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910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910A
KR20140106910A KR1020130021184A KR20130021184A KR20140106910A KR 20140106910 A KR20140106910 A KR 20140106910A KR 1020130021184 A KR1020130021184 A KR 1020130021184A KR 20130021184 A KR20130021184 A KR 20130021184A KR 20140106910 A KR20140106910 A KR 20140106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uct
air
accommodation spac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697B1 (ko
Inventor
김성규
김종호
박수원
이순조
김명종
노정걸
김종률
이근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697B1/ko
Priority to IN5085CH2013 priority patent/IN2013CH05085A/en
Priority to BR102013029603A priority patent/BR102013029603A8/pt
Priority to RU2013151170/12A priority patent/RU2568795C2/ru
Priority to JP2013250909A priority patent/JP5801863B2/ja
Priority to CN201310651749.8A priority patent/CN104005210B/zh
Priority to EP14150081.9A priority patent/EP2772580B1/en
Priority to AU2014200221A priority patent/AU2014200221B2/en
Publication of KR2014010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18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 저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ae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물)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고온의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하는데 공기의 유동방식에 근거하여 배기식과 순환식(응축식)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이 저장된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제습)하여 가열한 뒤 수용공간에 재공급하는 구조이고,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수용공간으로 재공급하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에 화재가 발생(원인은 불명확 함)될 경우 수용공간 내부의 화염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어 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된 실내에 화염을 옮길 수 있다.
수용공간 내부에 화염에 쌓인 세탁물이 오랫동안 저장돼 있으면 세탁물이 타면서 발생된 인화성 가스 등에 의해 폭발이 발생될 수 있고, 수용공간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면 폭발압력력에 의해 수용공간 내부의 화염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들이 있지만 종래 의류처리장치(US6,655,047, JP9056996)들은 소화제를 이용하여 수용공간 내부의 화재진압이 목적이었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부의 화재가 진압되지 않을 경우,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수용공간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화염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세탁물이 저장된 수용공간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수용공간 내부의 화염이 자연적으로 소화되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인화성 가스 등에 의해 수용공간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수용공간 내부의 화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유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안내하는 공급유로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 상기 팬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상기 유로부의 상류(upper stream)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 내부로 배출시키는 압력 저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유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저감부는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사이의 체결력보다 작은 힘에 의해 상기 유로부를 상기 캐비닛 내부와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저감부는 상기 팬이 작동하면 상기 유로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유로부를 상기 캐비닛 내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와 상기 캐비닛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캐비닛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유입구는 상기 압력 저감부가 상기 캐비닛에 투영된 투영면(projected plane)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 저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탁물이 저장된 수용공간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수용공간 내부의 화염이 자연적으로 소화되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인화성 가스 등에 의해 수용공간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수용공간 내부의 화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압력 저감부(공급부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압력 저감부와 캐비닛의 후방패널에 구비된 캐비닛 배출구 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압력 저감부(배출부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차단부(폭발 방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압력 저감부 및 차단부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4),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투입구(111)가 구비된 전방패널(11), 상기 캐비닛(1) 내부를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캐비닛 유입구(131)가 구비된 후방패널(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5)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15)와 투입구(111)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수용공간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방패널(13)은 도어(15)가 구비된 캐비닛(1)의 전방패널(11)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유입구(131)는 캐비닛(1) 외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수단이다.
즉, 상기 캐비닛 유입구(131)는 캐비닛의 외부공기를 캐비닛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로(캐비닛 유로)가 된다.
