 5 to 30 ° Bx in terms of Brix in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to improve the antibacterial effe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옻 추출물은 입자형 물질인 소금, 설탕, 중회, 망초, 벤토나이트 및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자형 물질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입자형 물질은 옻 추출물 총량 대비 5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형 물질이 옻 추출물 총량 대비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입자형 물질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입자의 형성이 곤란하며,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을 함유하지 않아도 충분한 입자의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spberry extrac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particulate material selected from among granular materials such as salt, sugar, heavy metal, manganese, bentonite and silicate, By weight, preferably 50 to 95% by weight. When the amount of the particulate material is less than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rquach extract, it is difficult to form the particles because the amount of the particulate material is relatively small. When the amount exceeds 90% by weight, It is uneconomic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옻 추출물은 수용성 폴리머를 0.5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저장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오라이트, 실리카 및 탄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spberry extract may contain 0.5 to 15% by weight of a water-soluble polym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zeolite, silica, and magnesium carbonate to improve storage stabilit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옻 추출물은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디메칠실록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spberry extract may compri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vegetable oils, animal fats, cat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and polydimethylsiloxan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의류용 세제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분말 세제의 제조가 어렵고, 옻 추출물 입자와 혼합되어 세제의 색상이 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may be used by using a nonionic surfactant alone or by mixing an anionic surfactant. In addition, the nonionic surfactant may include 0.5 to 30% by weight, more preferably 5 to 20%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 If the content of the nonionic surfactant is less than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the detergency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deteriorates. If the amount of the nonionic surfactant exceeds 30%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powder detergent. A problem may occur. The nonionic surfactant may include polyoxyethylene ether.

또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말 세제의 제조가 어렵고, 옻 추출물 입자와 혼합되어 세제의 색상이 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 알파올레핀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술폰산염, 알킬설폰산염, 및 알칸설폰산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ionic surfactant may include 1 to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15%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1 to 1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 When the content of the anionic surfactant is less than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detergency is lowered. When the amount of the anionic surfactant is more than 20%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powder detergent. A problem may occur. The anionic surfacta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traight chain alkylbenzenesulfonate, an alpha olefin sulfonate, a polyoxyethylene ether sulfonate, an alkyl sulfonate, and an alkane sulfon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세제 조성물은 세정촉진제인 빌더를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빌더의 함량이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혼합이 원활하지 않고, 세정력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빌더는 지방산 비누 0.5 내지 15 중량%, 폴리카르복실레이트 1 내지 5 중량%, 구연산염 1 내지 10 중량%, 탄산나트륨 5 내지 30 중량%, 중탄산나트륨 5 내지 20 중량%, 과탄산나트륨 1 내지 20 중량% 및 황산나트륨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gent composition may contain 10 to 60% by weight of a builder as a cleaning accelerator. When the content of the builder is less than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 And the detergency improving effect may not be exhibited. If it exceeds 60% by weigh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is uneconomical. The builder may comprise from 0.5 to 15% by weight of fatty acid soap, from 1 to 5% by weight of polycarboxylate, from 1 to 10% by weight of citrate, from 5 to 30% by weight of sodium carbonate, from 5 to 20% by weight of sodium bicarbonate, And 5 to 30% by weight of sodium sulf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세제 조성물은 형광증백제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효소 0.1 내지 2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며, 향료 0.1 내지 0.5 중량%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셀루라아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gent composition may contain 0.1 to 1% by weight of a fluorescent whitening agent, 0.1 to 2% by weight of an enzyme may be used to improve detergency, 0.1 to 0.5% . At this time, the enzyme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rotease, lipase, and cellulase.

상기 세제 조성물은 피부의 자극이 적고, 항균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연약한 피부에 적합한 유아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의류용 세제 조성물은 사용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손세탁을 포함하여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세제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The detergent composition is less irritating to the skin and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so that it can be used for infants suitable for fragile skin. In addition,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use and can be used for washing using a washing machine including hand wash. In addition,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forms, but it may preferably have a powder form.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elf-evident.

