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923B1 -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923B1
KR101673923B1 KR1020160048542A KR20160048542A KR101673923B1 KR 101673923 B1 KR101673923 B1 KR 101673923B1 KR 1020160048542 A KR1020160048542 A KR 1020160048542A KR 20160048542 A KR20160048542 A KR 20160048542A KR 101673923 B1 KR101673923 B1 KR 101673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hot air
laundry
dry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에이스티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티엔에스(주) filed Critical 에이스티엔에스(주)
Priority to KR102016004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침구류, 매트 등의 합성 또는 천연 섬유 완제품을 세탁하면 인공적인 열풍 및 히터의 열기로 그 세탁물을 자동으로 대량 건조하기 위한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이 완료된 섬유 완제품을 건조하기 위한 대용량 건조 장치로서, 내부에 마련된 건조 공간(120)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100)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순환팬(210)으로 흡입한 후, 그 흡인한 공기를 히터(222)를 통해 열풍으로 전환하면서 상기 건조 공간(120)으로 전환된 열풍을 연속공급하는 순환 사이클을 제공하여 세탁물이 건조되게 하는 송풍기구(200)와; 상기 건조실(100)의 건조 공간(120) 내부 측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되,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세탁물이 건조되게 하는 원적외선 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Drying Apparatus of Laundry}
본 발명은 의류, 침구류, 매트 등의 합성 또는 천연 섬유 완제품을 세탁하면 인공적인 열풍 및 히터의 열기로 그 세탁물을 자동으로 대량 건조하기 위한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장치는 가정 또는 세탁소와 같은 전문업소에서 세탁물을 인공적으로 건조하기 하기 위한 장치로, 장마철과 같이 습도가 높은 상황이나, 전문업소에서 대량의 세탁물을 짧은 시간에 건조하는 경우 자연 상태에서의 건조가 효율이 떨어짐에 따라 인공적인 열풍 또는 히터의 열기를 이용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다.
이러한 건조 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면서 열기를 가두어 건조 환경을 제공하는 건조실에 열기를 강제 공급하는 기구가 마련된 구조를 갖으며, 그 건조방식에 따라 열풍 또는 히터를 이용한 건조방식을 사용하여 세탁물에 열기를 직간접적으로 전달함에 따라 세탁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또는 세탁물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여 세탁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방식들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290호를 살펴보면, 손빨래 또는 세탁기에 의해 세탁이 끝난 의류를 강제 건조하기 위하여, 의류 건조 걸이와 송풍기와 송풍 덕트(판넬로 구성된)와 송풍기 콘트롤 유니트로 구성된 의류의 강제 송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자연 건조할 때에는 송풍 덕트를 이루는 네개의 판넬은 쉽게 떼어낼 수 있으며, 떼어낸 판넬은 송풍기의 송풍구와 기계장치를 덮을 수 있게하여, 자연 건조중에 갑자기 내리는 빗물이 송풍기안에 들어가지 않게 하며, 다른 장치도 비를 맞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게 하여, 강제 송풍 건조할 때나 자연 건조할 때에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열풍을 이용한 건조방식을 사용하지만, 그 열풍은 세탁물이 수용된 밀폐공간에 단순히 공급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열풍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세탁물 주변으로 열풍이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해 건조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세탁물이 수용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밀폐공간은 건조과정에서 열풍, 습기와 같은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출구와 같은 구조물이 미비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열풍과 혼합되어 밀폐공간에 남음에 따라 이 역시 그 습기에 의해 건조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항상 습한 환경을 갖는 밀폐공간에 곰팡이와 같은 유해균이 생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단순히 열풍 공급에 의한 건조방식을 주로 사용함에 따라 열기가 매우 간접적으로 전달되면서 세탁물에 직접적으로 열기가 투과될 수 없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세탁물의 탈취가 이루어지지 않아 악취를 유발하고, 곰팡이와 같은 균들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290호(2006.06.23)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 장치의 건조실에 공급되는 열풍이 지속적으로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열풍 순환기능을 갖도록 제작함에 따라 건조실에 수용된 세탁물 주변으로 열풍이 순환되면서 균일하게 열기가 전달될 수 있어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조 장치의 건조실에 건조 과정에서 열풍, 습기와 같은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시설을 마련하여 제작함에 따라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습기 등이 열풍과 함께 배기시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밀폐공간인 건조실 내부로 습기에 의해 곰팡이와 같은 유해균이 생성됨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이다.
