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071A -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 Google Patents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071A
KR20150025071A KR20130102218A KR20130102218A KR20150025071A KR 20150025071 A KR20150025071 A KR 20150025071A KR 20130102218 A KR20130102218 A KR 20130102218A KR 20130102218 A KR20130102218 A KR 20130102218A KR 20150025071 A KR20150025071 A KR 2015002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adiator
case
steam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김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훈 filed Critical 김남훈
Priority to KR2013010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5071A/ko
Publication of KR2015002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서 사용되고 그대로 버려지는 고온의 공기와 스팀을 회수하여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데우는데 재활용함으로써 첫째로 전기 사용료가 감축될 수 있고, 둘째로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셋째로 기존의 건조기에도 부가적으로 설치해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는 상부에는 공기유입구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구 하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발열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최종 가열되는 라지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라지에이터의 하측에는 상기 라지에이터에 의해 최종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 건조처리되는 건조실이 구비된 건조기 본체와, 상기 공기유입구 상측에 위치되되 하부면에는 상기 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제 1 환풍구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하부케이스와 밀실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환풍구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라지에이터에서 배출된 스팀이 유입 및 배출되며 유입된 스팀에 의해 데워져 상기 제 2 환풍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1차적으로 데워지는 재활용 라지에이터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건조실 내에서 배기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밀실하게 유입 및 배기되며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에 의해 데워져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에 의해 데워진 외부공기가 2차적으로 데워지는 방열케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Dryer combined with heat recovery device}
본 발명은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기에서 사용되고 그대로 버려지는 고온의 공기와 스팀을 회수하여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데우는데 재활용함으로써 첫째로 전기 사용료가 감축될 수 있고, 둘째로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셋째로 기존의 건조기에도 부가적으로 설치해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업이 이루어지는 세탁소나 일반 가정의 세탁기에 건조기능이 발휘되도록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젖은 상태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061779호(2005,06.23)의 의류 건조기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7-0001715호(1997.01.24)의 빨래건조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중에서 세탁소 등에서 사용되는 건조기는, 외부 스팀발생장치에서 공급된 스팀으로 라지에이터를 가열하고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라지에이터를 통과하면서 고온 건조하게 데워지면 그 공기를 세탁물이 수용된 건조실 내부로 유입시켜 세탁물을 건조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때 라지에이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 고온의 스팀과 물 그리고 건조하는데 사용된 고온/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기 되어 그대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온의 스팀과, 고온/다습한 공기는 100도 내지 200도의 높은 열 에너지를 갖고 있는데 그대로 버려지는바, 이를 회수해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기에서 사용되고 그대로 버려지는 고온의 공기와 스팀을 회수하여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데우는데 재활용함으로써 첫째로 전기 사용료가 감축될 수 있고, 둘째로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셋째로 기존의 건조기에도 부가적으로 설치해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는 공기유입구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구 하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발열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최종 가열되는 라지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라지에이터의 하측에는 상기 라지에이터에 의해 최종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 건조처리되는 건조실이 구비된 건조기 본체와, 상기 공기유입구 상측에 위치되되 하부면에는 상기 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제 1 환풍구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하부케이스와 밀실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환풍구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라지에이터에서 배출된 스팀이 유입 및 배출되며 유입된 스팀에 의해 데워져 상기 제 2 환풍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1차적으로 데워지는 재활용 라지에이터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건조실 내에서 배기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밀실하게 유입 및 배기되며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에 의해 