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073A - 복합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1073A KR20090001073A KR1020070065167A KR20070065167A KR20090001073A KR 20090001073 A KR20090001073 A KR 20090001073A KR 1020070065167 A KR1020070065167 A KR 1020070065167A KR 20070065167 A KR20070065167 A KR 20070065167A KR 20090001073 A KR20090001073 A KR 200900010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drawer
- heat
- drying apparatus
- clothing dr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기능을 구비한 복합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드로워(drawer)와; 상기 드로워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드로워 내부로 배출하여 제습하는 제습유닛을 구비하는 보조의류건조장치 및 세탁장치를 포함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세탁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보조의류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하다.
세탁기, 건조, 히트펌프, 데시칸트, 열전소자, 복합의류처리장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와 보조의류건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로워(drawer)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건조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개략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개략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다른 드로워의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세탁장치 20: 보조의류건조장치
200: 드로워 210: 히트펌프
212: 증발기 213: 응축기
214: 압축기 215: 송풍팬
300: 케이스 400: 데시칸트제습소자
402: 흡착부 404: 재생부
414: 제1공기유동 416,418: 제2공기유동
420: 열교환기 500: 열전소자
502: 발열면 504: 흡열면
본 발명은 복합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기능을 가진 복합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종래의 세탁장치들 중 세탁기인 경우에는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여야 하거나, 건조 기능을 겸비한 세탁기를 구비하게 된다.
한편, 최근 사용자의 수요증가 및 생활수준 향상에 대응하여 세탁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장치들은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한 가정에서는 하나의 세탁장치만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소량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서 대형 세탁장치를 구동시켜야만 한다.
상술한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상대적으로 소량의 의류 건조를 위해서 세탁 및 건조기능을 가진 대형 세탁장치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며, 이에 따른 불필요한 전기료의 지출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건조 또는 제습처리가 가능한 보조의류건조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를 절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장치와; 상기 세탁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의류건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드로워(drawer)와; 상기 드로워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드로워 내부로 배출하여 제습하는 제습유닛을 구비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와 보조의류건조장치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 1에서는 보조의류건조장치(20)가 세탁장치(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보조의류건조장치는 세탁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의류건조장치가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세탁장치의 지지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에,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보조의류건조장치의 사용시 허리 등을 굽힐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물론 보조의류건조장치(20)는 세탁장치(10)의 제어부,전원부,display부(미도시)와는 별도의 제어부,전원부,display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보조의류건조장치(20)는 세탁장치(10)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세탁장치에 결합해서 사용되면 공간활용도가 높으므로 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로워(drawer)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건조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상기 도 2는 케이스(300)를 생략했으나, 상기 도3에서는 케이스(300)와 드로워(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케이스(300)에는 전면으로 인출되는 드로워(200)가 수용되고, 드로워(200)의 상부에는 드로워(200)내부를 드로워(200)외부와 격리시키는 뚜껑이 장착되며, 상기 드로워(200)의 하단에는 공기 중에 응결되는 물방울을 수용하는 물받이(217)가 장착된다. 상기 드로워(200) 내부의 일측에는 제습기능을 수행하는 제습유닛으로 냉매사이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21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 2 및 도 3과는 달리 상기 히트펌프(210)는 상기 드로워(200) 내부의 후방 일측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히트펌프(2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히트펌프(210)는 하우징(220)에 의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220)의 일측에는 하우징(22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211)와 별도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220)의 타측에 배출구(216)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211)와 배출구(216)는 다수 개의 작은 구멍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구(211)와 배출구(216)는 드로워(200)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드로워(200) 내부 즉, 드로워(200) 내부공간과 하우징(220)이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구(211) 또는 배출구(216)에는 필터(미도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를 장착하면 드로워(200) 내부 공기를 탈취하는 효과를 얻어 의류상에 존재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가 흡입구(211)에 장착되면 하우징(2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어 히트펌프(210) 사용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흡입구(211)의 일측에는 증발기(212)가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의 일측에는 응축기(213)가 설치되고, 상기 응축기(213)의 일측에는 압축기(214)가 장착되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는 송풍팬(215)이 장착된다. 상기 송풍팬(215)의 일 측에는 하우징(220)에 형성된 배출구(216)가 위치한다.
상기 히트펌프(210)의 냉매 사이클을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히트펌프(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기(214)는 히트펌프 내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바꾸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매는 응축기(213)를 통과하면서 주위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주위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매의 온도는 하강하여 액체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냉매는 팽창밸브(미도시) 또는 모세관(미도시) 등을 거치면서 저압상태로 바뀌게 된다. 다음으로 증발기(212)를 거치면서 저온저압의 기체상태로 상태변환이 이루어지며 주위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 증발기(212)내의 냉매는 주위공기보다 온도가 낮으므로, 주위공기로부터 열을 빼앗게 된다. 그리고 냉매는 다시 압축기(214)를 통과하게 된다. 물론, 상기 냉매는 압축기(214)와 응축기(213)와 증발기(212)를 차례로 연결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히트펌프(210)를 이용한 제습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드로워(20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211)로부터 흡입되어 히트펌프(210) 내부를 관통해서 배출구(216)를 통해서 다시 드로워(200) 내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로워(200) 내부 공기는 드로워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드로워 내부에서 순환되게 된다.
