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161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161A
KR20110095161A KR1020110013122A KR20110013122A KR20110095161A KR 20110095161 A KR20110095161 A KR 20110095161A KR 1020110013122 A KR1020110013122 A KR 1020110013122A KR 20110013122 A KR20110013122 A KR 20110013122A KR 20110095161 A KR20110095161 A KR 20110095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drying chamber
solvent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장기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장기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Publication of KR2011009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건조실(112)을 구비하며, 건조실 상면에 배기구(118) 및 일측면 하부에 유입구(114)가 형성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적어도 일측면 내부에 건조실과 대면하도록 설치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히터(120)와, 본체(110)의 건조실(112) 상부에 상기 배기구(118)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배기구를 통해 유입된 건조실 내의 공기로부터 물과 유기용제를 회수하는 용제회수유닛(150)과, 용제회수유닛(150)에서 유기용제가 분리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다시 건조실(112) 내부로 유동하는 경로로써, 상기 용제회수유닛(150)과 상기 유입구(114)를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순환 덕트(160), 및 순환 덕트(160) 내부의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용제회수유닛(150)을 빠져나온 공기가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건조실로 유입하도록 하는 팬(1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기{A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이불이나 요 같은 포단, 커텐류 등을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이 아닌 세탁소 등에서 사용하는 건조기는 의류나 포단 또는 침구류 등의 세탁물을 단시간에 건조하여 수분이 함유되지 않은 상태로 건조해야 하는데, 이 같은 종래의 건조기에는 종래에는 열풍 건조방식이 사용되었다. 즉, 열풍 건조방식은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팬에 의해 피건조물에 송풍하여 건조를 행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열풍 건조방식은 건조가 효율적이지 못해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열풍 건조방식은 열풍이 공급되는 곳과 가까운 곳의 경우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만 열풍이 공급되는 곳과 먼곳에는 열풍이 잘 도달하지 않아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이는 건조 효율이 안좋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며, 이러한 문제점은 건조기의 크기가 커질수록 더 발생하게 된다. 또한 탈취, 살균 등에 있어서 취약한 측면이 있다.
한편,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피건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를 제거하고 건조 공기를 피건조물에 공급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습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고 있어 건조기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피건조물을 세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솔벤트 등의 세제가 피건조물에 잔류하는데 피건조물 건조시 건조과정에서 뜨거운 열이 가해지면서 많은 유해가스가 발생되어 배출되어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며, 이는 건조기가 사용되는 세탁소 등의 작업자나 작업장 주변에 악취를 발생케 하고 건강을 위협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석유계 용제를 사용하는 세탁업소에서는 유기용제 회수기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유기용제 회수기는 건조기의 공기배출기와 덕트 등으로 연결되어 건조기에서 배출된 유기용제를 함유한 공기로부터 유기용제를 회수한 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유기용제 회수기는 건조기와 별도로 설치되고 구입해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용적인 부담이 커지고 또한 작업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건조 시스템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건조기는 새로운 공기를 다시 흡입하여 가열 후 건조에 사용하게 되므로 에너지 소비가 커지고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한 원적외선 건조기가 관심을 받고 있다. 원적외선은 에너지파의 일종인 전자파이며 적외선 중 비교적 파장이 긴 것을 의미한다. 원적외선은 광선과는 다른 전자기파로써 직진성, 반사성, 투과성, 흡수성 등을 가지며 전도나 대류와 같은 열전달 방식과는 전혀 다르게 중간매질이 없이 직접 피가열물에 조사된다. 또한, 빛은 파장이 길면 물체에 도달했을 때 깊숙하게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원적외선은 피가열물에 잘 흡수되어 열로 전환되어 피가열물을 급속하고 균일하게 가열시키는 특징이 있다. 원적외선을 가열원으로 사용할 경우 에너지 효율이 높고 전도나 대류 방식의 가열보다는 피가열물을 균일하게 복사, 가열시킬 수가 있어 품질 생산성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원적외선은 중금속 제고, 탈취,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하여 피건조물을 빠르게 또한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며, 또한 용제회수기를 일체화하고 건조실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외부에 방출하지 않고 용제회수기를 거쳐 다시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건조실(112)을 구비하며, 건조실 상면에 배기구(118) 및 일측면 하부에 유입구(114)가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적어도 일측면 내부에 건조실과 대면하도록 설치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히터(120), 상기 본체(110)의 건조실(112) 상부에 상기 배기구(118)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유입된 건조실 내의 공기로부터 물과 유기용제를 회수하는 용제회수유닛(150), 상기 용제회수유닛(150)에서 유기용제가 분리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다시 건조실(112) 내부로 유동하는 경로로써, 상기 용제회수유닛(150)과 상기 유입구(114)를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순환 덕트(160) 및, 상기 순환 덕트(160) 내부의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용제회수유닛(150)을 빠져나온 공기가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건조실로 유입하도록 하는 팬(115)을 포함한다.