데워져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에 의해 데워진 외부공기가 2차적으로 데워지는 방열케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지에이터는 스팀공급관에 의해 스팀발생장치와 연결되고, 스팀회수관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를 통해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와 연결되며, 상기 스팀회수관은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 내부에 스팀의 순환 가능하게 배열된 다음 상기 상부케이스 외부로 인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 1 방열판은 상부의 상기 제 2 환풍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하부의 상기 제 1 환풍구 측으로 막힘없이 유동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속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실에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배기되는 공기회수관이 인출되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통해 상기 방열케이스의 일측에 공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방열케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방열케이스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공기배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하부케이스 외부로 인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열케이스는, 상기 공기회수관을 통해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 2 방열판은 일측면에 연결된 상기 공기회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타측면의 상기 공기배출관 측으로 막힘없이 유동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열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방열케이스의 하부면에 의해 상기 제 1 환풍구가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방열케이스를 상기 제 1 환풍구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다리가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는 건조기에서 사용되고 그대로 버려지는 고온의 공기와 스팀을 회수하여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데우는데 재활용함으로써 첫째로 전기 사용료가 감축될 수 있고, 둘째로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셋째로 기존의 건조기에도 부가적으로 설치해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의 부분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의 부분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1)는 상부에는 공기유입구(11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34)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구(110) 하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발열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최종 가열되는 라지에이터(120)가 설치되고, 상기 라지에이터(120)의 하측에는 상기 라지에이터(120)에 의해 최종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700)이 건조처리되는 건조실(130)이 구비된 건조기 본체(100)와, 상기 공기유입구(110) 상측에 위치되되 하부면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통되는 제 1 환풍구(210)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스(200)와, 상기 하부케이스(200)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하부케이스(200)와 밀실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환풍구(31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300)와, 상기 상부케이스(300) 내에 위치되고 상기 라지에이터(120)에서 배출된 스팀이 유입 및 배출되며 유입된 스팀에 의해 데워져 상기 제 2 환풍구(310)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1차적으로 데워지는 재활용 라지에이터(400)와, 상기 하부케이스(200) 내에 위치되고 상기 건조실(130) 내에서 배기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밀실하게 유입 및 배기되며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에 의해 데워져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400)에 의해 데워진 외부공기가 2차적으로 데워지는 방열케이스(50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건조기 본체(100)는 유입되는 고온/건조한 온풍으로 세탁물(700)이 건조되도록 하고, 세탁물(700) 건조에 사용된 고온의 스팀/물과 고온/다습한 공기가 회수 가능하게 배출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건조기 본체(100)는 그 상부에 공기유입구(11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34)가 형성되되, 공기유입구(110) 하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발열되어 공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최종 가열되는 라지에이터(120)가 설치되고, 라지에이터(120)의 하측에는 라지에이터(120)에 의해 최종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700)이 건조처리되는 건조실(130)이 구비된다.
전술한 라지에이터(120)는 스팀공급관(610)에 의해 건조실(130) 본체 외부에 배치된 스팀발생장치(600)와 연결되고, 스팀회수관(620)에 의해 추후에 설명될 상부케이스(300)를 통해 재활용 라지에이터(4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건조실(130)에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배기되는 공기회수관(132)이 인출되어 추후에 설명될 하부케이스(200)를 통해 방열케이스(500)의 일측에 공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에는 라지에이터(12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열풍유입구(131)가 마련된다.