실시예Example

실시예Example 1 내지 5: 옻 추출물을 포함한 입자 조성물 제조 1 to 5: Preparation of Particle Composition Including Raspberry Extract

옻 추출물을 포함한 입자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옻으로부터 독성 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우루시올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5는 옻나무를 절단하여 얇게 저민다음, 80℃에서 60분동안 건조시켜 우루시올을 휘발시킨 다음, 옻나무를 물에 넣고 70℃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여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 추출물 수득하였다. In order to prepare the partic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raspberry extract, urushiol, which is a toxic component, was firstly removed from the rasp. In order to remove urushiol, Examples 1 to 5 were cut into thin lacquer by cutting the lacquer, and then dried at 80 DEG C for 60 minutes to volatilize urushiol. Then, the lacquer was added to water and extracted with hot water for 3 hours at 70 DEG C to remove urushiol. An extract was obtained.

또한, 비교예 1 및 2는 우루시올을 제거하지 않고 바로 옻나무를 물에 넣고 70℃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여 우루시올을 제거하지 않은 옻 추출물 수득하였다. In addition,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rushes were directly added to water without removing urushiol, and extracted with hot water at 70 캜 for 3 hours to obtain rush extract without urushiol.

다음으로, 상기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 추출물을 입자화 시키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 및 조성에 따라 옻 추출물을 포함한 입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Next, in order to granulate the raloxifene extract from which the urushiol was removed, a partic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ralph grass extract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ingredients and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성분(중량%)Component (% by weight)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5Example 5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암염rock salt 88.788.7 85.785.7 85.785.7 85.785.7 84.784.7 85.785.7 83.783.7 EO/PO CoploymerEO / PO Coploymer -- -- -- -- -- -- 1.01.0 안료Pigment qsqs qsqs qsqs qsqs qsqs qsqs qsqs 식물성 유지Vegetable oil 1.01.0 1.01.0 2.02.0 2.02.0 3.03.0 3.03.0 -- 옻 추출물Raspberry extract 1.01.0 2.02.0 3.03.0 3.03.0 5.05.0 5.05.0 10.010.0 계면활성제 1)Surfactants 1) 1.01.0 1.01.0 1.01.0 1.01.0 1.01.0 -- -- 수용성폴리머 2)Water soluble polymer 2) 1.01.0 2.02.0 1.01.0 2.02.0 1.01.0 2.02.0 -- 폴리에틸렌글리콜 3)Polyethylene glycol 3) -- -- -- -- -- 폴리디메칠실록산 4)Polydimethylsiloxane 4) 0.50.5 -- 0.50.5 -- 0.50.5 -- -- 제오라이트Zeolite 6.06.0 3.03.0 6.06.0 3.03.0 6.06.0 3.03.0 6.06.0 탄산마그네슘Magnesium carbonate -- 2.02.0 -- 2.02.0 -- 2.02.0 -- 실리카Silica -- 1.01.0 -- 1.01.0 -- 1.01.0 -- 합 계Sum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알파올레핀설폰산염)1) Anionic surfactants (alpha olefin sulfonates)

2) 소디움 폴리아크릴레이트2) sodium polyacrylate

3) 분자량: 1,000~20,000 3) Molecular weight: 1,000 ~ 20,000

4) 점도: 10~100,000c/s
4) Viscosity: 10 to 100,000 c / s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제조된 옻 추출물이 첨가된 입자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의류 염착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The particles to which the rquiso extract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added were subjected to the garment durability test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내지 3:  1 to 3: 염착성시험Dyeability test