또한 건조 장치의 건조실에 원적외선 패널을 적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원적외선 전자기파로 이루어진 열원이 세탁물에 직접적으로 투과, 흡수, 조사되면서 열로 전환되어 건조가 수행됨으로 세탁물의 탈취, 제습 및 곰팡이와 같은 유해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이 완료된 섬유 완제품을 건조하기 위한 대용량 건조 장치로서,
내부에 마련된 건조 공간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 공간의 내부 공기를 순환팬으로 흡입한 후, 그 흡인한 공기를 히터를 통해 열풍으로 전환하면서 상기 건조 공간으로 전환된 열풍을 연속공급하는 순환 사이클을 제공하여 세탁물이 건조되게 하는 송풍기구와;
상기 건조실의 건조 공간 내부 측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되,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세탁물이 건조되게 하는 원적외선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건조 공간과 통하여 결합되되, 그 건조 공간에 연속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 공간의 공기압이 상승하면 상기 건조 공간 내부의 열풍, 습기를 함유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기구는;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건조 공간과 통하며, 상단에 배출구가 관통되어 마련된 배기몸체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되, 상기 건조 공간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상향으로 열리고, 내부 압력이 낮으면 자체 무게에 의해 하향으로 닫히는 배출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기구는, 건조 공간의 내부 공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ON/OFF 동작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구는;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건조 공간과 통하게 결합되며, 그 건조 공간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과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되, 그 유입된 공기를 히터를 이용해 가열하여 열풍으로 전환하는 열풍 생성기와;
상기 열풍 생성기와 연결되어 열풍이 유입되되, 상기 건조 공간의 내부 측벽으로 유로가 마련되게 결합되어 유입되는 열풍을 상기 유로를 이용해 안내하면서 토출구를 통해 건조 공간으로 공급하는 에어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실은, 대량의 세탁물을 동시에 걸어서 건조 공간의 내부로 운반 및 수용되게 하는 운반 대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반 대차는, 다수의 지주가 서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다수의 바퀴가 구비되어 대량의 세탁물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지주 프레임과;
상기 지주 프레임의 상단에 다수의 파이프가 수평 방향에서 하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열되어 결합되며, 하향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파이프를 이용해 세탁물을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개별 또는 다수로 걸어서 고정되게 하는 행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실은, 건조 공간의 내부 바닥에 결합되며, 운반 대차를 건조 공간의 적정 건조 위치로 안내하면서, 그 안내된 운반 대차를 임시 고정되게 하는 가이드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패널은, 운반 대차의 바퀴가 삽입되면서 안내될 수 있는 한 쌍의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에 운반 대차의 바퀴가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확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은, 운반 대차의 바퀴가 임시로 걸릴 수 있도록 바닥에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장치의 건조실에 내부 공기를 흡입하면 그 공기를 열풍으로 전환한 후 건조실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는 송풍기구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건조실에 수용된 세탁물 주변으로 열풍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균일하게 열기가 전달되어 건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장치의 건조실에 건조 과정에서 열풍, 습기와 같은 내부 공기가 자동으로 배출되게 하고, 외부 공기의 유입은 차단하는 배출기구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건조 과정에서 열풍, 습기 등을 포함한 건조실의 내부 공기가 배출기구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되어 밀폐공간인 건조실 내부로 습기가 머물지 않아 습기에 의한 유해균이 생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장치의 건조실에 원적외선 전자기파의 열원이 제공되는 원적외선 패널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원적외선 패널의 열원이 세탁물에 직접적으로 투과, 흡수, 조사되면서 열로 전화되어 건조가 수행됨에 따라 세탁물의 탈취, 제습 및 곰팡이와 같은 유해균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건조 