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232A - 대용량 건조기 - Google Patents

대용량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232A
KR20110097232A KR1020100016968A KR20100016968A KR20110097232A KR 20110097232 A KR20110097232 A KR 20110097232A KR 1020100016968 A KR1020100016968 A KR 1020100016968A KR 20100016968 A KR20100016968 A KR 20100016968A KR 20110097232 A KR20110097232 A KR 20110097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chamber
main body
circulation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장기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장기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Priority to KR1020100016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7232A/ko
Publication of KR2011009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28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대용량 건조기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건조실을 구비하며 건조실 상면에 형성되는 제1공기배기구 및 제2공기배기구와,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구 및 제2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의 적어도 일측면 내부에 설치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히터와, 상기 제1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제1공기유입구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제1순환유닛과, 상기 제2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제2공기유입구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제2순환유닛, 및 상기 공기의 유동 경로로서, 상기 제1순환유닛과 상기 제1공기유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순환 덕트와 상기 제2순환유닛과 상기 제2공기유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순환 덕트를 구비하는 순환 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용량 건조기{A LARGE VOLUME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이불이나 요 같은 포단, 침구류 등을 대량으로 건조하며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대용량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이 아닌 세탁소 등에서 사용하는 건조기는 의류나 포단 또는 침구류 등의 세탁물을 단시간에 건조하여 수분이 함유되지 않은 상태로 건조해야 하는데, 이 같은 종래의 건조기에는 종래에는 열풍 건조방식이 사용되었다. 즉, 열풍 건조방식은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팬에 의해 피건조물에 송풍하여 건조를 행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열풍 건조방식은 건조가 효율적이지 못해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열풍 건조방식은 열풍이 공급되는 곳과 가까운 곳의 경우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만 열풍이 공급되는 곳과 먼곳에는 열풍이 잘 도달하지 않아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이는 건조 효율이 안좋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며, 이러한 문제점은 건조기의 크기가 커질수록 더 발생하게 된다. 기존에는 세탁소가 소규모이기 때문에 이 세탁소에서 사용되는 건조기 역시 소규모 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세탁 점포는 세탁물을 받기만 하고 세탁이나 건조는 공장형 세탁소에는 세탁 체인점이 많이 생기고 있고, 이러한 공장형 세탁소에는 다량의 세탁물을 세탁 및 건조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건조기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열풍 건조방식의 건조기는 탈취, 살균 등에 있어서 취약한 측면이 있다. 한편,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피건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를 빠르게 제거하고 건조 공기를 피건조물에 공급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습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고 있어 건조기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피건조물을 세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솔벤 등의 세제가 피건조물에 잔류하는데 피건조물 건조시 잔류된 세제류가 방출되어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며, 이는 건조기가 사용되는 세탁소 등의 작업자에게 악취를 발생케 하고 건강을 위협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최근에는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한 원적외선 건조기가 관심을 받고 있다. 원적외선은 에너지파의 일종인 전자파이며 적외선 중 비교적 파장이 긴 것을 의미한다. 원적외선은 광선과는 다른 전자기파로써 직진성, 반사성, 투과성, 흡수성 등을 가지며 전도나 대류와 같은 열전달 방식과는 전혀 다르게 중간매질이 없이 직접 피가열물에 조사된다. 또한, 빛은 파장이 길면 물체에 도달했을 때 깊숙하게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원적외선은 피가열물에 잘 흡수되어 열로 전환되어 피가열물을 급속하고 균일하게 가열시키는 특징이 있다. 원적외선을 가열원으로 사용할 경우 에너지 효율이 높고 전도나 대류 방식의 가열보다는 피가열물을 균일하게 복사, 가열시킬 수가 있어 품질 생산성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원적외선은 중금속 제고, 탈취,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하고 또한 피건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를 빠르게 제거하고 건조 공기를 피건조물에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대용량의 피건조물을 빠르게 또한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며, 또한 건조실에서 발생되는 습공기를 외부에 방출하지 않고 다시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건조기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건조실을 구비하며, 건조실 상면에 형성되는 제1공기배기구 및 제2공기배기구와,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구 및 제2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측면 내부에 설치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히터; 상기 제1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제1공기유입구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제1순환유닛; 상기 제2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제2공기유입구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제2순환유닛; 및, 상기 공기의 유동 경로로서, 상기 제1순환유닛과 상기 제1공기유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순환 덕트와, 상기 제2순환유닛과 상기 제2공기유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순환 덕트를 포함하는 순환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순환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제1공기배기구 상부에 설치되어 제1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도록 하는 시로코팬; 및, 상기 시로코팬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시로코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예열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순환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제2공기배기구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도록 하는 배기팬; 및, 상기 본체의 측면 일측의 상기 제2순환 덕트의 유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팬에 의해 공급된 건조실 내의 습한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 공기로 변환시킨 후 이 건조 공기를 상기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습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습유닛은, 상기 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건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된 고온, 고압의 냉매의 열을 흡수하는 방열기; 상기 유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기를 거쳐 차가워진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습한 공기를 응축하여 건조 공기로 변환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기에 의해 변환된 건조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한다.