실험예 1. 한국의류시험연구원의 백면포를 가로 및 세로 20cm로 절단하여 20cm이상의 크기의 접시 위에 놓고 25℃의 물 100ml(수도수)를 부은 다음, 거기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제조된 옻 추출물이 첨가된 입자 2g을 뿌려 2시간동안 침적시키고, 흐르는 수도수로 헹군 후 5명의 관찰자가 염착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EXPERIMENTAL EXAMPLE 1 The white cotton cloth of the Korean Institute of Clothing and Textiles was cut into 20 cm lengthwise and 20 cm lengthwise, placed on a dish having a size of 20 cm or more, 100 ml of water (water) at 25 ° C was poured, Two to two grams of the added raspberry extracts were sprayed for 2 hours, rinsed with running tap water, and 5 observers visually evaluated the state of the stain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실험예 2. 한국의류시험연구원의 백면포를 가로 및 세로 20cm로 절단하여 20cm이상의 크기 접시 위에 놓고 25℃의 물 100ml(수도수)를 부은 다음, 거기에 을 뿌려 15시간동안 침적시키고, 흐르는 수도수로 헹군 후 5명의 관찰자가 염착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Experimental Example 2 A 100 g of water (water) at 25 ° C was poured into a 20 cm or more size dish cut into a 20 cm length and 20 cm length of a cotton cloth of Korea Institute of Clothing and Textiles and then sprinkled with water for 15 hours. After rinsing with water, five observers visually evaluated the state of the coag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실험예 3.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면 100%의류를 가로 및 세로 20cm로 절단하여 20cm이상의 크기 접시위에 놓고 25℃의 물 100ml(수도수)를 부은 다음, 거기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제조된 옻 추출물이 첨가된 입자 2g을 뿌려 하루동안 침적 시키고, 의류와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같이 일정한 힘으로 비비고 흐르는 수도수로 헹군후 5명의 관찰자가 염착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Experimental Example 3 100% cotton 100% of the clothes sold on the market were cut to 20 cm in length and 20 cm in length, placed on a size dish of 20 cm or more, and 100 ml of water (tap water) at 25 ° C was poured. 2 g of the added raspberry extracts of Examples 1 and 2 were sprayed and dipped for one day and the clothes and raspberry extract-containing particles were rinsed with running water with constant force and then five observers visually observed the state of sticking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하기 표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3 are shown in Tables 2 to 4 below.

관찰자observer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5Example 5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1One 44 55 55 55 55 33 44 22 44 44 55 55 44 44 33 33 55 55 55 55 55 33 44 44 44 44 55 55 55 33 44 55 44 55 55 55 55 33 33

1. 염착이 매우 심함(전체적으로 염착).1. Extremely strong (overall seawater).

2. 염착이 심함(부분적으로 염착).2. Severe seawater (partial seawater).

3. 염착이 관찰됨.3. Segregation was observed.

4. 염착정도가 미미함.4. The degree of dying is insignificant.

5. 염착 없음.
5. No staining.

관찰자observer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5Example 5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1One 44 55 55 55 55 33 33 22 44 44 55 44 44 22 33 33 44 55 55 55 55 22 44 44 55 55 55 55 44 33 33 55 55 44 55 55 55 22 22

1. 염착이 매우 심함(전체적으로 염착).1. Extremely strong (overall seawater).

2. 염착이 심함(부분적으로 염착).2. Severe seawater (partial seawater).

3. 염착이 관찰됨.3. Segregation was observed.

4. 염착정도가 미미함.4. The degree of dying is insignificant.

5. 염착 없음.
5. No staining.

관찰자observer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5Example 5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1One 55 55 55 55 55 1One 22 22 55 55 55 55 55 22 22 33 55 44 55 55 55 1One 22 44 44 44 55 55 55 22 22 55 44 55 55 55 55 1One 1One

1. 염착이 매우 심함(전체적으로 염착).1. Extremely strong (overall seawater).

2. 염착이 심함(부분적으로 염착).2. Severe seawater (partial seawater).

3. 염착이 관찰됨.3. Segregation was observed.

4. 염착정도가 미미함.4. The degree of dying is insignificant.

5. 염착 없음.
5. No staining.

그 결과, 표 2 내지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에는 염착성이 미미하거나 없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2의 경우에는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시간 침적은 미미하거나 염착이 없는 반면, 표 3 및 4와 같이 15시간 침적하거나, 하루 침적 후 의류와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함께 비빈 경우에는 이염이 관찰되거나, 매우 심한 현상을 보였다.
As a result, as can be seen from Tables 2 to 4, in Examples 1 to 5, the durability was insignificant or not. Howev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s shown in Table 2, after immersing for 15 hours as shown in Tables 3 and 4, or after dipping for one day, particles containing clothes and raspberry extract In case of coexistence, mucus was observed or very sever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세정력 평가 4: Evaluation of cleaning power

상기 실시예 1 내지 5 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세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세정력 실험을 실시하였다.Using the detergent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cleaning powe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manner.