상기 용제회수유닛(150)은 상기 본체의 배기구(118)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구(152)와 상기 순환 덕트(160)와 연통되는 공기배기구(153) 및 유기용제가 배출되는 용제배출구(154)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용제를 냉각응축하여 회수하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용제회수본체(151)와, 상기 용제회수본체(151) 일측에 설치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56)와 팽창밸브(157) 및 응축기(158)와, 상기 배기구(118)와 공기유입구(152)를 연결하는 연결관(159)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본체(110)의 일측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용제배출구(154)와 연결되어 용제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용제로부터 물을 분리시키는 유수 분리기(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원적외선 히터(120)는 케이스(124)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126)와, 건조실(112) 내부로 대향되게 상기 발열체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128), 및 상기 케이스(124)를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히터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상기 원적외선 히터(120)는 상기 도어가 설치된 본체의 전면을 제외한 양측면 및 후면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상기 순환 덕트(160) 내부의 공기의 유동 경로상 상기 유입구(114)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구(114)를 통해 건조실(11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예열히터(1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적외선 히터를 적용하여 건조가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건조실 내부로 재사용하므로 에너지 사용이 줄어들어 결국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제회수기를 일체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작업장 공간활용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본체의 전면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에서 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본체 뒷면을 떼어낸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체 건조실 내부에서 본 원적외선 히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용제회수유닛의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본체의 전면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Ⅲ-Ⅲ에서 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건조기의 본체 뒷면을 떼어낸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5는 건조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건조기는 건조실(112)을 구비하는 본체(110), 원적외선 히터(120), 용제회수유닛(150), 순환 덕트(160), 팬(115) 및 유수 분리기(170)를 포함한다. 원적외선 히터(120)는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실(112)에 적재되어 있는 피건조물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건조시킨다. 용제회수유닛(150)은 본체(110)의 건조실(112) 상부에 설치되어, 건조실에서 유입된 공기로부터 유기용제를 분리, 회수한다. 순환 덕트(160)는 공기의 유동 경로로서 용제회수유닛(150)에서 유기용제가 제거된 공기를 다시 건조실(112) 내부로 공급하도록 안내한다. 팬(115)은 순환 덕트(160) 내부의 공기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용제회수유닛(150)을 거친 공기가 다시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수 분리기(170)는 용제회수유닛(150)에서 제거된 유기용제로부터 다시 물을 분리하도록 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11)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 피건조물이 적재되는 건조실(112)을 구비한다. 본체(110)는 대략 박스 형태의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건조실(112)의 상부면에는 건조실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는 배기구(118) 형성되고, 본체(110)의 후면 하부에는 배기구(118)를 통해 건조실을 빠져나가 용제회수유닛(150)을 통과하고 순환 덕트(160)를 경유한 공기가 다시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114)가 형성된다. 본체(110)의 건조실(112) 상부에는 용제회수유닛(150)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건조실과 구분되게 형성되며, 본체(110)의 상면은 덮개로 덮여진다. 