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세탁물이 수용되는 건조실(100)과; 열풍을 연속공급하는 순환 사이클을 이용해 세탁물을 건조하는 송풍기구(200)와;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원적외선 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의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 중 송풍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 중 운반 대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건조실(100)은; 내부에 마련된 건조 공간(120)에 세탁물이 수용되어, 밀폐된 건조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건조실(100)은 내구성,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열전도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을 이용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은 내구성,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가열하면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의 생성이 없어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세탁물의 건조에 적합하고, 내식성이 우수하여 습한 환경에 노출이 잦은 건조실(100)을 제작하기에 접합하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100)은; 케이지(101), 출입문(110), 운반 대차(500), 배출기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건조실(100)은; 전,후면이 개방되는 건조 공간(120)이 내부에 마련되어 그 건조 공간(120)으로 세탁물이 수용되게 하는 케이지(10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지(101)는 복수의 사각 패널을 사각 박스 형태로 조립하면서, 내부로 전,후면이 개방되는 건조 공간(120)이 형성되게 제작하고, 상기 케이지(101)의 외부에는 건조 장치(1)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제어 패널과 같은 전기적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100)은; 상기 케이지(101)의 전,후면 개방된 부분을 각각 개폐하는 출입문(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출입문(110)은 케이지(101)의 전,후면 개방된 부분의 크기에 대응되는 사각 판재로 제작되며, 그 일측이 상기 케이지(101)의 개방된 측에 힌지 구조로 체결되어 힌지 작용에 의해 회전 개폐되고, 세탁물을 건조 공간(120)에 수용하는 경우 상기 출입문(110)을 개방하고, 세탁물의 건조가 시작되면 출입문(110)을 닫아서 상기 건조 공간(120)이 밀폐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출입문(110)은 케이지(101)의 전,후면 개방된 부분을 닫으면 건조 공간(120)의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고무 패킹 등의 실링 부재가 출입문(110) 내측 둘레에 결합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출입문(110)의 내측에는 건조 과정에서 건조 공간(120)의 내부 상황을 살펴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창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100)은; 대량의 세탁물을 동시에 걸어서 건조 공간(120)의 내부로 운반 및 수용되게 하는 운반 대차(5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운반 대차(500)는; 지주 프레임(510), 행거 프레임(5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운반 대차(500)는; 다수의 지주가 서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다수의 바퀴(513)가 구비되어 대량의 세탁물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지주 프레임(5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주 프레임(510)은 사각 틀 형태의 하부 지지대(511)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한 쌍의 측방 지지대(512)가 복수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511)의 하단에는 운반을 위한 다수의 바퀴(513)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운반 대차(500)는; 상기 지주 프레임(510)의 상단에 다수의 파이프(522)가 수평 방향에서 하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열되어 결합되며, 하향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파이프(522)를 이용해 세탁물을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개별 또는 다수로 걸어서 고정되게 하는 행거 프레임(5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행거 프레임(520)은 하향 확장형태의 판재인 측판(521)이 상기 한 쌍의 측방 지지대(512)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면, 그 한 쌍의 측방 지지대(512) 사이로 다수의 파이프(522)가 수평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측판(521)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파이프(522)가 하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측판(521)의 형상은 삼각, 아치, 사다리꼴 등의 하향으로 면적이 확장되는 모양으로 제작되는 구조이다.