세정력 평가는 세제농도가 1g/L인 세탁수를 넣은 세척기기((모델명: Terg-O- Tometer)를 이용하여 실온 (25℃± 2℃)에서 교반속도 120 ± 5 rpm로 세척하였다.The detergency was evaluated by using a washing machine (model name: Terg-O-Tometer) having a detergent concentration of 1 g / L and washing at a temperature of 25 ° C ± 2 ° C at a stirring speed of 120 ± 5 rpm.

오염포로는 습식인공오염포(JIS C9606), AS-10(Pigment, Oil, Milk), WFK-10(Pigment /Sebum)의 3종을 이용하였고, 상기 오염포를 10분 동안 세척하고 3분간 2회 헹구었다. Three types of contaminated captives were used: wet artificial contaminated (JIS C9606), AS-10 (Pigment, Oil, Milk) and WFK-10 (Pigment / Sebum) Rinsed.

하기 표 5는 세척력을 알아보기 위해 색차계를 이용하여 세탁 전/후 오염포의 반사율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Table 5 shows the reflectance values of the contaminated cloth before and after washing using a colorimeter to evaluate the washing power.

구분division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55 1One 22 JIS 오염포JIS contaminated gun 48.548.5 49.249.2 50.250.2 49.249.2 50.350.3 48.348.3 47.247.2 AS-10AS-10 23.423.4 23.923.9 24.424.4 24.024.0 23.523.5 23.123.1 22.922.9 WFK-10WFK-10 41.241.2 40.140.1 41.341.3 42.042.0 41.441.4 40.540.5 39.739.7

그 결과,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3종의 오염포에서 세정력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냈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5, in Examples 1 to 5, detergency was not lowered in the three kinds of contaminated cloths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excellent washing power was exhibited.

상기 세정력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실시예 3 및 5와 비교예 2를 선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xamples 3 and 5 and Comparative Example 2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washing power test to prepare detergent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xing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s shown in Table 6 below.

구분division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3 55 22 옻 추출물 입자Raspberry extract particles 5.05.0 5.05.0 --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Straight chain alkyl benzene sulfonic acid salt 1111 1111 1111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Polyoxyethylene ether 5.05.0 5.05.0 5.05.0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3030 3535 3535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1010 1515 1515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2323 2323 2828 지방산 비누Fatty acid soap 2.02.0 2.02.0 2.02.0 폴리카르복실레이트Polycarboxylate 1.01.0 1.01.0 1.01.0 구연산염citrate 2.02.0 2.02.0 2.02.0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1010 -- -- 효소1 ) Enzyme 1 ) 0.50.5 0.50.5 0.50.5 첨가제2 ) Additive 2 )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합계Sum 100100 100100 100100 1) 단백질분해효소
2) Nacl, CMC, 향 등
1) Protease
2) Nacl, CMC, incense, etc.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5: 항균성 평가 5: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항균성 평가는 표준세제사용농도 1g/L 기준으로 시험하였으며,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을 액체배지에 배양시킨 후 배양된 세균을 희석하여 초기 세균수가 105~106 CFU/mL이 되도록 조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tested using a standard detergent concentration of 1 g / L, and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cultured in a liquid medium, and the bacteria were diluted to adjust the initial bacterial count to 105 ~ 106 CFU / mL .

시험물질을 표준사용량(0.07%(w/v))으로 용해한 용액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으며, 시험용액 20ml에 시험균액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분±5초간 방치 하였을 때 세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세균수에 대한 살균감소율을 알아보았다. The test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the test substance in a standard amount (0.07% (w / v)) as the test solution. The test solution was added to 20 ml of the test solution, and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 5 seconds. And the rate of sterilization was reduced to the initial number of bacteria.

초기 세균수는 생리식염수를 대조군으로 하여 측정한 세균수로 하였다.The initial number of bacteria was determined as the number of bacteria measured by using physiological saline as a control.