상기 캐비닛 유입구(131)는 캐비닛(1)의 너비방향(Z축 방향)을 따라 후방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패널관통홀(1311), 상기 패널관통홀의 하부면에서 상기 캐비닛(1)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플랜지(13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313)는 캐비닛(1) 외부의 물이 패널관통홀(1311)을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100)가 구비된 실내공간을 청소할 때 물이 캐비닛(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3)에는 상기 배출부(5)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캐비닛 배출구(1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은 캐비닛(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드럼(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는 상기 드럼(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전방지지부(17) 및 후방지지부(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17)는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바디(171), 상기 지지부바디(1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바디관통홀(173), 상기 지지부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의 전방면을 지지하는 전방플랜지(1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관통홀(173)은 상기 투입구(11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므로 투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물은 바디관통홀(173)을 통해 드럼(2)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바디(171)에는 상기 도어(15)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안내관(177)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관(177)은 바디관통홀(173)의 원주면 및 투입구(111)의 원주면을 감싸도록 전방패널(11)과 지지부바디(171)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플랜지(175)는 지지부바디(171)의 표면에서 드럼(2)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바디관통홀(173)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드럼(2)의 전방 내주면은 상기 전방플랜지(175)의 외주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아가 상기 전방지지부(17)에는 후술할 배출부(5)가 결합되는 배출부 연결홀(179)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부 연결홀(179)은 안내관(177)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2)의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후방지지부(19) 역시 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바디(191), 상기 지지부바디(191)에 구비되어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플랜지(1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19)에는 후술할 공급부(4)가 결합되는 공급부 연결홀(195)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부 연결홀(195)은 지지부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2)의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수단이 된다.
다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건조 및 세탁물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및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지지부 및 후방지지부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바디관통홀(173), 안내관(177) 및 배출부 연결홀(179)은 원통형상의 터브 전방면에 구비되고, 공급부 연결홀(195)은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게 될 것이며, 드럼(2)은 터브의 후방면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의해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것이다. 또한, 드럼의 원주면에는 터브와 드럼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이 구비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탁물의 건조만 가능한 의류처리장치(100)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드럼(2)은 구동부(3)에 의해 회전하는데,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3)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드럼모터(31), 상기 드럼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제1회전축(33) 및 제2회전축(35), 드럼(2)의 원주면과 제1회전축(33)을 연결하는 벨트(3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35)은 배출부(5)에 구비된 팬하우징(55)을 관통하여 배기팬(57)에 연결되므로 본 발명은 하나의 드럼모터(31)로 드럼(2)과 배기팬(57)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부(4)는 드럼(2)에 공기(가열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유로이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4)는 드럼(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43)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덕트(43)는 캐비닛(1) 내부의 공기를 드럼(2)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캐비닛(1) 외부의 공기를 드럼(2)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급부(4)가 가열된 공기(열풍)를 드럼(2)에 공급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공급부(4)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45)가 구비된 가열덕트(41) 및 상기 가열덕트(4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안내하는 공급덕트(4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덕트(41)는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기둥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공급덕트(43)는 상기 가열덕트(41)와 상기 공급부 연결홀(195)을 연결하는 덕트바디(431)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덕트(41)가 드럼(2)과 캐비닛(1)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나 드럼(2)의 측면과 캐비닛(1)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경우, 상기 덕트바디(431)는 상기 가열덕트(41)에서 상기 캐비닛(1)의 높이 방향(드럼(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공급부 연결홀(195)에 결합되는 덕트바디(431)에는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장착면(435, 경사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는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이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5)는 드럼(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덕트(51), 상기 연결덕트(51)로 유입된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51)와 배기덕트(53)는 팬하우징(55)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팬하우징(55)에는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연결덕트(51) 내부로 이동시키는 배기팬(57)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덕트(51)는 덕트유입구(511) 및 덕트배출구(5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덕트유입구(511)는 전방지지부(17)에 구비된 배출부 연결홀(179)에 결합한다.