이때, 행거 프레임(520)은 하향 확장되는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파이프(522)를 이용해 세탁물의 크기가 작은 옷가지 등의 경우 상기 파이프(522) 각각에 그 세탁물을 걸어서 사용하고, 세탁물의 크기가 큰 이불과 같은 경우 그 크기에 따라서 다수의 파이프(522)가 하향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열된 하나의 행거 프레임(520)을 이용해 걸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행거 프레임(520)에 전체적으로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100)은; 건조실(100)의 상부로 건조 공간(120)과 통하여 결합되되, 그 건조 공간(120)에 연속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 공간(120)의 공기압이 상승하면 상기 건조 공간(120) 내부의 열풍, 습기를 함유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기구(4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배출기구(400)는; 배기몸체(410), 배출문(420), 배기팬(4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출기구(400)는; 상기 건조실(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건조 공간(120)과 통하며, 상단에 배출구(412)가 관통되어 마련된 배기몸체(4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기몸체(410)는 내부로 공간을 갖는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되, 하측으로 상기 건조 공간(120)과 통하는 개구부를 갖으면서 상측은 삼각의 단면 모양을 갖는 한 쌍의 경사면(411)이 마련되고, 상기 경사면(411)의 내측에 배출구(412)가 관통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배기몸체(410)가 건조실(100)의 상부에 결합되면, 그 건조실(100)의 상면은 배기몸체(410)와 통할 수 있는 배기구멍(4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기몸체(410)는 건조실(100)의 상부에 볼트체결로 조립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배출기구(400)는; 상기 배출구(412)를 개폐하되, 상기 건조 공간(12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상향으로 열리고, 내부 압력이 낮으면 자체 무게에 의해 하향으로 닫히는 배출문(4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문(420)은 상기 배출구(412)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배출구(412)를 완전히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및 형태를 갖는 판재로 제작되며, 상기 배출문(420)의 상단은 상기 배기몸체(410)의 경사면(411) 상부에 힌지 체결됨으로 상기 배출문(420)이 힌지 구조로 상하 회전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문(420)은 그 자체 무게에 의해 평상시 배출구(412)를 덮어서 닫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건조 공간(12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단일 출구인 배출구(412) 측으로 압력이 몰리면서 배출문(420)의 무게보다 큰 압력을 받으면 서서히 배출문이 열려서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가 배출구(4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더욱이, 상기 배출기구(400)는;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ON/OFF 동작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하는 배기팬(4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기팬(430)은 송풍기, 통풍기로 통칭하는 팬(fan)이며, 날개, 프로펠러와 같은 블레이드를 모터를 이용해 회전시켜서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배기팬(430)은 배기 몸체(410)의 하부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그 배기팬(430)의 흡입 부분은 건조 공간(120) 측으로 위치하고, 배출 측은 상기 배출구(412)가 마련된 측으로 위치하여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상기 배출구(412) 측으로 흡입한 공기를 강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출기구(400)의 구조가 부가됨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열풍, 습기 등을 포함한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가 배출기구(400)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되어 밀폐 분위기의 건조실(100) 내부로 습기가 머물지 않아 습기에 의한 유해균이 생성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건조에 용이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구(200)는; 상기 건조실(100)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순환팬(210)으로 흡입한 후, 그 흡인한 공기를 히터(222)를 통해 열풍으로 전환하면서 상기 건조 공간(120)으로 전환된 열풍을 연속공급하는 순환 사이클을 제공하여 세탁물이 건조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송풍기구(200)는 고온에 주기적으로 노출됨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송풍기구(200)는 열풍을 연속공급하는 주된 기능 이외에 상기 건조실(100)에 송풍기구(200)가 일체화되게 