최초 희석 단계에서는 DIFCO사의 D/E Neutralizing broth를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시험을 실시하였다.In the initial dilution stage, D / E Neutralizing broth of DIFCO was used to neutralize and test.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한 경우,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세균수를 산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10미만(〈10)으로 산출하였다. 살균감소율은 아래 식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When bacteria were grown in the medium, the number of bacteria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bacteria on the medium by the dilution factor. The number of bacteria not grown in the medium was multiplied by the dilution factor obtained in the neutralization step, and was calculated to be less than 10 (<10). The sterilization reduction rat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살균감소율(%) = 〔(초기세균수-일정시간 후 세균수)/초기세균수)〕x 100
(%) = [(Number of initial bacteria - number of bacteria after a certain time) / number of initial bacteria]) x 100

구 분division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5Example 5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대장균Escherichia coli 99.9%99.9% 99.9%99.9% 92.2%92.2%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99.9%99.9% 99.9%99.9% 87.6%87.6%

그 결과, 상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첨가한 세제 조성물은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지 않은 세제 조성물에 비해 항균 효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7, the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raspberry extract-containing particl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to the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no raspberry extract-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 Able to kn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6: 피부 자극 평가 6: Evaluation of skin irritation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포함한 의류용 세제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NZW 토끼(뉴질랜드 화이트 토끼)의 피부에 24시간 동안 상기 표 6으로부터 제조된 세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72시간 동안의 피부자극성을 평가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skin irritation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raspberry extract-containing particles, the detergent composition prepared in Table 6 was applied to the skin of NZW rabbit (New Zealand white rabbit) for 24 hours, The irritability was evaluated.

상기 토끼의 피부를 실험하기 24시간 전에 제모한 후 2.5×2.5㎝ 크기로 시험부위와 대조부위를 나누어 구분하였다. The skin of the rabbit was epilated 24 hours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 test area and the control area were divided into 2.5 × 2.5 cm size.

찰과부위 2개소는 진피층은 손상시키지 않은채 각질층만 손상시켜 준비하였다. Two areas of the abrasion area were prepared by damaging only the stratum corneum without damaging the dermal layer.

상기 실시예 3 및 5로부터 제조된 세제 조성물에 의하면 찰과부위 1개소와 비찰과부위 1개소에 상기 세제 조성물을 0.5ml씩 도포한 후 비자극성 테이프(Tegarderm, 3M)와 탄력붕대(Codan,3M)로 잘 고정시켜 24시간 동안 폐쇄첩포하였다.According to the detergent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3 and 5, 0.5 ml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was applied to one area of the scratch area and one area of the non-irritant area, and then a non-magnetic tape (Tegarderm, 3M) and a resilient bandage (Codan, 3M ) And closed for 24 hours.

상기 비교예 2로부터 제조된 세제 조성물는 멸균거즈를 멸균증류수에 적셔 같은 방법으로 도포하였다.The detergent composition prepared from Comparative Example 2 was applied to the sterilized gauze by dipping in sterile distilled water in the same manner.

시험물질 노출시간 종료시 남아있는 시험물질은 미온수를 이용해 부드럽게 세정해 주었다. 시험물질 투여 후 홍반, 가피 및 부종등의 자극성 유무를 관찰하였다.At the end of the test material exposure time, the remaining test material was gently rinsed with lukewarm water. After the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irritation such as erythema, scar and edema was observed.

상기 실험에 따른 피부반응의 평가는 표 8의 피부반응의 평가표에 따라 나타내었다.Evaluation of the skin reaction 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 is show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able of skin reaction in Table 8.

(1) 홍반과 가피형성
홍반이 전혀 없음 0
아주 가벼운 홍반(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 1
뚜렷한 홍반 2
약간 심한 홍반 3
심한 홍반(홍당무 색)과 가피 형성 4
총 가능한 등급의 합 4
(1) erythema and scab formation
No erythema at all 0
Very mild erythema (only visible to the naked eye) 1
Severe erythema 2
Some severe erythema 3
Severe erythema (blush color) and scab formation 4
Sum of possible total ratings 4
(2) 부종 형성
부종이 전혀 없음 0
아주 가벼운 부종(육안으로 식별할 정도) 1
경증의 부종(뚜렷하게 부어 올라서 변연부가 구별될 정도) 2
중증의 부종(약 1mm 정도 부어 올랐을 경우) 3
심한 부종(1mm 이상 부어오르고 노출부위 밖에까지 확장된 경우) 4
총 가능한 등급의 합 4
(2) Edema formation
No edema at all 0
Very light edema (visible to the naked eye) 1
Mild edema (pronounced swelling to distinguish marginal part) 2
Severe swelling (about 1 mm swelling) 3
Severe edema (swelling greater than 1 mm and extending beyond the exposed area) 4
Sum of possible total ratings 4