상기 팬하우징(55)은 배기팬(57)이 회전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덕트배출구(513)와 배기덕트(53)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팬(57)이 드럼모터(31)에 구비된 제2회전축(35)에 의해 팬하우징(55) 내부에서 회전하면 드럼(2) 내부의 공기는 배출부 연결홀(179) 및 덕트유입구(511)를 통해 연결덕트(51)로 유입되고, 연결덕트(51) 내부의 공기는 덕트배출구(513) 및 팬하우징(55)을 통해 배기덕트(53)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한편, 배기팬(57)에 의해 드럼(2) 내부의 공기가 드럼의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면 드럼(2)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므로 캐비닛(1) 내부의 공기는 공급부(4)를 통해 드럼(2) 내부로 이동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 유입구(131)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닛 유로는 캐비닛(1) 내부에 외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부(4)를 통해 공기가 드럼(2) 내부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히터(45)가 작동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2)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드럼(2), 배출유로(51, 53), 및 공급유로(41, 43)가 서로 연결되어 단일 유로(하나의 유로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배기팬(57)을 통해 드럼(2)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1) 외부로 배출되면, 유로부와 캐비닛 유로 사이에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어 드럼(2)에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원칙적으로 배기팬(57)이 작동되지 않으면 드럼(2)에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구성만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2)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드럼(2)에 세탁물에 화재가 발생(원인은 불명확함)한 경우, 드럼(2) 내부의 화염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어 의류처리장치(100)가 구비된 실내에 화염을 옮길 수 있다.
드럼(2) 내부에 화염에 쌓인 세탁물이 오랫동안 저장되어 있으면 세탁물이 타면서 발생된 인화성 가스 등에 의한 폭발(플래쉬 오버, Flash Over)이나 드럼(2) 내부로 일정량 이상의 공기가 갑자기 공급되면서 발생되는 폭발(백드래프트, Back Draft)이 발생 될 수 있고, 드럼(2)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면 폭발압력력에 의해 도어(15) 등이 개방되어 드럼(2) 내부의 화염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2)에 공기공급을 차단(세탁물의 화염이 자연적으로 소화)함으로써 폭발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부(9, 도 7 참고), 드럼(2)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폭발압력력에 의해 드럼(2) 내부의 화염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 저감부(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에서는 압력 저감부(7)에 대해 먼저 살펴본 뒤 차단부(9)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압력 저감부(7)는 드럼(2)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한 경우,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가 아니라 캐비닛(1) 내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염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드럼(2) 내부에서 폭발(플래쉬 오버나 백 드래프트 등)이 발생하면, 드럼(2) 내부의 압력은 급격히 증가하고, 드럼(2)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드럼(2)을 밀폐시키는 수단(도어(15) 등)이 파손되거나 개방되어 드럼(2) 내부의 화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압력 저감부(7)는 차단부(9)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드럼(2)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한 경우,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 내부로 배출(드럼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폭발압력에 의해 화염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 저감부(7)는 배기팬(57)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부의 상류(upper stream)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상기 압력 저감부(7)는 공급부(4)에 구비되어 드럼(2)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인 때 상기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이동시키는 개폐장치(71, 73, 공급부 개폐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압력은 드럼(2)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할 경우 예상 가능한 드럼 내부의 압력(실험값 등)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도어(15)와 캐비닛(1)의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압력(도어를 개방 가능한 압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기준압력을 도어(15)와 캐비닛(1)의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압력으로 설정하는 것은 드럼(2)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수단들(유로부를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수단들) 중 가장 작은 힘으로 개방 가능한 수단이 도어(15)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공급부 개폐장치는 공급덕트(43)에 구비되어 공급덕트(41) 내부를 캐비닛(1)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급덕트 배기홀(71), 상기 공급덕트(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럼(2)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인 때 상기 공급덕트 배기홀(71)을 개방하는 공급덕트 도어(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압력이 도어(15)를 개방시키는 압력 이상으로 설정될 경우, 상기 공급덕트 도어(73)의 자중(self-weight)은 도어(15)와 캐비닛(1) 사이의 체결력보다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드럼(2) 내부에 폭발이 발생할 경우, 도어(15)보다 공급덕트 도어(73)가 먼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급덕트 도어(73)는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제어장치를 통해 공급덕트 배기홀(71)을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것보다 공급덕트 도어(73)의 자중에 의해 공급덕트 배기홀(71)을 폐쇄하는 방식이 더 유리하다.