한편, 본체의 전면 도어(111) 또는 그 상부면에는 기기를 조작하고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 또는 버튼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순환 덕트(160)에는 용제회수유닛(150)을 통과한 공기를 건조실(112)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팬(115)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팬(115)는 순환 덕트(160) 내부의 공기의 유동 경로 중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실 내의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계속 순환되는 구조를 가지며 팬(115)은 용제회수유닛(150)을 통과한 공기를 빨아들여 건조실 밑에서 공기를 상방으로 불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팬(115)이 하부에 설치된 것이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팬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원적외선 히터(120)는 본체의 측면 내부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원적외선 히터(120)는 하나 이상이 설치되면 족하나, 본 실시예와 같이 도어(111)가 설치되는 전면 이외의 나머지 3개 측면(양측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3개 측면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되므로 피건조물을 입체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의 효율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 6a는 건조실에서 바라볼때의 원적외선 히터의 정면도를, 도 6b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적외선 히터(120)는 케이스(124)와, 케이스에 안착되어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126)와, 발열체 상면에 위치하는 원적외선 방사판(128) 및 케이스(124)와 결합되어 원적외선 히터(120)의 구성요소들을 본체(110)의 측면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히터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발열체(126)는 보통 운모판에 니크롬선이 배열되는 운모 발열체가 적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적외선 방사판(128)은 발열체(126)가 가열되는 경우 열을 받아서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된다. 원적외선 방사판(128)은 히터 등의 열원은 아무 것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단독으로는 발열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가열에 의해서만 승온하여 적외선을 발하게 된다. 원적외선 방사판(128)은 보통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에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세라믹이 코팅된다.
한편, 원적외선 히터(120)가 설치되는 곳에 대응되는 본체의 내측면에는 와이어 메시(121)가 설치된다. 건조실 내의 온도는 보통 60~90℃를 유지하는데 이와 같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적외선 히터(120)와 원적외선 방사판(128)은 150℃ 이상의 고온을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원적외선 히터가 비록 본체(110)의 내부 측면에 매입되어 있지만 부주의 등에 의해 피건조물이 원적외선 히터에 닿을 우려가 있으므로, 와이어 메시(121)로 인해 그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용제회수유닛(150)은 건조실과 구획된 본체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어, 배기구(118)를 통해 빠져나온 건조실의 공기에서 물과 유기용제를 제거하게 된다. 도 5,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용제회수유닛(150)은 증발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용제회수본체(151), 증발기와 냉각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156)와 팽창밸브(157)와 응축기(158), 그리고 연결관(159)를 포함한다.
용제회수본체(151)는 대략 육면체의 박스 형상을 가지며, 본체의 배기구(118)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구(152)와, 순환 덕트(160)와 연통되는 공기배기구(153) 및 유기용제가 배출되는 용제배출구(154)를 구비한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용제를 냉각응축하여 회수하는 증발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증발기는 보통 코일형상의 관으로 형성되어 유로를 길게 하는 것이 보통인데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증발기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연결관(159)은 본체(110)의 배기구(118)와 용제회수본체(151)의 공기유입구(152)를 연결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용제회수본체(151)와 연결관(159)이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관(159)이 용제회수본체(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용제회수본체(151)의 측부에는 압축기(156), 팽창밸브(157), 응축기(158) 등이 설치되고, 이것들은 용제회수본체(151) 내부의 증발기와 냉매 배관(미도시)으로 연결되면서 순환형태의 냉동 싸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에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다시 증발기로 이어지는 냉동 싸이클에 의해 증발기에서 공기 속에 함유된 물과 유기용제가 회수되게 된다. 즉, 건조실 내부의 유기용제를 함유한 공기는 배기구(118)를 빠져나와 연결관(159)을 거쳐 공기유입구(152)를 통해 용제회수본체(151)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 코일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공기 속의 유기용제는 응축되면서 회수되게 된다. 유기용제가 제거된 공기는 공기배기구(153)를 통해 순환 덕트(160)로 빠져나가고, 회수된 유기용제는 자유낙하에 의해 용제배출구(154)를 통해 빠져나가 후술하는 유수 분리기(170)로 유입되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순환 덕트(160)는 용제회수유닛(150)을 거치면서 물과 유기용제가 제거된 공기가 다시 건조실(112)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경로로써, 본체(110)의 일측 내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순환 덕트(160)가 본체(110)의 후면 내부에 형성되며, 하단은 본체(110)의 유입구(114)와 연통된다.