상기 실험에 따른 자극성 정도 판정 평가는 Draize의 P.I.I(Primary Irriation, Index) 산출 방법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irritability 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 is shown in Table 9 according to the method of calculating Draize's PI (Primary Irriation, Index).

정도(P.I.I)Degree (PI) 구 분division 0.0 ~0.5
0.6~2.0
2.1~5.0
5.1~8.0
0.0 to 0.5
0.6 to 2.0
2.1 to 5.0
5.1 to 8.0
None irritant(비자극성)
Mild irritant(약한 자극성)
Moderate irritant(중증도 자극성)
Severe irritant(강한 자극성)
None irritant
Mild irritant (mild irritant)
Moderate irritant (severe irritant)
Severe irritant

상기 피부반응의 평가표 및 자극성 정도 판정 평가표를 참고하여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포함한 의류용 세제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평가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The evaluation of the skin irritation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raspberry extract-containing particles is shown in Table 10 with reference to the evaluation table of the skin reaction and the rating table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irritation.

구분division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3 55 22 피부자극시험Skin irritation test 0.00.0 0.00.0 0.00.0

그 결과, 상기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3 및 5와 비교예 2를 포함한 의류용 세제 조성물은 피부자극시험의 결과 P.I.I 지수가 모두 0.0으로 비자극성물질(None irritant)로 판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포함한 의류용 세제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10,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including Examples 3 and 5 and Comparative Example 2 was judged to be a non irritant substance (non irritant) with a PII index of 0.0 as a result of a skin irritation test, A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containing particles containing ricotta extract showed no skin irritation.

Claims (21)

옻으로부터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 추출물이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A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ing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ruminal extract obtained by removing urushiol from lacqu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 추출물은 열수 추출법, 효소 추출법 및 발효 추출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spberry extract is extracted using at least one extraction method selected from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n enzyme extraction method and a fermentation extrac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spberry extract comprises 0.5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은 옻 추출물 총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cqu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15 w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rquach extra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 추출물은 BRIX 기준으로 5 내지 30°Bx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spberry extract comprises 5 to 30 ° Bx on a BRIX bas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 추출물은 입자형 물질인 소금, 설탕, 중회, 망초, 벤토나이트 및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자형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garment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mba extract comprises at least one particulat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nular materials such as salt, sugar, heavy metal, manganese, bentonite and silica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형 물질은 옻 추출물 총량 대비 5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articulate material comprises 50 to 9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raspberry extra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 추출물은 수용성 폴리머를 0.5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spberry extract comprises 0.5 to 15% by weight of a water-soluble polym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 추출물은 제오라이트, 실리카 및 탄산칼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spberry extrac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zeolite, silica and calcium carbon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 추출물은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디메칠실록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raspberry extrac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vegetable oils, animal fats, cat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and polydimethylsiloxan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es a nonionic surfactant alone or an anionic surfactant mixed with the detergent composi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nonionic surfactant comprises 0.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nonionic surfactant is polyoxyethylene eth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 조성물 총량 대비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comprises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 알파올레핀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술폰산염, 알킬설폰산염, 및 알칸설폰산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traight chain alkyl benzene sulfonate, an alpha olefin sulfonate, a polyoxyethylene ether sulfonate, an alkyl sulfonate, and an alkane sulfon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조성물은 세정촉진제인 빌더를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es 10 to 60% by weight of a builder which is a cleaning accelerator.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촉진제인 빌더는 지방산 비누 0.5 내지 15 중량%, 폴리카르복실레이트 1 내지 5 중량%, 구연산염 1 내지 10 중량%, 탄산나트륨 5 내지 30 중량%, 중탄산나트륨 5 내지 20 중량%, 과탄산나트륨 1 내지 20 중량% 및 황산나트륨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uilder which is the cleaning accelerator may comprise 0.5 to 15% by weight of fatty acid soap, 1 to 5% by weight of polycarboxylate, 1 to 10% by weight of citrate, 5 to 30% by weight of sodium carbonate, 5 to 20% by weight of sodium bicarbonate, 20%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and 5 to 30% by weight of sodium sulf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조성물은 형광증백제 0.1 내지 1 중량%, 효소 0.1 내지 2 중량% 및 향료 0.1 내지 0.5 중량%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etergent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0.1 to 1 wt% of a fluorescent whitening agent, 0.1 to 2 wt% of enzyme, and 0.1 to 0.5 wt% of perfume.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셀루라아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enzyme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rotease, lipase, and cellul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조성물은 유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etergent composition is for an infa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조성물은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gent composition is in powder form.
KR1020140020106A 2013-02-26 2014-02-21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comprising rhus verniciflua extract KR1016249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0515 2013-02-26
KR1020130020515 2013-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129A true KR20140108129A (en) 2014-09-05
KR101624951B1 KR101624951B1 (en) 2016-05-30