드럼(2)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드럼(2)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되면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전자장치들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공급부 개폐장치(71, 73)는 공급부(4)의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공급부 연결홀(195)에 인접한 공급덕트(43)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드럼(2) 내부에 폭발이 발생할 경우 드럼(2) 내부의 공기가 곧바로 캐비닛(1)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공급부 개폐장치(71, 73)는 후방패널(13)을 향하는 덕트바디(431)의 표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덕트바디(431)의 상부에 구비된 장착면(435)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후방패널(13)을 향하는 덕트바디(431)의 표면에 공급부 개폐장치(71, 73)가 구비되면 덕트바디(431)와 후방패널(13) 사이에 공급덕트 도어(73)의 개방 시 후방패널(13)과 공급덕트 도어(73)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공급부 개폐장치가 후방패널(13)을 향하는 덕트바디(431)의 표면에 구비되면 공급덕트 도어(73)의 자중만으로 공급덕트 배기홀(71)을 완전히 밀폐시키기 어려울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시 소음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00)의 깊이 방향 길이(X축 방향 길이)를 최소화하고, 공급덕트 배기홀(71)의 밀폐 등을 위해 상기 공급부 개폐장치(71, 73)는 상기 장착면(435)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면(435)은 캐비닛(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급부 연결홀(195)에서 캐비닛(1)의 바닥면을 향해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장착면(435)이 캐비닛(1)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경우보다 장착면(435)이 경사면으로 구비되면, 드럼(2) 내부에 폭발이 발생한 경우 공급덕트 도어(73)가 신속히 개방되는 효과 및 공급덕트 도어(73)의 자중에 의해 공급덕트 배기홀(71)을 폐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경사지게 구비된 장착면(435)에 공급부 개폐장치(71, 73)가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 개폐장치의 공급덕트 배기홀(71)은 장착면(435)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덕트바디(451) 내부를 캐비닛(1) 내부와 연통시킨다.
이 경우, 공급덕트 도어(73)는 공급덕트 배기홀(71)을 개폐하는 바디(731, 제1바디), 상기 장착면(435)에 구비되는 바디지지부(733, 제1바디지지부), 상기 제1바디(731)를 상기 제1바디지지부(7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7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배출부(5)에 의해 드럼(2)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1) 외부로 배출될 때 드럼(2) 내부가 부압(negative pressure) 상태가 되므로 캐비닛(1) 내부의 공기가 공급부(4)를 통해 드럼(2)으로 공급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배기팬(57)의 정상작동 시), 공급덕트(43) 내부는 부압 상태이므로 드럼(2) 내부에 폭발이 발생되지 않는 한(드럼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이 되지 않는 함) 공급덕트 도어(73)는 공급덕트 배기홀(71)을 개방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후방패널(13)에 구비되어 캐비닛(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캐비닛 유입구(131)가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면 상기 공급부 개폐장치(71, 73)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드럼(2) 내부의 화염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캐비닛 유입구(131)가 캐비닛의 너비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후방패널(13)에 투영된 공급덕트 배기홀(71)의 투영면(projected plane, M)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면 드럼(2) 내부의 폭발 시 화염이 공급덕트 배기홀(71) 및 캐비닛 유입구(131)를 거쳐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캐비닛 유입구(131)는 후방패널(13)에 투영된 공급덕트 배기홀(71)의 투영면(M)에 간섭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유입구(131)는 투영면(M)의 하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후방패널(13)에 경사지게 구비(L)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캐비닛 외부의 물이 캐비닛 유입구(131)를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 유입구(131)는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되 투영면(M)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패널(13)에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상기 공급부 개폐장치(71, 73)가 공급부(4)에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 것인데 이는 일례에 불과하므로 상기 공급부 개폐장치(71, 73)는 드럼(2)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일 때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부 개폐장치(71)는 드럼(2)의 원주면(A, 도 1 참고)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전방지지부(17) 및 후방지지부(19)의 표면(B, 도 1 참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폭발에 의해 드럼(2)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이 될 경우, 도어(15)가 투입구(111)를 개방하기 전에 공급덕트 도어(73)가 공급덕트 배기홀(71)을 개방함으로써 드럼(2) 내부의 화염이 캐비닛(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구비된 압력 저감부(7)는 배출부(5)에 구비되어 드럼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일 때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개폐장치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배출부 개폐장치는 드럼(2)에서 배출부(5)로 유입된 공기를 캐비닛(1)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한 배출부(5)의 어느 부위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덕트(5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배출부(5)의 