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158B1 -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158B1
KR102176158B1 KR1020190089118A KR20190089118A KR102176158B1 KR 102176158 B1 KR102176158 B1 KR 102176158B1 KR 1020190089118 A KR1020190089118 A KR 1020190089118A KR 20190089118 A KR20190089118 A KR 20190089118A KR 102176158 B1 KR102176158 B1 KR 102176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supply device
cabinet
base substrate
process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균
우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신우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신우엠테크
Priority to KR102019008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9/0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는 의류 관리장치에 구비되어 의류에 열풍은 공급하는 장치로서, 판 상의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층,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다수개가 방열리브가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리브 사이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방열리브 사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여, 의류 관리장치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가열시킨 후 다시 의류 관리장치 내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Hot wind supplying apparatus for cloths styling and cloths styl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관리장치라 함은 의류를 보관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 건조, 의류를 재생처리 하는 리프레쉬 등 여러 종류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포함한다.
의류 관리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의류를 건조하거나, 리프레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운전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스팀을 발생하여 분사시킬 수 있는 스팀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스팀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는 경우, 착용 및 건조 등에 의해 구김이 생긴 의류를 다림질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고, 고온의 증기로 인하여 삶은 것과 같은 살균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장치는 열풍 공급장치를 모두 구비하여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에 열풍을 공급하여 스팀 공급장치와 함께 리프레쉬 행정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의류 관리장치의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 10-2009-0118688호에는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 어셈블리를 소개하고 있다.
종래의 의류 관리장치는, 열풍 공급장치가 스팀 공급장치와 함께 캐비넷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처리실 내부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의류 관리장치는, 처리실 내부의 습한 공기가 처리실 내벽에 응축되어 방치됨으로써 악취가 발생하고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 종래의 의류 관리장치는 처리실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지 못함에 따라 의류를 청결히 관리하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의류 관리장치는, 처리실 상부벽에 맺힌 응축수가 낙하하여 건조된 의류를 다시 오염시키거나, 하부의 열풍 공급장치로 유입되어 장치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의류 관리장치는, 열풍 공급장치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히트펌프로 구성되고, 열교환에 따른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의류 관리장치는 복잡한 구조의 열풍 공급장치가 많은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처리실 내부의 공간 확보에 제약이 있으며, 의류 관리장치의 소형화에 불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하고, 처리실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소형화에 유리한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의류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 공급과 함께 고온의 열을 공급함으로써, 스팀을 이용한 리프레쉬와 동시에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의류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장치 내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의류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는 의류 관리장치에 구비되어 의류에 열풍은 공급하는 장치로서, 판 상의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층,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다수개가 방열리브가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리브 사이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방열리브 사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여, 의류 관리장치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가열시킨 후 다시 의류 관리장치 내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기 발열층, 상기 방열부재 및 상기 순환팬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일측은 공기 유입구를 제공하고, 타측은 열풍 배출구를 제공하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열풍 배출구를 따라 공기 이동로를 제공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기 유입구에 결합되는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직접 형성되거나, 방열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장치에 있어서, 내부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 이중 구조를 이루며, 상기 내부 캐비넷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는 처리실이 형성되는 캐비넷, 하측부의 상기 내부 캐비넷과 상기 외부 캐비넷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처리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장치, 및, 상측부의 상기 내부 캐비넷과 상기 외부 캐비넷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공급장치는, 판 상의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층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방열리브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리브 사이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방열리브 사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순환팬을 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일측에 상기 열풍 공급장치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제공하고, 타측에 상기 열풍 공급장치의 열풍이 배출되는 열풍 배출구를 제공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 결합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장치는, 내부가 빈 통 형상을 이루고, 일 측에는 상기 열풍 배출구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는 내부로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를 형성하는 옷걸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면상 발명체와 방열부재를 이용하여 히팅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열풍 공급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처리실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과 열풍을 을 이용한 리프레쉬와 동시에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히팅모듈에서 응결수 등이 발생되지 않아 처리실 내부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류 관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열풍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3의 주요부인 히팅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장치의 건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순간가열장치는, 온수기에 구비되는 히팅모듈이나 의류 보관장치에 구비되는 스티머 등에 적용될 수 있다.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 관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장치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여 처리하는 공간인 처리실(140)을 제공하는 캐비넷(100)과, 캐비넷(100) 하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실(140) 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장치(200)와, 캐비넷(100) 상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실(140) 공간으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 공급장치(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캐비넷(100)은 의류 관리장치의 본체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캐비넷(100)은 내부 캐비넷(110)과 외부 캐비넷(120)의 이중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그 사이의 하부에는 스팀 공급장치(20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부에는 열풍 공급장치(30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캐비넷(100)은 전면에 처리실(140)을 개폐하는 도어(130)가 설치되고, 내부 캐비넷(110)은 의류가 보관되어 스팀, 소독, 건조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인 처리실(140)을 제공하며, 외부 캐비넷(120)은 의류 관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처리실(140)은 의류가 구김없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 폭 및 높이의 공간을 갖는다.