Family

ID=5175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106A KR101624951B1 (en) 2013-02-26 2014-02-21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comprising rhus verniciflua extr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95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644A (en) * 2015-05-11 2016-11-21 김경선 Eco-friendly foaming deterg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GB2548331A (en) * 2016-03-07 2017-09-20 Reckitt Benckiser Calgon Bv Composition
CN113502199A (en) * 2021-06-21 2021-10-15 广东菁萃生物科技有限公司 Natural detergent with good decontamination effect for clothing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5632A (en) * 2016-06-12 2016-11-09 四川省眉山市金庄新材料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stant detergent intersperses thing and detergent
CN106244356A (en) * 2016-07-28 2016-12-21 南京正宽医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fant deterg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644A (en) * 2015-05-11 2016-11-21 김경선 Eco-friendly foaming deterg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GB2548331A (en) * 2016-03-07 2017-09-20 Reckitt Benckiser Calgon Bv Composition
GB2548331B (en) * 2016-03-07 2018-07-18 Reckitt Benckiser Calgon Bv Detergent granule and process of production
CN113502199A (en) * 2021-06-21 2021-10-15 广东菁萃生物科技有限公司 Natural detergent with good decontamination effect for clothing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3502199B (en) * 2021-06-21 2023-04-14 广东菁萃生物科技有限公司 Natural detergent with good decontamination effect for cloth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951B1 (en)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951B1 (en)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comprising rhus verniciflua extract
US6951833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CN102198059B (en) Novel cleaning material
CN104818140A (en) Antibacterial dishwashing detergent
CN110885717B (en) Natural antibacterial detergent for lady clothes
EA024578B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N108203631A (en) A kind of antibacterial cleaning product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31983A (en) Method for preparing extracts of Chamecyparis obutsa and a composition for life goods comprising the using the same
CN103945693B (en) Antimicrobial micro emulsion composition
CN106727059A (en) The formula and preparation technology of the mildy wash that a kind of suitable Dry is used
CN104232372A (en) Potent oxgall cleansing soap
CN106906084A (en) Infant&#39;s Antibacterial laundry detergent and its production method
CN104736687B (en) Soap composition
CN102293719B (en) Sanitizer
US20210062110A1 (en) Cost-effectiv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green components
CN109181895A (en) A kin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ish washing liqui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9337770A (en) A kind of sweet wormwood soap composition
CN108531319A (en) A kind of antibacterial cleaning product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9602667B (en) Antibacterial hand sanitiz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4513716A (en) Botanical environmentally-friendly kitchen cleaner
CN105168010A (en) Body wash fully composed of components capable of being used for food production
KR101293608B1 (en) Detergent composition
CN103540438A (en) Minty children laundry detergent
CN112500945A (en) Composite antibacterial fragrant laundry deterg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95348B1 (en)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Katsura tree bark extract or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