상기 원적외선 히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 건조실 내부로 대향되게 상기 발열체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 및,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히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원적외선 히터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와이어 메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히터는 본체의 도어가 형성되는 전면, 후면 및 좌우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건조기에 의하면, 상기 피건조물이 적재되며 상기 본체 내부의 건조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재운반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재운반구는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건조실 저면에는 상기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실 내부의 습한 공기를 건조실 위에서 빨아들여 습기를 제거한 후 이 건조 공기를 건조실 하부에서 공급하기 때문에, 건조가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4면에 원적외선 히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설치하므로 건조가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대용량 건조물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습기를 제거하여 다시 건조실 내로 공급하여 재활용 하므로, 건조기가 설치되는 작업장의 악취제거 및 작업자의 건강 등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건조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연 상태의 대용량 건조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건조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건조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건조기의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적재운반구들에 피건조물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체 건조실 내부에서 본 원적외선 히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제습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건조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 에서 도어를 열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대용량 건조기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대용량 건조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대용량 건조기의 평면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해 제2순환 덕트(164), 제습유닛(150), 제어유닛(103)을 삭제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대용량 건조기는 건조실을 구비하는 본체(110), 원적외선 히터(120), 적재운반구(130, 도6 참조), 시로코팬(170)과 예열히터(180)를 포함하는 제1순환유닛(101), 배기팬(140)과 제습유닛(150)을 포함하는 제2순환유닛(102) 및 순환 덕트를 포함한다. 적재운반구(130)는 피건조물이 적재되며 본체(110) 내부의 건조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원적외선 히터(120)는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건조물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건조시킨다. 제1순환유닛(101)은 제1공기배기구(113)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 공기를 가열하여 제1공기유입구(115)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제2순환유닛(102)은 제2공기배기구(114)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여 제2공기유입구(116)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한다. 순환 덕트는 공기의 유동 경로로서, 제1순환유닛(101)과 제1공기유입구(115)를 연통하도록 본체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순환 덕트(162)와, 제2순환유닛(102)과 제2공기유입구(116)를 연통하도록 본체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순환덕트(164)로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10)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12)가 설치되고 내부에 건조실을 구비한다. 본체(110)는 대략 박스 형태의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건조실의 상부면에는 건조실 내의 습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제1공기배기구(113)와 제2공기배기구(114)가 복수개 형성된다. 본체의 양측면 하부에는 제1순환 덕트(162)와 연결된 제1공기유입구(115)가 형성되고(도2 및 도3 참조), 본체의 일측면 하부에는 제2순환덕트(164)와 연결된 제2공기유입구(116)가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공기배기구(113) 및 제2공기배기구(114)를 통해 빠져나온 건조실 상부의 공기는 제1공기유입구(115) 및 제2공기유입구(116)를 통해 다시 건조실 하부로 유입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에는 건조실과 구획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제1순환유닛(101)의 시로코팬(170)과 예열히터(180)가, 제2순환유닛(102)의 배기팬(140)이 설치된다. 한편, 본체(110)의 저면에는 적재운반구(130, 도6 참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히터(120)가 본체(110)의 전면, 후면, 양측면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한편, 본체(110)의 전면 및 후면의 하부에는 외부의 건조 공기가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유입구(119, 119')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제어유닛(103)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어유닛은 본체 상에 패널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체의 크기가 크고 또한 구성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장치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적재운반구는 상기 본체(110) 내부의 건조실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피건조물이 적재된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다양한 적재운반구(130,130',130'')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운반구(130)는 지주대(132)가 양쪽에 세로로 설치되고, 양 지주대(132)를 가로질러서 지지대(134)가 복수개 설치된다. 