전술한 라지에이터(120)와 건조실(130)이 구비된 건조기 본체(100)는 종래기술에 따른 건조기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공기유입구(110)의 상측에는 하부케이스(200)가 위치되는데, 이 하부케이스(200)는 추후에 설명될 방열케이스(500)가 그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케이스(300)와 함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가열되면서 유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케이스(200)는 그 하부면에 전술한 공기유입구(110)와 연통되는 제 1 환풍구(210)가 구비되고, 양 측면에는 전술한 공기회수관(132)과 추후에 설명될 공기배출관(133)이 각각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제 1 관통구(220)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하부케이스(200)의 상측에는 상부케이스(300)가 위치되는데, 이 상부케이스(300)는 추후에 설명될 재활용 라지에이터(400)가 그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케이스(200)와 함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가열되면서 유동되는 밀실한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케이스(300)는 하부케이스(200)와 밀실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환풍구(310)가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전술한 스팀회수관(620)이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제 2 관통구(320)가 관통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상부케이스(300) 내부에는 재활용 라지에이터(400)가 작동가능하게 위치되는데, 이 재활용 라지에이터(400)는 건조기 본체(100)로부터 스팀회수관(620)을 따라 그 내부로 순환 가능하게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물에 의해 가열되어 제 2 환풍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1차적으로 가열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스팀회수관(620)은 재활용 라지에이터(400) 내부에 스팀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다수 회에 걸쳐 왕복 배열된 다음 상부케이스(300)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전술한 재활용 라지에이터(4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 1 방열판(410)은 상부의 제 2 환풍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하부의 제 1 환풍구(210) 측으로 막힘없이 유동 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활용 라지에이터(400)는 다수의 방열판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따른 라지에어터와 동일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하부케이스(200) 내부에는 방열케이스(500)가 위치되는데, 이 방열케이스(500)는 건조기 본체(100)로부터 공기회수관(132)을 따라 그 내부로 공급되는 고온/다습한 공기에 의해 가열되어 전술한 제 2 환풍구(310)를 통해 유입된 다음 재활용 라지에이터(400)에 의해 1차 가열된 외부공기가 2차적으로 데워지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방열케이스(500)의 타측에는 방열케이스(500)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공기배출관(133)이 연결되어 하부케이스(200)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전술한 방열케이스(500)는, 공기회수관(132)을 통해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 2 방열판(510)은 일측면에 연결된 공기회수관(132)을 통해 유입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타측면의 공기배출관(133) 측으로 막힘없이 유동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방열케이스(500)의 하단에는 방열케이스(500)의 하부면에 의해 제 1 환풍구(210)가 폐쇄되지 않도록 방열케이스(500)를 제 1 환풍구(210)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다리(520)가 구비된다.
이하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건조실(130) 내에 건조가 필요한 세탁물(700)을 수용시킨다. 그런 다음 스팀발생장치(600)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스팀이 스팀공급관(610)을 따라 유동되어 라지에이터(120)에 도달되면서 라지에이터(120)가 발열되기 시작한다.
한편, 제 2 환풍구(310), 제 1 환풍구(210) 및 공기유입구(1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라지에이터(120)에 의해서 최초로 가열된 다음 건조실(130) 내로 공급되어 세탁물(700)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전술한 설명에서는 라지에이터(120)가 외부공기를 최종적으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최초 스팀공급시에는 회수가능한 스팀/물이 발생되기 전이므로 건조기 본체(100) 내부의 라지에이터(120)에 의해 외부공기가 최초로 가열된 다음 건조실(130) 내로 곧바로 공급된다.
라지에이터(120) 발열에 사용된 고온의 스팀/물은 스팀회수관(620)을 따라 재활용 라지에이터(400)로 공급되어 순환되면서 재활용 라지에이터(400)가 발열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건조실(130) 내에서 건조에 사용된 고온/다습한 공기는 공기순환관을 따라 방열케이스(500) 내부로 공급되면서 방열케이스(500)가 발열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 2 환풍구(3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발열되는 재활용 라지에이터(400)의 제 1 방열판(410) 사이 사이로 통과되면서 1차적으로 가열되고, 다시 방열케이스(500)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가열되며, 공기유입구(110)를 통해 라지에이터(120)에 의해 최종 가열된 다음 열풍유입구(131)를 통해 건조실(130) 내로 공급되어 세탁물(700)을 건조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스팀회수관(620) 내에서 유동된 고온의 스팀/물은 스팀회수관(620)의 단부를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되고, 방열케이스(500) 내부를 통과한 고온/다습한 공기는 공기배출관(133)을 통해 최종적으로 배기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100 : 건조기 본체
110 : 공기유입구 120 : 라지에이터
130 : 건조실 131 : 열풍유입구
132 : 공기회수관 133 : 공기배출관
134 : 공간부 200 : 하부케이스
210 : 제 1 환풍구 220 : 제 1 관통구
300 : 상부케이스 310 : 제 2 환풍구
320 : 제 2 관통구 400 : 재활용 라지에이터
410 : 제 1 방열판 500 : 방열케이스
510 : 제 2 방열판 520 : 지지다리
600 : 스팀발생장치 610 : 스팀공급관
620 : 스팀회수관 700 : 세탁물

Claims (6)

  1. 상부에는 공기유입구(11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34)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구(110) 하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발열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최종 가열되는 라지에이터(120)가 설치되고, 상기 라지에이터(120)의 하측에는 상기 라지에이터(120)에 의해 최종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700)이 건조처리되는 건조실(130)이 구비된 건조기 본체(100);