구성 중 연결덕트(51)가 드럼(2)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연결덕트에 배출부 개폐장치(72, 74)가 구비되면 드럼(2) 내부에 폭발이 발생할 경우 드럼(2) 내부의 압력을 신속히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 개폐장치는 연결덕트(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덕트 배기홀(72), 상기 연결덕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 배기홀(72)을 개폐하는 연결덕트 도어(7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 도어(74)는 연결덕트 배기홀(72)을 자중에 의해 폐쇄하는 바디(741, 제2바디), 연결덕트(51)에 고정된 제2바디지지부(745), 상기 제2바디(741)와 제2바디지지부(745)를 연결하는 회전축(74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 도어(74)의 자중(제2바디의 자중)은 공급덕트 도어(73)의 자중(제1바디(731)의 자중)과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15)와 캐비닛(1) 사이의 체결력보다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배출부 개폐장치(72, 74)는 드럼(2)과 배기팬(57)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기팬(57)에 의해 드럼(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면 연결덕트(51) 내부는 부압(negative pressure) 상태가 되므로 드럼(2)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이 되지 않는 한 연결덕트 도어(74)는 연결덕트 배기홀(72)을 개방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구비된 배출부 개폐장치는 도 6과 같은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배출부 개폐장치는 제2바디지지부(745)에 구비된 가이더(749)가 제2바디(741)의 운동을 안내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바디지지부(745)는 연결덕트(51)에 고정된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서 상기 제2바디(741)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되 제2바디(741)와 소정거리 이격된 연장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바디(741)에는 중심을 관통하는 바디관통홀(743)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더(749)는 상기 연장단에서 연결덕트 배기홀(72)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바디관통홀(743)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배출부 개폐장치(72, 74)는 그 자체로 드럼(2)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세탁물이 배출부 연결홀(179)을 폐쇄한 상태(덕트유입구(511)가 폐쇄된 상태)에서 드럼(2) 내부에 폭발이 발생되면 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배출부 개폐장치(72, 74)는 공급부(4)에 구비되는 개폐장치(71, 73)와 함께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드럼(2)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드럼(2)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드럼(2) 내부의 화염을 자연 소화(extinguishing)시키는 차단부(9)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구비된 차단부(9)는 상기 배기팬(57)이 작동하면 캐비닛 유로(131에 의해 형성)와 상기 공급유로(41, 43) 사이의 공기유동은 허용하고, 배기팬(57)이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공급유로(41, 43)와 캐비닛 유로(131) 사이의 공기유동은 차단하되 배출유로(51, 53, 55)와 캐비닛 유로(131) 사이의 공기유동은 허용함으로써 드럼(2)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드럼(2)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차단부(9)는 상기 배기팬(57)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유로부(2, 41, 43, 51, 53)의 하류(down stream)에 구비되는 한 의류처리장치(100)의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도 7은 배출부(5)에 차단부(9)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9)는 배기덕트(5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배기덕트(53) 내부와 캐비닛(1)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기덕트 관통홀(91), 상기 배기덕트(5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 관통홀(91)과 상기 배기덕트(53)를 선택적으로 개방(배기덕트 관통홀과 배기덕트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는 관통홀 도어(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 도어(93)는 배기덕트(53)에 구비되는 바디회전축(933), 상기 바디회전축(933)을 통해 배기덕트(53)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배기덕트 관통홀(91)과 상기 배기덕트(5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바디(9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931)는 제어부에 의해 배기덕트 관통홀(91)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자중에 의해 배기덕트(53)를 폐쇄하고, 배기팬(57)에 의해 배기덕트 관통홀(91)을 폐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드럼(2)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어 전자 장치가 오작동을 일으킬 경우 차단부(9)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배기팬(57)에 의해 드럼(2)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1) 외부로 배출될 때 드럼(2) 내부가 부압(negative pressure) 상태가 되므로 캐비닛(1) 내부의 공기가 공급부(4)를 통해 드럼(2)으로 공급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배기팬(57)이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드럼(2)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기 어렵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배기덕트(53)는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100) 외부의 기압변화에 따라 상기 배기팬(57)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드럼(2)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가 있다.