도 6a 및 도 6b에는 피건조물을 거는 걸이대(136)가 지주대(132) 상단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나, 도 6c에는 걸이대(136)가 각 지지대(132)에 복수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지주대, 지지대, 및 걸이대는 피건조물의 종류 즉, 의류, 이불이나 요와 같은 포단, 커텐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건조실 내에 적재운반구가 한 개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지주대(132)의 하단에는 바퀴(138)가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의 건조실 내로 또는 건조실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저면에는 상기 적재운반구(130)의 바퀴(13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도면미도시)이 형성되어서, 적재운반구(130)가 건조실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건조동작시 건조에 적절한 위치에 있게 되므로 피건조물의 건조가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대형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다량으로 건조시키는 것이므로, 피건조물의 이동이나 운반 및 건조실 내의 피건조물의 적재 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운반구(130)에 의하면 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원적외선 히터(120)는 본체의 네 측면 내부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건조의 효율을 위해 원적외선 히터(120)는 본체의 네 측면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사방의 측면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되므로 피건조물을 입체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의 효율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 히터(120)는 각각의 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즉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면에 4개, 좌우측면에 9개씩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건조기의 용량이나 크기 및 원적외선 히터의 성능 등에 따라 원적외선 히터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7a는 건조실에서 바라볼 때의 원적외선 히터의 정면도를, 도 7b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적외선 히터(120)는 케이스(124)와, 케이스에 안착되어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126)와, 발열체 상면에 위치하는 원적외선 방사판(128) 및 케이스(124)와 결합되어 원적외선 히터(120)의 구성요소들을 본체(110)의 측면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히터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발열체(126)는 보통 운모판에 니크롬선이 배열되는 운모 발열체가 적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적외선 방사판(128)은 발열체(126)가 가열되는 경우 열을 받아서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된다. 원적외선 방사판(128)은 히터 등의 열원은 아무 것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단독으로는 발열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가열에 의해서만 승온하여 적외선을 발하게 된다. 원적외선 방사판(128)은 보통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에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세라믹이 코팅된다.
한편, 원적외선 히터(120)가 설치되는 곳에 대응되는 본체의 내측면에는 와이어 메시(121)가 설치된다. 건조실 내의 온도는 보통 60~90℃를 유지하는데 이와 같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적외선 히터(120)와 원적외선 방사판(128)은 150℃ 이상의 고온을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원적외선 히터가 비록 본체(110)의 내부 측면에 매입되어 있지만 부주의 등에 의해 피건조물이 원적외선 히터에 닿을 우려가 있으므로, 와이어 메시(121)로 인해 그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순환유닛(101)은 시로코팬(170)과 예열히터(180)로 구성된다. 시로코팬(170)은 본체 내부의 제1공기배기구(113) 상부에 설치되어, 제1공기배기구(113)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도록 한다. 예열히터(180)는 공기의 유동 경로상 시로코팬(170)의 하류에 설치되어, 시로코팬(170)에 의해 흡입된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한다. 건조실 내부의 공기는 습한 공기인데, 시로코팬(170)에 의해 가열되므로 어느 정도 습기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건조실 내부로 다시 유입시키기 위해 미리 가열시키게 되므로 건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히터(18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1순환 덕트(162)를 거치면서 하강하고, 제1공기유입구(115)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제1공기배기구(113)가 6개 형성되므로 이에 대응되게 시로코팬(170) 및 예열히터(180)가 6개 설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기의 크기나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순환유닛(102)는 배기팬(140)과 제습유닛(150)으로 구성된다. 배기팬(140)은 상기 제2공기배기구(114) 상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10) 상부의 공간 상에 설치되어, 건조실 내의 습한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제습유닛(150)으로 순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과 같이 제2공기배기구(114)가 6개 형성되므로 이에 대응되게 배기팬(140)이 6개 설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기의 크기나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
제습유닛(150)은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순환 덕트(164)를 통해 유입된 습한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 공기로 만든 후 이 건조 공기를 다시 건조실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습유닛(150)은 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51) 및 건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53)를 구비하는 몸체(152)와, 상기 몸체(152) 내부에 설치되는 응축기(157), 순환팬(158), 압축기(155) 및 방열기(156)를 포함한다.