건조가 필요한 의류는 수분함유율이 높기때문에 상기 의류를 드로워(200) 내부에 거치시키면 드로워(200) 내부는 상대습도가 높아지게 된다.
우선, 송풍팬(215)은 드로워(200) 내부 및 히트펌프(210) 내부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흡입구(211)를 통해서 흡입된 공기는 저온저압의 냉매가 수용되어있는 증발기(212)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하강됨에 따라 이슬점이 하강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있는 수분 중 일부가 물방울로 응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의 절대습도가 감소하여 제습작용이 이루어지는바 공기는 건조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는 응축기(213)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응축기(213)에는 고온의 냉매가 수용되어있어 고온의 냉매와 저온의 공기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상기 공기의 온도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공기는 고온의 압축기(214)를 통과하여 온도가 다시 상승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후, 온도가 다시 상승된 건조한 공기는 배출구(216)을 통해 드로워(200) 내부로 배출되게 되어, 드로워(200) 내부의 습도 또한 낮아지게 된다.
즉, 흡입구(211)를 통해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212)를 통과하면 온도가 낮아지게 되지만, 다시 응축기(213)와 압축기(214)를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배출구(21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흡입된 공기와 비교해서 온도차이가 크게 나지않게 된다. 따라서 고온의 히터를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에는 고온에 의한 의류의 손상우려가 적다.
물론 위의 경우와는 달리 상기 공기는 압축기(214)를 통과하지 않고 증발기(212)와 응축기(213)만을 통과한 후 배출구(216)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 드로워(200) 하단에 장착된 물받이(217)는 상기 증발기(212)를 통과한 공기에서 응결된 물방울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받이(217)는 일측 하단에 유출구(218)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218)에는 물의 배출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밸브(219)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받이(217)에 물이 일정량 이상 수용되면 상기 드로워(200)를 케이스(200) 전면으로 인출하고 상기 물받이에 장착된 밸브(219)를 개방하여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케이스(300)에 케이스 외부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드로워의 유출구(218)와 연통되는 제2유출구(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드로워(200)를 케이스 전면으로 인출할 필요없이 물받이 밸브(219)의 개폐만으로 물받이(217)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제1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제2실시예에서 제습유닛은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부(402) 및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재생부(404)로 구획된 데시칸트제습소자(400) 및 상기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재생부(404)를 가열하여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히터(4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시칸트제습소자(400)는 데시칸트(desiccant)로 이루어진 소자를 의미한다. 데시칸트(desiccant)라 함은 습기에 대해서 강한 친화력이 있는 것으로서 주위공기에서 직접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하며, 그 친화성은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건조제에 열을 가해줌으로써 반복해서 재생되게 된다.
이때, 상기 데시칸트의 수분 흡착은 습한 공기에서의 수분 분압과 건조제 표면의 증기 압력차에 의존하게 되는데, 특히 데시칸트의 습기함유량은 주위공기의 상대습도와 온도의 함수이며, 낮은 상대습도의 공기에 노출되었을 때 데시칸트는 낮은 습기함유량으로 평형에 도달하고, 높은 상대습도의 공기에 노출되면 높은 습기함유량으로 나타난다. 즉, 상기 데시칸트 표면의 증기압력이 주위공기의 분압 보다 작을 때 데시컨트는 습기를 빨아들이고, 상기 데시컨트 표면의 증기압력이 공기의 분압 보다 높을 때 데시컨트는 습기를 배출한다.
즉,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흡착부(402)에서는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내부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여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 내부가 건조한 상태가 유지하도록 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가 건조되게 한다. 또한,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재생부(404)에서는 데시칸트제습소자(400)가 포함하는 수분을 제거하여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제습성능을 유지시킨다.
한편, 데시칸트제습소자(400)는 원형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중앙에는 상기 데시칸트제습소자(400)를 회전시키는 모터(406)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흡착부(402)와 상기 재생부(404)의 위치가 시간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흡착부(402)에서 흡착된 수분이 재생부(404)에서는 증발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408)는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재생부(404)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재생부(404)에 열을 가한다. 이런 히터(408)는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재생부(404)를 통과하여 수분이 포함된 덥고 습한 공기를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 외부로 배출하는 재생공기송풍기(41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 하다. 이때, 흡착부(402)를 통과한 건조한 공기를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내부로 공급하는 팬(412)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의류건조장치(20) 내부로부터 제습유닛으로 유입되는 제1공기유동(414)은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흡착부(402)를 지난다. 이때, 제1공기유동(414)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착부(402)에 흡착되면서 제1공기유동(414)의 습기가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유동(414)은 팬(412)을 거치면서 보조의류건조장치(20) 내부로 다시 유출된다.