즉,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100)는 배기덕트(53)가 가정의 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로에 연결되어 세탁물의 건조 시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따라서, 실외 기압조건에 따라 실외의 공기가 배기덕트(53)를 통해 드럼(2)으로 공급될 수도 있고, 드럼(2) 내부의 공기가 배기덕트(5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의류처리장치(100)가 실내에 구비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실내의 기압변화에 따라 공기가 배기덕트(53)를 통해 드럼(2)에 공급될 수도 있고, 드럼(2)에서 배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드럼(2)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배기팬(57)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만으로는 드럼(2) 내부에 공기공급을 차단할 수 없다.
본 발명에 구비된 차단부(9)는 배기팬(57)의 작동이 중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드럼(2)으로 공기가 공급되어 드럼(2)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드럼(2)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어 배기팬(57)의 작동이 중단되고, 의류처리장치(100) 외부의 기압이 낮은 상황을 가정해보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팬(57)의 작동이 중단되면, 배기덕트 관통홀(91)은 개방되고 배기덕트(53)는 관통홀 도어(93)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캐비닛(1) 외부의 기압이 낮더라도 드럼(2) 내부의 공기는 배기덕트(53)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드럼(2)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1)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 공급부(4)를 통해 캐비닛(1) 내부의 공기가 드럼(2)으로 공급되지 않을 것(상기 공급유로(41, 43)와 캐비닛 유로(131) 사이의 공기유동이 차단될 것)이므로 드럼(2) 내부의 화염은 드럼(2) 내부의 산소가 모두 소진될 때 소화될 것이다.
한편, 캐비닛(1) 외부의 기압이 낮기 때문에 캐비닛(1) 내부의 공기는 배기덕트 관통홀(91)을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배출유로(51, 53, 55)와 캐비닛 유로(131) 사이의 공기 유동이 발생되기 때문).
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배기덕트 관통홀(91)을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면, 드럼(2) 내부의 공기가 공급부(4)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구비된 차단부(9)는 캐비닛(1) 외부의 기압이 낮은 경우 드럼(2) 내부의 화염을 신속히 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드럼(2)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어 배기팬(57)의 작동이 중단되고, 의류처리장치(100) 외부의 기압이 높은 상황을 가정해보자.
배기팬(57)의 작동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배기덕트 관통홀(91)은 개방되고 배기덕트(53)는 관통홀 도어(93)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따라서, 캐비닛(1) 외부의 기압이 높더라도 캐비닛(1) 외부의 공기는 배기덕트(53)를 통해 드럼(2) 내부로 공급되지 않는다.