압축기(155)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또는 미리 충전되어 있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킨다. 방열기(156)는 기화기로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압축기(155)로부터 압축된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아 응축기(157)로 보낸다. 응축기(15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51)의 하부(하류)에 설치되어 방열기(156)로부터 공급되는 차가워진 냉매를 이용하여, 유입구(151)를 통해 유입되는 습한 공기를 응축하여 건조 공기로 변환시킨다. 순환팬(158)은 응축기 하부(하류)에 설치되어, 응축기로부터 나오는 이 건조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습유닛(150)이 본체(110)와 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습유닛(150)이 본체(110)와 밀착하여 붙어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유닛(150)의 배출구(153)와 건조실의 공기유입구(116)는 다른 연결수단에 의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게 된다.
건조실 내의 공기는 원적외선 히터로 인한 피건조물의 건조로 인해 수분을 많이 함유한 상태이다. 공기 중에 수분이 어느 한도 이상인 경우 피건조물에 열을 가하여도 더 이상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데, 습한 공기를 제거하고 건조한 공기를 적절히 공급해야 건조가 빨리 이루어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건조실 내부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따라서 피건조물의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건조기에 의하면 이 습하고 더운 공기를 건조실 위에서 빨아들여 습기를 제거한 후 이 건조 공기를 건조실 하부에서 공급하기 때문에, 건조가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외부의 공기는 건조실 내의 공기보다 온도가 낮을 것이므로, 제1순환유닛을 통해 공기의 온도를 높여서 건조실로 공급하므로 빠른 건조에 효과적이며, 제2순환유닛의 제습유닛을 본체 외부에 별도로 설치하여 대용량의 건조실 내부의 공기의 습기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4면에 원적외선 히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설치하므로 건조가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대용량 건조물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다시 건조실 내로 공급하여 재활용 하므로, 건조기가 설치되는 작업장(세탁소 등)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건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10)의 도어(112)를 연 후 의류나 포단 등의 피건조물이 널려진 적재운반구(130)를 본체 내부의 건조실에 넣은 후 도어의 문을 닫는다. 그 후 건조기를 동작시키게 되면, 원적외선 히터(120)가 동작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원적외선 방사에 의해 피건조물은 건조가 되고 피건조물에 있던 수분은 증발하여 건조실 내부는 습한 공기로 채워지게 된다. 원적외선 히터(120)가 동작한 후 일정 시간이 흐르게 되면 제1순환유닛(101)과 제2순환유닛(102)이 동작하게 된다. 제1순환유닛(101)의 경우 시로코팬(170)이 제1공기배기구(113)을 통해 건조실 상부의 습한 공기를 빨아들이고, 이 공기는 예열히터(180)에 의해 가열되어 제1순환 덕트(162)로 유입된다. 제1순환 덕트(162)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로 유동하게 되고 제1공기유입구(115)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된다. 제2순환유닛(102)의 경우 배기팬(140)이 제2공기배기구(114)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습한 공기를 빨아들여 제2순환 덕트(164)를 통해 제습유닛(150)으로 보낸다. 제습유닛(150)은 이 습한 공기를 응축시켜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 공기로 변환시킨 후 배출하고, 건조 공기는 순환팬(158)에 의해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구(116)를 통해 건조실 내부로 공급된다.