한편,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제2공기유동(416)은 히터(408)를 거치면서 가열된다. 다음으로 고온의 제2공기유동(416)이 상기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재생부(404)를 통과하면서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재생부(404)의 수분은 증발되어 제2공기유동(416)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유동(416)은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제2공기유동(416)은 다습한 공기일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재생부(404)를 통과하여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도되는 덕트(430) 및 상기 덕트(4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 내의 공기를 만나 온도가 떨어져서 응축되는 열교환기(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20)는 열교환기(420)의 전후방으로 제1공기유동(414)과 제2공기유동(418, 이하 자세히 설명함.)가 연통될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을 가진다. 다만, 열교환기(420)의 표면적이 커서 통과하는 공기 간에 접촉면적이 늘어나면서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기(420)의 일단에는 덕트(430)를 구비하여 상기 덕트(430)를 통해서 유도된 제2공기유동(418)이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내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한편,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와 달리 상기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재생부(404)를 통과하는 제2공기유동(418)이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외부가 아닌 내부로부터 유입된다.
또한,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흡착부(402)를 통과하는 제1공기유동(414)과 데시칸트제습소자(400)의 재생부(404)를 통과하는 제2공기유동(418)은 열교환기(420) 내에서 접촉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제1공기유동(414)은 상온인 반면에, 제2공기유동(418)은 히터(408)에 의해 가열이 되어 고온이며 상기 재생부(404)를 통과하여 재생부(404)의 수분을 포함하므로 수분의 함유량이 크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420)에서 제1공기유동(414)은 온도가 상승하고 제2공기유동(418)은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2공기유동(418)의 이슬점이 낮아지면서 제2공기유동(418)상에 존재하는 수분이 응결되면서 제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열교환기(420)상에서 발생된 물방울들은 상기 열교환기(420) 하부에 설치된 물받이(424)에 의해 모여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물받이(424)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선반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420)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상기 물받이(424)에 수용되어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부식 및 기계장 치에 고장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제4 및 제5실시예에서는 팰티어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를 적용한 예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4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습유닛으로는 열이 방출되는 발열면(502) 및 열이 흡수되는 흡열면(504)이 구비되는 열전소자(50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00)는 N형 불순물 이온이 섞인 반도체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이 섞인 반도체로 이루어진 열전요소(thermoelectric element)가 병렬 배치되고, 상기 열전요소 상부측 및 하부측에는 구리판 등으로 된 전극이 각각 접합되며, 상기 전극을 감싸도록 세라믹 기판 등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열전소자(500)는 접합부에 전류를 인가하면 N형 반도체에서는 전자가 P형 반도체에서는 정공(正孔)이 상부의 전극에서 하부의 전극으로 이동하면서 상부의 열을 빼앗아 하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상부는 냉각되고 하부는 가열되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가 발생된다. 즉,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는 전기현상(現象)의 하나로, 두 개의 다른 금속(金屬)의 접속(接續)을 통하여 전류를 통하면 그 접속점에 있어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열전소자(5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열전소자(500)의 일측은 온도가 낮은 흡열면(504)을 이루게 되며, 타측은 온도가 높은 발열면(502)을 이루게 되며, 만약 상기와 달리 전류를 역방향으로 인가하면, 상기 흡열면(504)와 상기 발열면(502)은 바뀌게 된다.
한편, 상기 발열면(502)을 통과한 뜨거운 공기는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 내부를 건조한 후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전소자(500)의 발열면(502)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고온의 열풍을 보조의류건조장치(500) 내부에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이다.
상기 드로워(200) 내부의 일측에 설치된 팬(506)에 의해서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전소자(500)의 발열면(502)을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고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고온의 공기가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 내부로 유입되어 의류를 건조한 후에 외부로 배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로워(200)의 일측에는 배기구(미도시)가 설치되어 드로워(200)의 외부로 배기가 원활히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의하면 상기 열전소자(500)는 열전소자(500)의 흡열면(504)이 드로워(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흡열면(504)이 상기 드로워(2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여, 제5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내부 공기는 상기 흡열면(504)을 통과하여 응축된 후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면(502)을 통과한 공기가 보조의류건조장치(20) 내부를 건조시킨 후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열전소자(500)의 흡열면(504)을 거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즉, 팬(512)을 거쳐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 는 상기 열전소자(500)의 발열면(502)과 접촉면서 온도가 상승된다. 이후 고온의 공기는 보조의류건조장치(20)에 수용된 의류와 접촉하면서 상기 의류를 건조한다.