다만, 캐비닛(1) 외부의 기압이 높기 때문에 캐비닛(1) 외부의 공기는 배기덕트(53) 및 배기덕트 관통홀(91)을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실험결과에 의하면 캐비닛(1) 외부의 기압이 높아 배기덕트 관통홀(91)을 통해 캐비닛(1) 외부의 공기가 캐비닛(1)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공급부(4)를 통해 드럼(2)으로 공급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드럼(2) 내부에 발생된 화재에 의해 드럼(2) 내 공기량은 줄어들지만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드럼(2) 내부의 기압 역시 높아졌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차단부(9)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 기압이 높은 상황에서도 드럼(2)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드럼(2) 내부의 화염이 자연적으로 소화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는 압력 저감부(7)와 차단부(9)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압력 저감부(7)는 공급부(4) 및 배출부(5)에 각각 구비되어 드럼(2)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이 되면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개폐장치(71, 73, 공급부 개폐장치) 및 배출부 개폐장치(72, 74)로 구비되고, 차단부(9)는 배기덕트(53)에 구비되어 배기팬(57)의 작동이 중단되면 배기덕트 관통홀(91)은 개방하고 배기팬(57)은 폐쇄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개폐장치(71, 73), 배출부 개폐장치(72, 74) 및 차단부(9)의 구조나 효과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3: 후방패널 131: 캐비닛 유입구 133: 캐비닛 배출구
15: 캐비닛 도어 17: 전방지지부 179: 배출부 연결홀
19: 후방지지부 195: 공급부 연결홀 2: 드럼
31: 드럼모터 4: 공급부 41: 가열덕트
43: 공급덕트 431: 덕트바디 435: 장착면
45: 히터 5: 배출부 51: 연결덕트
53: 배기덕트 55: 팬하우징 57: 배기팬
7: 압력저감부 71: 공급덕트 배기홀 73: 공급덕트 도어
72: 연결덕트 배기홀 74: 연결덕트 도어 9: 차단부
91: 배기덕트 관통홀 93: 관통홀 도어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 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저감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 내부로 배출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 상기 가열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와 상기 캐비닛 내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공급덕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 내부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급덕트 배기홀;
    상기 공급덕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자중(self-weight)에 의해 상기 공급덕트 배기홀을 폐쇄하는 공급덕트 도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한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덕트 도어의 자중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사이의 체결력보다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면을 지지하고, 상기 공급덕트가 연결되는 공급부 연결홀이 구비된 후방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가열덕트에서 상기 공급부 연결홀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덕트바디, 상기 덕트바디와 상기 공급부 연결홀을 연결하되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 내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캐비닛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유입구는 상기 공급덕트 배기홀이 상기 캐비닛에 투영된 투영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 배기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캐비닛 유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면을 지지하고, 상기 배출부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부 연결홀이 구비된 전방지지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면을 지지하고, 상기 공급덕트가 연결되는 공급부 연결홀이 구비된 후방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전방지지부 및 상기 후방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저감부는
    상기 배출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가 상기 기준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로 이동시키는 배기팬, 상기 연결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 개폐장치는 상기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 개폐장치는
    상기 연결덕트 내부를 상기 캐비닛 내부와 연통시키는 연결덕트 배기홀;
    상기 연결덕트 배기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덕트 도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 배기홀은 상기 연결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배기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덕트 도어는 상기 연결덕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덕트 배기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 배기홀은 상기 연결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배기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덕트 도어는
    상기 연결덕트 배기홀을 개폐하는 바디;
    상기 연결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바디지지부;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디지지부에서 상기 연결덕트 배기홀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급부;
    상기 배출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가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 내부로 배출시키는 압력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저감부는 상기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유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안내하는 공급유로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
    상기 팬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상기 유로부의 상류(upper stream)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 내부로 배출시키는 압력 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유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저감부는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사이의 체결력보다 작은 힘에 의해 상기 유로부를 상기 캐비닛 내부와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저감부는