110. 본 체 113. 제1공기배기구
114. 제2공기배기구 115. 제1공기유입구
116. 제2공기유입구 119. 외부공기유입구
120. 원적외선 히터 121. 와이어 메시
130. 적재운반구 138. 바퀴
140. 배기팬 150. 제습유닛
152. 몸체 158. 순환팬
162. 제1순환 덕트 164. 제2순환 덕트
170. 시로코팬 180. 예열히터

Claims (9)

  1.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건조실을 구비하며, 건조실 상면에 형성되는 제1공기배기구 및 제2공기배기구와,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구 및 제2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측면 내부에 설치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히터;
    상기 제1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제1공기유입구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제1순환유닛;
    상기 제2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제2공기유입구를 통해 건조실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제2순환유닛; 및,
    상기 공기의 유동 경로로서, 상기 제1순환유닛과 상기 제1공기유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순환 덕트와, 상기 제2순환유닛과 상기 제2공기유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순환 덕트를 구비하는 순환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제1공기배기구 상부에 설치되어 제1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도록 하는 시로코팬; 및,
    상기 시로코팬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시로코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제2공기배기구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공기배기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도록 하는 배기팬; 및,
    상기 본체의 측면 일측의 상기 제2순환 덕트의 유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팬에 의해 공급된 건조실 내의 습한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 공기로 변환시킨 후 이 건조 공기를 상기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유닛은,
    상기 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건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된 고온, 고압의 냉매의 열을 흡수하는 방열기;
    상기 유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기를 거쳐 차가워진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습한 공기를 응축하여 건조 공기로 변환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기에 의해 변환된 건조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히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
    건조실 내부로 대향되게 상기 발열체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 및,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히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히터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와이어 메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기.
  7.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히터는 본체의 도어가 형성되는 전면, 후면 및 좌우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이 적재되며 상기 본체 내부의 건조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재운반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재운반구는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건조실 저면에는 상기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 또는/및 후면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건조실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부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기.
KR1020100016968A 2010-02-25 2010-02-25 대용량 건조기 KR20110097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968A KR20110097232A (ko) 2010-02-25 2010-02-25 대용량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968A KR20110097232A (ko) 2010-02-25 2010-02-25 대용량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232A true KR20110097232A (ko) 2011-08-31

Family

ID=4493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968A KR20110097232A (ko) 2010-02-25 2010-02-25 대용량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72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244A (ko) * 2014-12-26 2016-07-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습식 적외선 건조장치
KR101673923B1 (ko) * 2016-04-21 2016-11-08 에이스티엔에스(주)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244A (ko) * 2014-12-26 2016-07-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습식 적외선 건조장치
KR101673923B1 (ko) * 2016-04-21 2016-11-08 에이스티엔에스(주)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9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8B1 (ko) 의류처리장치
US950618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50197882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US20190257024A1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KR101255073B1 (ko) 제습식 농산물 건조기
CN106436234B (zh) 热泵烘干机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2023015540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97232A (ko) 대용량 건조기
KR101465190B1 (ko) 의류 건조기
EP3075898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032910B1 (ko) 의류 관리용 건조설비
KR20110097737A (ko) 회전 건조기
KR100652774B1 (ko) 원적외선 히터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KR20160084105A (ko) 의류 건조장치
WO2013050468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dehumidifying unit
US20170254014A1 (en) Venting laundry dryer with two fans
JP2020534116A (ja) タンブル乾燥機
KR20120133473A (ko) 의류 건조기
KR20150025071A (ko)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EP2669424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10095161A (ko) 건조기
KR101673923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세탁물용 대용량 건조 장치
JPH04352999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