한편, 순환 덕트(160) 내부의 공기의 유동 경로상 상기 유입구(114) 전단에 는 예열히터(180)가 설치된다. 건조실 상부를 빠져 나온 공기는 용제회수유닛(150) 및 순환 덕트(160)를 거치면서 열손실이 발생해 그 온도는 낮아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예열히터(18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건조실 내부로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건조 효율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예열히터(180)는 다양한 히터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히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수 분리기(17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 외측면에 설치되며, 용제회수본체(151)의 용제배출구(154)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용제로부터 물을 분리시킨다. 유기용제가 비중이 물보다 낮아서 이 비중차이로 인해 유기용제와 물은 분리되는데 유수 분리기(170)는 이 원리를 이용하게 된다. 용제배출구(154)와 연결된 유입관(172)을 통해 물이 포함된 유기용제는 유수 분리기(170)를 거치면서 물과 분리되고, 유기용제는 유기용제 회수관(174)을 거쳐 회수통(178)에 저장되고, 물은 배수관(17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유기용제를 회수하여 재활용 등을 할 수 있어 원가절약 측면에서 효과적이며 유기용제 휘발로 인한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작업자 건강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적외선 히터(120)로 건조하고 바람직하게는 3면에 설치하여 건조하므로 건조가 입체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건조실 내의 공기는 원적외선 히터로 인한 피건조물의 건조로 인해 수분을 많이 함유한 상태이다. 공기 중에 수분이 어느 한도 이상인 경우 피건조물에 열을 가하여도 더 이상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데, 습한 공기를 제거하고 건조한 공기를 공급해야 건조가 빨리 이루어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건조실 내부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따라서 피건조물의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 의하면 이 습하고 더운 공기를 상단으로 밀어 올려 배출시킨 후 물과 유기용제를 제거한 후 이 건조 공기를 건조실 하부에 공급하기 때문에, 건조가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용제회슈유닛과 순환 덕트를 거치면서 공기의 온도는 하강하게 되는데, 예열히터를 통해 공기의 온도를 높여서 건조실로 공급하므로, 빠른 건조에 더욱 효과적이게 된다.
한편, 용제회수유닛 및 유수분리기를 본체에 일체로 설치하므로, 비용절감과 유지보수 관리의 편리성 및 작업장 공간 활용의 극대화를 추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10)의 전면 도어(111)를 열고 건조실(112) 내에 피건조물을 적재시킨 다음에 도어를 닫고 건조기를 동작시키게 되면, 원적외선 히터(120)는 동작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원적외선 방사에 의해 피건조물은 건조가 되고 피건조물에 있던 수분은 증발하여 건조실 내부는 습한 공기로 채워지게 된다. 원적외선 히터(120)가 동작한 후 일정 시간이 흐르게 되면 팬(115)은 동작하게 되어 건조실 내부의 공기는 위로 상승하게 된다. 공기는 배기구(118)를 빠져나와 용제회수유닛(150)의 용제회수본체(151)로 유입되는데, 공기 속에 함유된 물과 유기용제는 회수되어 용제회수본체(151)를 빠져나가 유수 분리기(170)로 흐르게 된다. 물과 유기용제가 제거된 건조공기는 팬(115)의 동작에 의해 용제회수본체(151)를 빠져나와 순환 덕트(160)로 유입되며, 예열히터(180)를 거쳐 가열된 후 유입구(114)를 통해 건조실(112) 내부로 다시 공급된다.