    상기 팬이 작동하면 상기 유로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유로부를 상기 캐비닛 내부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와 상기 캐비닛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캐비닛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유입구는
    상기 압력 저감부가 상기 캐비닛에 투영된 투영면(projected plane)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30021184A 2013-02-27 2013-02-27 의류처리장치 KR10204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84A KR102047697B1 (ko) 2013-02-27 2013-02-27 의류처리장치
IN5085CH2013 IN2013CH05085A (ko) 2013-02-27 2013-11-11
BR102013029603A BR102013029603A8 (pt) 2013-02-27 2013-11-18 aparat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para lavar
RU2013151170/12A RU2568795C2 (ru) 2013-02-27 2013-11-18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JP2013250909A JP5801863B2 (ja) 2013-02-27 2013-12-04 衣類処理装置
CN201310651749.8A CN104005210B (zh) 2013-02-27 2013-12-05 衣物处理装置
EP14150081.9A EP2772580B1 (en) 2013-02-27 2014-01-02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4200221A AU2014200221B2 (en) 2013-02-27 2014-01-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84A KR102047697B1 (ko) 2013-02-27 2013-02-27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10A true KR20140106910A (ko) 2014-09-04
KR102047697B1 KR102047697B1 (ko) 2019-11-22

Family

ID=4988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184A KR102047697B1 (ko) 2013-02-27 2013-02-27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772580B1 (ko)
JP (1) JP5801863B2 (ko)
KR (1) KR102047697B1 (ko)
CN (1) CN104005210B (ko)
AU (1) AU2014200221B2 (ko)
BR (1) BR102013029603A8 (ko)
IN (1) IN2013CH05085A (ko)
RU (1) RU2568795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23B1 (ko) * 2016-04-21 2016-11-08 에이스티엔에스(주)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US20210047775A1 (en) * 2019-08-14 2021-02-18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2981A (ja) * 2020-05-21 2021-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2895A (ja) * 1988-04-13 1989-10-19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
JP2004121644A (ja) * 2002-10-04 2004-04-22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2430A (en) * 1979-11-15 1981-04-21 Hoyt Manufacturing Corporation Combination solvent reclaimer and dryer
JPS6063198U (ja) * 1983-10-05 1985-05-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ガス式衣類乾燥機
JPS62151898U (ko) * 1986-03-18 1987-09-26
US6189228B1 (en) * 1999-07-21 2001-02-20 Lyle Schuette Support/heat valve for dryer
JP2002081858A (ja) * 2000-09-01 2002-03-22 Toto Ltd 乾燥装置
CN2491478Y (zh) * 2001-07-18 2002-05-15 伟裕机械板金工业股份有限公司 可烘干干洗衣物并回收有机溶剂的烘干机
EP1589144B1 (en) * 2004-04-21 2009-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ing machine
KR100825253B1 (ko) * 2007-07-10 2008-04-25 이진식 유기용매 사용기기의 폭발방지장치
KR101430457B1 (ko) * 2007-11-12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0856575B1 (ko) * 2007-12-24 2008-09-05 주식회사 대일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KR20100138427A (ko) * 2009-06-25 2010-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AU2011239089B2 (en) * 2010-04-09 2014-03-2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511738B2 (ja) * 2011-06-20 2014-06-04 リンナイ株式会社 イオン供給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2895A (ja) * 1988-04-13 1989-10-19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
JP2004121644A (ja) * 2002-10-04 2004-04-22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23B1 (ko) * 2016-04-21 2016-11-08 에이스티엔에스(주)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US20210047775A1 (en) * 2019-08-14 2021-02-18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US11598044B2 (en) * 2019-08-14 2023-03-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05210B (zh) 2016-06-29
KR102047697B1 (ko) 2019-11-22
AU2014200221B2 (en) 2015-09-24
IN2013CH05085A (ko) 2015-07-31
RU2013151170A (ru) 2015-05-27
JP5801863B2 (ja) 2015-10-28
AU2014200221A1 (en) 2014-09-11
BR102013029603A2 (pt) 2016-04-05
EP2772580A1 (en) 2014-09-03
BR102013029603A8 (pt) 2021-04-13
CN104005210A (zh) 2014-08-27
EP2772580B1 (en) 2019-05-01
RU2568795C2 (ru) 2015-11-20
JP2014161727A (ja) 201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824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4010781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7697B1 (ko) 의류처리장치
US956231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0031843A (ja) 衣類乾燥機
JP5767305B2 (ja) 衣類処理装置
JP2006311883A (ja) 業務用乾燥機および殺菌乾燥方法
JP5740342B2 (ja) 衣類乾燥機
KR1019898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46885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JP200923297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607282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KR20060103581A (ko) 건조기의 소화장치
JP2007283091A (ja) 回転ドラム式乾燥機
JP2018075144A (ja) 衣類処理機
KR101241876B1 (ko) 드럼식 의류건조기의 컨트롤부
JP2008104492A (ja) 衣類乾燥機
KR101921183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10113867A1 (en) Dryer appliance having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qupped with a multiway inlet valve
JP2020028642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