스팀 공급장치(200)는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을 처리실(140) 내부로 공급한다. 스팀 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스팀은 고온의 증기로서, 의류를 세척 및 탈취하고, 의류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을 개선시킨다. 스팀 공급장치(200)는 급수관 및 배수관을 매개로 외부 캐비넷(120)을 관통하여 외부의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원과 폐수원을 내부 공간에 일체로 구비하는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팀 공급장치(200)는 스팀 배출관을 매개로 내부 캐비넷(110)에 형성된 다수의 스팀 배출구(111)와 연결되어, 발생된 스팀을 처리실(140)로 공급한다.
열풍 공급장치(300)는 의류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의류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처리실(140) 내부의 오염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한다. 열풍 공급장치(300)는 처리실(140)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가열한 후 다시 처리실(140)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열풍 공급장치(300)는 처리실(1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이 과정에서 공기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공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필터링시킨다. 이를 위하여 내부 캐비넷(110)의 일 측에는 처리실(140)의 공기가 열풍 공급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배출되는 열풍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열풍 배출구(113)는 옷걸이(도 6의 400 참조)가 결합되는 옷걸이 결합구로도 기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열풍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3의 주요부인 히팅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열풍 공급장치(300)는 공기 유입구(112)와,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310)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팬(320)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모듈(330)과,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열풍 배출구(113)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112)부터 열풍 배출구(113)까지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이동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의 이동로는 별도의 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내부 캐비넷(110)과 외부 캐비넷(120)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가 이동로를 대신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2)는 내부 캐비넷(11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처리실(14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제공한다. 공기 유입구(112)는 다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처리실(140) 배면 또는 양 측면의 내부 캐비넷(110)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310)는 공기 유입구(112) 측에 결합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스팀에 의하여 의류가 리프레쉬 처리된 후, 의류로부터 분리되는 공기 또는 스팀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흡착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310)는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처리실(14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필터(310)는 소정 크기의 미세 입자를 걸러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공기 유입구(112)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순환팬(320)은 처리실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통상의 송풍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순환팬(320)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순환팬(320)에 의하여 처리실(140) 내부의 공기는 열풍 공급장치(300)를 거치면서 강제 순환하며, 이 과정에서 가열 및 정화가 이루어진다.
히팅모듈(330)은 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의 히팅모듈(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 발열체(331)와 방열부재(335)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면상 발열체(331)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베이스 기판(332)과 베이스 기판(332)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발열층(333)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기판(332)은 열전도율이 우수하면서 습기 등에 강한 내구성을 가지며, 물을 오염시키지 않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SUS 소재의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열층(333)은 전기적 저항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베이스 기판(332) 표면에 발열 페이스트가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면상 발열체(331)는 전극 패드(334)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발열층(333)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베이스 기판(332)으로 전달된다. 이때, 면상 발열체(331)의 발열 온도는 전극 패드(334)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양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와 같이 외부 전원에 의하여 베이스 기판(332)이 고온으로 발열됨으로써, 베이스 기판(332)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가 가열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열부재(335)가 더 결합된다.