조립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기존의 구조를 개선하여, 본 발명의 건조 장치(1)는 일체형의 송풍기구(200)에 의해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 공간에 대한 제약이 없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송풍기구(200)는; 순환팬(210), 열풍 생성기(220), 에어덕트(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풍기구(200)는; 상기 건조실(100)의 상부로 건조 공간(120)과 통하게 결합되며, 그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순환팬(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순환팬(210) 역시 송풍기, 통풍기로 통칭하는 팬(fan)이며, 날개, 프로펠러와 같은 블레이드를 모터를 이용해 회전시켜서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순환팬(210)은 건조실(100)이 상부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그 순환팬(210)의 흡입 부분은 건조 공간(120) 측으로 통하여 위치하고, 배출 측은 후술하는 열풍 생성기(220)가 결합되는 측에 위치하여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상기 열풍 생성기(220) 측으로 흡입한 공기를 강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팬(210)이 결합된 건조실(100)의 상부는 건조 공간(120)과 통하게 하는 순환 구멍(211)이 관통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순환 구멍(211)의 안쪽에는 세탁물에 잔류한 기타 이물질이 순환팬(210) 측으로 흡입됨을 방지하는 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구(200)는; 상기 순환팬(210)과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되, 그 유입된 공기를 히터(222)를 이용해 가열하여 열풍으로 전환하는 열풍 생성기(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풍 생성기(220)는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마련되는 열풍 덕트(221)가 상기 순환팬(210)의 공기 배출 부분과 통하도록 건조실(100)의 상부에 볼트체결로 조립되어 고정되고, 그 열풍 덕트(221)의 내부로 직접적인 열원이 되는 히터(222)가 마련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히터(222)는 순환팬(21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공기 유로에 설치됨으로 히터(222)의 열원을 이용해 순환팬(21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열풍으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구(200)는; 상기 열풍 생성기(220)와 연결되어 열풍이 유입되되, 상기 건조 공간(120)의 내부 측벽으로 유로(231)가 마련되게 결합되어 유입되는 열풍을 상기 유로(231)를 이용해 안내하면서 토출구(232)를 통해 건조 공간(120)으로 공급하는 에어덕트(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덕트(230)는 내부로 유로(231)가 마련되며, 상부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하부는 복수의 토출구(232)가 관통 형성된 직선의 관로 형태로 제작되며, 그 길이는 상기 건조 공간(120)의 내부 높이에 대응 제작된다.
이때, 상기 에어덕트(230)는 건조 공간(120)의 내부 측벽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에어덕트(230)의 상부 개구부는 열풍 덕트(221)와 통하면서, 그 열풍 덕트(221)를 통해 전환된 열풍이 에어덕트(230)의 유로(231)에 유입되게 하고, 유입되는 열풍은 상기 토출구(232)를 통해 건조 공간(120)의 내부로 연속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송풍기구(200)의 세부 구성에 의한 열풍의 순환 사이클 구조가 부가됨에 따라 건조실(100)에 수용된 세탁물 주변으로 열풍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균일하게 열기가 전달되어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적외선 패널(300)은 상기 건조실(100)의 건조 공간(120) 내부 측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되,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세탁물이 건조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적외선 패널(300)은 사각 패널 형태로 제작되어 건조 공간(120)의 측벽 일측 또는 양측에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파장이 25㎛인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원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 열 작용이 크며 침투력이 높고,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 작용이 강하여, 세탁물 건조 및, 탈취, 제습, 살균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적외선 패널(300)이 부가됨에 따라 원적외선 패널(300)의 원적외선이 세탁물에 직접적으로 투과, 흡수, 조사되면서 열을 발생시키면서 건조가 수행됨으로써 세탁물의 탈취, 제습 및 곰팡이와 같은 유해균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건조 장치(1)는, 의류, 침구류, 매트 등의 합성 또는 천연 섬유 완제품을 세탁하면, 그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해 건조실(100)의 출입문(110)을 개방하는데, 그 개방된 출입문(110)을 통해 세탁물이 걸린 운반 대차(500)를 이동하여 상기 운반 대차(500)를 건조 공간(120) 내부로 위치되게 한다.