이때, 의류를 건조시키면서 공기는 의류에 포함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이런 다습한 공기는 상기 드로워(200)의 일측에 장착된 팬(514)에 의해 흡입되고, 상기 열전소자(500)의 흡열면(504)과 접촉하면서 온도가 하강한다. 따라서, 공기의 이슬점이 하강하게 되어 공기에 함유된 수분들이 응결된다. 이후 응축된 공기는 상기 드로워(200)의 외부로 배출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세탁기 등과 같은 복합의류처리장치는 베란다, 욕실 등과 같은 공간의 구석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복합의류처리장치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습기가 많으면 복합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이 부식되거나 복합의류처리장치 내의 기계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크다. 따라서, 복합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응축시켜서 배출하면 습기 등으로 야기될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복합의류처리장치의 설치시 고려해야하는 문제가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열면(504)의 하부에는 상기 흡열면(504)에서 응축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받이(510)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받이(51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선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의류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6)
-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장치와;상기 세탁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의류건조장치를 포함하되,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는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드로워(drawer)와;상기 드로워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드로워 내부로 배출하여 제습하는 제습유닛을 구비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는 상기 세탁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습유닛은 냉매사이클을 이용한 히트펌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히트펌프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상기 압축된 고온고압 냉매의 열을 방출시키는 응축기와;상기 응축기를 거친 냉매를 기화시켜 주위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증발기; 및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히트펌프내의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에는 공기가 히트펌프를 관통하여 상기 드로워내부에서 순환되도록 상기 드로워 내부와 접하는 면의 일측에 공기의 흡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배출구에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해서 온도가 하강된 후 상기 응축기를 통과해서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송풍팬을 차례로 거쳐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드로워는 하단에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응결되는 물방울이 수용되는 물받이를 더 포함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물받이의 일단에는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상기 유출구에는 유출여부를 조절하는 밸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습유닛은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재생부로 구획된 데시칸트제습소자 및 상기 데시칸트제습소자의 재생부를 가열하여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재생부를 통과하여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재생공기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재생부를 통과하여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도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 내의 공기를 만나 온도가 떨어져서 응축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습유닛은 열이 방출되는 발열면 및 열이 흡수되는 흡열면이 구비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발열면을 통과한 더운 공기는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 내부를 건조한 후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의 내부 공기는 상기 흡열면을 통과하여 응축된 후 상기 보조의류건조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5167A KR20090001073A (ko) | 2007-06-29 | 2007-06-29 | 복합의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5167A KR20090001073A (ko) | 2007-06-29 | 2007-06-29 | 복합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1073A true KR20090001073A (ko) | 2009-01-08 |
Family
ID=4048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5167A KR20090001073A (ko) | 2007-06-29 | 2007-06-29 | 복합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107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6158B1 (ko) * | 2019-07-23 | 2020-11-09 | (주)신우엠테크 |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
KR102686454B1 (ko) * | 2023-10-17 | 2024-07-19 | (주)인하우즈 | 빌트인 의류케어기기 |
-
2007
- 2007-06-29 KR KR1020070065167A patent/KR2009000107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6158B1 (ko) * | 2019-07-23 | 2020-11-09 | (주)신우엠테크 |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
KR102686454B1 (ko) * | 2023-10-17 | 2024-07-19 | (주)인하우즈 | 빌트인 의류케어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2389B1 (ko) |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 |
KR100861831B1 (ko) | 세탁 건조기 | |
KR20130127816A (ko) | 의류건조기 | |
KR102372507B1 (ko) | 건조기 | |
JP2005253588A (ja) | 乾燥機 | |
AU2008207492A1 (en) | Ductless type clothes drier | |
KR20060131112A (ko) | 제습기 | |
US20110174022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JP2006212265A (ja) | 乾燥機 | |
KR101265606B1 (ko) | 의류 리프레셔 | |
KR102483851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JP2008048811A (ja) | 衣類乾燥装置 | |
WO2022110447A1 (zh) | 衣物护理机及衣物护理机的温度控制方法 | |
WO2024169189A1 (zh) | 衣物处理设备 | |
KR100826204B1 (ko) | 건조기 | |
KR20090001073A (ko) | 복합의류처리장치 | |
JP2015016186A (ja) | 衣類乾燥機 | |
KR101317621B1 (ko) | 세탁건조기 | |
JP2002126397A (ja) | 除湿乾燥機 | |
US11732398B2 (en) |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including heat pump unit having moisture supply unit and method of preheating using the same | |
KR20090102399A (ko) | 의류처리장치 | |
JP2011072589A (ja) | 洗濯機 | |
KR102505495B1 (ko) | 의류처리장치 | |
JP2012130478A (ja) | 衣類乾燥機 | |
KR20020093379A (ko) | 의류 건조 장치 및 의류 건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