방열부재(335)는 면상 발열체(331)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되어 면상 발열체(331)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히 흡수하여 넓은 면적에서 방출시킨다. 이를 위한 방열부재(335)는 다수의 방열리브(3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방열리브(336)는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각 방열리브(336) 사이에 공기가 흐르는 유로(337)를 제공한다. 순환하는 공기는 방열리브(336) 사이의 유로(337)를 통과하는 동안 방열리브(336)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가열된다. 방열리브(336)는 핀 또는 플레이트 형상 등을 이룰 수 있으며, 효율적인 열 방출이 이루어지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히팅모듈(330)은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발열체로 구성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순간적인 히팅이 가능하여 히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모듈(330)은 구조가 단순하여 소형화에 유리하고,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도 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풍 배출구(113)는 히팅모듈(33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내부 캐비넷(110)의 타 측에 형성되며, 처리실(140)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열풍 배출구(113)는 하나의 일체형 유로 또는 다수개의 분리형 유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처리실(14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풍 배출구(113)는 옷걸이를 체결시켜, 열풍이 옷걸이를 통하여 의류 내부까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장치의 건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장치는 옷걸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옷걸이(400)는 내부가 빈 통 형상을 이루며, 일 측에는 열풍 배출구(113)에 체결되는 체결부(410)를 형성한다. 체결부(410)는 열풍 배출구(113)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 구조를 가지며, 내부는 빈 통 형상으로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42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가 옷걸이(400) 거치되고, 옷걸이(400)는 열풍 배출구(113)에 체결되어 보관된다. 이때, 열풍 공급장치(30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는 열풍 배출구(113) 및 열풍 유입구(420)를 연결하는 통로를 따라 의류 내부까지 흐르면서 의류 내외부를 통과하게 된다. 열풍은 의류 내외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의류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을 의류로부터 분리시키고,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필터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류 관리장치는 스팀과 열풍이 결합되어 건조 효과와 함께 리프레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열풍 공급장치의 히팅모듈은 면상 발열체와 방열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간단한 구조로 히팅 효율을 극대화여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캐비넷 110 : 내부 캐비넷
120 : 외부 캐비넷 111 : 스팀 배출구
112 : 공기 유입구 113 : 열풍 배출구
200 : 스팀 공급장치
300 : 열풍 공급장치 310 : 필터
320 : 순환팬 330 : 히팅모듈
331 : 면상 발열체 332 : 베이스 기판
333 : 발열층 334 : 전극 패드
335 : 방열 플레이트 336 : 방열리브
337 : 유로
400 : 옷걸이 410 : 체결부
420 : 열풍 유입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 이중 구조를 이루며, 상기 내부 캐비넷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는 처리실이 형성되는 캐비넷;
    하측부의 상기 내부 캐비넷과 상기 외부 캐비넷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처리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장치; 및
    상측부의 상기 내부 캐비넷과 상기 외부 캐비넷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공급장치는,
    판 상의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층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방열리브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캐비넷은,
    일측에 상기 열풍 공급장치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제공하고, 타측에 상기 열풍 공급장치의 열풍이 배출되는 열풍 배출구를 제공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내부가 빈 통 형상을 이루고, 일 측에는 상기 열풍 배출구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는 내부로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를 형성하는 옷걸이;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KR1020190089118A 2019-07-23 2019-07-23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KR10217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18A KR102176158B1 (ko) 2019-07-23 2019-07-23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18A KR102176158B1 (ko) 2019-07-23 2019-07-23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158B1 true KR102176158B1 (ko) 2020-11-09

Family

ID=7342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118A KR102176158B1 (ko) 2019-07-23 2019-07-23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1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70404A (zh) * 2023-04-17 2023-07-21 佛山市顺德区配图电柜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户外的防水式配电柜
WO2024039040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073A (ko) * 2007-06-29 200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의류처리장치
KR20090026563A (ko) * 2007-09-10 2009-03-13 주식회사 에이엠오 건조 히터 및 이를 사용한 세탁물 건조용 히팅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073A (ko) * 2007-06-29 200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의류처리장치
KR20090026563A (ko) * 2007-09-10 2009-03-13 주식회사 에이엠오 건조 히터 및 이를 사용한 세탁물 건조용 히팅 유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040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CN116470404A (zh) * 2023-04-17 2023-07-21 佛山市顺德区配图电柜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户外的防水式配电柜
CN116470404B (zh) * 2023-04-17 2024-02-13 湖南湘能恒兴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户外的防水式配电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3252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pump
KR101306718B1 (ko) 의류처리장치
EP256532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253803B1 (ko) 세탁물 처리를 위한 가전 제품
EP2191055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8132339B2 (en) Cloth treating apparatus
RU2557737C2 (ru)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типа теплового насоса
EP3192913B1 (en) Washer-dryer with a cooling water circuit
TW200624623A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2176158B1 (ko)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US20090126414A1 (en) Fabric treating machine
EP3330432B1 (en) Laundry drying machine
WO2009020312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2938777A1 (en) A laundry dryer comprising a spraying device
RU2005115278A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и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акой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EP2026691B1 (en) A dishwasher with an improved drying arrangement
EP329494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2005027768A (ja) 衣類乾燥機
US8353115B2 (en) Exhaust air dryer with a heat exchanger
US11346033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50025071A (ko)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JP2015167865A (ja) 衣類処理装置
CN219099624U (zh) 衣物处理设备
JP2007037798A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1840795B1 (ko) 세탁물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