    상기 공기유입구(110) 상측에 위치되되 하부면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통되는 제 1 환풍구(210)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스(200);
    상기 하부케이스(200)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하부케이스(200)와 밀실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환풍구(31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300);
    상기 상부케이스(300) 내에 위치되고 상기 라지에이터(120)에서 배출된 스팀이 유입 및 배출되며 유입된 스팀에 의해 데워져 상기 제 2 환풍구(310)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1차적으로 데워지는 재활용 라지에이터(400); 및
    상기 하부케이스(200) 내에 위치되고 상기 건조실(130) 내에서 배기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밀실하게 유입 및 배기되며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에 의해 데워져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400)에 의해 데워진 외부공기가 2차적으로 데워지는 방열케이스(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지에이터(120)는 스팀공급관(610)에 의해 스팀발생장치(600)와 연결되고, 스팀회수관(62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300)를 통해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400)와 연결되며, 상기 스팀회수관(620)은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400) 내부에 스팀의 순환 가능하게 배열된 다음 상기 상부케이스(300)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라지에이터(4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 1 방열판(410)은 상부의 상기 제 2 환풍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하부의 상기 제 1 환풍구(210) 측으로 막힘없이 유동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30)에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배기되는 공기회수관(132)이 인출되어 상기 하부케이스(200)를 통해 상기 방열케이스(500)의 일측에 공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방열케이스(500)의 타측에는 상기 방열케이스(500)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공기배출관(133)이 연결되어 상기 하부케이스(200)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열케이스(500)는, 상기 공기회수관(132)을 통해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 2 방열판(510)은 일측면에 연결된 상기 공기회수관(132)을 통해 유입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타측면의 상기 공기배출관(133) 측으로 막힘없이 유동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케이스(500)의 하단에는 상기 방열케이스(500)의 하부면에 의해 상기 제 1 환풍구(210)가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방열케이스(500)를 상기 제 1 환풍구(210)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다리(5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KR20130102218A 2013-08-28 2013-08-28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KR20150025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218A KR20150025071A (ko) 2013-08-28 2013-08-28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218A KR20150025071A (ko) 2013-08-28 2013-08-28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71A true KR20150025071A (ko) 2015-03-10

Family

ID=5302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218A KR20150025071A (ko) 2013-08-28 2013-08-28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50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04A (ko) 2018-02-22 2019-08-30 윤성구 세탁물 처리시스템에 있어서의 폐열회수장치
KR20200109568A (ko) 2019-03-13 2020-09-23 윤성구 응축수 탱크의 배출 수증기를 이용한 온수가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04A (ko) 2018-02-22 2019-08-30 윤성구 세탁물 처리시스템에 있어서의 폐열회수장치
KR20200109568A (ko) 2019-03-13 2020-09-23 윤성구 응축수 탱크의 배출 수증기를 이용한 온수가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0418B2 (ja) 衣類乾燥機
KR102100473B1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TW200624623A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10604886B2 (en) Condensation-based clothes dryer and condensation-based clothes drying method
CN101876132A (zh) 洗衣干衣机
CN106884297B (zh) 一种干衣设备及干衣方法
WO2014172923A1 (zh) 烘干机及其控制方法
RU2005115278A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и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акой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CN105200747A (zh) 干衣机
EP329494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50025071A (ko)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KR102176158B1 (ko)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JP2014161524A (ja) 衣類乾燥機
KR20120073583A (ko) 응축식 건조장치
RU26096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20120073582A (ko) 응축식 건조장치
CN106676855B (zh) 烘干洗衣机
KR100640819B1 (ko) 열전모듈형 응축기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CN106676854B (zh) 烘干洗衣机
US11346033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135555B1 (ko) 태양열 온수시스템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JP2008006123A (ja) 洗濯乾燥機
CN106676853B (zh) 烘干洗衣机
WO2014024357A1 (ja) 乾燥装置
KR20110095161A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