110. 본체 112. 건조실
114. 유입구 118. 배기구
120. 원적외선 히터 121. 와이어 메시
150. 용제회수유닛 151. 용제회수본체
160. 순환 덕트 170. 유수 분리기
180. 예열히터

Claims (7)

  1.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건조실(112)을 구비하며, 건조실 상면에 배기구(118) 및 일측면 하부에 유입구(114)가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적어도 일측면 내부에 건조실과 대면하도록 설치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히터(120);
    상기 본체(110)의 건조실(112) 상부에 상기 배기구(118)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유입된 건조실 내의 공기로부터 물과 유기용제를 회수하는 용제회수유닛(150);
    상기 용제회수유닛(150)에서 유기용제가 분리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다시 건조실(112) 내부로 유동하는 경로로써, 상기 용제회수유닛(150)과 상기 유입구(114)를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순환 덕트(160); 및,
    상기 순환 덕트(160) 내부의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용제회수유닛(150)을 빠져나온 공기가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건조실로 유입하도록 하는 팬(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회수유닛(150)은,
    상기 본체의 배기구(118)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구(152)와 상기 순환 덕트(160)와 연통되는 공기배기구(153) 및 유기용제가 배출되는 용제배출구(154)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용제를 냉각응축하여 회수하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용제회수본체(151)와, 상기 용제회수본체(151) 일측에 설치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56)와 팽창밸브(157) 및 응축기(158)와, 상기 배기구(118)와 공기유입구(152)를 연결하는 연결관(1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용제배출구(154)와 연결되어 용제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용제로부터 물을 분리시키는 유수 분리기(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히터(120)는,
    케이스(124)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126)와, 건조실(112) 내부로 대향되게 상기 발열체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128), 및 상기 케이스(124)를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히터 프레임(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히터(120)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면에는 와이어 메시(1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히터(120)는 상기 도어가 설치된 본체의 전면을 제외한 양측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덕트(160) 내부의 공기의 유동 경로상 상기 유입구(114)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구(114)를 통해 건조실(11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예열히터(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110013122A 2010-02-16 2011-02-15 건조기 KR20110095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3672 2010-02-16
KR1020100013672 2010-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161A true KR20110095161A (ko) 2011-08-24

Family

ID=4493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122A KR20110095161A (ko) 2010-02-16 2011-02-15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51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100480A4 (en) Heat pump type laundry machine
EP2037034B1 (en) Ductless type clothes drier
EP256532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725133B1 (en) Clothes dryer
KR101277691B1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US10968560B2 (en) Dryer
EP3330432B1 (en) Laundry drying machine
KR101255073B1 (ko) 제습식 농산물 건조기
KR200393864Y1 (ko) 드라이클리닝 용제 회수기
EP2325379A2 (en) Condensing-type drying apparatus
CN101313102A (zh) 干衣机
KR102176158B1 (ko) 의류 관리용 열풍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장치
KR20110095161A (ko) 건조기
KR101313591B1 (ko) 건조기
KR20180093053A (ko) 고효율 세탁건조기 및 제어 방법
KR100652774B1 (ko) 원적외선 히터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US11255041B2 (en) Tumble dryer
KR20090011183U (ko) 제습식 식품 건조기
KR20110097232A (ko) 대용량 건조기
EP3189183A1 (en) Laundry drying machine with improved thermal efficiency as well as reduced noise profile
KR100618599B1 (ko) 드라이클리닝 용제 회수기
EP3140451B1 (en) Washing machine
JP2009505716A (ja) 洗濯物乾燥機
US20170254014A1 (en) Venting laundry dryer with two fans
JP2008006123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