이때, 운반 대차(500)가 건조 공간(120)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상기 출입문(110)을 닫아서 건조 공간(120)을 완전 밀폐하고, 건조 장치(1)를 스위치 조작하여 송풍기구(200) 및 원적외선 패널(300)을 작동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송풍기구(200)가 작동하면 최초 순환팬(210)에 의해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한 후 열풍 생성기(220) 측으로 배출하며, 그 순환팬(210)에 흡입된 공기는 열풍 생성기(220)의 히터(222)에 직접 접촉되면서 열풍으로 전환되어 열풍 덕트(221) 측으로 전환된 열풍이 유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열풍 덕트(221) 측으로 유입된 열풍은 열풍 덕트(221)의 하부 토출구(232)를 통해 건조 공간(120) 내부로 연속공급되고, 그 건조 공간(120)에 공급되는 열풍으로 세탁물의 건조가 수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공간(120)으로 연속공급되는 열풍은 순환팬(210)으로 다시 흡입하는 열풍 순환 사이클을 제공하게 되고, 그 열풍 순환 사이클에 의해 건조 공간(120)의 내부온도가 고온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건조 작업중 원적외선 패널(300)로부터 원적외선이 세탁물에 직접적으로 조사되면서 세탁물 분의 공진, 공명 작용을 유발하여 열을 발생시킴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 및 탈취, 제습, 살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6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 중 가이드 패널의 평면 및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건조 장치(1) 중 상기 건조실(100)은; 건조 공간(120)의 내부 바닥에 결합되며, 운반 대차(500)를 건조 공간(120)의 적정 건조 위치로 안내하면서, 그 안내된 운반 대차(500)를 임시 고정되게 하는 가이드 패널(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패널(130)은 건조 공간(120)의 바닥 크기에 대응한 판재로 제작되되, 내측에 운반 대차(500)의 바퀴(513)가 삽입되면서 안내될 수 있는 한 쌍의 레일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131)의 양측에는 운반 대차(500)의 바퀴(513)가 효과적으로 레일홈(131)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확장면(133)이 마련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레일홈(131)의 바닥에는 운반 대차(500)의 바퀴(513)가 임시로 걸릴 수 있는 복수의 고정 돌기(1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돌기(132)는 운반 대차(500)에 마련된 바퀴(513) 위치에 대응하여 운반 대차(500)가 건조 공간(120)의 중앙에 자리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됨으로 상기 바퀴(513)가 고정 돌기(132)를 타고 넘어간 후 걸려서 운반 대차(500)가 건조 과정에서 임시로 적정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실(100)에 가이드 패널(130)의 구조가 부가됨에 따라 세탁물이 걸린 운반 대차(500)가 건조실(100)의 최적의 건조 위치에 간편하게 자리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운반 대차(500)가 가이드 패널(130)에 의해 임시 고정됨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운반 대차(500)가 움직이면서 출입문(110) 등에 부딪혀 그 출입문(110)이 개방되거나 운반 대차(5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건조 장치 100; 건조실
110; 출입문 120; 건조 공간
130; 가이드 패널 200; 송풍기구
210; 순환팬 220; 열풍 생성기
230; 에어 덕트 300; 원적외선 패널
400; 배출기구 410; 배기 몸체
420; 배출문 430; 배기팬
500; 운반 대차

Claims (5)

  1. 세탁이 완료된 섬유 완제품을 건조하기 위한 대용량 건조 장치로서,
    내부에 마련된 건조 공간(120)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100)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순환팬(210)으로 흡입한 후, 그 흡인한 공기를 히터(222)를 통해 열풍으로 전환하면서 상기 건조 공간(120)으로 전환된 열풍을 연속공급하는 순환 사이클을 제공하여 세탁물이 건조되게 하는 송풍기구(200)와;
    상기 건조실(100)의 건조 공간(120) 내부 측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되,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세탁물이 건조되게 하는 원적외선 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조실(100)의 상부로 건조 공간(120)과 통하여 결합되되, 그 건조 공간(120)에 연속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 공간(120)의 공기압이 상승하면 상기 건조 공간(120) 내부의 열풍, 습기를 함유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기구(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기구(400)는;
    상기 건조실(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건조 공간(120)과 통하며, 상단에 배출구(412)가 관통되어 마련된 배기몸체(410)와;
    상기 배출구(412)를 개폐하되, 상기 건조 공간(12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상향으로 열리고, 내부 압력이 낮으면 자체 무게에 의해 하향으로 닫히는 배출문(4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기구(400)는,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ON/OFF 동작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하는 배기팬(4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구(200)는;
    상기 건조실(100)의 상부로 건조 공간(120)과 통하게 결합되며, 그 건조 공간(120)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순환팬(210)과;
    상기 순환팬(210)과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되, 그 유입된 공기를 히터(222)를 이용해 가열하여 열풍으로 전환하는 열풍 생성기(220)와;
    상기 열풍 생성기(220)와 연결되어 열풍이 유입되되, 상기 건조 공간(120)의 내부 측벽으로 유로(231)가 마련되게 결합되어 유입되는 열풍을 상기 유로(231)를 이용해 안내하면서 토출구(232)를 통해 건조 공간(120)으로 공급하는 에어덕트(230)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실(100)은, 대량의 세탁물을 동시에 걸어서 건조 공간(120)의 내부로 운반 및 수용되게 하는 운반 대차(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반 대차(500)는, 다수의 지주가 서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다수의 바퀴(513)가 구비되어 대량의 세탁물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지주 프레임(510)과;
    상기 지주 프레임(510)의 상단에 다수의 파이프(522)가 수평 방향에서 하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열되어 결합되며, 하향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파이프(522)를 이용해 세탁물을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개별 또는 다수로 걸어서 고정되게 하는 행거 프레임(5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실(100)은, 건조 공간(120)의 내부 바닥에 결합되며, 운반 대차(500)를 건조 공간(120)의 적정 건조 위치로 안내하면서, 그 안내된 운반 대차(500)를 임시 고정되게 하는 가이드 패널(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패널(130)은, 운반 대차(500)의 바퀴(513)가 삽입되면서 안내될 수 있는 한 쌍의 레일홈(131)과;
    상기 레일홈(131)에 운반 대차(500)의 바퀴(513)가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확장면(1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131)은, 운반 대차(500)의 바퀴(513)가 임시로 걸릴 수 있도록 바닥에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132)를 더 포함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48542A 2016-04-21 2016-04-21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KR101673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542A KR101673923B1 (ko) 2016-04-21 2016-04-21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542A KR101673923B1 (ko) 2016-04-21 2016-04-21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923B1 true KR101673923B1 (ko) 2016-11-08

Family

ID=5752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542A KR101673923B1 (ko) 2016-04-21 2016-04-21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90Y1 (ko) 2006-04-20 2006-06-29 김창수 의류 건조기
KR20110097232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대용량 건조기
KR20110097737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회전 건조기
KR20140106910A (ko) * 2013-02-27 201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90Y1 (ko) 2006-04-20 2006-06-29 김창수 의류 건조기
KR20110097232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대용량 건조기
KR20110097737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회전 건조기
KR20140106910A (ko) * 2013-02-27 201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449B2 (en) Sanitizing cabinet for sports equipment
KR101265064B1 (ko) 신발 살균 건조기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CN204766654U (zh) 一种布料杀菌设备
CN104018327A (zh) 衣物处理设备
CN205501695U (zh) 护衣机及洗衣护衣机
JP4293373B2 (ja) 遠赤外線乾燥システム、およびドラム型乾燥機、ならびに布団乾燥施設とそれを用いた布団遠赤外線乾燥方法
KR101358062B1 (ko) 목재 건조장치
CN106868827A (zh) 微波干衣机
US20050193585A1 (en) Sanitizing cabinet for sports equipment
KR101673923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CN107034646B (zh) 一种船用衣物干燥杀菌除臭装置
JP3619203B2 (ja) 乾燥装置
CN209468606U (zh) 一种智能家居用衣物干燥处理装置
KR102249080B1 (ko)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CN210952204U (zh) 一种绞纱烘干机
KR100712271B1 (ko) 수납형 리프터와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CN210892376U (zh) 塑料原料颗粒真空干燥机
KR20110097737A (ko) 회전 건조기
GB2593145A (en) Improvements in ironing booths for clothing
CN211340126U (zh) 基于Coanda效应的智慧烘干机
CN220338968U (zh) 一种再生塑料颗粒用烘干装置
KR20110097232A (ko) 대용량 건조기
US2707337A (en) Clothes dryer
KR100554095B1 (ko) 침구류 위생청소용 탑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